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528Y1 - Connecting device tailstock with carriage of lathe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tailstock with carriage of lath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528Y1
KR0112528Y1 KR2019940028814U KR19940028814U KR0112528Y1 KR 0112528 Y1 KR0112528 Y1 KR 0112528Y1 KR 2019940028814 U KR2019940028814 U KR 2019940028814U KR 19940028814 U KR19940028814 U KR 19940028814U KR 0112528 Y1 KR0112528 Y1 KR 0112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stock
carriage
fixed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8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3521U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40028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528Y1/en
Publication of KR960013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2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528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3/00Tailstocks; Cen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의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반의 심압대(3)와 왕복대(4)에 있어서, 상기 심압대 (3)의 일측에 두개의 파일럿핀(10)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왕복대(4)의 일측에도 고정핀(11)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파일럿핀(10)내는 연결플레이트(12)의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11)에는 연결플레이트(12)와 연결플레이트(12)의 타측에 고정된 가이드블럭(13)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다수의 볼트(14)로써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5)가 결합된 것으로, 왕복대의 이송에 따라 심압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압대를 손으로 밀어야 하는 수고를 덜고, 구멍가공시 드릴이 고정된 심압대를 왕복대와 함께 등속자동이송시킴으로써 구멍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ilstock and a carriage connecting device of the shelf, in the tailstock 3 and the carriage 4 of the shelf, two pilot pins (10) ar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ailstock (3) The fixing pin 1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arriage 4, and the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2 is coupled to the pilot pin 10, and the connecting plate 12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n 11. 12) and a fixed plate 15 which is movable between the guide block 13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2 and fixed by a plurality of bolts 14 is coupled. By reducing the effort to push the tailstock by hand by the transf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cessing accuracy of the hole by constant-speed automatic transfer of the tailstock in which the drill is fixed at the same time with the carriage.

Description

선반의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 장치Tailstock and shuttle linkages on shelves

제1도는 일반적인 선반의 개략 정면도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general shelf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 장치의 분리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ilstock and the carriag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il stock and the carriag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심압대 4 : 왕복대3: tailstock 4: shuttle

10 : 파일럿핀 11 : 고정핀10: pilot pin 11: fixed pin

12 : 연결플레이트 13 : 가이드블럭12: connecting plate 13: guide block

14 : 고정플레이트 15 : 볼트14: fixing plate 15: bolt

16 : 부시 17,18 : 구멍16: bush 17,18: hole

본 고안은 선반의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의 왕복대에 심압대를 고정하여 왕복대의 자동이송에 따라 심압대를 자동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반의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ilstock and a carriage connecting device of the shelf,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tailstock of the shelf to fix the tailstock to the shelf of the shelf to automatically move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automatic transfer of the carriage It relates to a carriage connecting device.

일반적으로, 선반의 주요부분을 대분하면,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이 고정되어 회전하는 주축대(1)와, 상기 주축대(1) 우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베드(2)와, 상기 베드(2)위에 주축대(1)와 마주보는 위치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심압대(3)와, 상기 베드(2)의 전방측에 안착되어 베드(2)를 따라 상기 주축대(1)와 심압대(3) 사이를 왕복이동하며 그 상단에 공구대(4a)가 고정되어 있는 왕복대(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왕복대(4)는 이송손잡이(7)를 돌려 수동으로 이송하거나 베드(2) 전면의 리드나사(9)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나사절삭을 하거나 정밀절삭을 요할 경우에는 상기 왕복대(4)를 자동이송시키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main part of the shelf is largely divided, as shown in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headstock 1 is fixed and rotated, and the bed 2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right end of the headstock 1. ), The tailstock 3 which is seated and moved in a position facing the headstock 1 on the bed 2, and the headstock along the bed 2 being se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ed 2; It consists of the carriage 4 which reciprocates between (1) and tailstock 3, and the tool post 4a is fixed to the upper end. In this case, the carriage 4 can be transferred manually by turning the transfer handle 7 or by automatically rotating the lead screw 9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2. For example, when the thread cutting or precise cutting is required, the carriage 4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반으로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는, 주축대(1)에 공작물을 고정하고, 심압대(3)에는 센터드릴(도시생략)을 설치한 후, 심압대(3)의 고정레버(5)를 해제하여 심압대(3)를 베드(2)를 따라 공작물측으로 손으로 밀어 이 심압대(3)에 설치된 센터드릴을 공작물 가까이 위치시킨 다시 심압대(2)의 고정레버(5)로 심압대(3)를 베드(2)상에 고정한 후, 주축과 공작물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심압대(3)의 이송레버(8)를 돌려 센터드릴을 미세하게 전진시키면서 공작물의 일단에 센터홈을 가공한다.When the workpiece is machined by the lath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workpiece is fixed to the main shaft 1, the center drill 3 is provided with a center drill (not shown), and the fixing lever 5 of the tailstock 3 is provided. Release the tailstock (3) by hand along the bed (2) to the workpiece side and place the center drill installed on the tailstock (3) close to the workpiece. After fixing (3) on the bed (2), the center groove is machined at one end of the workpiece while the main shaft and the workpiece are rotated, by turning the feed lever 8 of the tailstock 3 to advance the center drill finely. do.

