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707B1 - Tonal conversion method of a picture - Google Patents

Tonal conversion method of a pictur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707B1
KR0128707B1 KR1019930009687A KR930009687A KR0128707B1 KR 0128707 B1 KR0128707 B1 KR 0128707B1 KR 1019930009687 A KR1019930009687 A KR 1019930009687A KR 930009687 A KR930009687 A KR 930009687A KR 0128707 B1 KR0128707 B1 KR 012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image
gradation
color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까시 누마구라
이와호 누마구라
Original Assignee
다까시 누마구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시 누마구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filed Critical 다까시 누마구라
Priority to KR101993000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7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707B1/en

Links

Landscapes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상 설계한 대로의 계조강도치를 갖는 복제 화상, 즉 환원하면 합리적으로 계조변환된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신규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속계조의 컬러사진화상을 계조변환하여 망점계조의 복제화상을 제작할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계조변환을 (ⅰ) 컬러사진원고상에 지정된 최명부(H)와 최암부(S)의 농도치로서 H와 그의 근방부위 및 S와 그의 근방부위의 대표농도치(DHav,DSav)를 입수하는 공정, (ⅱ)H∼S에 이르는 각 화소점(n점)을 스캔하여 각 화소점의 농도치(Dn)를 입수하는 공정, (ⅲ)농도치를 나타내는 세로축(D축)과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를 나타내는 (X축)의 D-X직교좌표계에서 규정되는 컬러사전원고의 찰영에 제공한 사진감재의 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H와 S의 대표농도치(DHav,DSav)및 각 화소점의 농도치(Dn)를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Xn)로 변환하는 공정, (ⅳ)상기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Xn)을 하기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계조강도치(Y)로 변환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화상의 계조변환을 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a new image for producing a duplicate image having a gradation intensity value as designed, that is, a rational gradation conversion when reduced. In the gray scale conversion method of an image when producing a copy image of halftone gradation, the gray scale transformation of the image is (i) the density value of the sharpest part (H) and the darkest part (S) designated on the color photograph document, and H and its vicinity. Obtaining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of S and its vicinity, (ii) Scanning each pixel point (n point) from H to S to obtain density value D n of each pixel point (B) the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of the photographic material provided to the shooting of the color accident power supply specified in the DX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of the vertical axis (D axis)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value and the (X axis) indicating the image information value correlated with the light quantity. Representative of the above H and S Converting the density values DH av and DS av and the density values D n of each pixel point into image information values X n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and (iii) the image information values X n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A step of converting the image into a tone intensity value Y using the following tone conversion equation is performed.

계조변환식Gradation Conversion

y=yH+[α·(1-10-k.x)/(α-β)]·(ys-yH)y = y H + [α · (1-10 −kx ) / (α-β)] · (y s -y H )

Description

화상의 계조변환법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image

제1도는 컬러산진필름감재의 사진농도특성곡선을 나타냄.1 shows the photograph density characteristics curve of the color scattering film sensor.

제2도는 컬러스케너의 개구 시야내에 있어서의 유제층중의 은입자의 분산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임.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ispersion state of silver particles in an emulsion layer in the aperture field of the color scanner.

제3도는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이 적용되는 컬러스캐너의 기기구성을 설명하는 개요도임.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device configuration of a color scanner to which the tone conversion method of an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이 적용되는 디지틀식 복사기(컬러복사기)의 기기구성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device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py machine (color copying machine) to which the tone conversion method of an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검출부, 2 : 색분해부,1: detection unit, 2: color separation unit,

3 : 계조조정부, 4 : 출력부,3: gradation adjusting unit, 4: output unit,

5 : 컬러사진원고, 6 : A/V변환부,5: color photo document, 6: A / V converter,

7 : 로그앰프, 8 : 베이식마스킹부,7: log amplifier, 8: basic masking unit,

9 : 색수징부, 10 : UCR/UCA부,9: color receiving unit, 10: UCR / UCA unit,

11 : 계조변환부, 12 : 컬러co실렉터(선택부),11: gradation conversion section, 12: color co selector (selection section),

13 : A/D변환부, 14 : 도트제어부.13: A / D conversion part, 14: dot control part.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인쇄화상이나 각종의 고화질의 빅토리얼·하아드카피(Victorial hard copy)등 화질이 우수한 복제화상을 제판할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verting a gradation of an image when printing a replica image having excellent image quality, such as a printed image or various high quality victorious hard copies.

다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히 원고화상으로서 연속계조의 컬러사진화상으로 부터 망점계조(half tone)의 복제화상을 제작할때의 신규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a novel image when producing a half tone copy image from a continuous gradation color photograph image as an original image.

[종래의 기술][Prior art]

컬러스캐너(제판용기기)를 사용한 인쇄화상의 제작 혹은 스캐너와 고정도 프린터를 사용하여 고화질의 하아드 카피(빅토리얼·하아드 카피)를 출력하는 경우등, 각종의 복제화상을 제작하려고 할때 예를들면 원고화상으로서 연속계조의 컬러사진화상을 사용하는 경우 원고화상의 연속계조를 복제화상의 망점계조(half tone)로 계조변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When trying to produce a variety of duplicate images, such as printing printed images using a color scanner or printing high quality hard copies using a scanner and a high-precision printer. For example, it is needless to say that when a continuous grayscale color photograph image is used as the original image, the continuous grayscale of the original image must be converted into halftones of the duplicate image.

상기한 화상의 계조변환이란 원고화상의 각 화소의 농도정보를 복제화상계로 변환하는 것이다.The gray level conversion of the image above converts density information of each pixel of the original image into a duplicate image system.

주지한 바와 같이 복제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원고가 갖고 있는 농도정보를 복제화상상에 재현시키는 방법으로서 각종의 재현방식(농도표시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농도표시방식에 있어서 계조의 변환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As is well known, various reproduction methods (density display methods) have been adopted as a method of reproducing the density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original in the duplicate imag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version of the gradation is performed in these concentration display methods.

또한, 계조변환은 화소의 농도정보의 변환은 물론이고, 화소의 색조의 변환에도 극히 밀접하게 관계되고 있으며, 이점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gradation conversio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the density information of the pixel as well as the conversion of the color tone of the pixe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한 복제화상계의 농도표시방법으로서 각종의 방식이 채용되고 있으며, 그의 대표적인 것을 이하에 설명한다Various methods are employed as the density display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replicating image system,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ⅰ)전형적으로는 인쇄화상의 제작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서 망점(망점면적 %치, Dot area% value)의 크기에 따라서 소정화소의 피복율을 변화시키는 것이다.(Iii) Typically seen in the manufacture of printed images, the coverage of a given pixel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dot (dot area% value).

즉, 도트의 크기에 따라 소정의 크기의 화소의 피복율을 변화시켜서 농도정보를 재현시키고져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density information is reproduced by changing the coverage of the pixe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ot.

이 방식은 다치면적계조 표시라고도 말하며, 인쇄화상외에 잉크제트프린터나 용융감열전사프린터(더어멀프린터)등에서 응용되고 있다.This method is also referred to as multi-level area gradation display, and is applied to ink jet printers, melt thermal transfer printers (the thermal printer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printing images.

(ⅱ)상기 도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다치면적)방식에 대하여 동일 크기의 도트의 배열방식으로 소정화소의 피복율을 변화시키는 방식이 있다.(Ii) In the method of changing the size of the dot (multiple area), there is a method of changing the coverage of a predetermined pixel by the arrangement of dots of the same size.

이 방식은 2치 면적계조표시 라고도 하여 상기와 같은 모양의 응용분야 즉, 용융형 감열전사프린터잉크제트 프린터 등에서 응용되고 있다.This method is also referred to as binary area gradation display, and has been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field, that is, a melt thermal transfer printer ink jet printer.

(ⅲ)소정의 크기의 화소 자체의 농도를 직접 변화시키는 방식이 있다.(Iii) There is a method of directly changing the density of the pixel itself of a predetermined size.

이것은 통상의 컬러사진재료의 연속적인 농도재현계와 같은 방식이다. 이 방식은 직접농도계조표시법이라고도 하며, 승화형 색소감열전사프린터(서브리메이션형프린터)등에서 응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연속계조의 원고화상으로 부터 각종의 복사기술에 의하여 인쇄화상이나 고화질의 프린터화상등의 복제화상(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복제화상이라고 하는 경우 이와 같이 가장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이 제작되고 있으나 원고화상이 갖는 농도계조(gradation)와 색조(color tone)을 복제화상상에 작업규칙성을 갖고 충실히게 재현시키는 것은 극히 중요한 과제이다.This is the same method as the continuous density reproduction system of conventional color photographing materials. This method is also called direct density gradation display and is applied to sublimation dye thermal transfer printers (sublimation printers). As described above, a duplicate image such as a print image or a high-quality printer image by various copying techniques from a manuscript image of continuous gradation (also referred to as a duplicate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widest sense as described above). However,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faithfully reproduce the gradation and color tone of the original image with regularity on the duplicate image.

그러나 작금의 복제기술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재현성의 과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However, in spite of the progress of the current replication technology, the present situation has not solved the above-mentioned reproducibility problem reasonably.

이것은 상기한 원고화상의 상태(계조와 색조를 포함한.)를 복제화상상에 충실하게 재현시키는 기술 또한 원고화상상의 상태를 소망하는 상태의 것으로 조정(수정 또는 변경)한다고 하는 기술에 있어서, 그의 기본으로 되는 화상의 농도영역에 있어서의 비선형 변환처리기술(화상의 계조변환기술, 화상의 계조변환법)이 합리적인 이론의 뒷받침이 결여되어서 비과학적, 비합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This is based on the technique of faithfully reproducing the above-described state of the original image (including gradation and color tone) in the duplicate image, and also adjusting (modifying or changing) the state of the original image to a desired state. This is because the nonlinear conversion processing techniques (image gradation conversion technique, image gradation conversion technique) in the density region of the image to be lacked are unscientific and irrational due to the lack of rational theory.

이점을 대표적인 복제화상의 기술분야인 인쇄화상의 제조기술을 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below by taking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a printed image, which is a technical field of a representative duplicate image.

본 발명자등은 현재의 모노크로 스캐너 컬러스캐너등의 고도화한 제판용 기기는 기본적으로는 제판및 인쇄에 관한 필요로서 충분한 지견이 살려지지 못하고, 그의 설계기술이 비체계적인 사진적 마스킹법에 의한 색분해 이론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동기기에 대한 빈번한 개량도 기본적으로는 그 색분해 이론을 기초로한 대처요법적 조치였다고 생각하고 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current monochrome scanner color scanner, the advanced plate making apparatus is basically a need for plate making and printing is not enough knowledge, and his design technique is a color separation theory by an unsystematic photo masking method It is thought that the frequent improvement of the synchronous machine was basically a coping therapy based on the color separation theory.

즉, 종래의 스캐너 장치의 설계 기술에 있어서는 색분해 작업에서 사진원고의 연속게조화상으로 부터 인쇄화상의 망점계조화상에 계조를 변환할 때 색보정이나 색수정(컬러마스킹)을 제1목적으로 하고 화상의 계조조정을 제2목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까닭에 인쇄화상의 화질의 안정화와 고도화를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design technique of the scanner apparatus, when the gradation is converted from the continuous gradation image of the photographic document to the halftone gradation image of the printed image in the color separation operation, the color correction or color correction (color masking) is used as the first object. Because the gray level adjustment is considered as the second purpose, the quality of the print image is not stabilized and advanced.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속계조화상으로 부터 망점계조화상으로의 계조변환기술에 있어서는 연속계조화상상의 임의의 표본접(화소접)에 있어서의 농도치와, 이것에 대응하는 망점계조화상상의 표본점에 있어서의 망점의 망점면적백분율치와를 합리적이고도 보편적으로 상관시키는 수단이 존재하지 못하고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gradation conversion method from a continuous gradation image to a halftone gradation image, the density value at an arbitrary sample contact (pixel contact) of the continuous gradation image and the sample of the halftone gradation image corresponding thereto. There was no rational and universal means of correlating the half-dot percentage of dots in dots.

본 발명자등은 인쇄화상을 합리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중핵적인 두가지의 요소기술 즉, 계조변환기술(gradation control)과 색보정(수정)기술(clour correction)중 색보정(수정)기술의 향상에 앞서서 화상의 각 화소의 농도계조의 변환을 합리적으로 행할 수가 있는 기술이 1차적으로 중요시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에 입각해서 종래의 비합리적이며 비과학적인 게조변환기술의 한계를 타파하도록 예의 연구를 계속하였다.In order to reasonably produce a printed imag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improvement of the color correction (correction) technique of two core element technologies, gradation control and color correction (clour correction). Based on the idea that a technique capable of reasonably converting the density gradation of each pixel must be primarily important, the research has been intensively tried to break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irrational and unscientific modulation techniques.

