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882Y1 - 다목적 의료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의료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882Y1
KR0123882Y1 KR2019950022358U KR19950022358U KR0123882Y1 KR 0123882 Y1 KR0123882 Y1 KR 0123882Y1 KR 2019950022358 U KR2019950022358 U KR 2019950022358U KR 19950022358 U KR19950022358 U KR 19950022358U KR 0123882 Y1 KR0123882 Y1 KR 0123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heater
main bod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816U (ko
Inventor
쵸우 우 찬
Original Assignee
쵸우 우 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쵸우 우 찬 filed Critical 쵸우 우 찬
Priority to KR2019950022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882Y1/ko
Publication of KR970009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
일종의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는 각종 상이한 재질의 의류 및 비섬유질 세탁물의 건조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장치의 본체의 상부에는 열풍실 및 조종판이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건조실이, 그리고 건조실 내에는 서로 떨어져 있는 한 쌍의 수직 신축 연결관 상단에 대체로 수평을 이루고 있는 장방형의 선반으로 조합된 빨랫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장방형의 선반과 건조실의 천정, 바닥및 측면벽 사이에는 공간과 거리가 형성되어 있어서 장방형 선반 위에는 의류 및 바구니를 놓아서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의 건조에 사용하도록 제공되고 있다.
열풍실은 단계별 전열 수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종 상이한 온도의 열풍을 생산하여 상이한 재질의 세탁물의 건조에 제공하고 있다. 건조실의 상단에는 열발산판이 있고 그 측면벽에는 수직 열풍 인도관을 설치하여 열풍실로 통하도록 하고 있다. 파이프의 측면에는 구멍을 뚫어서 열풍이 측면을 향해 건조실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써 건조실 내부의 상하에 전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내부의 세탁물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Description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입체 부분 예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 예시 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도를 3'-3'의 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일반 세탁 의류의 건조용으로 사용하는 상황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우천 의류의 건조용으로 사용하는 상황도.
제6도는 본 고안을 이불류의 건조용으로 사용하는 입체 부분 예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을 식기와 조리기구의 건조용으로 사용하는 상황도.
제8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바구니의 정면 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중에 내장된 열발산판의 입체 예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중의 벽걸이의 입체 예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중의 빨랫대의 입체 예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중의 빨랫대의 또 다른 입체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빨랫대
11 : 천정 5 : 빨랫대
12 : 측면벽 51 : 가로봉
13 : 후면벽 51' : 연결관
14 : 바닥 51 : 가로 연결판
15 : 한쌍의 문 511 : 나사
151 : 손잡이 512 : 받침망
152 : 빗장 52 : 세로봉
153 : 유리창 521 : T자관
16 : 열풍인도관 54 : 수직주
17 : 벽걸이 54' : 수직 신축주
171 : 고정쇠 54 : 수직주
172 : 중간걸대 541 : 나사
173 : 지탱대 55 : 받침봉
174 : 고정쇠 입구 55 : 받침봉
175 : 측면돌출 56 : 홈구멍
2 : 열풍실 57 : 중간걸대
21 : 전열기 58 : 가로봉
22 : 받침꺽쇠 61 : 받침망
23 : 구멍 62 : 받침꺽쇠
24 : 팬 62' : 받침꺽쇠
25 : 모터 63 : 받침판
26 : 덮개 63' : 받침판
27 : 공기정화장치 64 : 인도판
28 : 열발산판 65 : 전환축
281 : 받침꺽쇠 67 : 걸쇠
282 : 열발산판 28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측면홈 29의 사이
7 : 집수판 70 : 바퀴
70 : 바퀴 283 : 사면 모퉁이
72 : 배수구 284 : 앞면
