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277A -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277A
KR20240009277A KR1020220086554A KR20220086554A KR20240009277A KR 20240009277 A KR20240009277 A KR 20240009277A KR 1020220086554 A KR1020220086554 A KR 1020220086554A KR 20220086554 A KR20220086554 A KR 20220086554A KR 20240009277 A KR20240009277 A KR 20240009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dust collection
collection container
station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우진
조규상
김채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277A/en
Priority to PCT/KR2023/006589 priority patent/WO2024014679A1/en
Publication of KR2024000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27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Abstract

청소 장치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집진통 및 상기 제1 집진통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청소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브러시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 헤더,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2 집진통 및 상기 흡입 헤더와 상기 제2 집진통을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제2 청소기 및 상기 제1 청소기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집진통이 장착되며 상기 제2 집진통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장착홀을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 집진통 내의 이물질이 상기 장착홀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부, 상기 장착부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기류에 의해 상기 제2 집진통 내부에서부터 상기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을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 및 상기 제1 청소기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로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집진통과 상기 제2 집진통을 연통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제1 청소기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와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한다.The cleaning device includes a first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first dust collection bin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first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 first cleaner includ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bin, and is rotatable. A suction header including a drum brush and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n extension pipe connecting the suction header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It includes two cleaners and a station provided so that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can be seated. The sta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econd cleaner is mounted and a mounting hol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suction airflow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sucked through the mounting hole. A suction part forming a suction part, a collection part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part and the suction part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bin through the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part by the suction airflow, and the first cleaner. and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cleaner is seated, wherein one end of the se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clean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econd cleaner. 2 Includes a guide duct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Description

청소기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본 개시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lea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a station.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를 포함하여, 팬 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한 후 집진하여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ncludes a fan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power. It sucks i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long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wer generated by the fan motor,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from the air, and then collects the dust for cleaning. It is a device that makes it happen.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통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진공 청소기로부터 분리하여 집진통에서부터 배출시켜야 한다.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dust collection container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the user must periodically separate th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rom the vacuum cleaner and discharge them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hamber of a vacuum cleaner.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st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holding a stick vacuum cleaner and a robot vacuum cleaner.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스틱 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과 로봇 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station that can simultaneously remove foreign substances inside a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a stick vacuum cleane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a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a robot vacuum cleaner.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집진통 및 상기 제1 집진통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청소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브러시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 헤더,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2 집진통 및 상기 흡입 헤더와 상기 제2 집진통을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제2 청소기 및 상기 제1 청소기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집진통이 장착되며 상기 제2 집진통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장착홀을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 집진통 내의 이물질이 상기 장착홀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부, 상기 장착부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기류에 의해 상기 제2 집진통 내부에서부터 상기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을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 및 상기 제1 청소기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로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집진통과 상기 제2 집진통을 연통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제1 청소기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와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한다.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first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 first cleaner including an outle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discharged. , a suction header including a drum brush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 device connecting the suction header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It includes a second cleaner including an extension tube, and a station provided so that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can be seated. The sta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econd cleaner is mounted and a mounting hol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suction airflow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sucked through the mounting hole. A suction part forming a suction part, a collection part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part and the suction part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bin through the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part by the suction airflow, and the first cleaner. and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cleaner is seated, wherein one end of the se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clean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econd cleaner. 2 Includes a guide duct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제2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of the station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opening on which the first cleaner is seated an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and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first open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take port. It includes a second seat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opening, and the guide duct may extend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흡입 헤더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suction header of the second vacuum cleaner, and the seating plate may include the second opening.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 헤더의 안착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 브러시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 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rum brush to guide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suction header.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second cleaner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ating plate.

상기 실링 패드는 상기 안착 곡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실링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ad may include a sealing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curved portion.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제1 청소기의 상기 제1 집진통의 이물질이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집진통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상기 일단부터 상기 타단까지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상기 제2 집진통까지 형성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low path that guides foreign substances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first cleaner to move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econd cleaner, and the flow path extends from the one end of the guide duct to the other end. It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formed and a second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and formed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second cleaner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bin.

상기 제1 청소기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배출구 도어를 개폐하는 레버 장치 및 상기 레버 장치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청소기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청소기의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레버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outlet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and the station further includes a lever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door and a statio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lever device, and the station controller is configured to: 2 The lever device may be driven to open the outlet of the first cleaner by detecting that the cleaner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상기 제2 청소기는, 상기 드럼 브러시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 모듈 및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청소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청소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청소기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드럼 브러시가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um motor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rum brush, and a second cleane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um motor module, wherein the second cleaner controller allows the first cleaner to operate the first cleaner. 1 The drum motor module can be driven to rotate the drum brush of the second cleaner by detecting that 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드럼 브러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may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rum brush of the second cleaner.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덕트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upper guide frame forming an upper part of the guide duct and a lower guide frame forming a lower part of the guide duct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guide frame, and the upper guide frame and the lower guide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form the guide duct.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덕트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duct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guide frame and the lower guide frame.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안착부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안착부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guide frame may include a first guide frame provid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guide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frame and provid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은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과 연결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frame may include an upper wall and a first side wall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and the second guide frame may include a second side wall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덕트 및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2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덕트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guide duct includes a first guide duct formed by the first guide frame and a second guide duct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duct and formed by the second guide frame, and the first guide duct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duct may extend upward toward the second opening.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집진통 및 상기 제1 집진통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브러시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 헤더,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2 집진통 및 상기 제2 흡입구와 상기 제2 집진통을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스틱 청소기, 상기 로봇 청소기 및 상기 스틱 청소기가 안착되는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제2 집진통과 연통되어 상기 제2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제3 집진통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및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기 제1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제3 집진통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로서, 상기 제1 집진통에서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까지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상기 제2 집진통까지 연결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2 집진통에서 상기 제3 집진통까지 연결되는 제3 유로를 포함한다.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robot cleaner including a first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first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collected; A suction header including a rotatable drum brush and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 device connecting the second suction por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 stick cleaner including an extension pipe, the robot cleaner, and a station on which the stick cleaner is mounted, and includes a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tick cleaner and sucks and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 station that guides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robot cleaner to move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tation, and a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connect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stick cleaner. It includes a flow path, a second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and connected from the second intake port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third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로봇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안착부, 상기 스틱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제2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안착부 및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ation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robot cleaner is seated and which includes a first open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and a second opening on which the stick vacuum cleaner is seated and which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take port.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ating portion including a guide duct extend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the first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guide duct.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흡입 헤더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suction header of the stick cleaner, and the seating plate may include the second opening.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레버 장치 및 상기 레버 장치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스틱 청소기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레버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outlet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and the station further includes a lever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and a statio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lever device, and the station controller allows the stick cleaner to operate. By detecting that the robot cleaner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the lever device can be driven to open the outlet of the robot cleaner and open the first passage.

상기 스틱 청소기는, 상기 드럼 브러시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 모듈 및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제어하는 스틱 청소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틱 청소기 컨트롤러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드럼 브러시가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stick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um motor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rum brush, and a stick cleane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um motor module, wherein the stick cleaner controller allows the robot cleaner to be moun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By detecting seating, the drum motor module can be driven to rotate the drum brush of the stick cleaner.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of a vacuum cleaner can be removed.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어 공간 사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ick vacuum cleaner and the robot vacuum cleaner can be mounted at the same tim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space use.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틱 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과 로봇 청소기의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hamber of a stick vacuum cleaner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chamber of a robot vacuum cleaner can be removed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청소기의 흡입헤더의 분해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 제1 청소기 및 제2 청소기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을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이 흡입 헤더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과 제2 청소기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a suction header of a secon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ion from the fro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ion from the re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cleaner and a second cleaner installed in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n exploded view of a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1 is a view showing FIG. 10 from the bottom.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moving to the suction hea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ion and the secon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shown in each drawing of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terms “front,” “top,” “bottom,”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s and positions of each component are limited by these terms. It doesn't work.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청소 장치는 제1 청소기(10)와, 제2 청소기(50)와,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는 스테이션(100)에 안착됨으로써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cleaner 10, a second cleaner 50, and a station 100 on which 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are seated. 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coupled to the station 100 by being seated on the station 100 .

