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752Y1 - Document bookbinding - Google Patents
Document bookbin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7752Y1 KR0127752Y1 KR2019950031955U KR19950031955U KR0127752Y1 KR 0127752 Y1 KR0127752 Y1 KR 0127752Y1 KR 2019950031955 U KR2019950031955 U KR 2019950031955U KR 19950031955 U KR19950031955 U KR 19950031955U KR 0127752 Y1 KR0127752 Y1 KR 01277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support belt
- hole
- protrusion
- bin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본물에 관한 것으로서, 제본된 서류를 언제든지 다시 제본할 수 있는 서류 제본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류 제본물은 분량이 많은 서류를 제본하기 위하여 지지띠와 고정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띠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받침대가 부착도며, 상기 고정대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띠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턱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는 홈이 형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binding, to provide a document binding that can be bound again at any time the bound document. The bookbind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support belt and a holder for binding a large amount of documents,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elt, and a bottom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belt. A hole into which a belt is inserted is formed, and a protrusion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jaw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e, and a groove is formed at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서류 제본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본된 서류를 다시 제본할 수 있는 서류 제본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ocument bin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cument binding capable of binding the bound document again.
통상적으로, 서류를 제본하기 위해서는 호츠키스나 철책, 끈 등을 이용하거나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물을 이용하는데, 상기 호츠키스는 서류의 분량이 적은 경우에만 사용이 되어 한정성이 있고 녹이 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철책은 호츠키스보다는 서류의 분량이 많은 경우에 사용하기는 하나 녹이 스는 문제와 함께 서류의 보안성이 없는 단점 그리고 내구성이 취야한 문제가 있고 끈의 경우에는 많은 분량의 서류를 묶을 수는 있으나 외관이 불량하고 서류의 보안성이 저조하며 내구성이 취약한 등의 단점이 있다.Typically, to bind a document, a hotkeys, an iron fence, a string, or the like is used, or a binding material as shown in FIGS. 5 to 9 is used. The hotkeys are used only when the amount of documents is small. There are limitations and rust is a disadvantage. The iron fence is used when the amount of documents is larger than Hotsky, but there are rust problems, the security of the documents is not secure, and there is a problem of durabilit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documents can be bundled, but the appearance is poor, the security of the documents is low, and the durability is weak.
그리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류(100)에 봉체(30)를 삽입한 후 고정쇠(40)를 봉체(30)의 상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삽입시키는 제본물은 서류를 펼칠 때 봉체(30)가 꺾이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고정쇠(40)가 쉽게 탈리되어 서류의 보안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분실이 잘되는 단점이 있다.And, as shown in FIG. 5, after inserting the rod 30 into the document 100, the binding material for inserting the clamp 4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3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is the rod body when opening the document (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30 is bent, and the clamp 40 is easily detached, so that not only the security of the document is lacking but also the loss is good.
제6도와 같은 제본물은 줄(53)에 여러개의 구슬(5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는 지지판(50)에연결되며, 상기 지지판(50)에는 원형구멍(51)과 직선형구멍(52)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는 서류의 펀칭구멍 속으로 줄(53)을 관통시킨 다음 줄(53)을 지지판(50)의 직선구멍(51)에 걸리게 하면 결국 구슬(54)이 걸려서 마침내 서류를 제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결착력이 매우 부족하고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어 합리적이지 못하였다.In the bookbinding material of FIG. 6, a plurality of beads 54 are formed in a line 53 at regular intervals, which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50, and the support plate 50 has a circular hole 51 and a straight hole 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 line 53 is penetrated into the punching hole of the document, and then the line 53 is caught in the straight hole 51 of the support plate 50 so that the ball 54 is caught and finally the document can be bound. This was very inadequate and easily separated, which made it unreasonable.
제7도의 경우는 열가소성 수지로 봉체(60)를 제작하며 일단부는 받침단(61)으로 형성하고 타단부는 직선을 유지케 하는 제본물이다. 이는 서류의 펀칭구멍 속으로 봉체(60)를 삽입한 후 서류의 높이보다 상기 봉체(60)의 높이가 약 1㎝ 정도 돌출되도록 맞추어 절단한 다음(이때 서류의 높이와 상기 봉체의 높이가 적당히 비례를 이루면 절단한 필요가 없음), 상기 서류 위로 돌출된 부분에열을 가하여 고정단(62)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서류의 재제본이 불가능하여 불편하고 고정단(62)에 열을 가하여야 함으로 역시 번거롭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고정단(62)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펀칭구멍 속으로 딸려 들어가는 등의 단점이 있다.In FIG. 7, the rod 60 is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one end of which is formed by the supporting end 6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bookbinding material. It inserts the rod 60 into the punching hole of the document and cuts it so that the height of the rod 60 is projected about 1 cm above the height of the document (the height of the document and the height of the rod are properly proportional). If it does not need to cut), by applying heat to the protruding portion over the document to form a fixed end (62). However, this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rebind the documents and the heat to the fixed end 62 is also cumbersome and dangerous as well as the lack of the support of the fixed end 62 comes into the punching hole.