그 결과 원고화상인의 연속게조화상상의 임의의 표본점의 기초농도치와 이것에 대응하는 망점게조화상상의 표본점에 있어서의 망점면적백분율치와를 연관시킨 신규의 계조변환방식을 발안하기에 이르렀고 이 신규이며 합리적 과학적인 게조변환방식이 종래의 제판용 기기에 충분히 적용되고, 또한 종래의 색분해 기술의 한계를 타파하여 우수한 효과를 발현하는 것을 창아내서 앞서 예를 들면 특원 평성1년-135825호, 동2-55204호로서 제안하였다.As a result, a novel gradation conversion method was developed that correlated the basic concentration value of an arbitrary sample point of the original imager with the halftone area percentage value of the sample point of the dot image. This new and rational scientific conversion method has been sufficiently applied to conventional plate making equipment, and also breaks down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olor separation technology to create an excellent effect. No. 2-55204 was proposed.

상기한 본 발명자등에 의한 앞서 제안한 기술은 화상의 계조변환에 있어서 본 발명과 유사한 계조변환식을 사용하는 것이 있으나(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조 변환식의 운용조건은 전혀 이질의 것이다.)화질이 우수한 인쇄화상을 재현성이 좋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technique by the present inventors uses a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dation conversion of an image (however, as described below,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are completely heterogeneous). In order to produce images reproducibly,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상기한 개선의 여지란, 원과화상의 H와 S의 측정농도치로 부터 그 계조변환식의 운용을 위한 정수가 설정되는 것 또한 그 H와 S의 측정농도치가 불가피적으로 불균일성(不均一性)을 동반히는 것이어서 이점이 해결되지 않으면 제판설게대로의 화질이 우수한 인쇄화상을 재현성이 좋게 제작할 수가 없다고 하는 점이다.The above room for improvement means that an integer for operating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is set from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the raw images and H and S, and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the H and S are inevitably uneven. If this does not solve the problem, it is impossible to produce a print image with good image quality as it is.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과제][Problem to Solve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인쇄화상의 제작을 예로하여 설명해온 계조의 변환법에 있어서의 문제점이 넓게 일반의 본제화상의 제작분야에도 존재하는 것에 감안해서 각종의 복제화상의 제작분야에 적요할 수가 있는 신규의 화상의 제조변환법을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ovel ima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producing various duplicate images in view of the problems in the method of converting the gray scales described using the production of the printed image as an example. I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conversion method of.

즉, 복제화상의 제작기술에 있어서는 원고화상으로 부터 화상정보를 입수(농도정보의 입수), 그 화상정보를 복제화상의 제작기기의 계조변환기구(계조변환부)에서 계조변환하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며, 여기에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적용하여 게조변환을 합리적인 것으로 하고져 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technique of producing a duplicate image, it is necessary to obtain image information from the original image (acquisition of density information), and to convert the image information into a gradation conversion mechanism (gradation conversion unit) of the reproduction image production device. The tone conversion is to be made reasonable by applying the tone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t.

특히,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은 원과화상으로는 컬러사진원고를 사용하고 또한, 원고화상중에 지정된 H와 S의 측정농도치에 있어서의 불가피적인 불균일성(不均一性)을 의식하여 불균일성(不均一性)을 저감화하고, 이와 감이 해서 얻어지는 불균일성 없는 농도정보치를 특정의 계조변환식으로 계조변환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설계대로의 복제화상이 재현성 좋게 제작할 수가 있다.In particular,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lor photographic document as the original image, and is aware of the inevitable nonuniformity i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specified in the original image. By reducing the density and converting the density information value without the non-uniformity obtained by this to a specific gray scale conversion formula, the reproduced image according to the design can be produced with good reproducibility.

[과제릍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연속계조의 컬러사진원고화상을 게조변환하여 망점계조의 복제화상을 제작할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게조변환이 (ⅰ) 컬러사진원고상에 지정된 최명부(H)와 최암부(S)의 농도치로하고, H와 그의 근방부위 및 S와 그의 그낭부위의 대표농도치(DHav,DSav)를 입수하는 공정, (ⅱ))H∼S에 이르는 각 화소점(n점)을 스캔하여 각 화소점의 농도(Dn)를 입수하는 공정,(ⅲ)농도치를 나타내는 세로축(D축)과 광량에 상관하는 화사엉보치를 나타내는(X축)의 D-X직교 조표계에서 규정되는 컬러사진원고의 촬영에 공여한 사진 감광재(瀉眞感光材)의 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H와S의 대표농도치(DHav,DSav)및 각 화소점의 농도치(Dn)를 광량에 상관하는 화상정보치(Xn)로 변환하는 공정, (ⅳ)상기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Xn)을 하기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계조장도치(Y)로 변화하는 공정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an image when the continuous gradation conversion of a color photographic original image is carried out to produce a duplicate image of a halftone gradation, the gradation conversion of the image is (i) the sharpest part (H) and the darkest part specified in the color photographic original ( A step of obtaining th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of H and its vicinity and S and its sac by the concentration value of S), and (ii)) each pixel point (n points) ranging from H to S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density D n of each pixel point by scanning, and the color specified in the DX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of the vertical axis (D axis)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value and the X-axis value (X axis)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Using the density characteristic curves of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s contributed to photographic photographs,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of H and S and the density values (D n ) of each pixel point ar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light. an image information value (X n) to the correlation step, (ⅳ) the amount of light to convert the image information value (X n) correlating to the grayscale conversion Relates to a gray-scale transformation of the imag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step of changing a system promotes lightness value (Y) by using the.

계조 변환식Gradation Conversion

y=yH+[α(1-10-k.x)/(α-β)]·(ys-yH)y = y H + [α (1-10 -kx ) / (α-β)] · (y s -y H )

단, 상기 계조 변환식에 있어서However, in the gray scale conversion formula

X : X=(Xn-XH)로 나타내는 기초광량치X: Basic light quantity value represented by X = (X n -X H )

즉, 원고상의 임의의 화소(n점)의 농도치(Dn)로 부터 상기 D-X직교 좌표계에서 규정되는 농도 특성 곡선을 통하여 구한 광량에 상관하는 화상정보치(Xn)와 상기 H부의 대표 농도치(DHav)에 대응하는 광량에 상관하는 화상정보치(XH)의 차를 나타낸다.That is, the image information value X n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obtained from the density value Dn of an arbitrary pixel (n point) on the original through the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defined in the DX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and the representative density value DH of the H por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information values X H correlated to the amount of light corresponding to av ).

y : 원고상의 임의의 화소(n점)에 대응하는 복제화상상의 화소의 계조 강도치y: gradation intensity value of the pixel on the duplicate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pixel (n point) on the original

yH :원고상의 H에 대응하는 복제화상상의 H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는 계조강도치y H: Gradation intensity value preset for H of duplicate image corresponding to H on original

ys :원고상의 S에 대응하는 복제화상상의 S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는 계조강도치y s: Gradation intensity value preset for S of duplicate image corresponding to S on original

α : 복제화상의 기록용지의 표면 반사율α: surface reflectance of the recording paper of the duplicate image

β : β=10에 의하여 결정되는 수치β: numerical value determined by β = 10 −γ

K : K=γ/(Xs-XH)에 의해서 결정되는 수치K: numerical value determined by K = γ / (X s -X H )

단, 상기식에 있어서 Xs는 상기S부의 대표농도지(DSav)로 부터 상기 D-X직교 좌표계에서 규정되는 농도 특성곡선을 통하여 구한 광량에 상관된 화상정보치를 나타냄.In the above formula, X s represents an image information value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obtained from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per DS av of the S section through the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defined in the DX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γ : 임의의 계수를 각각 나타냄γ: each represents an arbitrary coefficie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또한, 계속해서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복제화상으로서 컬러 인쇄화상을 제작하는 케이스, 특히 컬러스케너를 사용하여 인쇄화상을 제작하는 케이스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의 일이며, 본 발명의 화상의 게조변환법은 컬러 인쇄화상의 복제의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escribes a case in which a color print image is produced as a duplicate image by using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a case in which a print image is produced using a color scanner. Therefore,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does not mean that the image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ly in the case of duplication of color printed images.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하여, 계조변환의 대상이 될 화상정보, 즉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후술하는 이유에서 이하 단지 광량치라고 한다.)라고 하는 중요한 개념 및 그 광량치를 사용하여서의 계조변환법 보다 구체척으로는 게조변환커어브(색분해 커어브)의 설정법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ortant concept of image information to be subjected to gradation conversion, that is, image information correlated with light quantity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light quantity value) and its light quantity value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setting the tone conversion curve (color separation curve)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자등은 색분해작업의 중핵을 이루는 계조변환커어브(색분해 커어브, 상태재현 커어브)의 설정 기술을 합리적인 것으로 하고져 예의 검토를 가해왔다. 그 중에서 종래의 각색판(C/M /Y판)예를 들면 제판의 기준이 되는 C판을 제작할 때, 그의 보색관계의 R(적색)필터를 개재하여 입수되는 농도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로 규정되는 C판용 색분해 커어브의 설정기술에 대신하여 그 농도치를 원고화상이 촬영되어 있는 컬러 사진필름의 감재의 사진 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노광량치(후술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이것을 광량치라고 하는 개념중에 포함시키고 있으므로, 이하 광량치라는 용어를 사용함)로 변환하여 그 광량치를 특정의 계조변환식에 의해서 계조변환하여 망점면적 %치를 구할때 즉 광량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에서 규정되는 색분해 커어브를 설정할때 그 색분해 커어브를 기초로하여 원고화상의 화질이 어떠한 것이든(예를들면 언더/오우버노광인거, 하이키/로우키 라고 하는 복제가 극히 곤란한 원고, 각종의 색흐림이 있는 원고, 퇴색한 원고등)우수한 계조특성을 갖는 인쇄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찾아냈다(예를 들면, 특원평성1년-135825호).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examinations by making the setting technology of the gradation conversion curve (color separation curve, state reproduction curve) which forms the core of the color separation work reasonable. Among them, when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color plate (C / M / Y plate), for example, C plate which is a standard for plate making, the concentration value obtained through the R (red) filter of complementary color relation and the halftone area% value Instead of the prescribed technology for setting the color separation curve for C plate, the exposure value is determined by using the photo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of the sensitizer of the color photographic film i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photographed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is as the light quantity value). Since the term "light quantity value" is included in the concept), the light quantity value is converted by a specific gray scale conversion formula to obtain the halftone area% value, that is, the color separation curve def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quantity value and the halftone area value. When set, based on the color separation curve, any image quality of the original image (e.g. under / over exposure, high key / low key) is extremely Is found that the original, the resulting print having excellent gradation characteristic with a variety of color blur the document, washed-out the document, and so on) the image (for example, Patent Application No. Heisei 1 years No. -135825).

또한, 이하 상기한 종래의 농도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에서 규정되는 각색판용 색분해커어브는 사진필름감광재의 특성곡선에 있어서 세로축인 농도(Density)로 부터의 화상정보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부터 D축 색분해 커어브라고 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광량치와 망점면적%치의 관계에서 규정하는 가색판용 색분해 커어브는 그 특성곡선에 있어서 가로축(X축)의 광량축으로 부터의 화상정보를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부터 X축 색분해 커어브라고 한다.In addition, the color separation curve for color plates define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nsity value and half-dot area% value, since the D-axis is focused on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density, which is the vertical axis, in th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photographic film photosensitive material, It is called color separation curve. On the other hand, the color separation curve for the color plate def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quantity value and the halftone area% valu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s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light quantity axis of the horizontal axis (X axis) in th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color axis X color separation. It is called a curve.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제판 대상이 되는 컬러원고(표지형, 네가형, 투과형, 반사형등 어느것이라도 좋다.)의 화질에 좌우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오우버/노멀/언더노광의 원고, 하이키/로우키의 원고, 각종의 색흐림이 있는 원고 혹은 퇴색(Fading)한 원고등으로 부터 우수한 화질의 인쇄물을 작성하기 위하여 계조현황을 위한 화상정보로 농도치가 아닌 광량치를 사용한다. 이것은 종래 기술과 두드러지게 상이를 이루고 있는 점이다. 그리고 게조변환(연속계조의 망점계조에로의 변환)에 있어서 원고화상이 갖는『농도치』가 아나라 『광량치』를 이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pend on the image quality of the color original (which may be a cover type, a negative type, a transmissive type, a reflective type, etc.) to be plated, for example, an manuscript of an over / normal / under exposure, high key. In order to produce prints of excellent image quality from low-key originals, various color-blurred or fading originals, light values rather than density values are used as image information for gradation. This is a point that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The reason why the light intensity value is not the density value of the original image in the tone conversion (conversion to continuous dot gradation) is as follows.

