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176A -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 Google Patents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176A
KR20230076176A KR1020210162694A KR20210162694A KR20230076176A KR 20230076176 A KR20230076176 A KR 20230076176A KR 1020210162694 A KR1020210162694 A KR 1020210162694A KR 20210162694 A KR20210162694 A KR 20210162694A KR 20230076176 A KR20230076176 A KR 20230076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server
questions
risk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도현
강경표
전진환
나영현
윤세진
Original Assignee
메디케어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케어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케어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176A/en
Publication of KR2023007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1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5Evaluating skin irritation or skin trauma, e.g. rash, eczema, wound, bed s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Dermat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which is carried by a person receiving dementia care or installed in a residential facility of the person receiving dementia care and collects questions and answers and vital sign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receiving dementia care; and a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which analyzes cognitive status based on the questions and answers and vital sig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reports the analysis results to a hospital server and a guardian terminal, and if a vital sign risk is detected cast, alerts a dementia care center server, wherei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provides questions about a current time and place and acquaintances, determines a time recognition status based on the results, provides content or tasks and questions related thereto, determines an object recognition status based on answers to the questions, provides situation-specific questions during life, including virtual images for each situation and answ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determines a living ability status based on the results, identify bedsores, bowel movements, appetite, sweat, and eye movements of the person receiving dementia care based on the collected vital sign information, and determines a psychological state of the person receiving dementia ca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nditions. Accordingly, a dementia management infrastructure can be established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ementia management.

Description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본 발명은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매 환자에 대한 다면적인 관찰 및 분석에 따라 치매 관리의 효율성 및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ementia management according to multidimensional observation and analysis of dementia patients.

최근 약물 치료를 대체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치료제란 질병 및 장애를 예방, 관리 및 치료하는 고품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중재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디지털 치료제는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소프트웨어)을 기반으로 질병 예방, 관리 및 치료를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이며, 인공지능,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개념으로, 환자의 정신에 작용한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to replace drug treatment is actively progressing. Digital therapies mean providing evidence-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patients through high-quality software programs that prevent, manage, and treat diseases and disorders. In other words, digital therapy is a new concept that provides disease prevention, management, and treatment based on digital technology (software) rather than conventional pills or injections, and includes artificial intelligence, VR (Virtual Reality), games, and applications. The concept of treating patients with digital technology that works on the patient's mind.

한편, 치매나 인재 장애와 같은 뇌질환 관련 질병의 경우, 치료에 의한 완치를 위한 목적보다는 진단, 예방 및 관리를 중심으로 한 완화 또는 현장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더 중요한 요소이므로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이 더 적합하다. 다만, 이 경우, 치료제로서의 기능보다는 예방 및 관리를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rain disease-related diseases such as dementia or man-made disability, the use of digital therapeutics is more important because it is more important for the purpose of mitigation or on-site maintenance centered on diagno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complete cure by treatment. Suitable. However, in this case, it can be understood as using digital technology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rather than a function as a treatment.

그러나 이러한 치매 관련 디지털 치료 또는 관리 기술은 치매에 대한 병리학적 이해 없이 단순히 디지털 기술의 적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용성과 그에 따른 효과가 크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치매 환자에 대한 다면적인 이해를 통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these dementia-related digital treatment or management technologies simply focus on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without a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dementia, and thus, practicality and the resulting effect are not great. Therefore, 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management through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dementia patients is required.