다음, 제9도의 경우는 철사(70)를 디귿자 모양으로 성형하여서 서류를 제본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서류의 펀칭구멍 속에 철사의 양 단부를 삽입한 후 노출된 단부를 90도로 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녹이 스는 문제와 함께 서류의 보안성이 극히 저조하고 결착력이 약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Next, in the case of FIG. 9, the wire 70 is formed into a depressed shape to bind the document, and both ends of the wire are inserted into the punching holes of the document, and then the exposed end is bent at 90 degrees.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rusting and extremely low security of documents and weak binding.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본된 서류를 언제든지 다시 제본할 수 있는 서류 제본물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cument binding that can be bound again at any time the bound documen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본된 서류로부터 착탈이 용이한 서류 제본물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cument binding easily removable from the bound docu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서류 제본물은 분량이 많은 서류를 제본하기 위하여 지지띠와 고정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띠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받침대가 부착되며, 상기 고정대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띠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턱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멍과 홈 사이를 플랙시블하게 움직이면서 상기 지지띠와 고정대를 삽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ookbinding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belt and a fixed fixture for binding a large amount of documents, and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elt, and a pedestal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And a hole into which the support belt is inserted, and a protrusion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jaw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e, and a groove is formed at an outside of the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elt and the guide while the flexible movement between the hole and the groove to insert and remove.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서류 제본물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inding of the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류 제본물에서 고정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in the binding of the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류제본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of document bi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 내지 제9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서류 제본물들으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5 to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use of document binding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지지대 11 : 걸림홈10: support 11: locking groove
12 : 받침대 20 : 고정대12: pedestal 20: holder
21 : 구멍 22 : 돌출부21: hole 22: protrusion
23 : 홈 24 : 걸림턱23: groove 24: jaw
100 : 서류100: document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류 제본물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제본물은 분량이 많은 서류(100)를 묶기 위한 지지띠(10)와, 상기 지지띠(10)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대(20)로 구성되며, 이들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플랙시블한 수지계 재질로 되어있다. 즉, 상기 지지띠(10)의 하단에는 서류(100) 면과 접촉하는 받침단(12)가 부착되며, 상기 지지띠(10)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1)이 미세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20)는 중간부분에 상기 지지띠(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21)이 형성되며, 사기 구멍(21)의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걸림턱(24)을 가지는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2)의 외측에는 즉, 상기 걸림턱(24)이 있는 반대편에는 소정 깊이의 홈(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2)는 구멍(21)과 홈(23) 사이를 플랙시블하게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20)의 상단면은 반원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하단면은 상기 서류(100) 면과 접촉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1 and 2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document bi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bookbinding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belt 10 for tying a large amount of documents 100, and a holder 20 for fastening the support belt 10,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flexible. It is made of one resin material. That is, the supporting end 12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elt 10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ocument 100,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11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belt 10 at minute intervals. do. In addition, the fixing stand 20 has a hole 21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so that the support belt 10 can be fitted therein, and a protrusion 22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jaws 24 inside the fraud hole 21. ) Is formed. A groove 23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22,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locking jaw 24 is locate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2 is formed to move flexibly between the hole 21 and the groove (23). Here, the top surface of the holder 20 is formed while forming a semi-circle an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flat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document 100.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분량이 많은 서류를 제본하고자 할때는, 먼저 펀칭기로 서류에 구멍을 뚫은 후, 상기 펀칭구멍 속으로 지지띠(10)를 삽입시킨다 이때 제본자는 통상 서류(1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지지띠(10)를 삽입시킨다. 이후 고정대(20)의 돌출부(22)를 홈(23) 쪽으로 젖힌 다음, 사기 펀칭구멍을 통과한 지지띠(10)를 고정대(20)의 구멍(21)으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22)의 걸림턱(24)은 지지띠(10)의 걸림홈(11)에 결합되며(걸리게 되고),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띠(10)와 고정대(20)는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20) 위로 지지띠(10)가 많이 노출되면 미관상 불량하고 거추장스러우므로 제4도의 상태와 같은 상기 고정대(20) 위로 노출되었던 지지띠(10)를 니퍼나 칼로 절단시킨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binding a large amount of documents, first punch a hole in the document with a punching machine, and then inserts the support strip 10 into the punching hole. Insert the support belt 10 upward. Thereafter, the protrusion 22 of the holder 20 is flipped toward the groove 23, and then the support belt 10 passing through the punch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hole 21 of the holder 20. Then, the engaging jaw 24 of the protrusion 22 is coupled to (engaged) the engaging groove 11 of the support belt 10, as shown in Figure 3 the support belt 10 and the fixing table 20 ) Is fixedly coupled. In this case, when the support belt 10 is exposed to the holder 20 much, it is aesthetically poor and cumbersome, so that the support belt 10 that has been exposed on the holder 20 as shown in FIG. 4 is cut with a nipper or a knife.