제1 청소기(10)는 로봇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기(10)는 스테이션(100)의 전방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는 스틱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50)는 스테이션(100)의 후방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10 may include a robot cleaner. The first cleaner 10 may be seated in front of the station 100. The second cleaner 50 may include a stick cleaner.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mounted at the rear of the station 100.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는 스테이션(100)에 거치 및/또는 보관될 수 있다.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는 스테이션(100)에 안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제1 청소기(10) 및 또는 제2 청소기(50)는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어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mounted and/or stored in the station 100. 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seated in the station 100 and charged. The first cleaner 10 and or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coupled to the station 10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collection bi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청소기의 횡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제1 청소기(10)는 로봇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기(10)는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의 하부에 마련되는 휠(14)과, 라이더 센서(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10 may include a robot cleaner. The first vacuum cleaner 1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11, a wheel 14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 and a lidar sensor 15.

휠(14)은 제1 하우징(11)이 바닥면을 따라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휠(14)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휠(14)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wheel 14 can allow the first housing 11 to travel along the floor. Wheels 14 may be provided as a pair. The wheel 14 may be arranged to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제1 하우징(11)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은 내부에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11 may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Electrical components may be plac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

제1 하우징(11)에는 제1 흡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2)는 피청소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2)는 제1 하우징(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2)를 통해 피청소면의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제1 집진통(19)으로 흡입될 수 있다.A first intake port 12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The first suction port 12 may be formed toward the surface being cleaned. The first intake port 12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2,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 be sucked into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along with air.

제1 흡입구(12)에는 제1 드럼 브러시(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드럼 브러시(13)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드럼 브러시(13)는 피청소면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비산시킬 수 있다. 비산된 이물질은 주변 공기와 함께 제1 흡입구(12)로 흡입될 수 있다.A first drum brush 13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uction port 12. The first drum brush 13 may be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11 . The first drum brush 13 can scatter foreign substances by hitt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Scattered foreign substances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intake port 12 along with the surrounding air.

제1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은 제1 집진통(19)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물질은 연결관(17)을 통해 제1 집진통(19)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집진통(19)은 이물질을 보관할 수 있다.Foreign substances sucked in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2 may move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Foreign substances can move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7).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can store foreign substances.

제1 청소기(10)는 제1 배터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터리(16)는 충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터리(16)는 제1 청소기(1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배터리(16)는 스테이션(100)에 마련된 제1 스테이션 충전단자(3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터리(16)는 제1 스테이션 충전단자(32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The first vacuum cleaner 10 may include a first battery 16. The first battery 16 may be provided to be rechargeable. The first battery 16 may provide power necessary to drive the first vacuum cleaner 10. The first battery 1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tation charging terminal 323 provided in the station 100. The first battery 16 can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station charging terminal 323.

제1 청소기(10)는 제1 흡입장치(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장치(18)는 팬 및/또는 모터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흡입장치(18)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제1 흡입구(12)를 통해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first cleaner 10 may include a first suction device 18. The first suction device 18 may be provided with a fan and/or motor device. The first suction device 18 may generate suction force to suction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being cleaned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2.

제1 집진통(19)은 제1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집진통(19)에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집진통(19)에는 사이클론 유닛(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be configured to filter and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12. A device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may be placed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A cyclone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제1 집진통(19)은 스테이션(100)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20)는 제1 집진통(19)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집진통(19)은 제1 배출구(2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include a first outlet 20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to the station 100. The first outlet 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20.

제1 집진통(19)은 제1 배출구 도어(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20)는 제1 배출구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배출구(20)는 스테이션(100)의 제1 개구(328)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include a first outlet door 21. The first outlet 2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outlet door 21. The first outlet 20 may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328 of the station 100.

제1 배출구 도어(21)는 제1 집진통(19)에 대해 회전하며 제1 배출구(20)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배출구 도어(21)는 탄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 도어(21)는 그 탄성에 의해 제1 배출구(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The first outlet door 2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and can open and close the first outlet 20. The first outlet door 21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outlet door 21 may be elastically bias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first outlet 20 by its elasticity.

제1 배출구 도어(21)는 스테이션(100)의 레버장치(330)와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 도어(21)는 레버장치(330)의 자성체에 대응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outlet door 21 may be provided so that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it and the lever device 330 of the station 100. The first outlet door 21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lever device 33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청소기의 흡입헤더의 분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a suction header of a secon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2 청소기(50)는 스틱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50)는 제2 본체(51)와, 흡입 헤더(60)와, 제2 본체(51)와 흡입 헤더(60)를 연결하는 연장관(8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50 may include a stick cleaner. The second cleaner 50 may include a second main body 51, a suction header 60, and an extension pipe 80 connecting the second main body 51 and the suction header 60.

제2 본체(51)는 핸들(5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56)을 파지하여 제2 청소기(50)를 이동시키며 청소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51 may include a handle 56. The user can clean by holding the handle 56 and moving the second cleaner 50.

제2 본체(51)는 제2 배터리(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터리(57)는 충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터리(57)는 제2 청소기(5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배터리(57)는 스테이션(100)에 마련된 제2 스테이션 충전단자(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터리(57)는 제2 스테이션 충전단자(21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51 may include a second battery 57. The second battery 57 may be provided to be rechargeable. The second battery 57 may provide power necessary to drive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The second battery 5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tation charging terminal 213 provided in the station 100. The second battery 57 can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station charging terminal 213.

제2 본체(51)는 제2 흡입장치(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입장치(55)는 팬 및/또는 모터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흡입장치(55)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제2 흡입구(65)를 통해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second body 51 may include a second suction device 55. The second suction device 55 may be provided with a fan and/or motor device. The second suction device 55 may generate suction force to suction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being clean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65.

제2 본체(51)는 제2 집진통(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집진통(52)은 제2 흡입구(65)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집진통(52)에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집진통(52)에는 사이클론 유닛(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51 may include a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may be configured to filter and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65. A device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may be placed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A cyclone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제2 집진통(52)은 스테이션(100)으로 이물질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구(53)는 제2 집진통(5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집진통(19)은 제2 배출구(53)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may include a second outlet 53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to the station 100 . The second outlet 5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53.

제2 집진통(52)은 제2 배출구 도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구(53)는 제2 배출구 도어(5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2 배출구(53)는 스테이션(100)의 장착홀(212)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may include a second outlet door 54. The second outlet 53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econd outlet door 54. The second outlet 53 may b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mounting hole 212 of the station 100.

제2 배출구 도어(54)는 제2 집진통(52)에 대해 회전하며 제2 배출구(53)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청소기(50)가 스테이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배출구 도어(54)가 회전하여 제2 배출구(53)가 개방되는 경우, 제2 집진통(52) 내부의 이물질이 스테이션(1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outlet door 54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and can open and close the second outlet 53. With the second cleaner 50 mounted on the station 100, when the second outlet door 54 rotates and the second outlet 53 is opened, foreign matter insi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is moved to the station. You can move to (100).