상기한 화질이 상이한 각종의 원고화상을 합리적으로 계조변환하기 위하여서는 카메라 필름감광재가 각각 고유적으로 갖는 사진농도 특성곡선에 의존하고마는 『농도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컬러필름감재에 입사되는 피사체(원고화상의 글자그대로의 베이스가 되는것, 실처화상, 실경)로 부터의 광량치를 이용하면 그 사진농도 특성곡선(사진감광재의 특성)에 의존하지 않는 화상정보이기 때문에 어떠한 화질의 원고일지라도 합리적으로 통일적으로 계조변환 될 수 있는 것이 아닐까하는 본 발명자등의 창의에 의한 것이다.In order to rationally convert a variety of origi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the subjects incident on the color film sensitive material are not used by using the "concentration value", which depends on the photograph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inherent in the camera film photosensitive material. When the light quantity value from (being literally the base of the original image, the actual image, the actual image) is the image information which does not depend on th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photo density (characteristic of the photosensitive material), it is reasonably uniform in any image quality. It is due to the creativity of the present inventors and the like that it can be converted to gray scale.

다음에 상기 광량치를 사용하여 각 색판, 예를 들면 C판의 X축 색분해 커어브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method of setting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of each color plate, for example, C plate, using the light quantity value will be described.

우선, 컬러사진원고로부터 화상정보로서 광량치를 입수하지 않으면 안된다.First, a light quantity value must be obtained from the color photograph document as image information.

상기 광량치는 당해 원고화상이 촬영되어져 있는 컬러사진 필름감광재(감과성유제)의 특성곡선, 소위사진농도 특성곡선(Photographic Characteristic Curve)를 사용하여 사진농도(Photographic Density)로부터 용이하게 구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사진농도 특성곡선은 세로축을 농도(D), 가로축(X)을 노광량(露光量)으로 하는 D-X직교좌표계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량치를 구하기 위하여서는 원고화상이 촬영되어 있는 컬러사진 필름감광재의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함수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에 의하여 원고화상중의 임의의 호소점(n점)의 농도치(Dn)로 부터 대응하는 화소의 광량치(Xn)를 구할 수가 있는 것이다. 사진농도 특성곡선은 각 사지감광재 메이커로 부터 기술자료등으로서 주어진 것을 함수화하면 된다.The light quantity value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c density by using th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color photographic film photosensitive material (sensitizing emulsion) o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photographed, the so-called photographic characteristic curve. The photographic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may be represented by a D-X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in which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concentration D and the horizontal axis X represents the exposure amount. In order to obtain the light quantity value, the photograph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of the color photographic film photosensitive material o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photographed must be functionalized. Thereby, the light quantity value Xn of the corresponding pixel can be obtained from the density value Dn of any appeal point (n point) in the original image. The photographic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can be functionalized as a technical data from each limb sensitizer maker.

예를 들면 제1도에 EK사제 엑타크롬66, 프로페쇼널필름(데이라이트)의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함수화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망하는 방식에 따르면 된다. 말할필요도 없지만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컬러사진필름의 R/G/B의 감광유제는 각각의 특성곡선을 갖고 있으므로 이들을 함수화하여, 대응색판의 제작을 위한 광량치를 구하지 않으면 안된다.For example, in FIG. 1, the photo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of the etachrome 66 and the professional film (daylight) by EK company is shown. The method of functionalizing the photographic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 accordance with a desired method. Needless to say, as shown in Fig. 1, the photosensitive emulsion of R / G / B of the color photographic film has respective characteristic curves, so that they must be functionalized to obtain a light quantity value for the production of the corresponding color plate.

[표 1]에 그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가능한한 정확하게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수식화하기 위하여 수식화구분을 복수로 하고 있다.Table 1 shows the results. In addition, in Table 1, in order to formulate the photograph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as accurately as possible,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s are provided.

사진농도 특성곡선 관계식 일람표Photo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Table

[표 1] TABLE 1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사진농도 특성곡선을 함수화할 때에 컬러사진 원고의 농도치를 나타내는 D축의 눈금(스케일)과 피사체(실제화상)의 logE로 나타내어지는 광량치를 나타내는 X축의 눈금을 동일한 것으로 하여 D와 X의 함수화가 행하여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when the photograph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is functionalized, the scale of the X axis indicating the light amount value represented by the scale (scale) of the D-axis representing the density value of the color photographic document and the logE of the subject (real image) D and X are functionalized as the same thing.

이 D축과 X축에 관한 스케일링은 다음의 관점으로부터 행한것이며, 본 발명자등에 있어서 아주 합리적인 것이라고 생각된다.Scaling about this D-axis and X-axis was performed from the following viewpoint, and it seems to be very rational for this inventor.

즉, 사진농도 특성곡선에 있어서는 그 X축에는 노광량E의 대수치(logE=logI×t)가 차지할 위치가 부여되며 이 물리량은 인간의 시각의 명암에 대한 대수적인 변별특성에 의해서 평가된다.That is, in the photographic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the position of the logarithmic value logE = logI × t of the exposure dose E is given to the X axis, and this physical quantity is evaluated by the logarithmic distinction characteristic of the contrast of the human eye.

한편 D축의 농도에 관한 물리량도 인간의 시각에 있어서는 대수적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D축과 X축을 상관시킬때 동일 스케일링하에서 행하여도 하등의 불합리는 없다고 생각된다.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quantity regard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 axis is also evaluated algebraically in the human view.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unreasonableness even when the D-axis and the X-axis are correlated under the same scaling.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눈금붙이기는 일종의 간편법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예를들면 제 1도에 나타내는 D축과 X축의 수치관계로 함수화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said graduation is a kind of simple method, Needless to say,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you may function by the numerical relationship of the D-axis and X-axis shown in FIG.

상기한 상대적인 의미를 포함시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X축의 물리량을 노출광량치(露出光暈値, exposure value)를 포함하는 개념인 『광량치』라고 하는 용어로 표현하고 있다.Including the relative meaning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ysical quantity of the X-axis is expressed by the term "light quantity value", which is a concept including an exposure valu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계조변환에 있어서 컬러사진원고의 농도치(Dn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실체화상, 실경)가 공여해 주는 화상정보치, 즉 X축으로 나타내지는 광량치(Xn)를 기초로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based on the density value (Dn value) of the color photograph document in gray scale conversion, but is an image information value provided by a subject (real image, real diameter), that is, a light quantity value represented by the X axis ( Is based on Xn).

상기한 바와같이 사진농도 특성곡선의 함수화에 의해 표 1에 나타낸바와 같이 Dn치와 Xn치와는X=F(D)의 함수식에 의해 상관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Dn치로 부터 Xn치를 구할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able 1 by the functionalization of the photo-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since the Dn value and Xn value are correlated by the function of X = F (D), the Xn value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Dn value.

이상과 같이 하여서 피사체(실체화상)가 공여하는 광량치(Xn)를 얻을수가 있다. 이어서 이와같이 하여 합리적으로 구한 Xn치와 상기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색분해 커어브, 즉 종래의 농도정보치를 중시한 D축 색분해 커어브에 대신하는 광량치를 중시한 X축 색분해 커어브를 구하면 될 뿐이다. 또한 소정의 사진농도 특성곡선하에서 컬러사진원고상의 임의의 화소(n점)에 있어서의 농도치(Dn)로 부터 대응하는 피사체(실제화상)상의 화소의 광량치(Xn)를 구하고 그 Xn치를 상기 계조변환식에 대입하는 것에 의해서 계조강도치인 망점면적 %치가 계산되며, X축 색분해커어브가 설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quantity value Xn contributed by the subject (real image) can be obtained. Subsequently, it is only necessary to obtain the X-axis chromatic separation curve that focuses on the color separation curve, that is, the light quantity value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D-axis color separation curve, which focuses on the conventional density information value, by using the Xn value obtained in this way and the gray scale conversion equation. Further, the light quantity value Xn of the pixel on the corresponding subject (real image) is obtained from the density value Dn of any pixel (n point) on the color photograph document under a predetermined photograph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and the Xn value is obtained by the gray level. By substituting the conversion equation, the halftone area% value, which is the gradation intensity value, is calculated, and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is set.

상기 계조변환식의 운용은 원고화상상에 지정된 최명부(H)및 최암부(S)의 농도치(DH,Ds)에, 대응하는 광량치(XH,Xs)를 사용하여 행하여 지는 것이다.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is performed by using the light intensity values X H and X s corresponding to the density values D H and D s of the sharpest part H and the darkest part S specified in the original image.

그러나 최명부(H)와 최암부(S)의 농도측정치에는 불가피하게 불균일성(不均一性)이 생기는 것을 인식하여 이것에 기인하는 중대한 결점을 해소하고져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심과제이다.However, the centr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that unevenness is inevitably generated in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s of the sharpest part H and the darkest part S, and to solve the serious drawback caused by this.

이점은 상세하게 후술된다.This advantage is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광량치(Xn)는 상술한 바와같이 기초광량치(X)로 변환시켜 놓지 않으면 안되나 이것은 H부와 S부에 미리 설정된 망점면적 %치(yH,ys)를 학보하기 위한 수단이다.In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xpression intensity values (Xn) unless place by converting the basis of the light quantity value (X) as described above andoena which the dot area% values (y H, y s) previously set in the H section and the S section It is a means for studying.

그리고 망점계조의 C판을 제작하기 위하여서는 컬러스캐너의 망점발생기(Dot generator)가 그 C판용 X축 색분해 커어브에 따라서 작동하도록 하면 될 뿐이다.And in order to make C plate of halftone gradation, the color generator's Dot generator only needs to operate according to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for the C plate.

다음에 본 발명의 상기한 계조변환식의 유도과정과 그의 특질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Next,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ill be briefly described.

망점계조인 인쇄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원고화상중의 각 화소에 대히여 설정되는 망점면적 %의 수치(Y)를 구하는 계조변환식은 일반으로 인정되고 있는 농도공식(사진농도, 광학농도)In producing printed images with halftone gradation,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for calculating the numerical value (Y) of the halftone area set for each pixel in the original image is a density formula (photo density, optical density), which is generally accepted.

즉, D=log I0/I=log 1/TThat is, D = log I 0 / I = log 1 / T

단, I0=입사광량Where I 0 = incident light

I=반사광량 또는 투과광량I = reflected or transmitted light

T=I/I0=반사율 또는 투과율을 기초로 하여 유도한 것이다.T = I / I 0 = derived based on reflectance or transmittance.

이 농도D에 관한 일반공식을 제판, 인쇄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제판, 인쇄에 있어서의 농도(D')=log I0/1=log(단위면적×종이의 반사율)/{(단위면적-망점면적)×종이의 반사율+망점면적×잉크의 표면반사율}=log αA/[α{A-(d1+d2+……dn)}+β(d1+d2…… dn)]The general formula for this concentration D is applied to plate making and printing as follows. The plate making, the concentration (D ') in the printing = log I 0/1 = log (in the reflectance of the area × paper) / {(unit area-dot area) × the surface reflectance of the reflectance + tone × ink paper} = log αA / [α {A- (d 1 + d 2 + …… d n )} + β (d 1 + d 2 …… d n )]

여기에서 A : 단위면적Where A: unit area

dn : 실단위면적내예 있는 각각의 망점면적dn: each dot area in the actual unit area

α : 인세용지의 반사율α: reflectance of cut paper

β : 인쇄잉크의 표면 반사율 이다.β is the surface reflectance of the printing ink.

본 발명은 이 제판·인쇄에 관한 농도식(D' )을 기본으로 하여 화상정보로서 농도치가 아니라 광량치를 사용함과 함께 연속계조인 원고화상상의 표본점(화소), (n점)에 있어서의 기초광량치(X)와 이것에 대응한 망점계조인 인쇄화상상의 표본점에 있어서의 망점의 망점면적 %치의 수치(Y)와의 관련지움이 이론치와 실측치가 합치되도록, 상기 계조변환식을 유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ight quantity value instead of the density value as imag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ensity equation (D ') relating to plate making and printing, and the basis of sample points (pixels) and (n points) of the original image in continuous gradation.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is derived so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ght quantity value X and the numerical value Y of the half-area area value of the halftone at the sample point of the print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halftone gradation corresponds to the theoretical value and the actual value.

