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309Y1 - Tape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 Google Patents

Tape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309Y1
KR0123309Y1 KR2019950010203U KR19950010203U KR0123309Y1 KR 0123309 Y1 KR0123309 Y1 KR 0123309Y1 KR 2019950010203 U KR2019950010203 U KR 2019950010203U KR 19950010203 U KR19950010203 U KR 19950010203U KR 0123309 Y1 KR0123309 Y1 KR 0123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transfer
latch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2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38503U (en
Inventor
김원배
Original Assignee
조석구
아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구, 아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석구
Priority to KR2019950010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309Y1/en
Publication of KR960038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50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309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트레이와 트랜스퍼로 구성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를 테이블식으로 돌출시켜 테이프를 장입하거나 역으로 탈거하는 프론트 로딩방식의 카세트에 있어서, 카세트 데크에 장착되는 테이프를 용이하게 장착되게 가압하고, 그 누름수단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콤펙트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누름수단과 테이프 표면의 마찰을 제거하여, 소음 발생이나 그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카세트 데크에 테이프를 장착시키기 위해 그 테이프가 안착되어 있는 플래터부재를 상기 카세트 데크가 설치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해 틀체에 안내 슬라이드되는 트랜스퍼가, 틀체에 힌지 결합된 래치를 그 슬라이드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에, 그 래치와 함께 틀체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연동되게 연결되어, 상기 래치의 회동에 의해 카세트 데크에 장착되는 테이프를 그 상측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를 제안한다.In the front-loading cassette in which the tape loading assembly consisting of the tray and the transfer is protruded in a table manner to load or reversely remove the tape, the tape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is easily press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means In order to simplify the product's compactness and to eliminate friction between the pressing means and the surface of the t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or damage to the tape so that the tape is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The transfer slide guided to the frame to lower the platter member on which the seat is moun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assette deck is installed, is hinged to the frame together with the latch when the latch hinged to the frame rotates in the slide direction. Interlocked with each other via an elastic member, the Rotating the tape mounted on the tape deck by a tape pressing proposes syntax for the front-loading casset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apted to the pressure at the upper side.

Description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Tape presser on the front loading cassette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loading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loading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테이프 누름구를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tape pres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을 절개 도시한 일부 단면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제5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테이프 누름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ape pres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틀체 3 : 카세트 데크1: frame 3: cassette deck

7 : 트랜스퍼 69 : 터그부재7: transfer 69: tug member

81 : 누름구 82 : 푸시 암81: push button 82: push arm

83 : 롤러 85 : 힌지핀83: roller 85: hinge pin

87 : 래치 89 : 제1탄성부재87: latch 89: first elastic member

91 : 링크부재 93,113 : 요부91: link member 93,113: main part

95 : 롤링부재 97 : 제2탄성부재95: rolling member 97: second elastic member

99 : 안내레일 107 : 홀딩바99: guide rail 107: holding bar

109 : 지지대 111 : 제3탄성부재109: support 111: third elastic member

115 : 내향돌기115: inward protrusion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고안은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가 안착되는 플래터(Flatter)와 이를 지지하고 있는 트레이를 테이블식으로 돌출시키거나 다시 리턴시키는 프론트 로딩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그 카세트 데크에 장착되는 테이프를 상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완전한 장착 상태의 유지와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누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presser of a front loading cassette, and more particularly, a front loading cassette tape player for protruding or returning a table on which a tape is seated and a tray supporting the ta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presser that pressurizes a tape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from an upper side, thereby preventing maintenance of a complete mounting state and preventing lifting due to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종래 기술][Prior art]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는 통상 힌지 개폐되는 도어의 내부에 테이프를 삽입 장착하여 도어를 닫거나, 카스테레오에서와 같이 강제적으로 삽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conventional cassette tape players have been proposed to insert a tape into the interior of a door that is normally hinged and closed to close the door, or to force the insertion as in a car stereo.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번거로을 뿐 아니라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CD 플레이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같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다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음향기기가 제안되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is troublesome for the user to operate and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product value of the product.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a sound device configured to adopt a front loading method such as a CD player or a video tape recorder for convenience of use and to have multi-function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93-8662호에는 DAT(Digital Audio Tape) 프론트 로딩장치가 제안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prior art,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3-8662 proposes a DAT (Digital Audio Tape) front loading apparatus.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4-20266호와 동 제94-20267호에는 카세트 테이프의 프론트 로딩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addition, as proposed by the applica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94-20266 and 94-20267 propose front loading methods of cassette tapes.

