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376Y1 - 음식물 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376Y1
KR0125376Y1 KR2019950017712U KR19950017712U KR0125376Y1 KR 0125376 Y1 KR0125376 Y1 KR 0125376Y1 KR 2019950017712 U KR2019950017712 U KR 2019950017712U KR 19950017712 U KR19950017712 U KR 19950017712U KR 0125376 Y1 KR0125376 Y1 KR 0125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food
container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7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112U (ko
Inventor
신양재
현세순
Original Assignee
안종인
주식회사효중포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인, 주식회사효중포장 filed Critical 안종인
Priority to KR2019950017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376Y1/ko
Publication of KR970004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식물을 담는 용기체와, 이 용기체의 입구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에 접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어 입구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소비자가 음식물 용기의 뚜껑을 손으로 용이하게 개봉하므로, 개봉시 고온의 액상 누출로 인한 신체의 손상이나, 오염유발을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뚜껑과 접착되도록 돌출 .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

Description

음식물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체 3 : 입구
4 : 플랜지부 5 : 뚜껑
7 : 접착부 9 : 개봉 시작부
11 : 개봉 선단 13 : 개봉점 유동 방지돌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와 액체 상태의 음식물을 내장하고 있는 용기를 위생적이고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는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고체 상태인 음식물은 비닐제의 봉투나, 종이제의 박스 등으로 포장하여 원상태로 보관하거나 운반한다.
그리고 액체 상태인 음식물 즉, 음료수나 주류 등은 금속제의 캔이나, 유리제의 병, 그리고 합성 수지제인 PET병 등의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지나 용기는 오늘날 급속도로 발달하는 인스턴트 음식물, 특히 고체상태와 액체상태가 공존하는 음식물을 소비자가 요구하는 장소에서 간단한 조리로 편리하게 공급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인스턴트 음식물 제조업자들은 합성수지제의 용기에 고체 상태인 음식물과, 액체상태인 국물을 담은 후, 용기의 입구를 합성수지제의 시트로 접착시켜서 음식물을 보관.운반.공급.판매한다.
이러한 용기의 예로써, 국물을 함유하는 어묵을 담는 음식물 용기를 들 수 있는 데, 특히 이와 같이 국물을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은 따뜻한 상태로 섭취해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음식물을 판매하는 판매업자들은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내장하고 있는 용기체 그대로 온수에 투입시켜 보온 상태를 유지토록함으로써, 소비자의 요구에 즉시 응할 수 있게 한다.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로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51)와, 이 용기체(51)의 입구(53)를 덮는 시트 상태의 뚜껑(55)을 도시한다.
상기 용기체(51)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5)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플랜지(57)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플랜지(57)에 뚜껑(55)이 강력한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음식물을 내장하는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플랜지(57)에 뚜껑(55)이 부착되는 접착력의 인장강도는 30kgf/15mm 이상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식물 용기는 고온의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며, 용기의 뚜껑이 플랜지의 넓은 면적에 강력한 인장강도의 접착력으로 접착되므로, 소비자가 용기 내의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손으로 직접 뚜껑을 개봉할 수 없기 때문에, 칼이나 기타 날카로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뚜껑을 도려내어 개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음식물 용기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뚜껑을 개봉하기 때문에, 개봉시 고온인 액상이 누출되어 신체 상해와 용기외부의 오염을 유발하며, 더욱이 위생성이 결여되고 사용상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온의 음식물을 내포하는 음식물 용기의 뚜껑을 손으로 직접 간단하게 개봉함으로써, 개봉시 고온의 액상의 누출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하는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체와, 이 용기체의 입구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에 접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어 입구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는 뚜껑과 접착되도록 돌출 . 형성된 접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는 용기체에 접착된 뚜껑의 개봉 초기에 용이한 개봉을 돕기 위하여 상기 접착부에서 편면 돌출된 개봉 시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봉 시작부는 90~150°의 각으로 형성된 개봉 선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봉 시작부는 초기 개봉점이 용기체의 운반이나 이동 중에 노출되지 않고, 뚜껑이 외부로 말려 올라가는 커링(Cur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봉 선단의 양측에 형성된 개봉점 유동방지 돌기를 포함한다.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용기체의 입구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에 돌출 . 형성된 좁은 접착면의 접착부는 별도의 접착수단에 의하여 뚜껑과 접착되어 뚜껑의 개봉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개봉 시작부의 개봉 선단은 접착면적을 최소화하여 개봉시작 순간을 용이하게 한다.
또, 개봉점 유동 방지 돌기는 운반이나 이동 중에 초기 개봉점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개봉 시작부 주위의 뚜껑이 말리어 올라가는 커링 현상을 방지케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체(1)를 지칭한다.
이 용기체(1)는 음식물의 입출을 가능케 하는 입구(3)와, 이 입구(3)의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4)의 상면에는 용기체(1) 내에 내용물을 내장 . 보호할 수 있게 하는 뚜껑(5)이 접착제(6)에 의하여 부착되는 접착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부(7)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입구(3) 주위의 플랜지(4)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체(1)에 접착된 뚜껑(5)을 개봉하는 초기에 적은 힘으로 뚜껑(5)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7)에는 접착부(7)에서 편면 돌출된 개봉 시작부(9)가 형성된다.
이 개봉 시작부(9)는 접착면적을 최소화하여 개봉시작 순간에 뚜껑(5)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a)으로 형성된 개봉 선단(11)과, 이 개봉 선단(11)의 양측에는 이동이나 운반 중에 초기 개봉점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개봉점 유동 방지 돌기(13)를 포함한다.
상기 개봉 선단(11)을 형성하는 일정 각(a)은 클수록 개봉 순간에 큰 힘을 요구하여 개봉 순간 용기체(1)의 안정을 곤란하게 하고, 좁게 할수록 개봉 순간은 용이하지만 운반이나 보관 중에 뚜껑(5)이 저절로 개봉될 가능성을 갖게 되므로, 적절한 크기인 90 ~ 150°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110°일 때 최대의 효과를 갖는다.
즉 개봉 선단(11)의 각(a)이 90°보다 작으면 뚜껑(5)이 개봉 시작부(9)에 예각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접착부분이 작아서 운반이나 보관중에 다른 물체가 접촉하거나 작업자가 만질 때에 뚜껑(5)이 쉽게 개봉될 가능성이 높다.
또 개봉 선단(11)의 각(a)이 150°보다 크면 뚜껑(5)이 접착부(7)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접착부분이 넓어서 개봉 초기에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이는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봉 시작부(9)를 형성하는 이점이 없다.
따라서 적절한 접착강도를 유지하면서 개봉 초기에 용이하게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개봉 선단(11)의 각(a)을 대략 90~150°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봉점 유동 방지 돌기(13)는 용기를 운반하거나 이동시킬 때에도 뚜껑(5)의 초기 개봉점이 노출되지 않도록 일정하게 고정시키며, 뚜껑(5)이 외부로 말려 올라가는 커링(Curling) 현상이 방지되도록, 접착제(6)로 뚜껑(5)과 접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는 용기체(1)의 입구(3)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4)의 상면에 돌출 . 형성된 접착부(7)를 접착제(6)로 뚜껑(5)에 접착시켜서 음식물을 내장한다.
이 음식물 용기 내의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소비자는 개봉 시작부(9)의 뚜껑(5)을 손으로 직접 상방으로 당김으로써, 뚜껑(5)을 개봉할 수 있는 데, 개봉직전까지 개봉점 유동 방지 돌기(13)가 접착제(6)에 의하여 뚜껑(5)과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 시작점은 항상 보존된다.
상기 개봉 순간에 뚜껑(5)은 개봉 시작부(9)의 개봉 선단(11)의 일정한 각(a)에 의한 좁은 접착 면적 때문에, 적은 힘에 의하여 플랜지(4) 상면에 형성된 접착부(7)의 개봉 시작부(9)로부터 일차적으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초기 개봉점의 노출을 방지하고, 적은 힘으로 뚜껑(5)을 용기체(1)의 접착부(7)에서 일차적으로 분리가능케 함으로써, 용기체(1) 내의 음식물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초기 개봉에서 개봉 완료 시점까지 적은 힘으로 뚜껑(5)을 개봉할 수 있다.
[고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용기는 용기체의 입구 주위에 성형된 플랜지부 상면에 뚜껑과 접착수단으로 접착되는 접착부와, 이 접착부의 일측에 초기 개봉을 용이케 하는 개봉 시작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음식물 용기의 뚜껑을 소비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개봉시 고온의 액상 누출로 인한 신체의 손상이나, 오염유발을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음식물을 담는 용기체와, 이 용기체의 입구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에 접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되어 입구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4)의 상면에 뚜껑(5)과 접착되도록 플랜지부(4)보다 좁은 폭으로 접착부(7)를 돌출 .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7)에는 개봉 초기에 용기체(1)에 접착된 뚜껑(5)의 용이한 개봉을 돕기 위하여 편면 돌출시켜 개봉 시작부(9)를 형성하며, 상기 개봉 시작부(9)에는 90 ~ 150°의 각으로 개봉 선단(11)을 형성하는 음식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시작부(9)는 초기 개봉점이 용기체(1)의 운반이나 이동 중에 노출되지 않고, 뚜껑(5)이 외부로 말려 올라가는 커링(Cur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봉 선단(11)의 양측에 형성된 개봉점 유동 방지 돌기(13)를 포함하는 음식물 용기.
KR2019950017712U 1995-07-19 1995-07-19 음식물 용기 KR0125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712U KR0125376Y1 (ko) 1995-07-19 1995-07-19 음식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712U KR0125376Y1 (ko) 1995-07-19 1995-07-19 음식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112U KR970004112U (ko) 1997-02-19
KR0125376Y1 true KR0125376Y1 (ko) 1998-11-02