이와 같이 센터홈이 형성되면 상기 센터드릴을 심압대(3)로부터 탈거시키고, 심압대(3)에 센터공구(6)를 삽입시켜 그 전단을 공작물의 센터홈에 갖춘 후, 주축대(1)를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왕복대(4)의 이송손잡이(7)을 회전시키거나, 공구대(4a)를 움직여서 절삭가공을 수행하였다.When the center groove is formed in this way, the center drill is removed from the tailstock 3, the center tool 6 is inserted into the tailstock 3, and the front end is provided in the center groove of the workpiece. Rotate In this state, cutting was performed by rotating the transfer handle 7 of the carriage 4 or by moving the tool post 4a.

또한, 심압대(3)에 드릴을 삽입시켜 공작물에 구멍가공을 할때에는 심압대(3)를 밀어 드릴을 공작물 가까이 위치시키고 심압대(3)의 이송레버(8)를 회전조작하여 드릴을 이송시켜 구멍을 가공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drill is inserted into the tailstock 3 to drill a hole, the tailstock 3 is pushed to position the drill close to the workpiece, and the feed lever 8 of the tailstock 3 is rotated to transfer the drill. To make hol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반에 있어서 심압대(3)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심압대(3)를 이동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심압대(3)의 고정레버(5)를 해제 시킨 후 손으로 밀어 이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그 이동작업이 매우 불편하였고, 심압대(3)에 드릴을 삽입시켜 구멍가공을 실시할때에는 이송레버(8)를 일정한 속도로 돌리기가 어려위 결국 드릴을 등속으로 이송시키지 못함으로써 구멍의 가공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helf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ailstock 3 is moved, there is no separate device for moving the tailstock 3, and then the release lever 5 of the tailstock 3 is released. Since the movement was very inconvenient because it had to be moved, it was difficult to turn the feed lever 8 at a constant speed when inserting the drill into the tailstock 3 so that the drill could not be transported at constant speed. Thereby,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the processing precision of a hole fell.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시 심압대를 왕복대와 연결해서 왕복대의 자동이송에 따라 심압대를 자동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심압대를 손으로 밀어야하는 수고를 덜고, 드릴가공의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tailstock and a carriage connecting device to connect the tailstock with the carriage if necessary to automatically transfer the tailstock according to the automatic transfer of the carriag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ouble of pushing the tailstock by hand and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drill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반의 심압대와 왕복대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압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왕복대의 일측에 그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측에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블럭이 갖추어져 있고, 이 가이드블럭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심압대의 일측에는 다수의 파일럿핀이 돌출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파일럿핀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구멍이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왕복대의 일측에는 고정핀이 돌출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핀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멍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를 연결 또는 분리시킴에 의하여 상기 심압대가 왕복대에 연결 또는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device for connecting the tailstock of the shelf and the carriage, one end of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one side of the carriage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tailstock.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is made to include a fixed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the guide plate for inserting the fixed plate to be movable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olts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fixing plate coupled to the guide block, and a plurality of pilot pins protruding fixed on one side of the tail stock, removable on the pilot pin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at are coupled securely, One side of the fixing pin is projected and fixed,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is provided with a hol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in, by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fixing plate by the tailstock is a carri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or release to.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압대 (3)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12)와, 왕복대(4)의 일측에 그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상기 연결플레이트(12)의 타측에 베드(3)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14)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necting plate 12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tail stock 3, and one end of the carriage 4 is detachable.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late 14 is fixed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2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ed 3.

상기 연결플레이트(12)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블럭(13)이 갖추어져 있고, 이 가이드블럭(13)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4)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15)가 갖추어져 있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2 is provided with a guide block 13 for inserting the fixed plate 14 to be movable, to fix and release the fixed plate 14 coupled to the guide block 13 A number of bolts 15 are provided for.