여기서, 상술한 카세트 테이프의 프론트 로딩 방법은 테이블식으로 그 카세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트레이 및 보조트레이에 카세트 테이프를 얹어 놓음으로써, 그 테이프를 자동으로 끌고들어가 카세트 데크의 내부에 장착되게 하는 방법이다.Here, the front loading method of the cassette tape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automatically pulling the tape and mounting it inside the cassette deck by placing the cassette tape on a tray and an auxiliary tray protruding forward of the cassette in a table manner. .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Problem to solve]

그러나 상술한 카세트 테이프의 프론트 로딩 방법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를 가압하여 카세트 데크에 장착시키기 위한 누름수단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front loading method of the cassette ta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cassette tape and mounting the cassette tape is complicated.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론트 로딩방법은 트레이 및 보조트레이에 연동되는 누름부재를 마련하여, 그 누름 동작에 의해 테이프를 카세트 데크에 장착하도록 하는 바, 상기 트레이 및 보조트레이와의 연결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그렇게 구성되는 로딩 어셈블리의 두께가 크게되어 제품의 콤펙트화를 저해하도록 작용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front loading method provides a pressing member interlocked with the tray and the auxiliary tray so that the tape is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by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ray and the auxiliary tray may be complicat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loading assembly thus configured is increased to act to inhibit the compaction of the product.

더불어, 기존의 누름부재는 판스프링을 개재하여 테이프 표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그 테이프와의 마찰에 의해 소음 발생과 표면의 손상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essing member is to press the surface of the tape via the leaf spring, which has a problem that causes noise and surface damage by friction with the tape.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를 가압하여 장착을 견고히하는 누름수단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콤펙트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is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means for firmly mounting the pressurized cassette tape to achieve compactness of the product to achieve the compactness of the product To provide a tape presser.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누름수단과 테이프 표면의 마찰을 제거하여, 소음 발생이나 그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friction between the pressing means and the tape surfac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or damage to the tape.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트레이와 트랜스퍼로 구성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를 테이블식으로 돌출시켜 테이프를 투입하고, 다시 상기 로딩 어셈블리를 리턴시켜 카세트 데크에 테이프를 장착하거나 역순으로 탈거하는 프론트 로딩방식의 카세트에 있어서,In accordance wit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pe loading assembly consisting of a tray and a transfer to protrude a table to insert a tape, and then returns the loading assembly to a cassette of a front loading type in which a tape is mounted on a cassette deck or removed in reverse order. In

카세트 데크에 테이프를 장착시키기 위해 그 테이프가 안착되어 있는 플래터부재를 상기 카세트 데크가 설치된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해 틀체에 안내 슬라이드되는 트랜스퍼가, 틀체에 힌지 결합된 래치를 그 슬라이드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에, 그 래치와 함께 틀체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연동되게 연결되어, 상기 래치의 회동에 의해 카세트 데크에 장착되는 테이프를 그 상측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를 제안한다.When the transfer guide slides on the frame to lower the platter member on which the tape is seated to mount the tape on the cassette deck to the position where the cassette deck is installed, when the latch hinged to the frame rotates in the slide direction. And a latching coupled to the frame together with the latch and interlocking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elastic member, and configured to press the tape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from the upper side by rotating the latch. Suggests a tape presser.