본 발명의 상기 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는 일반으로 yH,ys의 파라미터는 정수화 되어져 있어 예를 들면 C판의 YCH에 5%, YCS에 95%, M 및 Y판에서는 YMH=YYH에 3%, YMS=YYS에 90%라고 하는 망점면적 %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농도계에 의해 측정한 Dn치와의 관련으로 구한 Xn치를 사용하고 yH=Ys에 백분율 수지(%치)를 사용하면 y치도 백분율 수치로 산출된다.In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s of y H and y s are generally integerized, for example, 5% in Y CH of C plate, 95% in Y CS , and Y MH = Y in M and Y plates. The half- dot area% of YH is used as 3% and Y MS = Y YS as 90%. In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when the Xn value obtained in relation to the Dn value measured by the densitometer is used and the percentage resin (% value) is used for y H = Y s , the y value is also calculated as a percentage value.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다른 중요한 파라미터 γ의 값은 이하에 나타내는 이유로 C판용 색분해 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는 정수화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즉, C판용 X축 색분해 커어브의 설정에 있어서 γ치=0.45로 고정해도 좋다. 이것은 본 발명자등에 의해서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의 개발과정에서 화상정보치로하여 농도치를 채용하는 계조변화식을 개발한 경위부터 유도되는 것이며, 많은 실험예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In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f another important parameter γ may be considered to be generally purified in setting the color separation curve for the C plate for the following reason. That is, you may fix at gamma value = 0.45 in setting of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for C boards. This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ors developed a gradation change equation employing a density value as an image information value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supported by many experimental examples.

그렇지만 그 파라미터 γ는 색분해커어브의 형상을 합목적으로 변화시킬 수가 있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γ치를 합목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소망의 계조 특성을 갖는 인쇄물을 제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극히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상기한 값으로 과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arameter γ is a parameter that can change the shape of the color separation curve in other words, that is, it is an extremely important parameter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inted material having a desired gradation characteristic by controlling the γ value for the purpose. It doesn't happen.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의 파라미터의 수치설정은 주어진 피사체(실제화상)의 상태를 어디까지나 충실하게 인쇄화상에 재현시키고자하는 입장과 의식적으로 상태를 조정(수정 또는 변경)한 인쇄화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입장에 따라서 상이해진다. 후자의 경우 γ치를 의식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X축 색분해 커어브의 형상을 소망의 것으로(즉 소망의 계조인 것으로)변경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종의 상태의 인쇄화상이 얻어진다. 예를들면 X축 색분해 커어브의 형상은 위를 凸형상으로 하고져 할 때(H부∼중간조의 상태를 강조하고져 할때)는 γ치를 0에 가깝게 하고, 역으로 밑을 凹형상으로 하고져 할때에는(중간조∼새도우부의 상태를 강조하고 싶을때) γ치를 마이너스의 갑으로 하면된다.The numerical setting of the gradation conversion para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faithfully reproduce the state of a given subject (real image) to the print image to the last, and to produce a print image in which the state is consciously adjusted (modified or changed). It depends on the position. In the latter case, by changing the gamma value consciously, the shape of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can be changed to a desired one (i.e., one having a desired gradation), so that print images of various state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should be close to γ when the upper part is in the shape of 상태 (when the emphasis is on the state of H to mid-tone), and vice versa. (When you want to emphasize the state of the midtone to the shadow par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let γ be a negative value.

본 발명의 상기 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이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임의의 가고, 변형, 유도하는 등을 하여 사용하는 것도 자유롭다.In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by transforming as follows, as well as by using it arbitrarily, deforming, inducing and the like.

y =yH+E(1-10-k.x)·(yss-yH)y = y H + E (1-10 -kx ) · (y s sy H )

단, E= 1/(1-β)=1/(1-10γ)Provided that E = 1 / (1-β) = 1 / (1-10 γ )

상기의 변형에는 α=1로 한 것이다.In the above modification, α = 1.

이것은 예를 들면 인쇄화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용지(기재)의 표면반사율을 100%로 한것이다. α의 값으로서는, 임의의 값을 취할 수가 있으나 실무상 종의 백색도에 영점조정하기 위해 1.0으로 해도 무방하다.This is, for example, 100% of the surface reflectivity of a printing paper (substrate) used to express a print image. As the value of α, any value can be taken, but in practice, the value may be set to zero in order to zero the whiteness of the species.

상기 변형예(α=1.0)에 의하면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yH를 최암부 S에 ys를 예정한 대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이것은 상기 계조변환식의 큰 특징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인쇄화상상의 최명부 H에 있어서는 정의에 따라 X=(Xn-XH)=0이 되는 것, 또 최암부S에 있어서는 X=XS-XH로 되는 것,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α = 1.0), y H can be set to the brightest part H of the printed image as desired and y s to the darkest part S, which is a great feature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This means that X = (X n -X H ) = 0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outermost part H of the printed image, and X = X S -X H in the darkest part S,

즉,-k·X=-γ·(XS-XH)/(Xs-XH)=-γThat is,-k X =-γ (X S -X H ) / (X s -X H ) =-γ

로 되는 것으로 부터 명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α=1로 하는 변형예)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항상 예정한 바대로의 yH와 ys를 인쇄화상상의 H부와 S부에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이용자가 작업결과를 고찰하는대에 극히 증요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인쇄화상상에 있어서의 yH와 ys에 소망하는 값을 설정하고 γ치를 변화시키면(단, α=1.0)각종의 X축 색분해 커어브가 얻어지며, 그리하여 이들의 X축 색분해 커어브에 의해서 얻어진 인쇄화상을 γ치와의 관계에서 용이하게 평가할 수가 있다.It is obvious from becoming. By using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modified example of α =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lways possible to set y H and y s as desired in the H and S portions of the printed imag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consider. For example, setting desired values for y H and y s in a printed image and changing the value of γ (where α = 1.0) yields various X-axis color resolution curves, thereby increasing their X-axis color resolution curves. The printed image obtained by the ab can be easily evaluated in relation to the? Value.

특히 제판실무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X축색 분해 커어브가 종래의 D축색 분해 커어브와 상이하여 최종제품으로서의 이쇄화상의 H∼S에 이르는 계조특성, 상태특성을 표시하고 있다고 하는 점이다.Particularly important in plate making practice is that the X-axis color decomposition curv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D-axis color separation curve to display 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state characteristics ranging from H to S of a double-chain image as a final product. to be.

즉, 제판작업자는 소정의 yHys및 γ치 아래에서 얻어지는 X축 색분해커어브로 부터 그의 형상의 고찰을 통하여 최종 인쇄화상의 마무리(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있다. 이것은 화질이 상이한(예로 노광조건이 상이한)복수의 원고화상에 대하여 각각의 설정된 X축 색분해커어브가 모두 하나의 같은 색분해커어브에 수렴된다고 하는 본 발명의 계조변환법의 큰 특징에 의한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의 D축 색분해커어브 같은(yH,ys및 γ치를 채용한다)는 화질이 다른 각각의 원고화상에 대응하는 커어브카 얻어지며, 그의 형상은 복잡한 것이다. 따라서, 제판작업은 그의 커어브를 고찰한 것만으로서는 최종의 인쇄화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없다.That is, the platemaking worker can accurately predict the finish (state) of the final printed image through consideration of its shape from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obtained under the predetermined y H y s and gamma values. This is due to the great feature of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each set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converges to one and the same color separation curve for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having different image quality (for example, different exposure conditions). This becomes the conventional D-axis color separation with respect to such large Irv (adopted value y H, y s, and γ is) is obtained that the image quality is increased Irv car corresponding to different respective original image, its shape is complicated. Therefore, the plate making operation cannot accurately predict what the final printed image will be only by considering his curve.

상기한 것의 의미는 극히 중요하며 재판작업자는 각 색판(C,M,Y)과 먹판(B)의 X축색 분해커어브를, 예를 들면 모니터 표시 시키는 것에 의해서 최종 인쇄화상의 마무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종의 교정작업을 불필요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서 직접제판(Direc plate제판법)이 가능하게 된다.The meaning of the above is extremely important and the judge can accurately predict the final printed image by displaying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of each color plate (C, M, Y) and the ink plate (B), for example, by displaying a monitor. As a result, various calibrations can be made unnecessary.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direct plate making (Direc plate making method).

또 본 발명의 상기 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k치가 γ치로 되도록 즉, (XH∼Xs)치가 1.0이 되도륵 정규화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XH∼Xs의 다이나믹레인지를 0∼1=1.0으로 정규화하면 X축 색분해커어브 상호간의 비교 검토가 용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계조변환식의 계산이 극히 용이한 것으로 된다. 원래 다이나믹레인지내의 각 화질의 광량지(X)도 그 정규화에 준해서 변화하나 상대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색분해커어브의 설정에 하등의 지장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y치의 계산은 정규화 후의 값을 사용하여 계산한 것이다.In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rmalization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k value is a γ value, that is, the (X H to X s ) value is 1.0. By normalizing the dynamic range of X H to X s to 0 to 1 = 1.0, the comparative examination between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s becomes easy and the calcul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becomes extremely easy. Originally, the amount of light X of each image quality in the dynamic range also changes in accordance with its normalization, but since it is a relative change, it does not cause any trouble in setting the color separation curv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alculation of y value is computed using the value after normalization.

본 발명의 상기 계조변환식을 운용하여 다색제판(일반으로 C판, M판, Y판, B(먹)판의 4판이 1조라고 생각하고 있다.)용의 각 색판의 X축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려면 소망의 제판설계하에 상기 C판과 같은 모양으로 행하면 된다.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of each color plate for the multicolor plate (generally, four plates of C plate, M plate, Y plate, and B (mud) plate)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gray scale conversion formul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o this, it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above C plate under the desired plate making design.

이상의 설명은 컬러스캐너를 사용하여 인쇄화상을 제작할 때 특히 그의 중핵적인 구성요소인 계조변환부에 있어서 채용되는 계조변환기술의 개요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an outline of the gradation conversion technology employed in the gradation conversion section, which is a core component thereof, when producing a printed image using a color scanner.

다음에 컬러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제조변환기술을 짜 넣기 위한 계조변환부의 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improvement of the gradation conversion unit for incorporating the manufacturing conversion technique in the color scanner will be described.

인쇄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컬러스캐너의 계조변환부에는 상기 계조변환식이 짜 넣게 되어 상기계조변환식에 의하여 계조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is incorporated in the gradation conversion section of the color scanner for producing the printed image, and the gradation conversion is performed by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계조변환식은 컬러사진원고상에 최명부(H)와 최암부(S)가 지정되며, 그 H와 S의 농도치(DHH,Ds)가 측정되며, 그 농도치(DH,Ds)에 대응하는 광량치(XH,Xs)가 구하여지며, 다른 바로 미터(γ치,yH,ys치)와 같은 모양으로 그 광량치(XH,Xs)를 사용하여 계조변환식이 운용되어 계조변환(X축 색분해 커어브의 설정)이 이루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the brightest part (H) and the darkest part (S) are designated on the color photograph document, and the concentration values (DH H , D s ) of H and S are measured, and the density values (D H , D s ) corresponding to the light quantity value (X H , X s ) is obtained, and using the light quantity value (X H , X s ) in the same shape as other barometers (γ value, y H , y s value).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is operated to achieve gradation conversion (setting of the X-axis color separation curve).

이 경우 지극히 중요한 문제점은 컬러사진원고의 H및/또는 S의 농도치의 측정에 불가피하게 불균일성(不均一性)이 생긴다고 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hat unevenness inevitably arises in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 or S of the color photograph document.

이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은 계조변환후에 제작되는 컬러 인쇄화상의 상태, 즉 농도계조나 색조 및 그레이벨런스(等面中性 濃度의 특성)에 악 영향을 주고만다고 하는 것, 따라서 제판설계에 있어서 의도하는 인쇄화상이 제작되지 않는 다고 하는 극히 중요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only adversely affects the state of the color print image produced after the gradation conversion, that is, the gradation gradation, color tone, and gray balance (characteristic of surface hardness). This causes an extremely important problem that the intended print image is not produced.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 H및/또는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을 C판을 제각할때의 각종의 원고(엷은원고, 표준원고, 진한원고)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의 결과는 샘플컬러사진원고(F사제 데이라이트 ASA 100)ISOMET사제 컬러스캐너 455를 사용하여 조사한 것이다.Incidentally,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 or S with respect to various originals (thin originals, standard originals and dark originals) at the time of the C plate. In addition, the result of Table 2 was investigated using the sample color photographic document (Daylight ASA 100 by F company) the color scanner 455 by ISOMET company.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Nonuniformity in the Measurement Concentrations of H and S

[표 2]TABLE 2

상기 H 및 또는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이 후지크롬 100, 프로페셔널D(데이라이트) 계조변환후의 망점계조의 색판화상이 상태재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표 3∼표 7에 나타낸다. 또한,It was investigated how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 or S affected the color reproduction of the halftone gradations after the Fujichrome 100 and Professional D (Daylight) gradation convers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3 to 7. Also,

·표 3은 연한 컬러필름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 0.175~2.325Table 3 shows light color film originals: density range of comparative center originals, 0.175 to 2.225.

