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074Y1 -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 Google Patents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074Y1
KR0118074Y1 KR2019930020041U KR930020041U KR0118074Y1 KR 0118074 Y1 KR0118074 Y1 KR 0118074Y1 KR 2019930020041 U KR2019930020041 U KR 2019930020041U KR 930020041 U KR930020041 U KR 930020041U KR 0118074 Y1 KR0118074 Y1 KR 0118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detergent
water
wash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916U (ko
Inventor
김홍성
표상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0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074Y1/ko
Publication of KR950008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1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는, 세제용해장치에 대하여 급수를 하기 위한 급수수단이 갖추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7)에 세재를 용해 촉진시키도록 장착된 유속가속수단(110)과, 상기 유속가속수단(110)내에 흐르는 세탁수에 오존을 공급시키는 오존공급수단(140)과, 상기 유속사속수단(110)을 매개로 급수수단(7)에 의해 급수되도록 연결되고 세제를 수용 및 용해배출하는 세제수용수단(120)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제를 완전히 용해시켜 공급함에 따라 세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수 및 세제사용량을 현저히 줄여 수질 등 환경의 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세제에 의한 피세탁물의 얼룩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존을 이용한 세제 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제1도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결합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초음파, 오존겸용세탁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오존수 세탁기의 다른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기,액혼합기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오존, 세제용해장치가 적용한 세탁기를 도시한 전체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오존, 세제용해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유속 가속수단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수용수단을 도시한 결합상태의 정면도.
제9도는 제 8도에서 Ⅰ-Ⅰ선에 따른 종단면도.
제10도는 제 8도에서 Ⅱ-Ⅱ선에 따른 종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오존공급수단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급수수단 110 : 유속가속수단
120 : 세제수용수단 140 : 오존공급수단
141 : 대기공기흡입실 142 : 오존발생실
143 : 하우징 144 : 오존공급관
본 고안은 세탁기내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과 오존공급에 의한 오존수가 세제를 완전히 용해시키도록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망체내에 저장된 분발상태의 세제를 급수압력과 오존공급에 의해 완전히 용해시켜 오존수와 함께 세탁 및 탈수조내에 공급하여 세정력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세제사용량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동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본체(1)내에 세탁조(2)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세탁조(2)의 저면에는 모터(3)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세탁조(2)내에는 상기 모터(3)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조(4)가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탈수조(4)내에는 상기 모터(3)의 구동에 따라 반전하면서 세탁수에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을 행하는 펄세이터(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수도전(6)과 접속되어 상기 세탁조(2)내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탁조(2)의 저면일측에는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수단(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동세탁기는, 탈수조(4)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고 세탁조건을 선택하게 되면 급수수단(7)을 통하여 온수 또는 냉수가 상기 탈수조(4)내로 공급되어지며, 이어서 모터(3)의 작동에 따라 펄세이터(5)가 반전을 행하면서 수류를 형성시켜 세탁을 행하고, 세탁이 완료되면 배수수단(8)의 작동에 따라 세탁수가 배출되어지고 다시 상기 급수수단(7)을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면 헹굼을 수회 행한 후 상기 탈수조(4)가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써 탈수를 행하여 세탁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세탁시에는 분말상태의 세제를 세탁물과 함께 투입하여 세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세탁물과 함께 사용자가 직접 소정량의 세제를 투입하거나 별도의 투입기를 설치하여 세제를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에서는, 분말상태의 세제가 쉽게 용해되지 않게됨에 따라 세제성능이 저하되고 세제의 소모량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용해되지 않은 세제에 의해 