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381Y1 -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 Google Patents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381Y1
KR0128381Y1 KR2019960001673U KR19960001673U KR0128381Y1 KR 0128381 Y1 KR0128381 Y1 KR 0128381Y1 KR 2019960001673 U KR2019960001673 U KR 2019960001673U KR 19960001673 U KR19960001673 U KR 19960001673U KR 0128381 Y1 KR0128381 Y1 KR 0128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ube
pieces
net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594U (ko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이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국 filed Critical 이진국
Priority to KR2019960001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381Y1/ko
Publication of KR970050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3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어류 유인용 관체 분야.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각종 어구(漁具)의 프레임이나 그물등에 어류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어분이나 생선조각 등을 내장한 다공성의 튜브형 또는 호스형으로 된 관체를 결속하여 해저에 투하하므로서 생선의 냄새에 의해 어류의 포획능률을 일층 높일 수 있게 한 것임.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튜브 또는 호스형상의 관체(1)를 구성하여 이의 외주연에 다수의 미세한 통공(2)를 천설하여 내부의 공간부(3)에는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내장하여 통상의 어구(7)의 프레임(8)이나 그물(9)등에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것임.
[고안의 중요한 용도]
어류 유인용 관체 용도.

Description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을 통발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그물망에 적용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체 2 : 통공
3 : 공간부 4 : 절결부
5 : 결합돌기 6 : 결합홈
7 : 어구 8 : 프레임
9 : 그물
본 고안은 각종 어구(漁具)의 프레임이나 그물등에 어류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어분이나 생선조각 등을 내장한 다공성의 튜브형 또는 호스형으로 된 관체를 결속하여 해저에 투하하므로서 생선의 냄새에 의해 어류의 포획능률을 일층 높일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각종 통발등의 어구를 이용하여 어류를 포획할 경우는 어구의 내부에 별도로 어류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먹이통을 내장하여 해저에 투하하므로서 자연적인 냄새의 발생으로 인해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어류 포획방법은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즉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주로 그물망이나 통발등의 내부에 별도로 먹이통을 내장하므로서 어류를 유인하여 포획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어류의 포획량을 증대할 목적으로 내부에 미량의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내장하여 어류를 포획하여야 하므로 먹이통의 규격이 소형으로 될 수밖에 없어서 냄새를 발생하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상기와 같은 자연적인 냄새의 발생은 해수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수 없으며, 특히 어구의 내부에 먹이통이 내장된 상태이므로 어류의 유인에 따른 시간의 소요가 과도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내부의 먹이통에 내장된 어분이나 생선조각 등의 먹이가 허실되는 경우가 잦아 매번 투하시마다 먹이통을 교환하거나 새로운 먹이를 내장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도 동시에 수반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먹이를 내장한 부속물을 결속하는 경우가 가끔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사용도중 어구가 이동하거나 장지간 투하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먹이가 어구와 분리되어 먹이의 허실이 과도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어류의 유인 능률이 매우 저조하여 포획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통상의 어류 포획용 그물이나 통발등의 적정위치에 일체적으로 결속할 수 있는 튜브형이나 호스형의 다공성 관체를 구성하여 이의 내부에는 어분이나 생선조각 등의 먹이를 내장하여 어구의 형상에 부합되게 결속을 하므로서 해저에 투입할 경우 어류의 유인을 매우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어류가 냄새를 맡고 유인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하므로서 어류의 포획을 매우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특히 한번 설치를 하고 난 후에는 투하를 할 경우마다 먹이를 교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각종의 어류 포획용 먹이 관체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관체를 독립된 구조로서 표현한 것으로, 본 고안을 튜브 또는 호스형상의 관체(1)를 구성하여 이의 외주연에 다수의 미세한 통공(2)을 천설하여 내부의 공간부(3)에는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내장하여 통상의 어구(7)의 프레임(8)이나 그물(9)등에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제5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관체(1)를 이중으로 분할 구성하여 절결부(4)를 형성하고, 각각의 관체(1)의 절결부(4)의 단부에는 결합홈(6)과 결합돌기(5)를 교호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공간부(3)의 내부에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내장하여 상호 끼움으로 결합하므로서 통상의 어구(7)의 프레임(8)이나 그물(9)에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변형실시예의 경우는 공간부(3)의 내부에 어분이나 생선조각의 내장을 용이하게 하는 잇점이 있으며, 이러한 변형실시예 역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능과 동일한 것이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관체(1)는 합성수지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또는 대나무 등의 재질로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사전에 성형시 일정한 형상의 고형으로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 호스나 튜브형으로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어구(7)의 형상에 부합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관체(1)를 어구(7)에 결속하는 수단 역시 끈등으로 묶을 수도 있을 것이고, 철사등의 결속 수단이나 기타 전문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결속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로 관체(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3)에 어분이나 생선등을 내장하여 통발등 어구(7)의 프레임(8)이나 그물(9)등에 결속하여 해저에 투하하므로서 어류의 포획을 매우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주로 자동화 공정에서 튜브형이나 호스형으로 압출하여 관체(1)를 성형하고, 표면에 다수의 미세한 통공(2)을 천설한 다음 이를 일정 규격으로 절단을 하여 관체(1)의 공간부(3)내부에는 자동화 공정으로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투입하며, 이를 통상의 통발등 어구(7)의 프레임(8)이나 그물(9)에 결속을 하여 해저에 투하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체(1)의 공간부(3)에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투입하는 것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작업으로서 투입할 수 있을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자동화 공정이나 분사의 공정으로 투입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투입하는 방법은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키로 하고, 상기와 같은 관체(1)는 주로 임의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고, 호스나 튜브형으로서 연속 반복되게 압출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성형상의 공정이나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는 일단 관체(1)의 내부측 공간부(3)에는 어분이나 생선조각이 내장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미세한 통공(2)이 천설되어 있으므로 공간부(3)의 내부에 내장된 어분이나 생선조각에 의해 비린내가 퍼지게 되어 어류의 유인이 매우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미끼가 관체(1)의 공간부(3) 내부에 잔류하게 되어 허실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냄새는 다수의 미세한 통공(2)을 통해 분산되어 이동되므로 어류의 유인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기존의 경우와 같이 미끼가 어구(7)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가 아니고 외측에 노출상태로 결속되어 있으므로 냄새의 분산이 매우 빨리 이루어져 어류의 포획을 매우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재질 자체가 합성수지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또는 대나무 등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음은 물론 양산성이 매우 우수하여 성형상의 잇점도 동시에 부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중 제5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체(1)를 단일로 구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관체(1)를 이중으로 분할 구성하여 이의 내부에는 어분이나 생선조각 등을 내장한 후 절결부(4)에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5)와 결합홈(6)에 의해 상호 끼움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는 관체(1)의 공간부(3) 내부에 미끼를 내장하기가 매우 용이한 잇점이 부가되며, 특히 성형상의 잇점도 동시에 득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변형실시예의 경우도 본 고안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이나 작용상의 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제작상의 여건이나 경제성과 실용성 등을 적절히 감안하여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체(1)의 공간부(3)내에 내장되는 어분은 통상의 어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어류를 유인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동물가루나 각종의 다양한 가공식품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 등을 내장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어분 대신에 내장하는 여러 가지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도 본 고안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 역시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통발등 각종 어구의 프레임이나 그물등에 결속할 수 있는 관체를 구성하여 외주연에 미세한 통공을 다수 천설하므로서 내부의 어분이나 생선조각에 의한 어류의 유인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하여 단시간에 많은 어류를 유인하며, 어류의 포획 능률을 일층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고, 특히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여 각종의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로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튜브 또는 호스형상의 관체(1)를 구성하여 이의 외주연에 다수의 미세한 통공(2)를 천설하여 내부의 공간부(3)에는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내장하여 통상의 어구(7)의 프레임(8)이나 그물(9)등에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2. 제1항에 있어서, 관체(1)를 이중으로 분할 구성하여 절결부(4)를 형성하고, 각각의 관체(1)의 절결부(4)의 단부에는 결합홈(6)과 결합돌기(5)를 교호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공간부(3)의 내부에 어분이나 생선조각을 내장하여 상호 끼움으로 결합하므로서 통상의 어구(7)의 프레임(8)이나 그물(9)에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KR2019960001673U 1996-02-01 1996-02-01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KR0128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673U KR0128381Y1 (ko) 1996-02-01 1996-02-01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673U KR0128381Y1 (ko) 1996-02-01 1996-02-01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594U KR970050594U (ko) 1997-09-08
KR0128381Y1 true KR0128381Y1 (ko) 1998-10-15