제2 청소기(50)는 제2 청소기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 컨트롤러(미도시)는 제2 청소기(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청소기 컨트롤러(미도시)는 PBA(Printed Board Assembly)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50 may include a second cleaner controller (not shown). A second cleaner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leaner 50. The second vacuum cleaner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Printed Board Assembly (PBA).

도 5를 참조하면, 제2 청소기(50)는 흡입 헤더(6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헤더(60)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제2 청소기(50) 내부로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헤더(60)는 연장관(8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cleaner 50 may include a suction header 60. The suction header 60 may be provid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being cleaned into the second cleaner 50 . The suction header 6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pipe 80.

흡입 헤더(60)는 제2 흡입구(65)가 형성된 헤더 하우징(61)과,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2 흡입구(65)를 통해 헤더 하우징(61) 내부로 흡입되도록 회전하는 제2 드럼 브러시(67)와, 헤더 하우징(61)과 연장관(80)을 연결하는 헤더 커넥터(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header 60 includes a header housing 61 with a second suction port 65, and a second drum brush 67 that rotates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effectively sucked into the header housing 61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65. And, it may include a header connector 66 connecting the header housing 61 and the extension tube 80.

헤더 하우징(61)은 상부 헤더 하우징(62)과 하부 헤더 하우징(63)과 사이드 헤더 하우징(6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der housing 61 may include an upper header housing 62, a lower header housing 63, and a side header housing 64.

제2 흡입구(65)는 하부 헤더 하우징(63)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65)는 하부 헤더 하우징(63)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intake port 65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header housing 63. The second intake port 65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header housing 63.

제2 드럼 브러시(67)는 제2 흡입구(6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드럼 브러시(67)는 흡입 헤더(60)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 브러시(69)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물질은 제2 드럼 브러시(67)의 회전에 의해 제2 흡입구(65)의 주위로 비산될 수 있다. 제2 드럼 브러시(67)는 이물질을 비산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제2 흡입구(65)로 흡입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econd drum brush 67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uction port 65. The second drum brush 67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header 60. The drum brush 69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Foreign substances may be scattered around the second suction port 65 by rotation of the second drum brush 67. The second drum brush 67 can improve the efficiency wit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65 by scattering foreign substances.

제2 드럼 브러시(67)는 드럼 바디(68)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바디(68)는 드럼 탈착 커버(64b)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드럼 바디(68)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 바디(68)는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drum brush 67 may include a drum body 68. The drum body 68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drum detachable cover 64b. The drum body 68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drum body 68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제2 드럼 브러시(67)는 브러시(69)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69)는 드럼 바디(68)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69)는 청소면을 쓸어서 이물질을 비산시키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The second drum brush 67 may include a brush 69 . The brush 69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body 68. The brush 69 can maximize the effect of scattering foreign substances by sweeping the cleaning surface.

흡입 헤더(60)는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드럼 모터(M)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header 6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um motor module 70.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may include a second drum motor (M)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은 드럼 바디(68)의 중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은 제2 드럼 모터 케이스(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럼 모터 케이스(71)는 제2 드럼 브러시 모듈(70)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 및/또는 전달하는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의 각 구성들을 내부에 위치시키며 보호할 수 있다.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drum body 68.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may include a second drum motor case 71. The second drum motor case 71 may position and protect each component of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that generates and/or transmits driving force to drive the second drum brush module 70.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은 커넥터 모듈(75)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은 커넥터 모듈(7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7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74)는 커넥터 모듈(75)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 배터리(5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may be combined with the connector module 75.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may include a plug 74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module 75. The plug 7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connector module 75 and can receive power from the second battery 57.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의 일단에는 플러그(74)가 배치될 수 있고, 타단에는 드럼 구동축(78)이 배치될 수 있다. 드럼 구동축(78)을 통하여 제2 드럼 모터(M)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은 드럼 구동축(78)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한 커플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lug 74 may be disposed on one end of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and a drum drive shaft 78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end.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drum motor (M)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drum drive shaft 78.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may further include a coupler 72 that is coupled to the drum drive shaft 78 and can be rotated integrally.

드럼 바디(68)의 내부에는 드럼 구동축(78)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한 커플러(7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커플러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72)와 커플러 홈은 서로 치합되어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의 구동력이 드럼 바디(68)에 전달되어 드럼 바디(68)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side the drum body 68, a coupler groove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er 72 that is coupled to the drum drive shaft 78 and can be rotated integrally. The coupler 72 and the coupler groove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is transmitted to the drum body 68 so that the drum body 68 can rotate.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ion from the fro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ion from the re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스테이션(100)은 스테이션 제1 본체(200) 및 스테이션 제2 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제1 본체(200)는 스테이션(10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제2 본체(51)는 스테이션(1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Station 100 may include a first station main body 200 and a second station main body 51. The station first body 200 may form the upper part of the station 100. The second station main body 51 may form the lower part of the station 100.

스테이션 제1 본체(200) 및 스테이션 제2 본체(51)는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션 제1 본체(200) 및 스테이션 제2 본체(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ation first main body 200 and the station second main body 51 may be combined. The station first body 200 and the station second main body 51 may be formed as one body.

스테이션 제1 본체(200)는 스테이션 하우징(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 하우징(201, 202)은 스테이션 제1 본체(200)의 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하우징(201)과 스테이션 제1 본체(200)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 하우징(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하우징(201)과 후방 하우징(20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201)과 후방 하우징(20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tation first body 200 may include station housings 201 and 202. The station housings 201 and 202 may include a front housing 201 that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station first body 200 and a rear housing 202 that forms the rear exterior of the station first body 200. You can. The front housing 201 and the rear housing 20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front housing 201 and the rear housing 202 may be formed as one piece.

스테이션 제1 본체(200)는 장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10)는 스테이션 제1 본체(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tation first body 20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210. The mount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ain body 200 of the station.

장착부(210)는 제2 청소기(50)가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210)는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이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는 장착부(210)에 장착됨으로써 스테이션(100)과 결합될 수 있다.The mounting part 2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econd cleaner 50 is mounted. The mounting part 2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is mounted. The second cleaner 50 can be coupled to the station 100 by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10.

장착부(210)는 장착 프레임(211)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프레임(211)은 대략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211)에는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이 장착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211)에는 제2 스테이션 충전 단자(21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mounting unit 210 may include a mounting frame 211. The mounting frame 211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211. The second station charging terminal 213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frame 21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2 스테이션 충전 단자(213)는 제2 청소기 충전단자(58)와 접하여 제2 청소기(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청소기(50)는 스테이션 제1 본체(200)에 장착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The second station charging terminal 2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vacuum cleaner charging terminal 58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 The second cleaner 50 can be charged by being mounted on the first main body 200 of the station.

장착부(210)는 장착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212)은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과 연통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mounting hole 212. The mounting hole 212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함몰부(205)는 후방 하우징(202)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05)는 후방 하우징(202)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205)는 후방 하우징(202)의 장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함몰부(205)에는 제2 청소기(50)의 연장관(8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A depression 205 may be formed in the rear housing 202. The recessed portion 205 may be provid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rear housing 202 is recessed inward. The depression 205 may extend along the long axis of the rear housing 202. A portion of the extension pipe 80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ed portion 205.

스테이션 제1 본체(200)는 흡입부(220), 포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조)The station first body 200 may include a suction part 220 and a collection part 230 (see FIG. 8).