73 : 집수쟁반 29 : 측변홈
74 : 쟁반걸이 3 : 건조실
75 : 배기구멍 4 : 조종판
76 : 파이프 41 : 온도조절기
77 : 배기구 42 : 타이머 스위치
81 : 바구니 43 : 타이머 설정 스위치
44 : 작동표시등
본 고안은 세탁물, 직물 및 다른 가정 용품을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직물 및 여러 종류, 재질, 크기 및 무게의 비직물류에 대한 다양한 건조 작용을 제공하는 가정용 건조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는 다목적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는 대체로 각기 상이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를 의류의 재료와 종류에 따라서 건조시 주의사항이 상이하게 된다. 예를들면 일반 속옷이나 침대보, 활동복등은 세탁기의 회전과 고온 건조에 강하며 양복, 정장 그리고 오우버 등은 구김을 피하기 위해서 옷걸이에 걸어서 건조하는 것이 적합하며, 편직물류는 늘어나는 등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 건조시 옷걸이의 사용을 피해야 하며, 나일론 스타킹과 편직물류는 고온에서 과도하게 수축되므로 고온 건조가 부적합하다. 이불과 담요, 베개등은 수시로 말리므로써 곰팡이 냄새를 제거해야하며 우천시 우비와 우산, 젖은 옷, 젖은 신발등은 각각 분류 처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날씨가 더울때 정장의 치마와 바지등은 서늘한 곳에서 거풍하여 땀냄새등을 제거하는 것이 좋고, 식기는 위생을 위해 평상시에 깨끗이 건조 보관해야 하며, 땀냄새와 국자등의 조리기구는 보관에 유리하도록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의류 건조기나 건조장치는 대체로 그 사용범위가 소수의 물품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각종 상이한 건조 수요에 부합하기 위해서 일반 가정에서는 각종 상이한 건조장치를 구매해야 하며 이에 따른 경비와 고 공간 점유율에 비하면 그 사용율은 전반적으로 낮아서 경제효용이 뒤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회전식 의류 건조기는 비록 상당히 양호한 건조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결점을 보유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로울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의류의 손상과 구김을 가져오므로 고급 의류와 외투, 양복, 모직품, 나일론 스타킹등에의 사용이 부적합한 상황이다. 게다가 로울러의 체적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이불이나 베개등의 대형 세탁물의 건조가 어려우며, 또한 회전식 건조 방식은 신발, 장화, 장난감 인형 및 우산등 불규칙한 형태의 세탁물의 건조에 사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비록 일부 회전식 의류 건조기에는 따로 빨랫대를 설치하여 로울러가 정지한 상태에서 신발 등을 건조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으나, 이를 다른 의류와 동시에 건조할 수 없으므로 경제효용에 부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식기 건조기는 건조실의 체적이 협소해서 그릇의 건조외에 냄비와 같은 대형 조리기구의 건조가 불가능하다.
이밖에도 나일론 백으로 구성된 열풍 이불 건조기는 일년중에 이불을 사용하는 계절에만 가끔 사용하여 대부분의 계절과 기간에는 사용율이 전무한 상태이므로 공간 점유율이 높고 경제효용이 낮은 결점이 있다.
상술한 회전식 의류 건조기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비 회전식 의류 건조장치로 대체하자는 제안이 대두되고 있다.
그중에서 일부 제안은 중심부에 수직주를 설치하고 사방에 원형 혹은 방사형의 걸대 혹은 지탱대를 설치하여 세탁물을 너는데 사용하도록 제공하며 수직기둥에는 열풍 장치를 설치하는 설계이다. 이러한 장치는 건조 공간이 밀폐되지 않은 탓으로 열풍이 사방으로 쉽게 발산되므로 건조 효율상의 의혹을 가져올 뿐 아니라, 그 빨랫대에는 일반 의류외에 무겁고 불규칙한 형태의 신발, 이불류, 방석, 장난감 인형등은 걸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으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2707838호 및 3626602호가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또 다른 종류의 제안은 비교적 밀폐된 건조실을 설계하여 내부에 열풍이나 제습장치 및 빨랫대를 건조실의 천정이나 양측벽 사이에 설치하여 세탁물을 널어 건조하게 하고 있으나, 그 빨랫대에는 널수있는 세탁물이 한정되어 있어서, 대형, 중형 혹은 불규칙한 형태의 세탁물, 즉 이불, 방석, 장난감 인형 및 신발등을 널기에는 부적합하다. 더우기 열풍은 건조실의 한쪽에서 유입되어서 반대쪽으로 유출되도록 설계도어 있어서, 건조실내의 열풍의 유통과 분배가 균일하지 못한 탓으로, 열풍 입구에 걸려있는 의류는 이미 건조된 상태이나 열풍 입구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곳에 널려 있는 의류는 여전히 젖어 있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일본의 특히 昭58-192596호 및 昭58-195598호가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그러나 다목적 건조 기능을 구비하여 광범하게 각종 의류와 다양한 세척용품의 건조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는 여전히 고안되지 않았었다.
