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112B1 - Nbi-cmos logic circuit - Google Patents

Nbi-cmos logic circuit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112B1
KR0122112B1 KR1019940023618A KR19940023618A KR0122112B1 KR 0122112 B1 KR0122112 B1 KR 0122112B1 KR 1019940023618 A KR1019940023618 A KR 1019940023618A KR 19940023618 A KR19940023618 A KR 19940023618A KR 0122112 B1 KR0122112 B1 KR 0122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input
response
pul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2728A (en
Inventor
손병세
박철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112B1/en
Publication of KR96001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7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1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4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MOSFET or 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e. IGFET
    • H03K19/094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MOSFET or 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e. IGFET using CMOS or complementary 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0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 H03K19/0172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asynchronous circuits by means of a pull-up or down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A circuit that low level input signal is transferred to a node(2) and a 1st PMOS transistor(MP21) is powered but a 1st NMOS transistor(MN21) is turned off. As a high voltage is charged to an output node(4), a bi-polar transistor(Q21) for pulling up is powered, and a high level pull up voltage appears in an output node(8). But a 2nd NMOS transistor(MN22), a 4th NMOS transistor(MN24) and a pull-down bi-polar transistor(Q22) are all turned off. While, when a high level input signal is transferred to an input node(2) the 1st NMOS transistor(MN21) is powered.

Description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NBCMMOS logic circuit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icymos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icymos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논리를 구성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NBC CMOS logic circuit constituting the inverter log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5.0V의 공급전원전압하에서 제1도와 제2도와 제3도의 각 출력특성을 보여주는 파형도.4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respective output characteristics of FIG. 1, FIG. 2, and FIG. 3 under a supply voltage of 5.0V.

제5도는 3.3V의 공급전원전압하에서 제1도와 제2도와 제3도의 각 출력특성을 보여주는 파형도.5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respective output characteristics of FIG. 1, FIG. 2 and FIG. 3 under a supply voltage of 3.3V.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노아논리를 구성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NBC logic logic circuit constituting Noah log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낸드논리를 구성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NB CMOS logic circuit constituting the NAND log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논리(logic)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모오스(NMOS)트랜지스터와 씨모오스(CMOS)트랜지스터와 바이폴라(bipolar)트랜지스터로 하나의 회로구성을 하여 저전원전압 및 고전원전압하에서 안정되고도 고속의 동작특성을 구현하는 논리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ogic circuits, and is particularly stable under low power supply and high power supply voltages by forming a single circuit consisting of an NMOS transistor, a CMOS transistor, and a bipolar transis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c circuit for implementing a high speed operation characteristic.

예컨대 다이나믹램(dynamic RAM) 또는 스테이틱램(static 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장치는, 입력버퍼(input buffer) 또는 출력(output)버퍼 등을 위해 인버터(inverter)논리 또는 노아(NOR)논리와 같은 논리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논리회로는, 그 적용 장치의 디바이스특성에 따른 동작특성을 가져야 한다. 그래서 고속의 신호전송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논리회로가 입력신호에 대하여 고속의 출력특성을 가지는 것과 같은 논리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집적회로의 저전원전압화 추세에 따라 이곳에 사용되는 논리회로도 저전원전압하에서도 우수한 구동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For exampl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dynamic RAM or a static RAM is a logic such as an inverter logic or a NOR logic for an input buffer or an output buffer. It constitutes a circuit. Such a logic circuit should have an oper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device characteristic of the application apparatus. Thus, where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is required, the logic circuit should perform a logic operation such as having a high speed output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rend of low power supply voltage of integrated circuits, the logic circuits used here are required to exhibit excellent driving capability even under low power supply voltage.

이와 관련하여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논리회로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ogic circuit.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기재내용에 있어서 피모오스((PMOS)트랜지스터는 도면부호를 MPi(i=1,2,3,…)로 나타내었고, 엔모오스트랜지스터는 도면부호를 ''MNi로 나타내었으며, 바이폴라트랜지스터는 Qi로 나타내었음을 미리 밝혀둔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MOS transistor is denoted by MPi (i = 1, 2, 3, ...), and the enmo transistor is denoted by '' MNi. Note that the bipolar transistor is represented by Qi.

