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859Y1 -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859Y1
KR0120859Y1 KR2019950014861U KR19950014861U KR0120859Y1 KR 0120859 Y1 KR0120859 Y1 KR 0120859Y1 KR 2019950014861 U KR2019950014861 U KR 2019950014861U KR 19950014861 U KR19950014861 U KR 19950014861U KR 0120859 Y1 KR0120859 Y1 KR 0120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cover
guide
cove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672U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14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859Y1/ko
Publication of KR970003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본체의 양측면 소정 높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리모콘커버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리모콘본체상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편 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설되어 서로 슬라이드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본체의 상면 뒤쪽의 양측단부 소정위치에 바깥쪽이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삽탈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모콘커버의 양측면 선단부에는 상기 삽탈안내부에 끼워지는 삽탈안내부이 돌설되는 한편, 상기 리모콘본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이 후방에는 이탈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리모콘커버가 리모콘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제 1 도는 종래 리모콘커버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결합상태 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커버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 4 도는 리모콘본체에 대하여 리모콘커버를 장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에서의 동작에 의하여 리모콘커버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32 : 리모콘본체
34 : 가이드홈 36 : 리모콘커버
38 : 가이드편 40 : 삽탈안내부
42 : 삽탑안내편 44 : 이탈방지턱
본 고안은 리모콘(Remote Controller)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리모콘본체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VCR 이나 텔레비젼 및 오디오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전자제품에는 전원의 ON/OFF, 볼륨의 증감, 또는 채널의 선택, 각종모드의 선택등과 같은 제품의 기능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전자제품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도 상기한 기능들을 손쉽게 원격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한편, 이와같이 전자제품의 조작기능들을 원격조정하기 위하여 전자제품의 전면내부의 인쇄회로기판에는 통상 적외선수신장치가 설치되고, 그 적외선수신장치에 적외선을 보내는 적외선발생장치, 즉, 리모콘이 별도로 제품화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로 제품화되어 공급되는 리모콘은 그 상부커버상에 각종 기능조작버튼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기능조작버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며, 선단에는 적외선발광부가 설치되는 한편, 하부커버에는 전원공급용 건전지를 수납시키기 위한 건전지수납케이스가 형성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의 리모콘에서는 상기 기능조작버튼들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하여 쉽게 고장난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상기 기능조작버튼의 설치부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조작버튼과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어 리모콘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리모콘본체(10)의 상부에 별도의 리모콘커버(12)의 씌워 사용하고 있는 바, 종래의 리모콘커버 장착구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리모콘본체(10)의 양측면 소정 높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리모콘커버(12)의 양측 내면 선단에는 상기 리모콘본체(10)상의 가이드홈(14)에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편(16)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설되어 서로 슬라이드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서는 상기 리모콘커버(12)가 리모콘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될 때 사용자가 조금만 힘을 가하여 상기 리모콘커버(12)를 뒤쪽으로 당기면,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가 있고, 오랜기간의 사용에 따라 상기 리모콘커버(12)상의 가이드편(16)과 상기 리모콘본체(10)상의 가이드홈(14)사이의 결합부위에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본체(10)를 뒤쪽으로 기울여도 상기 리모콘커버(12)가 임의로 미끄러짐이동되어 벗겨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모콘커버가 리모콘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리모콘커버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리모콘본체의 양측면 소정높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리모콘커버의 양측 내면 앞쪽에는 상기 리모콘본체상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설되어 서로 슬라이드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본체의 상면 뒤쪽의 양측단부 소정위치에 바깥쪽이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삽탈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모콘커버의 양측면 선단부에는 상기 삽탑안내부에 끼워지는 삽탈안내편이 돌설되는 한편, 상기 리모콘본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의 후방에는 이탈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커버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리모콘커버 장착구조(30)는 리모콘본체(32)의 양측면 소정 높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3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리모콘커버(36)의 양측 내면 앞쪽에는 상기 리모콘본체(32)상의 가이드홈(34)에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편(38)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설되어 서로 슬라이드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본체(32)의 상면 뒤쪽의 양측단부 소정위치에 바깥쪽이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홈(34)과 연통되는 삽탈안내부(40)가 형성되고, 상기 리모콘커버(36)의 양측면 선단부에는 상기 삽탈안내부(40)에 끼워지는 삽탈안내편(42)이 돌설되는 한편, 상기 리모콘본체(32)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34)이 후방에는 이탈방지턱(4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리모콘본체(32)상의 삽탈안내부(40)이 그 앞쪽 아랫면이 전방을 향하여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내며, 상기 삽탈안내부(40)의 전후폭은 상기 리모콘커버(36)상의 삽탈안내편(42)의 전후폭 보다 다소 넓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결합관계 및 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서 상기 리모콘커버(36)를 리모콘본체(32)에 장착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리모콘커버(36)를 리모콘본체(32)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리모콘커버(36)의 양측면 선단부에 돌설된 삽탈안내편(42)이 상기 리모콘본체(32)상의 삽탈안내부(40)에 맞춰지도록 한 다음, 그 기울기를 낮춰가면서 전방으로 밀어 끼우면, 상기 리모콘커버(36)상의 각 가이드편(38)들이 상기 리모콘본체(32)상의 가이드홈(34)에 끼워져 결합되어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리모콘커버(36)가 리모콘본체(32)상의 각 기능조작버튼을 덮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모콘커버(36)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기능조작버튼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리모콘커버(36)를 뒤쪽으로 당기면, 상기 리모콘커버(36)상의 가이드편(38)과 삽탈안내편(42)이 상기 가이드홈(34)을 따라 뒤쪽으로 미끄럼이동되어 상기 각 기능조작버튼이 조작가능한 상태로 노출된다.