KRKR 10-2018480 10-2018480 B1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매 환자에 대한 다면적인 관찰 및 분석에 따라 치매 관리의 효율성 및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ementia management according to multifaceted observation and analysis of dementia patients. .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매 관리 대상자가 휴대하거나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주거시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한 문답 및 활력 징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장치; 및 상기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문답 및 활력 징후 정보를 기반으로 인지 상태를 분석하여 병원 서버 및 보호자 단말로 분석 결과를 보고하고, 활력 징후 위험이 감지되면 치매 관리 센터 서버로 경고하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는, 상기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가 현재 인식하는 시간을 질문하고, 그 답변에 따른 해당 시간과 관련된 장소 및 지인에 대한 질문을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미리 저장된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 중에서 해당 시간대의 다른 장소 및 다른 지인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질문에 대한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와 일치하는 횟수가 제1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문답을 종료하여 그 결과에 따라 시간인지 상태를 판단하며,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제2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시간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하여 그 결과에 따라 시간인지 상태를 판단하며, 콘텐츠 또는 과제를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과제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질문으로서, 변화하는 이미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이미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하고 해당 질문의 답변에 따라 사물인지 상태를 판단하며, 생활 중 상황별 질문을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되, 생활 중 상황별 질문은 상황별 가상 이미지와 해당 상황에 따른 답변을 요구하며, 현관 비밀번호, 사용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인 금융 정보, 특정 목적지에 대한 이동 방법, 복용중인 약물 및 복용 시간, 주거지 및 직계 가족의 주거지 위치, 및 주거지 주변의 관공서 및 생활 편의시설 위치에 대한 상황 및 질문을 제공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생활능력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된 활력 징후 정보에 따라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욕창, 배변, 식욕, 땀, 및 안구 움직임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상태에 따라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carried by a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or installed in a residential facility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o collect questions and answers and vital sign information for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And a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that analyzes the cognitive state based on the questions and answers and vital sig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repor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hospital server and guardian terminal, and alerts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when a risk of vital signs is detected. There is provided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including; Her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asks a question about the time currently recognized by the dementia care subject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nd provides the dementia care subject with a question about a place and acquaintance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time according to the answer, According to the answers of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questions about other places and other acquaintances of the corresponding time zone are generated and provided from among the preliminary information of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stored in advance, and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s answer to the question is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If the number of matches with the dictionary information of is more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question and answer is terminated and the time or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and if the number of mismatches is more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questions about other time zones a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 the time recognition state is determined, the content or task is provided to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and as a question about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or task, a changing image, an image moving at a certain speed or more, a certain time Provides questions about images that appear or disappear at intervals, determines the state of objec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e question, and provides contextual questions during life to the dementia care subject, and contextual questions during life It asks for answ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front door password, financial information that is us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how to move to a specific destination, medications being taken and taking time, location of residence and immediate family, and government offices and life around the residence Provides situations and questions about the loc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determines the state of life 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grasps the condition of pressure sores, bowel movements, appetite, sweat, and eye movements of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according to the collected vital sign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stat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is determin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치매 관리 센터 서버는 상기 경고된 활력 징후 위험에 대한 감지 근거를 요청하여 감지 적합성을 평가하여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로 보고하고, 상기 경고된 활력 징후 위험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현장 출동하도록 소방서 서버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소방서 서버는 현장 출동 요원에 의한 결과 보고를 기초로 현장 출동 요청 사항과 출동후 현장 상태를 비교분석하여 출동 적합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서버는 상기 보고된 인지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현장 상담 진료 결과와 상기 보고된 인지 상태를 비교분석하여 상태 판단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는 상기 병원 서버 및 상기 치매 관리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보고 및 경고에 대응하는 결과로서 딥러닝 요소로 피드백으로 적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위험의 결정 기준 및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질문, 콘텐츠 또는 과제의 내용 및 인지 상태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requests detection grounds for the warned vital sign risk, evaluates detection suitability, reports i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and determines that action is required for the warned vital sign risk. If it is determined, the fire department server may be notified to mobilize the scene. The fire department server compares and analyzes field dispatch request items and field conditions after dispatch based on the result report by the field dispatch personnel, evaluates dispatch suitability, and reports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The hospital server compares and analyzes the on-site counseling treatment result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and the reported cognitive status based on the reported cognitive status, evaluates the adequacy of state determination, and reports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there is.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e hospital server and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applies them as feedback to a deep learning element as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eport and warning, and determines the vital sign risk and manages the dementia. You can adjust the criteria for the content and cognitive status of the questions, content or tasks provided to the su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은 치매 환자에 대하여 시간인지, 사물인지, 생활능력 및 심리 상태 등을 다면적으로 관찰하여 분석함으로써, 치매 관리의 효율성 및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노령화 시대에 적합한 치매 관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ementia management by multi-faceted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ime perception, object recognition, life ability and psychological state, etc. It is possible to build a dementia management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 tim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은 병원 서버, 치매 관리 센터 서버 및 소방서 서버 등과 연동하여 평가 결과를 피드백 받아 반영함으로써, 치매 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상태 판단의 적합성 및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진화시킬 수 있으므로 치매 위험 관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s with a hospital server, a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a fire station server, etc. to receive feedback and reflect the evaluation results, thereby determining the condition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of experts for dementia management. Confidence in dementia risk management can be improved as relevance and accuracy can continue to evol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치매 위험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생활능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of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for evaluating the life ability state of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Hereinafter,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10)은 정보 수집 장치(100),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 병원 서버(400), 보호자 단말(500) 및 소방서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a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and a hospital server 400. ), a guardian terminal 500 and a fire station server 600.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10)은 치매 관리 대상자의 일상 생활을 관찰하고 이를 분석하여 인지 상태를 판단하고, 활력 징후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 치매 관리 센터 및 소방서 등의 전문인력과의 연계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10)은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하여 시간인지, 사물인지, 생활능력 및 심리 상태 등을 다면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치매 관리 대상자의 관리 효율성 및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치매 관리 대상자는 침해 위험이 높은 독거노인일 수 있다.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10 is for observing and analyzing the daily life of a dementia care subject to determine the cognitive state and detecting the risk of vital signs, and is linked with professional personnel such as hospitals, dementia management centers and fire department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manage dementia care recipients. In particular,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10 can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ementia care subjects by multifacetedly observing time, object perception, life ability, and psychological state of dementia care subjects. Here,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may be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with a high risk of invasion.

