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789Y1 - Loading device for coil - Google Patents

Loading device for coil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789Y1
KR0122789Y1 KR2019940035158U KR19940035158U KR0122789Y1 KR 0122789 Y1 KR0122789 Y1 KR 0122789Y1 KR 2019940035158 U KR2019940035158 U KR 2019940035158U KR 19940035158 U KR19940035158 U KR 19940035158U KR 0122789 Y1 KR0122789 Y1 KR 0122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ar
turntable
coil car
sk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1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22467U (en
Inventor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정문창
주식회사기아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창, 주식회사기아기공 filed Critical 정문창
Priority to KR2019940035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789Y1/en
Publication of KR960022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46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789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상코일을 프레스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블랭킹가공을 하기 위해 판상을 코일을 언코일러에 자동으로 로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1대의 코일카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판상의 코일을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automatically loads a coil into an uncoiler for blanking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a plate coil to a press. More specifically, a coil of a plate in a narrow space using one coil car is used. It is intended to be loaded.

이를위해, 본 고안은 언코일러(6)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코일카 레일(12)과, 상기 코일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코일카(13)와, 상기 코일카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라켓(16)과 체인(18)으로 연결되어 코일카를 주행시키는 모터(14)와, 상기 코일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19)과, 상기 턴테이블의 유동을 제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프레임(28)과, 상기 코일이 얹혀지며 프레임에 안내되어 실린더(30)의 구동에 따라 승, 하강하는 코일 스키드(29)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l car rail 12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uncoiler 6, a coil car 13 traveling along the coil car rail, and a sprocket 16 fixed to one side of the coil car. And a motor 14 connected to the chain 18 to drive the coil car, a turntable 19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il car, and rotated by a power source, and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turntable. And, the frame 28 is installed opposite to the upper both sides of the turntable, and the coil is mounted on the guide to the frame and the coil skid 29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cylinder (30).

Description

판상코일의 로딩장치Loading device of plate coil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종단면도1 is a plan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apparatus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 상세도2 is an enlarged detail of part A of FIG.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FIG.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FIG.

제7도는 코일 스키드에 얹혀진 코일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상태도7 is a state diagram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coil placed on the coil skid

제8도는 턴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turntable

제9도는 제8도의 C-C선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코일 6:언코일러2: coil 6: uncoiler

12:코일카 레일 13:코일카12: coil car rail 13: coil car

19:턴테이블 25:플런저19: turntable 25: plunger

26:스토퍼 28:프레임26: stopper 28: frame

29:코일 스키드 31:레버29: coil skid 31: lever

32:킥커 실린더32: kicker cylinder

본 고안은 판상코일을 프레스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블랭킹가공을 하기 위해 판상의 코일을 언코일러에 자동으로 로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1대의 코일카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판상의 코일을 연속적으로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a plate coil to an uncoiler for blanking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plate coils to a press. More specifically, the plate coil is used in a narrow space by using one coil car. This allows you to load continuously.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 상세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로써, 종래의 장치에 사용되는 코일카(1)는 1개의 코일만을 적재할 수 있는 타입(type)으로 크레인등에 의해 코일(2)이 얹혀지는 크래들 로울러(3)와, 상기 코일이 얹혀진 크래들 로울러를 코일카의 상부로 이동시켜 주는 2개의 코일 스키드카(4)와, 상기 코일 스키드카의 주행을 안내하는 코일 스키드카 레일(5)과, 상기 코일 스키드카를 언코일러(6)까지 이동시키는 코일카(1)와, 상기 코일카의 주행을 안내하는 코일카 레일(7)과, 상기 코일카의 주행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피트(8)와, 상기 피트와 직교되는 양방향으로 코일 스키드카의 주행을 위해 파여진 또 다른 피트(9)와, 상기 코일카의 주행에 필요한 전선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 가이드(10)와, 상기 코일카의 주행시 피트의 상부를 개폐하는 안전커버(1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plan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apparatus, FIG. 2 is an enlarged detail of portion A of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 Is a type that can load only one coil, the cradle roller 3 on which the coil 2 is mounted by a crane, etc., and the two coils that move the cradle roller on which the coil is mounted to the top of the coil car. The skid car 4, the coil skid car rail 5 for guiding the traveling of the coil skid car, the coil car 1 for moving the coil skid car to the uncoiler 6, and the traveling of the coil car A guiding coil car rail (7), a pit (8) longitudinally dug for running the coil car, and another pit (9) dug for running the coil skid car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pit And electric wire necessary for the run of the coil car It is composed of the cable guide 10 for guiding the table, the safety cover 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foot during running of the coil car and the like.

