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195Y1 - Low noise level distill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 Google Patents

Low noise level distill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195Y1
KR0121195Y1 KR2019950010764U KR19950010764U KR0121195Y1 KR 0121195 Y1 KR0121195 Y1 KR 0121195Y1 KR 2019950010764 U KR2019950010764 U KR 2019950010764U KR 19950010764 U KR19950010764 U KR 19950010764U KR 0121195 Y1 KR0121195 Y1 KR 0121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microswitch
heating device
upp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7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37410U (en
Inventor
왕 친투
Original Assignee
왕 친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 친투 filed Critical 왕 친투
Priority to KR2019950010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195Y1/en
Publication of KR960037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41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195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1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where at least one distillation column contains at least one dividing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증류수를 생산하기 위한 증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장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장착되고 분할벽에 의하여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상부 챔버와 증기를 응축시켜 증류수가 되게 하기 위한 저부 챔버로 분리되는 응축 장치와, 상기 스탠드로부터 상기 응축 장치 아래로 현수되는 가열 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되게 하기 위하여 상부 챔버로부터 물을 수용하도록 안내 파이프에 의하여 체크 밸브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에 연결되는 물 유입부와 증기를 응축시켜 증류수가 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 챔버로 증기를 안내하도록 증기 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저부 챔버에 연결되는 증기 유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ill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distilled water, the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densed distilled water by condensing the stand and the upper chamber which is mounted to the stand and receives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by a partition wall And a heating device suspended from the stand below the condensing device, the heating device being guided to receive water from the upper chamber to heat the water to become a vapor. A water inlet connected to the upper chamber via a check valve by a pipe and a steam outlet connected to the bottom chamber by a steam pipe to direct steam to the bottom chamber for condensing the steam into distilled water. It features.

Description

증류수를 생산하기 위한 증류 장치Distill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distilled wate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는 물이 응축 장치의 상부 챔버 안으로 안내되고 제1 및 제2마이크로 스위치가 오프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FIG. 2a shows water being guided into the upper chamber of the condenser and the first and second micro switches switched off

제2b도는 가열 장치가 기울어지고 응축 장치의 저부 챔버에서 증기가 응축되어 물이 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FIG. 2b shows the heating device tilted and vapor condenses in the bottom chamber of the condenser to become water

제2c도는 제1마이크로스위치가 트리거되고 물의 공급이 중지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FIG. 2C shows that the first microswitch is triggered and the supply of water is stopp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스탠드2: 응축 장치1: stand 2: condensing unit

3: 가열장치4: 전자식 반도체 냉각기3: heating device 4: electronic semiconductor cooler

5: 물 꼭지6: 증기 파이프5: water tap 6: steam pipe

10, 10': 현수 아암12, 13: 마이크로 스위치10, 10 ': suspension arm 12, 13: micro switch

20: 분할벽21: 상부 챔버20: partition wall 21: upper chamber

22: 저부 챔버23: 물 입구22: bottom chamber 23: water inlet

24: 안내 파이프25: 안전 스위치24: guide pipe 25: safety switch

26: 수위 조절 스위치27: 압력 해제 밸브26: level control switch 27: pressure release valve

30: 조절 레버31: 상부 커버30: adjustment lever 31: top cover

32: 용기 34, 34': 전기식 가열 부재32: vessel 34, 34 ': electric heating element

200: 적하 단부201: 응축면200: dripping end 201: condensation surface

241: 체크 밸브241: check valve

본 고안은 증류수를 생산하기 위한 증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담수(fresh water)를 예열하고 증류 공정 중에 증기와 담수 사이의 열교환에 의하여 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ill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distilled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illation apparatus for preheating fresh water and condensing steam by heat exchange between steam and fresh water during the distillation process.