스테이션 제2 본체(51)는 안착부(310)와 연결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tation main body 51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310 and a connecting portion 380.

안착부(310)에는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가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310)는 스테이션(1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안착부(310)는 제1 안착부(320)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80)는 제1 안착부(320)와 제2 안착부(34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80)는 스테이션 제1 본체(200)와 스테이션 제2 본체(51)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310. The seating portion 310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tation 100. The seating portion 310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320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380 may connect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The connection unit 380 may connect the first station main body 200 and the second station main body 51.

제1 안착부(320)에는 제1 청소기(10)가 안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10)가 제1 안착부(320)에 안착된 때, 스테이션(100)은 제1 청소기(10)의 제1 배터리(16)를 충전하거나,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에 수집된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The first vacuum cleaner 10 may b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When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0, the station 100 charges the first battery 16 o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or charges the first battery 16 o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can be collected.

제1 안착부(320)는 상부 안착 커버(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안착 커버(321)에는 제1 청소기(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부 안착 커버(321)는 제1 스테이션 충전단자(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may include an upper seating cover 321. The first vacuum cleaner 1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eating cover 321. The upper seating cover 321 may include a first station charging terminal 323.

제1 안착부(320)는 제1 개구(3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328)는 제1 청소기(10)의 제1 배출구(2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개구(328)는 제1 청소기(10)가 제1 안착부(320)에 안착되었을 때, 제1 배출구(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안착 커버(321)는 제1 개구(328)에 대응되는 상부 커버 개구(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328. The first opening 328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outlet 20 of the first cleaner 10. The first opening 328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let 20 when the firs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0. The upper seating cover 321 may include an upper cover opening 322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328.

제2 안착부(340)에는 제2 청소기(50)가 안착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의 흡입 헤더(60)는 제2 안착부(340)에 안착될 수 있다.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may be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The suction header 60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제2 안착부(340)는 안착 플레이트(34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341)에는 제2 청소기(50)가 안착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341)의 상부에는 제2 청소기(50)의 흡입 헤더(60)가 안착될 수 있다.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may include a seating plate 341.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late 341. The suction header 60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mounted on the seating plate 341.

안착 플레이트(341)는 흡입 헤더(60)의 안착 방향을 안내하도록 흡입 헤더(6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 곡면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곡면부(343)는 안착 플레이트(341)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 곡면부(343)는 드럼 브러시(69)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The seating plate 341 may include a seating curved portion 34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ction header 60 to guide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suction header 60. The seating curved portion 343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late 341. The seating curved portion 343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rum brush 69.

제2 안착부(340)는 제2 개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342)는 제2 청소기(50)의 제2 흡입구(65)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개구(342)는 제2 청소기(50)가 제2 안착부(340)에 안착되었을 때, 제2 흡입구(65)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342. The second opening 342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uction port 65 of the second cleaner 50. The second opening 34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ction port 65 when the second cleaner 50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제2 개구(342)는 흡입 헤더(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개구(342)는 제2 청소기(50)의 제2 드럼 브러시(67)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개구(342)는 제2 흡입구(65)의 형상에 대응되어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opening 342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header 60. The second opening 342 may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drum brush 67 of the second cleaner 50. The second opening 342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econd suction port 65.

제2 안착부(340)는 지지 프레임(34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5)은 안착 플레이트(341)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5)은 안착 플레이트(341)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345. The support frame 345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seating plate 341. The support frame 345 may be provided to space the seating plate 341 from the ground. The support frame 345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지지 프레임(345)의 후단은 전단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5)은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5)의 상부에 마련되는 안착 플레이트(341)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345 may extend longer than the front end. The support frame 345 may be provid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rear end toward the front end. The seating plate 341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345 may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front.

제2 안착부(340)는 실링 패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패드(350)는 안착 플레이트(34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 패드(350)의 상면에는 제2 청소기(50)의 흡입 헤더(60)가 안착될 수 있다. 실링 패드(350)는 제2 흡입구(65)와 제2 개구(3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may include a sealing pad 350. The sealing pad 35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seating plate 341. The suction header 60 of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ad 350. The sealing pad 3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65 and the second opening 342.

실링 패드(350)는 안착 곡면부(343)의 형상에 대응하는 실링 곡면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패드(350)는 흡입 헤더(60)의 안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The sealing pad 350 may include a sealing curved portion 35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curved portion 343. The sealing pad 350 may guide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suction header 60.

스테이션 제2 본체(51)에는 스테이션 컨트롤러 커버(33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 커버(332)의 내측에는 스테이션 전원보드(미도시)와 스테이션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A station controller cover 332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tation main body 51. A station power board (not shown) and a station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laced inside the station controller cover 332.

스테이션 전원보드(미도시)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테이션(100)에 적합하게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미도시)는 스테이션 전원보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미도시)는 스테이션(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미도시)는 PBA(Printed Board Assembly)로 마련될 수 있다.The station power board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 it to suit the station 100. The station controller (not show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ation power board (not shown). A station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ation 100. The station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Printed Board Assembly (PBA).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에 제1 청소기 및 제2 청소기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cleaner and a second cleaner installed in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2 청소기(50)는 제2 안착부(34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의 흡입 헤더(60)는 제2 안착부(340)에 안착되고,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은 장착부(2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는 장착부(210)의 제2 스테이션 충전단자(213)와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다.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The suction header 60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10. The second cleaner 50 can be charged by being coupled to the second station charging terminal 213 of the mounting unit 210.

스테이션(100)은 포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230)는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 내부의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집부(230)는 장착부(210)와 흡입부(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230)는 장착부(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230)는 흡입부(2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Station 100 may include a collection unit 230. The collection unit 230 may be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The collection unit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unit 210 and the suction unit 220. The collection unit 23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unit 210. The collection unit 2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ction unit 220.

포집부(230)는 제3 집진통(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집진통(52) 내부의 이물질은 제3 집진통(231)으로 이동하여 보관될 수 있다. 제3 집진통(231)은 제2 청소기(50)로부터 유입된 먼지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collection unit 230 may include a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Foreign matter insi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may be moved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and stored.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may be provided to store dust introduced from the second cleaner 50.

포집부(230)는 연결덕트(2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덕트(215)는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에 수집된 이물질이 제3 집진통(231)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3 집진통(231)은 연결덕트(215)와 연통될 수 있다.The collection unit 230 may include a connection duct 215. The connection duct 215 may guid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to move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duct 215.

연결덕트(215)의 상부에는 연결 덕트 유입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가 스테이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배출구 도어(54)가 개방된 때, 연결 덕트 유입구(216)를 통해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 내부의 이물질이 연결덕트(215)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청소기(50)가 스테이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배출구 도어(54)가 개방된 때, 연결 덕트 유입구(216)는 제2 집진통(52)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connection duct inlet 216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duct 215. When the second outlet door 54 is opened while the second cleaner 50 is mounted on the station 100,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duct inlet 216. Internal foreign substances may move into the connection duct 215. When the second outlet door 54 is opened while the second cleaner 50 is mounted on the station 100, the connection duct inlet 216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연결덕트(215)의 하부에는 연결 덕트 유출구(2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으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은 연결덕트(215) 내부로 이동하여 연결 덕트 유출구(217)를 통해 제3 집진통(231)으로 이동할 수 있다.A connection duct outlet 217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duct 215.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move inside the connection duct 215 and move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through the connection duct outlet 217.