따라서 판상의 코일(2)을 코일 스키드카(4)의 크래들 로울러(3)에 얹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 스키드카를 제1도의 a 또는 b부에 위치시킨 다음 크레인을 이용하여 판상의 코일을 크래들 로울러(3)의 상부에 올려 놓게 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mount the plate-shaped coil 2 on the cradle roller 3 of the coil skid car 4, the coil skid car is placed in a or b portion of FIG. 1, and then the plate-shaped coil is cradled by using a crane. On top of the

그후, 일측의 코일 스키드카(4)를 구동시키면 코일 스키드가 레일(5)을 따라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피트(8)상에 위치된 코일카(1)의 상부에 진입하게 된다.Thereafter, driving the coil skid car 4 on one side causes the coil skid to enter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car 1 located on the pit 8 as shown in FIGS. 2 and 3 along the rail 5.

상기 코일 스키드카(4)가 코일카(1)의 상부로 진입됨이 별도의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면 코일카(1)가 코일카 레일(7)을 언코일러(6)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크래들 로울러(3)에 얹혀져 있던 코일(2)을 언코일러에 로딩시키게 된다.When the coil skid car 4 is detected by a separate sensing means to enter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car 1, the coil car 1 moves the coil car rail 7 to the uncoiler 6 side cradle The coil 2 mounted on the roller 3 is loaded on the uncoiler.

이와같이 코일카(1)가 코일(2)을 언코일러(6)에 로딩시키기위해 언코일러측으로 이동될 때 안전커버(11)가 펼펴져 피트(8)의 상부를 폐쇄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Thus, when the coil car 1 is moved to the uncoiler side to load the coil 2 to the uncoiler 6, the safety cover 11 is extended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pit 8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one.

한편, 코일카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케이블은 케이블 가이드(10)에 안내되어 코일카(1)과 함께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bl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il car is guided to the cable guide 1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coil car (1).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카(1)가 이동하여 크래들 로울러(3)에 얹혀져 있던 코일(2)을 언코일러(6)에 로딩시키고 나면 코일카(1)는 전술한 바와는 역순으로 이동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상기 크래들 로울러(3)의 상부에 새로운 코일을 얹어 놓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il car 1 moves and loads the coil 2 mounted on the cradle roller 3 into the uncoiler 6, the coil car 1 moves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to the initial state. Since returning to the new coil can be placed on top of the cradle roller (3).

새로운 코일을 크래들 로울러(3)에 얹어 놓을 때에는 반대편에 위치된 코일 스키드카(4)가 코일을 다시 언코일러(6)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대기하게 된다.When the new coil is placed on the cradle roller 3, the coil skid car 4 on the opposite side waits to move the coil back to the uncoiler 6 sid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코일을 언코일러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코일을 1개밖에 적재시킬 수 없게 되므로 연속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2대의 코일 스키드카가 필요하게 된다.First, since the structure for moving the coil to the uncoiler is complicated and only one coil can be loaded, two coil skid cars are required for continuous operation.

둘째, 코일카 및 코일 스키드카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에 직교되는 피트를 형성하여야 되었으므로 설치면적이 많이 필요하게 되었다.Second, since the pit orthogonal to the floor surface should be form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il car and the coil skid car, a lot of installation area is required.

셋째, 피트의 형성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피트의 상부면에 코일카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는 별도의 안전커버를 설치하여야 되었으므로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었다.Third, there is a risk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formation of the pit, so a separate safety cover to be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il ca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t was required to install a lot.

넷째, 코일을 언코일러에 로딩시키기 위해서는 코일 스키드카가 코일카의 상부로 진입된 다음에 코일카를 이동시켜야 되었으므로 싸이클 타임(cycle time)이 길어지게 되었다.Fourth, in order to load the coil into the uncoiler, the cycle skid car has to enter the upper part of the coil car and then move the coil car, resulting in a long cycle time.