세탁후에도 세탁물에 부분적으로 세제얼룩이 발생되어 세탁물을 손상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런점을 감안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조(2)의 외측에 장착된 오존발생수단(11)과, 상기 오존발생수단(11)의 가동에 의해 발생된 오존을 상기 세탁조(2)내에 다수방향으로 공급시키도록 세탁조(2)의 둘레에 장착된 다수개의 오존공급노즐(12)과, 상기 세탁조(2)내에 급수된 세탁수를 순환시키도록 세탁조(2)의 외측하부에 장착된 순환펌프수단(13)과, 상기 세탁조(2)의 외측하부에 장착된 초음파발지수단(14)과, 상기 초음파발진수단(14)의 가동에 의해 발진된 초음파를 상기 세탁조(2)내에 조사시키도록 세탁조(2)의 둘레에 장착된 다수개의 초음파진동자(15)를 갖춘 초음파, 오존겸용세탁기가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소화 63-28168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오존발생수단(11)의 가동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다수개의 오존공급노즐(12)을 통해 세탁조(2)내에 급수된 세탁수에 공급되어 잔류되는 것보다 공기층으로 흡수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탁수에 오존의 잔류량이 적으므로 인하여 세정력이 급격히 떨어짐은 물론, 세제 사용시 세제사용량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세탁조(2)내에 급수된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손환펌프수단(13)을 설치하므로써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이에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본체(1)의 배면측에 세탁조(2)내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7)과, 상기 급수수단(7)과 연결되는 기액혼합기(16)와, 상기 기액혼합기(16)와 오존공급호스(17)를 매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급수수단(7)내부를 흐르는 세탁수와 혼합되도록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수단(18)과, 상기 세제공급수단(18)에 오존을 공급시키는 오존발생수단(11)과, 상기 세탁조(2)내에 급수된 세탁수를 순환시키도록 세탁조(2)와 급수수단(7)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순환펌프수단(13)을 갖춘 오존수 세탁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93-74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세제에 오존을 먼저 함유시켜 세탁수에 투입하므로써 세제의 사용량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이는 오존이 갖고 있는 성질과 세제가 갖고 있는 성질과의 유기적인 화합이 상반되는 반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오존과 세제의 농도가 각각 저하되어 세정력을 떨어지게 함은 물론, 오히려 세제사용량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탁시 투입되는 세제를 세탁수와 혼합되는 오존에 의한 오존수에 의해 완전하게 용해시켜 세탁조 및 탈수조내에 공급함으로써 세정력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탁수 및 세제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존수만을 이용하여 세탁가능케 함으로써 세척수사용량을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 장치가 장착된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 장치가 장착된 세탁기는, 세제용해장치에 대하여 급수를 하기 위한 급수수단이 갖추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에 세제를 용해 촉진시키도록 장착된 유속가속수단과, 상기 유속가속수단 내에 흐르는 세탁수에 오존을 공급시키는 오존공급수단과, 상기 유속가속수단을 매개로 급수수단에 의해 급수되도록 연결되고 세제를 수용 및 용해배출하는 세제수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에 의하면, 세제의 용해도가 증대됨으로서 세정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세제덩어리나 잔류세제가 남지 않게 됨으로써 세제얼룩등으로 인한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경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세탁수 및 세제사용량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11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오존, 세제용해장치가 적용된 세탁기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오존, 세제용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제7도는 본 고안의 유속가속수단을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수용수단을 도시한 결합상태의 정면도이며, 제9도는 제8도에서의 Ⅰ-Ⅰ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제10도는 제8도에서의 Ⅱ-Ⅱ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며, 제11도는 본 고안의 오존공급수단을 도시한 확대단면도로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5도 내지 제11도에 있어서, 세탁기 본체(1)의 상측에는 일측이 힌지결합된 도어(20)가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그 앞쪽에는 세탁조건등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본체(1)의 배면측에는 탈수조(4)내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호스(22)가 수도전(6)과 접속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호스(23)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세탁기 본체(1)의 내측, 예컨대 탈수조(4)의 상측에는 투입된 세제를 용해시켜 상기 급수호스(22)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와 함께 상기 탈수조(4)내로 공급하기 위한 오존, 세제용해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오존, 세제용해장치(100)는 급수호스(22)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속을 