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763Y1 -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63Y1
KR0121763Y1 KR2019940017027U KR19940017027U KR0121763Y1 KR 0121763 Y1 KR0121763 Y1 KR 0121763Y1 KR 2019940017027 U KR2019940017027 U KR 2019940017027U KR 19940017027 U KR19940017027 U KR 19940017027U KR 0121763 Y1 KR0121763 Y1 KR 0121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pipe
circulation
washing wat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136U (ko
Inventor
권지언
채규희
Original Assignee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서, 동양매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서
Priority to KR2019940017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63Y1/ko
Publication of KR960005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4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solely by water j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에 사용되는 세제의 분해 및 용해작용을 세척수 순환과 분사에 의해 이루고 다량의 기포발생으로 세탁력이 우수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종래에는 세제의 분해 및 용해작용이 미비한 것과 분사력이 약해서 세탁 결과가 만족할 수 없는 결점이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덮개(14)저부에 다수개의 분사공(18)과 연결관(20)이 부착된 분사안내통(16)을 보울트로 부착하고 상기 순환펌프(30)로부터 연장된 순환관(22)을 연결관(20)에 끼워 클립(26)으로 고정하여서 구성하여 세탁기의 덮개에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공이 마련된 분사안내통을 부착하고 순환펌프와 연결된 순환관에 연결관을 삽입하여 체결하여서 세탁조의 세탁수가 순환되면서 분사 배출하므로 세제의 분해 및 용해작용을 이루고 다량의 기포발생으로 세탁력이 우수하면서 세탁결과가 양호토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세탁기 덮개에 장착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탁조 12 : 세탁기본체
14 : 덮개 16 : 분사안내통
18 : 분사공 20 : 연결관
22 : 순환관 24 : 보울트
26 : 클립 28 : 배출관
30 : 순환펌프 32 : 세탁수
본 고안은 세탁수를 순환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제의 분해 및 용해작용을 양호하게 실행하며 세탁결과가 양호하며 세탁력이 우수하도록 안출된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에 세제를 혼입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고 있는 것으로 공급된 세탁수를 단순하게 반전 와류시키는 방식과, 순환 공급하여 세제의 분해 및 용해를 이루어 세탁효과를 상승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후자, 즉, 세척수 순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척수 순환 세탁기는 세척수가 세탁조로부터 순환 펌프의 강제순환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어 세탁조 상부에 설치된 분사유도통으로 공급되고 분사유도통의 분사판에 의해 버섯형태로 분사되어 세제의 용해작용을 이루면서 세탁력을 증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구조의 분사유도통이 세탁조 상단이나 세탁기 본체에 부착되고있기 때문에 가공은 물론 조립 공정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분사유도통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탁수의 분사력은 강력하지 못하여 세제 용해작용이 미비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세제가 미흡한 용해상태인 세척수는 여러번 순환하여야 만족할 만큼의 용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가공되는 세탁기의 세탁행정 주기와 맞지 않게 되어 주기조정이 필요하는 불편과 세척수 낙차 높이가 낮기 때문에 세척수의 와류 및 물방울 생성작용이 미흡하여 세탁효율의 비 만족한 세탁을 이루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수에 투입된 세제가 세탁수에 빨리 분해 및 용해되도록 하고 세척수의 분사력을 강력하게 실행하여 세탁효율을 높이는 세척수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세탁기 본체 상단에 개폐되는 덮개가 부착되고 ,내부에 세탁조를 내장하여 세탁조 저면의 배출관과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설치된 순환관을 순환 펌프로 연결시켜 세탁조의 물을 상기한 순환펌프에 의해 배출관과 순환관을 통해 세탁조의 상부로 순환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의 저부에 다수개의 분사공과 연결관이 형성된 분사통을 보울트로 체결하고 상기한 순환펌프로 부러 연장되는 순환관을 상기 연결관에 끼워서 클립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수 분사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일실시예 도면을 참고적으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세탁수 순환장치는 제 1도 및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탁조(10)를 내장한 세탁기 본체(12) 상부에 개폐되는 덮개(14)가 부착되고 덮개(14)의 저면에는 분사안내통(16)이 부착된다.
상기 분사안내통(16)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8)이 마련되고 외륜의 한 지점에는 연결관(20)이 부착되어 순환관(22)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보울트(24)로 덮개(14)에 부착된다.
그리고, 순환관(22)에 삽입되는 연결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립(26)으로 고정하고 있으며 덮개(14)를 닫았을 때 분사안내통(16)의 바닥면이 세탁조(10)의 상면보다 높게 구성된다.