다섯째, 코일카의 동력을 전달시켜 주는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작은 로울러에 의해 안내되므로 웨이트(Weight)의 무게에 의해 케이블이 단선될 우려가 있었다.Fifth, sinc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able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coil car is guided by a small roller, the cable may be disconnecte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1대의 코일카를 이용하여 좁은 면적에서도 판상의 코일을 언코일러에 연속적으로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and to continuously load the plate-shaped coil on the uncoiler even in a small area by using one coil c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다르면, 언코일러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코일카 레일과, 상기 코일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코일카와, 상기 코일카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코일카를 주행시키는 모터와, 상기 코일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유동을 제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코일이 얹혀지며 프레임에 안내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 하강하는 코일 스키드로 구성된 판상코일의 로딩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coil car rail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uncoiler, the coil car running along the coil car rail, the sprocket fixed to one side of the coil car and the chain A motor for driving a coil car, a turntable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il car, rotated by a power source,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turntable, a frame provided opposite to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turntable, and The coil is mounted and guided to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loading device of a plate coil consisting of a coil skid that rises and falls as the cylinder is driven.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9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as follows.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고 제8도는 턴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C-C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판상의 코일(2)이 로딩(Loading)되는 언코일러(6)의 축방향으로 코일카 레일(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카 레일의 상부에는 코일카(13)가 주행 가능한 상태로 얹혀져 구동수단에 의해 코일카 레일(12)을 따라 언코일러(6)측으로 왕복 운동하게 되어 있다.4 to 6 are plan views, front views, and sid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turntable,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The coil car rail 12 is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uncoiler 6 to be loaded. The coil car 13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il car rail in a state capable of traveling, and the coil car rail 12 is driven by a driving means. The reciprocating motion is carried out toward the uncoiler 6 along the side.

상기 구동수단으로 코일카(13)의 일측에 모터(14)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코일카의 바퀴축(15)에는 스프라켓(16)이 고정되어 상기 스프라켓이 모터축에 고정된 스프라켓(17)과 체인(18)으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14)가 구동함에 따라 코일카(13)가 코일카 레일(12)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The sprocket 1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oil car 13 by the driving means and the sprocket 16 is fixed to the wheel shaft 15 of the coil car and the sprocket is fixed to the motor shaft and The coil car 13 is driven along the coil car rail 12 as the motor 14 is driven by being connected to the chain 18.

상기 코일카의 상부에 턴테이블(19)이 동력원인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구동원인 모터(20)가 구동함에 따라 턴테이블(19)이 일정각도(180°)범위내에서 회동 운동하게 되어 있다.The turntable 19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ca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20 as the power source, so that the turntable 19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180 °) as the motor 20 as the driving source is driven. It is supposed to be a movement within.

상기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회동하는 턴테이블(19)의 하부에 내접기어(21)가 고정되어 있고 코일카(13)에는 상기 내접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2)가 모터(20)의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카(13)의 상면과 내접기어(21)사이에는 베어링(23)이 설치되어 턴테이블(19)의 회전시 저항을 최소화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The internal gear 21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urntable 19 which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20, and the pinion gear 22 meshing with the internal gear is provided at the coil car 13. The bearing 23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car 13 and the internal gear 21 to minimize the resistance when the turntable 19 is rotated.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19)와 코일카(13)에는 턴테이블(19)이 회동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카(13)에 실린더(24)의 구동에 따라 승, 하강하는 플런저(25)가 설치되어 있고 턴테이블(19)의 하부에는 상기 플런저(25)가 삽입되는 스토퍼(26)가 180° 위상차를 갖이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플런저(25)가 스토퍼(26)의 삽입공(26a)내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다라 턴테이블(19)이 유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urntable 19 and the coil car 13 are provided with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turntable 19 from flowing in the rotated st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nger 25 is provided in the coil car 13 to move up and down as the cylinder 24 is driven, and a stopper 26 into which the plunger 25 is inserte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urntable 19. Since the plunger 25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a of the stopper 26, the turntable 19 is prevented from flowing.

이때 상기 플런저(25)와 스토퍼(26)의 삽입공(26a)에는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rresponding inclined surface in the insertion hole (26a) of the plunger 25 and the stopper 26.

이는 회동된 턴테이블(19)의 위치가 정확치 않더라도 플런저(25)가 용이하게 삽입공(26a)내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plunger 25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a even if the position of the rotated turntable 19 is not correct.