제1도의 구성은 공기의 바이씨모오스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의 구성은 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1과 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1, MN2, MN3 및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1, Q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은, 통상은 씨모오스트랜지스터로만 구성된 회로에 비해, 출력단에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1, Q2를 사용함에 의해 높은 구동능력과 고속의 스피드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바이씨모오스회로는 최근 낮은 전원전압레벨 즉, 저전압 채용 디바이스에 이상적인 출력파형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제1도의 회로에서 출력단 Vout이 로우(low)레벨에서 출력전압값이 이상적인 접지레벨 GND도 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base)와 에미터(emitter) 사이에서의 전위차 VBE가 발생되기 때문이고, 이에 따라 출력단 Vout이 로우레베로 되는 경우의 전압값은 접지레벨 GND로 되지 못하는 대신 전위차 VBE와 동일한 전압레벨로 된다.The configuration of FIG. 1 shows a bicymoss circuit of air. The configuration of FIG. 1 is composed of the PMO transistors MP1, the NMO transistors MN1, MN2, MN3, and the bipolar transistors Q1, Q2. Such a configuration feature has advantages in that high driving capability and high speed can be realized by using bipolar transistors Q1 and Q2 at the output stage, as compared with a circuit which is usually composed only of the CMOS transistors. However, the bicymoss circuit shown in FIG. 1 has a problem that an output waveform that is ideal for a low power supply voltage level, i. For example, in the circuit of FIG. 1, when the output terminal Vout is at a low level, the output voltage value does not reach the ideal ground level GND. This is because the potential difference VBE between the base and the emitter of the bipolar transistor Q2 is generated. Accordingly, when the output terminal Vout becomes low level, the voltage value does not reach the ground level GND but instead of the potential difference VBE. The same voltage level is obtain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의 논리회로의 또 다른 예가 1989년 11월 21일자로 미합중국에서 특허등록된 제4,882,534호(발명의 명칭: BIPOLA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NVERTER)에 개시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 특허에 개시된 기술을 도시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된 회로는, 출력단에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엔모오스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바, 이를 당 기술분야에서 바이앤모오스회로라고 통칭하기도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11과 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11, 그리고 출력단의 풀엎(pull-up)부분에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11과 풀다운(pull-down)단에 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12를 형성함에 의해, 출력단의 로우레벨을 이상적인 전압레벨 즉, 접지레벨 GND로 낮출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출력단의 로우레벨로의 구동능력에 한계가 있으며 제1도에 도시된 바이씨모오스회로와 유사한 구동능력과 스위칭스피드를 구현하기 이해서는 제2도에 출력단의 풀다운트랜지스터 MN12의 폭(width)을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MN12의 폭을 크게 한다고 가정하여도 제2도에 도시된 바이씨모오스회로와 같은 구동능력과 스위칭스피드를 구현하기는 어렵게 된다.Another example of a logic circuit 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4,882,534 (name of the invention: BIPOLA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NVERTER), which is register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21, 1989. 2 shows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atent. The circuit shown in FIG. 2 is composed of a bipolar transistor and an MOS transistor at an output stage,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bi-n-MOS circuit in the art. As shown in FIG. 2, by forming the PMO transistor transistor MP11 and the ENMO transistor transistor MN11, and the bipolar transistor Q11 and the pull-down terminal at the pull-up portion of the output terminal, The low level of the output stage can be reduced to the ideal voltage level, that is, ground level GND. However, this has a limitation on the driving capability of the output stage to the low level, and the width of the pull-down transistor MN12 of the output stage is shown in FIG. 2 in order to realize the driving capability and the switching speed similar to the bicymos circuit shown in FIG.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driving capability and a switching speed similar to the BCM mode circuit shown in FIG. 2 even if it is assumed that the width of the MN12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된 동작특성을 가지면서 고속의 출력특성을 유지하는 논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c circuit having stable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maintaining high speed output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우레벨에서 고속의 구동능력을 가지는 논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c circuit having a high speed driving capability at a low lev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씨모오스회로와 같은 구동능력과 스위칭스피드를 가지면서 출력단의 로우레벨을 접지레벨과 동등한 레벨로 구현할 수 있는 논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모오스(NMOS)트랜지스터와 씨모오스(CM0S)트랜지스터와 바이폴라(bipolar)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논리회로를 향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제1전원단자와, 제2전원단자와, 소정의 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노드와, 상기 입력노드에 공급된 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엎제어부와, 상기입력노드에 공급된 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다운제어부와, 상기 제2전원단자와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풀엎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전원단자와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풀다운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와 상기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입력노드에 걸리는 상기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용 엔모오스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엔바이씨모오스(NBiCMOS) 논리회로임을 특징으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gic circuit capable of realizing a low level of the output stage at the same level as the ground level while having the same driving capability and switching speed as the BCM modul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logic circuit consisting of an NMOS transistor, a CMOS (CM0S) transistor, and a bipolar transistor. The NBMOS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 input node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and a voltage level of an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input node. A pull-down control unit that operates; a pull-down control unit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input node; and a switching between the second power terminal and the output node; A pull-down bipolar transistor for operation, a pull-down bipolar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second power terminal and the output node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pull-down control unit, and the output node and the second power terminal. An enbar formed between and provided with a pull-down enmo transistor for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pplied to the input node. It is characterized by the logic circuit of NCI (NBiCMO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에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요지를 상징하면서 본 발명에서 신규한 용어로서, 통상의 바이씨모어스(BiCMOS) 논리회로에 엔모오스(NMOS)트랜지스터를 더 부가한 구성으로 되는 논리회로임을 정의한다.Herein, the term NBSIMOS logic circuit is a novel term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ymboliz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NMOS transistor is added to a conventional BICMOS logic circuit. Defines that this is a logic circuit.

