KR0129002B1 - 전용 마그네틱 트랙으로 마그네틱 엔코드될 수 있는 필름용의 인화 및 변경 프로세스 - Google Patents

전용 마그네틱 트랙으로 마그네틱 엔코드될 수 있는 필름용의 인화 및 변경 프로세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002B1
KR0129002B1 KR1019900701160A KR900701160A KR0129002B1 KR 0129002 B1 KR0129002 B1 KR 0129002B1 KR 1019900701160 A KR1019900701160 A KR 1019900701160A KR 900701160 A KR900701160 A KR 900701160A KR 0129002 B1 KR0129002 B1 KR 012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frame
film
data
t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420A (ko
Inventor
게리리 로빈슨
미카엘 리 워쉬
Original Assignee
존 디. 후써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디. 후써,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filed Critical 존 디. 후써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89/004358 external-priority patent/WO1990004215A1/en
Publication of KR90070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7/00Dark-room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Portable dark-roo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 G03D15/001Counting; Classifying; Mar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G03B2206/004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using markings on the photographic material, e.g. to indicate pseudo-panoramic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4Magnetic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6Details of the mark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용 마그네틱 트랙으로 마그네틱 엔코드될 수 있는 필름용의 인화 및 변경 프로세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이해될 수 있다.
제1도는 마그네틱 필름 독출/서입 처리능력을 지니는 카메라에 있어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특수구멍의 포맷을 지니며 필름상에 가상 투명마그네틱 층이 있는 평행한 전용 트랙을 에시하는 다이어 그램.
제2도는 제1도 필름상의 독출 또는 서입 데이타에 적합한 카메라 개념을 에시하는 단순화원 다이어 그램.
제3도는 마그네틱 필름 독출/서입 처리능력을 지니지 않고 통상적인 카메라에 사용된 현재 편재되어 있는 구멍 포맷을 지니며 필름상에 가장 투명 마그네틱 층이 있는 평행 전용 트랙을 에시하는 다이어 그램.
제4도는 필름용도의 여러 단계에서 상이한 헤드 폭을 사용함으로써 제2도의 카메라 내의 필름 유동(wander)의 수용을 예시하는 다이어 그램.
제5도는 제1도의 전용 트랙 포맷에 따라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서입되거나 독출될 수 있는 여러 변수용 트랙 위치 디렉토리(directory)를 포함하는 리이드 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구조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 그램.
제6도는 제1도 또는 제3도의 전용 트랙에 사용된 바람직한 데이타 포맷을 예시하는 다이어 그램.
제7도는 카메라 및 사진처리장치(photofinisher)를 포함하는 필름용도의 모든 단계에 의하여 제6도의 데이타 포맷과 함께 만능적으로 사용하는 실시 태양의 데이타 식별 코드표.
제8도는 카메라 및 사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용도의 모든 단계에 의하여 제6도의 데이타 포맷과 함께 만능적으로 사용하는 실시태양의 심볼표.
제9도는 카메라 및 사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용도의 모든 단계에 의하여 제6도의 데이타 포맷과 함께 만능적으로 사용하는 실시 태양의 예약제어 심볼표.
제10도는 증가된 효율 또는 성능으로,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scratch pad memory)로서 제1도 또는 제3도 필름을 사용하는 자동프로토콜을 포함하며 마그네틱 독출/서입 하드웨어를 지니는 사진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 그램.
제11도는 수정 인화 노출동안 현상된 네가티브를 구분하도록 제10도의 사진 처리 시스템에 사용된 전형적인 조작자용 키이보드.
제12a도 및 제12b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셀프-클록킹(self-clocking)코드형태.
제13도는 필름 역전 감지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각각의 개시 및 정지 센티넬(sentinel) 문자 및 그의 보수를 사용한 에시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가장 양호하게 검출되는 필름 역전 형태의 예시도.
제15도는 필름상에 데이타를 셀프 클록킹 기록시키는 시스템의 예시도.
제16도는 여러 상이한 정보 일부를 포함하는 데이타 블록용 가상식별 코드사용에 대한 예시도.
제17a도, 제17b도 및 제17c도는 가상 식별 코드의 3가지 형태에 대한 조사표.
제18a도는 중개상 주문 입력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제18b도는 사진처리장치 주문 입력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제18c도는 인화장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제18d도는 검사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제18e도는 주문 어셈불리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제18f도는 포장장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현재 소비자들의 사진 기술에 있어서의 제안
카메라 사용자와 중개상 또는 사진처리자들 사이의 코뮤니케이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이 기재하는 서식을 필요로하며, 이것은 항상 장면을 촬영한 이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러한 서식을 기재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장면에 관련된 정보는 보통 분실되거나 또는 망각된다. 상기의 정보는 예를들면 특정프레임을 인화하지 말라거나 또는 주어진 프레임으로부터 몇개의 인화를 더 만들라거나 하는, 사용자의 희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사용자 또는 센서에 의해 관찰된 장면의 사진상의 변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진 처리 장치의 장면 분류(classification)를 보조하여 필름으로부터 만들어질 인화의 질을 향상시킨다. 몇가지의 인자가 전체적인 사진 처리 프로세스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예를들면, 하루 24시간을 가동하지 않는 대형의 사진 처리용 시험소에서, 필름 처리용 장비는 인화 장치의 가동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충분한 고객의 필름이 들어와서(칼라 네가티브 35mm 필름과 같은) 동종 형태의 필름 스트림이 최소 수(예를들면 70)의 1회분 처리량으로 구분될때까지인 각각의 작업 개시 기간동안은 휴지 상태로 있어야만 한다. 물론(보통의 고객 주문인) 현상되지 않은 필름은(인화 재 주문인)현상된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야만 한다.
사진 거리 프로세스에서의 보다 중요한 비효율성의 원인에는 고객의 식별뿐만 아니라 각각의 필름스트립과 이로부터 만들어진 인화사이에서 적절한 일치성이 유지되는데 필요한 기계적인 단계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계적 단계들은, 포장이 사진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고객의 필름 스트립을 따라 다녀서 해당되는 인화의 세트를 포장처리하도록, 고객이 최초에 기재한 각각의 서식 또는 포장의 구분 및 처리를 포함한다.
사진 처리 프로세스에서의 가장 중요한 비효율성 원인중 하나는, 검사 과정중에(항상 현상 필름 네가티브 이메이지에 대한 감광성 인화지의 부적절한 노출에 의해) 해당되는 최초 인화가 적절치 못하게 만들어졌음이 발견될때마다, 고객의 필름 스트립상의 특징 프레임으로부터 이메이지를 재인화할 필요성에서 발생한다. 최초 인화를(소위 변경(makeover)인화인) 보다 나은 인화로 대체하려면, 네가티브필름 이메이지부터 최초 인화를 만들도록 사용된 노출 조건(분류(classification))이 최초에 수정되어야만 한다. 문제의 특정 필름 네가티브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의 최초 인화를 보존하면서도 재 분류되어 재 인화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각각의 필름 스트링과 해당의 최초 인화사이, 변경인화와 고객의 주문 서식(포장) 사이의 적절한 일치성이 결코 상실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수고스러운 과정에서, 변경이 필요한 최초 인화에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근접한 인화사이 및 근접한 주문들 사이의 경계를 지시하도록 인화에 노취(notch)를 만드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할 문제
필름상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상기에서 기술된 일부의 제한 이외의 가능한 방법으로써 막연히 제안되어 왔다. 이들 제안은, 눈으로 독출될 수 있거나 또는 기계로 독출될 수 있는 심볼의 광학적인 기록으로부터, 기계로 독출될 수 있는 데이타의 자기적인 기록까지의 범위를 지닌다. 물론 일단 필름이 현상되면 더 이상의 기록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필름상의 광학적인 기록은 단지 제한적인 용도만을 지닌다. 또한 정보는 각각의 프레임의 카메라 노출 이메이지에 의해 점령되지 않은 필름상의 제한 부위에 국한되어야만 하며, 기록될 수 있는 정보량에 상당한 제한이 된다.
실제적으로 투명한 마그네틱 단층에서의 마그네틱 기록으로써 고밀도의 기록이 이메이지 부위를 포함하여 필름상의 모든 곳에서 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관련 정보는 이론적으로는 필름상의 각각의 프레임으로써 기록될 수 있었다. 선행 기술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점은, 필름상에서 마그네틱 기록의 잠재적인 성능을 완전히 이용하는 것이 필름상에 기록될 데이타의 부담스러운 량을 초래하며, 이것의 여러 비트(bit)는 필름 사용의 다양한 단계에서 카메라 및 사진처리장치에 의해 분리되어 접근되어야만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특히 사진처리 장치는, 사진 처리 프로세스에서의 주어진 단계에서 과중한 양의 데이타중에 특정의 데이타를 찾아내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특정 문제는, 필요한 데이타 하나를 찾아내기 위하여 다른 데이타를 독출하거나 또는 검색하지 않고, 필름 처리 시간 도중의 특정 지점에서 특정의 필요한 데이타를 사진처리자(또는 이후의 필름 사용자)가 어떻게 빨리 찾아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에 관련된 문제는, 1대 1의 식별 코드로써 대형의 데이타 오버헤드를 부가하지 않고 어떻게 개별적인 변수 또는 데이타들을 식별하느냐 하는 점이다. 또다른 문제는 필름상에 자기 기록된 데이타 내에서, 다중 상태의 사진 변수의 모든 가능한 상태를 독특하게 표시하는데 필요한 비트의 수를 어떻게 최소화하느냐는 문제다.
다른 문제는, 카메라 및 다양한 중개상과 사진처리 단계에서 필름상에 마그네틱 독출/서입하는 것을 수용하는 것이 사진처리 장치로 하여금, 마그네틱 독출/서입 성능을 지니지 않은 통상의 카메라에 적용된 필름 포맷상에 독출/서입할 수 없게 한다는 점이다. 여기에서의 문제는, 모든 경우에 대하여 동일한 마그네틱 기록 포맷 및 하드 웨어를 사용하여, 필름 포맷 또는 사용된 카메라 형태에 관계없이 어떻게 사진처리 장치로 하여금 필름상의 마그네틱 기록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가 하는 점이다. 상기 최종의 문제 해결은 모든 카메라에 대한 모든 필름이 부가적인 마그네틱 단층을 포함할 수 있게 하여, 필름 마그네틱 단층을 프레임-바이-프레임 스크래취 패드 메모리(frame-by-frame scratch pad memory)로서 사용하여 동일한 마그네틱 독출/서입 포맷 및 자동화된 프로토콜로 사진처리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개요
필름 사용 및 필름 처리의 각 단계도중에서 실질적으로 투명한 마그내틱 단층에 정보를 자기적으로 서입하고 독출하는 것은 필름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특정의 전용 평행 트랙에 제한되며, 트랙의 선택은 기록될 특정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각각의 트랙은 필연적으로 특정의 프레임내에서 개시되고 끝난다. 마그네틱 독출/서입은 필름의 처리, 인화 도중에 중개상 또는 사진처리자에 의한 필름의 운반 과정중에서와, 야외에서의 사용중에 카메라에 의한 필름의 운반중에 수행된다. 트랙은 만능의 선배열에 의해 변수 또는 정보의 특정 세트로 전용되며, 각각의 세트는 필름 사용의 특정 단계에서 특히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다양한 필름 사용 단계는, 카메라, 중개상의 주문 입력 스테이션, 사진 처리자의 주문 입력 스테이션, 분류장치, 인화장치, 검사 또는 재분류장치 스테이션 및 포장-구분장치 스테이션등을 포함한다.
사진 처리장치 트랙은, 사진처리장치에 가용될 수 있는 트랙의 수를 최대화하고 이들 트랙의 포맷이 다양한 필름 포맷 또는 필름의 구멍 패턴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각 프레임의 주요 이메이지 부위를 점한다. 따라서 사진처리 장치 트랙은 필름-비디오 플레이어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적용예에서 유용한 만능의 가용 포맷을 지닌다.