또한 세탁도(10)의 저 면에 부착된 배출관(28)과 순환관(22)을 순환펌프(30)로 연결하여 세척수(32)를 순환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4는 세탁물이며 35는 조작스위치이며, 38은 전자 조작반이며 40은 타이머 42는 세탁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분사안내통(26)을 덮개(14)에 체결부재인 보울트(24)로 부착하고 연결관(20)을 순환관(22)에 삽입하여 조립된다, 또한 순환관(22)에 삽입된 연결관(2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순환관(22) 외륜에는 클립(26)이 체결되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세탁조(10)에 세탁물(34)을 넣고 세제를 투입한 후 조작스위치(36)와 타이머(40)를 작동하고 전자조작반(38)을 선택하면 세탁행정을 이루게되어 세탁조(10)에 있는 세탁물(34)은 세탁수(22)의 와류작용에 의하여 세탁을 하게 된다. 즉 세탁봉(42)이 반전 운동을 실행하여 세탁수(32)를 물결치듯 와류시키게 되므로 세탁수(32)에 잠겨있는 세탁물(34)은 물결의 흐름으로 반전하면서 세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세탁조(10)에 있는 세탁수(32)를 수화펌프(30)의 강제 순환력으로 순환관(22)과 연결된 분사안내통(16)으로 보내고 분사안내통(16)의 저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18)을 통하여 세탁조(10)에 분사를 이루면서 보내어지고 있다.
따라서 세탁수(32)에 혼입되어 잇는 세제가 세탁수(32)의 순환과 분사에 의하여 분해 및 용해되어 세탁력이 좋도록 한다 또한 세탁봉(42)의 반전 운동에 의하여 와류되는 세탁수(32) 만으로 부족하게되는 세탁력은 분사안내통(16)에서 분사되는 기포에 의하여 보충하여 줌으로서 세탁력은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한편 덮개(16)의 저면에 부착된 분사안내통(16)의 저면이 세탁조(10)의 상면 높이보다 높음과 동시에 세탁기의 최고 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분사력은 강력하게 되고 기포 발생은 최대가 되기 때문에 세탁력이 양호토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세탁기에 덮개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공이 마련된 분사안내통을 부착하고 순환 펌프와 연결된 순환관에 연결관을 삽입하여 체결하여서 세탁조의 세탁수가 순환되면서 분사 배출하므로 세제의 분해 및 용해작용을 이루고 다량의 기포발생으로 세탁력이 우수하면서 세탁결과가 양호토록 하는 신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세탁기본체(12) 상단에 개폐되는 덮개(14)가 부착되고, 내부에 세탁조(10)를 내장하여 세탁조 저면의 배출관(28)과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설치된 순환관(22)을 순환펌프로 연결시켜 세탁조(10)의 물을 상기한 순환 펌프(30)에 의해 배출관(28)과 순환관(22)을 통해 세탁조(10)의 상부로 순환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14)의 저부에 다수개의 분사공(18)과 연결관(20)이 형성된 분사안내통(16)을 보울트(24)로 체결하고, 상기한 순환펌프(30)로 부터 연장되는 순환관(22)을 상기 연결관(20)에 끼워서 클립(26)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수 분사장치.
KR2019940017027U 1994-07-09 1994-07-09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0121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027U KR0121763Y1 (ko) 1994-07-09 1994-07-09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027U KR0121763Y1 (ko) 1994-07-09 1994-07-09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136U KR960005136U (ko) 1996-02-16
KR0121763Y1 true KR0121763Y1 (ko) 1998-10-01

Family

ID=1938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027U KR0121763Y1 (ko) 1994-07-09 1994-07-09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029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136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8089A (ko) 세탁기
CN109663516B (zh) 微气泡产生循环系统及衣物处理装置
TW324755B (en) A method of washing and rinsing clothes in a vertical axis washer
KR100212427B1 (ko) 분사노즐 조립체를 구비한 세탁기
US4227550A (en) Liquid oscillator having control passages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ambient air
KR0121763Y1 (ko)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20000045029A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
KR100565479B1 (ko) 세탁수 분사 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US4407032A (en) Washing method using a fluidic oscillator
JPH06277384A (ja) 洗濯機
KR100208090B1 (ko) 세탁기용 세제통의 샤워 린스부재 장착구조
KR20090024905A (ko) 샤워 방식 세탁기
KR200319432Y1 (ko) 세탁기의 샤워장치_
JPS63139597A (ja) 洗濯機
CN210104326U (zh) 洗衣机
US3592026A (en) Washing machine agitator
KR0122387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10103715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0139255B1 (ko) 세탁기의 거품 제거장치
KR200143269Y1 (ko)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940015023A (ko) 분사노즐이 설치된 드럼식세탁기
KR0130951Y1 (ko)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20000007671U (ko) 세탁기의 수로 구조
KR0116674Y1 (ko)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19990017190U (ko) 세탁기용 샤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