그리고 코일카(13)에도 180°위상차를 갖도록 턴테이블(19)의 회동각도 제어편(27)이 고정되어 있다.The rotation angle control piece 27 of the turntable 19 is also fixed to the coil car 13 so as to have a 180 ° phase difference.

상기 턴테이블(19)의 상부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한쌍의 프레임(2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프레임(28)에는 코일(2)이 얹혀지는 코일 스키드(29)가 승, 하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코일 스키드의 일측에는 코일 스키드(29)를 승, 하강시키는 실린더(30)가 고정되어 있다.A pair of frames 28 are fixed to the upper sides of the turntable 19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coil skids 29, on which the coils 2 are mounted, are coupled to each frame 28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he cylinder 30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oil skid 29 is fixed to one side of each coil skid.

또한 프레임(28)의 일단에 레버(31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버의 다른 일단에는 킥커 실린더(32)가 연결되어 있어 킥커 실린더(32)가 구동함에 따라 프레임(28)이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lever 310 is fixed to one end of the frame 28 and the kicker cylinder 3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so that the frame 28 is flipped backward as the kicker cylinder 32 is driven.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코일카(13)가 코일(2)의 공급부에 위치되고, 양측의 코일 스키드(29)에는 코일이 얹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oil car 13 is located in the supply portion of the coil 2, and the coil skid 29 on both sides will be describ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coil is not mounted.

프레임(28)에 결합된 코일 스키드(29)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코일카(13)의 외측을 향하고 있는 코일 스키드(29)에 크레인으로 1개의 코일(2)을 얹어 놓는다.In the state where the coil skid 29 coupled to the frame 28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one coil 2 is mounted on the coil skid 29 facing the outside of the coil car 13 by a crane.

상기한 바와같이 일측의 코일 스키드(29)에 1개의 코일(2)이 얹혀지고 나면 킥커실린더(32)의 구동으로 레버(31)를 상부로 밀면 제7도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8)이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코일 스키드(29)에 얹혀져 있던 코일(2)의 일측면이 무게중심의 변화로 인해 코일 스키드의 수직면에 긴밀히 접속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one coil 2 is mounted on the coil skid 29 on one side, the lever 31 is pushed upward by driving the kick cylinder 32, and the frame 28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Since one side of the coil 2, which was placed on the coil skid 29, is closely connected to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il skid due to the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의 코일 스키드(29)상에 코일을 얹을 경우에는 잠금수단의 플런저(25)가 스토퍼(26)의 삽입공(26a)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턴테이블(19)에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상기 턴테이블이 유동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il is placed on the coil skid 29 on one side, the plunger 25 of the lock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a of the stopper 26,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urntable 19. The turntable will not float.

그렇지만 일측의 코일 스키드(29)에 1개의 코일(2)을 얹고 나면 실린더(24)가 작동하여 플런저(25)를 스토퍼(26)의 삽입공(26a)에서 이탈시킴과 동시에 모터(20)가 구동하여 피니언기어(22)를 회전시킨다.However, after one coil 2 is placed on the coil skid 29 on one side, the cylinder 24 operates to disengage the plunger 25 from the insertion hole 26a of the stopper 26 and at the same time the motor 20 Drive to rotate the pinion gear 22.

이에따라 피니언기어(22)와 맞물린 내접기어(21)가 회전되므로 상기 내접기어가 고정된 턴테이블(19)이 피니언기어(2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Accordingly, since the internal gear 21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22 is rotated, the turntable 19 to which the internal gear is fixed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inion gear 22.

상기 턴테이블(19)이 회전하여 제8도와 같이 하부에 고정된 스토퍼(26)가 180°위상차를 갖도록 코일카(13)에 고정된 제어편(27)에 접속되면 턴테이블의 회전이 제어되므로 실린더(24)의 구동으로 플런저(25)를 스토퍼(26)의 삽입공(26a)내로 삽입하여 턴테이블(19)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turntable 19 is rotate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piece 27 fixed to the coil car 13 such that the stopper 26 fixed to the lower portion as shown in FIG. 8 has a 180 ° phase difference,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is controlled so that the cylinder ( By driving the 24, the plunger 2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a of the stopper 26 to prevent the turntable 19 from flowing.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턴테이블(19)을 180°회전시킨 다음에는 전술한 동일한 동작으로 또 다른 코일(2)을 코일 스키드(29)에 안착시킨다.After the turntable 19 is rotated 180 °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other coil 2 is seated on the coil skid 29 in the same operation described above.