후술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인버터논리와 노아논리와 낸드논리로 각각 동작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가 각각 기술될 것이다. 후술되는 내용을 참조하여 위에서 언급한 논리외에도 다른 논리구성을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기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예측가능한 사실일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일 실시예로서, 인버터(inverter)논리 즉, 반전논리를 구성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입력신호 Vin이 입력되는 입력노드 2와, 공급전원이 걸리는 제1전원단자 VDD와 접속노드 4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21과, 접지전원이 걸리는 제2전원단자 GND와 접속노드 4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 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1과, 제1전원단자 VDD와 출력노드 8과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노드 4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pull-up)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1과, 출력노드 8과 접속노드 6과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 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2와, 상기 접속노드 6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출력노드 8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제3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3과, 출력노드 8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접속노드 6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pull-down)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2와, 출력노드 8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 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21과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1은 풀엎제어부로 동작한다. 그리고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2와 제3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3은 풀다운제어부로 동작한다. 제3도의 구성상의 특징은, 출력전압 Vout의 풀다운용수단으로 동작하는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가 출력노드 8에 구비되는 것이며, 이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가 바이씨모오스회로(즉,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임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제3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gate)는 입력노드 12에 직접으로 접속됨에 의해, 입력신호 Vin의 입력에 대하여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의 스위칭동작이 풀엎용 및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1 및 Q22의 스위칭동작보다 더 빠르게 수행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를 논리회로의 출력단에 구비함에 따른 논리회로의 구동능력의 향상 및 스위칭스피드의 향상과 같은 동작특성의 향상등 여러 새로운 작용효과가 후술될 것이다.In the NVMOS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n NVMOS logic circuit operating in inverter logic, NOA logic, and NAND logic,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It can be easily predic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logic configurations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logic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3 illustrates an inverter logic circuit that forms an inverter logic, that is, an inversion logic, as an embodiment of an ENVIMOS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A first PIO transistor MP21 having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input node 2 to which the input signal Vin is input,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VDD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applied, and the connection node 4,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2. And a first NMOS transistor MN21 having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to which the ground power is applied and the connection node 4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2, and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the output.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node 8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pull-up bipolar transistor Q21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nnection node 4, and the output node 8 and the connection node 6.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NMOS transistor MN22 which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2, and the connection node 6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 pull-down switching current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nnection node 6 is provided with a current path formed between the third NMOS transistor MN23 that operates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and the output node 8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 fourth NMO transistor MN24 is formed between the bipolar transistor Q22 and the output node 8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nd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2. In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PMO transistor MP21 and the first NMO transistor MN21 operate as a pull control unit. The second NMO transistor MN22 and the third NMO transistor MN23 operate as pull-down controller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FIG. 3 is that the fourth NMOS transistor MN24, which acts as a pull-down means for the output voltage Vout, is provided at the output node 8. The fourth NMOS transistor MN24 is a bicymos circuit (i.e., a fourth signal). It is to be not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Enmo transistor MN24).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3, the gate of the fourth ENMO transis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node 12,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fourth ENMO transistor MN24 is pulled down and pulled down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Vin. It can be seen that it is faster tha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bipolar transistors Q21 and Q22. Several new operational effects will be described later, such as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mprovement of the driving capability of the logic circuit and the improvement of the switching speed by the provision of the fourth NMOO transistor MN24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gic circuit.

