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269Y1 -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excretion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excre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269Y1
KR0118269Y1 KR2019940026677U KR19940026677U KR0118269Y1 KR 0118269 Y1 KR0118269 Y1 KR 0118269Y1 KR 2019940026677 U KR2019940026677 U KR 2019940026677U KR 19940026677 U KR19940026677 U KR 19940026677U KR 0118269 Y1 KR0118269 Y1 KR 0118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contaminants
screen
rake
scree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6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4510U (en
Inventor
강석민
Original Assignee
강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민 filed Critical 강석민
Priority to KR2019940026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269Y1/en
Publication of KR960014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51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269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거된 분뇨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분뇨처리기에 있어서도 분뇨중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을 분리 처리하도록 하는 분뇨처리기의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뇨처리기의 첫 번째 공정에 해당되는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선하여 협잡물의 분리 처리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며, 이는 스크린부재를 여러기의 판체로 분리하여 이들을 다수의 지지붕 및 지지판으로 조립하여 원형의 스크린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스크린부재의 사이 사이에 구비되어 출몰되는 레이크를 진뢰작동식으로 구성하도록 하며, 또한 탈수부의 스크류를 협잡물이 이송배출되는 진행방향으로 그 피치를 좁게 구성함과 동시에 회전축은 그 굵기를 다단으로 달리함으로써 탈수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sewage from the manure processor for treating various kinds of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manure even in a manure treatment system for comprehensively treating the collected manure. By impro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eparation of the contaminants,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it is to separate the screen member into a number of plates to assemble them into a plurality of support shelves and support plates It consists of a circular screen member, between the scree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rake is formed in the operation of the lightning, and the pitch of the screw in the dehydration portion in the advancing direction in which the contaminants are conveyed and discharged, The rotating shaft is dehydrated by varying its thickness in multiple stages. It is one to increase.

Description

종합 분뇨 전 처리기의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Complex for separating sewage from the comprehensive manure preprocessor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구성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ject innova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로타리 레이크스크린을 보인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the rotary rak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재4도는 제3도에서 레이크의 취출상태의 구성만을 일부단면 구성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extraction state of the rake in FIG.

제5도는 제2도에서 레이크가 돌출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도로서, (가)는 제4도의 측면구성되이고, (나)는 제4도의FIG. 5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ake protrudes from FIG. 2, (a) is a side configuration of FIG. 4, and (b) is of FIG.

A­Atjs 단면구성도이다.A­Atjs cross-sectional view.

제6도는 제2도에서 레이크가 들어간 상태를 보인 작동도로서, (가)는 제5도의 (가)에 준한 도면이고, (나)는 제5FIG. 6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ake is entered in FIG. 2, (a) is a drawing according to (a) of FIG. 5, and (b) is a fifth

도의 (나)에 준한 도면이다.It is a figure based on (b) of FIG.

제7도는 제1도에서 협잡물을 탈수하는 구성을 보인 측단면 구성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dewatering the contaminants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00 : 본체 110 : 유입부100: main body 110: inlet