스테이션(100)은 흡입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220)는 제2 집진통(52)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20)는 스테이션 제1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20)는 전방 하우징(201)과 후방 하우징(20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20)는 포집부(2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Station 100 may include a suction unit 220. The suction unit 220 may be provided to suction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The suction part 220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tation main body 200. The suction part 220 may be formed inside the front housing 201 and the rear housing 202. The suction unit 220 may be disposed below the collection unit 230.

흡입부(220)는 제3 흡입장치(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흡입장치(221)는 팬 및/또는 모터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흡입장치(221)는 제2 집진통(52)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suction unit 220 may include a third suction device 221. The third suction device 221 may be provided as a fan and/or motor device. The third suction device 221 may generate suction force to suction foreign substances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제1 청소기(10)는 제1 안착부(320)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10)는 제1 안착부(320)의 제1 스테이션 충전단자(323)와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제1 청소기(10)의 제1 배출구 도어(21)와 제1 안착부(320)의 제1 개구(328)는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청소기(10)의 제1 배출구(20)는 제1 안착부(320)의 제1 개구(328)와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10 may b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The first vacuum cleaner 10 can be charged by being coupled to the first station charging terminal 323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The first outlet door 21 of the first cleaner 10 and the first opening 328 of the first seating part 32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he first outlet 20 of the first cleaner 1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opening 328 of the first seating part 320.

제2 청소기(50)는 제2 안착부(34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이 스테이션 제1 본체(200)의 장착부(210)에 장착될 때, 제2 청소기(50)의 제2 흡입구(65)와 제2 안착부(340)의 제2 개구(342)는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50 may be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Whe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210 of the first main body 200 of the station, the second suction port 65 and the second seating part of the second cleaner 50 The second opening 342 of 340 may be positioned correspondingly.

제1 청소기(10)가 제1 안착부(320)에 안착되고 제2 청소기(50)가 제2 안착부(340)에 안착될 때 제1 청소기(10)와 제2 청소기(50)는 가이드 덕트(400)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0 and the second cleaner 50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art 340, the first cleaner 10 and the second cleaner 50 are guided. It may be communicated by a duct 400.

스테이션(100)은 가이드 덕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는 스테이션 제2 본체(51)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는 안착부(310)에 마련될 수 있다. Station 100 may include a guide duct 400. The guide duct 40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main body 51 of the station. The guide duct 400 may be provided in the seating portion 310.

가이드 덕트(400)는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과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을 연통시킬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는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이 제2 집진통(52)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duct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of the first cleaner 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The guide duct 400 may guid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to move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가이드 덕트(400)는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이 제2 청소기(50)의 흡입 헤더(6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는 제1 집진통(19)과 흡입 헤더(6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guide duct 400 may guid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of the first cleaner 10 to move to the suction header 60 of the second cleaner 50. The guide duct 400 may connect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and the suction header 60.

가이드 덕트(400)의 일단은 제1 청소기(10)의 제1 배출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의 일단에는 레버장치(330)의 개방링크(331)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의 타단은 제2 청소기(50)의 제2 흡입구(65)와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guide duc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20 of the first cleaner 10. The open link 331 of the lever device 330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guide duct 400. The other end of the guide duct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port 65 of the second cleaner 50.

가이드 덕트(400)는 제1 개구(328)와 제2 개구(342)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의 일단에는 제1 개구(328)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제2 개구(342)가 마련될 수 있다.The guide duct 400 may extend between the first opening 328 and the second opening 342. A first opening 328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guide duct 400 and a second opening 342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청소 장치는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의 이물질이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device may include a flow path that guides foreign substances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of the first cleaner 10 to move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유로는 제1 유로(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A)는 가이드 덕트(40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A)는 가이드 덕트(40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A)는 제1 배출구(20)에서 제2 흡입구(65)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A)는 제1 개구(328)에서 제2 개구(342)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path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A). The first flow path A may be provided in the guide duct 400. The first flow path A may exten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duct 400. The first flow path A may be formed from the first outlet 20 to the second intake port 65. The first flow path A may be formed from the first opening 328 toward the second opening 342.

제1 청소기(10) 내부의 이물질은 제1 유로(A)를 통해 제2 청소기(5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은 제1 유로(A)를 통해 흡입 헤더(60)로 이동할 수 있다.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cleaner 10 may move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cleaner 50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A.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move to the suction header 6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A).

유로는 제2 유로(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B)는 제1 유로(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B)는 제2 청소기(5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B)는 흡입 헤더(60)에서 제2 집진통(52)을 향해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B)는 제2 흡입구(65)에서 제2 집진통(52)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B)는 제2 개구(342)에서 제2 집진통(52)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may include a second flow path (B). The second flow path (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A). The second flow path B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leaner 50. The second flow path (B) may be provided from the suction header 60 towar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The second flow path (B) may be formed from the second intake port 65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The second flow path (B) may be formed from the second opening 342 towar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제1 청소기(10) 내부의 이물질은 제2 유로(B)를 통해 제2 청소기(50)의 제2 집진통(5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집진통(52)에는 제1 집진통(19)으로부터 이동한 이물질이 함께 보관될 수 있다.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cleaner 10 may move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of the second cleaner 50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B. Foreign substances mov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be stored together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

제2 집진통(52) 내부의 이물질은 제3 유로(C)를 통해 스테이션(100)의 제3 집진통(23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유로(C)는 제2 유로(B)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C)는 제2 집진통(52)에서 제3 집진통(231)을 향해 마련될 수 있다. 제3 유로(C)는 제2 배출구(53)에서 제3 집진통(231)까지 형성될 수 있다.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may move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of the station 100 through the third flow path C. The third flow path (C)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B). The third flow path C may be provided from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toward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The third flow path C may be formed from the second outlet 53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은 스테이션(100)의 흡입부(220)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에 의해 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장치(330)에 의해 제2 배출구 도어(54)가 개방되면 제1 유로(A)를 통해 제2 청소기(50)의 흡입 헤더(60)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제2 유로(B)를 통해 제2 집진통(52)으로 이동한 후, 제3 유로(C)를 통해 스테이션(100)의 제3 집진통(231)으로 이동할 수 있다.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of the first cleaner 10 may move along the flow path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unit 220 of the station 100.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outlet door 54 is opened by the lever device 330, suction can be sucked into the suction header 60 of the second cleaner 50 through the first passage A. Thereafter, it can move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B) and then move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231 of the station 100 through the third flow path (C).

즉, 스테이션(100)은 제1 청소기(10)와 제2 청소기(50)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청소기(10)와 제2 청소기(50)는 구성을 분해하지 않은 채 스테이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즉, 제1 청소기(10)와 제2 청소기(50)의 전체를 스테이션(100)에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station 100 can accommodate the first cleaner 10 and the second cleaner 50 at the same time, thereby increasing space efficiency. Additionally, the first cleaner 10 and the second cleaner 50 can be mounted on the station 100 without disassembling their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entire first cleaner 10 and the second cleaner 50 can be mounted and stored in the station 100, so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한 청소 장치는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의 집진통(19, 52)에 집진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1 집진통(19) 및/또는 제2 집진통(52)의 분리 없이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의 전체를 스테이션(100)에 거치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제1 집진통(19) 및/또는 제2 집진통(52)에 집진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eaning device i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ins 19 and 52 of 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Accordingly, the user mounts the entir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on the station 100 without separating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and/or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and/or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52 can be conveniently discharged.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을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 is an exploded view of a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1 is a view showing FIG. 10 from the bottom.

스테이션(100)은 스테이션 제1 본체(200), 스테이션 제2 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제2 본체(51)는 제1 안착부(320), 제2 안착부(340), 연결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Station 100 may include a first station main body 200 and a second station main body 51. The second station main body 51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320, a second seating portion 340, and a connecting portion 380.