·표 4은 표준 컬러필름원고:비교중심원과의 농도범위, 0.300∼27.00Table 4 shows the standard color film originals: density range from the comparative center, 0.300 to 27.00.

·표 5는 진한 컬러필름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 0.500∼2.750Table 5 shows the dark color film originals: density range of the comparative center originals, 0.500 to 2.750.

·표 6은 극단적으로 연한 컬러필름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 0.125∼1.850Table 6 shows the extremely light color film originals: the density range of the comparative center originals, 0.125 to 1.850.

·표 7은 극단적으로 진한 컬러필름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 0.900∼3.100의 컬러필름원고를 각각 사용했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표 3~표 7은 다음의 조건에서 작성되었다.Table 7 shows the results of using the extremely dark color film originals: the density range of the comparative center originals and the color film originals of 0.900 to 3.100, respectively. Tables 3 to 7 were prepa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ⅰ) H와 S에 있어서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의 검토대상으로서 F사제 데이라이트 필름을 사용했다.(Iii) The daylight film made by F Company was used as a subject of examination of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in H and S.

(ⅱ) 계조변환식의 운용에 있어서 C판을 제작하는 것을 전제로 yH=5%, ys에 95%, γ=0.45로 했음. 또 각 표중의 수치는 계조변환식의 계산결과인 y치 (망점면적%)인 것은 말할 것도 없는 일이다.(Ii) In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y H = 5%, y s 95%, γ = 0.45, on the premise that a C plate was produc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erical values in the tables are the y values (the halftone area%) which are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또, 표 3∼표 7에 있어서 각표의 표제는 H와 S의 측정이 제판설계대로 행하여진 컬러필름원고(즉, 측정의 불균일성이 없는 것으로 이하 이것을 비교중심원고라 함)를 나타내는 것이며 각표에 있어서 상기 비교 중심원고와 불균일성 원고가 비교검토 되어야 한다.In Tables 3 to 7, the headings of the tables indicate color film manuscripts (that is, non-uniformity of measur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ative centric manuscripts) in which H and 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late making design. The comparative manuscript and the non-uniform manuscript should be reviewed.

각표에 있어서 농도란의는 계조변환의 관리포인트를 나타내며, 그의 하기의 수치는 상기한 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치(다이나믹 레인지)를 H로부터의 비율로 증대시킨 관리 포인트에서의 농도치를 나타낸다.In each table of concentration column Denotes the control point of the gradation conversion, and the following numerical value thereof indicates that the density range value (dynamic range) The concentration value at the control point increased by the ratio of.

표 3∼표 7로부터 상기 관리점에 있어서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에 기인하여 망점면적 %치가 어떠하게 비교중심원고의 것으로 부터 괴리되어 있는가를 용이하게 알 수가 있다.From Tables 3 to 7, it is easy to see how the% of halftone area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mparative manuscript due to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in the control points.

연한컬러필름 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0.1750-2.5000=2.3250)Light color film originals (density range of comparative center originals = 0.1750-2.5000 = 2.3250)

[표 3] TABLE 3

표준컬러필름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0.3000-2.7000=2.4000)Standard Color Film Originals (Density Range of Comparative Center Documents = 0.3000-2.7000 = 2.4000)

[표 4] TABLE 4

진한컬러필름 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0.5000-2.7500=2.2500)Dark Color Film Originals (Comparative Center Density Range = 0.5000-2.7500 = 2.2500)

[표 5] TABLE 5

극단적으로 연한 컬러필름 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0.1250-1.500=1.7250)Extremely light color film originals (density range of comparative center originals = 0.1250-1.500 = 1.7250)

[표 6] TABLE 6

극단적으로 진한컬러필름원고(비교중심원고의 농도범위=0.9000-3.1000=2.2000)Extremely dark color film originals (density range of comparative center originals = 0.9000-3.1000 = 2.2000)

[표 7]TABLE 7

상기 표 3∼표 7은 상기 표 2의 농도측정의 불균일성을 고려하여 작성된 것이며, 각 관리점에 있어서 제판설계치에서 비교적 많은 괴리를 발생한 것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특히등의 관리점은 화질이 우수한 인쇄화상을 제작하는데에 중요한 영역의 것이며, 이드 관리덤에서의 괴리가 크다.Tables 3 to 7 above wer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nonuniformity of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in Table 2, and clearly indicate that a relatively large deviation occurred in the plate making design value at each control point. Especially The control point of the back is an important area for producing a print image having excellent image quality, and there is a large gap in the id control system.

따라서 제판설계대로의 인쇄화상을 제작하기 위하여서는 H및 또는 S의 측정 농도치의 불균일성이 의미하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하여 그것을 해소하는 수단의 개발이 불가결하다.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a printed image according to the plate making design, it is essential to clearly recognize that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or S means and to solve the problem.

상기 H 및 또는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은 원고화상으로서 컬러사진(필름)원고를 사용하는 경우 불가피적인 것이다.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is inevitable when a color photograph (film) document is used as the original image.

그의 주 원인은 컬러필름 유제중의 은(銀)입자의 크기, 형상, 입자분산상태 및 컬러스케너측의 애퍼추어(Aperture)(또는 슬릿)의 크기에 의한 것이다. H의 농도측정은 스캐닝광속(주사광속)이 원고의 소정화소를 투과(또는 반사)한 후 그 주사화소에 대응하는 소정의 크기의 애퍼추어를 통과하여 광전변환되어서 각 화소의 농도치가 측정된다.Its main cause is due to the size, shape, particle dispersion state of the silver particles in the color film emulsion, and the size of the aperture (or slit) on the color scanner side. In the density measurement of H, the scanning luminous flux (scanning luminous flux) transmits (or reflects) a predetermined pixel of the original, and is then photoelectrically converted through an aperture of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e scanning pixel to measure the density value of each pixel.

제2도에서 상기 은입자와 애퍼추어(Aperture)의 관계를 나타냈다.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lver particles and Aperture.

컬러필름의 R/G/B 유체충에 포함되는 은입자의 크기는 일반으로 1∼3㎛2이며, 한편 애퍼추어(Aperture)의 구경은 일반으로 1∼수mm의 것이다.The size of the silv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R / G / B fluid charge of the color film is generally 1 to 3 µm 2 , while the aperture of the aperture is generally 1 to several mm.

인쇄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컬러스캐너의 계조변환부에 있어서는 상기 계조변환식을 운용하여 계조변환작업이 실시되기 때문에 우선 지정된 H 및 S의 영역에 컬러스캐너의 해드를 배치하고 H 및 S의 농도측정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 상기한 은입자측(Side)에 있어서의 불균일성, 애퍼추어(Aper ture)측에 있어서의 H부에 대한 부정확한 배치등이 상호 작용하여서 H 및 S의 측정농도치에 불균일성을 초래한다.In the gradation conversion section of the color scanner for producing a printed image, the gradation convers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Therefore, the head of the color scanner is first placed in the designated H and S areas, and the density measurement of the H and S is not performed. You must.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nonuniformity on the side of the silver particle and an incorrect arrangement of the H portion on the aperture side interact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nonuniformity in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즉, 제판설계자, 제판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서 지정된 컬러사진 원고중의 H 및 S의 농도측정을 행하는 경우,That is, when the density measurement of H and S in the color photographic document designated by the plate making designer, the plate making operator, or the like is performed,

·지정된 H 및 S의 부위에 대하여, 농도측정을 위한 채광(원고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의 광량을 측정한다)을 행하는 소정의 개구율을 갖는 애퍼추어(Aperture)를 정확히 배치하는 것이 곤란한 것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rrange an aperture having a predetermined aperture ratio in which mining (measured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or transmitted light from an original) for concentration measurement is carried out on designated H and S sites.

·지정된 H 및 S의 부위에 대하여 가령 정확하게 애퍼추어(Aperture)를 배치했다고 해도, 당해 부위에 상기한 은입자 크기의 불균일성이 있어서 그 근방부위에 최적의 H 및 S의 부위가 있을 수 있는 것(상기한 은입자 측의 불균일성이 존재하는 것은 통사 H 및 S의 부위의 농도측정이 당해부위를 확대경으로 관찰하면서 행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파악된다) 그리고 작업자에 있어서 지정된 부위를 농도측정하는 경우와 상기한 후자의 부위를 농도측정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는것 등이 상호작용하여서 H 및S의 농도측정치에 불균일성(不均一性)을 초래하게 된다.Even if the aperture is accurate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designated portions of H and S, there may be a non-uniformity of the above-described silver particle size in the region, so that an optimal portion of H and S may exist in the vicinity thereof ( The presence of the nonuniformity on the silver particle side is easily understood since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the sites of syntactic H and S is performed by observing the site with a magnifying glass. The concentration may be measured at the site of H and S, resulting in non-uniformity in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H and S.

인쇄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컬러스캐너에 있어서는 상기 H와 S의 측정농도의 불균일성(不均一性)에 기인하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컬러스캐너의 농도측정부가 최명부(H)와 그의 근방부위에 있어서의 대표농도치(DHav)및 최암부(s)와 그의 근방 부위에 있어서의 대표농도치(DSav)를 출럭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컬러스캐너의 계조변환부가 상기 대표농도치(DHav, DSav)로 부터 대응하는 광량치(XH,Xs)를 구하며, 또한 상기계조변환식에 의해서 계조변환을 행하도륵 구성한다.In the color scanner for producing a printed image, in order to solve the defect caused by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ment concentrations of the H and S, the density measuring unit of the color scanner is representative of the sharpest part (H) and its vicinity. The concentration value (DH av ) and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 (DS av ) at the darkest part (s) and its vicinity are configured to run out. The gradation conversion section of the color scanner obtains the corresponding light amount values X H and X s from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s DH av and DS av and performs gradation conversion by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표농도치(DHav,DSav)를 구하는 방법은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不均一性)을 해소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을 받는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olves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예를들면 상기 대표농도치(DHav,DSav)로서 평균치, 최빈치, 표준편차등이 사용되어도 좋은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표농도치로서 핑균농도차를 사용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ean, mode, standard deviation, etc. may be used as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demonstrates using the Ping bacteria concentration difference as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

상기 최명부(H)와 그의 근방부위 및 최암부(S)와 그의 근방부위에 있어서의 평균농도치의 측정을 컬러스캐너의 구성에 적합한 방식등에 의해서 행하면 된다. 예를 들면 드럼타입의 스캐너인 경우 오퍼레이터가 드럼을 미동시키면서 행하여도 좋고 혹은 애퍼추어(Aperture)부분에 미진동을 주도록 해도좋다. 또 평평한 베드인 경우 예를들면 CCD에 축적된 소정화소의 주위의 화소의 농도정보치를 평균화하여도 된다. 이밖에 극히 가느다란 글라스파이버를 소망개수 합쳐서 각각의 글라스파이버 마다에 농도치를 측정하여 평균화 하여도 된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easure the average density | concentration value in the said sharpest part H, its vicinity, and the darkest part S, and its vicinity by the method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a color scann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rum type scanner, the operator may perform the drum while moving the drum or may give the vibration to the aperture portion. In the case of a flat bed, for example, the density information values of the pixels around the predetermined pixels stored in the CCD may be averaged. In addition, ultra-thin glass fibers may be combined with a desired number, and the concentration values may be measured and averaged for each glass fiber.

또한 평균농도치를 구하는 경우 예를들면 최명부(H)를 중심에 측정영역을 변위시켜서 측정하는 양태에 있어서 많은 실험예로부터 3∼5회 측정하여 핑균화하면 충분하다. 이 측정회수는 사용하는 필름의 품종, 애퍼추어(Aperture)의 구조등을 고려해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In the case of obtain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for example, it is sufficient to measure three to five times from many experimental examples to ping equalize the outermost part H in the measurement area. This measurement number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film used, the structure of the aperture, and the like.

다음에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을 조정관리했을때의 스캐너출력의 망점 계조화상(C판용 인쇄원판)의 계조개선 효과를 표 8∼표 11에 나타난다.Next, the gradation improvement effect of the halftone gradation image (printing plate for C plate) of the scanner output when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is adjusted is shown in Tables 8-11.