카메라 트랙은, 마그네틱 독출/서입 성능을 지닌 카메라에서 사용되게끔 적용된 필름내에서반 이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카메라 트랙은 필름의 모서리를 따라 존재하는 통상의 필름 구멍 패턴에 장애를 줌으로써 사진처리장치 트랙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필름의 모서리를 따라 수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구멍은 이메이지 부위 다음에 위치하며, 반면에 카메라 트랙은 연속적인 구멍사이의 필름 모서리를 따라 각각의 프레임 이메이지 부위내에 위치한다.
각각의 데이타 블록은 실질적인 식별 코드에 첨부되어 있으며, 식별 코드의 의미는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는 조사 테이블내에 정의되어 있다. 주어진 실질적인 식별 코드에 대하여 조사 테이블내에 포함된 명령은, 상기 식별 코드를 지닌 데이타 블록내에서 기록될 몇개의 관련 변수에 대한 알고리듬을 엔코딩(기록) 또는 디코딩(플레이백)하는 바이트(byte)위치를 제공한다. 3가지 형태의 실질적인 식별코드중 어느 하나가 블록내에 기록될 관련 데이타의 형태에 따라 채용된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a)비트 맵 식별 코드는 조사 테이블내의 비트 맵핑 명령(bit mapping instruction)을 지정하며, 여기서 블록내의 특정한 개별 비트의 상태는 두개의 가능 상태(예를들면 플래쉬(flash)가 사용되었다거나 또는 노출이 이루어졌다거나 하는 상태)를 지닌 변수의 상태를 반영한다. (b) 상태 식별 코드는 조사 테이블내에 저장된 상태 식별 명령을 지정하며, 블록내의 특정 바이트의 다양한 패턴은 몇가지의 가능한 상태를 지닌 변수의 상태를 반영한다. (c) 스케일링 식별 코드(scaling identification code)는 블록내 특정 바이트에 대하여 조사 테이블내에 저장된 개별적인 스케일링 명령을 지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보의 다양한 형태는 관련된 정보의 형태 또는 변수의 그룹에 따라 전용 트랙중에 할당되며, 일부 개별적인 그룹들은 필름 사용 사이클의 한 단계 이상에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름의 모든 프레임에 공통적인 정보는 필름 리이더상의 전용 트랙내에 있다. 명세적으로는, 필름 형태, 카메라 형태, 소지자의 식별, 기입된 정보의 디렉토리 등이 필름 리이더상의 (필름 모서리에 근접한) 제1 카메라 트랙내에 기록된다. 이러한 제1의 카메라 트랙은 트랙(C0)으로 지정되며, 필름 리이더는 프레임(0)으로 지정된다(장면의 휘도, 카메라의 방향, 칼러 온도, 플레쉬의 점멸등과 같이 카메라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지된 장면 관련 변수는 각각의 이후 프레임(예를들면 프레임(1-25))에서 트랙(C0)에 기록된다. 제2의 카메라 트랙인 트랙(C1)은 셔터 속도, 애퍼튜어(aperture)크기 등과 같은 2차적인 정보의 기록에 전용된다. 명백히, 인화를 만드는 최적의 노출 조건을 계산하려는 시도에서 지능 사진처리용 분류장치 스테이션은 프레임(1) 내지 프레임(25)의 각각에서 트랙(C0)상의 데이타를 독출하며, 반면에 사진처리장치 구분기는 고객의 필름과 그의 주문 서식 또는 포장사이의 일치성을 유지하려는 시도에서 프레임(0)의 트랙(C0)상에 있는 데이타를 독출한다. 이와 유사한 사진거리장치 전용 트랙의 할당이 채용되어서, 고객의 인화 주문 요청 데이타가 프레임(0) 내의 제1 사진처리장치 트랙(F0)내에 기록되고, 이메이지 분류 및 만들어져야 할 인화의 수와 같은 프로세스 데이타가 프레임으로 트랙(F01)에 기록되고 변경 수정은 트랙(F02)에 기록된다. 변경 데이타(예를들면 변경 인화의 전체 수)의 합은 프레임(0)의 트랙(F02)에 기록된다. 다른 사진처리장치 트랙은 사진처리용 이의의 용도에 전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적인 인화 프로세서 또는 필름대 비디오 플레이용의 프레임-바이-프레임(frame-by-frme) 사용자 명령과 같은 것이다.
문제의 해결
본 발명은,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플레이백하는 도중의 각 단계에서 필름을 일정한 속도나 또는 같은속도로 조차도 이동시킬 필요없이, 필름 사용의 모든 단계에서 데이타를 동기화시키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스페이스를 소모하는 클록킹 트랙을 데이타 트랙과 동시에 기록할 필요성 없이 상기와 같은 것을 달성한다. 대신에, 특정 비트의 2진수 상태 표시는 기록 및 플레이백중에 필름이동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아니하며 셀프 클록킹된다. 상기의 표시는, 셀프 클록킹 코드를 포함하는 시리얼 펄스 트레인에서 데이타 트랜지션 펄스와 이것의 근접한 선행 클록 펄스 및 연속되는 클록펄스 사이의 일시적인 관계에 독특하게 의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비트는 선행의 클록 펄스에 보다 근접한 데이타 트랜지션 펄스에 의해 표시된다. 0비트에 대해서는 데이타 트랜지션 펄스가 연속되는 클록 펄스에 근접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단계 단지 어느 트랙이 상기 단계에 관련된 데이타에 전용되었는지만을 알 필요가 있고, 또한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된 모든 다른 데이타를 무시하면서 상기 트랙으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할 수 있으므로, 사진처리 장치가 직면하는 짚단속의 바늘 찾기같은 데이타 액세스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일부의 경우에는, 필름에 관한 특정의 기본적인 결정을 전체적으로 내리도록, 단순히 특정의 트랙이 비어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데이타의 독출이 필요없게 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특정의 필름 스트립이 이미 현상되었는지의 여부는(따라서 필름이 인화 재 주문용으로 받아들였는지의 여부는)(예를들면 프레임(1-25)트랙(F1)의)특정 트랙이 기록된 데이타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보면 쉽사리 결정된다.
본 발명은, 사진처리장치 트랙 포맷 및 모든 필름 포맷에 만능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사진처리장치 마그네틱 독출/서입 시스템을 만드는 문제를 해결하며, 반면에 프레임당 하나의 구멍을 지니는 특수한 필름상의 구멍사이에 있는 필름 모서리에 카메라 트랙을 위치시킴으로써 카메라 트랙이 아닌 트랙의 수를 최대화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필름상에 있는 전용 트랙의 바람직한 포맷 제1도를 참조하면, 35밀리미터 폭의 컬러 네가티브 필름스트립(100)은 베이스(110), 베이스(110)의 한 측면상에 있는 다양한 공지의 광화학적 단층(115) 및 다른 측면상에 있는 실제로 투명한 마그네틱 단층(120)들을 포함한다.
정전 방지 및 윤활용 단층(122)이 마그네틱 단층(120)을 덮고 있다. 필름 스트립(10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구멍(125)을 그 필름 스트립을 하용하기에 적합한 카메라의 계수용 포올(metering pawl)의 피치와 정합하는 규정 간격으로 필름의 모서리를 따라 이격된 구멍(125)을 포함한다.
마그네틱 단층(120)내에 데이타를 기록할 목적으로, 필름 스트링(100) 각각의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복수개의 길이방향 평행 트랙 위치로 분할되어 있으며, 여기에 마그네틱 트랙의 데이타가 기록될 수도 있다. 각각의 트랙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특히, 필름 스트립(100)의 모서리를 따라서 있는 두개의 최외측 트랙은 각기 트랙(C0,C1) 및 트랙(C2,C3)이다. 30개의 최외측 트랙은 트랙(F00)로부터 트랙(F29)까지이다. 최외측 트랙(C0)으로부터 트랙(C3)까지의 각각의 트랙은, 모든 카메라 및 사진처리장치(photofinisher)에 대해 보편적으로 확립된 사전 배열(pre-arrangement)에 따라, 자기적인 기록 성능을 지닌 카카메라로 특정 형태의 정보를 기록하는데 전용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최내측 트랙 각각은 전술된 보편적인 사전 배열에 따라 특정 형태의 사진 처리장치 또는 다른 장치로 특정 형태의 정보를 기록하는데 전용된다.
필름 스트립의 모서리를 따라 카메라 트랙(C0) 내지 트랙(C3)의 존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멍(125)이 필름 스트립(100)상의 각 프레임의 노출 부위에 근접한 구멍이 없는 영역(100a)으로부터 배제되며,각 프레임 다음의 중간 영역(100b)에 제한된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중간 영역(100b)은 하나만의 구멍을 지닌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멍은 필름 스트립(100)의 하나만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위치한다.
카메라내 전용 필름 트랙의 사용
제2도를 참조하면, 카메라(200)는 필름 카트리지 및 필름 감기용 스프로킷(sprocket)의 릴(205a,205b) 사이에서, 제1도 구멍(125)의 포맷에 따르면서 필름 스트립(100)을 이송한다. 카메라(200)는 필름 스트립(100)의 비감광성 측부상에 있는 마그네틱 단층(120)과 근접하여 마그네틱 독출(read)/서입(write) 헤드(12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5)가 헤드 전자장치(200)를 통해 헤드(210)로써 마그네틱 데이타의 기록 또는 플레이백(playback)을 제어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5)는 카메라 제어부(225)를 통해서 카메라 사용자로부터 필름 스트립(100)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될 주문 정보를 수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상기의 정보는 프레임 번호로 주어진 프레임에 대하여 필요한 인화의 수에 관한 것이고, 또는 궁극적으로 사진처리장치가 사용할 카메라 사용자의 이름 및 주소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5)는 또한 사진 처리장치가 궁극적으로 사용할, 필름 스트립(100)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된 장면 센서(230)로부터의 장면 관련 정보를 수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정보는 카메라의 방향, 장면의 휘도등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필름 속도에 무관한 데이타 코드
제1도 필름 포맷상의 전용 트랙을 사용하여, 카메라, 주문 입력 스테이션, 사진 처리장치 또는 다른 필름 사용의 단계중 하나에 의해, 데이타를 2진수 비트(bit)로 변한하고 이후에 2진수 데이타를 독특한 셀프 클록킹 코드(self-clocking code)를 사용하여 엔코딩(encoding)함으로써 데이타를 기록한다. 상기의 셀프 클록킹 엔코딩은 1988년 6월 14일에 출원된 Michael Wash의 특허출원 번호 제206,646호 2진수데이타 스트림 모들레이팅 방법의 설명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출원은 본출원의 양수인에 양도되어, 본건에 상기의 명세가 참고로서 포함된다.
참고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셀프 클록킹 코드는 첨부된 제12도를 참조하여 본건에서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코드는 제1형태(예를들어 양의 진행 에지 트랜지션)인 펄스 에지 트랜지션(pulse edge transition) 및, 제2형태(예를들면 음의 진행 에지 트랜지션)의 펄스에서 트랜지션의 연속적인 스트림을 고체시퀸스로 포함한다.
제1형태의 펄스 트랜지션은 클록 지시부 역할을 하는 반면에 제2형태는 2진수 데이타 지시부 역할을 한다. 2진수 1은 제12a도에서 제2형태의 펄스 트랜지션(1215)으로 지시되어 있으며, 이는 즉각적인 선행의 제1형태 펄스 트랜지션(1205)에 일시적으로 근접하고 연속되는 제1형태 펄스 트랜지션(1210)으로부터는 멀다. 2진수 0은 제12b도에, 제2형태의 펄스 트랜지션(1215')이 선행의 펄스 트랜지션보다연속되는 제1형태 펄스 트랜지션(1210)에 일시적으로 더 근접한 것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러한 신규의 셀프 클록킹 코드로써, 필름 이송 속도는 기록 데이타를 독출하고 동기화시키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록 및 플레이백 도중에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의 카메라는, 어떠한 속도 제어를 부가하거나 독립적인 클록 트랙을 기록하지 않으면서, 노출 사이의 필름을 감는 중에 데이타를 기록할 수있다.
