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837B1 -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837B1
KR0124837B1 KR1019940021600A KR19940021600A KR0124837B1 KR 0124837 B1 KR0124837 B1 KR 0124837B1 KR 1019940021600 A KR1019940021600 A KR 1019940021600A KR 19940021600 A KR19940021600 A KR 19940021600A KR 0124837 B1 KR0124837 B1 KR 012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burst
measurement position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2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837B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신호 위상을 자동 조정하기 위해 CCD 카메라로 칼라바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입력하고 상기 영상신호 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복합 영상신호를 Y/C 분리부에 의해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로 분리하고,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는 휘도신호를 입력받아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버스트 신호 분리부에 출력하고,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받은 버스트 신호 분리부는 버스트 신호를 고속 A/D 변환기의 제1채널에 출력한다.
한편 칼라신호는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에 입력되고,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측정위치 트리거 발생부가 측정위치 트리거 신호를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에 출력하며 측정위치에 해당하는 칼라신호가 상기 고속 A/D 변환기의 제2채녈에 입력되어 상기 1채널에 입력된 버스트 신호와 위상이 비교되어 그 위상차 데이타가 제어부에 입력된다.
제어부는 이 위상차 데이타에 의거 상기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소자를 조정한다.

Description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신호 위상자동조정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2도는 칼라패턴 챠트에 보이는 색줄무늬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1수평 주사기간의 휘도신호의 오실로스코우프 화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4도는 1수평 주사기간의 복합 영상신호의 오실로스코우프 화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5도는 1수평 주가기간의 칼라신호의 오실로스코오프화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7도는 종래의 칼라신호 위상 조정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CCD 카메라
3 : 카메라 PCB 4 : Y/C 분리부
5 : 버스트 신호 분리부 6 : 측정위치 칼라추출부
9 : 고속 A/D변환기
본 발명은 영상 처리장치의 칼라신호 위상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를 이용하여 칼라신호의 위상을 자동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칼라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PCB(Printed Circuit Board)(72)에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71)를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할 카메라 PCB(72)의 테스트 포인트(Test Point)(TP)에서 신호를 추출하여 벡터 스코우프(Vecor Scope)(73)에 인가한다.
벡터 스코우프(73)에는 인가된 신호에 따라 위상이 표시되며, 조정자(調整者)는 벡터 스코우프(73)에 표시된 위상을 보면서 정확한 위상이 되도록 EVR(Electronic Variable Register) IC(72a)를 EVR 제어판(74)으로 조정하였다.
이러한 조정장치는 조정자가 벡터 스코우프를 보면서 수동으로 위상차를 조정하기 때문에 능률적이지 못하고, 사람의 시각에 의존하여 조정하므로 정밀 조정이 불가능하고, EVR 제어판을 조정자가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빠른 조정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신호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간의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컴퓨터에 의해 정확하게 색신호를 조정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신호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CCD 카메라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복합 영상신호를 받아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분리하는 Y/C 분리부와, 상기 Y/C 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받아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와, 상기 Y/C 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칼라신호를 받아 상기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로부터 버스트 트리거 신호가 입력될때, 상기 칼라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버스트 신호 분리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측정 위치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 위치 트리거 발생부와, 상기 측정 위치 트리거 발생부로부터 측정 위치 트리거 신호를 받아 그 측정 위치에 해당하는 칼라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측정 위치 칼라 추출부와, 상기 버스트 신호 분리부와 상기 측정 위치칼라 추출부로부터 각각 버스트 신호의 해당 칼라 신호를 받아 위상 비교하여 위상차를 출력하는 고속 A/D 변환기와, 상기 측정 위치 트리거 발생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고속 A/D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위상차 신호를 받아 처리하여 상기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조정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영상신호 처리장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신호 위상자동조정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1은 제어부이며, 조정 대상용 카메라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장착된 EVR(Electronic Variable Register) IC로 데이터(예를들면, PWM 신호)를 출력하여 그 값을 조정한다.
2는 CCD 카메라이며, 칼라 패턴 차트(Color Pattern Chart)로부터 영상을 촬영하여 칼라바(Color bar)신호를 조정대상이 되는 카메라 PCB의 영상 입력 단자에 출력한다.
3은 카메라 PCB이며, 입력단자(IN)로 칼라바 신호를 받아 처리하여 테스트 포인트(Test Point)(TP)로 복합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4는 Y/C 분리부이며, 카메라 PCB(3)의 테스트 포인트(TP)로부터 복합 영상신호를 받아 휘도신호(Y)와 칼라신호(C)로 분리한다.
5는 버스트 신호분리부이며, Y/C 분리부(4)로부터 칼라 신호(C)를 받아 버스트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6은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이며, 측정위치 트리거 신호를 받아 그 위치에 해당하는 칼라 신호 성분을 출력한다.