제3도의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동작특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노드 2에 입력신호 Vin이 로우(low)레벨로 인가되면,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21이 스위칭온 즉, 도통(turn-on)되고,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1이 스위칭오프 즉, 비도통(turn-off)된다. 그래서 출력노드 4에는 하이(high)의 전압이 충전되고, 이에 응답하여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1이 도통되어, 출력노드 8에는 하이레벨의 출력전압 Vout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2,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 및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2는 모두 비도통된다. 한편 입력노드 2에 입력신호 Vin이 하이레벨로서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21이 비도통하고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1이 도통한다. 그래서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1은 베이스(base)가 접지되기 때문에 컷오프(cut-off)된다.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2는 도통되고 그에 따라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2가 도통된다. 그리고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가 도통되어 출력노드 8이 방전되고 출력전압 Vout은 접자레벨로 된다. 여기서 출력전압 Vout 레벨이 로우레벨로 될때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에 의해 출력단에 차아지된 전하가 먼저 방전되고, 연이어서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2에 의해 고속의 스위칭동작과 높은 구동능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에 의해 출력단 전압레벨을 이상적인 로우전압레벨 즉, 0V로 얻을 수 있다.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NCMOS logic circuit of FIG. 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when the input signal Vin is applied to the input node 2 at a low level, the first PMO transistor MP21 is switched on, that is, turned on, and the first enmo transistor MN21 is switched off, that is, non-active. It is turned off. Thus, the output node 4 is charged with a high voltage, and in response thereto, the pull-up bipolar transistor Q21 is turned on, and the output node 8 shows the high level output voltage Vout. At this time, the second NMOS transistor MN22, the fourth NMOS transistor MN24, and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22 are all non-conducti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signal Vin is applied to the input node 2 as a high level, the first PMO transistor MP21 is not conducting and the first enmo transistor MN21 is conducting. Thus, the pull-up bipolar transistor Q21 is cut-off because the base is grounded. The second NMO transistor MN22 is turned on and thus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22 is turned on. Then, the fourth ENMO transistor MN24 is turned on so that the output node 8 is discharged and the output voltage Vout is at the contact level. Here, when the output voltage Vout level becomes low level, the charge charged to the output terminal is first discharged by the fourth NMOS transistor MN24, and successively, a high-speed switching operation and high driving capability can be obtained by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22. In addition, the EnMOS transistor MN24 allows the output stage voltage level to be achieved at an ideal low voltage level of 0V.

한편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온도변화에 대해 상호보완적인 구동능력을 수행하는 출력단을 가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즉, 고온(hot temperature)환경하에서는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1,22에 의해 높은 구동능력을 가지게 되고, 저온(cold temperature)환경하에서는 앤모오스트랜지스터 MN24에 의해 상승된 구동능력을 가지게 되어, 온도의 변화에 따른 상호 보완적인 출력레벨을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BCMOS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has an operational effect having an output stage performing complementary driving capability against temperature changes. In other words, it has a high driving capability by bipolar transistor Q21,22 in hot temperature environment, and it has a high driving ability by ANMO transistor MN24 in cold temperature environment. Complementary output levels can be obtained.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파형은 전술한 바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1도 및 제2도와 본 발명에 의한 제3도의 각 로우출력특성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자들의 시뮬레이션(simulation)에 의해 확인된 파형도로서, 제4도는 5.0V의 공급전원전압하에서 제1도와 제2도화 제3도의 각 출력특성을 보여주는 파형도이고, 제5도는 3.3V의 공급전원전압하에서 제1도와 제2도와 제3도의 각 출력특성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출력시에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그 Vout의 출력레벨이 충분히 접지레벨로 하강하여 출력됨을 알 수 있다.The waveforms shown in FIGS. 4 and 5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the low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and the thir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4 and 5 are waveform diagrams confirmed by the present inventors simulation, and FIG. 4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respectiv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drawings and the third and third drawings under a supply voltage of 5.0 V, 5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respectiv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agrams under a supply voltage of 3.3V. As shown in FIG. 4 and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NBC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 low '' output is outputted by sufficiently lowering the output level of the Vout to the ground level.