정보 수집 장치(100)는 치매 관리 대상자가 휴대하거나 치매 관리 대상자의 주거시설 내에 설치되어 치매 관리 대상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정보 수집 장치(1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한 문답 및 활력 징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수집 장치(100)는 스마트 스피커(110), 스마트 폰(120), 스마트 워치(130) 및 스마트 카메라(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carried by a person subject to care for dementia or installed in a residential facility of a person subject to care for dementia to collect information from a person subject to care for dementia. As an example,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may collect questions and answers and vital sign information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Here,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smart speaker 110 , a smart phone 120 , a smart watch 130 and a smart camera 140 .

스마트 스피커(11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주거시설 내에 구비되어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하며,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와 문답을 음성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질문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스피커(110)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스피커(110)는 음성 입력 및 음성 출력이 가능한 AI 스피커일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스피커(11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음성 명령을 자체적으로 수행하거나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mart speaker 110 is provided in a residential facility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ha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can perform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by voice. That is, the question provided from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be provided to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in voice. At this time, the smart speaker 110 may receive the voice of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transmit i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As an example, the smart speaker 110 may be an AI speaker capable of voice input and audio output. In this case, the smart speaker 110 provide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may carry out a voice command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by itself or transmit i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스마트 폰(120)은 치매 관리 대상자가 휴대하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와 문답을 텍스트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120)은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질문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폰(120)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치매 관리 대상자에 의해 텍스트를 입력받아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폰(120)은 치매 관리 대상자 소유되거나 관리 목적으로 배정된 스마트 폰일 수 있다. The smart phone 120 can be carried by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and conduct Q&A with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by text. That is, the smart phone 120 may provide a question provided from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to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as text. At this time, the smart phone 120 may receive the text input by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and transmit i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As an example, the smart phone 120 may be a smart phone owned by a dementia care subject or assigned for management purposes.