증류수를 생산하기 위하여 증류 공정을 이용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증류수를 생산하기 위한 보통의 증류 공정은 일반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 공급 용기를 이용하는 단계와, 물 공급 용기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비등 용기(boiling container)를 이용하는 단계와, 비등 용기에 있는 일차적으로 증류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열 장치를 이용하는 단계, 그리고 일차적으로 응축시키기 위해 증기를 가열 장치로부터 물 용기를 통해 안내한 후 응축된 물이 코일 파이프를 통해 냉수 용기로 안내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냉수 용기에 수집된 증류수는 음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증류 공정을 위한 장치는 복잡하고, 이에 따라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이 어렵다. 더우기 두개의 전기식 가열기가 사용되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 비용이 높고, 증류 작업 중에 전력 공급(power supply)의 소비가 크다.Techniques for using distillation processes to produce distilled water are known. Common distillation processes for producing distilled water generally include using a water supply vessel to supply water, using a boiling container to heat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vessel to become steam, and Using a heating device to heat the primarily distilled water in the vessel to become a vapor, and first directing the steam from the heating device through the water vessel to condense it first and then condensed water through the coil pipe It is made to be guided to. Distilled water collected in cold water containers can be drunk. The apparatus for the above-mentioned distilla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us, maintenance work of the apparatus is difficult. Moreover, the production cost of the device is high because two electric heaters are used, and the consumption of power supply during the distillation operation is high.

본 고안자에 의해 1984.8.12자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제3007868호는 전술한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증류수를 생산하기 위한 증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증류 장치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유지 공간과 증기를 응축시켜 물이 되게 하기 위한 하부 유지 공간으로 분할되는 응축 챔버와, 상기 상부 유지 공간에 있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되게 하도록 조절하며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유지 공간 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하부 유지 공간에 연결된 증기 유출부를 구비한 가열 챔버와, 상기 응축 챔버의 상기 하부 유직 공간으로부터 응축된 물을 수용하는 온수 챔버와, 상기 온수 챔버로부터 증류수를 수용하여 전자식 냉각기(electronic cooler)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냉수 챔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류 장치의 구조는 기능적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결점이 남아 있다. 상기 증류 장치의 구조의 한가지 결점은 증기가 가열 챔버의 상단에서 응축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인데, 이는 증기 통로(steam passage)가 증기의 위쪽으로 흐르는 성질과 상충되는 아래쪽으로 휘어진 부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증류 장치의 구조의 다른 결점은 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상기 증류 장치는 네개의 독립된 챔버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 중에 증류 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하는 것이 곤란하다.Japanese Patent No. 3007868, filed by the inventor at 1984.8.12, discloses a distill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distilled water which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 The distillation apparatus is adapted to heat the water in the upper holding space into a condensation chamber divided into an upper holding space for receiving water from a water source and a lower holding space for condensing the steam into water. A heating chamber having a steam outlet connected to said lower holding space for guiding it into said lower holding space for condensing steam, a hot water chamber containing water condensed from said lower vertical space of said condensing chamber, and said hot water chamber It consists of a cold water chamber for receiving distilled water from the cooling by an electronic cooler (electronic cooler). The structure of the distillation apparatus is functional but still has drawbacks. One drawback of the structure of the distillation apparatus is that the steam tends to condense at the top of the heating chamber, since the steam passage has a downwardly bent portion that conflicts with the upward flow of the steam. . Another drawback of the structure of the distillation apparatus is that the structure is complex. Since the distillation apparatus includes four independent chambers,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parts of the distillation apparatus during maintenance work.

본 고안은 전술한 결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증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본 고안에 따르면 증류 장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장착되고 분할벽에 의하여 외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수용하는 상부 챔버와 증기를 응축시켜 증류수가 되게 하기 위한 저부 챔버로 분리되는 응축 장치와, 상기 스탠드로부터 상기 응축 장치 아래로 현수되는 가열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되게 하기 위하여 상부 챔버로부터 물을 수용하도록 안내 파이프에 의하여 체크 밸브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에 연결되는 물 유입부와 증기를 응축시켜 증류수가 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 챔버로 증기를 안내하도록 증기 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저부 챔버에 연결되는 증기 유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저부 챔버는 상기 가열 장치의 오른쪽 위쪽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증기 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상부챔버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주식한 증기 통로는 상기 가열 장치로부터 증기를 응축시켜 증류수가 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 챔버로 증기가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증류 장치의 구조는 간단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provide a distillation apparatus capable of eliminating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tillation apparatus has a stand and an upper portion mounted to the stand and receiv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by a partition wall. A condensing device that is separated into a chamber and a bottom chamber for condensing the vapor into distilled water and a heating device suspended from the stand below the condensing device, wherein the heating device comprises a top for heating the water to become steam.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upper chamber via a check valve by a guide pipe to receive water from the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bottom chamber by a steam pipe to direct steam to the bottom chamber for condensing the vapor into distilled water. A vapor outlet is provided. The bottom cha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heating apparatus and the hea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upper chamber by the steam pipe so that the stocked steam passage allows the bottom portion to condense steam from the heating apparatus to be distilled water. It allows the vapor to be effectively guided to the chamber. Since the structure of this distillation apparatus is simple, maintenance work is easy.