111 : 유입관 112 : 고정스크린111: inlet pipe 112: fixed screen

120 : 분리부 121, 133 : 회전축120: separating portion 121, 133: rotation axis

122 : 스크린부재 123 : 지지판122: screen member 123: support plate

124 : 지지봉 130 : 탈수부124: support rod 130: dewatering part

131 : 호퍼 132 : 이송안내관131: hopper 132: transfer guide

134 : 스크류 135 : 배출구134: screw 135: outlet

140 : 레이크 136 : 가압판140: rake 136: pressure plate

141 : 각봉 142 : 브라켓트141: each bar 142: bracket

143 : 스프링 144 : 로울러143: spring 144: roller

145 : 작동간 150 : 안내레일145: between operation 150: guide rail

본 고안은 수거된 분뇨를 종합적으로 전처리하는 분뇨전처리기에 있어서도 분뇨증에 포함된 각종 대협잡물을 분리 처리하도록 하는 종합분뇨전처리기의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뇨전처리기의 첫 번째 공정에 해당도는 대협잡물 분리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선하여 대협잡물의 분리 처리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그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eparating sewage of the comprehensive manure pretreatment to separate and treat various large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manure, even in the manure pretreatment system for pretreatment of the collected manure. Applicability is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of the large coarse matter separation processing devic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large coarse matter,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일반적으로 분뇨를 종합적으로 전처리하는 공정증 본처리공정에 앞서 필연적으로 행하여지는 공정이 분뇨속에 포함된 각종 대협잡물을 분리 처리하는 전처리공정으로서, 이와 같은 대협잡물 분리 처리장치는 지금까지도 여러종류가 개발되어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In general, the preliminary process of comprehensive pretreatment of manure is a pretreatment process inevitably performed prior to the main treatment process to separate and treat various larg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manure. It was actually used widely.

일예를 들어 본 고안과 가장 근접되는 종래의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로서는 실용신안공고 제94­2421호를 들수 있다.For exampl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4 # 2421 may be cited as a conventional contaminant separation treatment apparatus closest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별도의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회전축에 다수개의 원형 스크린이 등간격으로 증첩설치되어 회전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스크린 각사이에는 스크린이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외주연측으로 출입되는 취출작동편이 증첩설치되어 있으며, 이의 취출작동편은 스크린 외측 겉판에 구비되는 작동 편작동수단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유입되는 분뇨속의 각종협잡물을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plurality of circular screens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on the rotating shaft rotated by a separate power unit, and the take-out operation of entering and exiting the outer peripheral si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creen is rotated between the screen angle The piece is provided with a fold, and the take-out operation piece is configured to separate various contaminants in the manure flow introduced by being operated by an operation piece operation mean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en.

이때 상기 작동편작동수단은 다수의 작동편을 횡방향으로 고정한 회동축과, 이의 회동축의 양측단 스크린의 겉판에 구비되고 단부에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로울러를 갖추어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캠과, 상기 겉판에 고정설치되어 캠을 회동작동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piece opera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plurality of operating piec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outer plate of the screen of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and a roller which is guided along the guide rail at the end and the cam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a spring fixed to the face plate to rotate the cam.

따라서 스크린이 회전되면서 스크린에 구비된 작동편이 분뇨가 유입되는 유입측에 위치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캠이 회동작동됨으로써 이의 캠에 고정된 회동축을 회동시키게 되고, 이로인하여 회동축에 고정된 각 작동편이 스크린으로부터 돌출되어 유입된 분뇨속의 협잡물을 받아서 반대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때 액체상태의 분뇨는 각 스크린의 사이들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되어 다음공정으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operating piece provided on the screen is positioned on the inflow side of the manure inflow while the screen is rotated, the cam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re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fixed to the cam thereof, thereby being fixed to the rotating shaft. Each working piece protrudes from the screen and receives the contaminants in the manure flowing into the opposite side, and the liquid manure falls down between the screens and is sent to the next process.

또한 상기와 같이 분뇨속의 협잡물이 분리되어 지면 분리되어진 협잡물을 스크류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협잡물속에 포함된 잔여수분을 제거하여 순수한 협잡물만 분리하여 소각 및 매립하게 되는 것이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mpurities in the manure were separated and transferred to the ground with the screw, and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impurities was removed to incinerate and landfill only pure impuritie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스크린에 구비되는 작동편을 출몰시키는 구성이 스피링의 인장력에 의해 캠이 회전작동을 함으로써 스크린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스크린으로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작동편의 출몰이 원활치 못하여 많은 협잡물을 유입측으로부터 탈수기측으로 원활히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for projecting the working piece provided on the screen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creen or enter the screen by rotating the cam by the tensioning force of the spring. Many problems have been caused to not smoothly transport from the inlet side to the dehydrator side.

더욱이 안내레일을 따라 작동편작동수단의 로울러가 안내되면서 작동편을 회동작동시켜 출몰시키는 구성임으로써 협잡물들이 스크린의 사이에 끼여있을 경우에는 작동편의 출몰이 원활치 못해 기기의 고장은 물론 이송이 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Furthermore, the rollers of the operating piece operating means are guided along the guide rails to rotate the moving pieces so that they can be retracted if the contaminants are caught between the screens. There was a problem such as.