이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창안자는 일반 가정의 다양한 건조 수요 및 상술한 각종 구조상의 단점을 극복한다는 설계이념을 기조로 적극적인 연구 개발에 돌입하여 부단한 시험과 실험을 거쳐서 마침내 각종 폐단을 극복한 다목적 의류 건조장치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다목적 의류 건조장치를 각종 상이한 재료와 두께, 체적 및 중량의 의류와 물품 혹은 비섬유질 물품의 건조에 광범하게 사용하도록 제공하므로써 그 사용율 및 경제효용을 제고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두번째 목적은 다목적 의류 건조장치내의 의류를 널거나 걸치거나 담아놓은 상태에서 건조시킬수 있도록 설계하므로써 회전에 의한 충격을 제거하여 의류의 손상이나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세번째 목적은 다목적 의류 건조장치에 단계별로 상이한 전열 발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하므로써, 상이한 온도의 열풍이 각기 다른 재질의 의류에 적합한 온도를 제공하여 건조시키므로써 의류의 손상이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네번째 목적은 다목적 의류 건조장치에 열풍 분산 유통 장치를 설치하여 건조실내에 유입된 열풍을 전 공간내에 균일하게 분배하므로써 의류를 균일하게 건조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섯번째 목적은 다목적 의류 건조장치를 의류의 건조뿐 아니라 그릇과 같은 식기와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의 건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설계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아래에 첨부된 본 고안의 상관 예시 설명과 도식을 참고하기 바라며, 아래에 첨부한 도식은 설명의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본 고안의 어떠한 제한용으로도 사용될 수 없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본 고안의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의 예시된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본 장치의 밀폐가 가능한 본체(1)는, 천정(11), 한 쌍의 측면벽(12), 후면벽(13), 바닥(14) 및 앞면에 양쪽으로 열수 있으며 의류의 출입시 사용하도록 설계한 한쌍의 문(15)으로 구성된 외곽을 포함하고 있다. 문(15)에는 손잡이(151) 및 빗장(152)을 설치하여 문의 개폐시에 사용하도록 하며, 유리창(153)은 건조실 내부를 관찰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본체(1)의 상부에는 열풍실(2)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전열기(21)에는 다수의 열발산편이 내장된 열발산형의 전열관을 사용하도록 전의되어 있어서 유통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전도율을 제고시키며, 동시에 전열관의 온도과열로 인한 의류의 연소를 방지해준다. 전열기(21)는 받침꺽쇠(22)로 천정(11) 아래에 고정되어 있으며 천정(11)의 중간에는 구멍(23)이 있고 그 위에는 팬(24)을 설치하여 모터(25)로 작동하며, 전열기(21) 아래에는 열발산판(28)을 설치하여 받침꺽쇠(281)로 옆판에 고정시키며 그 위에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다.
열발산판(28)은 금속판으로 제조하여 전열기(21) 및 열풍실(2)에 전도된 열을 균일하게 분포하므로써 부분적인 과열로 인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하며, 열발산판(28)의 또 다른 기능은 의류를 전열기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부터 격리시키므로써 의류의 손상과 연소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모터(25)가 작동하여 팬(24)을 회전시키므로써 발생한 기류는 구멍(23)을 통하여 열풍실(2)로 유입되며, 전열기(21)의 가열을 거친 후 열발산판(28)의 구멍을 통하여 아래의 건조실(3)로 진입하게 된다.
열풍을 전 건조실에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는 열을 열발산판(28)의 아래에 집중시키지 않고 측면벽(12) 및 후면벽(13)에 안이 빈 수직의 열풍인도관(16)을 설치하며, 열풍인도관(16)의 상단의 입구와 열발산판(28)의 측변홈(29)은 서로 연결되어 열풍실(2)로 통하고 도관의 하단은 봉쇄되어 있다. 열풍인도관(16)의 내면벽에는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구멍의 분포와 배치는 중간부분은 구멍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넓고 하단은 구멍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단은 열발산판에 인접되어 있으므로 구멍을 배치하지 않는다(예시 제1도, 제2도와 같음). 이같은 설계는 열풍실(2)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단에 설치된 열발산판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건조실로 유입되도록 할 뿐 아니라 열풍으로 하여금 열풍인도관(16)의 옆면으로 부터 건조실의 중간과 하단으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써(예시 제3도의 화살표 A, B, C와 같음) 건조실(3)내의 상중하단에 열풍이 균일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내부의 의류가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하는데 그 주목적이 있다. 팬(24) 및 모터(25)는 덮개(26)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26)의 뒤에는 구멍이 있고 그 위에는 공기 정화장치(27)가 설치되어 공기중의 먼지가 열풍실및 건조실로 진입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의류의 오염을 방지한다. 전열기(21)는 한줄의 절열선으로 부터 단계별로 접선하거나, 혹은 다수의 전열기(21)로부터 상이한 병렬 및 혼접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연결하므로써 발생하는 각기 상이한 전류의 저항 조합을 이용하여 각기 상이한 정도의 전열을 발생하게 한 후, 이곳을 통과하는 공기를 각기 상이한 온도로 가열시키므로써 상이한 재질과 특징을 지닌 의류의 건조에 제공하며 이러한 상이한 온도를 발생시키는 방식은 기존의 방식이며 본 고안의 창안 범위에 속하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열풍실(2)의 상단에는 조종판(4)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위에 있는 타이머 스위치와 온도선택 및 타이머 설정 스위치(43) 및 동작표시등(44)은 건조 설비와 같다. 이밖에 건조실(3)내에는 온도조절기(41)가 설치되어 있어서 건조실내의 온도가 과열될 시 자동으로 전열기(21)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써 의류의 연소손상을 방지하며 이 또한 기존의 고안에 속한다.