한편, 이와 같은 리모콘커버(36)를 완전 개방시키는 경우에 상기 리모콘커버(36)상의 가이드편(38)이 상기 가이드홈(34)이 후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44)에 걸리게 되어 뒤쪽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의 리모콘커버(36)의 분리동작은 제 4 도에 도시된 리모콘커버(36)의 장착상태와는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상기 리모콘커버가 일단 장착된 상태에서는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리모콘커버의 장난으로부터 기능조작버튼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리모콘본체(32)의 양측면 소정 높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3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리모콘커버(36)의 양측 내면 앞쪽에는 상기 리모콘본체(32)상의 가이드홈(34)에 끼워지는 다수의 가이드편(38)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설되어 서로 슬라이드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리모콘커버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본체(32)의 상면 뒤쪽의 양측단부 소정위치에 바깥쪽이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홈(34)과 연통되는 삽탈안내부(40)가 형성되고, 상기 리모콘커버(36)의 양측면 선단부에는 상기 삽탈안내부(40)에 끼워지는 삽탈안내편(42)이 돌설되는 한편, 상기 리모콘본체(32)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34)의 후방에는 이탈방지턱(4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KR2019950014861U 1995-06-28 1995-06-28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KR0120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861U KR0120859Y1 (ko) 1995-06-28 1995-06-28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861U KR0120859Y1 (ko) 1995-06-28 1995-06-28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672U KR970003672U (ko) 1997-01-24
KR0120859Y1 true KR0120859Y1 (ko) 1998-08-17

Family

ID=1941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861U KR0120859Y1 (ko) 1995-06-28 1995-06-28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8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672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421B2 (en) Wireless input device
US5469211A (en) Video camera
US5306172A (en) Video tape recorder having built-in camera detachable hand grip member
US5931707A (en) Connector with terminal hooking device
US5188448A (en) TV, VCR, Stereo, CD night light
KR0120859Y1 (ko) 리모콘커버 장착구조
US6264499B1 (en) Electronic module guide frame having light transmission members
CA2287741A1 (en) Fail-safe optical connector
KR200153253Y1 (ko) 전자제품의 리모컨
US5292259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183773Y1 (ko) 리모콘의 건전지수납부 구조
KR0113500Y1 (ko) 전자제품용 리모콘
CN214203541U (zh) 一种方便接线和安装的开关
KR19980068086U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자제품용 리모컨
KR900006834Y1 (ko) 가전제품의 원격조정기 장착장치
KR910000259Y1 (ko) 리모콘 수납착탈장치
JPS6133497B2 (ko)
JPS6214752Y2 (ko)
KR19980024443U (ko) 발광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KR930004488Y1 (ko) 캠코더의 리모콘 장착 장치
KR930001416Y1 (ko) 랩-톱 vcr의 전원 절환 장치
KR200151787Y1 (ko) 카세트 도어의 잠금장치
KR19980066111U (ko) 전자제품의 리모컨 수납장치
KR0115272Y1 (ko) 리모콘 신호 수광부 일체형 전원 스위치 장치
KR19990050838A (ko) 캠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