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545Y1 - 배수전 - Google Patents

배수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545Y1
KR0119545Y1 KR2019950001022U KR19950001022U KR0119545Y1 KR 0119545 Y1 KR0119545 Y1 KR 0119545Y1 KR 2019950001022 U KR2019950001022 U KR 2019950001022U KR 19950001022 U KR19950001022 U KR 19950001022U KR 0119545 Y1 KR0119545 Y1 KR 0119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rainage
inner cylinder
container
in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411U (ko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서인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표 filed Critical 서인표
Priority to KR2019950001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545Y1/ko
Publication of KR960026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생활오수와 세탁수를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통체(1)내에, 생활오수 및 세탁오수가 유입. 배수될 수 있는 내통(2)을 가지는 물받이통(3)이 구비된 공지의 배수전에 있어서, 상기, 내통(2)에 세탁수 유입로(21)와 생활오수 유입로(24)를 별도 구성하되 물받이통(3)과의 사이를 격벽화로 이원화되게 구성하여 생활오수 및 세탁오수를 각각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전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결합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 구성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구성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상세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외통체2: 내통
3: 물받이통5: 덮개
21: 세탁수 유입로22: 로커(locker)
23: 돌출격판23': 하측돌출격판
24: 생활오수 유입로25: 관통부
32: 가이더(guider)53: 로킹(locking)공
320: 삽입홈부
본 고안은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활오수와 세탁수를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배수전은 각종 생활오수 및 세탁수가 배출 안내되는 내통이 물받이통내에 안착 삽입된 단순 배수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물받이통에 안내 유입된 유수는 생활오수와 세탁수가 혼합된 상태를 취하게 되는바, 세탁수에 함유된 세제거품이 물받이통 상부는 물론이거니와 배수전 상면부에까지 넘쳐 오르게 됨으로써 배수전 주변이 청결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세탁수와 생활오수가 내통에 하향 유입됨에 있어서는 비록, 각각 분리 유입될 수는 있으나, 내통을 통과한 후 물받이통에 유입되는 순간부터는 혼합이 이루어짐으로 말미암아 이 혼합과정에서의 급속한 유속 및 유수끼리의 충돌에 의하여 거품이 생성되기 때문인 것이다.
즉, 배출수가 내통의 외측 하부로부터 물받이통 상부를 향해 상향 이동되게 되며, 이때의 혼합수의 대부분은 물받이통 외부로 넘쳐 흐르게 되나, 세제거품은 물받이통 상부에 잔존케되고, 그 양이 계속해서 증가됨에 따라 결국 배수전 상면부에까지 넘쳐 주변을오염시키게 되는 구조적 결함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배수전에 있어서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출수가 물받이통을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인 배수를 기할 수 있는 배수전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요소로서는, 내통과 물받이통을 상호 결합구성 함에 있어 상기 내통에 세탁수 유입로와 생활오수 유입로를 각각 분리 구성하되, 이들 유입로가 물받이통을 완전히 벗어나는 지점까지 계속적인 분리구조를 취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및 동 결합 종단면도 이고, 제 3 도는 본 고안의 내통과 물받이통의 분리 유입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단면 구성도이다.
도시예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전을 구성함에 있어서 외통체(1)내에, 생활오수 및 세탁수가 배수유입될 수 있는 내통(2)을 가지는 물받이통(3)이 잠금틀(4)과 덮개(5)에 의해 조립 구성되되 상기 내통(2)과 물받이통(3) 상호간에 격벽화로 구성되어 세탁수와 생활오수가 각기 분리 유입 배수될 수 있는 기본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의 배수전이 결합 구성됨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매설 배수관에 연결되는 외통체(1)의 개구부 상측에 잠금틀(4)이 안착 구성되고 이에 덮개(5)가 나사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 구성된 기본조립구성체에 상부로부터, 하부가 복개되고 상부가 개구된 통상구조를 갖는 물받이통(3) 및 내통(2)이 삽탈 가능토록 조립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2)은 상부로부터 세탁수 유입관(6)이 관삽되는 관상의 세탁수 유입로(21)가 내측중앙에 일체화로 수직 구성되어 있으며, 상측 외주면 양측에는 로커(locker)(22)가 돌설되어 상기 덮개(5)의 대응부에 형성된 로킹(locking)공(53)에 삽입 로킹(locking) 시킬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첨부도면 제 3 도 및 제 5 도는 본 고안의 내통(2)과 물받이통(3)간의 상호 결합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및 동 측단면도로써, 물받이통(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통(2)간의 공간부를 다등분(4등분)되게 분할 구획하되 내통(2) 외경부에 일체화되게 수직형성된 돌출격판(23)에 의해 이원화로 분할 구획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내통(2)의 저면 외측에는 또 다른 형태(수직형태)의 하측 돌출격판(23')이 