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407Y1 - 수직형 다단 펌프 - Google Patents

수직형 다단 펌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407Y1
KR0117407Y1 KR2019950020527U KR19950020527U KR0117407Y1 KR 0117407 Y1 KR0117407 Y1 KR 0117407Y1 KR 2019950020527 U KR2019950020527 U KR 2019950020527U KR 19950020527 U KR19950020527 U KR 19950020527U KR 0117407 Y1 KR0117407 Y1 KR 0117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ump
hole
vertical axis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0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108U (ko
Inventor
한용택
Original Assignee
한용택
주식회사 동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택, 주식회사 동양기계 filed Critical 한용택
Priority to KR2019950020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407Y1/ko
Publication of KR970010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1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6Multi-stage pumps
    • F04D1/08Multi-stage pumps the stages being situated concen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형 다단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펌프를 수직으로 설치함으로 인해 설치면적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펌프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할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본 고안은 고출력용 다단 펌프에 있어서, 원통형의 수직펌프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수직축,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 그리고 수직축의 선상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축이 회전할때 내부의 유체를 유입·압축·토출을 하는데 적용되는 회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다단펌프이다.

Description

수직형 다단 펌프
제1도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제2도는 물이송부의 저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11:급수부
12,12a:수평 송출부13:유입공
30:커플링40:수직축
50:몸체51:구멍
52:만곡형의 가이드53:구멍
60:팬61:원통형의 유입구
62:경사부63:제2경사부
64:만곡형의 가이드65:돌출부
66:다각형의 구멍70:커버
70:커버71:구멍
72:고정돌기부80:회전체
90:고정링100:압착부재
110:체결부재101:구멍
본 고안은 수직형 다단펌프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펌프를 수직으로 설치함으로 인해 설치면적(공간확보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펌프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펌프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 용도의 펌프가 개발, 사용되고 있는데, 일예를 들어 펌프는 일반적으로 원심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물을 원심력에 의해 압축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한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누수 방지용 실러와 실러의 내측으로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만곡형 날개를 형성한 회전축을 삽입하며, 일측 끝단의 회전축의 단부에 커플링을 형성하여 공지의 모터를 연결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되는 펌프는 모터를 회전시키고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만곡형의 회전 날개를 회전시킴으로 인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구로 흡입하여 토출구로 방출함으로 이송하게 된다.
또 한예로, 고출력용 다단 펌프로서 원통형의 수평 펌프 하우징과 일측에 구동용 모터를 형성하고, 커플링을 이용한 수평축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축의 선상에는 몸체, 팬, 커버를 형성한 회전체를 축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하되, 몸체는 원통형으로서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개방되는 대향면의 그 중앙에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대향면의 양측으로 즉, 원주방향의 내측으로 유체의 흐름을 일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와 구멍을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 팬은 원심력에 의한 물의 흐름에 압력을 추가하기 위한것으로 가이드와 중앙에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는 팬에 유체를 일정하게 유입하게 하는 것으로 중앙에 구멍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회전체를 즉, 몸체와 팬을 양측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축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고정링을 삽입, 그 대향단에 나사를 형성 압착부재를 삽입하여 체결부재로 체결한다.