여기서, 본 고안의 누름구는 틀체에 안내되어 리턴되는 트랜스퍼의 하부로 연장된 터그부재에 의해 끌려 회동되는 래치와 함께, 힌지핀을 개재하여 베이스로 되는 틀체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와 제1탄성부재로써 연결되는 푸시 암과, 상기 푸시 암이 틀체를 가로지르는 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그 지지대와의 사이에 제3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지되고, 양측의 지지대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홀딩 바와, 그 홀딩 바의 외측을 감싸며 테이프의 표면을 가압하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p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to be the base via a hinge pin, with the latch rotated by the tug member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guided and returned to the frame, the latch And a push arm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a support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ush arm traversing the frame, and a third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upport arm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arm. It is comprised by the holding bar fitt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nd the roller which presses the surface of a tape, and wraps the outer side of the holding bar.

[실시예]EXAMPLE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for re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전체 구성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의 설명 부호 1은 베이스로 되는 틀체를 나타낸다.1 and 2 are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loading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umeral 1 in the drawing represents a base frame.

상술한 틀체(1)에는 테이프 플레이어로서 카세트 데크(3)가 장착된다. 또, 상기 카세트 데크(3)가 장착된 틀체(1)의 상측에는 상기 카세트 데크(3)에 외부로부터 테이프를 장입하거나, 장입된 테이프를 탈거 및 이송하기 위한 테이프 로딩 어셈를리가 안착된 채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The cassette 1 is mounted to the frame 1 as the tape player. Fur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 on which the cassette deck 3 is mounted, the tape is inserted into the cassette deck 3 from the outside, or the tape loading assembly for removing and conveying the loaded tape is seated. It is configured to be.

더 구체적으로, 상기 틀체(1)에는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 즉, 트레이(5)와 트랜스퍼(7)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안내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마련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rame 1 is provided with a drive means for guiding and sliding the tape loading assembly, ie the tray 5 and the transfer 7, forward or backward.

그 구동 수단은 틀체(1)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벨트(13) 및 다수개의 기어(15)와, 상기 트밴스퍼(7)에 형성된 랙(17)과 치차 결합되어 그 트랜스퍼(7)를 슬라이드시키는 피니언(19)으로 구성된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 motor 11 fixed to the frame 1, an electric belt 13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motor 11, a plurality of gears 15, and the traverse 7; It is composed of a pinion (19) for gear coupling with the formed rack (17) to slide the transfer (7).

상기 피니언(19)은 그 상부에 안착된 트랜스퍼(7)를 전후 방향으로 직진 이송시키게 되는 바, 이때 상기 트랜스퍼(7)는 트레이(5)와 함께 상호 일체 혹은 분리되어 상기 틀체(1)에 안착된 채로 안내 슬라이드되어 진다.The pinion 19 transfers the transfer 7 seated on the upper portion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herein the transfer 7 is integrally or separated with the tray 5 and seated on the frame 1. The slide is guided.

여기서, 상기 트레이(5)는 테이프의 장입 및 탈거를 위한 개구(27)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전후 양측으로는 호상 가이드(31, 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호상 가이드(33)에는 그 트레이(5)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35)가 마련된다.Here, the tray 5 has an opening 27 for charging and removing the tape, and arcuate guides 31 and 33 are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In this case, the arc guide 33 is provided with a cutout 35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y 5.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5)의 저면에는 트랜스퍼(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트랜스퍼(7)의 양 측벽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록부재(37)는 트레이(5)의 슬리트(39)에 끼워져, 그 길이 방향 슬라이드만을 가능하게 한다.The transfer member 7 is slid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ray 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ock member 37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walls of the transfer member 7 is a slit of the tray 5. 39) to enable only its longitudinal slide.

이렇게 구성된 트랜스퍼(7)와 트레이(5)는 상기 틀체(1)에 안내되어 그 프론트 방향으로 로딩되어 진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5)의 개구(27)를 통해 테이프를 장입하여 플래터부재(61)에 올려 놓거나, 그로부터 테이프를 탈거하게 된다.The transfer 7 and the tray 5 thus configured are guided to the frame 1 and loaded in the front direction thereof. In this case, the user loads the tape through the opening 27 of the tray 5 and places it on the platter member 61, or removes the tape therefrom.