제3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회로는, 출력단의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를 이용하여 이상적인 로우레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출력노드 8의 방전시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24가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2보다 먼저 방전되고 나서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2가 동작하므로서,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22가 방전되는 스타트포인트(start-point)를 빠르게 하여야 된다. 그래서 제3도에 도시된 엔바이씨모오스회로는 종래 기술보다 빠른 출력파형을 얻을수 있다. 특히 기존의 5V제품과 로우전압체용 제품 모두에 고속의 스위칭과 높은 구동능력 및 이상적인 출력 로우레벨을 얻을 수 있어 5V제품과 로우전압 제품의 겸용으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온도변화에 대해 상호보완적인 구동능력을 갖고 있다.Referring to FIGS. 3, 4, and 5, the NBMOS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ideal low level by using the fourth ENMO transistor MN24 at the output stage. That is, when the output node 8 is discharged, the fourth enmo transistor MN24 is discharged before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22, and then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22 is operated so that the start-point at which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22 is discharged. You must do it quickly. Thus, the NBC circuit shown in FIG. 3 can obtain an output waveform fast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In particular, high-speed switching, high driving capability, and ideal output low level can be obtained for both existing 5V products and low voltage products, and thus can be used as a combination of 5V products and low voltage products. It also has complementary drive capability against temperature changes.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노아논리(NOR logic)를 구성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제6도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노아논리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회로로서, 당 기술분야에 주지의 사실인 바와 같이 대부분의 노아논리회로가 2입력으로 되는 바, 2입력 노아논리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제6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입력신호 Vin1이 입력되는 제1입력노드12와, 제2입력신호 Vin2가 입력노드 제2입력노드 20과, 공급전원이 걸리는 제1전원단자 VDD에 소오스(source)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 1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31과, 상기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31의 드레인(drain)단자의 접속노드 14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2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32와, 접지전원이 걸리는 제2전원단자 GND와 접속노드 14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 1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1과, 제2전원단자 GND와 접속노드 14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2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2와, 제1전원단자 VDD와 출력노드 18과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노드 14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pull-up)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31과, 출력노드 18과 접속노드 16과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 1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3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3과, 출력노드 18과 접속노드 16과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2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4와, 상기 접속노드 16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출력노드 18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5엔모오스트랜지스터의 MN35와, 출력노드 18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접속노드 16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pull-down)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32와, 출력노드 18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 1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6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6과, 출력노드 18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2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7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 및 제2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31 및 MP32와, 제1 및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1 및MN32는 풀엎제어부로 동작한다. 그리고 제3, 제 및 제5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3, MN34 및 MN35는 풀다운제어부로 동작한다. 제6도의 구성상 특징은, 바이씨모오스 노아논리회로의 구성에 있어서 출력전압 Vout의 풀다운용수단으로 동작하는 제6 및 제7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6 및 MN37이 출력노드 18에 구비되는 것에 있다. 제6도의 동작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입력노드 12와 제2입력노드 20에 각각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되면, 제1 및 제2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31 및 MP32가 각각 도통되고, 제1 및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1 및 MN32가 각각 비도통되어 접속노드 14는 하이레벨로 충전된다. 접속노드 14가 하이 레벨로 충전되는 것에 용답하여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31이 도통되어 출력노드 18은 하이레벨의 Vout을 출력한다. 한편 제1입력노드 12 및/또는 제2입력노드 20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공급되면, 제1 및/또는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1 및/또는 MN32, 그리고 제3 및/또는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3 및/또는 MN34가 도통되고, 이때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32가 도통된다. 이때 제6 및 제7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6 및 MN37은 입력신호 Vin1 또는 Vin2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라도 하이신호로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여 스위칭동작함에 의해, 고속의 스위칭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풀엎용 또는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31 또는 Q32에 의해 높은 구동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6 또는 제7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36 또는 MN37의 도통에 의해 출력전압 Vout의 로우 레벨이 이상적인 전압레벨 즉, 접지레벨과 동등한 레벨로 된다. 이 제6도의 로우레벨 출력시의 파형은 전술한 제4도 및 제5도와 유사하게 됨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제6도의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2입력 노아논리회로를 개시하고 있지만, 당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제6도의 구성에 근거하는 3입력 또는 4입력 노아논리회로가 다양하게 구현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NBC logic circuit that constitutes NOR log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configured to implement a noah logic circuit based o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in the art, most noah logic circuits have two inputs. The circuit is starting. The configuration of FIG. 6 is as follows. The sourc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node 12 to which the first input signal V in 1 is inputted, the second input signal V in 2 to the input node second input node 20, and the first power terminal VDD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applie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MO transistor transistor MP31 connected to and connect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12 and the connection node 14 of the drain terminal of the first PMO transistor transistor MP31.