일체화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의 돌출격판(23)과 같이 세탁수 유입로(21)와 생활오수 유입로(24)를 각각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상기 돌출격판(23)과 일체화로 연결된 구조이며, 생활오수 및 세탁수가 물받이통(3)을 벗어나는 순간까지 분리 유도될 수 있도록 그 타단부가 물받이통(3)의 내면에 밀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한편, 상기 내통(2)의 복개 저면수는 세탁수 유입로(21)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호 반대편에 소정크기의 관통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관통부(2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도면상) 만곡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사각상이든, 삼각상이든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며 다만, 이 관통부(25)를 통해 배수되는 생활오수가 돌출격판(23) 및 하측 돌출격판(23')에 의하여 구획형성된 생활오수 유로(33-2)로만 유도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물론, 상기 세탁수 유입로(21)는 세탁수 유로(33-1)와 연통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바, 하측 돌출격판(23')에 의해 상기 생활오수 유로(33-2)와는 확연히 분리 구획되게 구성되어 있다.
첨부도면 제 4 도는 본 고안의 내통(2)과 물받이통(3)간의 유동(무단회동) 방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써, 물받이통(3) 내벽에 내통(2)의 돌출격판(23)과 대응되는 가이더(guider)(32)를 형성하여 이의 삽입홈부(320)에 상기 돌출격판(2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도면상) 물받이통(3) 내벽체에 삽입홈부(320)를 갖는 가이더(guider)(32)를 설치 구성하였으나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받이통(3) 내벽의 소정위치 즉, 상기 돌출격판(23)의 설치간격 위치와 상응되는 지점에 무단유동(회동) 방지용 돌기를 상기 돌출격판(23)의 내.외측 또는 일측의 것은 내면과 접하고 타측의 것은 외면에 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첨부도면 제 6 도는 본 고안의 덮개(5)와 내통(2)간의 결합구조를 보인 발췌구성도로써, 내통(2)의 상측 저면부가 덮개(5)의 내연 안치턱(52)에 안치되게 결합 구성하되 내통(2)의 상부 외주연 양측 소정위치에 로커(locker)(22)를 돌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덮개(5)에는 로킹(locking)공(53)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내통(2)을 정. 역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 및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외통체(1)측 삽입부, 31은 배수안내구, 33은 유로 41은 잠금틀(4) 측 삽입부, 51은 덮개(5)측 삽입부, 54는 패킹(packing)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세탁기로 부터의 세탁수 및 생활오수가 내통(2)에 유입되는 순간부터 물받이통(3)을 통과하는 구간까지에 걸쳐 각기 분리된 상태로 별도 유입. 배수되게 된다.
즉, 세탁기에서 흘러나오는 세탁오수는 세탁수 유입관(6)을 통해 내통(2)의 세탁수 유입로(21)에 유입. 배수되게 되며, 각종 생활오수는 덮개(5)의 상측 개수부를 거쳐 내통(2)내에 유입. 배수되게 되는 바, 상기 세탁오수는 세탁수 유입로(21)를 따라 물받이통(3)의 유로(33)를 향하고 상기 생활오수는 세탁수 유입로(21)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 예컨대, 생활오수 유입로(24)를 따라 물받이통(3)의 유로(33)에 도달되게 된다.
이후, 물받이통(3)상측 외주면에 천공형성된 배수안내구(31)를 통과하기 전까지 분리. 유입되던 상기의 생활오수 및 세탁오수는 배수안내구(31)를 통과하는 순간부터 혼합된 상태를 유지한채 외통체(1)내에 유입. 배수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세탁오수와 생활오수가 각기 분리 배출됨에 있어서는, 내통(2) 저면부에 소정크기로 관통된 관통부(25)가 상호 반대쪽(대향위치)에 형성되되 그 단부저부에 일정높이의 하측 돌출격판(23')이 내통(2) 외주연측에 동형 돌출격판(23)과 일체화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그 분리 구획구조에 의해 세탁오수는 세탁수 유로(33-1)로만 흐르게 되는 한편, 생활오수는 반대측의 생활오수 유로(33-2)로만 유입. 배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곧, 세탁오수와 생활오수가 외통체(1)에 유입되는 최종 순간까지 각기 분리-배수됨에 따라 세탁오수의 세제거품이 배수전 상부에 넘치지 않고 원활히 배출될 수 있음을 뜻하며, 내통(2)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격판(23)이 물받이통(3)의 대응부에 형성된 가이더(guider)(32)에 의해 지지되어 내통(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유입수(세탁오수 및 생활오수)의 유속 및 유입량등에 의한 내통(2)의 무단회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음을 뜻한다.
더욱 상세히는, 종래 내통을 빠져나가는 순간부터 세탁수와 생활오수가 혼류되어 물받이통(3)내에서 혼합됨에 따른 증가유량 및 급속한 유속에 의해 세탁오수중의 세제성분이 교반되고 결국은 다량의 거품을 생성시켜 물받이통(3) 상측에 잔존하게 되며 급기야는 넘쳐 흘러 배수전 주변을 오염시키던 문제점이,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요소인 분리. 구획구조에 의해 말끔히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야기될 수도 있는 배출수(세탁오수 및 생활오수)의 와류현상에 의한 내통(2)의 유동(회동)이 가이더(guider)(32)를 포함하는 지지구조에 의해 미연에 방지되게 됨으로써 배출수내의 세제거품 발생요인은 확실히 예방되어 원활한 배수가 달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전에 의하면, 생활오수와 세탁오수를 각각 분리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세제거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나아가서는 배수전 주변을 항상 청결케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특장점이 있다.