제1도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증류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탠드(1), 상기 스탠드(1)의 상단에 장착된 응축 장치(2), 그리고 상기 스탠드(1)에 현수된 가열 장치(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includes a stand 1, a condenser 2 mounted on the top of the stand 1, and a heating device 3 suspended on the stand 1. It is composed of

상기 응축 장치(2)는 상부 챔버(21) 그리고 분할벽(20)에 의하여 분리되는 저부 챔버(22)로 이루어지는 방수용기(water-tight container)이다. 상기 분할벽(20)은 최하부에 형성된 적하 단부(dripping end)(200)와 상기 적하 단부(200)로 부터 상기 응축 장치(2)의 외주부까지 위쪽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응축면(201)을 구비한다. 증기가 저부 챔버(22) 안으로 안내되면 경사진 응축면(201)에서 응축되어 물이 되고, 응축된 물은 경사진 응축면(201)을 따라 적하 단부(200)로 이동된 다음 적하단부(200)로부터 상기 저부 챔버(22)의 바닥으로 적하될 것이다. 상기 상부 챔버(21)는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된 물 입구(23)와, 물을 상기 가열 장치(3)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벽(20)의 중심에 고정되는 안내 파이프(24)로서, 상기 안내 파이프(24)는 물이 상기 상부 챔버(21)로부터 상기 안내 파이프(24)를 통해 상기 가열 장치(3)로 흘러 통과하는 물 입구(2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통공(240)들을 구비하는 안내 파이프(24)와, 상기 상부 챔버(21)에 있는 물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상기 물 입구(23)를 차단하는 상부에 형성된 안전 스위치(25)로 이루어진다. 증기가 상기 가열 장치(3)로부터 상기 응축 장치(2)의 상기 상부 챔버(2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파이프(24)에 체크 밸브(241)가 설치된다.The condensation apparatus 2 is a water-tight container consisting of an upper chamber 21 and a bottom chamber 22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20. The dividing wall 20 has a dripping end 200 formed at the bottom and an inclined condensation surface 201 extending upward from the dripping end 200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ndensation apparatus 2. do. When the vapor is guided into the bottom chamber 22, it condenses in the inclined condensation surface 201 to become water, and the condensed water is moved along the inclined condensation surface 201 to the dripping end 200 and then the dripping end 200 Will be dropp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chamber 22. The upper chamber 21 is a water inlet 23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guide pipe 24 fixed to the center of the dividing wall 20 to guide water to the heating device 3, The guide pipe 24 has a radial through hole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inlet 23 through which water flows from the upper chamber 21 through the guide pipe 24 to the heating device 3. A guide pipe 24 having 240 and a safety switch 25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hamber 21 to automatically block the water inlet 23 when the water level in the upper chamber 21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Is done. A check valve 241 is provided in the guide pipe 24 to prevent steam from flowing back from the heating device 3 to the upper chamber 21 of the condensation device 2.