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MOS transistor MP32 that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20,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to which the ground power is applied, and the connection node 14, and the voltage of the first input node 12. A second NMOS that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20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NMOS transistor MN31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nd the connection node 14. Tran A pull-up bipolar transistor Q31 and an output node 18 which are provided with a current path between the master MN32 and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the output node 18 and switch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nnection node 14.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node 16 and the connection node 16,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third NMOS transistor MN33 which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12, and the output node 18 and the connection node 16.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NMOS transistor MN34 that operates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20 and the connection node 16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nd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output node 18. A pull-down switching current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nnecting node 16 is formed between the MN35 of the fifth MOS transistor which is operated and the output node 18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 sixth MOS transistor MN36 having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bipolar transistor Q32 and the output node 18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12, and the output node 18.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nd the seventh enMOS transistor MN37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20. In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Fimotransistors MP31 and MP32 and the first and second Enmotransistors MN31 and MN32 operate as pull-over controls. The third, fifth and fifth NMO transistors MN33, MN34 and MN35 operate as pull-down control units. Th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 of FIG. 6 is that the output node 18 is provided with the 6th and 7th MOS transistors MN36 and MN37 which act as a pull-down means of the output voltage Vout in the structure of the bicymos noah logic circuit. Referring to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Figure 6 as follows. When the low level signals are supplied to the first input node 12 and the second input node 20, the first and second PMO transistors MP31 and MP32 are turned 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enmo transistors MN31 and MN32 are connected, respectively. Non-conductive, connection node 14 is charged to a high level.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node 14 being charged to a high level, the pull-up bipolar transistor Q31 is turned on so that the output node 18 outputs a high level Vout. On the other hand, when a signal having a `` high '' level is supplied to the first input node 12 and / or the second input node 20, the first and / or second enmotransistors MN31 and / or MN32, and the third and / or The 4 NMO MOS transistor MN33 and / or MN34 are turned on, and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32 is turned on. In this case, when any one of the input signals V in 1 or V in 2 is input as the high signal, the sixth and seventh enmo transistors MN36 and MN37 perform a high-speed switching operation by switching correspondingly. High drive capability is achieved by bipolar transistors Q31 or Q32 for pull-down or pull-down. In addition, the conduction of the sixth or seventh MOS transistor MN36 or MN37 causes the low level of the output voltage Vout to become an ideal voltage level, that is, a level equivalent to the ground level. It can be expected that the waveform at the low level output of FIG. 6 will be similar to those of FIGS. 4 and 5 described above. The NBMOS logic circuit of FIG. 6 discloses a two-input noah logic circuit, but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 three-input or four-input noah logic circuit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 Could be done.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낸드논리(NAND logic)를 구성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제6도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노아논리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회로로서, 당 기술본야에 주지의 사실인 바와 같이 대부분의 낸드논리회로가 2입력으로 되는 바, 2입력낸드논리회로를 개시하고 있다. 제7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입력신호 Vin1이 입력되는 제1입력노드22와, 제2입력신호 Vin2가 입력되는 제2입력노드 30과, 공급전원이 걸리는 제1전원단자 VDD와 접속노드 24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 2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41과, 제1전원단자 VDD와 접속노드 24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2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42와, 접속노드 24에 드레인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 2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1과, 상기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1의 소오스단자와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3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2와, 제1전원단자 VDD와 출력노드 28과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노드 24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41과, 출력노드 28에 드레인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1 입력노드 2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3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3과, 상기 제3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3과 접속노드 26과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3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4와, 상기 접속노드 26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출력노드 28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6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5와, 출력노드 28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접속노드 26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42와, 출력노드 28에 드레인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 2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6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6과, 상기 제6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6과 제2전원단자 GND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 3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7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1 및 제2피모오스트랜지스터MP41 및 MP42와, 제1 및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1 및 MN42는 풀엎제어부로 동작한다. 그리고 제3, 제4 및 제5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3, MN44 및 MN45는 풀다운제어부로 동작한다. 