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693Y1 - 목공용 대패 - Google Patents

목공용 대패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693Y1
KR0120693Y1 KR2019950011832U KR19950011832U KR0120693Y1 KR 0120693 Y1 KR0120693 Y1 KR 0120693Y1 KR 2019950011832 U KR2019950011832 U KR 2019950011832U KR 19950011832 U KR19950011832 U KR 19950011832U KR 0120693 Y1 KR0120693 Y1 KR 0120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r
handle
dovetail groove
dovetail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561U (ko
Inventor
변이경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50011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693Y1/ko
Publication of KR960036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5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6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7/00Manually-operated tools
    • B27G17/02Hand p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2Smoothing, i.e. working one side on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공용 대패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의 거치른 면을 고르게 깎아 다듬는 대패에 작업자의 우측손이 안정적으로 파지되기 위한 손잡이를 적용하여 대패질 작업에 있어, 대패로부터 우측손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목재의 거치른 면을 깎아 고르게 다듬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대패(1)에 있어서, 상기 대패(1)의 양측면부에 더브테일 홈(1a)을 형성하되, 더브테일홈(1a)의 소정위치에 복수개의 체결공(1b)을 형성하고, 상기 더브테일홈(1a)으로 삽입되도록 배면에 소정길이의 더브테일(2a)이 형성되며 그 일단으로는 체결부재(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장공(2c)이 형성되는 정면으로는

Description

목공용 대패
제1도는 일반적인 대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대패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대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대패 1a:더브테일 홈
2:손잡이 2b:돌기부
본 고안은 목공용 대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의 거친면을 깎아 다듬는 대패의 양측면에 그 타측에 돌기부가 형성된 손잡이를 착. 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대패 작업시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공용 대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패는 목재를 일정한 두께나 거친면을 곱게 다듬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일차적으로 목공소에서 기계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목재를 가공하여 쓰여지고 있지만 건축업을 하는 목수에게 있어서 휴대하기 편리하며 수작업 하기에 적당한 크기의 대패가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 도면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패(1)는 목재의 평판을 다듬기 위해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측 소정 위치에 대패(1)의 저면으로 대패날이 설치되는 것으로, 목재의 평판을 다듬기 위해서 작업자의 왼손은 대패(1)의 선단부인 가 부분을 파지하고 오른손은 나부분을 파지하여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대패(1)를 당겨 목재의 평판을 곱게 깎아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대패(1)는 보통 목재로 제작되어지며 대패 작업중 작업자의 손에 가시가 박혀짐을 감안하여 대패의 외곽 표면이 곱게 다듬질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대패 작업을 함에있어 작업자의 오른손이 대패(1)의 나부분을 강력히 파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대패 작업을 오래 하거나 힘이 약한 작업자가 대패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있어서, 특히 작업자의 오른손이 대패(1)의 나부분에서 쉽게 미끄러져 작업하기가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손이 대패(1)로부터 쉽게 미끄러짐에 따라 목재로부터 대패(1)가 불균일한 힘으로 밀려져 목재를 고르게 다듬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목재의 거치른 면을 깎아 다듬는 대패에 작업자의 우측손이 파지되기 용이한 손잡이를 적용하여 대패 작업을 할 때에 있어 대패로부터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목재의 거친 면을 깎아 고르게 다듬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대패에 있어서, 상기 대패의 양측면에 더브테일 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더브테일 홈에 대향되게 일측에 더브테일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 타측에형상을 갖는 돌기부를 일체로 형성한 목공용 대패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시에로 도시한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 대패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대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수작업으로 사용되는 목공용 대패(1)에 있어서, 상기 대패(1)의 길이 방향 양측면에 더브테일 홈(1a)을 형성하되, 상기 더브테일 홈(1a) 소정위치에 복수개의 체결공(1b)을 형성하고, 상기 더브테일 홈(1a)에 안내 사입되는 소정길이의 더브테일(2a)이 일측에 형성되고 그 일단으로는 위치조절되어 체결부재(3)에 의해 고정되도록 장공(2c)이 형성되며 타측에는형상을 갖는 돌기부(2b)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는, 일측에 형성된 더브테일(2a)를 대패(1)의 더브테일 홈(1a)에 착.탈 가능하게 선택적을 삽입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패(1)의 양측면에 형성된 더브테일 홈(1a)에형상의 돌기부(2b)가 형성된 손잡이(2)를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2) 일측에 일체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좌. 우측의 더브테일(2a)을 상기 대패(1)의 더브테일 홈(1a)에 각각 삽입시켜 일차적으로 상기 대패(1)에 장착시킨 다음, 손잡이(2)의 더브테일(2a)의 일단부에 형성된 장공(2c)을 상기 더브테일 홈(1a)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1b)에 일치시킨 다음, 체결부재(3)로써 손잡이(2)를 견고히 체결 고정시켜 준다.
한편, 상기 더브테일 홈(1a)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1b)은 작업자의 우측손이 대패(1)로부터 손잡이(2)를 파지하기 편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패(1)를 오른손잡이의 작업자가 사용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왼손은 제3도에서와 같이, 가부분을 파지하게 되고, 오른손은 대패(1)에 설치된 손잡이(2)를 파지하여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대패(1)를 목재의 표면으로부터 가압함과 동시에 반복적을 끌어당겨 목재의 거치른 면을 고르게 깎아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는, 일측에 형성된 더브테일(2a)을 대패(1)의 더브테일 홈(1a)에 착. 탈가능하게 삽입시켜 선택적으로 손잡이(2)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수작업하여 목재의 거친면을 깎아내는 대패에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손잡이를 별도로 착. 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대패 작업을 하는 도중에 작업자의 우측손이 대패로부터 미끄러지는 방지하게 되고,대패를 일정한 힘으로 끌어당겨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목재를 고르게 깎아 다듬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목재의 거친 면을 깎아 고르게 다듬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대패(1)에 있어서, 상기 대패(1)의 양측면에 더브테일 홈(1a)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더브테일 홈(1a)에 대향되게 일측에 더브테일(2a)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를 착. 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2) 타측에형상을 갖는 돌기부(2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대패.
KR2019950011832U 1995-05-30 1995-05-30 목공용 대패 KR01206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832U KR0120693Y1 (ko) 1995-05-30 1995-05-30 목공용 대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832U KR0120693Y1 (ko) 1995-05-30 1995-05-30 목공용 대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561U KR960036561U (ko) 1996-12-16
KR0120693Y1 true KR0120693Y1 (ko) 1998-07-15

