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730Y1 -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 Google Patents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730Y1
KR0116730Y1 KR2019950001274U KR19950001274U KR0116730Y1 KR 0116730 Y1 KR0116730 Y1 KR 0116730Y1 KR 2019950001274 U KR2019950001274 U KR 2019950001274U KR 19950001274 U KR19950001274 U KR 19950001274U KR 0116730 Y1 KR0116730 Y1 KR 0116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bar
spool
cam
pinion gear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456U (ko
Inventor
오철석
Original Assignee
오철석
주식회사신아스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석, 주식회사신아스포트 filed Critical 오철석
Priority to KR2019950001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730Y1/ko
Publication of KR960026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5Ratchet-type dr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베이스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를 순간적으로 이탈시키기 위한 순간이탈장치가 개시된다. 썸바(30)와 함께 일체적으로 선회될 수 있게 되는 썸바 캠(52), 스프링(42)에 의해 썸바 캠(52)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썸바 캠(52)의 다른 단부에 의해 압압되어 스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되며, 자유단부가 메인 새프트(32)에 장착되는 래칫 휘일(34,38)에 접촉될 수 있고 중간이 경사지게 절곡된 제1분기부(60)와, 자유단부가 프레임(12)에 형성되는 보스부(48)에 의해 미끄럼이동가능하며 중간이 경사지게 절곡된 제2분기부(62)를 지니며, 썸바 캠(52)의 선회에 따라 절곡경사부에 의해 피니언기어(18)를 스풀축(16)으로부터 이찰시키게 되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 및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커버(90)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는 돌출부(92)가 형성되며 제2위치에서는 썸바 캠(52)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고 제1위치에서는 썸바 캠(52)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풀리핑레버(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부품수가 감소되고, 주변구조가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 비용이 감소되며, 스프링의 사점 변경방식이 아닌 플리킹레버의 슬라이딩 방식을 채용하여 부드럽게 작동하며, 최종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이탈장치 및 순간이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제1도의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일찰장치 및 순간이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
제3도(가) 및 (나)는 제2도의 선 A-A 단면도로서, (가)는 스풀축과 피니언기어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나)는 그 이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이탈장치 및 순간이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4도의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이탈장치 및 순간이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도와 유사도
제6도 (가) 및 (나)는 제5도의 선 B-B 단면도로서, (가)는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나)는 그 이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 베이트 캐스팅 릴 12,112 : 프레임
14,114 : 스풀 16,116 : 스풀축
18,118 : 피니언기어 20,120 : 요크
22,122 : 돌기부 24,124 : 원주방향 홈
26,126 : 요크 스프링 28,128 : 릴리이즈 슬라이더
30,130 : 썸바 32,132 : 메인 샤프트
34 : 스타 트립 래칫 36 : 슬라이더 스프링
38 : 링 트립 래칫 40 : 리테이너
42 : 썸바 캠 스프링 44 : 절곡경사부
46 : 슬라이딩부 48 : 보스부
50 : 지지핀 52 : 썸바 캠
54 : 슬로트 56 : 걸림편
58 : 스크루우 60 : 제1분기부
62 : 제2분기부 64,164 : 드라이브 기어
66,166 : 플리핑레버 90 : 커버
92 : 돌출부 168 : 캠부
170 : 링크 172 : 링크 스프링
174 : 래칫 휘일 176 : 비틀림 스프링
178 : 스크루우 180 : 지지핀
182 : 걸림편 184 : 제1슬로트 186 : 제2슬로트
본 고안은 베이트 캐스팅 릴(bait casting reel)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부품의 수가 최소화되어 공정을 단축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며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되어 부드러운 작동감각을 제공하게 되는 베이트 개스팅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베이트 개스팅 릴은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드라이브 기어가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키고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이 스풀축에 전달되어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을 회전시키는 작동구조를 취하게 된다. 낚싯줄을 투척하는 경우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이 자유롭게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풀축으로부터 피니언기어를 이탈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며, 방출된 낚싯줄을 감을 경우에는 다시 피니언기어와 스풀을 계합시켜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이 스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풀과 피니언기어 이탈장치가 제공되게 된다. 또한, 낚싯줄에 물린 고기를 유인하는 경우에는 낚싯줄을 순간적으로 풀어 주어야만 하게 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베이트 캐스팅 릴에는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가 제공되게 된다.