상기와 같이 테이프가 안착되거나 탈거된 플래터부재(61)는 다시 트레이(5) 및 트랜스퍼(7)와 함께 리턴되어 진다. 또, 상기 플래터부재(61)는 그 행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하강을 시작하게 되고 상기 틀체(1)에 설치된 카세트 데크(3)에 그 테이프를 장착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latter member 61 on which the tape is seated or removed is returned together with the tray 5 and the transfer 7. In addition, the platter member 61 starts to descend at the end of the stroke and mounts the tape on the cassette deck 3 installed in the frame 1.

이러한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전술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는 상기 트랜스퍼(7)의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수단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플래터부재(61)를 업/다운시키게 되는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is operation, the above-described tape loading assembly is operated by guide mean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transfer 7, while the front and rear linkers 55 and 57 are to up / down the platter member 61. It is provided with.

여기서, 상기한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는 상기 안내수단에 힌지 결합되는 가동 힌지(59)와, 그 가동 힌지(59)가 호상으로 연장된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러그(6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힌지(59)를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5)의 호상 가이드(31, 33) 내면을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플래터부재(61)를 직하방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Here, the front and rear linkers 55 and 57 are composed of a movable hinge 59 hinged to the guide means, and a lug 63 formed at the center of which the movable hinge 59 extends into an arc. It rotat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rc guides 31 and 33 of the tray 5 about the movable hinge 59, and rotates the platter member 61 directly below.

상기 안내수단은 트랜스퍼(7)의 양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프론트 및 리어링커(55, 57)의 가동 힌지(59)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안내공(65)과, 상기 트레이(5)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 힌지(59)의 이동을 안내하는 호상의 안내구(67)로 이루어진다.The guide means is formed through both side walls of the transfer 7, the guide hole 65 and the movable hinge 59 of the front and rear linkers 55, 57 are fitted, respectively, and both side walls of the tray 5 It is formed in the guide port 67 of the arc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hinge (59).

따라서, 상기 가동 힌지(59)는 트랜스퍼(7)의 분리 이동시, 그 트랜스퍼(7)의 안내공(65)에 의해 동작됨과 동시에 고정되어 있는 트레이(5)의 호상 안내구(67)를 따라 회동된다.Accordingly, the movable hinge 59 is rotated along the arc guide port 67 of the tray 5 which is operated by the guide hole 65 of the transfer 7 and is fixed at the time of the separation movement of the transfer 7. do.

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의 선단에는 각각 내향으로 돌출된 돌기(71, 73)가 마련되어 지는 바, 이들은 각각 플래터부재(61)의 구멍(75) 및 홈(77)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힌지(59)를 중심으로 다운/업되므로서, 그 상부에 안착된 카세트 테이프를 카세트 데크(3)에 장탈착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linkers 55, 57 are provided with projections 71, 73 protruding inward, respectively, which are hinged to the holes 75 and the grooves 77 of the platter member 61, respectively. In combination with the front and rear linkers 55, 57 are rotated down / up around the movable hinge 59, the cassette tape seated thereon is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3). .

한편, 상술한 플래터부재(61)는 다운/업 수단에 의해 승강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트랜스퍼(7)가 상기 트레이(5)와 함께 상호 일체로 리턴되는 중에, 그 트랜스퍼(7)와 연동되는 리어 링커(57)의 내향 돌기(73)의 진행을 차단하여 상기 트랜스퍼(7)를 분리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계속되는 상기 내향 돌기(73)의 진행을 하방으로 안내하여 리어 링커(57)의 회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플래터부재(61)의 다운/업 동작을 용이하게 실현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platter member 61 is lifted by the down / up means,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transfer 7 while the transfer 7 is returned integrally with the tray 5. Blocking the progress of the inward projection 73 of the rear linker 57 to separate the transfer 7, and at the same time to guide the progress of the inward projection 73 continues downward to rotate the rear linker 57 To guide and facilitate the down / up operation of the platter member 61.

