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504Y1 -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 Google Patents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504Y1
KR0127504Y1 KR2019960000520U KR19960000520U KR0127504Y1 KR 0127504 Y1 KR0127504 Y1 KR 0127504Y1 KR 2019960000520 U KR2019960000520 U KR 2019960000520U KR 19960000520 U KR19960000520 U KR 19960000520U KR 0127504 Y1 KR0127504 Y1 KR 0127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eramic coating
ceramic
prese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039U (ko
Inventor
김병호
Original Assignee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호 filed Critical 김병호
Priority to KR2019960000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504Y1/ko
Publication of KR970049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적 열전도체로 제조하되 양측단을 침상의 팁부(11)와 봉상의 삽입부(13)로 구성하고 팁부(11)와 삽입부(13)사이에 세라믹으로 코팅을 행하여 세라믹 코팅부(12a,12b)를 형성햐여 구성한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1)을 고주파가열기(2)에 장착하여 비수술적 요법으로 간단하게 액취증을 치료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electrode)
제1도는 본 고안의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의 사용상태도이며,
제3도는 인체의 액취중 치료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2 : 고주파가열기
3 : 표피 4 : 진피
5 : 한선 6 : 피하지방
11 : 팁(tip)부 12a,12b : 세라믹 코팅부
13 : 삽입부
본 고안은 비수술적 요법으로서 액취증을 치료할 수 있는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electrode)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황봉상의 전기적 열전도체의 양측단을 침상의 팁(tip)부와 봉상의 삽입부로 구성하고 팁부와 삽입부사이에 세라믹으로 코팅을 행하여 세라믹 코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에 관한 것이다.
액취증은 액와부에 많이 존재하는 한선(Apocrine gland, Sweat gland)에서 분비되는 땀의 성분에 이상이 발생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사춘기에 나타나기 시작하므로 액취증 환자에게는 심각한 문제이며, 심한 경우에는 정신과적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상술한 액취증 치료방법으로는 단순절제술, 단순절제술 및 피부판 작성술, 진피절제술(Dermal shaving method), INABA 면도기를 사용하는 법 등과 같은 수술방법이 종래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수술자의 경험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법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이 부가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취증 치료방법은 근본적으로 수술에 의한 치료방법이므로 액취증 환자가 입원을 하여 수술을 받은 후, 겨드랑이 부위가 어느정도 완치될때까지 안정하고 있어야 하므로 환자의 입장에서는 경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아니라 치료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수술자의 입장에서는 치료가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수술적 요법으로써 액취증을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는 액취증 치료방법을 제공하며,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액취증 치료방법에 적용하여 수술을 행하지 않고도 완치시킬 수 있는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의 사용상태도이며, 제3도는 인체의 액취증 치료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1)은 전기적 열전도체로 제조하되 양측단을 침상의 팁부(11)와 봉상의 고주파가열기 삽입부(13)로 구성하고 팁부(11)와 삽입부(13)사이에는 세라믹으로 코팅을 행하여 세라믹 코팅부(12a,12b)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고주파가열기(2)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특히, 소작봉(1)의 재료로는 세라믹코팅을 행하되 단순코팅이 아닌 세라믹과 화학결합이 일어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코팅부(12a)는 필수적으로 세라믹코팅을 해야하고, 또한 그 표면은 표피(3) 및 진피(4)와 접촉되기 때문에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며, 세라믹 코팅부(12b)는 세라믹코팅이나 기타 단열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세라믹과의 화학결합이 일어날 수 있는 니켈-크롬(Ni-Cr) 합금을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1)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본 고안은 한선(Apocrine gland)이 진피의 밑 깊숙한 곳과 더 흔히는 피하지방에 대부분 분포한다는 사실과 한선은 주로 소낭(hair folicle)으로 땀을 배출시키고 있어서, 전기소작(electro coagulate)시 한선만이 부분소작이 안되고 그 주위(표피 또는 진피)까지 열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피하에 천자(puncture)하는 소작봉의 일부, 즉 세라믹 코팅부(12a)만 세라믹으로 도포하면 진피(dermis)와 표피(Epidermis)에 손상을 주지않을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안출된 것이다. 따라서, 세라믹 코팅부(12a)는 표피(3)와 진피(4)에 두께이상에 해당되는 길이로 코팅을 시행한다. 세라믹 코팅부(12a)의 길이는 1∼1.5c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의 소작봉(1) 재료로서 Ni-Cr 합금과 세라믹이 서로 화학적 결합을 하여 피부천자시의 열충격, 소독시의 열에 의하여 도포된 세라믹이 떨어져 나가지 않아야 피부에 생기는 화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소작봉(1)의 팁부(11)는 천자가 용이하도록 침상형으로 제조하며, 삽입부(13)는 고주파가열기(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봉상으로 하지만 고주파가열기(2)의 소작봉(1) 삽입공의 형태에 따라 삽입부(13)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팁부(1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한선의 소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액취증 치료효과가 저하되며, 길이가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하지방의 손상이 유발되어 환자가 고통을 느낄 뿐만아니라 회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팁부(11)의 길이는 짧을수록 좋으나 한선파괴에 필요한 열의 파급효과를 고려할 때 1∼2mm정도가 적합하다.