건조실(3)의 내부에 빨랫대(5)를 설치하여 그 상단에는 대체로 수평인 장방형의 선반이 한쌍의 서로 떨어져 있는 가로봉(51)과 한쌍의 서로 떨어져 있는 세로봉(52)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로봉(51)은 신축이 가능한 연결관을 사용하며 나사(511)를 이용하여 그 신축정도를 조절하고, 장방향 선반은 대체로 평행을 이루고 서로 떨어져있는 한쌍의 수직주(54)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주(54)는 신축 연결관을 이용하여 나사(541)로 그 상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수직주(54)의 하단은 두개의 서로 떨어져 있는 세로 받침봉(55)의 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받침봉(55)의 양끝은 받침꺽쇠(62) 위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받침꺽쇠(62)는 본체의 전후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장방향 선반에는 옷걸이를 걸수 있어서 의류를 건조실 내에 걸어서 건조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있다(예시 제4도와 같음). 장방형 선반 사이에는 또 다른 받침망(512)를 설치하여 옷걸이 사이의 간격을 두므로써 의류사이의 적절한 공간을 형성하여 건조효율을 제고시킨다. 가로봉(51)의 연결관을 안으로 줄일 경우 장방형 선반과 사방의 벽, 바닥 및 그 위의 열발산판(28)은 모두 넓은 공간과 거리를 형성하여 대형 혹은 중형 세탁물 즉 이불, 담요 및 침대보 등을 그 위에 덮어서 널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세탁물의 사방의 공간, 예를 들면 세탁물의 외부와 내부의 표면이 모두 열공기와 접촉을 갖게 되므로 건조효과가 가속화 된다(예시 제6도와 같음).
수평을 이루고 있는 장방형 선반 위에는 바구니(81)를 놓고, 바구니에는 널기에 부적합한 의류나 세탁물, 예를 들면 편직물이나 털실제품, 모자, 신발, 방석, 장난감 인형 및 식기 등(예시 제7도와 같음)을 담을 수 있다. 빨랫대(5)의 하단에 있는 받침봉(55) 위에는 받침망(61)(예시 제1도 및 제7도와 같음)을 설치하여 비교적 무겁거나 불규칙한 형태의 세탁물 예를 들면 신발, 장화, 방석, 대형 장난감 인형 및 조리기구 등을 담아서 건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건조실(3)의 측면벽(12) 및 후면벽(13) 내의 표면에는 역 U 자형의 벽걸이(17)을 설치하고, 그 양끝의 지탱대축은 고정쇠(171)의 위에 이은 후 윗쪽으로 굽혀서 열풍인도관(16)의 측면에 붙이거나 바깥쪽으로 뽑아서 내의, 손수건, 양말, 수건 및 장갑 등의 소형 의류를 걸어 건조하는데 사용하거나 젖은 우산을 걸어서 물을 비우거나 혹은 건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양측면벽(12)에 설치된 벽걸이(17)는 바구니(81)의 양쪽을 받쳐줄 수 있으며(예시 제8도와 같음), 편직물 의류, 모자, 장난감 인형 및 방석 등 가볍거나 소형의 세탁물은 바구니(81)에 담아서 건조시키고 동시에 장방형 선반은 아래로 높이를 줄여서 담요, 이불, 침낭 및 침대보 등의 크고 무거운 물품의 건조에 사용하며, 아래의 받침망(61)은 신발, 방석 및 장난감 인형 등의 기타 세탁물을 건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서 이들 예시된 방법을 통해서 본 고안의 장치가 충분히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양 수직주(54)의 내면벽에는 상하로 상대편의 구멍의 위치와 일치하게 다수의 수직주 구멍(56)을 배열한 후, 이동이 가능한 역 U 자형의 중간걸대(57)의 양끝을 수직주 구멍(56) 안으로 삽입시켜서 중간걸대를 설치한 후 이를 소형 세탁물을 걸어서 건조하는데 사용하거나 혹은 장화 등의 기타 세탁물의 건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예시 제5도와 같음).
건조실(3)의 아래층은 집수판(7)으로 바닥(14)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방으로 부터 집수판 중앙을 향해 약간 아래로 배수구(72) 부분까지 경사진 깔대기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수구(72)의 하단에는 이동이 가능한 집수쟁반(73)이 한쌍의 간격을 두고 있는 쟁반걸이(74)로 바닥(14)의 아래에 고정되어 있으며 젖은 신발, 우산, 식기및 조리기구 등의 건조시에 발생하는 물방울을 수집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집수판(7)의 중앙인 배수구(72)의 측면에는 배기구멍(75)이 설치되어 있다(예시 제3도와 같음). 배기구멍(75)과 집수판(7)의 하단에 설치된 배기 파이프(76)는 서로 통하고 있으며, 파이프(76)의 후단은 본체 후측벽(13)에 설치된 배기구(77)에 연결되고, 배기구(77)에는 배기호스를 연결시킬 수 있다(예시도에 나타나 있지 않음). 이러한 설계는 열공기로 하여금 건조실(3) 내의 의류와 충분히 접촉한 후 아랫층의 배기구멍(75)으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써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구(77) 및 배기관을 통하여 밖으로 유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 세탁기의 배수관도 배기관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잘라서 연결 사용할 수 있다.