제12도의 셀프 클록킹 코드는 필름 역전의 자동 검지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9도 예정 캐릭터 표로부터 두개의 6비트 캐릭터가, 제6도를 참고하여 본건에서 설명될 방식으로, 각각의 전용 프레임내 각 프레임의 개시 및 끝에서 각기 기록되는, 개시 및 정지 센티넬(start and stop sentinel)로서 선택된다. 또한 제13도에 지시된 바와같이, 상기에서 선택된 두 심볼의 상보적인 것들도 예정되어 있다. 즉 이것은 필름 역전 시작 센티넬 및 필름 역전 정지 센티넬을 포함하는 두개의 예정 심볼이다. 이러한 장치는 제12도의 셀프 클록킹 코드 특성을 설명하며, 이것은(필름을 이전의 기록중에 이송시켰던 방향과는 반대인 방향으로 헤드를 지나 이송시킴으로써) 후방향으로 플레이백되는 셀프 클록킹 데이타가 디코드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따라서, 제14a도의 필름 이메이지가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필름상에 데이타를 자기적으로 기록하는 도중의 필름 방향에 해당하고, 또한 제14b도가 필름이 연결되어서 마그네틱 독출/서입 성능을 지닌 사진처리 방비로 적재되는 필름의 방향에 해당한다면, 필름 역전 정지 센티넬이 데이타 프레임 마다 검지될 것이고, 이후에 필름 역전 시작 센티넬이 검지될 것이다. 이러한 필름 역전 시작 센티넬 및 정지센티넬은, 필름이 제14c도에 지시된 바와같이 회전되었음을 사진처리장치로 알려주는 플래그(flag)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 만약 필름이 뒤집혀 있다면 제13도의 기술은 플래그를 만들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에러는 쉽사리 검지될 수 있으며, 이는 필름의 반대측이 사진처리장치의 마그네틱 헤드와 면하게 됨으로써 제1도의 마그네틱 단층과 헤드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신호대 노이즈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제15도는 제2도의 카메라(200)에서 유용한, 필름상의 마그네틱 셀프-클록킹 독출/서입 시스템의 간단한 예를 설명한다.
제1도의 길이방향 전용 트랙 포맷의 장점은, 필름 스트립(100)상에 데이타를 자기적으로 기록하는것이, 상대적으로 정지상태에 있는 헤드(즉 헤드(210))를 사용하여 특정 카메라 트랙의 특정의 프레임내에 기록될 모든 데이타를 버퍼링(buffering)시키고, 이후에 필름이 다음의 프레임으로 감기고 있을때 데이타를 에드에 전송시키는 방식으로, 카메라에 의해 수행된다는 것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5)는 리이드 온리 메모리(240)를 포함하며, 이것은 각종의 정보가 카메라 및 사진처리 장치에 공통적인 만능의 사전배열에 따라, 전용 카메라 트랙(C0-C3)의 올바른 한곳에 기록되는 것을 보장하는 충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리이드 온리 메모리(240)내에 저장된 명령에 따라 각각의 정보를 구분(sort)하고 버퍼(buffer)시킨다. 이러한 사전 배열의 특성 및 리이드 온리 메모리의 구조는 본 명세서의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통상의 카메라 및 필름용으로 전용된 트랙의 포맷 사진 처리장치 트랙(F00) 내지 (F29)의 포맷은 제1도의 필름 구멍(125)의 위치 설정에 무관하게 동일하다. 따라서,(제1도의 단층(120)과 같은) 실제로 투명한 마그네틱 단층이 모든 형태에 필름에 부가된다면 사진처리장치는 모든 형태의 필름상에 동일한 마그네틱 기록 프로토콜(protocol) 및 하드웨어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도를 참조하면, 현재 표준형인 양측의 필름 모서리를 따라 근접 이격된 구멍을 지니는 통상의 35mm 컬러 네거티브 필름은 제1도의 특수한 필름 포맷의 것과 같은 폭 및 간격(spacing)을 지닌 사진 처리장치 트랙(F00) 내지 (F14)를 수용한다. 제3도의 구멍이 카메라 트랙(C0) 내지 (C3)의 존재를 배제할지라도 이러한 필름은 마그네틱 독출/서입 성능을 지닌 카메라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카메라 트랙이 존재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경우의 장점은, 이후의 모든 필름 사용장치들(즉 사진처리장치, 필름-비디오 플레이어등)이 제1도 및 제3도의 모든 것들을 포함하여, 모든 필름 포맷에 대하여 최대수의 트랙을 할당받았다는 것이다.
카메라 및 사진처리 장치의 전용 트랙의 폭
제4도를 참조하면, 카메라의 전용 트랙(C0-C3)의 폭은 사진 처리장치 트랙(F00-F29)의 폭보다 크다. 물론 이들 트랙의 폭들은 카메라 헤드의 폭 및 사진처리장지 헤드 폭의 선택에 의해 제어된다. 그 크기의 편차는, 헤드(210)에 의해 기록이 수행되는 동안의 필름의 감김 작동중에 카메라내에서의 필름의 유동(遊動)을 수용할 정도로 충분한 것이 바람직스럽다. 그러한 유통은, 카메라 트랙이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굽이친 형상을 지니도록 한다. 제4도에서는, 카메라의 트랙을 독출하여야만 하는 사진처리장치의 헤드가 훨씬 작은 폭을 지니기 때문에 카메라 트랙을 벗어나지 않음을 주목하라.
전용 트랙의 할당
제5도는 다양한 정보 형태중에서, 제2도의 리이드 온리 메모리(240)내에 저장된 마이크로코드에 의해 이행된 전용 트랙의 할당을 도시한다. 여기에는 카메라에 의해 노출된 각각의 필름 프레임에 4개의 카메라 트랙 및 15개의 사진처리 장치 트랙이 있으며, 이들 프레임은 프레임(1) 내지 (25)로 지시된다. 필름 리이더(leader) 및 종단부(trailer)는 각기 프레임(0,26)으로 지시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임(0,26)에 기록된 정보는 전체적인 필름 스트립(100)에 관한 것인 반면에, 각각의 프레임(1-25)에 기록된 정보는 특정 프레임에 대하여 특징적인 것이다. 제5도에는 4개의 카메라 트랙중 3개가 카메라에 의해 사용된 반면에, 30개의 사진처리 장치 트랙중 세개가 사진처리 장치에 의해 사용된다. 사진처리장치 트랙중 나머지는 필름-비디오 플레이어 명령의 기록(트랙 F03), 전자 인화 프로세싱 명령(트랙 F04) 및 오디오(트랙 F06 매지 F14)용으로 예비된다. 나머지 트랙(F15-F29)은 예측되지 않은 목적을 위해 예비된다.
각각의 트랙은 특정 그릅의 정보 형태에 전용되며, 이들 정보 형태는 대부분의 경우 함께 서입되거나 또는 독출된다. 따라서 프레임(0)의 트랙(CO)은 카메라에 의해 기록되는, 카메라 및 소지자에 관한 정보용으로 예비된다. 마찬가자로, 프레임(0)의 트랙(F00)을 사진처리 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사진처리장치 및 소지자에 관한 정보용으로 예비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프레임(0)의 트랙(F00)은 사진처리장치 또는 주문 입력 스테이션(order entry station)에 의해 기록되는, 고객의 명령, 필름 형태 및 주문의 처리에 관한 관련 정보용으로 예비된다. 프레임(0)의 트랙(F02)은, 이후에 고객의 재주문에 의한 인화중에 사진처리장치가 사용하는, 고객의 변경 인화(makeover print) 및 인화 재주문에 필요한 프레임의 위치에 관한 과거 정보 기록용으로 예비된다.
각각의 노출된 프레임(프레임(1)-(25))의 트랙은, 장면의 휘도 카메라 방향등과 같은 장면 관련 정보가 카메라에 의해 기록되도록 예비된다. 마찬가지로 트랙(F01)은, 네가티브 이메이지의 분류(적절한 인화 노출의 결정), 만들어져야할 인화의 숫자등과 같은, 특정 노출 프레임에 독특한 사진처리장치 정보용으로 예비된다. 모든 변경 수정(makeover corvection)은 (F02)에 기입된다.
제5도의 실시예는, 카메라, 소매 주문 스테이션(reatail order station) 또는 사진처리장치에 의해 필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될 수 있는 모든 정보 형태를 고려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제5도의 실시예는, 각각의 정보가 할당되는 트랙에 관하여 모든 정보 형태가 분류될 수 있는 방식의 한 예이다. 각각의 정보형태가 특정의 트랙에 할당되는 방식에 내재하는 원칙은, 특징의 트랜잭션(transaction)에 관한 모든 정보는 같은 트랙상에 기록됨으로써, 상기 트랙은 상기 트랜잭션에 관련된 제반 작동들이 수행되는 중에서 입 또는 독출에 전용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제5도 실시예에 제공된 다양한 트랜잭션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즉 (a) 고객의 주소를 포함한 고객데이타의 기록, (b) 조명 상태 및 카메라 노출 세팅을 특징짓는 변수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노출과 장면 관련 정보의 기록, (c) 필요한 인화의 숫자등과 같은, 소매 주문 스테이션 또는 사진처리장치에 의한 고객 주문 정보의 기록, (d) 주어진 프레임에 대하여 사진처리장치에 의한 변경 분류 수정 및 검사의 기록, (e) 전체 필름롤에 적용될 수 있는 연화 재주문 데이타 또는 변경 데이타의 개요의 기록,(f) 필름대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한 명령의 기록, (g) 전자 인화처리에 대한 명령의 기록 및, (h) 오디오(audio)의 기록등이다.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제1도에 설명된 마그네틱 기록 트랙 각각은 상기 기술된 트랜잭션(a)-(h) 중의 하나에 전용된다. 그 결과로서, 기록중에는 가용의 기록 위치를 탐색하는 정도가 최소화되며, 플레이백(playback)중에는 특정 작동에 부적질한 데이타를 통한 탐색의 정도가 최소화된다. 예를들면,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최적 인화 노출 조건이 결정되는 분류 작동(classification operation)중에, 적절한 분류를 결성하는데 잠재적으로 도움이 되는 모든 장면 관련 정보가, 각각의 노출 프레임(프레임(1)-(25))내 카메라 전용 트랙(C0)의 만일 트랙으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다른 트랙은 독출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한 데이타 구성
제1도와 관련하여 이전에 기술된 바와같이, 필름 스트립(100)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된 데이타는 필름리이더(프레임(0)) 뿐만 아니라 카메라에 의해 노출된 프레임(프레임(1)-(25))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프레임내 데이타는 프레임에 있는 복수개의 전용 트랙내에 할당된다.
제6도는 각 프레임 트랙내의 바람직한 데이다 포맷을 나타낸다.
제6도에서, 각각의 트랙(600)은 프레임 하나의 길이를 지니며 복수개의 피일드(610)로 분할된다. 각각의 트랙(600)은 (헤드가 트랙(600)의 스개닝(scanning)을 시작하는 제6도 트랙의 좌측 단인) 개시단부에서 프레디케이트 스타트 센티넬(predicate start sentinel, 615)을 포함한다. 각각의 피일드는 프레디케이트 ID 센티넬(620)을 포함하며, 이후에 바로 ID 코드(625)를 포함한다. 트랙 개시 센티넬(615)의 목적은 트랙(600) 개시 위치의 사진처리용 하드웨어 또는 카메라내에서 독출/서입 시스템에 통지(notify)하기 위한 것이다. 피일드 ID 센디넬(620)의 목적은 트랙(600)내 각각의 연속되는 피일드의 개시위치를 같은 시스템에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ID 코드(625)의 목적은 이후 피일드내에 기록된 정보의 형태를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ID 코드는 각각의 피일드 개시에서 기록되며 이를 뒤따르는 정보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들면 제2도의 카메라(200)가 프레임의 노출중에 카메라상의 센서에 의해 프레임의 노출중에 카메라상의 센서에 의해 관찰된 장면 휘도의 레벨을 기록하려고 한다면, 처음에 카메라는 장면 휘도레벨을 나타내는 데이타의 바로 앞에 독특한 ID 코드가 기록되게 한다. 가장 단순한 실시예에서, 독특한 ID 코드는 필름상에 기록될 수 있는 정보형태 또는 각각의 변수에 할당됨으로써, 가능한 모든 정보 형태에 대한 ID 코드는 큰 사전(dictionary)을 구성한다. 필름의 라이프 사이클 내에서 같은 사전이 (카메라, 사진처리 장치등의) 모든 간계에 의해 채용되어야만 하는한, 동일한 리이드 온리 메모리가 각각의 단계에서 제공되고, 이들 메모리 각각은 유니버설(universal) ID 코드 사전을 구체화하여 각각의 필름 사용 단계에서 ID 코드의 독출 및 서입을 제어한다.