본 발명에 있어서 스캐너 출력의 망점계조화상의 계조특성의 개선효과는 (ⅰ)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을 평균농도치(DHav,DSav)에 의해서 조정하는 경우, (ⅱ) 또한 상기 평균농도치(DHav,DSav)의 조정에 가해서 계조변환식의 γ치도 조정하는 경우(더욱 γ치의 조정에 의해 계조특성을 합리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에 의하여 평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alftone gradation image of the scanner output is (i) when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is adjusted by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and (ii) the average In addition to the adjustment of the concentration values DH av and DS av , the gamma value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is also adjusted (moreover, the reason why the gray scale characteristic is reasonably changed by the adjustment of the gamma value is as described above).

표 8∼표 9는 상기(ⅰ)의 경우 표 10∼표 11은 상기(ⅱ)의 경우에 있어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 3∼표 7과 표 8∼표 9, 또한 표 10∼표 11을 비교검토하면 상기(ⅰ)의 진입 또 상기(ⅱ)의 접근이 극히 유효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In Table 8-9, Table 10-11 shows the improvement effect in the case of said (ii). Comparing and reviewing Tables 3 to 7 and Tables 8 to 9, and Tables 10 to 11, it can be seen that the entry and the approach of (ii) are extremely effective.

또한, 표 8∼표 11은 다음의 조건으로 작성된 것이다.In addition, Tables 8-11 are created on condition of the following.

·샘플컬러필름원고(F사제 데이라이트필름):표준화질의 컬러원고Sample color film original (Daylight film made by F company): Standard quality color document

·조정관리의 기준으로 한 필름원고의 농도범위 : 2.4000(0.3000∼2.7000)Concentration range of film originals based on adjustment management: 2.4000 (0.3000 to 2.7000)

·계조변환식의 파라미터:yh=5%, ys=95%Gradation conversion parameters: y h = 5%, y s = 95%

γ치=표 8∼표 9는 0.4500γ value = 0.4500 for Tables 8 to 9

γ치=표 10∼표 11 조정γ value = Table 10 to Table 11 adjustment

또한, 각표의 표제는 기준원고의 H의 농도치(0.3000)및 S의 농도치(2.7000)에 대한 불균일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말할필요도 없는 것이지만 표 3∼표 7의 불균일성 보나도 평균화하여 조정했기 때문에 불균일성 정도가 개선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eading of each table indicates the degree of nonuniformity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on value of H (0.3000) and the concentration value of S (2.7000) of the reference manuscript. Needless to say, the degree of nonuniformity is improved because the nonuniformity in Tables 3 to 7 is averaged and adjusted.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의 범위:H부 ±0.0125, S부 ±0.0500Range of non-uniformity of measurement concentration value: H part ± 0.0125, S part ± 0.0500

[표 8] TABLE 8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의 범위:H부 ±0.0100, S부 ±0.0250Range of non-uniformity of measurement concentration value: H part ± 0.0100, S part ± 0.0250

[표 9] TABLE 9

측정농도치 불균일성의 범위:H부 0.0125, S부 0.0500Range of measurement concentration non-uniformity: H part 0.0125, S part 0.0500

[표 10] TABLE 10

측정농도치의 범위 : H부 0.0100, S부 0.0250Range of measurement concentration: H part 0.0100, S part 0.0250

[표 11] TABLE 11

다음에 상기 인쇄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컬러스캐너의 기기구성의 예를 제3도에 의해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apparatus configuration of the color scanner for producing the print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컬러스캐너는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원고화상중에 지정된 H와 S 및 그의 근방부위로 부터 평균농도치(DHav, DSav)를 출력할 수가 있는 농도측정기구 및 상기 평균농도치를 이용하면서 계조변환식에 의해 계조변화를 행하는 계조변환기구가 배설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즉, 다른 구성요소는 종래와 같기 때문에 상기한 기구를 짜넣을 뿐으로 종래의 스캐너를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이 실시되는 스캐너에 재구성할 수가 있다.The color sc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nsity measuring instrument capable of outputt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from H and S and its vicinity specified in the original imag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s as described above,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s.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re is provided a gradation conversion mechanism that performs gradation change by a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That is, since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s, the conventional scanner can be reconstructed in the scanner to which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only by incorporating the above mechanism.

제3도에 있어서 드럼타입의 컬러스캐너는 원고를 독해하는 검출부(1)와 검출부(1)의 출력신호를 Y,M,C,K의 색분해 신호로 변환하는 색분해부(2)와, 상기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적정한 망점계조를 구하는 계조조정부(3)와 이 계조조정부(3)의 출력신호에 의거해서 레이저광에 의한 생필름노광을 행하는 출력부(4)와의 4개의 블럭으로서 된다. 상기 컬러스캐너의 구성에 있어서 색분해부(2), 출력부(4)의 블럭에는 종래의 컬러스캐너와 같은 모양의 구성이 채용되며, 검출부(1)를 최명부(H)와 그의 근방부위 및 최압부(S)와 그의 근방부위로 부터 평균농도치를 검출하는 기구로 하고, 또 계조조정부(3)를 상기계조변환식에 의거하여 계조변환시키도록 한 점이 종래와 상이하다.In FIG. 3, the drum type color scanner includes a detection unit 1 for reading an original, a color separation unit 2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1 into color separation signals of Y, M, C, and K, and the gray level. It is composed of four blocks of a gray scale adjusting section 3 for obtaining an appropriate halftone gradation using a conversion formula and an output section 4 for performing raw film exposure by laser light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gray scale adjusting section 3.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lor scanner, the block of the color separation unit 2 and the output unit 4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color scanner, and the detection unit 1 includes the brightest portion H, its vicinity and the pressure portion. (S) and a mechanism for detect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from the vicinity thereof a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the tone adjustment unit 3 is subjected to the tone conversion based on the above tone conversion equation.

여기서 검출부(1)는 광전자증배판(Photomal)등 컬러필름원고(5)의 각 화소의 투과광 또는 반사광을 검출하여 전류치로서의 R,G,B,USM 각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룰 A/V변환부(6)에 있어서 전압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검출부(1)는 상기한 바와같이 특히 H와 S 및 그의 근방부위로 부터 평균농도치(DHav,DSav)를 구하기 위한 투과광(또는 반사광)을 검출할 수 있는 기구의 것이다.The detection unit 1 detects transmitted light or reflected light of each pixel of the color film document 5 such as a photomultiplier plate, and outputs R, G, B, USM signals as current values, and converts these signal rules into A / V conversion. In section 6,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voltage signal.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unit 1 is a mechanism capable of detecting transmitted light (or reflected light) for obtain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s DH av and DS av from the H and S and its vicinity.

색분해부(2)는 로그앰프(7)에 있어서 검출부(1)의 R,G,B,USM 각각의 전압신호를 대수연산하여서 농도로 변환하고, 베이식매스킹(BM)(8)에 있어서 이 농도로부터 그레이(K) 성분을 분리하고 또한 Y,M,C의 각 성분을 분리한다.The color separation unit 2 converts the voltage signals of the R, G, B, and USM signals of the detection unit 1 into logarithmic values in the log amplifier 7 and converts them into concentrations. In the basic masking (BM) 8 The gray (K) component is separated from the concentration, and each component of Y, M, and C is separated.

또한 로그앰프(7)에 있어서 검출부(1)에서 평균농도치(DHav, DSav)를 구하기 위하여 검출한 투과광(또는 반사광) 더욱 이것을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이어서 대수연산하여 평균농도치를 구한다.Further, the transmitted light (or reflected light) detected in the log amplifier 7 in order to obtain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by the detection unit 1 is further converted into a voltage signal, which is then logarithmically calculated to obtain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이것은 후술하는 계조변환부(3)에 보내어져서 계조변환식의 운용의 중요한 정수항으로 된다.This is sent to the gradation conversion section 3 to be described later to become an important integer term for the oper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다음에 색수정부(Color Correction)(CC)(9)에 있어서 R,G,B 및 YMC의 각 원고색에 대하여 Y판성분, M판성분, C판성분을 제어하고 다시 원고의 그레이 성분을 UCR/UCA부(10)의 UCR(Under Color Removal)또는 UCA(Under Color addition)에 있어서 Y,M,C의 3판으로 표현하는 비율과 k판으로 표현하는 비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Y,M,C,K성분이 얻어진후에 증래는 계조변환부(IMC)의 농도(Gradation)제어부에 있어서 각 성분의 망점실행면적을 ye', me', ce', ke'를 구하여서 이것을 역 log변환부에서 역 log변환하였으나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스캐너 구성에 있어서는 농도 제어부 및 역 log변환부를 대신하여 계조변환부(11)를 사용하고 여기서 Y,M,C,K로 부터 ye', me', ce', ke'에로의 변환을 행하고 있다. 계조변환부(11)는 상기계조변환식의 알고리듬을 내부에 지나고 있어 Y,M,C,K 각각에 대하여 계조변환시을 적용하여 ye', me', ce', ke'를 구한다. 계조변환부 11로서는 계조변환식의 알고리듬을 소프트웨어로 하여 보유하고 아울러 A/D, D/A의 I/F(인터페이스)를 갖는 범용 컴퓨터, 알고리듬을 로직으로 하여 범용 IC에 의해 구체화한 전기회로, 알고리듬의 연산결과를 보유한 ROM을 포함하는 전기회로, 알고리듬을 내부로직으로 하여 구체화한 PAL, 게이트어레이, 커스텀 IC등등 각종의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Next, in the Color Correction (CC) 9, the Y plate component, M plate component, and C plate component are controlled for each original color of R, G, B, and YMC, and the gray component of the original is again UCR. In the UCR (Under Color Removal) or UCA (Under Color addition) of the / UCA unit 10, the ratio expressed by the three editions of Y, M and C and the ratio expressed by the k edition are determined. Here, after the Y, M, C, and K components are obtained, the test results ar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half point execution area of each component by ye ', me', ce ', and ke' in the Gradation Control Unit of the IMC. Inverse log conversion in the inverse log conversion unit, but in the scanner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the gradation conversion unit 11 is used in place of the density control unit and the inverse log conversion unit, where Y 'from Y, M, C and K. to me, me ', ce', and ke '. The gradation conversion section 11 passes the algorithm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inside, and obtains ye ', me', ce ', and ke' by applying the gradation conversion time to Y, M, C, and K, respectively. The gradation converting section 11 holds a gradation conversion algorithm as software, a general-purpose computer having A / D and D / A I / F (interface), and an electric circuit and algorithm embodied by a general-purpose IC using the algorithm as logic. It can take various forms such as an electric circuit including a ROM having a result of calculation, a PAL embodied by an algorithm as an internal logic, a gate array, a custom IC, and the like.

계조변환부(11)에 의해서 얻어진 망점실효 면적율은 컬러챤넬 셀렉터(12, Color channel selector)에 입력되어 컬러챤넬 셀렉터(12)는 ye', me', ce', ke'를 순차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 출력은 A/D변환부(13)에 의해 A/D 변환되어서 출력부(4)로 입력된다. 출력부(4)에서는 계조조정부(3)의 출력에 근거하여 도트컨트롤부(14)에 있어서 레이져비임의 컨트롤을 행한다.The effective dot area ratio obtained by the gradation converter 11 is input to the color channel selector 12, and the color channel selector 12 sequentially outputs ye ', me', ce ', and ke'. . This output is A / D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13 and input to the output unit 4. The output section 4 controls the laser beam in the dot control section 14 based on the output of the gradation adjustment section 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복제화상의 제작분야로서 인쇄화상의 제작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eld of producing a printed image as the field of producing a duplicate image.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같이 복제화상의 제작분야로서 인쇄화상이 제작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print image is not limited to the production field as the production field of the duplicate image.

본 발명의 화상이 계조변환법의 응용예로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복제화상의 재현계에 있어서 도트의 크기를 변하게(다치화)할 수가 있는 용융형 감열전사 프린터, 화소자체의 농담을 변하게 하는 승화전사형 감열프린터, 도트배열에 의해 농담을 변하게 하는 디지털식복사기(컬러카피), 각종프린터(잉크제트식, 버블제트식)등에 응용되는 것이다.A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to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sion type thermal transfer printer capable of changing (multipleizing) the size of dots in a reproduction system of a replica image as described above, and a sublimation transfer type thermal printer which changes the shade of the pixel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igital copying machine (color copy), various printers (ink jet type, bubble jet type), etc., to change the tone by dot arrangement.

