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301Y1 -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301Y1
KR0119301Y1 KR2019950023613U KR19950023613U KR0119301Y1 KR 0119301 Y1 KR0119301 Y1 KR 0119301Y1 KR 2019950023613 U KR2019950023613 U KR 2019950023613U KR 19950023613 U KR19950023613 U KR 19950023613U KR 0119301 Y1 KR0119301 Y1 KR 0119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boiler
inlet
pipe
water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503U (ko
Inventor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최낙관
주식회사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관, 주식회사제일 filed Critical 최낙관
Priority to KR2019950023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301Y1/ko
Publication of KR970010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24D3/1075Built up from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하나의 관로를 형성하는 부분난방과 여러방향의 관로를 형성하는 난방에 따라 보일러가 각각 제작 및 판매됨에 따른 시공 및 설치의 불편성 및 구매비용의 증가, 그리고 제작시 발생되는 조립작업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외체부(1) 내부의 공급관(2)과 연결된 유입구A(71)와 연이어 통하게 외측에 여러개의 배출구A(731)를 형성한 분배부(73)와, 상기 분배부(73)에 의해서 공급되어 실내바닥면의 난방관(2)을 순환한 여러방향의 저온수가 유입되도록 외측에 여러개의 유입구B(74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B(741)와 연이어 통하게 환수관(4)과 연결된 배출구B(72)를 형성한 환수부(74)가 구비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 있어서,장방형의 판체로 형성되어 외체부(1)의 통공(10) 외곽 내측벽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면은 외체부(1) 내부의 공급관(2) 및 환수관(4)과 연결되도록 소정길이 돌출되고 타측의 내주연부는 나선부(611)(621)가 형성된 중공의 연결구A,B(61)(62) 및 이의 상부 일측에 직각방향의 관이음구(63)가 구비된 연결부재(6)와, 상기 연결부재(6)의 연결구A,B(61)(62)에 온수분배기(7)의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가 억지끼움식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의 선단부측을 소정길이 연장하고 이의 외측에 끼움홈(711)(712)을 형성하여 밀폐용 오링(R)을 끼움결합시킨 착탈부(7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난방범위에 따른 보일러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데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제 1 도는 일반적인 가정용 보일러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 2 도는 종래의 온수공급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분배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 5 도는 제4도의 내부구조를 보인 일부절개 측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보일러의 평면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연결부재 7:온수분배기
7A:착탈부 61,62:연결구A,B
63:관이음구 71:유입구A
72:배출구B 73:분배부
74:환수부 611,621:나선부
711,721:끼움홈 R:오링
731:배출구A 741:유입구B
본 고안은 천연가스 또는 석유 등의 연료를 이용하여 난방 또는 온수를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보일러 내부에서 버너로 가열되어 나오는 온수를 여러 방향으로 분배시켜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 온수분배기를 보일러의 외체에 착탈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보일러는 밀폐한 강판제(鋼板製)의 용기안에 담겨진 물을 천연가스 또는 석유 등의 연료를 이용하여 가열시키고, 이렇게 가열된 물을 순환펌프에 의한 강제순환방식으로 실내바닥면의 배관을 순환하면서 실내를 난방하거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상의 외체부(1)와, 상기 외체부(1) 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료의 강제분사에 의한 화염을 발생하는 발열부(11)와, 상기 발열부(11)의 화염이 연소되도록 발열부(11)의 일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 연이어 통하게 설치된 연소로(12) 및 이의 상부측에 구비된 연관(14)의 외곽에 수조(13)를 형성하여 화염에 의한 수조(13)의 가열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열교환부(H)와, 상기 열교환부(H)의 연관(14) 상부측에 설치되어 수조(13)내의 물과 열교환을 이룬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출부(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체부(1) 내부에는 발열부(11)의 화염에 의해서 가열된 수조(13)내의 온수가 실내바닥면에 배관된 난방관(2)을 통해 강제순환되도록 순환펌프(P)가 설치되고, 이 순환펌프(P)에 의한 온수의 공급 및 환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순환펌프(P)에는 공급관(2)이, 그리고 수조(13)에는 환수관(4)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조(13)와 펌프(P) 사이에는 수조(13)내의 온수가 순환펌프(P)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수관(5)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순환펌프(P) 및 수조(13)에 각각 연결된 공급관(2) 및 환수관(4)은 외체부(1)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을 통해 실내바닥면에 배관되는 난방관(2)과 상호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의 연결은 상기 공급관(2) 및 환수관(4), 그리고 난방관(2)에 각각 나사탭을 형성하여 나선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일러는 실내바닥면의 난방관(2)과 상호 연결되는 공급관(2) 및 환수관(4)이 외체부(1)에 하나의 연결관로를 형성하도록 한 구조로 제품이 출하되고 있어, 여러방향의 관로를 형성하는 난방시에는 보일러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해야만 되므로 설치 및 시공에 따른 비용부담과 함께 장소를 많이 점유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나의 관을 통해 공급된 온수가 여러방향의 관으로 분배 및 순환된 후 다시 하나의 관을 통해 환수될 수 있도록 한 온수분배기가 제안 및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 한 개의 유입구A(71)와 연이어 통하게 외측에 여러개의 배출구A(731)가 형성된 분배부(73)와, 상기 분배부(73)에 의해서 공급되어 실내바닥면의 난방관(2)을 순환한 여러방향의 저온수가 유입되도록 외측에 여러개의 유입구B(74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B(741)와 연이어 통하는 한 개의 배출구B(72)가 형성된 환수부(74)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는 각각 보일러의 외체부(1)내의 공급관(2) 및 환수관(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분배기(7)는 보일러의 외체부(1)에 조립된 상태로 제품이 출하된다.