가속시키는 유속가속수단(110)과, 상기 유속가속수단(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세제(C)를 용해시키는 세제수용수단(120)과, 상기 유속가속수단(110)과 연결되어 오존을 공급하여 세제(C)를 용해시키는 오존공급수단(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세제수용수단(120)은 세탁기 본체(1)에 고정설치되는 외통체(121)와, 이 외통체(121)내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내통체(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통체(122)의 상측에 안착되어 내측에 투입된 세제(C)가 급수호스(22)를 통하여 급수되는 세탁수의 압력과 오존공급에 의해 완전히 분해 및 용해된 수, 상기 세탁겸용 탈수조(4)내로 공급토록 하는 걸름망부재(13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유속가속수단(110)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수 및 온수용의 급수호스(22)의 선단에 삽입되는 접속관(111)과, 이 접속관(111)의 하측에 삽입되며 내부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상으로 형성된 가속파이프(112)와, 이 가속파이프(112)의 하측이 상측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오존공급수단(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의 유입이 가능토록 오존유입구멍(113a)이 형성된 가속캡(1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121)에 형성된 급수주입구(121a)와 가속캡(113)의 하부면과의 사이에는 초기급수시 상기 결름망부재(130)내에 수용된 세제(C)에 의해 상기 유속가속수단(110)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가 내통체(122)로 배출되지 못하고 외통체(121)의 급수주입구(121a)를 통해 가속캡(113)의 오존유입구멍(113a)으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시키도록 하는 물역류저지부재(1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물역저지부재(114)는 그 중앙이 망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통체(121)는 그 내측에 상기 내통체(122)가 수용되는 수용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123)의 양측면에는 내통체(122)가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21b)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12b)의 앞쪽에는 외부에서 결합된 걸림부재(124)의 걸림돌기(124a)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구멍(12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121)와 내통체(122)가 결합시 후측으로 배출되는 용해된 세제를 포함하는 오존수가 후측에서 전측으로 흘러나오도록 후측보다 전측이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통체(121)와 내통체(122)가 결합시 그 바닥부분에 대해 양측면은 맞닿고 중앙은 하부로 처치도록 외통체(121)에는 호형부(121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외통체(1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급수주입수(121a)를 중심으로 전후측에는 외통체(121)의 상부측을 상기 세탁기본체(1)에 체결시키는 다수의 지지봉(121e)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들 지지봉(121e)의 사이에는 체결나사(125)에 의해 유속가속수단(110)을 개재시켜 접속관(111)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봉(121f)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121)의 양외측면에는 외통체(121)의 양측면을 상기 세착기본체(1)에 체결시키기 위한 지지대(121g)가 각각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있다. 한편, 상기 외통체(121)의 수용부(123)내에서 슬라이드되는 내통체(122)는 그 양측면(122a)의 상단부에 상기 걸름망부재(130)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급수되는 오존수의 압력을 받아도 유동되지 않도록 안착시키는 다수개의 안착홈(122b)이 형성되어 있고, 그 후측에는 바닥면(122c)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용해된 세제를 후측으로 배축시키면서 상기 내통체(122)내의 거품이 넘치도록 양단부에 요홈(122e)이 형성된 제1오버플로우판(122d)이 일체로 세워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1오버플로우판(122d)의 후측에는 제1오버플로우판(122d)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통체(121)와 내통체(122)가 결합될 때 외통체(121)의 내측후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1오버플로우판(122d)에서 배출되는 용해된 세제가 넘치도록 하는 제2오버플로우판(122f)이 일체로 세워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122)의 앞쪽에는 내통체(122)의 내의 거품이 넘치도록 양단부에 요홈(122g)이 형성된 제3오버플로우판(122h)이 전면판(122i)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세워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내통체(122)의 양측면(122a)의 후측에는 상기 외통체(121)의 양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1b)에 끼워져서 가이드됨과 동시에, 그 가이드홈(121b)의 전측에 형성된 구멍(121c)에 끼워맞춤과 걸림부재(124)의 걸림돌기(124a)에 의해 내통체(122)가 걸려져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탄력돌기부(124j)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내통체(122)의 전면판(122j)에는 내통체(122)를 외통체(121)내에서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22k)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오버플로우판(122d)과 제2오버플로우판(122f)과의 사이의 바닥면(122c)에는 세제배출 