카메라에 의한 트랙(600)내 특정 변수의 위치 설정은, 사진처리장치가 상기 변수를 트랙상에서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이유에서 미리 사진처리 장치에 알릴 필요가 없다는 것이 장점이며, 이는 사진처리장치가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해당 ID 코드를 간단히 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장점이 다른 어떠한 분리된 구성요소 사이에도 유지되며, 이것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데이타를 필름상에 서입하고 다른 요소는 보통 상이한 장소에서 나중에 필름으로부터 데이타를 독립적으로 독출하는 경우에 있어서이다.
유니버설 ID 코드 사전의 한 모범적인 실시예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7도의 사전은, 제2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리이드 온리 메모리(700)내에 저장되어 있는, 한 세트의 마이크로코드로서 채워져 있다. 제7도의 리이드 온리 메모리는, 기록될 수 있는 각각의 변수에 대한 2-캐릭터 ID 코드를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능한 실례들중의 단지 하나로서, ID 코드는 (AA)에서 시작하여 (HI)에서 끝난다. 제7도가 각각의 ID 코드를 특성 변수의 명칭과 연관하여 묘사하고 있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각각의 ID 코드는 기록되기에 앞서 이것의 위치에 관한 해당 데이타를 식별(identify)하도록 기록시스템내에서 상기 변수의 메모리 위치 또는 버퍼와 연관된다. 예를들면 시스템 설계자는, 채용된 특정의 시스템 디자인에 따라, 리이드 온리 메모리(700)의 실질적인 기계어의 내용(machine language content)을 구성하도록 제7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장면의 휘도 또는 고객의 주소인) 특정의 정보 부분을 나타내는 각각의 알파뉴메릭 심볼, 또는 제7도의 2-캐릭터 ID 코드중 하나에 대하여 기록될 2진수 비트는 제8도의 테이블에 따라 형성된다. 제8도의 표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5)에 연결된 리이드 온리 메모리(800)내에 저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코드의 한 세트로서 표시된다. 각각의 알파뉴메틱 심볼은 6개의 2진수 비트의 패턴으로 표시된다. 리이드 온리 메모리(800)는 유니버설 심볼 사전을 형성하며, 이것은 모든 필름 사용의 단계에서 필름상에 데이타를 서입하고 독출하는 것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제8도의 표는 ASCII 표준 심볼로부터 유도된다.
리이드 온리 메모리(800)도 6비트의 패턴을 형성하며, 이것은 제어목적용으로 예비되고 따라서 정보 또는 데이타용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예비된 심볼은 제9도의 모범적인 테이블에 나타나 있으며, 개시 심볼(615), ID 센티넬(620), 프레임 정지 심볼(640) 및, 개시 및 정지 센티넬(615,640)의 보수를 포함하여 제6도에 도시된 제어 심볼들을 포함한다. 다른 심볼들은, 숙련된 시스템 설계자들이 필요한 바로서 다른 독출 또는 또 서입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제9도 내에 예비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데이타 피일드의 결론부에 있는 최종(최우측) 캐릭터는 6비트 패리티 캐릭터(parity character)이다. 패리티 캐릭터의 제1의 (최상위) 2비트는, 제9도의 예비된 캐릭터의 어떤 값을 가정하는 어떠한 패리티 개릭터도 회피하도록 항상 10이다. 제6도의 패리티 캐릭터의 중간 2비트는 다른 용도를 위해 예비된다. 최종 (최하위)의 2비트는 (a) 피일드의 개시에서의 ID 코드 및 (b) 피일드내 잔류 데이타 캐릭터 각각에 대하여 단일의 비트 패리티를 제공한다.
제2도에 있어서, 카메라(200)대 마이크로프로세서(215)는, 다양하게 허여된 변수의 트랙 위치에 대한 리이드 온리 메모리(240)와 관련하면서, 카메라(200)에 의해 기록된 데이타의 이후 독출 장치가 적절히 데이타를 인터프러트(interpret)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ID 코드 사전 및 유니버설 심볼 사전에 대한 리이드 온리 메모리(700,800)와도 연관되어야만 한다.
제6도를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같이, 각각의 피일드 데이타는 두개의 6비트 캐릭터를 포함하는 ID 코드(625) 또는 식별 코드에 의해 선행된다. 피일드의 잔류분은 특정 변수 또는 정보 부분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6비트 캐릭터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만약 카메라가 각각의 프레임을 노출하도록 사용된 애퍼튜어 크기(aperture size)를 기록하려면, 이후에 하나의 가능한 예로서, 제8도의 심볼 테이블을 이용한 4개의 캐릭터로 충분하게 된다. 명세적으로, 만약 애퍼튜어 크기가 f1.4였다면, 이후에 1캐릭터는 제8도로부터의 f에 대한 6비트의 바이트이고, 제2 캐릭터는 1, 제3 캐릭터는 ·, 제4 캐릭터는 6비트 바이트 4이다. 불행하게도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기록될 각각의 변수에 대하여 12개의 식별 코드 비트를 사용하며, 오버헤드(overhead)의 최대량을 필요로 한다(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오버헤드는 제어 또는 식별 목적용으로 기록될 데이타를 지칭한다.)
상기와 같은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질적인 식별코드를 포함하며 이것은 제6도의 한 데이타 피일드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 부분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제16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피일드는 복수개의 서브 피일드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 피일드는 상이한 정보 부분을 포함한다. 피일드의 개시 부분에서의 식별 코드(625')는 리이드 온리 메모리 또는 조사 테이블내에 저장된 해당 명령에 대한 어드레스 역할을 하는 가상의 식별 코드이다. 상기 명령은 하나의 피일드내에 있는 모든 개별적인 서브 피일드 또는 정보 부분을 식별하고 인터프리트하는데 충분하다.
가상의 식별 코드는 조사 테이블의 3가지 형태중 각각의 하나 또는 어떠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제1형태는 제17a도에 도시된 형태의 비트-맵 조사 테이블(bit-map look-up table)이다. 제17a도의 비트 맵조사 테이블은, 제16도의 특정 서브 피일드내 특정 비트의 상태에 따라 특정의 카메라 기록 변수를 형성한다. 예를들면, 1 바이트를 지닌 서브 피일드(1)에서 바이트가 110000이면, 아무런 데이타도 상기 바이트에 기록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두개의 카메라 변수에 대한 데이타는 4개의 최하위 비트내에 기록된다. 비트(4)는 데이타가 비트(3)에 기록되었는지를 지정하며, 반면에 비트(3)는 장면의 휘도가 카메라의 노출 범위 이외에 있는 것을 카메라가 감지하였는지를 (즉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두운지를)지정한다. 제17a도에 지정된 다른 비트 패턴은 자가 해석적(self-explanatory)이다.
조사 테이블의 제2 형태인 상태 식별 조사 테이블(state identifier look-up table)은 제17b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태 식별 조사 테이블은 특정 바이트의 서브 피일드 위치를 지정하며, 상기 바이트 각각의 하나에 대하여는, 몇가지의 가능한 상태를 지니는 변수의 각각의 가능한 상태에 대한 바이트 값을 지정한다. 예를들면 제17b도의 조사 테이블은, 카메라의 방향이 정상인것, 역전된것, 우측이 위로된것, 좌측이 위로된것 및 결정되지 않은 것에 대한 지시를 기록하기 위한 서브- 피일드(2)내의 상이한 바이트 값을 지정한다. 이전에서와 같이, 바이트 값 110000은 아무런 데이타도 지정하지 않는다. 제17b도의 조사 테이블에 의해 지정된 다른 서브 피일드는 자가 해석적이다.
제17c도는 제3 형태의 조사 테이블을 설명하며, 즉 이것은 스케일링 알고리듬 조사 테이블(scaling algorithm look-up table)이다. 1 바이트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서브 피일드에 대하여, 조사테이블은 독출될 바이트 위치를 지정하는 명령 및 이들 바이트에 의해 표시된 기록 변수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산술적인 스케일링 알고리듬을 저장한다. 역으로, 제17c도의 조사 테이블은 측정된 장면 변수(예를들면 장면의 휘도)로부터의 각각의 지정 비트 위치에 대한 비트값을 계산하기 위한 역 알고리듬(inverse algorithm)을 지정할 수 있다. 카메라, 사진처리 장치 및 마그네틱 필름 정보 교한 시스템의 다른 어떠한 사용장치들은 제17a,b,c도의 3가지 형태의 어떠한 조사 테이블에 관련한 가상 식별 코드를 채용할 수 있다.
제17a,b 및 c도의 예들은, 단일의 가상 코드가 피일드내 복수개의 서브 피일드중 다양한 한개에 대하여 3가지 형태의 조사 테이블중 상이한 하나를 참조할 수 있다는 특징을 설명한다. 사실상, 제16도의 10개 서브 피일드중 각각은 제17도의 3개 조사 테이블중 하나에 나열되어 있다. 최적의 모드(mode)에서 단일의 가상 식별 코드는, 다중의 조사 테이블을 사용하여, 단일 피일드내에서 가능한 모든 장면 관련 변수를 카메라에 이해 기록하는 것에 충분하다. 결과적으로, 장면 관련 정보는 거의 절대 최소량 이의의 탐색을 거치지 아니하고도 카메라에 의해 기록되고 사진처리장치에 의해 독출되며, 따라서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매우 급속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한다.
사진처리에 있어서의 전용 트랙의 모범적인 사용
카메라에 의한 정보의 마그네틱 기록용의 전용 필름 트랙의 사용은 제2도의 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었다. 제10도는 사진처리 시스템 내외 자기 독출 및 서입용의(제1도 또는 제3도의) 전용 필름 트랙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사진처리 시스템은 ID 코드 사전, 심볼 사전 및 트랙 위치에 대한 리이드 온리 메모리(240,700,800)의 자체 버전(version)을 채용한다.
제10도에서 필름 스트립(100)은 주문 입력 스테이션(910)에서 카트리지로부터 제거된다.(또는 이것의 리이더-프레임(0)-롤 노출시키도록 최소한 부분적으로 끄집어내어진다) 주문 입력 스테이션(910)은 중개상 또는 사진처리용 실험실에 있을 수 있다. 주문 입력 스테이션은 헤드(910a) 및 콘트롤러(마이크로프로세서)(915)를 포함하여 마그네틱 독출/서입시스템을 지니며, 상기 콘트롤러는 메모리(925)내에 저장된 주문 입력 알고리듬(order entry algorithm)을 수행한다. 이러한 알고리듬은, 터미널(920)에서 입력되거나 또는 카메라 트랙중의 하나로부터 직접적으로 독출되는, 필요한 인화의 수, 고객의 성명 및 주소등을 포함한 고객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프레임(0)내 정확한 트랙 위치를 형성한다. 현상장치(927)는 필름 스트림(100)을 현상하여 각각의 노출 프레임내에서 네가티브 이메이지를 형성한다.