본체(1)의 바닥(14)의 하단에는 바퀴(70)를 설치하여 본 장치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는데 편리하도록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빨랫대를 구성하고 있는 막대((51), (52) 및 (55)와 같음) 및 기둥((54)와 같음)은 용접(예시 제1도, (51)과 (52)의 사이)이나 T자 관을 이용하여 리벳접착(예시 제1도의 (521) 및 (54)와 (55)의 사이)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연접할 수 있다. 열풍이 열풍실(2)로 부터 균일하게 건조실(3)로 유입되어 내부의 의류가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열풍인도관(16)의 이용 외에도 열발산판(28)의 설계도 상당히 중요하다. 제9도는 본 고안의 열발산판의 예시도이다. 팬(24)은 대체로 열발산판(28)의 중간 상측에 위치되므로, 열공기가 열발산판(28)으로 부터 대량으로 직접 그 하단(즉 건조실(3)의 상단임)으로 유출된 후 측변홈(29)을 통과하여 열풍인도관(16)으로 충분히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열발산판(28)의 구멍 및 그 배치에 적절한 설계가 필요하다. 제9도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열발산판(28)의 중간 부분에서 측변홈(29) 사이의 (282) 부분에 있는 구멍의 수는 비교적 적으나 구멍간의 간격은 비교적 넓고, 사면 모퉁이(283) 및 앞면(284)의 홈과 공기 인도관(문을 설치할 필요로 인함)을 설치하지 않은 부분의 구멍의 수는 비교적 많으나 구멍간의 간격이 비교적 좁은 탓으로 열공기가 측변홈(29) 및 열풍인도관(16)으로 유입될 시의 유실이 비교적 적게 되며, 나아가 건조실(3)의 중간부와 하단에 열풍인도관(16)으로 부터 충분한 열공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실 내의 전반적인 온도의 균일성을 유지하게 된다(예시 제3도의 화살표 A, B, C와 같음).
제10도는 본 고안의 벽걸이(17)의 예시이며, 이는 대체로 역 U 자형의 막대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걸대(172)는 대체로 수평 상태를 이루고 양쪽끝의 지탱대(173)은 고정쇠(171)에 나사로 끼워진다. 고정쇠입구(174)의 한쪽에는 측면돌출(175)이 있어서 지탱대(173)를 열풍인도관(16)의 바깥에 접근시키거나 혹은 외부로 벌릴 수 있도록 지탱해 주므로써, 중간걸대(172) 부분에 의류를 걸어서 건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양쪽 측면벽(12)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벽걸이(17)는 바구니를 받쳐서 세탁물을 넣어 건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예시 제7, 8도와 같음).
빨랫대(5)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제11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시로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가 비교적 저렴하다. 이는 수직 신축주(54')의 상단에 수평으로 가로 신축 연결관(51')을 연결하고, 그 하단은 가로 받침판(63') 위에 고정시킨 후, 받침판(63')은 다시 본체(1)의 상대편 측면벽(12) 위에 고정시킨다.(도면에 예시되어 있지 않음). 가로 연결관(51')을 줄이면 본체(1)의 사방벽과 천정 및 바닥사이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옷걸이를 걸어서 의복의 건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불 및 담요 등의 대형의류와 비교적 무거운 세탁물은 그 위에 덮어서 사방으로 늘어뜨려서 건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바구니를 지탱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먼저 바구니 양측끝을 양측의 벽걸이(17)에 걸고(예시 제7도와 같음) 다시 그 수직 신축주(54')를 조정하여 위로 가로 연결관(51')과 바구니(81)의 바닥부분을 접촉시키므로써 연결관(51')및 수직주(54')가 바구니 내부 물품 중량의 대부분을 부하할 수 있게 되며, 벽걸이(17)는 바구니의 평형을 유지하여 앞뒤로 기울지 않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발휘한다.