Family

ID=1945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673U KR0128381Y1 (ko) 1996-02-01 1996-02-01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3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594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2811A (en) Fishing lure and lure enhancement kit
US4747228A (en) Fishing lure
KR10209904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US20050268525A1 (en) Bait holding system
IE64238B1 (en) Fish bait
KR102018065B1 (ko) 유인물질을 이용한 낚시용 인공미끼
US10709121B2 (en) Flexible fishing lure having an integral re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827657A (en) Fishing equipment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20130031822A1 (en) Artificial bait featuring an overmolded fish attractant sponge and ports through which fish attractant exudes
KR0128381Y1 (ko) 어류 유인 기능을 갖는 관체
US5456039A (en) Fishing lure
US2826853A (en) Fish bai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0408875Y1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1863449B1 (ko) 낚시용 인조 미끼 및 제조 방법
DE60138653D1 (de) Köder mit verlängerter langlebigkeit für die reuse-fischerei
US7174670B2 (en) Salmon egg chain
JP2017023099A (ja) 捕獲器
JP3870362B2 (ja) 魚釣り用ルアー
US20230180731A1 (en) Time release bait container
US20040216356A1 (en) Fly-type fishing lure
KR950006286B1 (ko) 탄(彈)떡밥
KR101838549B1 (ko) 유령어획방지용 통발
KR200244845Y1 (ko) 통발의 미끼 투입구
KR200230556Y1 (ko) 어망용 집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