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160Y1 - 레버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레버형 도어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160Y1
KR0120160Y1 KR2019950034069U KR19950034069U KR0120160Y1 KR 0120160 Y1 KR0120160 Y1 KR 0120160Y1 KR 2019950034069 U KR2019950034069 U KR 2019950034069U KR 19950034069 U KR19950034069 U KR 19950034069U KR 0120160 Y1 KR0120160 Y1 KR 0120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lock
slider
type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851U (ko
Inventor
박대기
Original Assignee
박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기 filed Critical 박대기
Priority to KR2019950034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160Y1/ko
Publication of KR970023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레버형 도어록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존 방향제한성을 가진 레버형 도어록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레버형 도어록을 제공코져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레버형 도어록(1)에 있어서, 레버(6)가 결합되는 결합공(7')을 가진 축봉(7)에는 양방으로 원동연접부(8a,8b)를 가지며 각운동가능한 프라이머리레버(8)와, 상기 프라이머리레버(8)의 원동연접부(8a,8b)와 선택적으로 연접작동하며 일방으로 각운동할 수 있는 피동연접부(9a,9b)를 양방으로 갖는 세컨드리레버(9)를 설치하고, 상기 세컨드리레버(9)와 연접하며 슬라이드 작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10), 상기 슬라이더(10)의 선단에 방향전환 가능한 랫치(5)를 구비하여 도어록(1)의 취부시 방향호환성을 갖도록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레버형 도어록

Description

레버형 도어록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a, b, 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버형도어록 2, 3 : 전후케이스
4 : 출몰공 5 : 랫치
6 : 레버 7 : 축봉
7' : 결합공 8 : 프라이머리레버
8a, 8b : 윈동연접부 9 : 세컨드리레버
9' : 축핀 9a, 9b : 피동연접부
10 : 슬라이더 11, 14 : 가이드부시
12, 13 : 가이드핀 15, 16 : 가이드공
17 : 볼트 18 : 암나사공
19 : 개구
본 고안은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레버형 도어록이 취부되는 도어의 개폐방향이나 도어록의 레버위치 등을 상하로 임의 조립토록하여 방향 호환성을 갖는 레버형 도어록을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통상 레버형 도어록은 취부하는 도어의 여닫이 방향에 따라서 전측으로 개폐되는 레버형 도어록과 후측으로 개폐되는 레버형 도어록 및 좌우로 방향성이 설정된 레버형 도어록을 별도 구비하여야 하며, 이는 구매시에 구매자가 레버형 도어록 설치방향과 구매코져 하는 대상 제품의 방향을 혼돈할 우려가 높아 구매상의 실수 등을 범할 우려가 높았으며, 수요자가 원하는 여닫이 방향에 맞는 레버형 도어록을 제조 및 공급처에서 수요 등을 감안하여 사전 제조 및 공급하기에도 난점이 있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할 우려 등이 높았다.
그리고 레버형 도어록에 취부되는 레버의 방향 역시 사용처에 따라서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택일하여 사용하게 되는바, 기존의 레버형 도어록은 역시 이러한 레버의 상하 설치방향에도 호환성을 구비하지 못하여 다수의 불편이 가중되어 왔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기존 레버형 도어록의 한정된 방향성이 갖는 구매상의 문제점과 수요, 공급상의 제반 문제점, 그리고 취부작업시의 혼란 등을 일소할 수 있는 방향호환성을 갖는 레버형 도어록을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레버형 도어록의 랫치를 도어으 개폐방향에 따라 간단히 전후로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레버 역시 작동방향이 상하방향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 회동시키더라도 랫치가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레버를 상부, 또는 하부에 임의로 조립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가 적용된 레버형 도어록(1)의 사시도이며, 제 2 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개략 직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후 케이스(2,3)일측으로는 출몰공(4)이 형성되어 슬라이드식으로 랫치(5)가 출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랫치(5)를 슬라이드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6)가 케이스(2,3)의 전후측 외면에서 끼움결합된다.
상기 랫치(5)는 레버(6)의 상하 회동에 따라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레버(6)가 결합되는 결합공(7')을 갖는 축봉(7)에는 개략 직삼각형 형태의 1차 프라이머리레버(8;primary lever)를 설치하고, 상기 프라이머리레버(8)의 일측으로는 이와 상호 좌우로 선택연접하면서 축핀(9')을 기점으로 일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2차 세컨드리레버(9;secondary lever)를 설치한다.