제1 안착부(320)는 상부 안착 커버(321), 베이스 플레이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340)는 지지 프레임(345), 안착 플레이트(341), 실링 패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may include an upper seating cover 321 and a base plate 324.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345, a seating plate 341, and a sealing pad 350.

상부 안착 커버(321)는 베이스 플레이트(32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안착 커버(321)는 베이스 플레이트(324)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안착 커버(321)와 베이스 플레이트(32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seating cover 321 may be placed on top of the base plate 324. The upper seating cover 321 may be combined with the base plate 324. The upper seating cover 321 and the base plate 324 may be formed as one piece.

제1 안착부(320)는 제2 안착부(3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4)는 지지 프레임(34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4)는 지지 프레임(345)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seating part 3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seating part 340. The base plate 324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upport frame 345. The base plate 324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345.

안착부(310)는 가이드 덕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는 제1 안착부(320) 및 제2 안착부(340)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310 may include a guide duct 400. The guide duct 40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가이드 덕트(400)는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 및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은 제1 가이드 프레임(325)과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을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duct 4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and the lower guide frame 360. 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may include a first guide frame 325 and a second guide frame 346.

제1 안착부(320)는 베이스 플레이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4)는 평평한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base plate 324. The base plate 324 may have the shape of a flat plate.

베이스 플레이트(324)는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은 베이스 플레이트(324)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4)의 상면에는 제1 가이드 프레임(325)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4)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 프레임(325)에 의해 함몰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4)에는 함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late 324 may include a first guide frame 325. The first guide frame 325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plate 324. A protrud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24 by the first guide frame 325. A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24 by the first guide frame 325. A recessed space may be formed in the base plate 324.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은 상부벽(326)과 제1 측벽(327)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326)은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벽(327)은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벽(327)은 상부벽(32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벽(327)은 상부벽(326)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frame 325 may include an upper wall 326 and a first side wall 327. The upper wall 32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guide frame 325. The first side wall 327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guide frame 325. The first side wall 327 may extend from the top wall 326. The first side wall 327 may be provided by b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326.

제1 가이드 프레임(325)에 제1 개구(32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328)는 상부벽(326)에 마련될 수 있다.A first opening 328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frame 325. The first opening 328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wall 326.

베이스 플레이트(324)에는 레버장치(330)가 배치될 수 있다. 레버장치(330)의 개방링크(331)는 제1 개구(328)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4)에는 제1 체결부(329)가 마련될 수 있다.A lever device 33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plate 324. The opening link 331 of the lever device 3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opening 328. A first fastening portion 329 may be provided on the base plate 324.

제2 안착부(340)는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지지 프레임(34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안착 플레이트(34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안착 플레이트(3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may include a second guide frame 346. 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b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frame 345. 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be disposed below the seating plate 341. 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ting plate 341.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의 상부에는 제2 개구(3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의 측부에는 제2 측벽(347)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벽(347)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second opening 342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guide frame 346. A second side wall 347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guide frame 346. The second side wall 347 may extend vertically.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제1 가이드 프레임(32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벽(347)은 제1 측벽(327)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벽(347)은 제1 측벽(327)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frame 325. The second side wall 347 may extend from the first side wall 327. The second side wall 347 may be formed by bending from the first side wall 327.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은 제1 개구(328)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프레임(325)은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방부보다 후방부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frame 325 may extend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The first guide frame 325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first opening 328. The first guide frame 325 may have a rear portion narrower than the front por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gas flowing therein.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제1 가이드 프레임(32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프레임(346)은 제1 가이드 프레임(32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frame 325. The second guide frame 346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guide frame 325.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은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은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은 제1 가이드 프레임(325)에 대응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커버부(361) 및 제2 가이드 프레임(346)에 대응되는 제2 가이드 프레임 커버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guide frame 360 may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The lower guide frame 36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The lower guide frame 360 may include a first guide frame cover portion 361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frame 325 and a second guide frame cover portion 36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uide frame 346. there is.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은 가이드 덕트(400)의 상부 및 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은 가이드 덕트(4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may form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guide duct 400. The lower guide frame 360 may form the lower part of the guide duct 400.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과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의 사이에는 가이드 덕트 실링부재(37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실링부재(370)는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의 외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실링부재(370)는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과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의 사이의 빈 공간에 밀착되어 가이드 덕트(400) 내부의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 실링부재(370)는 가이드 덕트(400) 내부에서 이동하는 이물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A guide duct sealing member 3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and the lower guide frame 360. The guide duct sealing member 370 may exten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lower guide frame 360. The guide duct sealing member 3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mpty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and the lower guide frame 360 to prevent pressure loss inside the guide duct 400. The guide duct sealing member 370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moving inside the guide duct 400 from leaking out.

안착부(310)는 베이스 플레이트(324)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329) 및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에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366)는 제1 체결부(329)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29)와 제2 체결부(366)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310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ortion 329 formed on the base plate 324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366 formed around the lower guide frame 360. The second fastening part 366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329. The first fastening part 329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366 may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member.

상부 가이드 프레임(325, 346)에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이 결합되면 가이드 덕트(40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400)는 제1 가이드 프레임(325)과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이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덕트(410) 및 제2 가이드 프레임(346)과 하부 가이드 프레임(360)이 형성하는 제2 가이드 덕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lower guide frame 360 is coupled to the upper guide frames 325 and 346, the guide duct 400 may be formed. The guide duct 400 includes a first guide duct 410 formed by the first guide frame 325 and the lower guide frame 360, and a second guide duct formed by the second guide frame 346 and the lower guide frame 360. It may include a guide duct 420.

제1 가이드 덕트(4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덕트(420)는 제1 가이드 덕트(4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덕트(420)는 제2 개구(342)를 향해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duct 41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duct 4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duct 410. The second guide duct 420 may extend upward toward the second opening 342.

가이드 덕트(400)는 제1 개구(328) 및 제2 개구(342)를 제외하고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제1 유로(A)는 가이드 덕트(4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A)는 제1 개구(328)에서 제2 개구(342)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duct 400 may be a closed space except for the first opening 328 and the second opening 342. The first flow path A may be formed inside the guide duct 400. The first flow path A may be formed from the first opening 328 toward the second opening 342.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이 흡입 헤더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the suction hea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제2 청소기(50)가 제2 안착부(340)에 안착되고, 제1 청소기(10)가 제1 안착부(320)에 안착되었을 때, 제1 청소기(10)의 제1 배출구 도어(21)는 개방될 수 있다. 스테이션(100)의 흡입부(220)의 제3 흡입장치(221)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이 가이드 덕트(40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덕트(41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이후 제2 가이드 덕트(420)를 따라 제2 개구(342)를 향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and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the first outlet door 21 of the first vacuum cleaner 10 ) can be opened. The third suction device 221 of the suction unit 220 of the station 100 generates suction force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of the first cleaner 10 move along the guide duct 400. can do. Specifically, after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duct 410, it may move upward toward the second opening 342 along the second guide duct 420.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은 가이드 덕트(400)를 따라 제2 청소기(50)의 흡입 헤더(60) 주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 청소기(50)의 제2 드럼 브러시(67)는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비산시킬 수 있다. 또는 머리카락과 같이 입자가 큰 이물질과 마찰할 수도 있다. 이에 이물질이 제2 흡입구(65)로 흡입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2 드럼 브러시(67)는 이물질이 제2 흡입구(65)로 효율적으로 흡입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may move around the suction header 60 of the second cleaner 50 along the guide duct 400. At this time, the second drum brush 67 of the second cleaner 50 may scatter foreign substances while rotating. Alternatively, it may rub against foreign substances with large particles such as hair. Accordingly, the effect of foreign substances being sucked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65 can be improved. That is, the second drum brush 67 may rotate to guide foreign substances to be efficiently sucked into the second suction port 65.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과 제2 청소기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ion and the secon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제2 청소기(50)는 제2 배터리(57)가 장착된 때, 제2 배터리(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청소기 충전단자(58)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battery 57 is installed,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may include a second vacuum cleaner charging terminal 58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57 .