스마트 스피커(110) 및 스마트 폰(120)은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한 양방향 인지 상태의 문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스피커(110) 및 스마트 폰(120)은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특정 질문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시하고 치매 관리 대상자로부터 음성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답변을 입력받아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mart speaker 110 and the smart phone 120 may perform interactive cognitive state questions and answers for the dementia care subject. That is, the smart speaker 110 and the smart phone 120 present a specific question received from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to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receive an answer in the form of voice or text from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and manage dementia risk.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스마트 워치(13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치매 관리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130)는 내부에 장착된 생체 신호 감지 센서에 의해 치매 관리 대상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동안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워치(13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전도 (ECG: electrocardiogram), 뇌전도 (EEG: electroencephalogram), 근전도 (EMG: electromyogram), 피부전도도(GSR: galvanic skin response), 피부온도 (SKT: skin temperature), 및 맥파(PPG: photoplethysmography)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The smart watch 130 may be worn on the body of a person to be managed for dementia, collect bio-signals of the person to be managed for dementia, and transmit them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That is, the smart watch 130 may detect a biosignal while being worn on the body by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by means of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mounted therein, and transmit the biosignal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As an example, the smart watch 130 is an electrocardiogram (ECG), an electroencephalogram (EEG), an electromyogram (EMG), a galvanic skin response (GSR), and a skin temperature (SKT: skin temperature), and pulse wave (PPG: photoplethysmography).

스마트 카메라(14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주거시설 내에 구비되어 치매 관리 대상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카메라(140)는 거주지 내에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상태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카메라(140)는 스마트 홈 카메라일 수 있다.The smart camera 140 may be provided in a residential facility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and detect a movement of the person subject to care for dementia and transmit the motion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That is, the smart camera 140 may capture a state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within a residence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state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in real time. As an example, the smart camera 140 may be a smart home camera.

스마트 워치(130) 및 스마트 카메라(140)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한 단방향 활력 징후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130) 및 스마트 카메라(140)는 치매 관리 대상자로부터 획득된 생체 신호 등의 시그널과 움직임 등의 영상을 수집하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mart watch 130 and the smart camera 140 may perform unidirectional vital sign recording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at is, the smart watch 130 and the smart camera 140 may collect signals such as biological signals and images such as motions obtained from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and transmit them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문답 및 활력 징후 정보를 기반으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인지 상태를 방면으로 분석하고 활력 징후를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인지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병원 서버(400) 및 보호자 단말(500)로 보고할 수 있다. 아울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활력 징후 위험이 감지되면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로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한 위험 상태를 경고할 수 있다.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analyze the cognitive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observe the vital signs based on the questions and answers and the vital sig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report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gnitive state to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guardian terminal 500 . 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warn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of a risk state for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when vital sign risk is detected.

또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병원 서버(400) 및 소방서 서버(600)로부터 실제 상태와의 비교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딥러닝 요소로 반영할 수 있다. 즉,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인지 상태 판단 및 활력 징후 감지 결과와, 실제 상담 진료를 통한 인지 상태 및 실제 현장 출동 통한 활력 상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병원 서버(400) 및 소방서 서버(600)로부터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결과를 딥러닝 요소로서 피드백하여 인지 상태 판단 기준 및 활력 징후 감지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a comparative analysis result with a real state from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fire department server 600 and reflect it as a deep learning element. That is,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compares and analyzes the cognitive state determination and vital sign detection results, the cognitive state through actual consultation and treatment, and the vital state through actual field dispatch to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fire station server 600. ) can be received from each. In this cas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adjust the cognitive state determination criterion and the vital sign detection criterion by feeding back the received result as a deep learning element.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하여 오프라인으로 관리하는 치매 관리 센터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부터 경고된 활력 징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현장 출동하도록 소방서 서버(600)로 통지할 수 있다. 일례로, 활력 징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실신, 일정 시간 움직임 없음, 생체 신호 이상, 및 이상 행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may be a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that manages dementia care subjects offline. At this time,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may notify the fire station server 600 to dispatch to the scene when it is determined that measures are needed for the vital signs warned by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For example, cases in which measures for vital signs are required may include fainting, no move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bnormal vital signs, and abnormal behaviors of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또한,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부터 경고된 활력 징후 위험에 대한 감지 근거를 요청하여 감지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는 적합성 평각 결과를 피드백으로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보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may evaluate detection suitability by requesting a detection basis for the risk of vital signs warned from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In addition,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may report the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s feedback.