상기 심압대(3)의 일측에는 다수의 파일럿핀(10)이 돌출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2)의 일측에는 상기 파일럿핀(10)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구멍(17)이 갖추어져 있다.A plurality of pilot pins 10 are protrud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tailstock 3, and a plurality of holes 17 detachably coupled to the pilot pins 10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2. Equipped

상기 왕복대(4)의 일측에는 고정핀(11)이 돌출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4)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핀(11)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멍(18)이 갖추어져 있다.A fixing pin 11 protrudes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arriage 4, and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4 is provided with a hole 18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in 11.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1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4)의 구멍(17)(18)에는 부시(16)가 재재되어 있으며, 이 부시(16)가 각각 상기 파일럿핀(10)과 고정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 bush 16 is mounted in the holes 17 and 18 of the connecting plate 12 and the fixing plate 14, and the bush 16 is respectively the pilot pin 10 and the fixing pin ( 11) to be detachably coupl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심압대(3)를 왕복대(4)에 연결하여 왕복대(4)의 자동이송동작으로 자동이송되도록 하고자 할 경우, 심압대(3) 일측의 파일럿핀(10)에 연결플레이트(12)의 부시(16)를 결합시키고, 왕복대(4) 일측의 고정핀(11)에 고정플레이트(14)의 부시(16)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통하여, 심압대(3)와 왕복대(4)에 각각 연결플레이트(12)와 고정플레이트(14)를 연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connecting the tailstock 3 to the carriage 4 to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by the automatic transfer operation of the carriage 4, the pilot pin 10 on one side of the tailstock 3 Coupling the bush 16 of the connecting plate 12, the coupling of the bush 16 of the fixing plate 14 to the fixing pin 11 on one side of the carriage 4, tailstock (3) The connecting plate 12 and the fixed plate 1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nd the carriage 4.

이후, 심압대(3) 또는 왕복대(4)를 이동하여 연결플레이트(12)의 가이드블럭(13)에 고정플레이트(14)를 삽입시키고, 이에 볼트(15)를 체결하여 연결플레이트(12)와 고정플레이트(12)가 해제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Thereafter, the tailstock 3 or the carriage 4 is moved to insert the fixing plate 14 into the guide block 13 of the connecting plate 12, and the bolt 15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plate 12. The fixing plate 12 is fixed so as not to be released.

이상과 같이 하여, 심압대(3)와 왕복대(4)가 연결된 상태에서 심압대(3)의 고정레버(5)를 회전시켜 심압대(3)를 베드(2)로부터 해재시키고, 왕복대(4)의 이송손잡이(7)를 회전시키면 상기 심압대(3)는 왕복대(4)에 연결플레이트(12)와 고정플레이트(14)로써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심압대(3)와 왕복대(4)가 동시에 일체로 이송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ailstock 3 is released from the bed 2 by rotating the fixing lever 5 of the tailstock 3 while the tailstock 3 and the carriage 4 are connected. The tailstock 3 is connected to the carriage 4 by the connecting plate 12 and the fixed plate 14 when the transfer handle 7 of the feeder 7 is rotated. 4) can be conveyed integrally at the same time.

이때에, 심압대(3)에 드릴을 삽입시켜 구멍가공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심압대(3)와 왕복대(4)가 연결결합된 상태에서 왕복대(4)의 이송손잡이(7)를 회전시켜 심압대(3)에 설치된 드릴을 공작물 가까이 위치시킨 후, 선반의 자동이송장치를 작동시킨다. 자동이송장치가 작동되면 왕복대(4)가 리드나사(9)에 의하여 등속자동이송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심압대(3)와 그 드릴이 일체로 등속자동이송되므로 드릴작업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rill is to be inserted into the tailstock 3 to drill the hole, the transfer handle of the carriage 4 in the state in which the tailstock 3 and the carriage 4 are coupled as described above. 7) Rotate the drill installed on the tailstock (3) close to the workpiece, and then operate the automatic feeder of the lathe. When the automatic feeder is operated, the carriage 4 is uniformly fed by the lead screw 9, and the tailstock 3 and the drill connected thereto are uniformly fed at the same speed so that drilling is easily and precisely performed. You can do it.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볼트(15)를 해제시켜서 연결플레이트(12)와 고정플레이트(14)를 해제하고, 각각의 플레이트(12)(14)를 파일럿핀(10) 및 고정핀(11)로부터 분리시키면 심압대(3)와 왕복대(4)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일럿핀(10)과 고정핀(11)은 심압대(3)와 왕복대(4)에 그대로 방치하여도 되고, 분리시켜서 별도로 보관하여도 된다.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bolt 15 is released to release the connecting plate 12 and the fixing plate 14, and each plate 12, 14 is removed from the pilot pin 10 and the fixing pin 11. By separating, the tail stock 3 and the carriage 4 can be disconnected. In this case, the pilot pin 10 and the fixing pin 11 may be left in the tail stock 3 and the carriage 4 as it is, or may be separated and stored separate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심압대를 왕복대와 결합연결해서 왕복대의 자동이송기능에 따라 심압대를 자동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심압대를 손으로 밀어야하는 수고를 덜고, 드릴작업시 심압대를 등속자동이송시킬 수 있음으로 해서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tailstock with the carriage to allow the tailstock to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automatic transfer function of the carriage, thereby reducing the trouble of pushing the tailstock by h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cessing accuracy by being able to feed the rod at constant speed automatically.