제7도의 구성상 특징은, 바이씨모오스 낸드논리회로의 구성에 있어서 출력전압 Vout의 풀다운용 수단으로 동작하는 제6 및 제7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6 및 MN47이 출력노드 28에 구비되는 것에 있다. 제7도의 동작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입력노드 22 또는 제2입력노드 30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어느 하나라도 공급되면, 제1 및 제2피모오스트랜지스터 MP41 및 MP42중 적어도 하나는 도통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1 및 MN42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비도통된다. 그래서 접속노드 24는 하이레벨로 충전된다. 접속노드 24가 하이레벨로 충전되는 것에 응답하여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41이 도통되어 출력노드 28은 하이레벨의 Vout을 출력한다. 한편 제1 입력노드 12 및 제 2 입력노드 20에 모두 하이레벨의신호가 공급되면, 제1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1 및 MN42, 그리고 제3 및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3 및 MN44가 도통되고, 이때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42가 도통된다. 이때 제6 및 제7앤모오스트랜지스터 MN46 및 MN47은 모두 도통하되,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 Q42보다 먼저 도통하게 된다. 그래서 제7도의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도 고속의 스위칭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풀엎용 또는 풀다운용바이폴라트랜지스터 Q41 또는 Q42에 의해 높은 구동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6 및 제7엔모오스트랜지스터 MN46 및 MN47의 도통에 의해 출력전압 Vout의 ''로우레벨이 이상적인 전압레벨 즉, 접지레벨과 동등한 레벨로 된다. 이 제7도의 로우''레벨 출력시의 파형은 전술한 제4도 및 제5도와 유사하게 됨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제7도의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2입력 낸드논리회로를 개시하고 있지만, 당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제7도의 구성에 근거하는 3입력 또는 4입력 낸드논리회로가 다양하게 구현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FIG. 7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NBMOS logic circuit constituting NAND log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configured to implement a noah logic circui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is well known in the art, most NAND logic circuits have two inputs. The circuit is starting. The configuration of FIG. 7 is as follows. Between the first input node 22 to which the first input signal V in 1 is input, the second input node 30 to which the second input signal V in 2 is input, and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VDD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applied, and the connection node 24. A channel is formed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MOS transistor MP41 that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22,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VDD, and the connection node 24. A second PMO transistor transistor MP42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a voltage level, a first terminal of the first EnMOS transistor MN41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22, and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node 24; A second NMOS transistor MN42,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NMOS transistor MN41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nd is switch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30;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output node 28 and the pull bipolar transistor Q41 for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nnection node 24, and the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28,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22 is connected. A fourth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third NMOS transistor MN43 and the third ENMO transistor MN43 and the connection node 26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30. A sixth MOS transistor MN45 having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MOS transistor MN44 and the connection node 26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output node 28, the output node 28, and the second power source.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GND and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42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onnecting node 26 and the output node 28. A drain terminal is connected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sixth MOS transistor MN46 and the sixth MOS transistor MN46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GND which are switch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22. The seventh EnMOS transistor MN47 switches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30. In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PMO transistors MP41 and MP42, and the first and second enmo MOS transistors MN41 and MN42 operate as pull-down controllers. The third, fourth and fifth enmo transistors MN43, MN44 and MN45 operate as pull-down control units. Th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 of FIG. 7 is that the output node 28 is provided with the 6th and 7th MOS transistors MN46 and MN47 which act as a pull-down means of the output voltage Vout in the structure of the BiCMOS NAND logic circuit.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FIG. 7 are as follows. When either the low level signal is supplied to the first input node 22 or the second input node 30,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IM transistors MP41 and MP42 is turned on. And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nmotransistors MN41 and MN42 is at least non-conductive. Thus, connection node 24 is charged to a high level.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node 24 being charged to the high level, the pull-up bipolar transistor Q41 is turned on so that the output node 28 outputs a high level Vout. On the other hand, when a high level signal is supplied to both the first input node 12 and the second input node 20, the first second NMOS transistors MN41 and MN42, and the third and fourth NMOS transistors MN43 and MN44 are turned on.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42 is turned on. At this time, the sixth and seventh & Mootransistors MN46 and MN47 are both conductive, but before the pull-down bipolar transistor Q42. Therefore, the NBCMOS logic circuit of FIG. 7 performs a high-speed switching operation, and high driving force can be realized by the bipolar transistor Q41 or Q42 for pull-down or pull-down. In addition, the conduction of the sixth and seventh MOS transistors MN46 and MN47 causes the low level of the output voltage Vout to become an ideal voltage level, that is, a level equivalent to the ground level. It can be expected that the waveform at the low '' level output of FIG. 7 will be similar to those of FIGS. 4 and 5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NBMOS logic circuit of FIG. 7 discloses a two-input NAND logic circuit, those skilled in the art realize various three-input or four-input NAND logic circuits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 Could be done.