그리고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상기한 각종의 응용분야에 적용하려면 각각의 복제화상의 제작용기기에 있어서 (ⅰ) 컬러사진원고의 농도에 관한 화상정보치 및/또는 화상정보전기신호치(애너로그도 디지탈도 좋다)에 대응하는 광량치를 구하도록하고, (ⅱ) 상기 광량치를 기기의 화상변환처리부(계조변환부)에 있어서 상기 계조변환식하에서 계조변환하여 (ⅲ) 그의 처리치인 y치(계조강도치)에 대응시켜서 기기의 기록부(기록헤드)의 전류치나 전압치, 혹은 그의 인가시간등을 제어하고In order to apply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bove-described various application fields, (i) image information values and / or image information electric signal values relating to the density of color photographic documents 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each duplicate image. The light quant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log or digital), and (ii) the light quantity value is converted by the gray scale conversion formula in the image conversion processing unit (gradation conversion unit) of the device under the gray scale conversion formula (i) and the y value (gradation) The current value, the voltage value, or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cording portion (recording head) of the device,

·망점면적의 크기Size of halftone area

·소정화소(일정면적)당의 도트수와 그의 배열방식Number of dots per pixel (constant area) and its arrangement

·소정화소(일정면적)자체의 능도를 변환시켜서, 환원하면 사이즈 변조법, 밀도변조법 혹은 농도변조법 등의 계조표현방법에 의해서 원고화상의 농도계조를 H∼S의 전체 다이나믹 레인지에 걸쳐서 합법적이고도 충실하게 복제화상으 1:1로 변환하도록하면 된다.By converting the abilities of a given pixel (constant area) itself, and reducing it, the gradation of the original image can be changed over the entire dynamic range of H to S by gradation expression methods such as size modulation, density modulation, or density modulation. You can legally and faithfully convert the replicas to 1: 1.

예를들면 제4도는 주지의 레이저비임을 사용한 디지탈식복사기(컬러카피)의 기기구성을 설명하는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기기구성은 제3도의 컬러스캐너와 거의 동일의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컬러사진원고(5)는 회전식 드럼에 점착되어 있으나 평평한 베드 방식의 원고취득 기구라 할지라도 좋은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For example,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device configuration of a digital copying machine (color copy) using a known laser beam. As shown, the device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color scanner of FIG. In Fig. 4, the color photographic document 5 is adhered to the rotary drum,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ven a flat bed type document acquisition mechanism.

제4도의 변환부(11)는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의 알고리듬을 내부에 가지며 컬러스캐너와 감은 모양으로 Y,M,C,K 성분의 각각에 대하여 계조변환식을 적용하여 계조강도치(y)를 구한다. 또한 y치로서는 북재화상의 재현 계조수, 예를들면 256계조등에 대응한 값을 구하면 된다. 256계조의 경우 계조변환식의 적용에 있어서 yH=0, ys=255로 설정하면 H∼S에의 다이나믹레인지에 있어서 0∼255(256)계조의 화상이 복제된다.The conversion unit 11 of FIG. 4 has the algorithm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in, and applies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to each of the Y, M, C, and K components in the form of a color scanner and wound, thereby applying the gradation intensity value y. Obtain In addition, as the y valu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gradation number, for example, 256 gradations, may be obtained. In the case of 256 gradations, when y H = 0 and y s = 255 are set in the application of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images of 0 to 255 (256) gradations are duplicated in the dynamic range from H to S.

제4도에 있어서 레이져비임 발생기(15)로 부터의 레이지비임에 의해서 사진제판의 망점에 대응하는 계도강도치(y) 즉, 소정화소 블럭의 피복되는 화소의 비율에 의거해서 감광체상에 잠상이 형성된다.In FIG. 4, the latent image is imaged on the photoconductor based on the lattice intensity value y corresponding to the halftone of the photographic plate by the laser beam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15, that is, the ratio of pixels covered by the predetermined pixel block. Is formed.

즉, 변환부(11)에 의해서 얻어진 화소의 면적비율은 컬러찬넬 셀렉터(12)에 입력되어 ye', me', ce', ke'를 순차,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 출력은 A/D 변환되어 출럭부(4)로 입력된다.That is, the area ratio of the pixels obtained by the conversion unit 11 is input to the color channel selector 12 to sequentially and selectively output ye ', me', ce ', and ke'. This output is A / D converted and input to the output unit 4.

출력부(4)는 계조조정부(3)의 출력에 의거해서 도트컨트를부(14)에 있어서 레이거비임 발생기(15)의 컨트롤을 행한다.The output unit 4 controls the laser beam generator 15 in the dot control unit 14 based on the output of the gradation adjustment unit 3.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은 도시하지 않으나 다른복제 화상의 제작기기의 상기한 제3도∼제4도와 같은 모양의 계조조정부에 짜넣어져서, 이들 기기의 계조변환작업을 합리화할 수가 있다.Although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t is incorporated in the gradation adjustment units of the shapes shown in Figs. 3 to 4 of the other copying image production equipment, and the gradation conversion operation of these devices can be rationalized.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에 사용한 컬러필름원고, 컬러스캐너, 색교정(color proofing)은 아래와 같다.Color film originals, color scanners, and color proofing used in the examples are as follows.

(ⅰ) 컬러필름원고(Ⅰ) color film manuscript

컬러필름원고로서 F사제후지크롬 100D,4×5로 촬영한 표준품질의 여성인물상을 사용하였다.As a color film manuscript, a female figure of standard quality photographed with Fuji Chrome 100D, 4 × 5 manufactured by F Company was used.

상기 원고를 X-RITE농도계로 측정한 즉, H부 0.31, S부에서 2.72였으며 그의 농도범위(Dynamicrange)는 2.41이었다.The manuscript was measured with an X-RITE densitometer, that is, 2.72 in the H section 0.31 and S section, and its dynamic range was 2.41.

또한, 상기 컬러필름원고의 H와 S의 측정농도치가 표 4(표준컬러필름원고)와 거의 같은 것으로부터, 색분해전의 제판설계의 단계에 있어서 행하여야 할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에 의한 컬러스캐너 출력색판화상의 계조의 변화 및 본 발명에 의한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조정 혹은 상기계조변환식중의 γ치의 조정에 의한 동출력 색판화상의 계조의 안정화 효과에 관한 데이터는 표 4, 표 9 및 표11을 참고로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of the color film document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able 4 (standard color film document), the color due to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to be performed in the stage of plate making design before color separation. The data on the stabilization effect of the gray scale of the dynamic output color image by adjusting the gray scale of the scanner output color image and adjust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by adjusting the γ value in the gray scale conversion equation are shown in Tables 4 and 9. And Table 11.

(ⅱ) 컬러스캐너(Ii) color scanner

색분해에 사용한 칼러스캐너로서 ISOMET사제 455DIGITAL COLORSCANNER을 선정하여 이것에 의하여 기능을 부여하였다.455 DIGITAL COLORSCANNER made by ISOMET was selected as a calorie scanner used for color separation, thereby giving a function.

① 농도측정부가 H와 그의 근방부위에 있어서의 평균농도치(DHav)밑 S와 그 근방부위에 있어서의 평균농도치(DHav)를 표시 및 출력될수 있도록 하였다. 평균농도치로서 m회(m은 임의의 정수)측정하여 그의 산술평균치가 디지탈표시 및 출력되도록 짜넣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m=5회로 하였다.① the mean concentration values (DH av) of the mean concentration values (DH av) under the S region and its vicinity according to the density measurement portion H and its vicinity region was to be displayed and output. The average concentration value was measured m times (m is an arbitrary integer), and its arithmetic mean was incorporated into digital display and output. In this example, m was set to 5 times.

② 또, 계조변환부에는 본 발명의 상기 계조변환식에 의해서 농도치(Dn)로 부터 얻어진 광랴치(정규화 광량치)(Xn)을 망점면적 %치(y)로 변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였다. 또한, 소망의 광량치 (또는 농도치)의 부위에 있어서 소망의 망점면적 %치, 예를 들면 50%를 부여하는 γ치가 자동적으로 구하여지는 소프트웨어도 탑재하였다.(2) The gradation converting section is equipped with software which can convert the optical lychee (normalized light quantity value) Xn obtained from the density value Dn by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halftone area% value (y). Moreover, the software which automatically obtains the gamma value which gives a desired dot area% value, for example, 50% in the site | part of a desired light quantity value (or concentration value) was also mounted.

(ⅲ) 색교정(Iii) color correction

컬러스캐너에 의한 색분해후의 색교정으로서 D사 크로미린법을 채용하였다.As the color correction after color separation by a color scanner, the D company chrominine method was adopted.

(ⅳ) 색분해(Iii) color separation

실험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 즉 컬러필름원고의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을 저감시켰을때의 효과보다 구체적으로는 H와 S의 불균일성을 각각 0.0200 및 0.0500의 범위내로 머물게 했을때의 효과, 더욱 상기효과에 가해서 본 발명의 상기 (계조변환식)중의 계수 γ치에 의한 조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자 갑, 을의 두사람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컬러필름원고상에 H와 S의 부위를 설정하여 작업자 갑에게는 전자의 효과를, 작업자 을에게는 후자의 효과가 확인될 수 있도록 색분해작업을 행하였다. 또 각 색판(C,M,Y판)의 색분해커어브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계조변환식)의 운용조건은 아래와 같다.In the experimen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of the color film document, specifically, the effect of keeping the non-uniformity of H and S within the range of 0.0200 and 0.0500, resp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adjustment by the coefficient [gamma] value in the abov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persons of the worker and the worker were selected. Then, H and S portions were set on the color film document, and color separation was performed so that the former effect on the worker's head and the latter effect on the worker's body could be confirme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for setting the color separation curve of each color plate (C, M, Y version) are as follows.

C판: yH=5% ys=95%C version: y H = 5% y s = 95%

M=Y판:yH=3% ys=90%M = Y version: y H = 3% y s = 90%

γ치: 0.45(고정방식) 또는 임의로 변경(표 10∼표 11 참조)γ value: 0.45 (fixed method) or arbitrarily changed (see Tables 10 to 11)

갑은 컬러스캐너의 주사용헤드를 사용하여 H와 S의 농도치를 각각 10회 측정하였다. 또한 각회의 측정농도치는 각각 5회의 평균치로 된 것이다.The former measured 10 concentrations of H and S, respectively, using a color scanner injection head. In addition, each measurement concentration is an average of five times.

결과를 표12에 나타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또 을은 갑과 같은 모양으로하여 H와 S의 농도치를 각각 5회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3에 나타냈다.In the shape of A, the concentrations of H and S were measured five time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갑이 측정한 H와 S의 측정농도치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measured by A

[표 12] TABLE 12

을이 측정한 H와 S의 측정농도치Concentrations of H and S measured by

[표 13] TABLE 13

이상의 결과 갑에 의한 H와 S의 측정치의 불균일성의 범위는 표 12에서 0.3100∼0.2940=0,0160,2.7320∼2.6840=0.0480이며, 어느 것이나 표 9에서 예정한 H가 0.020, S가 0.0500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색분해작업은 표 12의 № 7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실시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As a result, the range of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values of H and S by A is 0.3100 to 0.2940 = 0,0160,2.7320 to 2.6840 = 0.0480 in Table 12.Either H is in the range of 0.020 and S is 0.0500 in Table 9. It was confirmed to enter. In addition, the color separ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of №7 in Table 12, but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또, 을에 의한 H와 S의 측정치의 불균일성의 범위는 표 13에서 감은 모양으로 어느 것이나 표 9에서 에정한 불균일성의 범위내에 들어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색분해작업은 표 13의 № 2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실시하였으나, 같은 모양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가 얻어졌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ange of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values of H and S by E was within the range of the nonuniformity defined in Table 9 as a wound form in Table 13. The color separ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data of №2 in Table 13, but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with the same shape.

다음에 색분해작업을 표 13의 № 2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과 함께 본 발명의 계조변환식중의 γ치를 조정하도록 하여 표 12의 № 7의 데이터에 기인한 색분해작업(γ=0.45의 고정식)과 같은 결과가 얻어지는가 않는가를 실험하였다. 표 13의 № 2의 데이터를 채용하는 이유는, 표 12의 № 7의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의 과리도가 최대의 것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는데에 최적의 비교케이스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Next, the color sepa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data of №2 in Table 13, and the γ value in the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so that the color separation operation due to the data of №7 in Table 12 is fixed (γ = 0.45). It was tested whether the result was obtained. The reason for employing the data of №2 in Table 13 is that the degree of data distortion is the largest with respect to the data of №7 in Table 12 and is considered to be an optimal comparison case for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2∼표 13의 비고란에 나타낸 바와같이 재판설계용 데이타에 의하면 계조변환식중의 γ치가 γ=0.45인 경우As shown in the remarks column of Tables 12 to 13, the trial design data shows that the γ value in the tone conversion equation is γ = 0.45.