Claims (2)

선반의 심압대(3)와 왕복대(4)를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압대(3)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12)와, 상기 왕복대(4)의 일측에 그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상기 연결플레이트(12)의 타측에 베드(3)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플레이트(12)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4)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블럭(13)이 갖추어져 있고, 이 가이드블럭(13)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14)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15)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심압대(3)의 일측에는 다수의 파일럿핀(10)이 돌출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2)의 일측에는 상기 파일럿핀(10)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구멍(17)이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왕복대(4)의 일측에는 고정핀(11)이 돌출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4)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핀(11)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멍(18)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장치.In the apparatus for connecting the tailstock 3 and the carriage 4 of the shelf, a connecting plate 12 that is detach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tailstock 3 and to one side of the carriage 4 At the same time that one end is detachably fixed, the other end is made to include a fixed plate 14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2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ed 3, the connection plate, One side of the 12 is provided with a guide block 13 for inserting the fixed plate 14 to be movable, a plurality of fixing plates 14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coupled to the guide block 13 A bolt 15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pilot pins 10 are protrud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tail stock 3,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ilot pins 10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2.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holes 17, A fixing pin 11 protrudes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ag 4, and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4 is provided with a hole 18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in 11. Rack tailstock and carriage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4)의 구멍(17)(18)에 부시(16)를 개재시켜 각각 상기 파일럿핀(10)과 고정핀(11)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심압대와 왕복대 연결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late 12 and the fixing plate 14 of the holes 17, 18 through the bush 16 through the coupling to the pilot pin 10 and the fixing pin 11, respectively Tailstock and carriage connecting device of th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KR2019940028814U 1994-10-31 1994-10-31 Connecting device tailstock with carriage of lathe KR01125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814U KR0112528Y1 (en) 1994-10-31 1994-10-31 Connecting device tailstock with carriage of lath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814U KR0112528Y1 (en) 1994-10-31 1994-10-31 Connecting device tailstock with carriage of lat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21U KR960013521U (en) 1996-05-17
KR0112528Y1 true KR0112528Y1 (en) 1998-04-09

Family

ID=1939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814U KR0112528Y1 (en) 1994-10-31 1994-10-31 Connecting device tailstock with carriage of lath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52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21U (en)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999A (en) Machine vice with force amplifier
US4656726A (en) Drilling machine tool
US2833546A (en) Universal tool holder
KR0112528Y1 (en) Connecting device tailstock with carriage of lathe
US4355938A (en) Automatic work piece changer for a milling machine and the like
KR20120013305A (en) Work supply apparatus and machine tool provided with the work supply apparatus
US4837918A (en) Machine tool assembly
JP3908495B2 (en) Boring bar support device and machine tool
US3288003A (en) Lathe
US2148779A (en) Machine tool holder
JPS6113936B2 (en)
KR200218379Y1 (en) Tailstock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NC Shelf
US3903765A (en) Simplified lathe
US3359840A (en) Extension tool holder
US2868550A (en) Collet
CN218193855U (en) Anchor clamps aligning device of digit control machine tool
US3387515A (en) Modular lathes
JPS60197306A (en) Work holding device for machine tools
GB1282475A (en) Improvements in machine tools
RU1816560C (en) Device for conical holes processing
JP4201400B2 (en) Workpiece collection device and automatic lathe equipped with the same
KR102375704B1 (en) Tool machine having tailstock
KR200142428Y1 (en) Work clamping feed device for machine tool
US3348438A (en) Modular lathes
US2775167A (en) Machining of long work-pie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