스테이션(100)은 제2 청소기(50)의 제2 배터리(57)를 충전하기 위해 제2 청소기 충전단자(5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스테이션 충전단자(213)와, 제2 스테이션 충전단자(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마련되는 스테이션 전원보드(3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 100 includes a second station charging terminal 213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vacuum cleaner charging terminal 58 to charge the second battery 57 of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and a second station charging terminal. It may include a station power board 334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213 and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2 청소기(50)는 스테이션(100)에 장착된 때, 제2 배터리(57)를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cleaner 50 can charge the second battery 57 when mounted on the station 100.

스테이션(100)은 제1 안착부(320)에 마련되는 제1 안착부 센서(101)와 제2 안착부(340)에 마련되는 제2 안착부 센서(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 센서(101)는 제1 안착부(320)에 제1 청소기(10)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안착부 센서(102)는 제2 안착부(340)에 제2 청소기(50)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 센서(101) 및/또는 제2 안착부 센서(102)는 제1 안착부(320) 및/또는 제2 안착부(340)에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가 안착되었음을 감지한 때, 이러한 정보를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로 전달할 수 있다.The station 100 may include a first seating unit sensor 101 provided on the first seating unit 320 and a second seating unit sensor 102 provided on the second seating unit 340. The first seating part sensor 10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first vacuum cleaner 1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0. The second seating part sensor 102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art 340. The first seating part sensor 101 and/or the second seating part sensor 102 is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part 320 and/or the second seating part 340 with the first vacuum cleaner 10 and/or the second vacuum cleaner. When it is detected that 50 is seated, thi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tation controller 333.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제1 안착부 센서(101) 및/또는 제2 안착부 센서(102)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레버장치(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레버장치(330)를 구동시켜 제1 청소기(10)의 제1 배출구 도어(21)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station controller 333 may drive the lever device 330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seating sensor 101 and/or the second seating sensor 102. The station controller 333 may operate the lever device 330 to open the first outlet door 21 of the first cleaner 10.

제2 청소기 컨트롤러(59)는 제2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청소기 컨트롤러(59)는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을 구동시켜 제2 청소기(50)의 제2 드럼 브러시(67)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second cleaner controller 59 may drive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tation controller 333. The second cleaner controller 59 may drive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to rotate the second drum brush 67 of the second cleaner 50.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14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청소 장치는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device may include a control metho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of the first cleaner 10.

청소 장치는 자동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 모드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clean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utomatic mode. 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automatic mode is as follows.

청소 장치는 제1 안착부(320)에 제1 청소기(10)가 안착되는 경우, 제1 안착부 센서(101)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1010). 청소 장치는 제2 안착부(340)에 제2 청소기(50)가 안착되는 경우, 제2 안착부 센서(102)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1020). When the firs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320, the cleaning device can detect this through the first seating portion sensor 101 (1010). When the second vacuum cleaner 50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40, the cleaning device may detect this through the second seating portion sensor 102 (1020).

제1 안착부(320) 및 제2 안착부(340)에 각각 제1 청소기(10)와 제2 청소기(50)가 안착된 경우, 청소 장치는 배출 행정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제1 청소기(10)의 제1 배출구(20)를 개방하도록 레버장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1030). 이후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제2 청소기(50)의 제2 드럼 브러시(67)가 회전하도록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을 제어할 수 있다(1040). 또한 청소 장치의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스테이션(100)의 흡입부(220)의 제3 흡입장치(221)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 청소기(10)의 제1 집진통(19) 내부의 이물질은 제1 유로(A), 제2 유로(B), 제3 유로(C)를 거쳐 스테이션(100)의 제3 집진통(231)으로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leaner 10 and the second cleaner 50 ar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340, respectively, the cleaning device may start a discharge stroke. Specifically, the station controller 333 of the cleaning device may control the lever device 330 to open the first outlet 20 of the first cleaner 10 (1030). Thereafter, the station controller 333 of the cleaning device may control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so that the second drum brush 67 of the second cleaner 50 rotates (1040). Additionally, the station controller 333 of the cleaning device may control the third suction device 221 of the suction unit 220 of the station 100 to operate. Accordingly, foreign matter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of the first cleaner 10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A), the second flow path (B), and the third flow path (C) in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tation 100. It can be discharged as (231).

이후 제1 집진통(19)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배출 행정을 종료할 경우,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제3 흡입장치(221)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제2 드럼 브러시(67)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2 드럼 모터 모듈(70)을 제어할 수 있다(1060). 스테이션 컨트롤러(333)는 제1 배출구(20)를 폐쇄하도록 레버장치(330)를 제어할 수 있다(1070).Afterwards, when the foreign matter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19 is removed and the discharge process is terminated, the station controller 33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hird suction device 221 to stop. The station controller 333 may control the second drum motor module 70 to stop rotation of the second drum brush 67 (1060). The station controller 333 may control the lever device 330 to close the first outlet 20 (1070).

한편, 청소 장치는 수동 모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동 모드로 구현될 경우, 청소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고려하여 배출 행정 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leaning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manual mode. When implemented in manual mode, the cleaning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to initiate a discharge stroke by considering the user's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의 이물질 배출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청소기(10)의 이물질 배출을 선택할 경우, 청소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정(1010, 1020, 1030, 1040, 1050, 1060, 1070)을 거쳐 배출 행정 개시 여부를 결정하고, 배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nd input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When the user selects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cleaner 10, the clean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o start the discharge process through the above processes (1010, 1020, 1030, 1040, 1050, 1060, 1070), and performs the discharge process. It can be done.

만약 사용자가 제1 청소기(10)의 이물질 배출을 선택하였으나, 제1 안착부(320)에 제1 청소기(10)가 안착되어 있지 않거나 제2 안착부(340)에 제2 청소기(50)가 안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청소 장치는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1 청소기(10) 및/또는 제2 청소기(50)가 안착되어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If the user selects to ejec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cleaner 10, but the first cleaner 10 is not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art 320 or the second cleaner 50 is not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art 340. If they are not seated, the cleaning device may inform the user through a display or the like that the first cleaner 10 and/or the second cleaner 50 are not seated.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10 제1 청소기
19 제1 집진통
20 제1 배출구
21 제1 배출구 도어
50 제2 청소기
52 제2 집진통
53 제2 배출구
59 제2 청소기 컨트롤러
60 흡입 헤더
65 제2 흡입구
67 제2 드럼 브러시
70 제2 드럼 모터 모듈
80 연장관
100 스테이션
310 안착부
320 제1 안착부
333 스테이션 컨트롤러
341 안착 플레이트
340 안착부
10 1st cleaner
19 1st dustbin
20 First outlet
21 First outlet door
50 2nd vacuum cleaner
52 2nd dust collection box
53 Second outlet
59 Second vacuum cleaner controller
60 intake header
65 Second intake port
67 Second drum brush
70 Second drum motor module
80 extension tube
100 stations
310 Seating part
320 First seating part
333 station controller
341 seating plate
340 Seating part