Family

ID=1941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7712U KR0125376Y1 (ko) 1995-07-19 1995-07-19 음식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3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112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147B2 (en) Container for shaving cartridge or other stored item
US4911563A (en) Anchorseal
US3101870A (en) Film sealed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US3217951A (en) Closure means for containers
US20080197153A1 (en) Squeezable Container for Dairy Products
US4290526A (en) Package, especially tubular wrapper-type container with re-usable closure, especially for chocolates or candy
WO2000069728A2 (en) Food container
US4886206A (en) Disposable container with foldable spout
NZ536776A (en) Wax-coated cheese
US20150313390A1 (en) Drink-Through Lid With Straw Compartment
GB2156772A (en) A beverage can
US7267243B2 (en) Container
US5292022A (en) Closure for beverages metal containers
US6325231B1 (en) Container for foodstuffs
EP0295141A3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US4470514A (en) Container having frangible opening means
KR0125376Y1 (ko) 음식물 용기
EP1538105B1 (en) Bag-like container with sealed spout
US6979379B2 (en) Method for preserving a perishable product
JPS6223708Y2 (ko)
KR200396626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 랩
JPH07101444A (ja) 缶 蓋
JPH0245179Y2 (ko)
JPH08119252A (ja) 紙カップ及び食品包装体
US20040202752A1 (en) Drip-proof food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