병원 서버(4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하여 치매 전문 의료진에 의해 상담 진료를 수행하는 병원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병원 서버(400)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부터 보고된 인지 상태를 기반으로 치매 관리 대상자의 현장 상담 진료를 수행한 결과가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hospital server 400 may be a server of a hospital in which dementia specialist medical staff provides counseling and treatment for dementia care subjects. At this time, the hospital server 400 may input and store the result of performing on-site counseling treatment for the dementia care subject based on the cognitive state reported from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이때, 병원 서버(400)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부터 보고된 인지 상태와 현장 상담 진료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상태 판단의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병원 서버(400)는 상태 판단의 적정성 평가 결과를 피드백으로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보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spital server 400 may compare and analyze the cognitive state reported from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on-site counseling treatment result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ate 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hospital server 400 may report the adequacy evaluation result of the condition determination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s feedback.

보호자 단말(500)은 치매 관리 대상자의 직계 가족 등의 보호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보호자 단말(500)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PC 등과 같은 유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보호자 단말(5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guardian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of a guardian such as an immediate family member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As an example, the guardian terminal 5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 phone or a laptop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d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PC. The guardian terminal 5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communicate with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소방서 서버(600)는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치매 관리 대상자의 거주지로 출동할 수 있는 소방서의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출동하는 소방서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거주지에서 가장 인접한 소방서일 수 있다. 일례로, 소방서 서버(600)는 지역 관할 소방서 또는 소방서 총괄 통제소의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소방서 서버(600)는 현장 출동 요원에 의한 결과 보고가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fire department server 600 may be a server of a fire department capable of dispatching to a residence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 Here, the fire station dispatched to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may be the nearest fire station to the residence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For example, the fire department server 600 may be a server of a local fire department or a fire department general control center. At this time, the fire station server 600 may input and store a result report by a field dispatcher.

또한, 소방서 서버(600)는 현장 출동 요원에 의한 결과 보고(즉, 출동 후 파악된 현장 상태)와 현장 출동 요청 사항을 비교분석하여 출동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소방서 서버(600)는 출동 적합성 평가 결과를 피드백으로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로 보고할 수 있다. 여기서, 출동 적합성 평가 결과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에서 활력 징후 위험으로 감지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상태가 출동에 의해 긴급 조치하는 것이 적정했는지에 대한 평과 결과이다. In addition, the fire department server 600 may evaluate dispatch suitability by comparing and analyzing a result report by a field dispatcher (ie, a field state identified after dispatch) and a field dispatch request. In addition, the fire station server 600 may report the dispatch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s feedback. Here, the dispatch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is an evaluation result of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take an emergency action by dispatching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s condition detected as a risk of vital signs by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치매 위험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of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 a control unit 220 and a database 230 .

통신부(210)는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 병원 서버(400) 및 보호자 단말(50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210)는 WiFi, LTE 또는 5G 등과 같은 통신수단을 통해 유무선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 병원 서버(400) 및 보호자 단말(5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guardian terminal 5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guardian terminal 500 through a wired/wireless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LTE, or 5G. .