이후에 필름 스트립(100)은 분류 장치(classifier,930)로 들어가며, 이것은 필름 스트립(100)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최적의 인화 노출상태를 결정한다. 분류장치는 상기의 작동을 사람인 조작자의 제어하에 수동으로 하거나, 또는 Eastman Kodak 3510 칼러 인화장치 또는 Eastman Kodak CCAS 35 칼러 인화장치에서 행해지는 바와같이 이메이지 센서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행한다. 분류장치(930)의 수동 버전에 포함된 전형적인 수동 제어 터미널은 제11도에 설명되어 있다. 감광성 인화지가 네가티브 이메이지를 통해 노출되는 휘도값은, 제11도의 터미널 좌측부상에 D라는 표시가 되어있는 버튼 열중의 적절한 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공칭 값(gray 레벨)으로부터 임의의 값 -4 내지 +4로 변화할 수 있다. 인화지가 노출되는 적색, 녹색 및 엉색광의 강도는, 각기 R, G 및 B라는 표시가 붙은 버튼열중으 해당하는 것의 적절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미리 형성된 공칭값으로 부터 마찬가지 방식으로 임의의 값 -4 내지 +4로 변경될 수 있다.(휘도, 적색, 녹색 및 청색 인화 노출 값에 의해 형성된) 결과적인 분류는,(제5도의 메모리(240)와 같은 리이드 논리 메모리내에 형성된 트랙의 할당에 따라) 전용트랙중 적절한 하나에서 분류장치의 마그네틱 헤드(930a)에 의해 기록된다.
만약 필름 스트립(100)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타가 필름이 이전에 현상되어 인화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면(따라서 분류값이 각각의 프레임에서 적절한 트랙내에 지장되어 있다면), 이후에 현상장치(927)및 분류장치(930)는 자동적으로 전너뛴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인화장치(940)는 필름 스트립(100)을 수용하고, 분류장치(930)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내에 이전에 기록된 분류를 독출하며, 그 특성이 기록 분류를 충족하는 노출로써 해당 네가티브 프레임을 통해서 감광지(937)를 중의 한 프레임을 노출시킨다. 인화장치(940)는 마그네틱 헤드(940a)와 같은 자체의 마그네틱 독출/서입 시스템, 콘트롤러(945) 및 분류장치/인화장치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메모리(9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알고리듬은 제1도 또는 제3도의 전용 트랙 포맷을 따라 인화장치(940) 및 분류 장치(930)에 의한 자기적인 서입 및 독출을 지배한다. 예를들면, 인화장치/분류장치 알고리듬은 카메라 트랙(트랙(C0) 내지 (C3))이 이전에 필름 스트립(100)상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콘트롤러(945)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1도의 전용 트랙 필름 포맷이 적용되며,(만약 분류 작동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도록 분류장치(930)에 의해 사용되었다면) 장면 관련 정보도 적절한 트랙을 독출함으로써 발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모리(950)내 인화장치/분류장치 알고리듬은 인화장치(940)에게 각각의 프레임내에 기록된 분류 값을 분류장치(930)로써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를 알려준다.
검사 스테이션에 있는 조작자는, 변경 인화가 인화중 어느것에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인화롤(943)상의 각각의 인화를 본다. 메모리(970)내에 저장된 검사 알고리듬을 수행하는 콘트롤러(965)의 제어하에, 주어진 프레임에서의 변경 인화의 (만약의) 필요성을 반영하는 검사 스테이션의 마그네틱 헤드(960a)에 이해, 데이타는 적절한 트랙내에서 필름 스트립(100)상에 기록된다. 가상적으로는 부적절한 분류에 의하여 변경이 필요하였다면, 최초 분류에 대한 수정이 계산되어서 필름 스트립(100)상의 적절한 트랙내에 기록되어야만 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것은 검사 스데이션(960)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목적용으 기록 시스템 및 자체적인 마그네틱 기록 헤드(975a)를 지니는 분리된 재 분류장치(975)에서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필름 스트립의 롤내에 포함될 수 있는 필름 스트립(100)은, 보통 전체적인 롤을 이송시킴으로써, 변경 인화장치(980)로 보내진다. 변경 인화장치(980)는 마그네틱 헤드(980a)를 포함하여 자체적인 마그네틱 독출/서입 시스템을 지니며, 이것과 함께 적절한 트랙내의 적절한 데이타를 독출함으로써, 어떠한 프레임이 변경 인화를 필요로하는지, 프레임들중 각각의 하나에 대하여 최초의 분류값이 무엇인지 또는 분류 수정이 무엇인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정보로부터, 변경 인화장지는 수징된 분류값을 사용하여 필름 스트립(100)상의 적절한 프레임을 노출시킨다.
변경 인화장치(980)에 의해 만들어진 변경 인화(983)의 롤, 인화장치(940)에 의해 만들어진 인화(943)의 롤 및 필름 스트링(100)을 포함하는 현상된 필름의 롤은 모두 구분장치(985)로 공급된다. 구분장치는 개별적인 최초 인화 및 변경 인화를 해당 필름 스트립과 대조하여 고객의 주문대로 완성하며, 해당의 변경 인화가 만들어질때마다 최초 인화를 폐기한다. 해당 변경 인화가 만들어졌는지의 여부는 콘트롤러(987)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독출/서입 시스템을 통하여 구분장치(985)에 의해 결정되며, 콘트롤러는 구분장치의 마그네틱 헤드(985a) 및 메모리(990)내에 저장된 구분장치 알고리듬을 수행한다. 헤드(985a)는 제5도에 도시된 트랙 할당에 따라, 콘트롤러(987)에 의해 필름 스트립(100)에 있는 전용트랙중의 적절한 한곳으로부터 필요한 데이타를 독출하도록 간단히 배향된다.
사진처리 정보 교환 알고리듬
제1도의 전용 트랙 포맷은, 다음의 명세에 따라 제18a-f도에 설명된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마그네틱독출/서입 하드웨어를 지니는 사진 처리 장비에 의해 이용된다.
주문 입력 알고리듬
제18a도를 참조하면, 필름 중개상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주문 입력 스테이션은 고객으로부터 제1도에 설명된 형태의 필름 카세트를 받는다. 고객이 카메라내의 필름을 노출시켰으며, 필름이 인화 처리되기를 바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상황을 뒤따를 프로세스는 제18a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10도에 설명된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중개상은 제10도에 설명된 구성요소중 단지 몇개만을 지니며, 이들은 P/F 주문 입력 스테이션(910), 콘트롤러(915), 제18a도에 설명된 P/F 주문 입력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메모리(925) 및 터미널(920)등이다. 필름(100)을 포함하는 고객의 카세트는 주문 입력 스테이션(910)(제18a도의 블록(1001))으로 삽입된다. 주문 입력 스테이션은 필름 리이더를 카세트밖으로 끌어내기 위한 본 기술 분야의 공지 형태 수단을 포함하여, 주문 입력 스테이션의 마그네틱 헤드(910a)가(존재할 경우에) 필름 리이더(프레임 0)상의 전용 트랙에 이전에 기록된 데이타룰 독출할 수 있다(제18a도의 블록(1003,1005)) 콘트롤러(915)는 (헤드(910a)를 통하여) 프레임(0)의 트랙(F1)이 비었는지 여부를 처음에 결정한다(블록 1007). 데이타가 트랙(F1)에서 검지되었다면(블록(1007)의 'NO'분기), 콘트롤러(915)는 즉각적으로 필름 카세트가 고객의 인화 재주문이고, 이전에 현상되었던 것이며 따라서 분리되어 처리되어야만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상기와 같지 않을 경우(블록(1007)의 YES 분기를 취하는 경우), 콘트롤러(915)는 다음에 소지자의 이름 및 주소(ID)가 이미 제5도의 전용 트랙 할당을 따라 프레임(0)의 카메라 트랙(C0)상에, 가상적으로는 제2도에 도시된 형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제18a도의 블록(1009))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009)의 'NO'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I5)는 터미널(910)상의 디스플레이로 중개상이 소지자의 ID를 입력하도록 한다(블록(1011)). 이후에 중개상은 소지자의 ID를 키이보드(920)상에 입력한다(블록(1013)).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009)의 YES 본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15)는 터미널(920)로 하여금 필름내에 이전에 기록된 소지자의 ID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이후에 콘트롤러(915)는, 터미널(920)로부터 주어진 사전의 입력인 소자자의 ID가 완전한 것인지 또는 적절한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제18a도의 블록(1015) 및 (I017))ID가 부적절하거나 완전하지 않은 경우, 콘트롤러(915)는 터미널(920)상의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중개상이 소지자 ID를 수정하도록 하여(블록(1019). 중개상이 키이보드(920)에서 적절한 입력을 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제18a도의 블록(1021)). 소지자의 ID가 적절하고 완전하면(블록(1017)의 YES분기).이후에 콘트롤러(915)는 고객의 ID가 단골 고객(return customer)임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은 고객의 ID를 중개상의 컴퓨터 메모리내에 저장된 모든 고객의 ID들과 대조하여 봄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마의 변형으로서, 고객은 제2도에 설명된 형태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카메라는 카메라에 의해 노출되는 필름상에 특정 중개상의 ID를 기록하는 성능을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는 이것을 판매한 중개상에 의해 카메라로 처리되는 모든 필름위에 항상 중개상의 ID를 기록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카메라가 특정 중개상의 ID번호를 기록하도록 고객이 프로그램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객의 ID를 대조하여 이것이 블록(1023)에서 발전되었다고 가정하면, 콘트롤러(915)는 단골 손님을 지시하는 특별한 지시가 필름상에 기록되도록 한다(블록(1025)). 반면에 이와같이 되지않았다면, 콘트롤러(915)는 고객이 단골 고객이 아니라는 것을 지시하는 다른 지시(또는 NO 지시)가 필름상에 기록되도록 한다. 블록(1023)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이후에 콘트롤러(915)는 터미널(920)이 고객 ID의 (신규 또는 단골) 상태에 해당하는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그러한 옵션은 단골 고객에게 부여된 특별 처리권 또는 신규의 고객을 끌기 위한 특별 가격 할인, 또는 중개상이 이전에 결정하여 메모리(925)내에 저장한 그 어떤 전략을 포함한다(블록(1029)). 터미널(920)에 디스플레이된 옵션에 의존하여, 중개상은 필름상에 기록될 특별 명령을 터미널(920)에서 입력할 수 있으며,그러한 명령들은 어떠한 특별 처리 또는 가격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지정한다(블록(1031)). 블록(1013,1021 또는 1031)내에서 키이보드 입력부에 기록될 모든 정보는 제5도에 도시된 전용 트랙의 할당에 따라 프레임(9)상의 트랙(F0) 또는 (F1)에 헤드(910a)를 통해 기록된다(블록(1033)). 주문 입력 스테이션(910)은 이후에 필름 리이더를 카트리지로 철회시키며(블록(1035)), 고객용 영수증을 인쇄하고(블록 1037), 필름 카트리지를 사진처리장치로 운송하도록 상자에 넣는다(블록 1039).
사전 처리장치 입력 스테이션 알고리듬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거리장치 시스템 자체는 자체적인 주문 입력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있어서, 컴퓨터화된 자동화를 이용하여 중개상으로부터 받은 필름 및 고객으로부터 직접 받은 필름조차도 처리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사진처리장치 주문 입력 스테이션은, 제18a도의 중개상 주문 입력 스테이션과 연관시켜 설명한 것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제18b도는 사진처리장치 주문입력 스테이션과 중개상 주문 입력 스테이션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여 나타낸다. 제18b도를 참조하면, 제10도의 사진처리장치 주문 입력 스테이션(910)은 프레임(0)상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기 위하여 리이더를 필름 카트리지로부터 끌어낸다(블록 1040). 사진처리장치 주문 입력 스테이션의 콘트롤러(915)는 트랙(F00) 및 (F01)이 비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042)). 이와같을 경우, 제18a도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프로세스가 사용되어, 제5도의 전용 트랙 할당에 따라, 트랙(F00) 및 (F01)내에 기록될 고객 및 주문 정보를 표시하는 프레임(0)의 데이타를 신규화한다. 그러한 데이타는 이후에 헤드(910a)를 통해 기록되며 프레임(0)의 트랙(F00) 및 (F01)상의 위치를 필요로 한다(블록(1046)).