상기 프라이머리레버(8)와 세컨드리레버(9)에는 프라이머리레버(8)의 양측 원동연접부(8a,8b)와 상호 선택적으로 연접할 수 있는 피동연접부(9a,9b)가 각운동 범위내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원동연접부(8a,8b)와 피동연접부(9a,9b)의 형상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러한 기능수행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형상의 임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세컨드리레버(9)의 일단부는 랫치(5)가 선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더(10)의 후측에 결합된 가이드부시(11)에 연접할 수 있도록 하여, 세컨드리레버(9)의 일방향으로의 각 운동이 슬라이더(10)상의 랫치(5)를 출몰공(4)을 통하여 슬라이드 출몰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더(10)는 케이스(2,3)내부에서 전후 소정간격(t)을 갖고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후 가이드핀(12,13)을 사용하여 간격설정 기능을 갖는 가이드부시(11,14)를 조립토록 하며, 상기 가이드핀(12,13)은 케이스(2,3)상의 가이드공(15,16)에 가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더(10)의 전측에는 랫치(5)가 선택적으로 볼트(1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공(18)을 형성한다.
랫치(5)는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제 3 도와 같이 전후로 임의 조립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17)에 의해 슬라이더(10)에 전후로 조립될 수 있는 요입형의 개구(19)가 형성된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20)은 케이스(2)상에 형성되는 볼트조립공
(21)은 도어
(22)는 슬라이더(10) 복원 스프링
(23)은 키어셈블리결합부
(24)는 록커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종의 여닫이용 도어(21)에 취부되어 도어(21)의 록킹/언록킹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레버형 도어록(1)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레버형 도어록(1)은 도어(21)의 여닫이 방향(즉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개폐, 또는 좌측 또는 우측을 기점으로 하여 개폐)에 구애받지 않고 선택적으로 조립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레버(6)의 위치를 케이스(2,3)상하에 임의로 방향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구체적인 조립방법과 그로 인한 작용 및 효과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어(21)은 여닫이 방향에 따라 랫치(5)의 방향을 결정하고, 레버(6)를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시킬 것인지에 결정한 후 도어(21)에 도어록(1)을 조립토록 한다.
만약 랫치(5)가 조립코져 하는 도어(21)의 여닫이 방향에 부합하지 않을 시는 랫치(5)의 방향을 전측 또는 후측으로 반대조립하면 되는데, 이때는 랫치(5)를 슬라이더(10)와 연결하고 있는 볼트(17)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나사분리하면 슬라이더(10)에서 랫치(5)는 출몰공(4)을 통하여 간단히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랫치(5)가 슬라이더(10)에서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더(10)가 케이스(2,3)내부에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더(10)상에는 전후 케이스(2,3)상간에서 슬라이더(10)가 슬라이드운동시 가이딩하는 가이드핀(12,13)상에 가이드부시(11,14)가 전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랫치(5)가 슬라이더(10)로 부터 분리되었을 시에도 가이드부시(11,14)가 전후 간격(t) 유지기능을 수행함으로서 가능한 것이며, 랫치(5)를 방향전환하여 랫치(5)의 개구(19)가 슬라이더(10)의 선측에 끼움되도록 조립한 후 볼트(17)를 사용하여 랫치(5)와 슬라이더(10)를 재차 암나사공(18)을 이용하여 나사체결하면 양자는 도어(21)의 여닫이 방향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간단히 변경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6)의 상하 위치는 케이스(2,3)를 조립시 상하로 위치조절만 해 주면 된다. 왜냐하면 본 고안의 레버형 도어록(1)에 있어서 레버(6)는 상방은 물론 하방으로 각운동시에도 슬라이더(10)를 슬라이드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레버(6)가 결합되는 결합공(7')을 가진 축봉(7)에는 프라이머리레버(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라이머리레버(8)는 좌우로 세컨드리레버(9)의 피동연접부(9a,9b)가 접할 수 있는 원동연접부(8a,8b)가 형성되어 있어 프라이머리레버(8)가 A방향으로 각운동할 시는 일측 원동연접부(8a)가 세컨드리레버(9)의 피동연접부(9a)에 연접하면서 C방향으로 각 운동하여 슬라이더(10)의 후측 가이드부시(11)를 밀어서 슬라이더(10)를 D방향으로 후진작동시키게 되어 이와 연결된 랫치(5)가 출몰공(4)에서 후퇴하게 되는 것이며, 프라이머리레버(8)가 B방향으로 각운동할 시는 타측 원동연접부(8b)가 세컨드리레버(9)의 피동연접부(9b)에 연접하면서 C방향으로 각운동하여 슬라이더(10)의 