7은 측정위치 트리거 발생부이며, 제어부(1)로부터 측정위치값이 인가되면 그 측정위치에 해당하는 트리거 신호를 측정위치 칼라신호 추출부(6)에 출력한다.
8은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이며, Y/C 분리부(4)에서 휘도신호(Y)를 받아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버스트 신호 분리부(5)에 출력한다.
9는 고속 A/D 변환부이며, 버스트 신호 분리부(5)와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6)에서 각각 버스트 신호와 칼라신호를 받아 두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를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에 입력한다.
10은 칼라 패턴 차트이며, 좌로부터 백,황, 시안, 녹, 보라, 적, 청, 검정순으로 세로줄 무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뒤에 조명 장치가 이 세로줄 무늬를 비추어서 빛이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칼라 패턴 차트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W), 황(Y), 시안(C), 녹(G), 마젠타(M), 적(R), 청(B), 검정(BK)의 세로줄 무늬 도표를 CCD 카메라(2)로 촬영하여 캠코더(Cam coder)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PCB(3)의 입력단자(IN)에 입력한다.
CCD 카메라(2)로부터 받은 신호는 카메라 PCB(3)에서 처리되어 테스트 포인트(TP)에서 복합영상 신호로써 출력된다.
제4도에 1수평 주사기간의 복합영상 신호가 도시된다.
칼라 패턴 차트(10)는 정지된 피사체이며, 칼라신호를 조정하기 위해서 각 색상을 세로줄 무늬로 표시하고 있다.
이 칼라 패턴 차트(10)의 복합영상신호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뒤에 작은 네모꼴의 파형인 칼라 버스트 신호가 흑색 레벨에 실려있다.
칼라 버스트 신호앞에 수평동기 신호가 있으며, 그 앞에, 계단모양의 전압과 그 위에 실린 네모꼴의 파형으로 되어 있다.
계단모양의 전압은 명도 신호 네모꼴의 파형은 색을 재형하는 신호이다.
이 복합 영상신호는 Y/C 분리부(4)에 입력되어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로 분리된다.
휘도신호와 칼라 신호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다.
휘도신호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모양의 파형이며, 제4도에 도시된 복합영상신호를 필터에 의해 각 계단에 실린 3.58MHz 네모꼴 고주파 파형을 제거하여 얻어진다.
이 신호는 흑백 영상신호와 같은 것이다. 이 휘도신호는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8)에 입력되어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또한 칼라신호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메모꼴의 파형으로 보인다.
이 신호가 재형하기 위한 신호로서, 그 파형의 일부를 시간축을 따라 확대해 보면 제6도와 같이 3.58MHz의 정현파이다.
이 파형은 그 진폭이 색의 진하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진폭이 큰것이 짙은색을 나타낸다.
이 파형에서 왼쪽의 황과 오른쪽의 청이 같은 진폭으로 나와 있는데도 불구하고 색이 구별되는데, 이것은 황과 처의 파형은 위상이 180°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색의 종류는 3.58MHz 파형의 위상의 차이로 표시된다.
그리고 색도신호로 변조한 파형이 없는 부분은 색이 없는 것을 뜻하여, 맨 왼쪽의 흰 부분에서는 진폭이 제로이다.
수평귀선 기간의 백포오치(수평 동기 신호의 직수)에 3.58MHz의 파가 약간 보이는데 이것은 칼라 버스트 신호이다.
이것은 송상측과 수상측간에 색의 종류를 맞추기 위한 신호로서, 색동기 신호라고도 한다.
각 색신호는 이 칼라 버스트 신호의 위상을 기준으로 위상차를 가지고 있으며 그 위상차에 따라 색의 종류가 결정된다.
이러한 칼라 신호는 버스트 신호 분리부(5)와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6)에 입력된다.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8)에서는 휘도신호를 입력받으면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버스트 신호 분리부(5)로 출력한다.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받은 버스트 신호 분리부(5)는 Y/C 분리부(4)에서 입력된 신호로부터 버스트 신호만 분리하여 고속 A/D 변환기(9)의 채널1에 입력한다.
한편, 제어부(1)로부터 측정위치값이 측정위치 트리거 발생부(7)에 입력되면, 그 위치에 해당하는 측정위치 트리거 신호가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6)에 인가되고,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6)는 Y/C 분리기(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측정위치의 칼라성분을 분리하여 고속 A/D 변환기(9)의 채널2에 입력된다.
고속 A/D 변환기(9)에 입력된 버스트 신호와 측정위치 칼라 신호의 위상은 서로 비교되고, 그 위상차의 디지탈값이 제어부(1)에 입력된다.