또한 종래의 구성에 있어 스크린이 설정된 크기에 따라 하나의 판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정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고장수리시나 부품의 교체시에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ince the screen is configured in one plate shape according to the set size, that is, in one-piece type, the manufacturing cost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workability at the time of troubleshooting or replacement of parts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 significant decrease.

또한 스크린이 일체형이기 때문에 회전작동될 수 원심력에 의해 비틀림이나 휨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을뿐아니라 부품의 교체작업이 어려운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because the screen is integr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wisting or bending phenomenon is caused by the centrifugal force that can be rotated, as well as difficult replacement parts.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이외에도 탈수공정에서 종래에는 단순히 스크린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을 스크류를 구동시켜 일측면으로 이송시키는 정도에 불과함으로써 분리처리된 협잡물속에 많은 수분이 함유되어 협잡물의 소각 및 매립에 따른 작업성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to these problems, in the dehydration process, conventionally, only the impurities transported by the screen are transferred to one side by driving a screw, so that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contained in the separated impurities, and the workability is reduced by incineration and landfilling. There was a problem such as being.

또한 탈수기측에 있어서는 스크류의 피치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음과 공시에 이를 지지하는 회전축도 그 외경이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호퍼형상의 가압용슈우트가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되는등 그 구조상에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었고, 이러한 문제점은 혀잡물의 탈수효율을 저하시키는 크나큰 요인이 되었던 것이었다.In addition, on the dehydrator side, the pitch of the screw has a certain interval and the rotating shaft supporting it at the same time has the same outer diameter. This problem was a major factor in lowering the dehydration efficiency of the tongu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협잡물을 분리처리하에 있어 그 기기의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유입되는 협잡물의 분리처리하는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종합분뇨전처리기의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under separate treatment of contaminants, thereby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and assemblability, and als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eparating and treating the incoming contamina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gregation treatment device for complexes of a comprehensive manure preprocesso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탈수기의 구성을 스크류프레스로 개선하여 분리된 대협잡물을 소가 및 매립이 용이하도록 수분을 완전히 탈수시키도록 하는 종합분뇨전처리기의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도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of the dehydrator with a screw press to provide a complex separation treatment device of the comprehensive manure pre-treatment to completely dehydrate the water so that the large contaminants separated and easy to embed.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원형으로 구성되는 스크린을 다수의 조각편으로 분리 구성하여 이들을 원형으로 조립토록 함으로써 제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각 스크린의 사이에 출몰식으로 구비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키도록 하는 작동편을 회동식이 아닌 진퇴작동식으로 구비하여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n improved contaminant separation treatment apparatus, that is, to separate the scree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eces into a plurality of pieces to assemble them in a circle to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and assembl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nts by providing a working piece that is provided in between the screen to move the contaminants to move forwards and backwards rather than rotationally.

또한 분리된 협잡물을 탈수하는 구성을 스크류프레서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즉, 협잡물을 배출하는 진행방향으로 스크류의 피치를 점차적으로 좁게 구성함과 공시에 스크류의 회전축을 진행방향을 따라 그 굵기를 굵게 함으로써 협잡물을 압축토록 하여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In addition, the screw depressor is configured to dewater the separated contaminants, that is, the pitch of the screw is gradually narrow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discharging the contaminant, and the thickness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screw is increased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It is a feature that the dehydration is achieved by compressing the contaminants.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면의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taminant separation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the main body.

이의 본체(100)는 수거된 분뇨를 유입시키는 유입관(111)을 갖춘 분뇨유입부(110)와, 상기 분뇨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되는 분뇨를 협잡물과 액체분뇨로 분리하는 분리부(120)와, 상기 유입부(110)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분리된 협잡물을 탈수시키도록 하는 탈수부(130)로 구성되어 있다.Its main body 100 is a manure inlet 110 having an inlet pipe 111 for introducing the collected manure, and the separating portion 120 for separating the manure flowing from the manure inlet 110 into the contaminants and liquid manure. ) And a dehydration unit 13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let 110 to dehydrate the separated contaminants.