가이드부시(11)를 밀어서 슬라이더(10)를 D방향으로 후진작동시키게 되어 이와 연결된 랫치(5)가 출몰공(4)에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랫치(5)를 출몰공(4)에서 전진시키고져 할 시는 잡고 있는 레버(6)를 놓게 되면 슬라이더(10)의 후측에 탄력설치된 복원 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하여 슬라이더(10)가 출몰공(4)으로 전진하여 랫치(5)가 동시에 전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레버형 도어록(1)은 레버(6)를 랫치(5)와 연결된 슬라이더(10)와 연결하는 중간매체인 프라이머리레버(8)오 세컨드리레버(9)를 양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더(10) 선측의 랫치(5)는 케이스(2,3)의 분해없이 단순히 볼트(17)의 나사분리, 결합과 랫치(5)의 방향전환으로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도어록(1)이 취부되는 도어(21)의 여닫이 방향에 전혀 제한을 받지 않고 도어록(1)을 취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레버(6)의 위치를 상하로도 임의로 선택조립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이 개시될 것이지만, 일부 구성부재를 등가물로 치환하거나, 형상 등을 변경하는 등 당해업계에 숙달된 자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유사한 실시예일지라도 기본적인 문제해결수단을 같이하는한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레버형 도어록(1)에 있어서; 레버(6)가 결합되는 결합공(7')을 가진 축봉(7)에는 양방으로 원동연접부(8a,8b)를 가지며 각운동가능한 프라이머리레버(8)와, 상기 프라이머리레버(8)의 원동연접부(8a,8b)와 선택적으로 연접작동하며 일방으로 각운동할 수 있는 피동연접부(9a,9b)를 양방으로 갖는 세컨드리레버(9)를 설치하고, 상기 세컨드리레버(9)와 연접하며 슬라이드 작동을 할 수 있는 슬라이더(10), 상기 슬라이더(10)의 선단에 방향전환 가능한 랫치(5)를 구비하여 도어록(1)의 취부시 방향호환성을 갖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0)에는 전후 케이스(2,3)상의 가이드공(15,16)에 안내되는 가이드핀(12,13)를 간격설정 기능을 갖는 가이드부시(11,14)와 함께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0)의 선측에는 암나사공(18)을 형성하여 개구(19)를 가진 랫치(5)와 볼트(17)로서 상호 방향전환되며 조립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시(11,14)중 전후 하나의 가이드부시(11,14)는 가이드핀(12,13)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KR2019950034069U 1995-11-14 1995-11-14 레버형 도어록 KR0120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069U KR0120160Y1 (ko) 1995-11-14 1995-11-14 레버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069U KR0120160Y1 (ko) 1995-11-14 1995-11-14 레버형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851U KR970023851U (ko) 1997-06-20
KR0120160Y1 true KR0120160Y1 (ko) 1998-08-01

Family

ID=1942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069U KR0120160Y1 (ko) 1995-11-14 1995-11-14 레버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1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10B1 (ko) * 2001-04-14 2003-09-19 박경숙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851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246B1 (en) Handle and housing assembly
US6174005B1 (en) Bi-directional handle and latch assembly
US7553279B1 (en) Slide and snap clamp
US7758502B2 (en) Slide and snap clamp
KR0120160Y1 (ko) 레버형 도어록
US6007114A (en) Latch-operable multibolt lock
US4343165A (en) Combination locks
KR200386657Y1 (ko) 컵핸들용 출입문 개폐장치
KR101890553B1 (ko) 도어 레버록용 무볼팅 래치어셈블리
KR101789685B1 (ko) 래치볼트 분리형 도어락 모티스
JP2803804B2 (ja) ボタン錠
KR100888167B1 (ko) 도어 개폐유닛
CN211058468U (zh) 一种闭锁机构
GB2030502A (en) Hand tools
CN215255332U (zh) 可左右换向的锁体
CN214247880U (zh) 一种带锁芯滑动搭扣
KR100395360B1 (ko) 단일조작 로크장치
CN212867169U (zh) 一种弹开式锁芯结构及门锁
CN210370253U (zh) 推拉门锁换向机构以及推拉门锁
CN103000408B (zh) 开关装置的锁定组件及其开关装置
CN218206227U (zh) 一种自动转向推拉箱柜微型锁
CN217480987U (zh) 一种把手锁结构
GB2272252A (en) A door latch and handle assembly
US20060021401A1 (en) Tubular lock having two-stage operable latch bolt mechanism
CN209908120U (zh) 锁具前离合器及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