제1도내지 제3도(가)(나)에 도시된 종래의 대표적인 베이트 캐스팅릴(110)은 상부 프레임(이하, 프레임이라 함)(112)을 구비하며, 프레임(112)의 하방에는 낚싯줄이 감겨지게 되는 스풀(114)이 제공된다. 스풀(114)은 스풀축(1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풀축(116)은 프레임(112)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프레임(112)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풀축(116)의 부분에는 돌기부(122)가 형성되며, 돌기부(122)는 스풀축(116)에 끼워지는 피니언기어(118)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홈(도시 안됨)의 회전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164)가 회전되면, 피닌언기어(18)는 드라이브 기어(164)의 회전력을 스출축(116)에 전달하여 스풀(114)을 회전시키게 된다.
피니언기어(118)의 축방향 중간부분에는 원주방향 홈(124)이 형성되고 원주방향 홈(124)에는 요크(yoke)(120)의 중간부분이 끼워지게 된다. 요크(120)의 양단부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들은 프레임(112)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하는 축부분에 삽입되어 상하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축부분에 삽입되는 요크(120)의 상부에는 요크 스프링(126)이 제공되며, 요크 스프링(126)은 프레임(112)의 상부에 제공되는 커버(도시 안됨)에 의해 압축되어 요크(120)를 하방을 향하여 즉, 상술한 스풀축(116)에 대한 피니언기어(118)의 계합위치로 압압하게 된다.
피니언기어(118)의 외주부에 근접한 프레임(112)의 부분은 상방으로 돌출되며, 이와같이 돌출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요크(120)의 하면에 릴리이즈 슬라이더(12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프레임(112)의 상면에는 제1슬로트(184)가 형성되고, 릴리이즈 슬라이더(128)의 일부분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제1슬로트(184)를 관통하여 스풀(114)의 측방에 제공되는 썸바(thumb-bar)(130)에 고정된다. 따라서 썸바(130)를 선회시키면, 릴리이즈 슬라이더(128)는 스풀(114)과 피니언기어(118)의 이탈위치와 계합위치사이에서 제1슬로트(184)를 따라 선회될 수 있게 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128)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캠부(cam portion)(168)이 형성되며, 캠부(168)들은 각각 요트(120)의 양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128)의 일 측부에는 소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공에는 스프링(176)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비틀림 스프링(176)의 다른 단부는 상기 일 측부에 근접하여 제공되는 플리핑레버(flipping lever)(166)에 고정된다. 플리핑레버(166)는 프레임(112)의 표면에 제공되는 지지핀(180)에 순간이탈위치(제1위치)와 해제위치(제2위치)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스프링(176)의 플리핑레버(166)측 고정점이 프레임(112)의 외측에 있게 되는 위치 즉 스프링 플리핑레버(166)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썸바(130)를 선회시켜 릴리이즈 슬라이더(128)를 선회시키는 경우, 스프링(176)의 작용방향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릴리이즈 슬라이더(128)는 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128)가 선회되면 요크(120)에 근접하여 제공되는 캠부(168)도 선회되며, 캠부(168)들은 선회되면서 요크(120)에 접촉되어 요크 스프링(126)의 하방 압력을 극복하고 요크(12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요크(120)의 상승에 따라 요크(120)에 결합된 피니언기어(118)도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피니언기어(118)가 스풀축(116)의 돌기부(122)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스풀축(116)은 피니언기어(118)와는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스풀(114)과 피니언기어(118)가 이탈된 상태에서 낚싯줄을 순간적으로 방출시켜 낚싯줄에 물린 고기를 유인할 수 있게 되고 썸바(130)를 놓으면 상기 이탈상태는 해제되어 스풀(114)과 피니언기어(118)는 다시 계합되게 된다.
스프링(176)의 플리핑레버(166)측 고정점이 프레임(112)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되게 되는 위치 즉 스프링 플리핑레버(166)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썸바(130)를 선회시켜 릴리이즈 슬라이더(128)를 선회시키는 경우에는, 스프링(176)의 작용방향이 반대로 되기 때문에, 썸바(130)를 놓는다 하여도 릴리이즈 슬라이더(128)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지 않게 된다.