상기 저부 챔버(22)는 각각 응축된 물을 냉각하고 이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에 형성된 전자식 반도체 냉각기(4) 및 물 꼭지(5)와, 증기를 응축시켜 물이 되게 하기 위하여 증기를 상기 가열 장치(3)로부터 상기 저부 챔버(22)로 안내하도록 상기 가열 장치(3)에 연결된 증기 파이프(6)로 이루어진다. 증기는 상기 분할벽(20)의 상기 경사진 응축면(201)에서 응축되기 때문에 열이 증기로부터 상기 상부 챔버(21)에 있는 물로 전달되므로, 상기 상부 챔버(21)에 있는 물은 증기가 응축되어 물이 될 때 예열된다. 상기 저부 챔버(22)에 있는 물의 수위가 소정의 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가열 장치(3)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저부 챔버(22)의 내측에 수위 조절 스위치(26)가 장착된다. 상기 저부 챔버(22)의 내부 압력이 소정의 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저부 챔버(22)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낮추기 위하여 상기 저부 챔버(22)의 높은 위치에 압력 해제 밸브(27)가 장착된다. 압력 해제 밸브(27)가 압력을 낮추기 위하여 개방되었을 때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력 해제 밸브(27)에 경음기(whistle)를 설치할 수 도 있다.The bottom chamber 22 respectively has an electronic semiconductor cooler 4 and a water faucet 5 formed at the bottom to cool and drink the condensed water, and vapor to condense the steam to make water. It consists of a steam pipe 6 connected to the heating device 3 to guide it from the heating device 3 to the bottom chamber 22. Since steam is condensed on the inclined condensation surface 201 of the dividing wall 20,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steam to the water in the upper chamber 21, so that the water in the upper chamber 21 condenses the steam. When it becomes water, it is preheate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ottom chamber 22 rise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a level control switch 26 is mounted inside the bottom chamber 22 to automatically stop the power supply from the heating device 3. do.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om chamber 22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 pressure release valve 27 is mounted at a high position of the bottom chamber 22 to automatically lower the pressure of the bottom chamber 22. A whistle may be installed on the pressure release valve 27 to generate an alarm when the pressure release valve 27 is opened to lower the pressure.

상기 스탠드(1)는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현수 아암(10, 10')과, 상기 현수 아암(10, 10')에 형성된 슬라이딩 트랙(100, 100')사이에서 이동되며, 두개의 돌출 로드, 즉 길이가 서로 다른 제1돌출 로드(110)와 제2돌출 로드(100')를 구비한 압력 보드(11)와, 각각 상기 돌출 로드(100, 100')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마이크로 스위치(12) 및 제2마이크로 스위치(13)와, 상기 압력 보드(11)를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 13)들로부터 멀리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 보드(11)에 대하여 정지되는 스프링(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 보드(11)가 상기 스프링(15)을 압축시키도록 왼쪽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제2돌출 로드(110')는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13)와 접촉되어 상기 가열 장치(3)가 물을 가열시키기 시작한다. 상기 압력 보드(11)가 계속해서 왼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돌출 로드(110)가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12)와 접촉되어 상기 물 입구(23)를 차단한다.The stand 1 is moved between a pair of suspension arms 10, 10 'formed on one side and sliding tracks 100, 100' formed on the suspension arms 10, 10 ', two protruding rods, That is, the pressure board 11 having the first protrusion rods 110 and the second protrusion rods 100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 rods 110 and 100', respectively, One microswitch 12 and second microswitch 13 and a spring 15 stopped against the pressure board 11 to keep the pressure board 11 away from the microswitches 12, 13. ) When the pressure board 11 is forced to the left to compress the spring 15, the second protruding rod 110 ′ contacts the second microswitch 13 so that the heating device 3 Start heating. If the pressure board 11 continues to move to the left, the first protruding rod 110 contacts the first micro switch 12 to block the water inlet 23.