그러나 온수분배기가 조립된 보일러는 온수분배기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의 증가로 작업성 및 생산성 저하를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관로를 형성하는 부분 난방에는 적합하지 않아 불필요한 연료소모와 함께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보일러는 난방범위에 따라 온수분배기가 장착된 것과, 하나의 관로를 형성하도록 온수분배기가 장착되지 않은 보일러로 대분되어 있어 온수분배기가 장착되지 않은 보일러에서 온수분배기가 장착된 보일러 또는 온수분배기가 장착된 보일러에서 온수분배기 장착되지 않은 보일러로 상호 교체 및 시공시, 상호 호환성을 갖지 못해 구매자의 비용부담이 클뿐만 아니라 시공 및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온수분배기의 장착 유·무로 대분된 보일러의 제작 및 생산과정에서도 온수분배기의 장착에 따른 별도의 작업공정을 추가하여 이원화된 작업을 수행해야만 되므로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할뿐만 아니라 이로인한 작업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저하를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보일러로 온수분배기능과 한 관로에 의한 온수공급기능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는 일측이 공급관 및 환수관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보일러의 외체 내측벽면에 고정시키고 이 연결부재에 온수분배기를 공급관 및 환수관과 연이어 통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온수분배기의 구조를 보인 것이며, 제6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보일러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이 보일러용 온수분배기는 통상에서와 같이 내측 한 개의 유입구A(71)와 연이어 통하게 외측에 여러개의 배출구A(731)가 형성된 분배부(73)와, 상기 분배부(73)에 의해서 공급되어 실내바닥면의 난방관(2)을 순환한 여러방향의 저온수가 유입되도록 외측에 여러개의 유입구B(74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B(741)와 연이어 통하는 한 개의 배출구B(72)가 형성된 환수부(74)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는 외체부(1) 내부의 공급관(2) 및 환수관(4)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 있어, 본 고안은 장방형의 판체로 형성되어 외체부(1)의 통공(10) 외곽 내측벽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면은 외체부(1) 내부의 공급관(2) 및 환수관(4)과 연결되도록 소정길이 돌출되고 타측의 내주연부는 나선부(611)(621)가 형성된 중공의 연결구A,B(61)(62) 및 이의 상부 일측에 직각방향의 관이음구(63)가 구비된 연결부재(6)와, 상기 연결부재(6)의 연결구A,B(61)(62)에 온수분배기(7)의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가 억지끼움식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의 선단부측을 소정길이 연장하고 이의 외측에 끼움홈(711)(712)을 형성하여 밀폐용 오링(R)을 끼움결합시킨 착탈부(7A)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6,17은 나사공이고, 64,75는 체결공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외체부(1)의 내측벽면에 연결부재(6)를 고정시킨 상태로 조립이 완료되고, 온수분배기(7)가 함께 포장되어 제품이 출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6)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체부(1)의 통공(10) 외곽에 형성된 나사공(16)에 연결부재(6)의 체결공(64)을 일치시켜 스크류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연결부재(6)의 연결구A,B(61)(62)에 각각 공급관(2) 및 환수관(4)을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A,B(61)(6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관이음구(63)의 나선(631)에 관을 나선 결합시켜 수직방향의 배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연결부재(6)가 조립되고 온수분배기(7)와 함께 출하된 보일러는 난방범위에 따라 호환성 있게 사용가능한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하나의 관로를 형성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부분난방시에는 실내바닥면의 난방관(2) 양단을 탭(TAP) 가공하여 연결부재(6)의 연결구A,B(61)(62) 내주연부에 형성된 나선부(611)(621)에 나선결합시켜 설치하게 되고, 여러방향의 관로를 형성하는 난방시에는 제3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분배기(7)에 형성된 착탈부(7A)에 의해서 상기 온수분배기(7)를 연결부재(6)의 연결구A,B(61)(6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움고정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착탈부(7A)는 연결부재(6)의 연결구A(61)를 거쳐 공급관(2)과 연이어 통하는 온수분배기(7)의 유입구A(71)와 연결구B(62)를 거쳐 환수관(4)과 연이어 통하는 배출구B(72)의 외측 끼움홈(711)(712)에 각각 오링(R)이 끼움결합되어 있어 조립시 자체 탄성에 의한 고정력 및 밀폐력을 갖게 되는 것으로, 공급관(2)에 온수가 공급되면 이 온수는 연결부재(6)의 연결구A(61)를 거쳐 온수분배기(7)의 유입구A(71)로 유입되고, 유입된 온수는 다시 타측 분배부(73)에 여러개 형성된 배출구A(731)를 