상기 유입부(110)는 본체(100)의 일측면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유입관(111)이 구비되어 있고, 유입관(111)의 하단부는 일정한 경사각이 구비되어 있어 유입되는 분뇨액의 유속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의 직하부에는 고정스크린(112)이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The inlet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pipe 111 is provided to be inclin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111 is provid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to form a flow rate of the manure liquid introduced It is configured so that, immediately below the fixed screen 112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따라서 유입관(111)을 통하여 분뇨가 유입되어지면 그 끝단의 경사각에 의해 빠른유속이 형성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것인데, 즉 분뇨속의 협잡물은 상기 고정스크린(112)의 상면에 안착되어 질 것이고, 액체상태의 분뇨는 유입관(111)하단부와 일정한 경사각에 의해 빠른 유속이 형성되어 고정스크린(112)의 각 사이들을 통해 하부로 낙하안내 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manure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11, the fast flow rate is formed b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nd, so that the separation is easy, that is, the contaminants in the manure will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screen 112, Liquid manure will be guided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each of the fixed screen 112 is formed by a fast flow rate by the inlet tube 111 and the lower inclined angle.

또한 상기 분리부(120)는 별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측(121)에 다수의 스크린부재(122)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회전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즉 회전축(121)의 양측면에 지지판(123)이 고정되어 있고, 이의 양지지판(123)에는 회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봉(124)들에 스크린부재(122)가 고정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rotate by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creen members 122 at equal intervals on the rotating side 121 rotated by a separate power, that is,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121 The support plate 123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23 thereof, and the screen member 122 is fixed to the support rods 124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이의 스크린부재(122)는 그 중심이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있음과 공시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다수개로 분리되어 각각 지지봉(124)에 의해 고정설치됨으로써 원형을 유지토록 구성되어 있다.The screen member 122 of the center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shape and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disclosure is configured to maintain a circle by being fixed by the support rods 124, respectively.

또한 상기 분리부(120)에는 즉, 분리부(120)의 각 스크린부재(122)의 사이에는 각봉(141)으로 고정설치되어 중심축으로부터 외연을 향해 진퇴작동되는 레이크(RAKE)(140)가 연속적으로 중첩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unit 120, that is, between each screen member 122 of the separation unit 120 is fixed to the angular rod 141, the rake (RAKE) 14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outer edge from the central axis It is continuously overlapped.

또한 상기 레이크(140)를 구동시크는 구동수단은 지지판(123)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는데, 이는 도면의 제3도에서 제6도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rake 14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123, which is shown in detail in FIG. 3 to FIG.

즉, 지지판(123)에 고정설치되고 안내관이 구비되는 브라켓트(142)와, 상기 안내관에 삽입체결되면서 스프링(143)에 탄지되고 단부에 안내레일(150)을 따라 작동되는 로울러(144)를 갖춘 작동간(145)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작동간(145)에는 전술한 레이크(140)를 고정한 각봉(141)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a bracket 142 fixed to the support plate 123 and provided with a guide tube, and a roller 144 that is supported by the spring 143 while being fastened to the guide tube and is operated along the guide rail 150 at an end thereof. It is composed of an operation between the 145, the operation between the 145 is fixed to the angular bar 141 fixed to the above-described rake 140.

이때 상기 안내레일(150)은 스크린부재(122)의 회전반경보다 약간 큰 원주를 가지면서 그 중심축이 스크린부재(122)의 중심축과는 다르게 위치되어 있고,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51은 각봉(141)이 진퇴작동되는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장공이다.At this time, the guide rail 150 has a circumference slightly larg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screen member 122 and its central axis is positioned differentl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creen member 122, wherein reference numeral 151 in the figure Angle bar 141 is a long hole limiting the travel distanc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그리고 상기 탈수부(130)는 분리부(120)의 중심으로 유입부(110)의 반대편측에 구비되면서도 상기 분리부(120)의 스크린부재(122)에 의해 반대측으로 이송되는 협잡물을 탈수시키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첨부도면의 제7도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And while the dewatering unit 130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110 to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unit 120 to dehydrate the impurities transported to the opposite side by the screen member 122 of the separation unit 120 This is illustrated in detail in FIG.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분리부(120)으 스크린부재(12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구비되면서 분리 이송되는 협잡물을 낙하안내토록 하는 호퍼(131)와, 이의 호퍼(131)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송안내관(132)과, 상기 이송안내관(132)에 회전축(133)이 설치되어 회전구동되는 스크류(134)로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separation unit 120 is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creen member 122, the hopper 131 to guide the falling and transported contaminants separated, and the transfer guide tube 132 provided below the hopper 131 thereof ), And a screw 134 is rotatably driven by the rotating shaft 133 is installed in the transfer guide tube 132.

