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307Y1 - Audio apparatus having alarm and back music - Google Patents

Audio apparatus having alarm and back mus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307Y1
KR0112307Y1 KR2019940021628U KR19940021628U KR0112307Y1 KR 0112307 Y1 KR0112307 Y1 KR 0112307Y1 KR 2019940021628 U KR2019940021628 U KR 2019940021628U KR 19940021628 U KR19940021628 U KR 19940021628U KR 0112307 Y1 KR0112307 Y1 KR 0112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larm
background music
transis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6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09072U (en
Inventor
이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307Y1/en
Publication of KR960009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307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개시된 고안은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발생기능과 재생되는 음향신호의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겸비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향장치는 시계기능을 구비하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다양한 자연의 음을 저장하고 있는 사운드 롬을 이용하여 대기상태에서 기 설정한 알람 발생단위의 시간마다 자연의 음을 알람 사운드로 출력하고, 대기 상태 해제 후에는 자연의 음을 본래 재생되는 음향신호의 배경 음악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은 마이콤에 의해 적정레벨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The disclosed design relates to a sound apparatus having a time generating alarm function and a background music generation function of a sound signal to be reproduced. The soun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lock func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by using a sound ROM that stores various sounds of nature, the sound of nature is set at each preset alarm generation time in the standby state. The alarm sound is output, and after the standby state is released, the sound of nature is output to the background music of the originally reproduced sound signal.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output signal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by the microcomputer.

따라서, 본 고안은 음향신호가 재생되지 않는 동안은 일정시간 단위로 알람 사운드를 발생하고, 음향신호가 재생되면 그 재생되는 음향신호의 배경 음악을 발생할 수 있어 음향기기의 기능 확대 및 청각적으로 시간 인식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larm soun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while the sound signal is not reproduced, and when the sound signal is reproduced, it can generate the background music of the reproduced sound signal, thereby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sound device and audibly. It provides a recognition effect.

Description

알람발생기능과 배경음악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Sound system with alarm generation and background music genera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coustic device having an alarm generating function and a background music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조작부 12 : 마이콤11: control panel 12: micom

13 : 알람구동부 14 : 배경음악 구동부13: alarm driving unit 14: background music driving unit

15 : 사운드 롬 16 : 버퍼15: sound ROM 16: buffer

17 : 음량조절부 18 : 메인앰프17: volume control unit 18: main amplifier

19 : 스피커 20 : 형광 표시판 구동부19: speaker 20: fluorescent display panel driver

21 : 형광표시판21: fluorescent display panel

본 고안은 음향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자연의 음을 음향신호가 재생되기 전 까지는 시간을 알리는 알람 사운드로 발생시키고 음향신호가 재생되면 그 자연의 음을 재생되는 음향신호의 배경음악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device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Particularly, various natural sounds are generated as an alarm sound indicating the time until the sound signal is reproduced, and the sound of the nature is reproduced when the sound signal is reproduc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device that can be generated as background music of a signal.