더 구체적으로, 상기 틀체(11)의 내부 양측에는 훅상의 걸림부재로서 스톱가이드(79)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트레이(5) 및 트랜스퍼(7)와 일체로 후진되는 리어 링커(57)의 내향 돌기(73)를 차단하고 그 진행을 하방으로 안내함으로써, 플래터부재(61)의 다운/업을 용이하게 달성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top guide 79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11 as a hook-like locking member, which is the rear linker 57 which is integrally retracted with the tray 5 and the transfer 7. By blocking the inward projection 73 and guiding its progress downward, the down / up of the platter member 61 is easily achieved.

여기서, 본 고안에 관련된 테이프 누름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터부재(61)의 다운 동작에 의해 카세트 데크(3)로 장착되는 테이프를 그 상측에서 가압함으로써, 테이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견고한 장입을 실현하게 된다.Here, the tape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essing the tape to be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3 by the down operation of the platter member 61 from the upper side,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the tape and secure charging Will be realized.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테이프 누름수단은 상기 트레이(5)와 상호 일체로 리턴되는 트랜스퍼(7)가 카세트 데크(3)에 테이프를 장착시키기 위해 그 테이프가 안착되어 있는 플래터부재(61)를 상기 카세트 데크(3)가 설치된 위치로 하강시킬 때, 그 트랜스퍼(7)의 분리 이동과 연동하여 그 진행 방향으로 누름구(81)를 회동시킴으로써, 그 선단의 롤러(83)가 테이프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tape pres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fer member 7 which is returned integrally with the tray 5 to the platter member 61 on which the tape is seated so as to mount the tape on the cassette deck 3. When lower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assette deck 3 is installed, the pusher 81 is rot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eparating movement of the transfer 7 so that the roller 83 at the tip presses the tape. Will be.

이 경우에, 상기 누름구(81)는 상기 트랜스퍼(7)의 터그부재(69)에 끌려 회동되는 래치(87)와 함께 힌지핀(85)을 개재하여 틀체(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87)와 제1탄성부재(89)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푸시 암(82)을 보유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pressing hole 81 is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frame 1 via the hinge pin 85 together with the latch 87 that is attracted to the tug member 69 of the transfer 7 and rotated. And a push arm 82 coupled to the latch 87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89.

또, 상기 누름구(81)는 제3도 및 제4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체(1)를 가로지르는 푸시 암(82)에서 그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109)와, 상기 지지대(109)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외주에 상기 롤러(83)가 끼워져 있는 홀딩 바(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urther,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S. 3 and 4, the pressing hole 81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ush arm 82 crossing the frame 1. And a holding bar 107 which is rotatably fitt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109 and whose rollers 83 are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여기서, 상기 홀딩 바(107)는 일측 지지대(109)와의 사이에 제3탄성부재(111)를 개재하여 탄지되어 있는데, 이는 홀딩 바(107)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holding bar 107 is supported between the one side support 109 through the third elastic member 111, which is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holding bar 107.

또, 상기 홀딩 바(107)는 그 외주에 요부(113)를 보유하게 되는 바, 이는 롤러(83)의 내향돌기(115)와 끼움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bar 107 is to hold the recess 113 on the outer periphery, which is fitted with the inward protrusion 115 of the roller 83.

이령게 구성된 누름구(8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핀(85)에 의해 고리상으로 형성된 래치(87)와 함께 상기 틀체(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 그 래치(87)는 일측 선단이 트랜스퍼(7)의 하방으로 연장된 터그부재(69)와 접촉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hole 81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rame 1 together with the latch 87 formed in a ring shape by the hinge pin 85 as described above.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tug member 69 extending below the transfer 7.

따라서, 상기 래치(87)는 상기 트랜스펴(7)가 테이프를 카세트 데크(3)에 장착시키기 위해 틀체(1)에 안내되어 리턴될 때, 상기 터그부재(69)에 의해 끌려 그 진행 방향으로 회동되어 진다.Thus, the latch 87 is pulled by the tug member 69 in the direction of travel when the translator 7 is guided and returned to the frame 1 for mounting the tape to the cassette deck 3. It is rotated.