이때 상기 스크류(134)는 협잡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그 피치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의 스크류(134)를 지지하는 회전축(133)의 굵기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협잡물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압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crew 13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itch gradually decreas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minants are conveyed, and at the same time, the thickness of the rotating shaft 133 supporting the screw 134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contaminants are formed. It is configured to compress as well as convey.

또한 상기 회전축(133)의 끝단에는 원뿔형의 가압판(136)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의 가압판(136)은 이송, 압축되는 협잡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협잡물의 압착효과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rotary shaft 133 is provided with a cone-shaped pressing plate 136, the pressing plate 136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crimping effect of the cladding by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ntaminated material to be transported, compressed.

또한 상기 이송안내관(132)의 일측에는 스크류(134)에 의해 압축되는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구(13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33)은 외부의 구도오우터(160)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될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transfer guide tube 132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35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compressed by the screw 134 to the outside, the rotary shaft 133 is an outer composition outer 160 It will be driven by power.

한편 도면중 미설명부호 170은 스크린부재(122)를 따라 분리이송되는 협잡물이 스크린부재(122)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굵어서 탈수부(130)측으로 완전히 보내도록 하는 스크린파를 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70 in the drawing indicates a screen wave to be sent to the dewatering unit 130 side to be thick, so that the contaminants separated and transported along the screen member 122 sticks to the surface of the screen member 122.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described in detail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본체(100) 일측의 유입관(111)을 통하여 수거된 분뇨가 유이되어지면 유입관(111)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고정스크린(112)에 의해 분뇨속에 포함된 협잡물은 걸러짐과 동시에 액체상태의 분뇨는 유입관(111) 하단부의 일정한 경사각에 의해 빠른 유속이 형성되어 이들 고정스크린(112)의 각 사이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어져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게 된다.When the manure collected through the inlet pipe 111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s fed,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manure are filtered and fixed by the fixing screen 112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inlet pipe 111. Liquid manure is a rapid flow rate is formed by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of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111 is dropped to the lower through each of these fixing screen 112 is sent to the next process.

이러한 상태에서 분리부(120)의 스크린부재(122)가 구동모우터(160)에 의해 회전축(121)을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면 이의 분리부(120)에 구비되는 레이크(140)가 유입부(110)의 하부위치에 위치하는 순간 도출되어 고정스크린(112)상에 모아진 협잡물을 끌어서 반대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screen member 122 of the separating part 12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160 to the support point, the rake 140 provided at the separating part 120 has an inflow part ( At the moment located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110 is drawn and transported to the other side by dragging the contaminants collected on the fixed screen (112).

즉, 도면의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부(120)가 회전 작동되면 분리부(120)의 지지판(123)에 구비된 레이크작동수단의 로울러(144)도 안내레일(150)을 따라 구동하게 도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of the drawing, when the separating part 120 is rotated and operated, the roller 144 of the rake operating mean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123 of the separating part 120 is also driven along the guide rail 150. To do that.

이때 상기 안내레일(150)은 스크린부재(122)의 외경보다는 그 내경이 크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심축을 달리하고 있음으로써 유입부(110)측으로 위치하는 순간에는 로울러(144)에 의해 작동간(145)이 스프링(143)의 탄성력으로 전진작동되고, 이에 따라 작동간(145)의 끝단에 고정된 각봉(141)이 외연측으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레이크(140)가 스크린부재(1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guide rail 150 has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creen member 122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 from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guide rail 150 is operated by the roller 144 at the moment of being located toward the inlet 110. 145 is forward-actu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43, so that the angular rod 141 fixed to the end of the operation period 145 is pushed to the outer edge side, so that the rake 140 protrudes out of the screen member 122 It is done.