일반적으로 음향장치는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전까지의 대기(Stand-By)상태에서 어떤 기능도 수행하지 않는다. 그래서, 음향 장치의 기능 확대가 요구되어 졌다. 또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 VTR)등의 영상/음향 기기에서는 타이머(Timer)를 내장하여 시간을 알려줄 수 있는 시계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사용자가 시간표시 부분을 보지 않고는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the sound apparatus does not perform any function in the stand-by state until the sound signal is reproduced. Thus,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the acoustic device has been required. In addition, a video / audio device such as a video tape recorder (VTR) has a clock function for informing a time by incorporating a timer. 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cannot confirm without looking at the time display par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시계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에서 대기 상태시 다양한 자연의 음(Natural Sound)을 시간마다 발생하여 시간을 알려주고, 대기 상태 해제 후에는 발생되는 음향신호의 배경음악으로 발생시켜 줄 수 있는 음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ify the time by generating a variety of natural sounds (hourly time) in the standby state in the sound device equipped with a clock func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sound generated after the standby state is released It is to provide a sound device that can be generated as the background music of the sign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는 음향장치에 있어서, 조작부와, 현재시간을 카운트하며, 대기상태시 알람 구동부를 구동하고 기 설정한 알람 발생단위의 시간마다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 받은 음의 종류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사운드 롬을 제어하며, 상기 조작부로부터 대기상태 해제신호가 인가되면 배경 음악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 받은 음의 종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사운드 롬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사운드 롬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알람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사운드 롬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음향장치로 음향재생이 가능하도록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경음악 구동부, 및 다양한 자연의 음을 저장하고, 상기 알람 구동부와 상기 배경 음악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자연의 음을 발생하는 사운드 롬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coustic device having an alarm generating function and a background music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a current time counting operation, and an alarm driving unit in standby state. The sound ROM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a sound type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at each alarm generating unit time. When a standby state release signal is applied from the operation unit, the sound ROM is driven and the background music driving unit is selecte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ROM in response to the signal, an alarm driver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sound ROM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nd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sound ROM when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Drive background music to supply driving power for sound reproduction with sound device And storing the notes of various nature, and the alarm driver and the background driven by the driving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music drive unit and includes a sound ROM for generating the sound of the nature if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is appli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향장치는 음향신호가 재생되기 이전상태(이하, 대기상태라 함)를 해제하기 위한 제1스위치(SW1)와, 다양한 자연의 음(Natural Sound)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스위치(SW2)로 이루어진 조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11)에는 시계기능을 수행하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12)이 연결된다. 마이콤(12)은 대기상태시 제1출력단(O1)을 통해 알람구동부13)를 제어한다. 알람 구동부(13)는 마이콤(12)의 제1출력단(O1)에 베이스가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Ql)와, 제1트랜지스터(Ql)의 콜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에 구동전원 B+가 연결되어 제1트랜지스터(Ql)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트랜지스터(Q2), 및 제2트랜지스터(Q2)의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는 제1레귤레이터(REGl)로 이루어진다. 마이콤(12)은 대기상태 해제시 제2출력단(O2)을 통해 배경음악 구동부(14)을 제어한다. 배경음악 구동부(14)는 마이콤(12)의 제2출력단(O2)에 베이스가 연결된 제3트랜지스터(Q3)와,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에 구동 전원 B+가 연결되어 제3트랜지스터(Q3)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4트랜지스터(Q4), 및 제4트랜지스터(Q4)의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는 제2레귤레이터(REG2)로 이루어진다. 알람구동부(13)와 배경음악구동부(14)의 레귤레이터(REG1,REG2)에는 다양한 자연의 음을 저장하고 있는 사운드롬(15)이 연결된다. 사운드 롬(15)은 마이콤(12)에도 연결되어 마이콤(12)의 제어하에 해당하는 자연의 음을 발생한다. 사운드 롬(15)의 출력단에는 버퍼(16)가 연결된다. 마이콤(12)의 제3출력단(O3)과 버퍼(16)의 출력단 사이에는 음량 조절부(17)가 연결된다. 음량조절부(17)는 미 도시된 음향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음향신호(AUDIO)와 발생된 자연의 음에 대한 음량을 조절한다. 음량 조절부(17)에는 음량 조절된 신호를 일정크기로 증폭시켜 스피커(19)를 통해 내보내는 메인 앰프(Main-AMP)(18)가 연결된다. 