이와같이 대향된 코일 스키드(29)에 코일(2)을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언코일러(6)에 코일(2)을 로딩시키기 위해서는 코일카(13)를 구동시키는 모터(14)를 동작시켜야 된다.Thus, in order to load the coil 2 to the uncoiler 6 in a state in which the coils 2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opposing coil skids 29, the motor 14 driving the coil car 13 must be operated.

이에따라 모터(14)를 구동하면 코일카(13)는 코일카 레일(12)을 따라 언코일러(6)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코일 스키드(29)에 안착된 코일(2)의 일측면이 언코일러(6)에 접속되기 전에 코일카(13)의 이동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코일 스키드(29)의 일측과 고정된 실린더(30)를 구동하여 제7도의 우측과 같이 프레임(28)에 안내되게 코일 스키드(29)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코일(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2a)과 언코일러(6)의 중심을 일치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motor 14 is driven, the coil car 13 moves along the coil car rail 12 toward the uncoiler 6, so that one side of the coil 2 seated on the coil skid 29 is uncoiler ( While the coil car 13 is stopped before being connected to 6), the coil skid is guided to the frame 28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7 by driving one side of the coil skid 29 and the fixed cylinder 30. (29) is gradually rais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uncoiler 6 and the hole 2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il 2.

상기 동작에 따라 코일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과 언코일러(6)의 중심이 일치되고 나면 코일카(13)에 설치된 모터(14)의 구동으로 코일카(13)를 다시 이동하여 코일 스키드(29)에 얹혀진 코일(2)을 언코일러(6)에 로딩시킨다.After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il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uncoiler 6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coil car 13 is moved again by the driving of the motor 14 installed in the coil car 13 to form a coil skid 29. The coil 2 mounted on it is loaded into the uncoiler 6.

상기 코일(2)이 언코일러(6)에 로딩되고 나면 실린더(30)를 다시 동작하여 상승되었던 코일 스키드(29)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코일카(1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므로써, 일측의 코일 스키드(29)에 얹혀져 있던 코일(2)의 로딩작업이 완료된다.After the coil 2 is loaded into the uncoiler 6, the cylinder 30 is operated again to lower the coil skid 29 that has been raised and at the same time return the coil car 13 to the initial position, The loading operation of the coil 2 which has been placed on the coil skid 29 is completed.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일측의 코일 스키드(29)에 얹혀져 있던 코일을 언코일러(6)에 로딩시키고 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수단을 해제한 다음 턴테이블(19)을 180°회전시킴과 동시에 해제시켰던 잠금수단을 잠근다.After loading the coil mounted on the coil skid 29 on one side to the uncoiler 6 by such a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and then the lock of the turntable 19 is rotated 180 ° and released. Lock the means.

그후, 언코일러(6)에 로딩된 코일이 소진되고 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카(13)를 언코일러(6)측으로 이동시켜 다른 일측의 코일 스키드(29)에 얹혀져 있던 코일(2)을 언코일러(6)에 로딩시키므로써 계속해서 프레스작업을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coil loaded on the uncoiler 6 is exhausted, the coil car 13 is moved to the uncoiler 6 side as described above to uncoil the coil 2 placed on the coil skid 29 on the other side. By loading on the iller (6) will be able to continue to press work.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장치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apparatus.

첫째, 비교적 짧은 길이의 코일카 레일을 설치한 상태에서 코일카를 직선적으로 이동시켠서 코일의 로딩작업을 하게 되므로 기기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게 된다.First, since the coil 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moving the coil car linearly in a state where a relatively short length of the coil car rail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device is minimized.

둘째, 코일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턴테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턴테이블에는 대향되게 코일 스키드를 설치하여 별도의 코일 스키드카를 사용하지 않고도 2개의 코일을 코일카의 상부에 직접 위치시키게 되므로 코일의 로딩시간을 줄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Secondly, the turntabl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il car, and the coil skid is installed on the turntable so that the two coils are directly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il car without using a separate coil skid car. This reduces the productivity,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섯째, 코일카가 코일카 레일을 따라 직선운동만을 하게 되므로 케이블의 단선될 염려가 없게 된다.Fifth, since the coil car performs only linear movement along the coil car rail, there is no fear of disconnection of the cable.