이때, 상기 래치(87)와 누름구(81)는 제1탄성부재(89)를 개재하여 서로 연동되어 지는 바, 그 누름구(81)는 제1탄성부재(89)의 장력에 의해 당겨져 상기 래치(87)와 함께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테이프(105; 제5도 참조)를 상측에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atch 87 and the pressing hole 81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via the first elastic member 89, the pressing hole 81 is pulled by the tens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89 It rotates with the latch 87, which causes the tape 105 (see FIG. 5) to be urged upwards.

한편, 상기 롤러(83)는 실리콘 러버 재질로 구성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와 같이 테이프(105)를 상측에서 가압할 경우 그 테이프(105)와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소음의 발생이나 테이프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ller 83 is made of a silicone rubber material, which move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tape 105 when the tape 105 is pressurized from above, thus generating noise unlike in the prior art. Or damage to the tape surface.

또, 상기 누름구(81)의 푸시 암(82)은 힌지핀(또)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83)에 대향하는 타단부에 링크부재(91)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데, 이 링크부재(91)는 타단이 개방되게 절개 형성된 요부(93)를 보유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ush arm 82 of the pressing hole 81 is rotatably supporting one end of the link member 91 on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roller 83 on the basis of the hinge pin (to). The link member 91 has a recess 93 formed to be cut at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링크부재(91)의 요부(93)에는 유동 가능하게 롤링부재(95)가 끼워져 있으며, 그 롤링부재(95)는 제2탄성부재(97)를 개재하여 상기 누름구(81)에 힌지 결합된 타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부재(97)는 상기 요부(93)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있으며, 그 요부(93)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A rolling member 95 is inserted into the recess 93 of the link member 91, and the rolling member 95 is hinged to the pressing hole 81 via a second elastic member 97.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refore, the second elastic member 97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ss 93, and the recess 93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에, 상기 롤링부재(95)는 링크부재(91)의 요부(93)에 삽입됨과 동시에, 틀체(1)에 형성된 안내레일(99)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rolling member 95 is inserted into the recess 93 of the link member 91 and supported by the guide rail 99 formed in the frame 1.

따라서, 상기 제2탄성부재(97)는 누름구(81)가 테이프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복원력을 갖게 되는 바, 이는 상기 트랜스퍼(7)가 다시 카세트의 전방으로 슬라이드되기 시작할 때, 그 트랜스퍼(7)의 터그부재(69)가 상기 래치(87)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구(81)를 리턴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Therefore, the second elastic member 97 has a predetermined restoring force in the state where the pressing hole 81 presses the tape, which is when the transfer 7 starts to slide forward of the cassette again. The tug member 69 of the transfer 7 acts to release the latch 87 and to return the pusher 81.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테이프 누름수단의 동작을 제5도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tape pres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5도는 상술한 트레이(5)와 트랜스퍼(7)가 상호 일체로 결합된 채로 틀체(1)에 의해 안내 슬라이드되는 경우의, 누름구(81)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5 shows the state of the pressing hole 81 when the above-described tray 5 and the transfer 7 are guided and slide by the frame 1 while being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는 트랜스퍼(7)의 랙(17)과 치차 결합된 피너언(19)의 구동에 의해, 카세트의 프론트로 돌출되어 테이프(105)를 장입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tape loading assembly is driven by the pinion 19 geared to the rack 17 of the transfer 7 to protrude to the front of the cassette to charge the tape 105.