마이콤(12)에는 또한, 현재 시간을 형광표시판(Vacuum Fluore Scent Display; 이하 VFD 라 함)(21)에 표시시키는 VFD구동부(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coustic device having an alarm generating function and a background music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oun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one of the first switch SW1 for releasing a state before the sound signal is reproduc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andby state) and one of various natural sounds. The operation part 11 which consists of 2nd switches SW2 for this is provided. The operation unit 11 performs a clock function, and the microcomputer 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s connected. The microcomputer 12 controls the alarm driver 13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in the standby state. The alarm driver 13 has a first transistor Q l connected to a base at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of the microcomputer 12, a base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Q l , and a driving power source to the emitter. A second transistor Q 2 connected to B + and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irst transistor Q l , and a first regulator REG l supplied with pow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econd transistor Q 2 . ) The microcomputer 12 controls the background music driving unit 14 through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2 when the standby state is released. The background music driving unit 14 has a third transistor Q 3 connected to a base at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2 of the microcomputer 12, and a base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third transistor Q 3 and driven to the emitter. The fourth transistor Q 4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B + and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hird transistor Q 3 , and the second regulator REG supplied pow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ourth transistor Q 4 . 2 ) The regulators REG 1 and REG 2 of the alarm driver 13 and the background music driver 14 are connected to a sound ROM 15 storing various sounds of nature. The sound ROM 15 is also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2 to generate natural sounds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2. The buffer 16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ound ROM 15. The volume controller 17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output terminal O 3 of the microcomputer 12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buffer 16. The volume control unit 17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signal AUDIO reproduced from the sound reproduction means (not shown) and the natural sound generated. The volume control unit 17 is connected to the main amplifier (Main-AMP) (18) for amplifying the volume control signal to a certain size and to send through the speaker (19). The microcomputer 12 is also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VFD driver 20 for displaying a current time on a fluorescent display panel (VFD) 2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에 대한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ound device having the alarm generating function and the background music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음향 기기가 기능수행을 위해 키 입fur을 대기하고 있는 대기상태에서 마이콤(12)은 현재시간을 카운트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1)의 제2스위치(SW2)를 통해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사운드의 종류를 선택하여 마이콤(12)으로 입력시킨다. 마이콤(12)은 대기상태에서 제1출력단(O1)을 통해 하이(High)레벨의 신호를 알람구동부(13)로 공급한다. 알람 구동부(13)는 마이콤(12)으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사운드 롬(15)의 전원 공급단자(VDD)로 전원을 공급한다. 즉, 알람구동부(13)의 제1트랜지스터(Ql)는 마이콤(12)으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면 dhs(ON)상대가 된다. 제1트랜지스터(Ql)가 온(ON)됨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Q2)도 온(ON)되어 구동전원 B+을 제1레귤레이터(REGl)로 공급한다. 제1레귤레이터(REGl)는 입력전원 B+에 응답하여 사운드롬(15)이 동작가능하도록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마이콤(12)은 사전에 설정한 알람발생 단위의 시간이 체크될 때 마다 조작부(11)의 제 2스위치(SW2)에 의해 선택된 알람 사운드의 증류에 해당하는 자연의 음이 발생되도록 사운드롬(15)을 제어한다. 사운드롬(15)은 동작가능한 상태에서 마이콤(12)의 제어하에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자연의 음(예를 들면; 파도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등등)중 해당자연의 음을 알람 사운드로 발생한다. 버퍼(16)는 입력되는 알람사운드를 음량조절부(17)로 출력한다. 음량조절부(17)는 마이콤(12)에 의해 음량을 결정한다. 마이콤(12)은 현재음량을 0으로 초기화시킨 후 사전 설정한 알람 사운드의 적정 레벨로 음량을 결정한다. 음량 조절부(17)는 마이콤(12)에 의해 결정된 음량에 따라 입력되는 알람사운드의 음량을 조절한다. 음량조절부(17)에서 음량조절된 알람사운드는 메인엠프(18)에서 일정크기로 증폭된 후 스피커(19)를 통해 송출된다. 사용자는 스피커(19)에서 송출되는 자연의 음을 들으므로 시간표시화면을 보지 않고도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First, the microcomputer 12 counts the current time in the standby state in which the acoustic device is waiting for a key input to perform a function. The user selects a type of alarm sound that informs the time through the second switch SW 2 of the operation unit 11 and inputs it to the microcomputer 12. The microcomputer 12 supplies a high level signal to the alarm driver 13 through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in the standby state. The alarm driver 13 supplies power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 DD of the sound ROM 15 while a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12. That is, the first transistor (Q l) of the alarm driving section 13 is applied a signal of a high (High) level from the microcomputer 12 and a relative dhs (ON). As the first transistor Q 1 is turned on, the second transistor Q 2 is also turned on to supply the driving power B + to the first regulator REG 1 . The first regulator REG 1 supplies an operating power to enable the sound ROM 15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input power B + . The microcomputer 12 generates a sound ROM such that a natural sound corresponding to the distillation of the alarm sound selected by the second switch SW 2 of the operation unit 11 is generated whenever the time of the preset alarm generation unit is checked. 