Claims (3)

언코일러(6)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코일카 레일(12)과, 상기 코일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코일카(13)와, 상기 코일카의 일측에 고정된 스프라켓(16)과 체인(18)으로 연결되어 코일카를 주행시키는 모터(14)와, 상기 코일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19)과, 상기 턴테이블의 유동을 제어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프레임(28)과, 상기 코일이 얹혀지며 프레임에 안내되어 실린더(30)의 구동에 따라 승, 하강하는 코일 스키드(29)로 구성된 판상코일의 로딩장치.The coil car rail 12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uncoiler 6, the coil car 13 traveling along the coil car rail, the sprocket 16 and the chain 18 fixed to one side of the coil car. A motor 14 connected to the vehicle to drive the coil car, a turntable 19 rotatably mounted on the coil car and rotated by a power source,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turntable, and an upper part of the turntable. Loading device of the plate-shaped coil consisting of a frame 28 installed opposite to both sides, and the coil is mounted on the coil and guided to the frame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cylinder (30). 제1항에 있어서, 턴테이블(19)의 유동을 제어하는 잠금수단을 코일카(13)에 실린더(24)의 구동으로 승, 하강하는 플런저(25)를 설치하고 상기 턴테이블(19)의 하부에는 플런저가 삽입되는 스토퍼(26)를 180°위상차를 갖도록 고정하여 상기 플런저가 스토퍼의 삽입공(26a)에 삽입됨에 따라 텐테이블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서 된 판상코일의 로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turntable 19 is installed in the coil car 13, the plunger 25 for raising and lowering by driving the cylinder 2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rntable 19 And a stopper (26) into which the plunger is inserted to have a 180 ° phase difference so that the tentable does not flow as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a) of the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28)의 일단에 레버(31)를 고정하고 상기 레버의 다른 일단에는 킥커 실린더(32)를 연결하여 킥커 실린더(32)의 구동에 따라 코일 스키드(29)가 결합된 프레임(28)이 뒤로 젖혀지도록 하여서 된 판상코일의 로딩장치.The coil skid 29 is coupl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kicker cylinder 32 by fixing the lever 31 to one end of the frame 28 and connecting the kicker cylinder 32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Loading device of the plate-shaped coils so that the frame 28 is flipped back.
KR2019940035158U 1994-12-22 1994-12-22 Loading device for coil KR01227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58U KR0122789Y1 (en) 1994-12-22 1994-12-22 Loading device for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58U KR0122789Y1 (en) 1994-12-22 1994-12-22 Loading device for co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67U KR960022467U (en) 1996-07-20
KR0122789Y1 true KR0122789Y1 (en) 1998-08-17

Family

ID=19402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158U KR0122789Y1 (en) 1994-12-22 1994-12-22 Loading device for co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78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98Y1 (en) 2017-03-31 2018-10-11 최준호 cable uncoi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98Y1 (en) 2017-03-31 2018-10-11 최준호 cable unco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67U (en)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1539B2 (en) Trolley and parking device using the trolley
CA2115720A1 (en) Vertical-horizontal passenger-conveying system
KR0122789Y1 (en) Loading device for coil
KR101030102B1 (en) the rotary parking apparatus with greater accuracy of operation
CN209011655U (en) A kind of folding stereo garage
JP2000108889A (en) Opening/closing fence for platform
KR100499422B1 (en) Movable platform fence device
JPH078773Y2 (en) Sliding door type tide device
JPH10306612A (en) Lift type parking system
JPS6347593Y2 (en)
JP2664367B2 (en) Pallet transport equipment
CN219927707U (en) Linkage type car arrester
KR970004251B1 (en) Turntable device for a parking garage
KR950008462Y1 (en) Parking apparatus for lifting vehicles
KR950009909Y1 (en) Elevator-type parking apparatus
KR950001672Y1 (en) Parking apparatus for shifting pallets
JP2536878Y2 (e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ransport doors of construction elevators
KR950009903Y1 (en) Device for driving chain-gear on parking apparatus
KR950001679Y1 (en) Parking apparatus for shifthing pallets
KR920003098Y1 (en) Parking equipment
KR950001681Y1 (en) Device for protecting rotation on a turntable
KR930000126Y1 (en) Elevator cage with inner rising plate
JP3225208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KR970002453Y1 (en) Device for protecting a car on a rotable garage
KR100286159B1 (en) Pallet entering and coming out-type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