상기 가열 장치(3)는 내측에 형성된 장착 프레임(33)을 구비하는 용기(32)와, 상기 용기(32)의 상부에 덮여지며 상기 장착 프레임(33)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부 커버(31)와, 상기 용기(32)의 바닥에 형성된 전기식 가열부재(34, 34')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식 가열 부재(34, 34')들은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13)와 수위 조절 스위치(26)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13)가 트리거(trigger)되면 물을 가열시키기 위하여 전기식 가열 부재(34, 34')들을 즉시 온시킨다. 수위 조절 스위치(26)가 트리거되면 전기식 가열 부재(34, 34')들을 즉시 오프시킨다. 조절 레버(30)는 가열 장치(3)로부터 연장되고, 현수 아암(10)에 형성된 구멍(101)을 통해 삽입되며, 압력 보드(11)에 대하여 정지된다.The heating device 3 includes a container 32 having a mounting frame 33 formed therein, and an upper cover 31 that is cover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32 and is firmly fixed to the mounting frame 33. And electric heating members 34 and 3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32. The electric heating members 34, 34 ′ are controlled by the second microswitch 13 and the water level control switch 26. When the second microswitch 13 is triggered, the electric heating members 34 and 34 'are immediately turned on to heat the water. When the water level control switch 26 is triggered, the electric heating members 34 and 34 'are immediately turned off. The adjustment lever 30 extends from the heating device 3,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101 formed in the suspension arm 10, and stops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board 11.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이하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물이 물 입구(23)를 통해 상부 챔버(21)안으로 안내되고 가열 장치(3)로 이송(deliver)되지 않으면 제1마이크로스위치(12) 및 제2마이크로스위치(13)가 작동하지 않고, 따라서 전기식 가열 부재(34, 34')들은 오프된다(제2a도 참조). 물이 응축장치(2) 의 상부 챔버(21) 로부터 가열장치(3)의 용기(32) 안으로 흐르면 가열장치(3)의 총중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가열장치(3)의 총중량이 증가되면 가열장치 (3)가 기울어지고, 조절 레버 (30)가 압력 보드 (11)를 왼쪽으로 밀게 된다 (제 2b도 참조). 압력 보드 (11)가 왼쪽으로 이동되면 제2마이크로스위치(13)가 제2돌출 로드(110')에 의하여 전기식 가열 부재(34, 34')들을 가열시키도록 트리거되고, 이들은 물을 끓는 점까지 가열시키게 된다. 가열장치 (3)에 있는 물이 끓게 되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증기는 증기를 응축시켜 물이 되게 하기 위하여 증기 파이프(6) 를 통해 응축 장치(2)의 저부 챔버 (22)로 위쪽으로 안내되고, 음용을 위하여 증류수가 저부 챔버(2)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가열장치(3)에 있는 물의 부피가 소정의 범위보다 크게 되면 압력 보드(11)가 제1마이크로스위치(12)를 트리거시키도록 계속해서 왼쪽으로 밀려지고, 이것은 물입구(23)를 차단시키게 된다. 가열 장치(3)에 있는 물의 부피가 증발로 인해 감소되면 가열 장치(3)의 총 중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가열 장치(3)가 뒤쪽으로 이동되고, 압력 보드(11)가 제1마이크로스위치(12)를 해제(release)시키게 된다. 제1마이크로스위치(12)가 압력 보드(11)의 제1돌출 로드(110)로부터 해제되면 물이 상부 챔버(21)로 그리고 계속해서 가열 장치(3)의 용기(32)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 입구(23)를 즉시 개방한다. 전술한 과정은 저부 챔버(22)에 증류수가 충진될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저부 챔버(22)에 있는 물의 수위가 소정의 값보다 높아지면 수위 조절 스위치(26)는 전기식 가열 부재(34, 34')들을 오프시키도록 즉시 트리거된다. 이 단계에서 가열 장치(3)의 용기 (32)에 있는 물의 수위가 소정의 값보다 높아지면 제1마이크로스위치(12)는 물 입구(23)를 오프시키도록 트리거된다(제2c도 참조). 또한, 응축 장치(2)의 저부 챔버(22)에 있는 증류수는 전자식 반도체 냉각기 (4)에 의하여 소정의 값까지 냉각된다. 물 꼭지(5)가 온되면 차가운 음용수가 마실 수 있도록 안내되어 나온다. 저부 챔버(22)에 있는 증류수의 부피가 감소되면 수위 조절 스위치(26)는 작동하지 않고 가열 장치(3)가 전술한 증류 작업을 반복하도록 구동된다.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A, 2B and 2C. If water is guided through the water inlet 23 into the upper chamber 21 and is not delivered to the heating device 3, the first microswitch 12 and the second microswitch 13 do not operate, and thus The electrical heating elements 34, 34 ′ are off (see also FIG. 2a). As water flows from the upper chamber 21 of the condenser 2 into the vessel 32 of the heater 3, the total weight of the heater 3 is relatively increased. Increasing the total weight of the heater 3 causes the heater 3 to tilt, and the adjustment lever 30 pushes the pressure board 11 to the left (see also part 2b). When the pressure board 11 is moved to the left, the second microswitch 13 is triggered by the second protruding rod 110 'to heat the electrical heating members 34 and 34', which are to the point of boiling water. Heated. When the water in the heater 3 is boiled, the vapor formed as above is guided upwards through the steam pipe 6 into the bottom chamber 22 of the condenser 2 in order to condense the steam to become water, Allow distilled water to be collected in the bottom chamber 2 for drinking. If the volume of water in the heater 3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pressure board 11 continues to be pushed to the left to trigger the first microswitch 12, which blocks the water inlet 23. . If the volume of water in the heating device 3 is reduced due to evaporati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ting device 3 is relatively reduced so that the heating device 3 is moved backwards, and the pressure board 11 is moved to the first microswitch ( 12) will be released. When the first microswitch 12 is released from the first protruding rod 110 of the pressure board 11 so that water can flow into the upper chamber 21 and continuously into the vessel 32 of the heating device 3. Open the water inlet 23 immediately.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bottom chamber 22 is filled with distilled water.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ottom chamber 22 rise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he level control switch 26 is immediately triggered to turn off the electric heating members 34 and 34 '. In this step, if the water level in the container 32 of the heating device 3 become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microswitch 12 is triggered to turn off the water inlet 23 (see also second c). In addition, the distilled water in the bottom chamber 22 of the condensation apparatus 2 is cooled by the electronic semiconductor cooler 4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water tap (5) is turned on it is guided to drink cold drinking water. When the volume of distilled water in the bottom chamber 22 is reduced, the level control switch 26 is not activated and the heating device 3 is driven to repeat the distillation operation described above.