상기, 압축부재는 원통형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면의 대향되는 면에 축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고출력용 다단펌프는 모터의 회전으로 축과 축선상에 형성된 팬을 회전시켜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는 과정 즉, 원심력에 위해 유체가 원주방향으로 튀면서 (가이드를 따라 흐름) 속도 에너지와 압력 에너지를 얻은 후 구멍을 통해 측면에 접해있는 회전체로 유입되어 동일한 과정을 거쳐 재 압축하게 되면서 압력과 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고출력으로 유체를 토출구로 방출하게 되는데, 회전체 내에 형성되어 있는 팬이 회전시 중력및 기구적인 영향으로 인해 송출압력이 손실되는 즉, 출력이 저하 (이론 출력과 사용 출력이 다름)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를 수직으로 설치함으로 인해 설치면적 (공간활용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직형 다단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펌프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즉 고출력의 수직형 다단펌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고출력용 다단 펌프에 있어서, 원통형의 수직펌프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수직축,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 그리고 수직축의 선상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축이 회전할때 내부의 유체를 유입·압축·토출작용을 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는 내부에 만곡형 가이드와 구멍을 형성한 팬을 형성하여 상부로 유체를 이송시킬 수 있게 복수개를 형성하되, 상기 수직축의 하부로 밀려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압축부재를 삽입하여 체결 부재로 고정한다.
이하, 상술한 목적및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도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이며, 제2도는 유체 이송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서, 원통형의 수직펌프 하우징(10)과 상부에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20)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커플링(30)를 이용한 수직축(40)을 수직으로 형성하되, 상기, 수직펌프 하우징(10)은 하단으로 수직 급수부(11)와 복수개의 수평 송출부(12,12a)로 형성되며, 수평송출부(12,12a)사이에 유입공(13)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축(40)의 선상에는 몸체(50), 팬(60), 커버(70)를 형성한 회전체(80)를 축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하되, 몸체(50)는 원통형으로서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개방되는 대향면의 그 중앙에 구멍(51)을 형성함과 아울러 대향면의 양측으로 즉, 원주방향의 내측으로 유체의 흐름을 일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만곡형의 가이드(52)와 구멍(53)을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 팬(60)은 원심력에 의한 유채의 흐름에 압력을 추가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를 일정하게 유입하게 하는 원통형의 유입구(61)의 끝단에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6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62)와 동일한 제2경사부(63)를 평행하게 형성하되, 그 사이에 만곡형의 가이드(64)와 중앙에 다각형의 구멍(66)을 형성한 돌출부(65)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70)는 중앙에 구멍(71)을 형성하고 원주방향으로 고정돌기부(7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81, 82, 83)를 양측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축(40)의 상부 일측에 홈(41)을 형성하여 고정링(90)을 삽입, 그 대향단에 나사부(42)를 형성·압착부재(100)를 삽입하여 체결부재(110)로 체결한다.
상기, 압착부재(100)는 원통형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면을 마주보는 면에 수직축(40)의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42)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01)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20)으로 부터 발생된 회전은 커플링(30)을 통하여 수직축(4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수직축(40) 선상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80)내의 팬(60)이 회전을 하게 됨과 동시에 내부에 채워져 있는 유체가 팬(60)의 원심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나게 될때 즉, 경사부(62)와 제2경사부(6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만곡형 가이드(64)를 따라 밀려나면서 유체는 속도에너지를 얻게 되며 밀려난 유체가 몸체(50)의 원주 내측으로 모이게 되면서 소정의 압축이 되며 이후 몸체(50)의 원주면에 형성된 만곡형 가이드(52)와 구멍(53)을 통하여 상부에 형성된 또다른 회전체(8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의 구멍을 통하여 팬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압축및 이송 작용을 반복하게 되면서 1차·2차·3차...로 압축되면서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팬의 원심력에 의해 유체가 밀려나게 될때 유체가 밀려난 공간은 진공상태가 됨으로 일측에 즉, 원통형의 유입구외측(저면)에 있는 유체가 들어오게 되는 것으로 연속해서 유체를 압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팬이 수직축의 직각방향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유체의 흡입및 압축시 동일한 중력을 받고 있음으로 중력에 의한 마찰손실을 최소화 할수 있게 된다.
앞에 설명한 본 고안이 일 실시예의 회전체(80)와 커버(70)및 그 내부에 형성된 팬(60)은 부식과 탄성이 강한 합성수지계의 재질이었으나, 본 고안은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자성체및 비자성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원통형의 수직펌프 하우징과 상부에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커플링를 이용한 수직축을 수직으로 형성하되, 상기, 수직펌프 하우징은 하단으로 수직 급수부와 복수개의 수평 송출부로 형성되며, 수평 송출부사이에 유입공을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펌프를 수직으로 설치함으로 인해 설치면적(공간확보율)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펌프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할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하며 실용성이 있는 고안이다.