다른 한편, 필름이 최초로 수용될때 트랙(F00) 및 (F01)이 비어있지 않았다면(블록(1042)의 NO 분기), 콘트롤러(915)는 (제18a도와 연관하여 이전에 기술된 방식으로) 사진처리장치 조작자로 하여금 이전에 기록된 모든 정보가 정확한 것인지를 확인하도록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이것들을 신규화하거나 수정한다(블록(1048)). 이후에, 블록(1050)에서 콘트롤러(915)는 프레 임(10)의 트랙(F02)이 비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트랙(F02)이 비었지 않다면(블록(1050)의 NO 분기), 이는 고객의 인화 재주문에 의해 필름 카트리지가 받아들여졌음을 지시한다. 상기와 같은 것은 제5도의 전용 트랙 할당으로부터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트랙(F02)만이 변경 수정과 같은 인화 프로세스에 관한 데이타나 또는특히 재주문 명령에 관한 데이타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콘트롤러(915)는 사진처리장치 조작자가 트랙(F02)상의 데이타의 완전성을 검사하게끔 하며(블록 1052) 이후에 재주문 필름 카트리지를 재주문 처리용으로 전용된 인화장치 또는 재주문 라미네이션(reorder lamination)으로 보내서(블록(1054)),이로부터 최종적으로 인화장치로 보내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필름이 최초에 받아들어졌을때 만약 트랙(F02)이 비어있다면(블록(1050)의 YES 분기), 스플라이서(splicer)로 보내어져(블록(1056)) 고객의 많은 주문들로 이루어진 긴 롤로 이어져서(블록(1058)) 처리되거나 또는 현상되며(블록(1060)), 이후에 인화된다(블록(1062)). 제18b도의 블록(1062)으로 나타낸 인화장치의 작동은 제18c도의 인화장치 알고리듬에 해당한다.
블록(1044)의 신규작용 프로세스는, 고객의 ID, 사진처리자의 ID, 고객의 주문 정보 및(적용될 수 있는 경우의)중개상의 ID와 같은 데이타가 이전에 기록되지 않았을 경우, 사진처리장치 작동자로 하여금 상기와 같은 데이타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고객의 카메라가 통상의 형태이어서 제2도에 도시된 카메라와 같은 마그네틱 기록 성능을 지니지 않았다면 상기와 같은 경우가 생긴다.
인화장지 작동 알고리듬
제10도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같이, 사진처리장치 시스템은 인화장치(940)를 포함하고, 이것은 분류장치 알고리듬 및 인화장치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메모리(950)에 연결된 콘트롤러(945)와 연관하여, 상기 알고리듬은 제18c도의 흐름도에 나타나 있다. 인화장치(940)의 작동은, 분류장치(930)에 의해 현상 네가티브(100)상의 각각의 이메이지에 할당된 분류로 결정된다. 따라서, 필름이 주문 입력 스테이션을 떠나서 프로세서 현상장치 스테이션(927)내에서 현상된 이후에, 결과적인 네가티브 이메이지는 분류장치(930)에 의해 분류된다. 결과된 분류는 인화장치(940)에 의해 사용될 노출을 결정하여, 네가티브 이메이지를 통해 감광지롤(943)상에 프레임을 노출시킨다.
콘트롤러(945)에 의한 분류장치/인화장치 알고리듬의 수행은 제18c도와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에서는, 필름(100)의 많은 스트립들이 이미 현상장치(927)내에서 처리되어 긴 롤로 함께 이어졌던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분류장치(930)는, 제5도의 전용 트랙 데이타 할당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 분류가 헤드(930a)를 통해 이 프레임의 트랙(F01)내에 자기적으로 기록되게 한다. 현상된 네가티브의 롤은 인화장치(940)를 통해 이동한다(제18c도의 블록(1064)). 콘트롤러(945)는, 필름 롤이 인화장치(940)내에 도착할때, 필름 롤내의 각각의 개별적인 필름 주문중에서 프레임(0)의 트랙(F00,F01 및 F02)내의 데이타를 헤드(940a)가 독출하게 한다(블록 1066). 콘트롤러(945)는 각각의 주문 개시에서 트랙(F02)이 비어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068)). 트랙(F02)이 비어있다면(블록(1068)의 YES 분기, 제18c도의 좌측 수직 칼럼에 있는 공칭의 인화장치 알고리듬에 해당한다. 반면에, 필름 스트립상의 네가티브 이메이지가 변경 요건에 따라 인화될 것을 프레임(0)의 트랙(F02)내에 이전에 기록된 데이타가 지시하면, 네가티브는 제18c도의 중간 수직 칼럼에서 일반적으로 지시된 변경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된다. 최종적으로, 프레임(0)의 트랙(F02)내에 이전에 기록된 데이타가 지시하는 것이, 네가티브가 고객의 인화재 주문에 따라 받아들어졌다는 것이라면, 제18c도의 우측 수직 칼럼에서 일반적으로 지시된 재주문 프로세서 알고리듬을 따른다. 제5도의 전용 트랙 할당은 재주문 및/또는 변경 명령만이 프레임(0)의 트랙(F02)내에 기록되도록 하기 때문에, 블록(1068)에서의 트랙(F02)상태의 결정은 상기 재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트랙(F02)이 비었다면, 블록(1068)의 YES 분기는 이전에 언급된 바와같이 제18c도의 좌측 수직 칼럼에서 공칭의 인화장치 프로세스를 따른다. 처음에 콘트롤러(945)는 프레임(0)내에 기록된 고객의 주문 명령에 명세된 인화지 크기 및 표면 형태가 프린터장치(940)내에 이미 적재된 감광지의 크기 및 표면 형태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070)). 상기와 같지 않고 블록(1070)의 NO 분기를 취할 경우, 콘트롤러(945)는 인화장치(940)내의 종이가 바뀔때까지, 또는 이것이 바뀌지 않는한 경고 또는 에러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070)의 YES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45)는 프레임(F00)내에 기록된 고객 주문 데이타로부터 프레임 번호로 필름상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만들어져야할 인화의 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데이타는 콘트롤러(945)내 메모리에 저장된다(블록(1072)). 이후에, 네가티브(100)는 인화장치(940)내에서 한 프레임씩 전진되어 콘트롤러(945)는 헤드(940a)를 통해 현재의 프레임 번호를 독출한다(블록 1076). 콘트롤러(945)는 이후에 현재의 프레임 번호가 필름 스트립 상의 프레임 전체 번호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블록 1078). 프레임 번호가 허용된 범위내에 있다면, 현재 프레임은 현상되어야할 이메이지를 포함하고, 블록(1078)의 YES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45)는 메모리를 스캐닝하여 특정 프레임에 대하여 만들어져야할 인화의 수를 결정한다(블록1080). 또한, 콘트롤러(945)는 분류장치(930)가 특정의 프레임을 분류할 수 있게 하고(블록(1082)), 분류장치(930)에 의해 이루어진 분류에 따라 프레임의 필요한 인화수를 인화장치가 인화하도록 한다(블록(1084)). 이후에, 제작된 인화의 수는 이 프레임의 트랙(F01)에 기록되고(블록 1086), 필름은 다음의 프레임으로 전진됨으로써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다.
블록(1078)으로 되돌아가서, 현재의 프레임 번호가 필름상의 프레임의 최대 번호내에 있지 아니하면(블록(1078)의 NO 분기), 이것은 고객의 주문이 끝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며, 콘트롤러(945)는, 필름인화 과정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현재 프레임 인화의 위치에 해당하는 인화롤(943)의 한 모서리에 인화장치(940)가 특별 노취를 위치시키게끔 한다. 상기의 특별 노취는 인화지상에서 주문의 끝 표시를 포함한다(블록(1088)). 이후에 콘트롤러(945)는 네가티브의 롤이 다음 고객 주문의 리이더(프레임(0))로 전진되게 한다. 이후에 콘트롤러(945)는 이전의 주문이 네가티브로 연결된 롤상의 최종 주문이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최종 주문인 경우 작동은 정지된다(블록(1092)의 YES 분기). 그렇지 않고 블록(1092)의 NO 분기를 취하면, 전체적인 작동은 다음의 고객 주문용으로 반복되어 블록(1066)으로 간다.
블록(1068)으로 되돌아가서, 트랙(F02)이 비어있지 않은 것이 결정되면, 이것은 네가티브의 롤이 최초로 인화되기 위해 받아들여진 것이 아님을 의미하며(블록(1094)), 따라서 변경 프로세스 또는 재주문 프로세스가 사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콘트롤러(945)는 블록(1096)에서 트랙(F02)상에 기록된 데이타가 변경 명령만을 지시하는지(블록(1096)의 YES 분기) 또는 재주문 명령을 지시하는지(블록(1096)의 NO 분기) 여부를 결정한다. 트랙(F02)데이타가 변경 명령만을 지시한다면, 콘트롤러(945)는이전에 기술된 방식과 유사하게 처음에 인화지의 크기 및 표면이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블록(1070a)) 작동하고, 필름의 한 프레임을 전진시켜서(블록(1074a)) 프레임 번호를 독출하며(블록(1076a)), 주문이 끝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078a)). 그렇지 않을 경우, 콘트롤러(945)는 변경 데이타 또는 트랙(F02)상에 이전에 기록된 명령들을 독출한다(블록(1100)). 현재 프레임의 트랙(F02)이 비어있다면 블록(1102)의 YES 분기를 취하고, 이는 변경 인화가 현재 프레임에 대하여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지시하며 따라서 네가티브는 한 프레임 더 전진하여 블록(1974(a))으로 되돌아가서 프로세스는 반복된다. 이와같지 않으면 블록(1102)의 NO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45)는 현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인화의 수, 현재 프레임의 분류 및 트랙(F01)상에 기록된 이 프레임용의 변경수정을 독출한다(블록(1104)). 이후에 콘트롤러(945)는 인화장치(940)로 하여금 해당 인화 또는 복수개의 인화를 만들도록 한다(블록 1106). 이후에, 콘트롤러(945)는 트랙(F02)으로부터(존재할 경우의)이전에 만들어진 인화의 수를 독출하고, 현재의 인화 작동으로 방금 만들어진 인화의 수를 더하며, 그합을 트랙(F02)상의 적절한 위치에 재기록한다.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블록(1074a)으로 되돌아감으로써 필름은 다음의 프레임으로 전진하며 사이클이 반복된다(블록(1108)).
제18c도의 블록(1096)으로 되돌아가서, 콘트롤러(945)는 트랙(F02)이 재주문 명령을 포함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네가티브가 고객의 인화 재주문용으로 받아들여졌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콘트롤러(945)는 제18c도의 재주문 프로세스를 이행한다(블록(1096)의 NO 분기). 제18c도의 재주문 프로세스를 시작하려면, 콘트롤러(945)는 트랙(F02)상에 기록된 고객의 재주문 정보내에 명세되어 있는 인화지 크기 및 표면이 이전에 인화장지(940)내로 적재된 인화지 크기 및 인화지 표면 형태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제18c도의 블록(1070b)). 인화지 크기 또는 표면이 명세된 것과 맞지 않으면 콘트롤러(945)는 경고가 작동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프로세스를 정지시킨다. 그렇지 않을 경우(블록(1070b)의 YES 분기) 콘트롤러는 인화장치(940)가 필름(100)을 한 프레임씩 전진시키고(블록(1074b)), 다음 프레임의 트랙(C0) 또는 트랙(F00)중의 하나에 기록된 프레임 번호를 독출한다(블록(1076b)). 콘트롤러(945)는 이후에, 프레임 번호가 고객 주문내의 최대 프레임 번호안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078b)). 그렇지 않을 경우(블록(1078b)의 NO 분기) 프레임 번호는 주문의 끝에 도달되었음을 지시하며, 따라서 콘트롤러(945)는 인화장치로 하여금 노취 또는 주문의 끝 표시를 인화(943)롤내에 있는 해당 위치내에 펀치시키도록 한다(제18c도의 블록(1088)).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078b)의 YES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45)는 현재 프레임의 트랙(F02)내에 기록된 재주문 데이타가 헤드(940a)를 경유하여 독출되게 하며, 따라서 상기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거나 수행될 수 있다. 재주문 프로세스 작동의 잔류 부분은 변경 프로세스와 같으며, 명세적으로는 블록(1102,1104,1106 및1108)들과 같아서, 제18도의 재주문 프로세스내 해당 블록들은 각기(1l02a,1104a,1106a 및 1108a)로 표시되어 있다.