세라믹 코팅부(12a)는 천자시 표피 및 진피와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가능한한 얇은 두께로 코팅하고 또한 천자시 피부의 자극과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코팅표면을 정밀가공해야 하며 피부외부로 노출되는 세라믹 코팅부(12b)는 천자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약간 두껍게 코팅하여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세라믹 코팅부(12a,12b)에 사용되는 세라믹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믹이 모두 사용가능하지만, 가능한한 열전도도가 낮아야 천자시 소작봉(1)과 접촉되는 표피 및 진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선의 분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와부 중심에서 횡으로 3cm, 종으로 1.5cm이내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그곳을 중심적으로 하여 모낭이 있는 곳은 모두 본 고안의 소작봉(1)으로 천자(puncture)하여 소작시키며 액취증을 치료할 수 있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소작봉(1)을 고주파가열기(2)에 삽입하고 액와부에 천자하되 팁부(11)가 피하지방(6)에 위치하도록 천자한 후, 고주파가열기(2)의 스위치(미도시)를 ON위치로 하면 순간적으로 전도체인 소작봉(1)으로 전류가 통하여 한선(5)이 주로 분포되어 있는 피하지방(6)중 소작봉(1)의 팁부(11) 주위의 피하지방(6)과 한선(5)이 파괴되어 액취증의 원인이 되는 한선이 제거된다.
그러나, 소작봉(1)의 천자시 표피(3) 및 진피(4)와 접촉하는 세라믹 코팅부(12a)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아 표피(3)와 진피(4)의 손상없이 한선(5)을 제거하므로서 수술을 하지 않고도 액취증을 용이하게 치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비수술적 요법으로 간단하게 액취증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치료시간의 단축과 비용절감은 물론 수술자의 고통을 덜 수 있는 간편하고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기적 열전도체의 말단에 침상의 팁부(11)를 형성하며, 표피(3)와 진피(4)를 합친 두께보다 약간 길고 얇은 두께를 갖는 세라믹 코팅부(12a) 및 적당한 길이와 세라믹 코팅부(12a)보다 큰 두께를 갖는 세라믹 코팅부(12b)를 각각 형성하고 상단은 삽입부(13)를 갖는 소작봉(1)을 형성하여 고주파가열기(2)에 장착하고 순간동작으로 한선(5)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Electrode).
KR2019960000520U 1996-01-17 1996-01-17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KR0127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520U KR0127504Y1 (ko) 1996-01-17 1996-01-17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520U KR0127504Y1 (ko) 1996-01-17 1996-01-17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039U KR970049039U (ko) 1997-08-12
KR0127504Y1 true KR0127504Y1 (ko) 1998-11-16

Family

ID=1944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520U KR0127504Y1 (ko) 1996-01-17 1996-01-17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5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09B1 (ko) * 2002-08-28 2006-02-06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액취증 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109B1 (ko) * 2002-08-28 2006-02-06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액취증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039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495A (en)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sclerotherapy
US6102907A (en) Apparatus and device for use therein and method for ablation of tissue
CA2052657C (en) Electrosurgical laparoscopic cauterization electrode
US6096037A (en) Tissue sealing electrosurgery device and methods of sealing tissue
USH1745H (en) Electrosurgical clamping device with insulation limited bipolar electrode
US5683386A (en)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nail spicule removal procedure
US4517975A (en) Electrosurgical electrode for matrisectomy
US5658281A (en) Bipolar electrosurgical sciss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20133149A1 (en) Electrosurgical systems and methods for hair transplantation and epilation
JP5908977B2 (ja) ラ−効果またはラプラス−効果による皮膚改善装置及び方法
US5030218A (en) Composition of blade of electrosurgical instrument
EP0996380B1 (en) Electrosurgery device
JPH0127770Y2 (ko)
JP2004350938A (ja) 内視鏡用鉗子
ATE524128T1 (de) Elektrochirurgisches gerät zur behandlung und entfernung von gewebe
JP2000511077A (ja) 電気外科手術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WO20060073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antial uniform ablation about a bipolar array of electrodes
US5902320A (en) Surgical needl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needle holder
KR0127504Y1 (ko) 액취증 치료용 소작봉
JP2004321660A (ja) 高周波処置具
KR101048484B1 (ko) 피부 진피조직 응고장치
US20070203489A1 (en) High-frequency current treatment tool
JPS6136257Y2 (ko)
KR200287997Y1 (ko) 피부미용 성형외과 수술용 전기바늘
JP7442253B2 (ja) 内視鏡用電気焼灼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