제2도에서 릴리이즈 슬라이더(128)의 측방에는 링크(170)가 제공되며, 링크(170)의 일단부에는 제2슬로트(186)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걸림편(182)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스크루우(178)가 링크(170)의 상기 제2슬로트(186)를 관통하여 프레임(112)에 고정됨으로써, 링크(170)는 릴리이즈 슬라이더(128)에 의해 밀리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링크(170)의 다른 단부에는 링크 스프링(172)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링크 스프링(172)의 다른 단부는 프레임(112)에 형성되는 지지핀 부분에 고정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128)가 이탈위치로 선회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182)은 메인 샤프트 (132)에 끼워지는 래칫 휘일(174)의 치부(tooth)들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플리핑레버(166)가 제2위치로 선회되고 써바(130)에 의해 릴리이즈 슬라이더(128)가 이탈위치로 선회되면, 릴리이즈 슬라이더(128)는 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그 위치에 그대로 유지되고 링크(170)는 선회되는 릴리이즈 슬라이더(128)에 의해 밀리게 되어 그 걸림편(182)이 래칫 휘일(174)의 치부들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128)의 선회에 따라 캠부(168)가 선회되어 요트(120)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고, 피니언기어(118)가 스풀축(116)의 돌기부(122)로 부터 이탈되며, 스풀축(116)은 피니언기어(118)와는 독립적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낚시를 투척하면, 스풀(114)로 부터 낚싯줄이 자유롭게 풀려나갈 수 있게 된다. 낚시를 투척하고 나서 다시 낚싯줄을 감기 위해 핸들을 돌리면, 메인 샤프트(132)에 장착되는 래칫 휘일(174)의 치부들이 링크(170)의 걸림편(182)을 쳐서 링크(170)를 이동시키게 되고 그 링크(170)의 이동에 의해 릴리이즈 슬라이더(128)는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피니언기어(118)가 스풀축(116)의 돌기부(122)에 다시 계합되고 스풀축(116)은 피니언기어(118)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에 있어서는, 일단부가 릴리이즈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스프링의 플리핑레버에 고정되는 스프링의 사점(dead point) 변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동에 많은 힘이 소모되어 감각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고,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많은 수의부품이 필요하게 되며, 제조 및 조립에 있어서 비용이 상승되고, 최종제품의 불량율이 증가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의 수가 최소화되어 제조비가 감소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되어 부드러운 감각을 제공하게 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함께 회전가능하게 스풀(14)을 지지하고 프레임(1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돌기부(22)가 형성되는 스풀축(16)과, 그 스풀축(16)의 돌기부(22)에 이탈가능하게 계합면서 그 중간부분에는 원주방향 홈(24)이 형성되고, 핸들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드라이브기어(64)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8)와, 그 피니언기어(18)의 원주방향 홈(24)에 끼워지면서 그 양단부는 요크스프링(26)을 개재하여 하방으로 압압되고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프레임(12)에 형성되는 지지축에 끼워지게 되는 요크(20)를 구비하는 베이트캐스트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에 있어서; 스풀(14)의 측방에 제공되는 썸바(30)의 축에 고정되어 썸바(30)와 함께 일체적으로 선회될 수 있게 썸바 캠(52); 스프링(42)에 의해 썸바 캠(52)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썸바 캠(52)의 회전에 따라 다른 단부에 접촉하여 스풀축과 피니언의 계합위치와 이탈고정위치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몸체부분에는 슬로트(54)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고정위치에서 자유단부가 메인 샤프트(32)에 장착되는 래칫 휘일(34,38)에 접촉하는 제1분기부(60)와, 그 이탈고정위치에서 자유단부가 프레임(12)에 형성되는 보스부(48)에 걸려 스풀축(16)과 피니언기어(18)의 이탈고정상태가 유지되는 제2분기부(62)를 지니며, 제1분기부(60)와 제2분기부(62)의 중간부분은 경사지게 절곡되어 그 각각의 자유단부가 상기 계합위치에서 요크(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썸바 캠(52)의 선회에 따라 피니언기어(18)를 스풀축(16)으로 부터 이탈시키게 되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 릴리이즈 슬라이더(28)에 마련되는 상기 스로트(54)를 통과하여 프레임(12)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고정되어 상기 릴리이즈슬라이더(28)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트루우 부재(58); 스크루우 부재(58)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면서 