15). The sound rom 15 generates an alarm sound of a natural sound among various natural sounds (for example, waves, wind sounds, birds sounds, etc.)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2 in an operable state. The buffer 16 outputs the input alarm sound to the volume controller 17. The volume control unit 17 determines the volume by the microcomputer 12. The microcomputer 12 resets the current volume to zero and then determines the volume to an appropriate level of the preset alarm sound. The volume controller 17 adjusts the volume of the alarm sound input according to the volume determined by the microcomputer 12. The alarm sound adjusted in the volume control unit 17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ain amplifier 18 and then output through the speaker 19. Since the user hears the natural sound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19, the user can recognize the time without looking at the time display screen.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11)의 제1스위치(SW1)를 통해 대기 상태를 해제시키고 본래의 음향재생기능을 수행토록 하면 마이콤(12)은 제1출력단(O1) 대신 제 2출력단(O2)을 통해 하이(High)레벨의 신호를 배경음악구동부(14)로 공급한다. 배경음악 구동부(14)는 마이콤(12)으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사운드롬(l5)의 전원공급단자(VDD)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즉, 배경음악 구동부(14)의 제3트랜지스터(Q3)는 마이콤(12)로부터 하이(Hig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면 온(ON)상태가 된다. 제3트랜지스터(Q3)가 온(ON)됨에 따라 제4트랜지스터(Q4)도 온(ON)되어 구동전원 B+을 제2레귤레이터(REG2)로 공급한다. 제2레귤레이터(REG2)는 입력전원 B+에 응답하여 사운드 롬(15)이 동작 가능하도록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제2레귤레이터(REG2)는 또한, 이 동작전원을 음향기기상의 원래 음향신호 재생을 위한 전원으로도 공급한다. 마이콤(12)은 조작부(11)의 제2스위치(SW2)에 의해 선택된 배경음악(Black Ground Sound)의 종류에 해당하는 자연의 음이 발생되도록 사운드 롬(15)을 제어한다. 사운드 롬(15)은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마이콤(12)의 제어하에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자연의 음 (예를 들면; 파도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등등)중 해당 자연의 음을 배경음악으로 발생한다. 버퍼(16)는 입력되는 배경음악을 음량 조절부(17)로 출력한다. 음량조절부(1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정되는 음량에 따라 입력되는 배경음악의 음량을 조절한다. 이때, 음량 조절부(17)는 튜터, CD등의 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음향신호(AUDIO)를 인가 받아 배경음악과 함께 출력한다. 음량 조절부(17)에서 음량 조절된 신호는 메인 앰프(18)에서 일정크기로 증폭된 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19)를 통해 송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standby state through the first switch SW 1 of the operation unit 11 and performs the original sound reproduction function, the microcomputer 12 replaces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instead of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 2 ) the high level signal is supplied to the background music driver 14. The background music driver 14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V DD of the sound ROM 15 while a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12. That is, the third transistor Q 3 of the background music driver 14 is turned on when a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12. As the third transistor Q 3 is turned on, the fourth transistor Q 4 is turned on to supply the driving power B + to the second regulator REG 2 . The second regulator REG 2 supplies the operating power to enable the sound ROM 15 to operate in response to the input power B + . The second regulator REG 2 also supplies this operating power as a power for reproducing the original sound signal on the sound equipment. The microcomputer 12 controls the sound ROM 15 to generate a natural sound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background music (Black Ground Sound) selected by the second switch SW 2 of the operation unit 11. The sound ROM 15 generates the sound of the corresponding natural sound among the various natural sounds (for example, waves, wind, birds, etc.)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2 in an operable state. The buffer 16 outputs the input background music to the volume controller 17. The volume control unit 17 adjusts the volume of the background music input according to the volum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volume control unit 17 receives a sound signal (AUDIO) reproduced from a medium such as a tutor, CD, and outputs the background music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music. The signal whose volume is adjusted in the volume control unit 17 is amplified to a certain size in the main amplifier 18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9 so that a user can hear it.