검사 프로세스
제10도의 검사 스테이션(960)은 콘트롤러(965)의 제어하에, 메모리(970)내에 저장된 검사 알고리듬을 따르며, 검사 알고리듬은 제18d도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검사 스테이션(960)은 마그네틱 헤드(960a)를 경유하여 데이타 프레임(0)의 트랙(F00),(F01) 및 (F02)를 독출한다. 콘트롤러(965)는 트랙(F02)이 비어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203)). 트랙(F02)이 비어있지 않으면 이것은 현재의 주문이 변경 또는 재주문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지시하며, 경고 또는 지시가 이루어진다(블록(1203)의NO 분기). 특별한 경우에, 검사 스테이션(960)은 이것이 재주문 또는 변경을 처리하도록 의도되지 않았을 경우 이 지점에서 작동을 중지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203)의 YES 분기를 취하여, 검사 스테이션(960)은 한 프레임씩 네가티브를 전진시키고(제18d도의 블록(1205)), 다음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독출한다(블록(1207)). 콘트롤러(965)는 프레임 번호가 주어진 필름 롤상의 최대 번호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209)).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209)의 NO분기를 취하여, 프레임 번호는특징 고객의 주문이 끝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하고, 다음에 콘트롤러는 주문 플래그(flag)의 끝이 세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211)). 이러한 플래그의 세팅은 다음에서 논의된다. 이렇지 않을 경우(블록(1211)의 NO 분기), 네가티브 및 인화는 서로 동기화(synchronization)되지 않았으며(블록(1213)) 경보음이 울린다. 상기와 같지 않다면, 주문의 끝에 적절히 도달하였으며 네가티브의 롤이 다음 고객의 주문 또는 롤의 프레임(0)(리이더)으로 전진되고 전체적인 사이클이 반복된다.
블록(1209)으로 되돌아가서, 현재의 프레임 번호가 고객의 주문의 끝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면(블록(1209)의 YES 분기), 콘트롤러(965)는(헤드(960a)를 통해) 프레임의 트랙(F01)상에 이전에 기록된 고객의 주문 데이타에 따라 그 특정 프레임으로 만들어져야할 인화의 수를 독출한다.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필요한 인화의 수가 0이면(블록(1219)의 YES 분기), 프로세스는 제18d도의 블록(1205)로 되돌아가서 네가티브를 한 프레임 전진시키고 다음 프레임에 대하여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그렇지 않으면 블록(1219)의 NO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65)는 주문 플래그의 끝이 세팅되었던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세팅되었을 경우, 이것은(이전에서와 같이) 네가티브의 롤 및 인화의 롤이 서로에 대하여 동기화되지 않았던 것을 지시하며(블록(1221)의 YES 분기), 경보음이 울린다(블록(1223)).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221)의 NO 분기를 취하여, 인화(943)의 롤은 필요한 인화의 번호에 동등한 프레임의 번호로 전진한다(블록(1225)). 이들 인화는 조작자에 의해 검사되며(블록(1227)) 각각의 인화가 판매가능한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229)). 판매 가능한 경우 블록(1229)의 YES 분기를 취하여, 조작자는 인화가 판매가능함을 지시하는 키이보드 입력을 행하고, 콘트롤러(965)는 주문 표시 또는 노취의 끝이 인화의 롤상에서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응답한다(블록(1231)). 그렇지 않을 경우, 콘트롤러(965)는 인화의 실재 번호가 현재 프레임의 트랙(F02)내에 기록되도록 하며(블록(1233)), 프로세스는 네가티보가 다음 프레임으로 전진되는 블록(1205)으로 되돌아가며, 프로세스는 다시 반복된다. 그렇지 않으면, 인화(934)의 롤상에서 검지되고 있는 주문 표시 또는 노취의 끝에 응답하여 블록(1231)의 YES 분기를 취함으로써, 콘트롤러(965)는 주문 플래그의 끝을 세팅한다(블록(1235)). 이전과 같이, 콘트롤러(965)는 이후에 인화의 수가 트랙(F02)에 기입되도록 하고 다음 프레임에 대하여 전체 사이클을 반복한다.
블록(1229)으로 되돌아가서, 조작자가 콘트롤러(965)에게 현재의 인화가 판매불가임을 신호하면(블록(1229)의 NO 분기), 콘트롤러(965)는 조작자에게, 노출을 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변경)인화를 만들도록 결함이 수정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블록 (1237)). 수정될 수 없는 경우 (블록91237)의 NO 분기) 조작자는 콘트롤러(965)에 신소하여 콘트롤러(965)는 패기 플래그를 설정하며(블록(1239)), 동시에 조작자는 통상적으로 인화상에 그리스(grease)로 X표시를 함으로써 그 인화가 폐기된 것임을 표시한다(블록(1241)). 반면에, 노출이 수정가능한 것이면(블록(1237)의 YES 분기), (인간이거나 또는 자동화된 컴퓨터 수행 알고리듬인) 조작자는 (이전에는 분류장치(930)에 의해 결정되었던) 노출 분류에 대한 변경 수정을 계산하거나 또는 결정하며(블록(1243)), 동시에 조작자는(보통 인화지상에 그리스로 대각선을 그어) 인화가 변경된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후에 프로세스는 블록(1231)으로 가서 이전에 기술한 방식대로 계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블록91233)에서 트랙(F02)에 기입된 것에는 최초 분류에 대한 변경 수정도 포함된다.
주문 어셈블리 프로세스
제10도의 구분장치(985)는 콘트롤러(987)의 제어하에 메모리(990)내에 저장된 어셈블리(또는 구분장치) 알고리듬을 따른다. 구분장치 알고리듬은 제18e도의 흐름도에 나타나 있다. 제18e도를 참조하면 주문 어셈블리 프로세스는 구분장치(985)가 네가티브(100)를 받아들임으로써 시작된다. 최초 고객의 주문으로써 시작하여, 구분 장치는 중개상의 ID와 고객의 ID를 지칭하는 프레임(0) 트랙(F00)상의 데이타를 헤드(985a)를 경유하여 독출한다. 동시에 콘트롤러(987)는 인화의 계수를 리세트한다(제18e도의 블록(1400)). 다음에 구분장치(985)는 네가티브(100)를 한 프레임씩 전진시켜 프레임 번호를 독출한다(블록(1402)). 이후에 콘트롤러(987)는, 프레임 번호가 주어진 고객의 주문내 프레임의 최대 번호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404). 그렇지 않을 경우(블록(1404)의 NO 분기), 콘트롤러(987)는 주문 플래그 번호 1의 끝과 주문 플래그 번호 2의 끝이 세팅되었던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406)). 이후에 설명되는 바로서, 주문 플래그 번호 1의 끝은, 구분장치(985)에서 받아들인 최초 인화(943)의 롤상에 있는 현재의 프레임이 이것의 에쥐에 주문 노취 또는 표시의 끝부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며, 반면에 주문 플래그 번호 2의 끝은 변경 인화(983)의 롤에 대하여 마찬가지으 것이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제18e도의 블록(1404)에서, 구분장치(955)에서의 네가티보(100)롤의 현재 프레임 번호가 주어진 고객 주문의 최대 프레임 번호를 초과하면(블록(1404)의 NO 분기), 필름이 최초 인화 롤(943) 및 변경 인화 롤(983)과 동기화(synchronization)되도록 주문 플래그번호 1의 끝과 주문 플래그 번호 2의 끝 양측이 이미 세팅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블록(1406)의 NO 분기), 경보가 세팅되어 프로세스는 정지한다(블록(1408)). 이와같지 않다면 콘트롤러(987)는 주문 플래그 번호 1의 끝을 리세팅하고(블록(1410)) 구분장치(985로 하여금 인화롤(943,983)로부터의 현재분 인화와 네가티브 롤(100)로부터의 네가티브를 상자에 담아(블록 1412) 포장장치스테이션(995)으로 이동시키며(블록 1414), 동시에 구분장치(985)는 네가티브(100)의 롤을 다음 고객주문의 프레임(0)으로 전진시켜서 전체적인 프로세스가 다시 시작된다.
블록(1404)으로 되돌아가서, 현재 프레임 번호가 주어진 고객 주문의 최대 프레임 번호의 범위내에 있다면, 콘트롤러(987)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필요 인화의 수를 트랙(F01)상의 고객 주문 데이타로부터 독출하게 하여(블록 1420), 이 프레임의 트랙(F02)이 변경 수정이나 또는 폐기를 지시하는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422)). 이것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 콘트롤러(987)는 조작자로 하여금 최초 인화 롤(943)상의 해당 인화가 변경 또는 폐기용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블록(1424)). 상기와 같은 표시가 있는 경우, 인화 및 네가티브가 동기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보음이 울린다(블록(1426)). 그렇지 않으면 블록(1424)의 NO 분기를 취하고, 모든 것이 동기화되어 있어 콘트롤러(987)는 구분장치(985)로 하여금 인화롤(943)로부터 필요한 인화의 수와 같은 인화의 수를 절단하여 이들 인화를 상자(bin)에 넣어 포장장치(995)로 이동하게끔한다(블록(1428)). 이후에, 인화(943)의 최초롤이 필요한 인화의 수로 전진하였기 때문에, 인화 계수기는 같은 수로 증가된다(블록(1430)). 콘트롤러(987)는 이후에 주문 노취 또는 표시의 끝이 구분장치내 현재 위치의 인화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432)).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1402)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지 않다면(블록91432)의 YES 분기) 콘트롤러(987)는 제18e도의 프로세스내에 블록1402)으로 되돌아가기 전에 주문플래그 번호 1의 끝을 세팅한다(블록91434)).
블록(1422)으로 되돌아가서, 변경 또는 폐기 데이타가 프레임의 트랙(F02)상에 기록되었던 것을 콘트롤러(987)가 결정하면(블록91422)의 YES 분기), 이후에 콘트롤러(987)는 패기 플래그가 세팅되었던것을 트랙(F02)상의 데이타가 지시하는지의 여부를 결경한다(블록(1440)). 그러할 경우, 콘트롤러(987)는 조작자로 하여금 최초 롤상의 해당 인화가 폐기용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블록(1442)). 표시되어 있지 않다면, 네가티브(100) 롤상의 데이타 및 인화(943) 롤상의 데이타가 정합되지 않아서 경보음이 울리고 프로세스는 정지한다(블록(1444)). 이와같지 않다면 블록91442)의 YES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87)는 구분장치(985)로 하여금 인화(943)의 롤로부터(이전에 블록(1420)에서 독출되었던) 필요한 수의 인화를 절단하여 폐기시키고(블록(1446)), 프로세스는 블록(1432)으로 진행하여 이와 연관되어 상기에 기술된 단계를 반복한다.