일단부는 프레임(12)에 형성되는 지지핀(50)에 걸리게 되고 다른 단부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에 형성되는 걸림편(56)에 걸리게 되어 릴리이즈 슬리아더(28)를 상기 계합위치로 압압하게 되는 슬라이더 스프링(36); 및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커버(90)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는 돌출부(92)가 형성되며, 제1위치에서는 상기 릴리이즈 슬라이더(28)의 이동이 상기 계합위치와 이탈고정위치사이의 순간이탈위치로 제한하도록 상기 돌출부(92)에 썸바 캠(52)의 일단부가 접촉하여 썸바 캠(52)의 이동을 제한하며, 제2위치에서는 썸바 캠(52)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플리핑레버(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선행기술에서 존재되었던 스프링을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를 이탈시키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주변구조가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에 있어서 비용이 감소되며, 스프링의 사점변경방식이 아닌 플리핑레버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부드러운 감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최종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내지는 대응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트 캐스팅 릴(10)은 제4도 내지 제6도 (가)(나)에서 제1도 내지 제3도 (가)(나)에서와 동일하게, 프레임(12)을 구비하며, 프레임(12)의 하방에는 낚싯줄이 감겨지게 되는 스풀(14)이 제공된다. 스풀(14)은 스풀축(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풀축(16)은 프레임(12)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프레임(12)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풀축(16)의 부분에는 돌기부(22)가 형성되며, 돌기부(22)는 스풀축(16)에 끼워지는 피니언기어(18)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홈(도시 안됨)에 삽입된다. 피니언기어(18)는 메인샤프트(3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드라이브 기어(64)에 맞물리게 된다. 핸들(도시 안됨)의 회전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64)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18)는 드라이브 기어(64)의 회전력을 스풀축(16)에 전달하여 스풀(14)을 회전시키게 된다.
피니언기어(18)의 축방향 중간부분에는 원주방향 홈(24)이 형성되고 원주방향 홈(24)에는 요크(yoke)(20)의 중간부분이 끼워지게 된다. 요크(20)의 양단부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들에는 프레임(12)에 돌출적으로 형성되는 축부분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 축부분이 삽입되게 되는 요크(20)의 상부에는 요크스프링(26)이 제공되며, 요크스프링(26)은 프레임(12)의 상부에 제공되는 커버(도시 안됨)에 압축되어 요크(20)를 하방을 향하여 압압하게 된다.
프레임(12)의 상면에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가 제공되고, 릴리이즈 슬라이더(28)의 외측에는 썸바 캠(52)가 제공된다. 썸바 캠(52)는 스풀(14)의 측방에 제공되는 썸바(30)의 축에 고정되어 썸바(30)와 함께 일체적으로 선회될 수 있게 된다. 썸바 캠(52)의 일단부에는 썸바 캠 스프링(42)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썸바 캠 스프링(42)의 다른 단부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의 중앙 몸통부에 형성되는 돌출편에 고정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28)의 중앙 몸통부에는 슬로트(54)가 형성되고, 슬로트(54)가 형성되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의 부분은 프레임(12) 돌출적올 형성되는 돌출부에 대해 안착된다. 스크루우(58)가 상기 슬로트(54)를 통과하여 상기 둘출부에 고정됨으로써, 릴리이즈 슬라이더(28)는 프레임(12)상에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28)는 상기 썸바 캠(52)의 다른 단부에 의해 압압되어 메인 샤프트(32)로 부터 이격되는 계합위치와 메인 샤프트(32)에 근접한 이탈고정위치사이에서 상기 슬로트(54)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썸바 캠(52)에 대향되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의 부분에는 제1분기부(60) 및 제2분기부(6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분기부들(60 및 62)은 스풀축(16)을 사이에 두고 대향적으로 위치되게 된다. 제1분기부(60)와 제2분기부(62)의 중간부분은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절곡경사부(44)를 형성하게 되며, 절곡경사부(44)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분기부(60 및 62)의 자유단부쪽 부분들은 프레임(1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샤프트(32)에는 스타 트립 래칫(34)이 장착되고, 스타 트립 래칫(34)의 상방에는 링 트립 래칫(38)이 제공되게 된다. 