이와는 반대로 첨부도면의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울러(144)가 탈수부(130)측에 위치하게 되면 로울러(144)는 안내레일(150)의 내경에 의해 내측으로 후진하게 되고, 이에따라 전술한 역순으로 작동되어 레이크(140)는 스크린부재(122)의 사이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the roller 144 is located at the dehydrating part 130 side, the roller 144 is retracted inward by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rail 150, and accordingly, Operated in the reverse order, the rake 140 is to enter between the screen member 122.

따라서 상기 레이크(140)가 유입부(110) 측으로 위치하는 순간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스크린(111)에 올려진 협잡물을 끌어서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탈수부(130)의 호퍼(131)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ake 140 is protruded to the outside at the moment when the inlet 110 is located, and drag the contaminants placed on the fixed screen 111 in the rotational direction, sent to the hopper 131 of the dehydration unit 130 Will be.

이때 레이크(140)는 스크린부재(122)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스크린부재(122)의 표면에 달라붙은 협잡물은 스크레파(170)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져 탈수부(130)측으로 이송되어 지는 것이다.At this time, as the rake 140 is maintained inside the screen member 122, the contaminants stuck to the surface of the screen member 122 are completely separated by the scraper 170 and transferred to the dehydrating unit 130. It is done.

계속해서 탈수부(130)로 이송되는 협잡물은 첨부도면의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퍼(131)를 통해 이송안내관(132)으로 유입되어 지는 것이며, 유입되는 협잡물은 회전작동되는 스크류(134)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이송되어지면서 압축되어 지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contaminants conveyed to the dehydration unit 130 are introduced into the conveyance guide tube 132 through the hopper 131 as shown in FIG.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compressed while being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by).

즉, 스크류(134)의 피치가 이송되는 진행방향을 따라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축(133)의 굵기는 굵어지게 됨으로써 이송안내관(132)내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어 협잡물은 압축이 되어 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협잡물은 완전히 탈수가 되는 상태에서 배출구(1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That is, the pitch of the screw 134 is configured to be narrow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thickness of the rotating shaft 133 is thickened to reduce the volume in the conveying guide tube 132, so that the contaminants are compressed. Therefore, the contamina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35 in a completely dehydrated state.

이렇게 수분이 제거되는 순수한 협잡물은 이송콘베이어등과 같은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어져 소각 또는 매립되어 질 것이다.This pure debris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will be transported by a separate conveying device such as a conveying conveyor to be incinerated or landfilled.

그러므로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스크린부재를 하나의 원형판체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부재로 구비하여, 즉 부분조립형으로 구성하여 이들을 지지봉등으로 조립체결하도록 함으로써 그 제조성은 물론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composed of a single circular plate body, bu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embers, that is, partly assembled to assemble them with support rods, etc., thereby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as well as the manufacturability. Will have the effect.

이러한 효과는 고장수리시나 또는 부품의 마모로 인한 부품의 교체시 이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This effect is to improve the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parts due to wear of the parts.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들의 사이에 출몰식으로 구비되어 협잡물을 분리이송시키는 레이크를 스프링에 의한 출몰형의 방식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협잡물이 각 스크린부재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방지되는 등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어 협잡물의 분리 및 이송효율이 향상되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peration is smoothly provided such that the rake which is provided in between the screen members is driven in the manner of spring-out type by the rake for separating and transporting the contaminants. It will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paration and transport efficiency of the contaminants.

또한 협잡물을 스크류프레스방식으로 탈수시키게 됨으로써 탈수효율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순수한 협잡물만을 배출시키게 되어 다음공정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dehydrating the contaminants in the screw press method is to have the effect that the dewatering efficiency is improved, accordingly to discharge only the pure contaminants will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next process.

그리고 이러한 효과외에도 유입되는 협잡물의 유속을 빠르게 함으로써 협잡물의 흡착은 물론이고 액체상태 분뇨의 분리에 따른 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is effect,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incoming contaminants, as well as adsorption of the contaminants will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eparation of the liquid manure.