블록(1440)으로 돌아가서, 만약 폐기 플래그가 현재 프레임에 대하여 세팅되어 있지 않았던 것으로 결정되면, 블록(1440)의 NO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87)는, 변경 수정이 현재 프레임의 트랙(F02)내에 있다는 것을 이전에 블록(1422)에서 만들어진 결정이 지시한다고 결론지으며, 또한 이것은 변경 롤(983)상의 해당 변경 인화가 최초 롤(943)상의 해당 인화 위치에 대체되는 것을 지시한다(블록 1448). 따라서 콘트롤러(987)는 주문플래그 번호(2)의 끝을 클리어한다(블록(1450)). 이후에 콘트롤러(987)는 작동자로 하여금 최초 롤(943)상의 현재 인화가 변경용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블록(1452)). 그렇지 않을 경우, 인화 롤 및 네가티브의 롤은 동기화되어 있지 않아서(블록(1452)의 NO 분기) 콘트롤러(987)는 경보를 울린다(블록(1408)). 그렇지 않고 블록(1452)의 YES 분기를 취하면, 콘트롤러(987)는 구분장치(985)로 하여금 변경 롤(983)로 부터(이전에 블록(1420)에서 독출된) 요청된수의 인화를 절단하게 하여, 변경롤이 인화의 수대로 구분장치(985)의 끝으로 전진하게 하며(블록(1454)) 인화 계수기를 증가시킨다(블록(1456)). 이후에 콘트롤러(987)는, 구분장치(985)에 의해 받은 변경 인화 프레임이 이것위에 주문 노취(또는 표시)의 끝을 지니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해, 구분장치(985)에 문의한다(블록 1458). 이것을 지니고 있지 않을 경우,(이전에 블록(1420)에서 독출된 필요인화의 해당 수가 최초 인화 롤(943)로부터 절단되어 폐기되며 프로세스는 블록 1432)으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1458)의 YES 분기를 취하여, 콘트롤러(987)는 주문 플래그 번호 2의 끝을 세팅하여 변경 인화롤이 주문 노취의 단부에 도달하였음을 지시한다. 이후에 최초 인화가 절단된다(블록(1460)).
포장장치 알고리듬
포장장치(985)를 제어하는 콘트롤러(987)는 제18f도에 도시된 포장장치 알고리듬을 수행하며, 이러한 알고리듬은 메모리(993)내에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콘트롤러(987)는 네가티브로부터 이전에 독출된 데이타, 즉 고객의 식별, 중개상의 식별, 인화의 수 및 서비스 형태의 데이타를 사용한다(블록 1600). 메모리(983)내에 저장된 선택적인 가격 정보를 사용하여, 콘트롤러(987)는 고객의 주문에 대한 가격을 계산하고(블록(1602)), 포장을 받아들여 이것에 고객의 주소를 인쇄하며(블록(1604)) 이후에 특정 고객의 주문에 대하여 중개상의 식별이 나타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블록(1606)). 그렇지 않을 경우, 이것은 주문이 중개상을 통해 받아들여진 것이 아니라 고객이 직접 우송하였던것임을 지시하다. 따라서, 우송 주문 프로세스가 채용된다(블록(1606)의 NO 분기). 이러한 우송 주문 프로세스에서, 콘트롤러(987)는 이후에 포장장치(995)로 하여금 고객의 주소가 포장위에 인쇄되도록 하며(블록(1610)), 상자의 내용물을 포장내에 적재시키고(블록(1612)), 우편번호 별로 포장을 구분하여 우송용 상자내에 위치시킨다(블록(1614)).
블록(1606)으로 되돌아가서, 중개상의 식별이 네가티브상에 기입되어 있지 않았다면 이것은 메모리내에 저장되고 이러한 상태는 콘트롤러(987)에 의해 감지된다(블록(1606)의 YES 분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트롤러(987)는 상자의 내용물(필름 또는 인화)을 포장내로 적재하고, 이 포장을 특징의 중개상 ID에 해당하는 중개상의 가방내에 넣는다.
본 발명은 선호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변형에 및 수정예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8)

  1. 연속적인 프레임들, 실질적으로 투명한 마그네틱 단층 및 상기 마그네틱 단층내에 자기적으로 기록되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트랙을 지나는 신장된 사진 필름 스트립으로부터 인화를 현상하고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트랙은 일반적으로 상기 프레임들중의 해당하는 것에 근접하고, 상기 트랙들중의 상이한 것들은 상이한 데이타 카테고리에 관련된 자기적으로 기록되는 데이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스트립은 리이더를 지녀서 여기에는 각기 고객의 식별 데이타, 주문 명령 데이타 및 재주문 명령데이타에 할당된 상기 트랙들의 제1, 제2 및 제3의 트랙들중 최소한 하나가 있고, 필름 스트립의 다른 프레임들은 노출 이메이지를 유지하며 각기 변경 수정 데이타를 포함하는 검사 데이타 및 분류 데이타의 기록에 전용된 제4, 제5 및 제6의 트랙들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고, 만약 상기 최초 프레임내의 상기 제3의 트랙이 비었다면, 상기 프레임의 차후의 것들 각각의 분류를 결정하고 상기 한 프레임의 상기 제2 트랙내에 상기 분류를 기록하며, 상기 분류에 따라 상기의 한 프레임을 노출시켜서 인화하고, 만약 상기 최초 프레임내 상기 제3의 트랙이 비어있지 않고 여기에 있는 데이타가 재 주문 명령 데이타 없이 차후 프레임에 대한 변경 수정을 지시한다면, 변경 수정이 상기 제3의 트랙에 기록되는 상기 프레임들 각각의 제2 및 제3 트랙내에 있는 데이타로부터 분류 및 이것의 변경 수정을 결정하고 이것에 따라 인화를 제작하고, 만약 상기 최초 프레임내 상기 제3의 트랙이 재주문 명령 데이타를 포함하면, 상기 제2 및 제3 트랙들 각각에 기록된 데이타로 부터 분류 및 변경 수정을 결정하고, 어떠한 각각의 노출프레임이 있다면 이것에 따라 인화를 제작하는 것등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스트림의 각각의 노출 프레임으로 부터 만들어진 각각의 인화를 검사하고 이것으로 상기 인화가 수정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상기 인화가 수정가능한 것이라면, 상기 필름 스트림상의 상기 프레임들중 해당하는 하나의 상기 제2의 트랙내에 이전에 기록된 분류에 대한 변경 수정을 결정하여 상기 해당 프레임의 상기 제3의 트랙내에 있는 상기 변경 수정을 기록하고, 만약 상기 인화가 수정 불가능한 것이라면, 상기 인화를 폐기용으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들은, 상기 연속적인 프레임들의 외측에 있도록 상기 필름 스트립의 길이방향 모서리의 하나에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마그네틱 단층내에 자기적으로 기록될 복수개의 길이 방향 트랙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트랙들은 상기 프레임의 해당하는 것의 길이내에서 시작되어 끝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들은 복수개의 길이방향 주변부 트랙들 및 복수개의 길이방향 내측 트랙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길이방향 주변부 트랙들은 상기 연속적인 프레임의 외측에 있도록 상기 필름 스트립의 길이방향 모서리들중 하나에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마그네틱 단층내에 자기적으로 기록되며, 각각의 상기 주변부 트랙들은 상기 프레임의 해당하는 것의 길이내에서 시작되고 끝남으로써 각각의 트랙은 일반적으로 상기 프레임들중 해당하는 하나에 근접하고, 상기 주변부 트랙의상이한 것들은 상기 트랙들중 각각의 것들이 전용되었던 상이한 데이타 카테고리에 관한 자기적으로 기록될 데이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길이방향 내부 트랙은 상기 마그네틱 단층내에 자기적으로 기록되고 상기 프레임들 각각의 것내에서 시작하고 끝남으로써, 상기 내부 트랙의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해당하는 것내에서 시작하고 끝나며, 상기 내부 트랙들의 상이한 것들은 상기 트랙들의 각각의 것들이 전용되었던 상이한 데이타 카테고리에 관하여 자기적으로 기록될 데이타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트랙은 넓은 반면에, 상기 내부 트랙은 상기 주변부 트랙의 서입(writing) 도중에 측면상으로의 필름 유동(遊動)을 수용하도록 좁으며, 상기 주변부 트랙은 측면 필름유동의 상대적으로 많은 양과 함께 데이타의 서입에 전용되고, 상기 내측 트랙은 측면 필름 유동의 상대적으로 적은 양과 함께 데이타의 서입에 전용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 트랙은 상기 주변부 트랙에 위치된 영역에 있는 상기 감광성 단층의 일부 붕괴와 함께 데이타의 독출 및 서입에 전용되고, 상기 내부 트랙들은 상기 프레임내의 상기 감광성 단층의 붕괴없이 데이타의 독출 및 서입에 전용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랙들은 마그네틱 헤드 기록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마그네틱 헤드는 데이타를 기록하지만 상기 필름 스트립에 상기 감광성 단층을 손상시킬 정도로 충분한 힘으로 접촉하지 않고, 반면에 상기 주변부 트랙은 마그내틱 헤드 기록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마그네틱 헤드는 데이타를 기록하지만, 상기 감광성 단층을 손상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 상기 필름스트립에 접촉되는 것을 항상 회피하지는 않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들중 하나는 각각의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 기록에 전용되고, 상기 필름스트립상의 이메이지로부터 발생한 각각의 인화는 인화의 롤내에 포함되고, 상기 최초 프레임내에 기록된 고객 주문 명령에 따라 만들어진 최종 인화를 주문 표시의 끝으로 표시하고, 상기 프레임 번호로부터 현재의 프레임이 개별적인 고객 주문에 해당하는 상기 스트립상의 최종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이후에 해당 인화가 주문 표시의 끝을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만약 유지하지 않는다면,상기 필름 스트립과 상기 인화가 동기화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900701160A 1989-10-04 1989-10-04 전용 마그네틱 트랙으로 마그네틱 엔코드될 수 있는 필름용의 인화 및 변경 프로세스 KR0129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89/004358 WO1990004215A1 (en) 1988-10-07 1989-10-04 Printing and makeover process for magnetically encodable film with dedicated magnetic tracks
US22589298A 1998-10-07 1998-10-07
US225,892 1998-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420A KR900702420A (ko) 1990-12-07
KR0129002B1 true KR0129002B1 (ko) 1998-04-04

Family

ID=7005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160A KR0129002B1 (ko) 1989-10-04 1989-10-04 전용 마그네틱 트랙으로 마그네틱 엔코드될 수 있는 필름용의 인화 및 변경 프로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0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420A (ko) 199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551B1 (ko) 가상 데이타 식별장치로 필름상의 전용 마그네틱 트랙을 사용하는 필름 정보 교환 시스템
EP0437536B1 (en) Printing and makeover process for magnetically encodable film with dedicated magnetic tracks
KR0139099B1 (ko) 필름상의 전용 마그네틱 트랙을 사용하는 셀프 클록킹 엔코딩/디코딩 필름 정보 교환 시스템
US5021820A (en) Order entry process for magnetically encodable film with dedicated magnetic tracks
US5194892A (en) Film information exchange system with virtual identification codes
US4974096A (en) Photofinishing process with film-to-video printer using dedicated magnetic tracks on film
US5006873A (en) Implicit mid roll interrupt protection code for camera using dedicated magnetic tracks on film
US5101225A (en) Film information exchange system using self-clocking encoded start and stop sentinels
US4975732A (en) Finishing process for magnetically encodable film with dedicated magnetic tracks
AU628098B2 (en) Photofinishing process with film-to-video player using dedicated magnetic tracks on film
KR0139103B1 (ko) 필름상에 전용 자기 트랙을 사용하는 프레임 -바이- 프레임 데이타 레코딩 필름 정보 교환 시스템
EP0437506B1 (en) Implicit mid roll interrupt protection code for camera using dedicated magnetic tracks on film
EP0437530B1 (en) Finishing process for magnetically encodable film with dedicated magnetic tracks
EP0437492B1 (en) Photofinishing apparatus with film information exchange system using dedicated magnetic tracks on film
EP0437539B1 (en) Order entry process for magnetically encodable film with dedicated magnetic tracks
KR0129002B1 (ko) 전용 마그네틱 트랙으로 마그네틱 엔코드될 수 있는 필름용의 인화 및 변경 프로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