이와 반대로, 상기 지지띠(10)를 고정대(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고정대(20)의 돌출부(22)를 홈(23) 쪽으로 젖힌다. 그러면 상기 고정대(20)의 걸림턱(24)은 지지띠(10)의 걸림홈(11)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이어서 받침단(12)를 잡고 당기면 상기 지지띠(10)는 고정대(2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upport belt 1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20, first, the protrusion 22 of the holder 20 is flipped toward the groove 23. Then, the locking jaw 24 of the holder 20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11 of the support belt 10, and then the support belt 10 is easily pulled from the holder 20 by holding the support end 12 and pulling it. Are separated.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세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을 이용하여 고정대를 탄력 있고 단단하게 지지띠와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착 지지력이 대단히 양호할 뿐만 아니라 서류의 제본상태가 좋아지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가 지지띠와 잘 분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서류의 보안성이 우수하고, 유사시에는 돌출부를 강하게 젖히면 양자간에 파손이나 손상없이 고정대를 지지띠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서류 제본물은 사용이 편리하며 외고나이 미려한 장점이 있고, 상기 지지띠와 고정대의 재질을 질기고 탄성이 강한 수지계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또한 종래의 제본물보다 훨씬 뛰어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support belt elastically and firmly using the locking grooves formed at fine intervals, so that the binding support is very good and the binding state of the documents is improved. have. In addition, since the holder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belt well, the security of the document is excellent, and in case of a strong protrusion, the hold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belt without damage or damage between the two holders. In addition, the bookbinding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the advantage of beautiful outside age, and the durability of the support belt and the base of the fixing and using a strong elastic resin system also has a far superior effect than the conventional bookbinding.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1955U KR0127752Y1 (en) | 1995-10-26 | 1995-10-26 | Document bookbin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1955U KR0127752Y1 (en) | 1995-10-26 | 1995-10-26 | Document bookbind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6590U KR970016590U (en) | 1997-05-23 |
KR0127752Y1 true KR0127752Y1 (en) | 1998-12-01 |
Family
ID=1942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31955U KR0127752Y1 (en) | 1995-10-26 | 1995-10-26 | Document bookbin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7752Y1 (en) |
-
1995
- 1995-10-26 KR KR2019950031955U patent/KR012775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6590U (en) | 1997-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47524A (en) | Resilient sheet-steel paper clip | |
KR920010255B1 (en) | Bookbinding strips | |
FI91835C (en) | Holder for tools and the like on perforated discs | |
EP0646067A1 (en) | A paper fastener. | |
US5257870A (en) | Paper retaining means | |
KR930000558B1 (en) | Document binding strips and file suspension | |
KR0127752Y1 (en) | Document bookbinding | |
CN110843379A (en) | Loose-leaf binding device | |
US4606666A (en) | Paper binder | |
US5682650A (en) | Sheet clipping device | |
HU215071B (en) | Clip for holding and/or keeping together preferred sheets of paper | |
JPH034082U (en) | ||
US2724627A (en) | Counter divider | |
KR200232047Y1 (en) | Document binding | |
WO2007039190A1 (en) | Method and composite device for punching decorative figures | |
KR870002846Y1 (en) | Binder | |
KR200258627Y1 (en) | Magic clip | |
KR100509701B1 (en) | Paper tie | |
KR19990020067U (en) | Bookmark marker | |
JP4338941B2 (en) | Clip to post a piece of paper | |
JPS6111012Y2 (en) | ||
JPH08187985A (en) | Slide type binding tool | |
JPS5933666Y2 (en) | File regulator | |
CA2353741A1 (en) | Sign holder | |
KR200188052Y1 (en) | Clip for fixing nameplate-r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