구멍(122l)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름망부재(130)는 투입되는 세제(C)를 수용하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면과 바닥면에는 수용된 세제(C)가 급수되는 세탁수 및 오존에 의한 오존수의 수압에 의해 용해되어 통과되도록 조밀한 망체(13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망체(130a)의 상부측에는 상기 내통체(122)의 양측면(122a)의 상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안착홈(122b)에 안착되도록 안착대(13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오존공급수단(140)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과 상측에 각각 대기공기흡입실(141)과 오존발생실(142)을 갖춘 하우징(143)과, 상기 하우징(143)의 상측에 상기 오존발생실(142)과 연통되게 연결고정되어 상기 유속가속수단(110)내에 오존공급을 유도하는 오존공급관(14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대기공기흡입실(141)에는 대기공기를 상기 하우징(143)내부로 강제흡입시키도록 브라켓(145)을 매개로 장착된 팬모터(146)와, 상기 팬모터(146)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전원공급수단(도시안됨)과 팬모터(146)와의 사이에 접속된 전원코드선(147)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실(142)에는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는 고압트랜스(148)와 상기 고압트랜스(148)의 가동에 의한 고압전류를 인가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도록 된 오존발생전극(149)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43)은 상기 대기공기흡입실(141)과 오존발생실(142)을 마련하도록 그 내부중앙에 관통구멍(143a)을 갖는 칸막이벽(143b)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상기 팬모터(146)의 가동에 의해 대기공기가 대기흡입실(141)내로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대기공기 흡입구멍(143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상기 오존공급관(144)과 상기 오존공급실(142)이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오존유출구멍(143d)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5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세탁기 본체(1)의 상부측에 절첩가능케 설치된 도어(20)를 열고 탈수조(4)내에 세착할 피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세탁기 본체(1)의 내측에 설치된 세제수용수단(120)을 개방시켜 세제(C)를 투입하게 된다. 즉, 세제수용수단(120)의 내통체(122)를 외통체(121)로부터 슬라이드시켜 개방시키면 내통체(122)의 양측면(122a)에 돌설된 탄력돌기부(122j)가 외통체(121)의 내부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1b)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내통체(122)의 전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내통체(122)의 바닥면(122c)이 외부로 노출되어진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내통체(122)의 상측에 안착된 걸름망부재(130)의 내부로 소정량의 세제(C)를 투입한 후 그 내통체(122)를 외통체(121)의 수용부(123)내로 밀어넣은 다음 사용자가 급수수단(7)의 수도전(6)을 온작동시켜 세탁기내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세탁수는 급수호스(22)와, 유속가속수단(110)을 통해 상기 세제수용수단(120)내에 설치된 걸름망부재(130)를 통과하면서 망체(130a)내에 수용된 세제(C)에 충격력을 가하여 미세하게 확산용해시켜 내통체(122)의 내부에 공급되어 진다. 이때, 상기 유속가속수단(110)으로 세탁수가 통과될 때 가속파이프(112)의 내경이 상부직경보다 하부직경이 적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유속변화 및 낙하압력차를 갖게 되면서 오존유입구멍(113a)으로 오존공급, 예컨데 오존공급수단(140)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이 오존공급관(144)을 통과하여 상기 오존유입구멍(113a)으로 공급됨에 따라 세탁수와 오존이 혼합된 오존수의 유속이 가속되어진다.
즉, 상기 오존공습수단(140)이 전원공급수단(도시안됨)이 온작동에 의해 전원코드선(147)을 매개로 전원을 인가받아 하우징(143)내의 대기공기흡입실(141)에 장착된 팬모터(146)가 가동되면, 이 팬모터(146)의 가동에 의해 대기의 공기가 하우징(143)의 대기공기흡입구멍(143c)을 통해 대기공기흡입실(141)로 흡입됨과 동시에 하우징(143)내의 칸막이벽(143b)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43a)을 통과하면서 그 관통구멍(143a)의 벤츄리작용에 의해 빠른속도로 오존발생실(142)에 공급되고, 오존발생실(142)에 공급되어진 대기의 공기는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는 고압트랜스(148)에 의해 플러스와 마이너스전극이 배열된 오존발생전극(149)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오존발생전극(149)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대기의 공기는 오존화되면서 팬모터(146)의 가동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하우징(143)의 오존유출구멍(143d)과 연결된 오종공급관(144)을 통해 유속가속수단(110)의 오존유입구멍(113a)으로 공급되어 세탁수와 함께 세제수용수단(120)내에 공급됨으로써 걸름망부재(130)내에 수용된 세제(C)의 용해를 더욱 증대시킴과 동시에 오존수의 가속에 따른 압력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 급속히 내통체(122)의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확산시켜 와류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급수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반복됨에 따라 걸름망부재(130)내에 수용된 세제(C)는 극히 미세한 상태로 분해 및 용해됨과 동시에 계속적으로 오존공급 및 급수되는 오존수와 함께 혼합되어 거품을 형성시키게 된다.