제12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시로, 빨랫대(5) 상단의 장방형 선반은 그중의 가로 연결관(51)이 수직주(54) 상단과 직접 연결되고 지주의 받침봉(55)의 하단에는 바퀴(70)를 설치하며, 한쌍의 받침봉(55)의 사이에는 전후로 각각 가로봉(58)을 설치하여 서로 연결하므로써 빨랫대(5)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 경우 빨랫대(5)를 본체(1)로 부터 빼낼 때 쉽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가끔 빨랫대(5)를 본체(1)로 부터 빼낼 필요가 발생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이불 등의 대형 혹은 중형 세탁물을 그 위에 덮어서 건조할 경우 빨랫대(5)를 꺼내어 비교적 넓은 방안에서 세탁물을 넌 후, 다시 건조실(3) 내에 넣어서 건조할 경우 비교적 편리하며 시간 절약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 일조시 실내 혹은 실외에서의 건조가 가능할 경우에는 빨랫대(5)를 꺼내어 태양아래에서 일반 빨랫대로 사용하므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바퀴가 달린 빨랫대(5)를 건조실로 편리하게 넣기 위해서는 받침꺽쇠(62) 상단의 전후에 세로로 받침판(63)을 설치하여 바퀴(70) 및 빨랫대(5)를 설치하도록 제공하고 있다. 받침판(63)의 앞면에는 이음쇠로 인도판(64)을 연결하고 인도판의 반대편을 바닥에 놓으면 경사가 형성되어 빨랫대(5)의 상하이동을 편리하게 한다. 이음쇠의 반대편은 전환축(65)으로 받침판(63) 위에 연결하므로써 인도판(64)를 회전하여 받침판(63) 위에 집어 넣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예시 제12도의 점선(64')와 같음), 받침판(63)의 상단은 걸쇠(67)로 고정시키며 이러한 설계는 본 고안의 활용성을 제고시킨다.
이상의 구체적인 예시는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유사한 고안에 대해 숙지하고 있는 전문인사들의 입장에서 볼 때 상술한 설명을 근거로 하여 그 예시에 대해 부분적인 변경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고안의 창안의 주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속하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

Claims (3)

  1. 구멍이 형성된 천정(11)과, 그 아래에 배치된 바퀴(70)들을 가지는 바닥(14) 및 측면벽(12)들로써 구획되는 본체(1)와; 본체의 상단 및 천정(11)의 아래에 위치하며, 전열기(21)와 그 전열기(21) 아래에 위치한 거의 수평인 열발산판(28)을 포함하는 열풍실(2)로서, 본체(1)의 측면벽들과 접촉하고 있는 세로 방향 모서리들을 가지는 상기 열발산판(28)은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며 또한 후면벽 및 세로 방향 측벽 모서리 상에 각각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측면홈(29)을 가지며; 집중된 공기를 열풍실(2)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천정의 구멍(23)위에 배치되며, 공기 정화 장치(27)가 설치된 후면 구멍을 가지는 덮개(26)내에 장착되는 팬(24)과; 본체(1)의 정면벽 위에 위치하여 전열기(21) 및 팬(24)의 작동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여러 가지 소정의 가열 동력 출력의 하나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열기(21)를 조정하는 온도 선택 스위치 및 전열기(21) 및 팬(24)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등을 포함하는 조정판(4)과; 열발산판(28) 아래, 본체(1)의 중앙 및 하단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하여 정면벽에 하나의 문(15)과, 그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수준에 도달하면 전열기(21)를 비작동 상태로 조정하기 위한 온도조절기(41)와, 안이 빈 열풍인도관(16) 및 벽걸이(17) 수단들을 포함하는 건조실(3)로서, 상기 열풍인도관(16)은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이며 후면벽 및 측면벽상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열발산판(28)의 측면홈(29)과 연결되는 열려진 상부 끝단을 가져서 열풍실(2)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또한 닫혀진 하부 끝단 및 건조실(2)의 내부와 접하는 측면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벽걸이(17) 수단은 거의 수평인 중앙걸대와 양 끝단에 두개의 지탱대축들을 가지는 거의 역 U 자형의 봉을 포함하는데, 상기 지탱대축들은 건조실(2)의 측면벽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한 고정쇠(171)와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건조실(2) 내에 위치하는 빨래대(5)와 받침망(61)을 포함하는 빨래대 수단으로서, 상기 빨래대(5)는 한쌍의 가로봉(51)과 한쌍의 세로봉(52)에 의하여 형성되는 거의 수평인 장방형의 선반과, 상부 끝단은 장방형의 선반에 연결되며 하부 끝단들은 본체(1)의 대향하는 두 측면벽상에 장착된 한 쌍의 간격을 둔 길이 방향의 받침봉(55) 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로로 간격을 두고 있는 수직주(54)를 포함하는데, 상기 장방형의 선반은 열발산판(28) 및 본체(1)의 측면벽(12)들과 바닥(14)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본체의 대향하는 두 측면벽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받침꺽쇠(62) 상에 놓이는 상기 받침망(61)은 받침봉(55) 상에 수평으로 위치되며; 바닥(14) 위의 받침봉(55) 아래에 위치하며 측면으로부터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72)로 아래로 기울어진 표면을 가지는 집수판(7)과, 본체 바닥(14)의 아래로 또한 배수구(72)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집수쟁반(73)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및; 배수구(72) 옆에 형성된 배기 구멍(75)과, 집수판(7) 아래에 위치하며 배기 구멍(75)과 연결되는 정면 끝단 및 본체(1) 후면벽의 바깥 표면 상에 위치한 배기구(77)와 연결되는 후면 끝단을 가지는 안이 빈 배기 파이프(76)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