Claims (4)

증류수를 생산하기 위한 증류 장치에 있어서, 분할벽(20)에 의하여 분리되는 상부 챔버(21) 및 저부 챔버(22)로서, 상기 상부 챔버(21)는 외부의 물 공급원에 연결된 물 입구(23)와, 상기 상부 챔버(21)에 있는 물의 수위가 소정의 값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상기 물 입구(23)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부에 형성된 안전 스위치(25)를 포함하고, 상기 저부 챔버(22)는 상기 저부 챔버(22)에 수집된 물의 온도를 냉각시키도록 조절되는 전자식 반도체 냉각기(4)와, 물을 음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 챔버(22)의 밖으로 물을 안내하도록 조절되는 물 꼭지(5)와, 상기 저부 챔버(22)의 압력을 밖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압력 해제 밸브(27)와, 상기 저부 챔버(22)에 있는 물의 수위가 소정의 값보다 높아지면 상기 장치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한 수위 조절 스위치(26)를 포함하는 상부 챔버(21) 및 저부 챔버(22)로 이루어지는 응축 장치(2)와, 두개의 현수 아암(10, 10')을 구비하며, 제1마이크로스위치(12) 및 제2마이크로스위치(13)가 장착되되,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12)는 트리거되었을 때 상기 물 입구(23)를 오프시키는 스탠드(1)와, 상기 응축 장치(2)의 상기 상부 챔버(21)로부터 물을 수용하고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되게 하기 위하여 체크 밸브(241)를 통해 상기 응축 장치(2)의 상기 상부 챔버(21)에 연결되는 가열 장치(3)로서, 상기 가열장치(3)는 상기 용기(3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현수 아암(10, 10')에 현수되는 조절레버(30)와,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13)에 의하여 조절되는 다 수개의 전기식 가열부재(34, 34')와, 증기를 응축시켜 물이 되게 하기 위하여 증기를 상부 저부 챔버(22)안으로 위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응축 장치(2)의 상기 저부 챔버(22)에 연결되는 증기 파이프(6)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장치(3)는물이 유입되면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13)를 트리거시켜, 상기 제2마이크로스위치(13)가 상기 전기식 가열 부재(34, 34')를 온시키고, 물이 완전히 충진되면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12)를 트리거시켜 상기 제1마이크로스위치(12)가 상기 물 입구(23)를 차단하도록 경사지게 되는 가열 장치(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 장치.In a distill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distilled water, an upper chamber (21) and a lower chamber (22) separated by a dividing wall (20), wherein the upper chamber (21) is a water inlet (23)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safety switch 25 formed at an upper portion to automatically shut off the water inlet 23 when the water level in the upper chamber 21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lower chamber 22 is The electronic semiconductor cooler 4 is adjusted to co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llected in the bottom chamber 22, and the water tap is adjusted to guide the water out of the bottom chamber 22 to make the water drinkable ( 5), the pressure relief valve 27 for releasing the pressure in the bottom chamber 22, an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ottom chamber 22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power supply from the apparatus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o stop A condensation apparatus 2 comprising an upper chamber 21 and a lower chamber 22, including an adjustment switch 26, and two suspension arms 10, 10 ′, the first microswitch 12 and A second microswitch 13 is mounted, wherein the first microswitch 12 has a stand 1 for turning off the water inlet 23 when triggered, and the upper chamber 21 of the condensation apparatus 2. A heating device (3) connected to the upper chamber (21) of the condensation device (2) via a check valve (241)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and heat the water to become steam. )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lever 30 extending from the vessel 32 and suspended on the suspension arms 10, 10 'and the second microswitch 13 to heat the water to become steam. Several electrical heating elements 34, 34 ', and the top of the steam to condense it into water A vapor pipe (6) connected to the bottom chamber (22) of the condensation apparatus (2) to guide upwardly into the subchamber (22), wherein the heating device (3) is provided with the second micro switch (13) to trigger the second microswitch 13 to turn on the electric heating members 34 and 34 ', and when the water is completely filled, the first microswitch 12 to trigger the first microswitch. Distil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12) consists of a heating device (3) which is inclined to block the water inlet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20)은 최하부에 형성된 적하 단부(200)와, 상기 적하 단부(200)로부터 상기 응축 장치(2)의 외주부까지 위쪽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응축면(2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 장치.2. The condensing wall of claim 1, wherein the dividing wall 20 has a dropping end 200 formed at a lowermost part and an inclined condensation surface 201 extending upward from the dropping end 200 to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ndensing device 2. Distillat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해제 밸브(27)에 경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 장치.The disti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rn is provided in the pressure release valve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3)는 안내 파이프(24)에 의하여 상기 응축 장치(2)의 상기 상부 챔버(21)에 연결되는 용기(32)와, 상기 용기 (32)위에 덮여지며 나사 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커버(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 장치.2. The heating device (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device (3) is covered over the container (32) and connected to the upper chamber (21) of the condensation device (2) by a guide pipe (24). Distil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p cover (31) detachably fixed by a screw means.
KR2019950010764U 1995-05-19 1995-05-19 Low noise level distill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KR01211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64U KR0121195Y1 (en) 1995-05-19 1995-05-19 Low noise level distill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64U KR0121195Y1 (en) 1995-05-19 1995-05-19 Low noise level distill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10U KR960037410U (en) 1996-12-16
KR0121195Y1 true KR0121195Y1 (en) 1998-07-01

