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845B1 - 음성합성 및 인식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합성 및 인식시스템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3845B1 KR0123845B1 KR1019940001565A KR19940001565A KR0123845B1 KR 0123845 B1 KR0123845 B1 KR 0123845B1 KR 1019940001565 A KR1019940001565 A KR 1019940001565A KR 19940001565 A KR19940001565 A KR 19940001565A KR 0123845 B1 KR0123845 B1 KR 0123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phoneme
- semitone
- speech
- phonem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8)
- 음소 또는 변이음을 선행음소 및 후속음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소 또는 변이음의 정상상태시점부근에서 양분한 반음소를 음성을 합성하기 위한 기본음성단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음소가 선행음소 또는 후속음소와 인접한 음소 또는 변이음의 경계부에 존재하는 천이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단어, 구, 및 절에 대한 문자열데이타의 구문을 분석하여 구문분석데이타를 발생하고, 상기 구문분석데이타에 따른 음율변동규칙에 의하여 상기 문자열데이타를 발음기호데이타의 형태로 변환하는 음성학적 전처리수단과, 상기 음성학적 전처리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구문정보데이타에 의하여 음성의 억양을 조절하기 위한 억양패턴데이타, 음성의 강약을 조절하기 위한 강세패턴데이타, 및 음소의 지속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지속시간데이타를 발생하는 운율발생수단과, 음소의 중점부를 경계로 양분한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데이타가 저장된 반음소저장부와, 상기 음성학적 전처리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발음기호데이타에 해당하는 적어도 1개이상의 상기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데이타를 상기 반음소저장부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데이타들을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를 합성하고, 그리고 상기 운율발생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억양패턴데이타, 강세패턴데이타, 및 지속시간데이타에 의하여 상기 합성된 음성신호의 억양, 강약, 및 발음속도를 조절하는 음성단편조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단편조합수단이, 상기 음성학적 전처리수단으로부터의 발음기호데이타가 포함하는 음소들에 해당하는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들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들에 대한 반음소데이타들이 저장된 상기 반음소저장부의 저장구역에 대한 어드레스들을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반음소데이타들에 대한 어드레스들을 상기 반음소저장부에 공급하는 음성단위선정수단과, 상기 반음소저장부로부터 판독되는 상기 반음소데이타들을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를 합성하고, 상기 운율발생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억양패턴데이타, 강세패턴데이타, 및 지속시간데이타에 의하여 상기 합성된 음성신호의 억양, 강약, 및 발음속도를 조절하는 반음소합성수단과, 상기 반음소합성수단으로부터의 합성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의 형태를 갖는 합성음성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단위선정수단이, 상기 음성학적 전처리수단으로부터의 기수개의 음소에 대한 발음기호데이타를 저정하기 위한 쉬프트레지스터와, 인접음소와의 전후관계에 따른 반음소표를 저장하여, 상기 쉬프트레지스터로부터의 상기 기수개의 음소에 대한 발음기호데이타의 논리값에 의하여 인접 음소와의 전후관계에 따른 한 음소에 대한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기호를 발생하는 제1메모리와, 상기 제1메모리로부터의 상기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기호에 대한 반음소데이타가 저장된 상기 반음소저장부의 저장구역들에 대한 어드레스들을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어드레스들을 상기 반음소저장부에 인가하는 제2메모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레지스터가 3개의 선행음소 및 3개의 후반음소로부터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7개의 음소버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관계에 따른 반음소표가, 선행음소 및 후속음소를 전후음소 제한조건에 따라 변환시킨 경우에 대한 각 음소의 음성시료를 채취하고, 상기 채취된 음성시료를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로 양분하고, 그리고 상기 전반음소 및 후반음소를 유사한 것끼리 각각 분류함에 의하여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관계에 따른 반음소표는 반음소와 인접한 선행 및 후속모음을 전설, 중설, 및 후설음 그리고 원순 및 평순음인가에 따라 분리하고, 상기 반음소가 모음 및 활음인 경우에 상기 분류된 선행 및 후속모음을 개모음 및 폐모음으로 세분하고, 상기 반음소와 인접한 선행 및 후속자음을 순음, 치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선행 및 후속자음을 상기 반음소가 설측음, 비음, 파열음, 및 기식음인가에 따라 세분하고, 그리고 상기 세분류된 선행자음을 상기 반음소가 유성평음, 무성평음, 경음, 및 격음인가에 따라 다시 세분함에 의하여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음성합성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관계에 따른 반음소표는, 자음 및 비음인 반음소가 인접한 원순음 및 평순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하고, 자음 및 파찰음인 반음소가 인접한 전설음 및 후설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파찰 및 파열음의 정지갭을 갖는 자음의 반음소는 인접한 음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그리고 자음 및 기식음의 반음소가 인접한 개모음 및 폐모음의 영향을 받도록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합성시스템.