마이콤(12)은 대기상태이거나 대기상태 해제 후에도 지속적으로 시간을 카운트한다. 마이콤(12)은 카운트되는 현재시간을 VFD구동부(20)를 통해 VFD(21)에 디스플레이 한다.The microcomputer 12 counts the time continuously even after the standby state or the standby state is released. The microcomputer 12 displays the current time counted on the VFD 21 through the VFD driver 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기기가 대기상태에서는 시간을 체크하여 기설정한 시간 단위로 알람 사운드를 발생하고, 대기상태 해제 후에는 원래 재생되는 음향신호의 배경음악을 발생하여 음향기기의 기능 확대 및 화면을 보지 않아도 시간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device having an alarm generating function and a background music generating function, and when the acoustic device checks the time in the standby state, generates an alarm soun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after the standby state is released. By generating the background music of the sound signal that is originally reproduced has the effect of recognizing the time audibly without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sound device and looking at the screen.

Claims (7)

음향장치에 있어서, 조작부; 현재시간을 카운트하며, 대기상태시 알람 구동부를 구동하고 기 설정한 알람 발생단위의 시간마다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 반은 음의 종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사운드 롬을 제어하며, 상기조작부로부터 대기 상태 해제 신호가 인가되면 배경음악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 받은 음의 종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사운드 롬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사운드롬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알람구동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사운드 롬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음향장치로 음향재생이 가능하도록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경음악 구동부; 및 다양한 자연의 음을 저장하고, 상기 알람 구동부와 상기 배경음악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해당 자연의 음을 발생하는 사운드 롬을 포함하는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An acoustic device comprising: an operation unit; Counts the current time, drives the alarm drive unit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control panel controls the sound ROM in response to the sound type selection signal at each preset time of the alarm generation unit, and releases the standby state signal from the operator.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background music driving unit when the background music driving unit is applied and controlling a sound ROM in response to a sound type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unit; An alarm driver supplying driving power to a sound ROM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 background music driver to supply driving power to a sound ROM when a driv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nd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sound device to reproduce sound; And an alarm generating function including a sound ROM storing various sounds of nature, driving by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alarm driver and the background music driver,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ound when a control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Sound system with background music gener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사운드 롬 사이에는 사운드 롬에서 발생되는 자연의 음을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음량에 따라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The alarm generating function and the background music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olume control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sound ROM according to a volum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Sound device provided wi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조절부는 상기 음량장치에서 재생되는 음향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사운드 롬에서 발생되는 자연의 음을 배경음악으로 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The alarm generating function and the background music generating func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volume adjusting unit receives the sound signal reproduced by the volume device and outputs the natural sound generated in the sound ROM as the background music. Equipped sound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롬과 상기 음량 조절부 사이에는 버퍼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4. The sound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buffer is connected between the sound ROM and the volum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레벨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어 제1트랜지스터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제 트랜지스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운드 롬을 구동시키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2.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driver comprises: a first transistor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leve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nd a base connected to a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a state of the first transistor. And a first regulator for supplying a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sound ROM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second transis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음악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레벨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제3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어 제3트랜지스터의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4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운드 롬과 상기 음향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 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ckground music driving unit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third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third transistor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leve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regulator for supplying a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sound ROM and the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ourth tran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카운트되는 현재시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발생기능과 배경음악 발생기능을 구비한 음향장치.The sound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being counted.
KR2019940021628U 1994-08-25 1994-08-25 Audio apparatus having alarm and back music KR011230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28U KR0112307Y1 (en) 1994-08-25 1994-08-25 Audio apparatus having alarm and back mus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628U KR0112307Y1 (en) 1994-08-25 1994-08-25 Audio apparatus having alarm and back mus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072U KR960009072U (en) 1996-03-16
KR0112307Y1 true KR0112307Y1 (en) 1998-04-08

Family

ID=7072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628U KR0112307Y1 (en) 1994-08-25 1994-08-25 Audio apparatus having alarm and back mus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307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072U (en)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11450A (en) Automatic sound-volume adjusting device of acoustic apparatus
KR0112307Y1 (en) Audio apparatus having alarm and back music
KR970073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control of A / V device
JPH0879877A (en) Voice processing output device
JP2003347869A (en) Tuning method for sound volume
JPH05283958A (en) Sound volume control system
KR960013308B1 (en) External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of tv.
KR970003042B1 (en) A method for warming-up start volume
KR970000798B1 (en) Portable wireless player
KR0131216Y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sound with timer
JPH098574A (en) Sound volume adjusting device
KR0141646B1 (en) Power source switching appratus of the audio system
KR20000001336U (en) Car audio volume control
JPH0746686A (en) Volume adjusting circuit device
KR20040023375A (en) Audio system of vehicle
KR910004794Y1 (en) Mode switching circuit of sound multiplex broadcasting
KR920005984B1 (en) Volume control circuit
JP3018665B2 (en) Initial setting method of input sound source for audio equipment
KR0138067Y1 (en) On-screen display signal color control apparatus for television
DK0784902T3 (e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system
KR970029718A (en) Audio component system with time signal
KR19990041209U (en) Small cassette alarm device
KR960012968A (en) TV output volume level adjuster
KR950012444A (en) Melody output device of video record player and its method
KR19980017759A (en) TV volum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