Family

ID=1941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764U KR0121195Y1 (en) 1995-05-19 1995-05-19 Low noise level distill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19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92B1 (en) * 2007-03-28 2008-02-12 한국해양연구원 Apparatus for distil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92B1 (en) * 2007-03-28 2008-02-12 한국해양연구원 Apparatus for disti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10U (en)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5065A (en) Distilled water supply device
US6113744A (en) Water distillation apparatus
US6279458B1 (en) Rapid brew automatic coffee maker
JP3683500B2 (en) Warm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warm beverage using the device
EP0320804B1 (en) Water distilling apparatus
US4861435A (en) Water distillation apparatus for under-the-sink operation
US4601789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4687550A (en) Water distiller
US4313798A (en) Micro-wave powered distillation unit
RU2308865C2 (en) Apparatus for heating of reservoir containing food products
JP2005507771A (en) Usepoint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3323503B2 (en) Instant hot water dispenser
US5094721A (en) Multiple-effect evaporation system and process
US5932073A (en) Distillation apparatus
US4915793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NL9001631A (en) APPARATUS FOR DELIVERING BOILING WATER.
KR0121195Y1 (en) Low noise level distilling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EP1499562B1 (en) Self-sanitis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a reservoir for treated water that includes a heating element
US5609732A (en) Distilling apparatus
US4724048A (en) Water distiller
JPH0340602B2 (en)
US5496447A (en) Water distilling apparatus
JPH0870995A (en) Distilled water making pot
GB2300364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stilled water
WO2000058223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