전술한 제3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입각하여 구현된 최적의 실시예들이지만, 이들을 구성함에 있어, 그 논리를 고려하여 다소의 변형을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출력노드에 입력신호에 직접으로 제어되는 엔모오스트랜지스터의 구성을 도면에 개시된 구성에 따라 특히 그래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NBMOS logic circu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6, and 7 are the best embodiments implemen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ome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logic.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ENMO transistor which is directly controlled by the input signal to the output node will be particularly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drawing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는, 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의 출력단에 입력신호에 직접으로 제어되는 엔모오스트랜지스터를 구비함에 의해, 고속의 스위칭과 높은 구동능력 및 이상적인 출력로우레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온도의 변화에 따른 상호 보완적인 출력레벨을 얻을 수있는 효과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BSIMOS logic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MOMOS transistor controlled directly to an input signal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BSIMOS logic circuit, thereby providing high-speed switching, high driving capability, and an ideal output low. There is an advantage to get a level. It also has the effect of obtaining complementary output levels as the temperature changes.

Claims (4)

논리회로에 있어서, 제1전원단자와, 제2전원단자와. 소정의 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노드와, 상기 입력노드에 공급된 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엎제어부와, 상기 입력노드에 공급된 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다운제어부와, 상기 제1전원단자와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형성되고상기 풀엎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전원단자와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풀다운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와 상기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에 걸리는 상기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용 엔모오스트랜지스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A logic circuit comprising: a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nd a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 input node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a pull-up control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input node, a pull-down control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input node; And a bipolar transistor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output node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pull control unit. And a pull-down bipolar transistor formed between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output node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pull-down control unit. An enciMOS logic circuit formed between the output nod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d having a pull-down enmo transistor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applied to the input node. 논리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노드와, 공급전원이 걸리는 제1전원단자와 소정의 제1접속노드와의 사이에 체널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피모오스트랜지스터와, 접지전원이 걸리는 제2전원단자와 상기 제1접속노드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와, 제1전원단자와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속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와 소정의 제2접속노드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접속노드와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3엔모오스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와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와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4엔모오스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여, 인버터논리를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In the logic circuit, a channel is formed between an input node to which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is input, a first power terminal to which supply power is applied, and a predetermined first connection node, and a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A first MOS transistor comprising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first PMOS transistor, a second power terminal receiving ground power, and the first connection node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a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output node, and a pull bipolar transistor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connection node, and a channel between the output node and the predetermined second connection node. Is formed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NMOS transistor and the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an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nod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d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third NMOS transistor and the output nod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connection node. And a fourth NMOS transistor, each having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output nod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node, to perform inverter logic. Envy CMOS logic circuit. 논리회로에 있어서, 제1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입력노드와, 제2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제2입력노드와,상기 제1입력노드와 제2입력노드에 공급된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엎제어부와, 상기 제1입력노드와 제2입력노드에 공급된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다운제어부와, 공급전원이 걸리는 제1전원단자와 소정의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풀엎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접지전원이 걸리는 제2전원단자와 상기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풀다운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와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와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여, 노아논리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A logic circuit comprising: a first input node to which a first input signal is input, a second input node to which a second input signal is input, and a first input signal and a first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input node and the second input node. A pull-down control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signal, a pull-down control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input node and the second input node, and supplying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to which the power is applied and the predetermined output node, and the pull-up bipolar transistor for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pull-out control unit,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to which the grounding power is applied, and the output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node and a pull-down bipolar transistor for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pull-down control unit,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output nod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d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NMOS transistor and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input node, the output nod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and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And an NMOS transistor, each of which operates a second NMOS transistor, and performs noah logic. 논리회로에 있어서, 제1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입력노드와, 제2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제2입력노드와, 상기 제1입력노드와 제2입력노드에 공급된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엎제어부와, 상기 제1입력노드와 제2입력노드에 공급된 제1입력신호와 제2입력신호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풀다운제어부와, 공급전원이 걸리는 제1전원단자와 소정의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풀엎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엎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접지전원이 걸리는 제2전원단자와 상기 출력노드와의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풀다운제어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풀다운용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노드에 드레인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1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엔모오스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자와 제2전원단자와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입력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하는 제2엔모오스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여 낸드논리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엔바이씨모오스 논리회로.A logic circuit comprising: a first input node to which a first input signal is input, a second input node to which a second input signal is input, a first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input node and a second input node, and a first input node. A pull-down control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signal, a pull-down control unit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supplied to the first input node and the second input node, and supplying A current pat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to which the power is applied and the predetermined output node, and the pull-up bipolar transistor for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pull-out control unit,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to which the grounding power is applied, and the output A pull-down bipolar transistor for switching current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pull-down control unit; a drai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A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MO transistor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first ENMO transistor and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which are switch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and in respons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input node. An NBMOS logic circuit comprising a second NMOS transistor which operates switching to perform NAND logic.
KR1019940023618A 1994-09-16 1994-09-16 Nbi-cmos logic circuit KR0122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618A KR0122112B1 (en) 1994-09-16 1994-09-16 Nbi-cmos logic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618A KR0122112B1 (en) 1994-09-16 1994-09-16 Nbi-cmos logic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728A KR960012728A (en) 1996-04-20
KR0122112B1 true KR0122112B1 (en) 1997-12-05

Family

ID=1939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618A KR0122112B1 (en) 1994-09-16 1994-09-16 Nbi-cmos logic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11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728A (en)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600A (en) Level conversion circuit
US4769561A (en) Bipolar transistor-field effect transistor composite circuit
US3551693A (en) Clock logic circuits
KR900003070B1 (en) Logic circuit
US6040729A (en) Digital output buffer for multiple voltage system
US5537059A (en) Output circuit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5068548A (en) Bicmos logic circuit for basic applications
US6437627B1 (en) High voltage level shifter for switching high voltage in non-volatile memory intergrated circuits
EP0045344B1 (en) Reduced power tristate driver
US10355685B2 (en) Output circuit
KR950026119A (en) Output circuit
EP0542227A2 (en) Output buffer circuit
US50685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ECL signals to CMOS signals
US5113087A (en) Output circuit
EP0225249A2 (en) CMOS current switching circuit
EP0351820B1 (en) Output circuit
JP2002076882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6556047B2 (en) Circuit for shifting switching signals
KR100194904B1 (en) Composite circuit of bipolar transistor and MOS transisto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ing same
EP0417786B1 (en) A level shift circuit for achieving a high-speed processing and an improved output current capability
KR0122112B1 (en) Nbi-cmos logic circuit
CN110518903B (en) Level shift circuit
US5107143A (en) Signal output circuit included in bus driving integrated circuit
JPH025610A (en) Output circuit
US6472911B1 (en) Output buffer circuit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