Claims (5)

  1. 외통체(1)내에, 생활오수 및 세탁오수가 유입. 배수될 수 있는 내통(2)을 가지는 물받이통(3)이 구비된 공지의 배수전에 있어서, 상기, 내통(2)에 세탁수 유입로(21)와 생활오수 유입로(24)를 별도 구성하되 물받이통(3)과의 사이를 격벽화로 이원화되게 구성하여 생활오수 및 세탁오수를 각각 분리. 배출 시킬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의 외주면 및 저면부에 소정의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돌출격판(23) 및 하측 돌출격판(23')을 물받이통(3) 내면에 밀착되게 일체화로 설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돌출격판(23')은, 내통(2)의 세탁수 유입로(21)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부에 형성한 관통부(25)의 내측단부 직하부와 일체화로 돌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3)의 내주벽에 삽입홈부(320)를 갖는 가이더(guider)(32)를 설치하여 상기 내통(2)의 돌출격판(23)이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의 상부 외주면 양측에 로커(locker)(22)를 돌출 형성하는 한편, 덮개(5)의 대응부에는 로킹(locking)공(53)을 형성하여 상호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KR2019950001022U 1995-01-24 1995-01-24 배수전 KR0119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022U KR0119545Y1 (ko) 1995-01-24 1995-01-24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022U KR0119545Y1 (ko) 1995-01-24 1995-01-24 배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411U KR960026411U (ko) 1996-08-17
KR0119545Y1 true KR0119545Y1 (ko) 1998-07-15

Family

ID=1940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022U KR0119545Y1 (ko) 1995-01-24 1995-01-24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5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411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5179B1 (en) Filter installed in a water-flowing path of a washing machine
JP6723363B2 (ja) 洗濯機の内槽
US4125003A (en) Sump strainer for tumbler washing machine
GB2165267A (en)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KR0119545Y1 (ko) 배수전
US4806241A (en) Overflow lint strainer
KR200153759Y1 (ko) 배수구
JPS6014865Y2 (ja) 集合排水トラップ
EP1731683B1 (en) Separating device
KR20020063077A (ko) 세척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절수용 씽크대
KR10148211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S6227572Y2 (ko)
JP2002070108A (ja) ヌメリ取り器
KR200371721Y1 (ko) 씽크대용 배수장치
KR200196939Y1 (ko) 식기세척기
JPH03111097A (ja) 脱水兼用洗濯機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200311287Y1 (ko) 절수구조를 가진 싱크
KR100356544B1 (ko) 배수트랩
KR20070103170A (ko) 배수통 세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200141737Y1 (ko) 세척대가 부설된 입식세탁조
KR20210002625U (ko) 청수통과 오수통이 구비된 캠핑용 간이 샤워텐트
JP5598070B2 (ja) 排水トラップ
KR100263448B1 (ko) 세탁기
KR200232625Y1 (ko) 급수대에 부설되는 간이세탁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