링 트립 래칫(38)이 회전되면, 링 트림 래칫(38)의 각각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치부들은 스타 트립 래칫(34)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치부들에 접촉되어 스타 트립 래칫(34)을 회전시키게 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28)가 계합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분기부(60)의 자유단부는 상기 스타 트립 래칫(34)의 치부들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제2분기부(62)에 근접하여 프레임(12)의 상면에는 보스부(48)가 제공되며, 제2분기부(62)의 자유단부는 상기 보스부(48)에 대해 압착된 상태에서 안내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부(46)를 형성하게 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28)가 계합위치로 이동되면, 제2분기부(62)는 상기 보스부(48)의 메인 샤프트(32)측 단부에 걸리게 되어 릴리이즈 슬라이더(28)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1분기부(60)와 제2분기부(62)의 각각의 자유단부는 요크(20)의 하방에 위치되고 절곡경사부(44)는 요크(20)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릴리이즈 슬라이더(28)가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각각의 절곡경사부(44)는 메인 샤프트(32)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부에 위치한 요크(20)에 접촉하여 요크(20)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18)의 홈(124)에 요크(20)의 중앙부가 삽입되어 있어, 요크(20)와 함께 피니언기어(18)가 상부로 이동하여 스풀축(16)의 돌기부(22)로 부터 이탈되며, 피니언기어(18)와 스풀축(16)의 계합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스크루우(58)의 몸통부 둘레에는 슬라이더 스프링(36)이 제공되며, 스프링(36)의 일단부는 프레임(12)에 돌출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핀(50)에 걸리게 되고, 스프링(36)의 다른 단부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의 측방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걸림편(56)에 걸리게 된다. 슬라이더 스프링(36)은 릴리이즈 슬라이더(28)를 제1위치를 향하여 압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면 부호 40은 메인 샤프트(32)를 지지하는 리테이너를 나타내며, 종래의 리테이너(140)와 달리 제1분기부(60)를 안내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프레임(12)의 상부를 덮는 커버(90)의 일 측부에는 절취부가 형성되고, 절취부에는 플리핑레버(66)가 끼워지게 된다. 플리핑레버(66)는 서로 일체로 되는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로 구성되고, 외측부재는 커버(90)의 외면에 위치되며, 내측부재는 커버(90)의 내면에 위치된다. 썸바 캠(52)에 근접한 내측부재의 단부부분에는 돌출부(92)가 형성되게 되고, 플리핑레버(66)는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플리핑레버(66)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플리핑레버(66)의 내측부재에 형성되는 돌출부(92)가 썸바 캠(52)의 완전한 선회를 제한하게 되어 썸바 캠(52)를 선회시켰다 놓으면 릴리이즈 슬라이더(28)는 피니언 기어(18)를 스풀축(16)으로 이탈시켰다가 다시 계합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플리핑레버(66)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썸바 캠(52)의 자유로운 선회가 보장되어 썸바 캠(52)를 선회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부(46)가 프레임(12)의 보스부(48)에 걸리게됨으로써 릴리이즈 슬라이더(28)는 계합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플리핑레버(66)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풀(14)과 피니언기어(18)를 순간적으로 이탈시켜 낚싯줄을 순간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낚싯줄에 물린 고기를 유인할 수 있게 되고, 썸바(30)를 놓으면 상기 이탈상태는 해제되어 스풀(14)과 피니언기어(18)는 다시 계합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선행기술에서 존재되었던 스르링을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를 이탈시키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주변구조가 간단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에 있어서 비용이 감소되며, 스프링의 사점 변경방식이 아닌 플리핑레버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부드러운 감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최종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함께 회전가능하게 스풀(14)을 지지하고 프레임(1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돌기부(22)가 형성되는 스풀축(16)과, 그 스풀축(16)의 돌기부(22)에 이탈가능하게 계합되면서 그 중간부분에는 원주방향 홈(24)이 형성되고, 핸들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드라이브기어(64)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8)와, 그 피니언기어(18)의 원주방향 홈(24)에 끼워지면서 그 양단부는 요크스프링(26)을 개재하여 