제어부(220)는 통신부(210) 및 데이터베이스(230)에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시간인지 분석부(222), 사물인지 분석부(224), 생활능력 분석부(226), 심리 상태 분석부(228) 및 평가 관리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database 230 to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The control unit 220 may include a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2, an object recognition analysis unit 224, a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a psychological state analysis unit 228, and an evaluation management unit 229.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특정 시간에 대한 문답을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시간인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현재의 시간과 관련된 장소 및 지인에 대한 질문을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의 시간은 치매 관리 대상자가 현재라고 인식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가 현재 인식하는 시간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질문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치매 관리 대상자가 현재 유아기인지, 학창시절인지, 직장생활인지, 특정 나이대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The time perception analyzer 222 may analyze the time perception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about a specific time. As an example, the time perception analyzer 222 may provide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with questions about places and acquaintances related to the current time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 Here, the current time means a time that the dementia care subject recognizes as the present. That is, the time cognition analysis unit 222 may check the time currently recognized by the person to be managed for dementia by asking the person to be managed for dementia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 For example, the time recognition analysis unit 222 may provide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dementia care subject is currently in infancy, school days, work life, or a specific age range.

이때,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해당 시간대의 다른 장소 및 다른 지인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가 올바른 답변을 제시한 경우, 첫 번째 질문과 동일 시간대에 대한 유사 질문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올바른지의 여부는 치매 관리 대상자 또는 직계 가족 등의 보호자로부터 획득된 사전 정보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데이터베이스(230)의 관리 대상자 정보(232)에 미리 저장된 사전 답변을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과 사전 답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recognition analysis unit 222 may generate and provide questions about other places and other acquaintances of the corresponding time zone according to the answer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at is, the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2 may provide similar questions for the same time zone as the first question to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when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presents a correct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Here, whether or not the answer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is correct may be determined based on prio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or a guardian such as an immediate family member. That is, the time recognition analysis unit 222 may determine whether the answer of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matches the prior answer through the prior answer previously stored in the management subject information 232 of the database 230 .

아울러,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질문에 대한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와 일치하는 횟수가 제1임계값 이상인 경우, 치매 관리 대상자가 해당 시간으로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임계값은 3회 내지 5회일 수 있다. 이때,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시간에 대한 문답을 종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recognition analysis unit 222 determines that the dementia care subject accurately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time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dementia care subject's answer to the question matches the dementia care subject's prior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can Here, the first threshold may be 3 to 5 times. At this time, the time recognition analysis unit 222 may end the question and answer about time.

또한,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질문에 대한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제2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시간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임계값은 2회 ~ 3회일 수 있다. 이때,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다른 시간대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문답을 재수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시간인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2 may provide a question for a different time period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answer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o the question does not match prior information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Here, the second threshold may be 2 to 3 times. At this time, the time perception analyzer 222 may re-perform the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 other time zones, and determine the time perception state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result.

사물인지 분석부(224)는 콘텐츠 또는 과제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물인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사물인지 분석부(224)는 콘텐츠 또는 과제를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영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야생에서의 동물의 생활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과제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답변을 요구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간단한 게임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또는 과제는 다양한 사물에 대한 이미지와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또는 과제는 수준별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준은 이미지에 대한 변형, 움직임 등의 변화의 속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object recognition analyzer 224 may analyze the object recognition state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hrough contents or tasks. As an example, the object recognition analyzer 224 may provide content or tasks to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 Here, the content means information provided as an image, and may be, for example, an image of an animal's life in the wild. The task refers to information that requires a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o answer or instructs to perform, and may be, for example, a simple game. These contents or tasks may include images and motions of various objects. Also, content or assignments may be provided for each level. Here, the level may be set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image, such as deformation or movement.

이때, 사물인지 분석부(224)는 콘텐츠 또는 과제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물인지 분석부(224)는 변화하는 이미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이미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물인지 분석부(224)는 콘텐츠 또는 과제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한 형상 변화, 움직임 속도 및 등장과 사라짐 등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bject recognition analysis unit 224 may provide a question about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or task. For example, the object recognition analyzer 224 may provide questions about a changing image, an image moving at a certain speed or higher, and an image appearing or disappearing at a certain time interval. That is, the object recognition analyzer 224 may provide questions about shape change, movement speed,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images included in content or tasks.