·갑의 № 7(표 12)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1/4부터 C판의 망점면적 %치:50.4104% Of halftone point area of plate C from 1/4 in case of № 7 (Table 12) of the former: 50.4104

·을의 № 2(표 13)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1/4부의 C판의 망점면적 %치:49.3713% Dot value of C part of 1/4 part in case of №2 (Table 13) of o: 49.3713

으로 되어 양자는 동일하지 않다. 즉, 양자는 엄밀한 의미에서 같은 계조의 인쇄화상은 아니다.Both are not identical. In other words, both are not strictly printed images of the same gradation.

그리하여, γ치를 조정하여 γ=0.45를 γ=0.4921로 변경하고, 을의 №2(표 13)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색분해 작업을 행하였다. 또한, γ=0.4921일때부의 C판의 망점면적 %치는 50.4089(%)로 된다.Thus, the value of gamma was adjusted to change gamma = 0.45 to gamma = 0.4921, and color separation was carried out using data of No. 2 (Table 13). In addition, when γ = 0.4921 The% value of halftone area of negative C plate is 50.4089 (%).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한 갑과 을의 컬러교정 인쇄화상의 상태를 비교한 즉, 양화상은 거의 동질의 것이었다.Comparing the state of the color correction printed image of the former and A produc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two images were almost homogeneous.

상기 실험의 결과 본 발명은 예정한 바대로의 효과를 올릴 수가 있으며, 미리 H와 S의 위치를 지정해 주므로서 사진감재중의 은입자의 크기, 형상, 분포의 불규칙성, 스캐너오퍼레이터의 작업요령의 상이등에 좌우됨이 없이 컬러필름원고의 H와 S의 측정농도치의 불균일성에 의한 컬러스케너 출력 색판화상으로의 악 영향을 배제하고 항상 안정된 상태(계조와 색조)를 갖는 컬러 인쇄화상을 제작할 수가 있다.As a result of the above exper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as scheduled, and by specifying the positions of H and S in advance, the size, shape, distribution irregularity of the silver particles in the photographing material, and differences in the working instructions of the scanner operato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lor print image having a stable state (gradation and hue) at all times without any adverse effect on the color scanner output color plate image due to the nonuniformi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s of H and S of the color film document.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인쇄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컬러스캐너 혹은 다른 고품위의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한 이미지스캐너를 사용하여 연속계조이 컬러사진원고로 부터 망점계조의 복제화상을 제작하는 경우 최명부(H)로 부터 최암부(S)의 전체 다이너믹레인지에 걸쳐서 설계한 대로의 계조강도치(예를 들면 망점면 %치, 도트에 의한 화소의 피복율등)를 갖는 복제화상을 제작하는 것은 극히 곤란한 것이다.When using a color scanner for making a print image or an image scanner for making another high-quality replica image, when creating a continuous image of halftone gradation from a color photograph document of continuous gradation, from the sharpest (H) to the darkest (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oduce a duplicate image having a gradation intensity value (for example, a half-dot percent value, a coverage ratio of pixels by dots, etc.) as designed over the entire dynamic range of.

다시말하면, 설계대로 계조의 변환을 행하여 소망하는 복제화상을 안정적으로 또한, 효율좋게 제작하는 것을 극히 곤란하다.In other word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onvert the grad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to produce a desired duplicated image stab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은 특정의 계조변환식에 의해서 계조변환을 합리적으로 콘트롤 하는 것이지만 그 계조변환을 위한 초기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원고의 H와 S의 농도측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전기 H와 S의 농도측정에는 불가피적인 불균일성을 동반하는 것이며 그 측정농도치가 계조 변환에 극히 큰 악영향을 주는 것이 전기 계조변환식의 출력결과로 부터 정량적으로 파악된다. H와 S의 농도측정에 의한 불균일성은 계조 재현을 위한 중요한 영역인 H∼중간조(中間調, 밝음과 어두움의 중간)에 있어서 10% 가깝게 계조강도치에 차이를 가져온다. 이것은 인간의 시각능력에 대해서 극히 큰 영향력을 주는 것이다.In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dation conversion is reasonably controlled by a specific gradation conversion equation, but the density measurement of H and S of the original for setting the initial conditions for the gradation conversion must be performed. However,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electricity H and S is accompanied by unavoidable nonuniformity, and it can be quantitatively determined from the output result of the electric gradation conversion that the measured concentration value has a very bad effect on the gradation conversion. The nonuniformity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H and S makes a difference in gradation intensity values close to 10% in H to midtones (medium, light and dark), which are important areas for gray scale reproduction. This is extremely influential on human vision.

본 발명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을 적용해서 고품위의 복제화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종의 복제화상제각용의 기기에 있어서 전기 H와 S의 농도측정 불균일성을 평균화해서 평균농도치를 얻기 위한 농도측정부, 및 본 발명의 계조변환부에 의해서 계조변환을 행하는 계조변환부를 짜 넣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것에 의해서 항상 설계대로의 복제화상을 제작할 수가 있다.In order to produce a high quality replica image by applying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nsity measuring unit for averaging the density measurement nonuniformity of electricity H and S in various apparatuses for replicating images to obtain an average concentration value, and Although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a tone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tone conversion by the tone conversion unit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ways produce a duplicate image as designed.

상기한 것의 의의는 지극히 크며, 예를 들면 인쇄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제판 작업의 효율성 즉 손판의 저감 또는 해소, 관련자재의 절약, 작업시간의 단축화, 제품의 납기 단축화등에 공헌한다.The above is extremely significant and, for example, in the production of printed images, it contributes to the efficiency of plate making, namely, reduction or elimination of hand plate, saving of related materials, shortening of working time, shortening of product delivery time, and the like.

또한, 인쇄화상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변환이 합리적, 정량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색분해 작업(계조변환 침 분색작업, 후자는 컬러코렉션을 포함함)에 관한 작업자(operator)의 정량적, 과학적인 교육, 고객의 욕구의 실현등의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since manufacturing conversion is performed rationally and quantitatively in the production of printed images, quantitative and scientific education of the operator regarding color separation operations (gradation conversion bleaching operation, the latter including color correction), and customers Excellent effect in terms of realization of needs.

상기한 점은 인쇄화상의 제작에 국한되지 않고 북제화상에 대하여서도 말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above point is not limited to the production of a print image, but can also be said of a book image.

Claims (4)

연속계조의 컬러사진원고 화상을 계조변환하여 망점계조의 복제화상을 제작할때의 화상의 계조변환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계조변환이 (ⅰ) 컬러사진원고상에 지정된 최명부(H)와 최암부(S)의 농도치로서, H와 그의 근방부위 및 S와 그의 근방부위의 대표농도치(DHav,DSav)를 입수하는 공정 (ⅱ) H∼S에 이르는 각 화소점(n점)을 스캔(Scan)하여 각 화소점의 농도치(Dn)를 입수하는 공정 (ⅲ) 농도치를 나타내는 세로축(D축)과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를 나타내는 (X축)의 D-X직교좌표계에 규정되는 컬러사진원고의 촬영에 제공한 사진감재의 농도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H와 S의 대표농도치(DHav,DSav)및 각 화소점의 농도치(Dn)를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Xn)로 변환하는 공정 (ⅳ) 상기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Xn)을 하기 계조변환식을 사용하여 계조강도치(y)로 변환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법.In th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an image when gradation of a color gradation image of a continuous gradation to produce a duplicate image of a halftone gradation, the gradation conversion of the image is (i) the sharpest part (H) and the darkest part (S) designated in the color manuscript. Obtaining a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 (DH av , DS av ) of H, its vicinity, and S and its neighborhood (ii) as a concentration value of (ii) scanning each pixel point (n point) from H to S Process of obtaining the density value Dn of each pixel point (i)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ic document defined in a vertic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of the vertical axis (D axis) indicating the density value and the (X axis) indicating the image information value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Converting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s (DH av , DS av ) of the H and S and the density values (Dn) of the pixel points into image information values (Xn)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using the provided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Iii) Gradation steel using the following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for the image information value Xn Value (y) of a gray-scale image transformation step being configured to convert the. 계조변환식Gradation Conversion y=yH+[α(1-10-k.x)/(α-β)]·(ys,-yh)y = y H + [α (1-10 −kx ) / (α-β)] · (ys, -yh) 단, 상기 계조변환식에 있어서However, in the gradation conversion formula X : X=(Xn-XH)로 나타내는 기초광량치.X: Basic light quantity value represented by X = (X n -X H ). 즉 원고상의 임의의 화소(n점)의 농도치(Dn)로 부터 상기 D-X 직교 좌표계에서 규정되는 농도특성곡선을 통하여 구한 광량에 상관한 화상 정보치(Xn)와 상기 H부의 대표농도이(DHav)대응하는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XH)의 치를 나타냄.In other words, from the density value Dn of an arbitrary pixel (n point) on the original, the image information value X n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light obtained through the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defined in the DX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and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of the H portion (DH av) ) Represents the value of the image information value (X H ) correlated with the corresponding amount of light. y : 원고상의 임의의 화소(n점)에 대응하는 복제화상상의 화소의 계조강도치.y: gradation intensity value of the pixel on the duplicate image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pixel (n point) on the original. yH: 윈과상의 H에 대응하는 복제화상상의 H에 대하여, 미리설정되는 계조강도치.y H : The gradation intensity value preset for H of the duplicate image corresponding to H of the win image. ys: 원고상의 S에 대응하는 복제화상상의 S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는 계조강도치.y s : Gradation intensity value preset for S of the duplicate image corresponding to S on the original. α : 복제화상의 기록용지의 표면반사율α: surface reflectivity of the recording paper of the duplicate image β : β=10에 이하여 결정되는 수치β: numerical value determined by β = 10 K : K=γ/(Xs-X11)에 의해 결정되는 수치 단, 상기식에 있어서 Xs는 상기 S부의 대표농도치(DSav)로 부터 상기 D-X 직교 좌표계에서 규정되는 농도특성곡선을 통하여 구한 광량에 상관하는 화상정보치를 나타냄.K: Numerical value determined by K = γ / (X s -X 11 ), wherein X s is a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defined in the DX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from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value (DS av ) of the S part. Represents the image information value correlated to the obtained amount of light. γ : 임의의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γ: represents an arbitrary coefficient,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특성곡선이 사진용감광재료의 흑화도(농도D)와 노광량(·E)의 대수치(log E)의 상관을 나타내는 사진농도특성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 변환법.The gradation of the im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is a photograph concentration characteristic curve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blackening degree (concentration D) of the photosensitive photosensitive material and the logarithmic value (log E) of the exposure amount (E). Trans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특성곡선을 규정하는 D-X직교 좌표계의 D(세로)측-X(가로)축의 눈금(Scaling)에 있어서, X축 눈금이 D축 눈금과 동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법.An im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caling of the D (vertical) side-X (horizontal) axis of the DX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defining the density characteristic curve, the X-axis scale is equal to the D-axis scal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Xn)가 [Xs-XH]치(광량에 상관한 화상정보치의 다이나믹레인지]를 1.0으로 조정했을때의 정규화 광량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계조변환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value X n correlated with the light quantity is a normalized light quantity value when the [X s -X H ] value (dynamic range of the image information value correlated with the light quantity) is adjusted to 1.0. Gradation conversion method of image to be made.
KR1019930009687A 1993-05-31 1993-05-31 Tonal conversion method of a picture KR0128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687A KR0128707B1 (en) 1993-05-31 1993-05-31 Tonal conversion method of a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687A KR0128707B1 (en) 1993-05-31 1993-05-31 Tonal conversion method of a pi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8707B1 true KR0128707B1 (en) 1998-04-04

Family

ID=1935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687A KR0128707B1 (en) 1993-05-31 1993-05-31 Tonal conversion method of a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70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5315A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tone and color reproduction of electronic image on hard copy using a closed loop control
JP2796718B2 (en) Imag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EP0341666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EP0282305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JPH03258164A (en) Picture forming device
US5313310A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GB2301253A (en) Tonal control of halftone colour image
KR0128707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of a picture
JPH06225145A (en) Picture gradation conversion method
KR920005056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JP2787216B2 (en) Ink jet printer
KR0128706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KR930004062B1 (en) Thermal printer
KR930001614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JP2787217B2 (en) Laser beam printer
KR910007217B1 (en) Gradation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
JPH06225144A (en) Color scanner
JP2791325B2 (en) Thermal printer
KR920009979B1 (en) Laser beam printer
JP2743070B2 (en) Image characteristics conversion processing method
KR0156295B1 (en) Ink jet printer
JP2863258B2 (en) Thermal printer
KR920008903B1 (en) Picture changing method for fax
KR930002877B1 (en) Tonal conversion method for pictures
JP3083581B2 (en) Tone conversion method for negative color orig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