  2. 구멍이 형성된 천정(11)과, 그 아래에 배치된 바퀴(70)들을 가지는 바닥(14) 및 측면벽(12)들로써 구획되는 본체(1)와; 본체의 상단 및 천정(11)의 아래에 위치하며, 전열기(21)와 그 전열기(21)아래에 위치한 거의 수평인 열발산판(28)을 포함하는 열풍실(2)로서 본체(1)의 측면벽(12)들과 접촉하고 있는 세로 방향 모서리들을 가지는 상기 열발산판(28)은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며 또한 후면벽 및 세로 방향 측벽 모서리 상에 각각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측면홈(29)를 가지며; 집중된 공기를 열풍실(2)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천정의 구멍(23) 위에 배치되며, 공기 정화 장치(27)가 설치된 후면 구멍을 가지는 덮개(26)내에 장착되는 팬(24)과; 본체(1)의 정면벽 상단에 위치하여 전열기(21) 및 팬(24)의 작동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여러 가지 소정의 가열 동력 출력의 하나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열기(21)를 조정하는 온도 선택 스위치 및 전열기(21) 및 팬(24)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등을 포함하는 조정판(4)과; 열발산판(28) 아래, 본체(1)의 중앙 및 하단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하여 정면벽에 장착된 문(15)과, 그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수준에 도달하면 전열기(21)를 비작동 상태로 조정하기 위한 온도조절기(41)와, 안이 빈 열풍인도관(16) 및 벽걸이(17) 수단들을 포함하는 건조실(3)로서, 상기 열풍인도관(16)은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이며 후면벽 및 측면벽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열발산판(28)의 측면홈(29)과 연결되는 열려진 상부 끝단을 가져서 열풍실(2)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또한 닫혀진 하부 끝단 및 건조실(2)의 내부와 접하는 측면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벽걸이(17) 수단은 거의 수평인 중앙걸대와 양 끝단에 두 개의 지탱대축들을 가지는 거의 역 U 자형의 봉을 포함하는데, 상기 지탱대축들은 건조실(2)의 측면벽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한 고정쇠(171)와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건조실(2) 내에 위치하는 빨래대(5)와 받침망(61)을 포함하는 빨래대 수단으로서, 상기 빨래대(5)는 한쌍의 가로봉(51)과 한쌍의 세로봉(52)에 의하여 형성되는 거의 수평인 장방형의 선반과, 상부 끝단이 장방형의 선반에 연결되는 가로로 떨어져 있는 한 쌍의 수직주(54) 및 받침대 수단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받침대 수단은 서로 떨어져 있는 수직주의 하부 끝단을 그 위에 장착하며 그 아래에는 바퀴(70)들이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서로 떨어져 있는 세로 방향의 받침봉(54)과, 그 위에 배치된 한 쌍의 걸쇠(67)에 의하여 상기 받침봉(54)들을 이동할 수 있게 장착하며 본체(1)의 두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떨어져 있는 받침판(63) 및, 각각 그 한 끝단은 상기 받침판의 앞 끝단상에 경첩에 의하여 전환할 수 있게 고정되며 다른 한 끝단은 지면 상에 놓여서 경사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받침판(63) 속으로 접혀 들어갈 수 있는 한 쌍의 서로 떨어져 있는 인도판(64)을 포함하며, 상기 장방형 선반은 열발산판(28) 및 본체(1)의 측면벽(12)들과 바닥(14)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본체의 대향하는 두 측면벽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받침꺽쇠(62) 상에 놓이는 상기 받침망(61)은 상기 받침봉(55) 상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바닥(14) 위의 받침봉(55) 아래에 위치하며 측면으로부터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72) 쪽으로 아래로 기울어진 표면을 가지는 집수판(7)과, 본체의 바닥(14) 아래, 배수구(72) 아래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집수쟁반(73)를 포함하는 배수 장치 및; 배수구(72) 옆에 형성된 배기 구멍(75)과, 집수관(7) 아래에 위치하며 배기 구멍(75)과 연결되는 정면 끝단 및 본체(1) 후면벽의 바깥 표면 상에 위치한 배기구(77)와 연결되는 후면 끝단을 가지는 안이 빈 배가 파이프(76)을 포함하는 배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