Claims (4)

  1. 원통형의 수직펌프 하우징(10)과 상부에 전기에너지를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20)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커플링(30)를 이용한 수직축(40)을 수직으로 형성하되, 상기, 수직펌프 하우징(10)은 하단으로 수직 급수부(11)와 복수개의 수평 송출부(12, 12a)로 형성되며, 수평 송출부(12, 12a)사이에 유입공(13)이 형성되게 구성하고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대향면의 그 중앙에 구멍(51)이 형성되며 대향면의 양측으로 만곡형의 가이드(52)와 구멍(53)을 다수개 형성한 몸체(50)와; 원통형의 유입구(61)의 끝단에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6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62)와 동일한 제2경사부(63)를 평행하게 형성하되, 그 사이에 만곡형의 가이드(64)와 중앙에 다각형의 구멍(66)을 형성한 돌출부(65)로 형성한 팬(60)과; 중앙에 구멍(71)을 형성하고 원주방향으로 고정돌기부(72)를 형성한 커버(70); 로 구성된 회전체(80) 수직축(40)의 선상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회전체(81, 82, 83)를 양측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 수직축(40)의 상부 일측에 홈(41)을 형성하여 고정링(90)을 삽입, 그 대향단에 나사부(42)를 형성하고 압착부재(100)를 삽입하여 체결부재(110)로 체결하여서 된 수직형 다단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은 상부에 커플링을 형성하여 상기, 전기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다단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축의 하부에 회전체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것은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다단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자성체 및 비자성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다단펌프.
KR2019950020527U 1995-08-09 1995-08-09 수직형 다단 펌프 KR0117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27U KR0117407Y1 (ko) 1995-08-09 1995-08-09 수직형 다단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0527U KR0117407Y1 (ko) 1995-08-09 1995-08-09 수직형 다단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108U KR970010108U (ko) 1997-03-29
KR0117407Y1 true KR0117407Y1 (ko) 1998-06-15

Family

ID=1942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0527U KR0117407Y1 (ko) 1995-08-09 1995-08-09 수직형 다단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4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108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7314A (en) Centrifugal pump
KR0117407Y1 (ko) 수직형 다단 펌프
KR20220090364A (ko) 압축기
US6019586A (en) Gradationally contracted screw compression equipment
KR102219944B1 (ko)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없는 단일 채널 수중펌프
WO2008096963A1 (en) Screw pump
US5261783A (en) Kinetic pump having a centerless impeller
US20150159659A1 (en) Fluid Pump
CN105526173A (zh) 一种转子压缩机
KR200493104Y1 (ko) 에어씰이 구비된 에어블로워
KR102033355B1 (ko) 소형 터보 압축기
KR102406339B1 (ko) 방폭형 마그네틱 블로워
KR102128892B1 (ko) 원심력이 증가된 초고압용 원심펌프
KR101081707B1 (ko) 불균질의 고농축 슬러리 전용 원심펌프
RU1433133C (ru) Черпаковый насос
KR100525827B1 (ko) 유체펌프
KR100311403B1 (ko) 터보 압축기의 베어링 구조
KR0177954B1 (ko) 로타리압축기의 흡입구조
KR200360455Y1 (ko) 진공펌프의하우징
KR100273373B1 (ko) 터보압축기의 임펠러 고정구조
KR200233544Y1 (ko) 송풍기용 임펠러의 구조
KR890001330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급유장치
AU2010241317B2 (en) New Fluid Pump
AU2013277010B2 (en) New Fluid Pump
KR200299084Y1 (ko) 모터의 회전자를 이용한 흡입 및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