- 음소 또는 변이음을 선행음소 및 후속음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소 또는 변이음의 정상상태시점부근에서 양분함에 의하여 생성된 반음소로부터 추출한 인식패턴데이타를 음성인식용 기본인식단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성인식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패턴데이타는 상기 반음소 음성시료로부터 특징파라미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파라미터를 코딩함에 의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패턴데이타는 반음소 음성시료를 모델링하고, 상기 음성모델로부터 추출한 특징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수단과, 상기 A-D변환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음성데이타로부터의 음성의 특징 파라미터들을 추출하는 특징추출수단과, 특징파라미터를 갖는 반음소데이타가 저장된 반음소데이타저장부와, 단어, 구, 및 절에 대한 문자열데이타 및 상기 문자열에 대한 반음소데이타들이 판독될 수 있도록 상기 반음소데이타저장부에 인가될 어드레스들을 갖는 다수의 인식어가 저장된 인식어저장부와, 상기 특징추출수단으로부터의 특징파라미터들을 상기 인식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인식어들에 대한 상기 반음소데이타저장부로부터의 반음소데이타들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최고의 근사값을 값는 인식어의 문자열을 선택하는 인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음소저장부에 저장된 반음소데이타는 선행음소 및 후속음소로부터의 영향을 반영한 음소의 음소시료로부터 추출된 특징파라미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음소데이타에 포함된 특징파라미터가 단기간 음성에너지, 상기 단기간음성에너지의 차, 필터뱅크의 출력에너지, 및 반사계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어저장부는 인식대상어휘의 변경 및 증가될 경우에 새로운 인식어들이 저장된 메모리장치로 교체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음소데이타저장부에 저장된 반음소데이타가 반음소에 대한 특징 파라미터의 가중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음소데이타저장부에 저장된 반음소데이타가 마르코프 모델링된 반음소에 대한 음성스팩트럼의 점유분포 및 상태간전이분포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01565A KR0123845B1 (ko) | 1993-01-30 | 1994-01-28 | 음성합성 및 인식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3-1295 | 1993-01-30 | ||
KR930001295 | 1993-01-30 | ||
KR1019940001565A KR0123845B1 (ko) | 1993-01-30 | 1994-01-28 | 음성합성 및 인식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23845B1 true KR0123845B1 (ko) | 1998-10-01 |
Family
ID=2662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1565A Expired - Fee Related KR0123845B1 (ko) | 1993-01-30 | 1994-01-28 | 음성합성 및 인식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384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7231B1 (ko) * | 1996-06-29 | 2003-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소 기반의 무제한 단어 합성 방법 |
KR100704509B1 (ko) * | 2004-12-14 | 2007-04-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b 구축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음성 합성 방법 |
KR20160028868A (ko) | 2014-09-04 | 2016-03-14 | 이규원 | 안면부 영상 인식 및 외부 입력 장비를 이용한 음성 합성 시스템 및 음성 합성 방법 |
-
1994
- 1994-01-28 KR KR1019940001565A patent/KR012384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7231B1 (ko) * | 1996-06-29 | 2003-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소 기반의 무제한 단어 합성 방법 |
KR100704509B1 (ko) * | 2004-12-14 | 2007-04-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b 구축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음성 합성 방법 |
KR20160028868A (ko) | 2014-09-04 | 2016-03-14 | 이규원 | 안면부 영상 인식 및 외부 입력 장비를 이용한 음성 합성 시스템 및 음성 합성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76169B2 (ja) | 言語合成のためのランタイムアコースティックユニット選択方法及び装置 | |
US5905972A (en) | Prosodic databases holding fundamental frequency templates for use in speech synthesis | |
US6470316B1 (en) | Speech synthesis apparatus having prosody generator with user-set speech-rate- or adjusted phoneme-duration-dependent selective vowel devoicing | |
US20070282608A1 (en) | Synthesis-based pre-selection of suitable units for concatenative speech | |
Olaszy et al. | Profivox—a Hungarian text-to-speech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applications | |
Indumathi et al. | Survey on speech synthesis | |
US563398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processing | |
JPH05197398A (ja) | 音響単位の集合をコンパクトに表現する方法ならびに連鎖的テキスト−音声シンセサイザシステム | |
El-Imam et al. | Text-to-speech conversion of standard Malay | |
KR0123845B1 (ko) | 음성합성 및 인식시스템 | |
Matoušek | ARTIC: a new czech text-to-speech system using statistical approach to speech segment database construciton | |
Venkatagiri et al. | Digital speech synthesis: Tutorial | |
EP0681729B1 (en) |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system | |
Law et al. | Cantonese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sub-syllable units. | |
Ng | Survey of data-driven approaches to Speech Synthesis | |
Matoušek | Building a new Czech text-to-speech system using triphone-based speech units | |
JP3270668B2 (ja) | テキストからスピーチへの人工的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韻律の合成装置 | |
Karjalainen | Review of speech synthesis technology | |
Narupiyakul et al. | A stochastic knowledge-based Thai text-to-speech system | |
JPH11161297A (ja) | 音声合成方法及び装置 | |
El-Imam | Synthesis of arabic from short sound clusters | |
Chowdhury | Concatenative Text-to-speech synthesis: A study on standard colloquial bengali | |
Kaur et al. | BUILDING AText-TO-SPEECH SYSTEM FOR PUNJABI LANGUAGE | |
Suh et al. | Toshiba English text-to-speech synthesizer (TESS). | |
IMRAN | ADMAS UNIVERSITY SCHOOL OF POST GRADUATE STUDIES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7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9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