하방으로 압압되고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프레임(12)에 형성되는 지지축에 끼워지게 되는 요크(20)를 구비하는 베이트캐스트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에 있어서 ; 스풀(14)의 측방에 제공되는 썸바(30)의 축에 고정되어 썸바(30)와 함께 일체적으로 선회될 수 있게 되는 썸바 캠(52) ; 스프링(42)에 의해 썸바 캠(52)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썸바 캠(52)의 회전에 따라 다른 단부에 접촉하여 스풀축과 피니언의 계합위치와 이탈고정위치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몸체부분에는 스로트(54)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고정위치에서 자유단부가 메인 샤프트(32)에 장착되는 래칫 휘일(34,38)에 접촉하는 제1분기부(60)와, 그 이탈고정위이에서 자유단부가 프레임(12)에 형성되는 부스부(48)에 걸려 스풀축(16)과 피니언기어(18)의 이탈고정상태가 유지되는 제2분기부(62)를 지니며, 제1분기부(60)와 제2분기부(62)의 중간부분은 경사지게 절곡되어 그 각각의 자유단부가 상기 계합위치에서 요크(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썸바 캠(52)의 선회에 따라 피니언기어(18)를 스풀축(16)으로 부터 이탈시키게 되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 ; 릴리이즈 슬라이더(28)에 마련되는 상기 슬로트(54)를 통과하여 프레임(12)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고정되어 상기 릴리이즈슬라이더(28)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크루우 부재(58) ; 스크루우 부재(58)의 둘레를 따라 제공되면서 일단부는 프레임(12)에 형성되는 지지핀(50)에 걸리게 되고 다른 단부는 릴리이즈 슬라이더(28)에 형성되는 걸림편(56)에 걸리게 되어 릴리이즈 슬라이더(28)를 상기 계합위치로 압압하게 되는 슬라이더 스프링(36) ; 및 제1위치와 제2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커버(90)에 고정되고 그 내측에는 돌출부(92)가 형성되며, 제1위치에서는 상기 릴리이즈슬라이더(28)의 이동이 상기 계합위치와 이탈고정위치사이의 순간이탈위치로 제한하도록 상기 돌출부(92)에 썸바 캠(52)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플리핑레버(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이탈장치.
KR2019950001274U 1995-01-27 1995-01-27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KR0116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274U KR0116730Y1 (ko) 1995-01-27 1995-01-27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274U KR0116730Y1 (ko) 1995-01-27 1995-01-27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456U KR960026456U (ko) 1996-08-17
KR0116730Y1 true KR0116730Y1 (ko) 1998-04-22

Family

ID=1940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274U KR0116730Y1 (ko) 1995-01-27 1995-01-27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7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456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3201A (en) Speed control device
JPS5935090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ドラグ装置
JPH0246295Y2 (ko)
KR0116730Y1 (ko)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순간 이탈장치
KR920003650Y1 (ko) 낚시용 릴의 스풀제동력 절환장치
US4359197A (en) Silent-selective anti-reverse mechanism
US5139212A (en) Fishing reel
US4747559A (en) Bail arm turning-over device for a fishing reel
EP0698343A2 (en)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US4369936A (en) Fishing reel clutch control mechanism
US4709874A (en) Clutch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S5940812Y2 (ja) ブロ−チ
US6003801A (en)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with low-resistance line feed
KR0116729Y1 (ko) 베이트 캐스팅 릴의 스풀과 피니언기어 이탈장치
JPH09289851A (ja) 釣用リール
US4738409A (en) Fishing reel
US4548370A (en) Fishing reel clutch actuator
US4640471A (en) Clutch releasing and braking mechanism for fishing reel
US6499683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US6328239B1 (en) Clutch mechanism of fishing line winder
JP3384924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KR200191968Y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클러치 착탈장치
JPH0425975Y2 (ko)
JPH0316462Y2 (ko)
JPH03274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