상기와 같이 테이프(105)가 장입된 트랜스퍼(7)와 트레이(5)는 피니언(19)의 역 구동에 의해 리턴되어 지는 바, 이러한 트랜스퍼(7)는 리어 링커(57)의 내향 돌기(73)가 틀체(1)에 형성된 스톱 가이드(79)와 접촉될 때, 상기 트레이(5)와 분리되어 계속 진행하게 되고, 상기 스톱 가이드(79)가 상기 내향 돌기(73)를 하방으로 안내하게 됨으로써, 테이프(105)가 안착된 플래터부재(61)를 카세트 데크(3)가 설치된 위치까지 다운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7 and the tray 5 in which the tape 105 is loaded are returned by the reverse driving of the pinion 19, and the transfer 7 is an inward projection 73 of the rear linker 57. When is in contact with the stop guide 79 formed in the frame (1), it is separated from the tray 5 to continue, and the stop guide 79 guides the inward projection 73 downwards The platter member 61 on which the tape 105 is seated is brought down to the position where the cassette deck 3 is installed.

여기서, 본 고안에 관련된 테이프 누름수단은 상기 트레이(5)와 분리 이동되기 시작하는 트랜스퍼(7)의 터그부재(69)에 의해 동작되어 지는 바, 상기 터그부재(69)는 래치(87)를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Here, the tape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tug member 69 of the transfer 7 which starts to move apart from the tray 5, the tug member 69 is a latch 87 It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이에 따라, 상기 래치(87)는 제1탄성부재(89)로써 연결되어 있는 푸시 암(82)을 마찬가지로 회동시키게 되며, 그 푸시 암(82)에 지지된 롤러(83)는 카세트 데크(3)로 장착되는 테이프를 상측에서 가압하여, 그 테이프의 용이하고 완전한 장착을 달성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atch 87 rotates the push arm 82 connect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89 in a similar manner, and the roller 83 supported by the push arm 82 is the cassette deck 3. Pressing the tape to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to achieve easy and complete mounting of the tape.

반면, 상기 제2탄성부재(97)는 소성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소정의 복원력을 유지하게 되는 바, 상기 래치(87)가 트랜스퍼(7)의 터그부재(69)로부터 해제될 경우 상기 누름구(81)를 복원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97 is a state in which plastic deformation does not occu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restoring force, when the latch 87 is released from the tug member 69 of the transfer 7 It serves to restore the pressing hole 81.

[고안의 효과][Effect of design]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는 카세트 데크에 장착되는 테이프를 용이하게 장착되게 가압하고, 그 누름수단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콤펙트화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tape presser of the front-loading casset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urizes the tape to be easily mounted on the cassette deck, and achieves compactness of the product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means. It can be seen that.

또, 본 고안에 의한 누름구는 실리콘 러버 재질의 롤러를 개재하여 테이프 표면의 마찰을 제거하고, 소음 발생이나 그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friction of the tape surface through the roller of silicon rubber material, and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or damage to the tape.

더불어, 본 고안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의 플레이 또는 그 밖의 동작시 완전한 장착이 안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나, 외부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by the problem caused by not fully mounted during the play or other operation of the cassette tape, and the lifting by the external shock and vibration.

Claims (7)