통해서 여러 방향의 난방관(2)으로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되어 순환된 난방관(2)의 저온수는 다시 온수분배기(7)의 환수부(74)에 형성된 여러개의 유입구B(741)로 유입되고 이 유입수는 타측의 배출구B(72)를 거쳐 연결부재(6)의 연결구B(62)를 통해 환수관(4)으로 환수됨으로써 여러 방향의 관로를 통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난방범위에 따라 온수분배기를 착탈시켜 하나의 보일러로 부분난방 또는 여러방향의 관로를 통한 난방을 호환성있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범위 및 교체에 따른 시공 및 설치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구매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조립과정의 일원화 및 작업의 신속성으로 인해 작업공수 및 생산단가의 감소효과를 가져오게 됨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외체부(1) 내부의 공급관(2)과 연결된 유입구A(71)와 연이어 통하게 외측에 여러개의 배출구A(731)를 형성한 분배부(73)와, 상기 분배부(73)에 의해서 공급되어 실내바닥면의 난방관(2)을 순환한 여러방향의 저온수가 유입되도록 외측에 여러개의 유입구B(74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상기 유입구B(741)와 연이어 통하게 환수관(4)과 연결된 배출구B(72)를 형성한 환수부(74)가 구비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 있어서, 장방형의 판체로 형성되어 외체부(1)의 통공(10) 외곽 내측벽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면은 외체부(1) 내부의 공급관(2) 및 환수관(4)과 연결되도록 소정길이 돌출되고 타측의 내주연부는 나선부(611)(621)가 형성된 중공의 연결구A,B(61)(62) 및 이의 상부 일측에 직각방향의 관이음구(63)가 구비된 연결부재(6)와; 상기 연결부재(6)의 연결구A,B(61)(62)에 온수분배기(7)의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가 억지끼움식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A(71) 및 배출구B(72)의 선단부측을 소정길이 연장하고 이의 외측에 끼움홈(711)(712)을 형성하여 밀폐용 오링(R)을 끼움결합시킨 착탈부(7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KR2019950023613U 1995-08-31 1995-08-3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KR0119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613U KR0119301Y1 (ko) 1995-08-31 1995-08-3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613U KR0119301Y1 (ko) 1995-08-31 1995-08-3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503U KR970010503U (ko) 1997-03-29
KR0119301Y1 true KR0119301Y1 (ko) 1998-08-01

Family

ID=1942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613U KR0119301Y1 (ko) 1995-08-31 1995-08-3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3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503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6804A (en) Heater for fluids
EP0570201A1 (en) Heat exchanger for a gas boiler
KR0119301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조합구조
KR20030097212A (ko) 이중관의 열교환기를 갖는 보일러
US4361276A (en) Heating system having supplemental coil arrangement
WO2009119958A1 (en) Oil boiler having heat exchanger with tub structure
KR20010100189A (ko) 이중관 보일러
KR200300600Y1 (ko) 관 접속용 분배관
US20230132467A1 (en)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er
US4337730A (en) Hot water probe
KR200263555Y1 (ko) 이중관 보일러
KR200336234Y1 (ko) 온수 분배기용 연결관
EP0015262A1 (en) HEAT EXCHANGER AND BOILER COMPRISING SUCH AN EXCHANGER.
KR100512297B1 (ko) 수관식 증기 및 급탕 보일러
KR100834983B1 (ko) 보일러용 열교환기
SU1643887A1 (ru) Газов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960003883Y1 (ko) 외장형 판형 열교환기를 갖는 보일러
RU2174654C1 (ru) Отоп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циркуляцией теплоносителя
KR910006418Y1 (ko) 간접 가열식 조립형 온수보일러
KR100415377B1 (ko) 가정용 벽걸이형 온수 보일러 열교환탱크의 구조
KR19980062742U (ko) 온수분배기일체형 가스보일러
KR100265816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장치
KR200146573Y1 (ko) 가정용 보일러
EP0778447A3 (de) Einsatz für eine Kesselanlage, Kessel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Kesselanlage
KR200297432Y1 (ko) 목욕탕용 수관식 온수급탕 및 온수난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