  3. 구멍이 형성된 천정(11)과, 그 아래에 배치된 바퀴(70)들을 가지는 바닥(14) 및 측면벽(12)들로써 구획되는 본체(1)와; 본체의 상단 및 천정(11)의 아래에 위치하며, 전열기(21)와 그 전열기(21) 아래에 위치한 거의 수평인 열발산판(28)을 포함하는 열풍실(2)로서, 본체(1)의 측면벽들과 접촉하고 있는 세로 방향 모서리들을 가지는 상기 열발산판(28)은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며 또한 후면벽 및 세로 방향 측벽 모서리 상에 각각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측면홈(29)을 가지며; 집중된 공기를 열풍실(2)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천정의 구멍(23) 위에 배치되며, 공기 정화 장치(27)가 설치된 후면 구멍을 가지는 덮개(26)내에 장착되는 팬(24)과; 본체(1)의 정면벽 위에 위치하여 전열기(21) 및 팬(24)의 작동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여러 가지 소정의 가열 동력 출력의 하나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열기(21)를 조정하는 온도 선택 스위치 및 전열기(21) 및 팬(24)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신호등을 포함하는 조정판(4)과; 열발산판(28) 아래, 본체(1)의 중앙 및 하단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하여 정면벽에 장착된 하나의 문(15)과, 그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수준에 도달하면 전열기(21)를 비작동 상태로 조정하기 위한 온도조절기(41)와, 안이 빈 열풍인도관(16) 및 벽걸이(17) 수단들을 포함하는 건조실(3)로서, 상기 열풍인도관(16)은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이며 후면벽 및 측면벽상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열발산판(28)의 측면홈(29)과 연결되는 열려진 상부 끝단을 가져서 열풍실(2)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또한 닫혀진 하부 끝단 및 건조실(2)의 내부와 접하는 측면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벽걸이(17) 수단은 거의 수평인 중앙걸대와 양 끝단에 두개의 지탱대축들을 가지는 거의 역 U 자형의 봉을 포함하는 데, 상기 지탱대축들은 건조실(2)의 측면벽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한 고정쇠(171)와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건조실(2) 내에 위치하는 빨래대(5)와 받침망(61)을 포함하는 빨래대 수단으로서, 상기 빨래대(5)는 그 하부 끝단이 본체(1)의 대향하는 두 벽면 상에 장착된 받침판(63') 상에 고정되는 수직 신축주(54')와, 수직 신축주(54')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거의 수평인 가로 연결관(51')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가로 연결관(51')은 신축적 구조이며 열발산판(28) 및 본체(1)의 측면벽돌과 바닥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으며, 건조실(2)의 두 대향 벽면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받침꺽쇠(62) 상에 놓이는 상기 받침망(61)은 받침판(63') 상에 거의 수평으로 위치되며; 바닥(14) 위의 받침봉(55) 아래에 위치하며 측면으로부터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72)로 아래에 기울어진 표면을 가지는 집수판(7)과, 본체 바닥(14)의 아래로 또한 배수구(72)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집수쟁반(73)을 포함하는 배수 장치 및; 배수구(72) 옆에 형성된 배기 구멍(75)과, 집수판(7) 아래에 위치하며 배기 구멍(75)과 연결되는 정면 끝단 및 본체(1) 후면벽의 바깥 표면 상에 위치한 배기구(77)와 연결되는 후면 끝단을 가지는 안이 빈 배기 파이프(76)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
KR2019950022358U 1995-08-26 1995-08-26 다목적 의료 건조 장치 KR0123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358U KR0123882Y1 (ko) 1995-08-26 1995-08-26 다목적 의료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358U KR0123882Y1 (ko) 1995-08-26 1995-08-26 다목적 의료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16U KR970009816U (ko) 1997-03-29
KR0123882Y1 true KR0123882Y1 (ko) 1998-10-15

Family

ID=1942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358U KR0123882Y1 (ko) 1995-08-26 1995-08-26 다목적 의료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8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16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8694B1 (en) A multipurpose dryer
US5755040A (en) Household drying center
US8997372B2 (en) Forced convection hanging clothes dryer
JP2637064B2 (ja) 多機能乾燥機
US5394619A (en) Portable clothes dryer and room humidifier
US8166667B1 (en) Clothes drying furniture
US3256617A (en) Apparatus for drying laundry and the like
US20120055039A1 (en) Drying and warming appliance
US7140121B2 (en) Garment drying cabinet and system
CN107313225A (zh) 一种新型带蒸汽熨烫以及烘干的两用功能机
US20050050756A1 (en) Drying apparatus, system and kit
CN2139587Y (zh) 悬挂式干衣机
US20090184141A1 (en) Garment drying device
KR0123882Y1 (ko) 다목적 의료 건조 장치
CN216947548U (zh) 一种组合式家用衣物烘干装置
KR100723992B1 (ko) 대류 건조기
CN208219244U (zh) 一种干衣熨烫一体机
CN206867167U (zh) 一种通风加强型多功能浴室柜
KR200462757Y1 (ko) 가구형태 빨래건조대
CN214328219U (zh) 一种热泵式衣物烘干装置
JPH11276797A (ja) 温風パイプハンガー
CN211041124U (zh) 一种具有抗倾倒的取暖器
CN206858886U (zh) 一种新型带蒸汽熨烫以及烘干的两用功能机
JP3048350U (ja) 衣類乾燥機
JPH03109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