한편, 이때 형성된 거품들은 대체로 내통체(122)의 상부로 상승하여 내통체(122)의 전후측에 형성된 제3 및 제1오버르로우판(122h)(122d)의 상부양측면에 형성된 요홈(122g)(122e)을 통해 빠른속도로 넘치게 된다. 이때, 그중 제3오버플로우판(122h)의 요홈(122g)쪽으로 넘치는 거품은 외통체(121)와 내통체(122)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면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외통체(121)와 내통체(122)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바닥간극통로, 예컨데 외통체(121)의 호형부(121d)를 따라 탈수조(4)의 내부로 투입되고, 또 제1오버플로우판(122d)의 요홈(122e)쪽으로 넘치는 거품은 제2오버플로우판(122f)를 통해 상기 외통체(121)와 내통체(122)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후측간극통로를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외통체(121)와 내통체(122)와의 결합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간극통로, 예컨데 호형부(121d)를 따라 세제수용수단(120)의 전으로 토출되어 탈수조(4) 내부로 투입되어 진다. 그리고, 오존수에 용해된 세제(C)중의 일부는 급쉬되는 오존수의 낙하속도에 의해 내통체(122)의 바닥면(122c)후측에 뚫려져 있는 세제배출구멍(122l)으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 외통체(121)와 내통체(122)와의 결합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간극통로, 예컨데 외통체(121)의 호형부(121d)를 따라 세탁조(2) 또는 탈수조(4)의 내부로 투입되고, 대부분의 용해세제는 내통체(122)에 형성된 제1오버플로우판(122d)의 하부면과 바닥면(122c)과의 간극통로를 통과함과 동시에 제1오버플로우판(122d)과 제2오버플로우판(122f)과의 간극통로를 통해 상승되면서 제2오버플로우판(122f)의 상부측을 넘쳐서 외통체(121)와 내통체(122)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후측간극통로를 통해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이 오존수는 계속적으로 외통체(121)와 내통체(122)와의 결합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간극통로, 예컨데 외통체(121)의 호형부(121d)를 따라 세탁조(2) 또는 탈수조(4)의 내부로 급수되어진다. 또, 상기 세탁조(2) 또는 탈수조(4) 내부로 공급된 용해된 세제는 먼저 투입된 피세탁물 및 오존수와 펄세이터(5)의 좌우반전에 의해 수류가 형성됨으로써 세탁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에 의하면, 오존공급수단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과 급수수단에 의해 급수된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세제를 완전히 용해시키면서 이때 발생되는 거품을 빠른시간내에 세탁 및 탈수조 내부로 투입시켜줌과 동시에 세제수용수단의 외통체내에서 내통체가 슬라이드되어 개폐가능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세제를 완전히 용해시켜 공급함에 따라 세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수 및 세제사용량을 현저히 줄여 수질 등 환경의 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세제에 의한 피세탁물의 얼룩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세제용해장치에 대하여 급수를 하기 위한 급수수단이 갖추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7)에 세제를 용해 촉진시키도록 장착된 유속가속수단(110)과, 상기 유속가속수단(110)내에 흐르는 세탁수에 오존을 공급시키는 오존공습수단(140)과, 상기 유속가속수단(110)을 매개로 급수수단(7)에 의해 급수되도록 연결되고 세제를 수용 및 용해배출하는 세제수용수단(1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수단(140)은 하측과 상측에 각각 대기공기흡입실(141)과 오존발생실(142)을 갖춘 하우징(143)과, 상기 하우징(143)의 상측에 상기 오존발생실(142)과 연통되게 연결고정되어 상기 유속가속수단(110)내에 오존공급을 유도하는 오존공급관(1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수단(140)은 그 가동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세탁수의 가속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유속가속수단(110)내에 공습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수단(140)은 그 가동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송풍력에 의해 상기 유속가속수단(110)내에 공급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KR2019930020041U 1993-09-28 1993-09-28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KR0118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041U KR0118074Y1 (ko) 1993-09-28 1993-09-28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041U KR0118074Y1 (ko) 1993-09-28 1993-09-28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916U KR950008916U (ko) 1995-04-19
KR0118074Y1 true KR0118074Y1 (ko) 1998-04-23

Family

ID=1936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041U KR0118074Y1 (ko) 1993-09-28 1993-09-28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0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916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715B1 (ko) 세제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070060934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JP2004057821A (ja) 洗濯機
CN109663516B (zh) 微气泡产生循环系统及衣物处理装置
JP6484806B2 (ja) 洗濯機
JP2009153594A (ja) 洗濯機
KR20180108027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생성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의 공급 방법
CN107869030B (zh) 一种洗涤剂投入装置、洗衣机以及投入方法
KR20140130931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0118074Y1 (ko) 오존을 이용한 세제용해장치가 장착된 세탁기
KR201000965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60100616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970004052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CN113302351B (zh) 洗衣机
CN112323355A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进水组件
KR20030009845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JP7285400B2 (ja) 洗濯機
CN211733938U (zh) 电极板、电解装置及衣物处理设备
WO2015151456A1 (ja) 洗濯機
JPH06277384A (ja) 洗濯機
KR10103419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JPS63139597A (ja) 洗濯機
KR20190045555A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CN111118829A (zh) 一种洗涤剂盒组件及洗衣机
KR960010685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