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648Y1 -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 Google Patents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648Y1
KR0119648Y1 KR2019940032483U KR19940032483U KR0119648Y1 KR 0119648 Y1 KR0119648 Y1 KR 0119648Y1 KR 2019940032483 U KR2019940032483 U KR 2019940032483U KR 19940032483 U KR19940032483 U KR 19940032483U KR 0119648 Y1 KR0119648 Y1 KR 0119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dominant
center
panel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971U (ko
Inventor
윤기정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40032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648Y1/ko
Publication of KR960018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94Geometrical arrangements, e.g. curvatur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시간 사용후 열팽창에 의해 도밍 변형이 생기는 것을 보상할 수 있는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를 개시한다.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의 중앙부 및 주변부는 판넬 전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 형성되며, 주변부 모서리와 상기 중앙부 사이의 중간영역은 판넬의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밍 변형시 전자총으로부터 해당 형광체로 방출되는 전자빔의 입사각 변화에 의해 전자빔의 미스랜딩이 생기는 중앙부와 주변부 모서리 사이의 중간영역의 도밍 변형이 보상되어 브라운관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새도우마스크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실선은 열변형 이전의 새도우마스크를, 이점쇄선은 장시간 사용후 열팽창에 의해 도밍 변형된 새도우마스크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따른 새도우마스크의 제1도와 유사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새도우마스크(열변형 이전)
1',11':새도우마스크(열변형 이후)
2:프레임3:홀더(바이메탈, 트리메탈)
4:전자쉴드5:인너쉴드
6:인너쉴드 클립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사용후 열팽창에 의해 도밍 변형이 생기는 것을 보상할 수 있는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는 제조과정중 프레스성형 공정에 의해 판넬 전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지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R)을 가지도록 성형된 종래의 새도우마스크(1)는 프레임(2)에 지지되어 고정되며, (1)를 고정하는 프레임(2)은 다시 프레임(2)을 판넬(도시생략)에 고정시켜주는 홀더(3)에 의해 판넬과 일정한 간격(q치)을 유지하여 조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프레임(2)과 홀더(3) 사이에는 열팽창계수가 다른 바이메탈 소재의 클립이 용접되어 음극선관내에서 전자빔의 가열에 기인한 열팽창에 의해 도밍 변형된 새도우마스크(1')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대형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새도우마스크(1)의 내면에 산화납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리트 그라스(Frit Glass)를 분사도포하여 열전도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새도우마스크의 도밍 변형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메탈 소재의 클립을 사용하여 도밍 변형된 새도우마스크(1)를 복귀시키는 것은 장시간의 TV 시청후에는 도밍 변형된 정도가 심하게 되어 원하는 보정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프리트 그라스를 분사도포하여 도밍 변형을 억제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소형 브라운관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같이 도밍 변형이 생기게 되면, 전자총으로부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형광체로 방출되는 전자빔의 입사각이 변하게 되어 전자빔이 소정의 형광체에 정확히 도달하지 모사는 미스랜딩(mislanding)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브라운관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열팽창에 의한 도밍 변형을 보상하여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는 중앙부 및 주변부가 판넬 전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주변부 모서리와 상기 중앙부 사이의 중간 영역은 판넬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제2도에서 제1도의 부품과 동일한 부품은 제1도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가 도면부호(11 및 11')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면부호(11)로 도시된 실선은 열변형 이전의 새도우마스크를 나타내며, 도면부호(11')로 도시된 이점쇄선은 열변형 이후의 새도우마스크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새도우마스크(11 또는 11')는 새도우마스크가 프레임(2)에 고정되게 조립되고, 그 새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의 조립체가 홀더(3)에 의해 일정한 간격(q치)를 두고 판넬에 조립되며, 전술한 바이메탈 소재의 클립이 프레임(2)와 홀더(3)사이에 용접되어 q치를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종래의 새도우마스크(1 또는 1')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새도우마스크(11)는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부가 판넬의 곡률(R)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지는 반면에, 중앙부와 주변부 모서리 사이의 중앙영역이 판넬과 대면하는 새도우마스크 측면과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굴곡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새도우마스크(1)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패널의 반대쪽으로 굴곡되는 양은 중앙부와 주변부 모서리의 중앙에서 최대 0.1 내지 0.5mm, 적합하게는 0.3 내지 0.4mm의 간격(D)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새도우마스크(1)는 장시간 사용후 열팽창에 의해 변형이 생기게 될 때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형상(11')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새도우마스크(1')에 있어서, 변형된 양은 중앙부의 영역에서 최대가 되지만 이 영역으로 방출되는 전자빔의 입시각의 직각이기 때문에 전자빔의 도달(landing)은 도밍 변형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중앙부와 주변부 모서리 사이의 중간영역은 방출 전자빔의 입사각이 직각이 아니기 때문에 이 중간영역의 도밍 변형의 양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도밍 변형에 의해 전자빔의 입사각이 변하게 되어 전자빔의 미스랜딩 현상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새도우마스크에서는 중앙부가 판넬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져서 열변형시 국부적인 도밍 변형이 일어나게 되지만 전술한 이유로 전자빔의 랜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며, 중앙부와 주변부 모서리 사이의 중간영역이 판넬의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열변형시 종래의 새도우마스크에서 최대의 미스랜딩 현상이 발생하는 지점, 즉 중앙부와 주변부 모서리 사이의 중앙이 도밍 변형을 보상하게 되어 입사각의 어긋남에 의한 미스랜딩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운관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중앙부 및 주변부는 판넬 전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주변부 모서리와 상기 중앙부 사이의 중간 영역은 판넬의 반대쪽으로 볼록하게 굴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반대쪽으로 굴곡되는 양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주변모서리의 중앙에서 최대 0.1 내지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굴곡량은 0.3 내지 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2019940032483U 1994-11-30 1994-11-30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0119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83U KR0119648Y1 (ko) 1994-11-30 1994-11-30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83U KR0119648Y1 (ko) 1994-11-30 1994-11-30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971U KR960018971U (ko) 1996-06-19
KR0119648Y1 true KR0119648Y1 (ko) 1998-07-01

Family

ID=1940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483U KR0119648Y1 (ko) 1994-11-30 1994-11-30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6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971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7282A (en) Color cathode-ray tube
US4056755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mask-frame assembly with reduced thickness
JPH0463501B2 (ko)
KR0119648Y1 (ko) 도밍보상용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970007527B1 (ko) 칼라수상관
US3404303A (en) Color tube with mask interior peripheral shield of treated steel foil for improved heat radiation
KR100319085B1 (ko) 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의훅스프링및이를이용한칼라음극선관
US5252889A (en) Color CRT with means for correcting mislanding of electron beams
US5216513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shrinkfit implosion protection band with faceplate panel compensating means
US4472657A (en) Support frame for color cathode-ray tube
KR100206268B1 (ko) 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의 열변형보상방법 및 이에 따른 새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KR950003514B1 (ko) 칼라 음극선관
GB1250408A (ko)
KR94000654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19084B1 (ko) 칼라음극선관
KR200347794Y1 (ko)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
KR950003537Y1 (ko) 전자총의 히터 스트랩구조
KR100187005B1 (ko) 이중 코팅된 섀도우 마스크
US20030001483A1 (en) Mask-frame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KR100493513B1 (ko) 평면 음극선관
KR200200882Y1 (ko) 도우밍현상에대응하는음극선관의패널구조
KR930006845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21377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148989Y1 (ko) 음극선관의 인바새도우마스크-프레임 조립체
KR200193432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