Claims (1)

본체(100) 일측에 분뇨가 유입되는 유입관(111)을 갖춘 유입부(110)와, 유입부(110)에서 유입되는 분뇨를 액체상태의 분뇨와 협잡물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크린부재(122)를 갖는 드럼형태의 분리부(120)와, 분리부(120)에서 분리된 협잡물을 탈수시키는 탈수부(130)로 구성된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122)를 다수개로 분리하여 지지봉(124)과 지지판(123)을 이용하여 드럼형태의 원형 스크린부재(122)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123)의 소정위치에는 각 스크린부재(122)의 사이 사이에 연속적으로 중첩설치되어 출몰가능토록 되는 레이크(140)과 이의 레이크(140)를 지지하는 각봉(141)의 양단 지지판(123)에는 브라켓트(142)와 스프링 (143)에 의해 체결되면서 일측단부에 원형으로 구비되는 안내레일(150)의 내경을 따라 안내되는 로울러(144) 및 하단부에 레이크(140)의 각봉(141)이 고정설치되어 진퇴작동되는 작동간(145)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분뇨 전 처리기의 협잡물 분리 처리장치.Inlet 110 having an inlet pipe 111 into which the manure flows in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plurality of screen members for separating and transporting the manure flowing from the inlet 110 into liquid manure and impurities. In the dirt separation processing device consisting of a drum-shaped separator having a drum 120, and a dehydration unit 130 for dewatering the impurities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120, the screen member 122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By using the support rod 124 and the support plate 123 is composed of a circular screen member 122 in the form of a drum,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123 is continuously installed between each screen member 122 Guide rail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t one end of the rake 140 and the end plate supporting plate 123 of the angular bar 141 supporting the rake 140 are fastened by the bracket 142 and the spring 143. Roller 144 guided along the inner diameter of 150 And angular bar 141 of the rake 14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etween the operation 145 to move forwards and backwards.
KR2019940026677U 1994-10-13 1994-10-13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excretions KR01182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677U KR0118269Y1 (en) 1994-10-13 1994-10-13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excre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677U KR0118269Y1 (en) 1994-10-13 1994-10-13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excre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510U KR960014510U (en) 1996-05-17
KR0118269Y1 true KR0118269Y1 (en) 1998-04-24

Family

ID=1939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677U KR0118269Y1 (en) 1994-10-13 1994-10-13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excre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269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510U (en)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28695A (en) Solid-liquid separator
KR101909238B1 (en) Sludge Collection System Equipped with Sludge Induce and Discharge Device
JP6038679B2 (en) Sludge treatment system
NZ243279A (en) Sediment removal apparatus for sewage treatment having inclined raking sieve worm and sand classifying worm on common shaft
CN105149086A (en) Magnetic adsorption and filtration device applied to high-pressure washing water
KR100868533B1 (en) Double drumscreen machine removing adulteration
KR101644345B1 (en) Screw screen apparatus
KR100443050B1 (en) Solid and liquid separator of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sludge and swine wastes, and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0118269Y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excretions
KR101100740B1 (en) Centrifugal Separator
KR100372501B1 (en) Screw type dehydration apparatus
RU2349367C2 (en) Belt filter press
KR100402759B1 (en) Sewag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0372502B1 (en) Screw type dehydration apparatus
KR200342805Y1 (en) Drum screen for filter out the sewage
KR100383820B1 (en) An apparatus for seperating alien substances from garbage
JP2002224509A (en) Rotary drum type dust extractor
KR200201954Y1 (en) Assistant apparatus of sludge removal apparatus
KR101648580B1 (en) Large contaminants integrated processor
KR200383012Y1 (en) Low Speed Condensing Liquid-Solid Seperating Apparatus
JP2005046814A (en) Apparatus for removing/dewatering foreign matter in wastewater
KR102550705B1 (en) Drum Screen for Water Purification
KR100617461B1 (en) Low Speed Condensing Liquid-Solid Seperating Apparatus
KR0116255Y1 (en) Apparatus for separator of slurry
CA1246932A (en) Rotary filtration means for a waste compacting and dehydr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