Claims (20)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집진통 및 상기 제1 집진통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청소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브러시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 헤더,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2 집진통 및 상기 흡입 헤더와 상기 제2 집진통을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제2 청소기; 및
상기 제1 청소기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집진통이 장착되며 상기 제2 집진통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장착홀을 포함하는 장착부;
상기 제2 집진통 내의 이물질이 상기 장착홀을 통해 흡입되도록 흡입 기류를 형성하는 흡입부;
상기 장착부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기류에 의해 상기 제2 집진통 내부에서부터 상기 장착부의 상기 장착홀을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 및
상기 제1 청소기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로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집진통과 상기 제2 집진통을 연통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제1 청소기의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와 연결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A first cleaner including a first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first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discharged;
A suction header including a rotatable drum brush and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econd intake port are collected, and an extension pipe connecting the suction header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 second cleaner comprising: and
It includes a station provided so that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can be seated,
The station i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econd cleaner is mounted and including a mounting hol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 suction unit that forms a suction airflow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re sucked through the mounting hole;
a collection part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part and the suction part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on bin through the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part by the suction airflow; and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first cleaner and the second cleaner are seated, the sea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irst cleaner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guide duct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clea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제2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portion of the station,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first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first open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econd vacuum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second open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ction port;
The cleaning device wherein the guide duct extends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흡입 헤더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second seating portion includes a seating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suction header of the second cleaner, and the seating plate includes the second opening.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 헤더의 안착 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 브러시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seating plate further includes a seating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rum brush to guide the seating direction of the suction head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 패드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station is,
The clean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aling pa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second cleaner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ating plat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패드는 상기 안착 곡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실링 곡면부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ealing pad i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sealing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curved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기의 상기 제1 집진통의 이물질이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집진통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상기 일단부터 상기 타단까지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상기 제2 집진통까지 형성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flow path that guides foreign matter in the first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first cleaner to move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econd cleaner,
The flow path includes a first flow path formed from the one end of the guide duct to the other end, and a second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and formed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second cleaner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bin. cleaning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기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배출구 도어를 개폐하는 레버 장치 및 상기 레버 장치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청소기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청소기의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레버 장치를 구동시키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firs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outlet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The station further includes a lever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door, and a statio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lever device,
The station controller detects that the second cleaner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and drives the lever device to open the outlet of the first clean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청소기는, 상기 드럼 브러시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 모듈 및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청소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청소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청소기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드럼 브러시가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구동시키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second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um motor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rum brush and a second cleane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um motor module,
The second cleaner controller detects that the first cleaner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drives the drum motor module to rotate the drum brush of the second clean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청소기의 상기 드럼 브러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second opening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rum brush of the second clean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덕트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를 형성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s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n upper guide frame forming an upper part of the guide duct and a lower guide frame forming a lower part of the guide duct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guide frame,
A cleaning device wherein the upper guide frame and the lower guide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guide duc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덕트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station is,
A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uide duct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guide frame and the lower guide fram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안착부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안착부에 마련되는 제2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upper guide frame i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first guide frame provid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guide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frame and provid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은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과 연결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guide frame includes an upper wall and a first side wall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and the second guide frame includes a second side wall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덕트 및 상기 제1 가이드 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하는 제2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덕트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덕트는 상기 제2 개구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guide duct includes a first guide duct formed by the first guide frame and a second guide duct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duct and formed by the second guide frame,
A cleaning device wherein the first guide duct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guide duct extends upward toward the second opening.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1 흡입구, 상기 제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집진통 및 상기 제1 집진통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브러시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제2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 헤더,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2 집진통 및 상기 제2 흡입구와 상기 제2 집진통을 연결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스틱 청소기;
상기 로봇 청소기 및 상기 스틱 청소기가 안착되는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제2 집진통과 연통되어 상기 제2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제3 집진통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및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기 제1 집진통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제3 집진통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로서, 상기 제1 집진통에서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제2 흡입구까지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상기 제2 집진통까지 연결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2 집진통에서 상기 제3 집진통까지 연결되는 제3 유로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A robot cleaner including a first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first dust collection bin into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first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bin;
A suction header including a rotatable drum brush and a second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are collected, and a device connecting the second suction por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Stick vacuum cleaner with extension tube;
A station on which the robot cleaner and the stick cleaner are mounted, the station including a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of the stick cleaner and sucks and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second dust container; and
A flow path that guides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first dust collection box of the robot cleaner to move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box of the station, a first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irst dust collection box to the second suction port of the stick cleaner, A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flow path connected to a first flow path and connected from the second suction port 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third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second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the third dust collection container.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로봇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안착부;
상기 스틱 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제2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안착부; 및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station is,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robot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first open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a second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stick vacuum cleaner is seated and including a second open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ction port; and
It further includes a guide duct extending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The first flow path is a cleaning device formed inside the guide duct.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흡입 헤더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second seating portion includes a seating plate provided to support the suction header of the stick cleaner, and the seating plate includes the second opening.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레버 장치 및 상기 레버 장치를 제어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스틱 청소기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레버 장치를 구동시키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im 17,
The robot cleaner further includes an outlet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The station further includes a lever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and a station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lever device,
The station controller detects that the stick cleaner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portion and opens the discharge port of the robot cleaner, thereby driving the lever device to open the first passage.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 청소기는, 상기 드럼 브러시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 모듈 및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제어하는 스틱 청소기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틱 청소기 컨트롤러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스틱 청소기의 상기 드럼 브러시가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 모터 모듈을 구동시키는 청소 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The stick cleaner further includes a drum motor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drum brush, and a stick cleaner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um motor module,
The stick cleaner controller detects that the robot cleaner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drives the drum motor module to rotate the drum brush of the stick cleaner.
KR1020220086554A 2022-07-13 2022-07-13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KR2024000927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54A KR20240009277A (en) 2022-07-13 2022-07-13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PCT/KR2023/006589 WO2024014679A1 (en) 2022-07-13 2023-05-16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54A KR20240009277A (en) 2022-07-13 2022-07-13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77A true KR20240009277A (en) 2024-01-22

Family

ID=8953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554A KR20240009277A (en) 2022-07-13 2022-07-13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9277A (en)
WO (1) WO2024014679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8489B1 (en) * 2006-05-19 2016-03-09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DE102014119191A1 (en)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e station for a vacuum cleaner
KR102620360B1 (en) * 2018-12-14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KR20210130655A (en) * 2020-04-22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tion for Cleaner
KR20220086482A (en) * 2020-12-1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679A1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035B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3860417B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US20230056726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JP652290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11432704B (en) Robot cleaner
EP1980188A2 (en)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KR20210003543A (en) Robot cleaner station
KR20070074146A (en) Cleaner system
EP3893709B1 (en) Robot cleaner
KR20080087596A (en) Robot cleaner
EP2007262A1 (en) Body of vacuum cleaner and handy type cleaner
US20230148812A1 (en)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TW202139906A (en)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045717A (en) Cleaning system and dock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240009277A (en) Cleaning device having cleaner and station
TWI809524B (en) Station for cleaner
KR20220081702A (en) Cleaner system
KR102406189B1 (en) Cleaner system
EP4356804A1 (en) Vacuum cleaner station
CN117677329A (en) Dust collector station
KR20220046312A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KR20220077758A (en) Robot cleaner station
KR20230127687A (en) Cleaner
KR20240047182A (en) Robot cleaner and cleaner system
KR20220146292A (en) Robot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