Family

ID=1941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832U KR0120693Y1 (ko) 1995-05-30 1995-05-30 목공용 대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6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561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7221A (en) Multipurpose survival tool
US4064588A (en) Tile grout-cleaning tool
US4109380A (en) Cutting tool and blade holder for replaceable blades
US1980087A (en) Detachable tool handle
US7565747B2 (en) Double-edged utility knife
US20090223064A1 (en) Tool with exchangeable piece
US20080235955A1 (en) Jab saw with accessible internal fastening location
US3166776A (en) Trowel with interchangeable blades
CA2562504A1 (en) Utility knife for glaziers
US5809657A (en) Power saw blade adaptor
US7040206B2 (en) Straddle safety pusher system
US4566190A (en) Reciprocating blade cutting device
EP0215564A1 (en) Improved squeegee
US3478427A (en) Handtool for cutting sheet material
US4821418A (en) Blade holder
US4637098A (en) Shim used for cable clamp
KR0120693Y1 (ko) 목공용 대패
US4156966A (en) Grout saw
US4235268A (en) Tool for forming door mortice
US5206999A (en) Saw guide and surface protector
KR200495797Y1 (ko) 교체형 가압구가 구비되는 다기능 커터
KR0120692Y1 (ko) 손잡이 착탈식 목공용 대패
GB2166681A (en) Drawing pin or tack remover
KR910003720Y1 (ko) 스크래퍼
US1527814A (en) Carpenter's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