위상차 데이타를 입력받은 제어부(1)는 카메라 PCB(3)의 EVR IC(3a)에 제어신호(PWM신호)를 출력하여 그 조정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측정위치의 칼라 위상이 변화하고 그 변환된 복합 영상 신호가 Y/C 분리기(4)에서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로 분리된다.
분리된 휘도신호는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8)에 입력되어 버스트 트리거 신호가 버스트 신호 분리부(5)에 출력된다.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받은 버스트 신호 분리부(5)는 고속 A/D 변환기(9)의 채널1에 버스트 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제어부(1)는 제어신호를 측정위치 트리거 발생부(7)에 출력하고, 제어신호를 받은 측정위치 트리거 발생부(7)는 트리거 신호를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6)에 인가한다.
트리거 신호를 인가받은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6)는 Y/C 분리기(4)로부터 입력받은 칼라 신호로부터 측정위치의 칼라신호를 추출하여 고속 A/D 변환기(9)의 채널2에 입력한다.
고속 A/D 변환기(9)는 다시 버스트 신호와 측정위치 칼라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의 값을 제어부(1)에 출력한다.
제어부(1)는 그 위상차가 제로가 될때까지 상기의 과정을 되풀이하여 카메라 PCB(3)의 색신호의 위상을 정확하게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색신호의 위상을 자동조정할 수 있고, 자동조정에 의한 능률이 향상되고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칼라 신호의 모든 색상에 대해 조정이 가능하며, 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1)

  1. CCD 카메라로부터 칼라바 패턴 차트의 색신호를 공급받아 이를 처리하여 복합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신호 위상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신호 위상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복합영상신호를 받아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Y/C 분리부와, 상기 Y/C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받아 버스트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버스트 트리거 발생부와, 상기 버스트 트리거로부터 버스트 트리거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Y/C 분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칼라신호를 받아 상기 칼라신호로부터 버스트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버스트 신호 분리부와 ,상기 칼라 패턴 차트의 소정의 색의 위치를 측정위치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의 측정위치 데이타에 의해 측정위치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위치 트리거 발생부와, 상기 측정위치 트리거 발생부로부터 측정위치 트리거 신호를 받아 그 측정위치에 해당하는 칼라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와, 상기 버스트 신호 분리부와 상기 측정위치 칼라 추출부로부터 각각 버스트 신호와 해당 칼라신호를 받아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고속 A/D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는 고속 A/D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위상차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조정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영상신호 처리장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신호 위상 자동조정장치.
KR1019940021600A 1994-08-30 1994-08-30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KR012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00A KR0124837B1 (ko) 1994-08-30 1994-08-30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00A KR0124837B1 (ko) 1994-08-30 1994-08-30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4837B1 true KR0124837B1 (ko) 1997-12-01

Family

ID=1939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600A KR0124837B1 (ko) 1994-08-30 1994-08-30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86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아이닉스 카메라를 위한 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 조절 시스템 및 그 조절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86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아이닉스 카메라를 위한 컬러 버스트 신호의 주파수 조절 시스템 및 그 조절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7787B (zh) 图像处理装置、闪烁减少方法和成像装置
US4725879A (en) Chroma responsive inspection apparatus selectively producing analog voltage levels based on the luminance, the phase of the chrominance subcarrier, or the amplitude of the chrominance subcarrier
KR920003648B1 (ko) Cctv의 자동 제어시스템
JPS61269487A (ja) Y/c分離回路
US7545442B2 (en) Y/C separation with 3D comb filter
CN1125560C (zh) 多视频输入箝位装置和方法
KR940003049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KR0124837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칼라 신호위상 자동조정장치
KR970007807B1 (ko) 화이트 밸런스 장치
US5587746A (en) Image signal processor for obtaining digital image signals
KR20030097827A (ko) 윤곽 강조 장치
US5087967A (en) Color image pickup device having a level correcting circuit for correcting level variations in color image signals
US3705839A (en) Automatic signal registration in colour television cameras
EP0740475A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950004844B1 (ko) 행깅 점 검출기
KR100378326B1 (ko) 색차 신호 보정 장치
JPS5952589B2 (ja) タイミング信号発生装置
KR920002002Y1 (ko) 칼라신호 자동 조정회로
US4450473A (en) Camera system for color television
JPH0566791B2 (ko)
KR0124842Y1 (ko) 복합영상신호의 동기신호분리방법 및 장치
JP2528948B2 (ja) 映像信号クランプ回路
SU166554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каналов изображени
KR19980077138A (ko) 티브이의 화면 종횡비 검출회로
KR0165380B1 (ko) Pal 방식의 칼라 전하 결합 소자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