트레이와 트랜스퍼로 구성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를 카세트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테이프를 장입하거나 역으로 탈거하는 프론트 로딩방식의 카세트에 있어서, 트랜스퍼(7)가 테이프를 카세트 데크(3)에 장착시키기 위해 틀체(1)에 안내되어 리턴될 때, 그 트랜스퍼(7)에 의해 의해 틀체(1)에 힌지 결합된 래치(87)가 그 슬라이드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그 래치(87)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연동되는 누름구(81)가 상기 테이프를 그 상측에서 가압토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In a front-loading cassette in which a tape loading assembly consisting of a tray and a transfer is projected forward of a cassette to load or reversely remove a tape, the transfer member 1 is used to mount the tape to the cassette deck 3. When guided and returned, the latch 87 hinged to the frame 1 by the transfer 7 is rotated in the slide direction, there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via an elastic member on the latch 87. Presser 81 is a tape presser of the front-loading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ss the tape on the upper side. 제1항에 있어서, 트랜스퍼(7)의 터그부재(69)에 끌려 회동되는 래치(87)와 함께 힌지핀(85)을 개재하여 틀체(1)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87)와 제1탄성부재(89)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푸시 암(82)과, 상기 푸시 암(82)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대(109)와, 상기 지지대(109)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홀딩 바(107)와, 상기 홀딩 바(107)의 외측을 감싸며 테이프의 표면을 가압하는 롤러(83)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2. The latch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latch is pivot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body 1 via a hinge pin 85 together with a latch 87 that is pulled and rotated by the tug member 69 of the transfer 7. 87 is pivotally fitted between the push arm 82 connected via the first elastic member 89, the support 109 extending from the push arm 82, and the support 109. And a holding bar (107) and a roller (83) wrapping the outer side of the holding bar (107) and pressing the surface of the tape. 제2항에 있어서, 홀딩 바(107)는 지지대(109)와의 사이에 제3탄성부재(111)를 개재하여 탄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3. The tape presser of the front loading cassett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lding bar (107) is supported by a third elastic member (111) between the support bar (109). 제2항에 있어서, 홀딩 바(107)의 요부(113)와 롤러(83)의 내향돌기(115)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The tape presser of claim 2, wherein the recess 113 of the holding bar 107 and the inward protrusion 115 of the roller 83 are fitted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테이프 면과 구름 접촉되는 롤러(83)는 실리콘 러버 재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데이프 누름구.The tape press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oller (83) in rolling contact with the tape surface is made of a silicone rubber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푸시 암(82)의 롤러(83)와 대향하는 타단부에는 일단이 개방되게 절개 형성된 요부(93)를 갖는 링크부재(91)가 힌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3. The front loading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link member (91) having a recessed portion (93) having one end cut open to the other end facing the roller (83) of the push arm (82) is hinged. Tape presser on anticorrosive cassette. 제6항에 있어서, 푸시 암(82)에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91)는 요부(93)와 틀체(1)에 형성된 안내레일(99)에 동시 결합되는 롤링부재(95)와 제2탄성부재(97)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The rolling member (95) and the second elasticity of claim 6, wherein the link member (91) hinged to the push arm (82) is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guide rail (99) formed on the recess (93) and the frame (1). Tape presser of the front-loading cassett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via the member (97).
KR2019950010203U 1995-05-15 1995-05-15 Tape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KR01233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203U KR0123309Y1 (en) 1995-05-15 1995-05-15 Tape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203U KR0123309Y1 (en) 1995-05-15 1995-05-15 Tape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503U KR960038503U (en) 1996-12-18
KR0123309Y1 true KR0123309Y1 (en) 1998-10-15

Family

ID=1941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203U KR0123309Y1 (en) 1995-05-15 1995-05-15 Tape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309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503U (en)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8004763A (en) DEVICE FOR LOADING A TAPE CASSETTE IN A MAGNETIC RECORDING AND / OR PLAYING DEVICE.
JPH01159859A (en) Cassette loader of dat
KR0123309Y1 (en) Tape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US6385154B1 (en) Disk drive configured to expand to disk-storing size from compact size that is smaller than diameter of disk
EP0887798B1 (en) Tray loading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510748B2 (en)
KR0149292B1 (en) Pressing device for front loading type cassette
JPH0528576Y2 (en)
KR0148074B1 (en) Tape loading device for a front loading type cassette
JP2672406B2 (en) Disk player loading mechanism
US4710829A (en) Disk loading mechanis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10346B1 (en) Cassette ejecting mechanism of a tape player
KR930008495Y1 (en) Loading apparatus for tape cassette
JPH0430694Y2 (en)
KR100281195B1 (en) Cassette Tape Loading Device
US5825584A (en) Tape cassette loading device in tape recorder for smoothly inserting tape cassette into holder
JPH0410140B2 (en)
US5055954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in which cassette is loaded short side first
KR0148073B1 (en) Tape ejecting device for a front loading type cassette
KR930000750Y1 (en) Cassette auto-ejecting device for dat
JP2803228B2 (en) Cassette loading device
JP2001143339A (en) Cassette holder
JPS5815862B2 (en) Cassette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450596Y2 (en)
JPH04511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