아울러, 사물인지 분석부(224)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사물인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해당 콘텐츠나 과제의 내용과 연속적으로 일치하는 횟수에 따라 사물인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인지 분석부(222)는 해당 콘텐츠나 과제와 일치하는 답변이 연속 5회 이루어지면, 양호로, 연속 3회 이루어지면 보통으로, 연속 2회이상 일치하지 않으면, 상담 필요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인지 분석부(224)는 보통이나 상담 필요로 판단한 경우에는 다른 콘텐츠나 과제를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recognition analysis unit 224 may determine the object recognition state according to the answer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At this time, the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2 may determine the object recognition st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answer of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consecutively matches the contents or the contents of the task. For example, the time recognition analysis unit 222 judges that if the answer matching the content or task is made 5 times in a row, it is good, if it is made 3 times in a row, it is normal, and if it does not match 2 or more times in a row, it is determined that consultation is necessary. can Here, the object recognition analyzer 224 may provide other contents or tasks to the dementia care subj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rmal or that counseling is necessary.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생활 속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문답을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생활능력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생활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과 관련된 질문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상황별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해당 상황에 필요한 사항을 질문하여 답변을 요구할 수 있다.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analyze the life ability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about various situations in life. As an example,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present vari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life and provide questions related to the situations to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That is,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request an answer by asking questions necessary for the situation while providing a virtual image for each situ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생활능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tuation for evaluating the life ability state of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현관문의 출입 상황을 가상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현관문에는 도어락이 구비될 수 있고, 도어락은 비밀번호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즉,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현관문 출입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provide a situation of entering and exiting the front door as a virtual image. Here, a door lock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door, and the door lock may be unlocked by a password. That is,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instruct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o input a password to access the front door.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ATM 현금 인출기에서 출금 상황을 가상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ATM 현금 인출기는 사용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인 금융 정보와 관련된 것으로 비밀번호 또는 계좌 번호가 요청될 수 있다. 즉,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현금 인출 또는 특정인에게 계좌 이체를 위해 비밀번호나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3 ,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provide a virtual image of a withdrawal situation from an ATM cash machine. Here, the ATM cash machine is associated with financial information that is us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and a password or account number may be requested. That is,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instruct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o input a password or an account number for cash withdrawal or account transfer to a specific person.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현재 복용중인 약물의 약통이나 약봉지를 가상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약통은 복용중인 약물 및 복용 시간과 관련된 것으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제시된 약통이나 약봉지 중에서 현재 시간(아침, 점심, 저녁)에 복용해야 할 약을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As shown in (c) of FIG. 3 ,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provide a medicine cabinet or medicine bag of a drug currently being taken as a virtual image. Here, the medicine cabinet is related to the medication being taken and the taking time, and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At this time,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request to select a medicine to be taken at the current time (morning, lunch, evening) from the presented medicine cabinet or medicine bag.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주거지 인근에 대한 지도를 가상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는 주거지 및 직계 가족의 주거지 위치, 및 주거지 주변의 관공서 및 생활 편의시설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지도는 2D 또는 3D 로 구성되고, 3D 가상 현실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제시된 지도 상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하거나 이동 경로를 요청할 수 있다.As shown in (d) of FIG. 3 ,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provide a map of the vicinity of the residence of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as a virtual image. Here, the map ma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residence and the residence of the immediate family, and the location of government offi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round the residence. In addition, the map may be configured in 2D or 3D and provided in 3D virtual reality. At this time,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select a specific location on the presented map or request a movement route.

도 3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특정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한 버스 정류장 또는 지하철 역 관련 이미지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정류장 또는 지하철 역은 치매 관리 대상자의 거주지 인근에 위치한 것이거나 환승시 거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특정 목적지에 대한 이동 방법으로서 버스 정류장에서 몇 번 버스를 타야하는지, 또는 해당 지하철 역에서 몇 호선을 타서 어디서 내리거나 환승해야 되는지를 답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As shown in (e) and (f) of FIG. 3 ,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provide a bus stop or subway station related image for moving to a specific destination. Here, a bus stop or a subway station may be located near a residence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or may be a location passed through when transferring. At this time,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request to answer how many times to take a bus at a bus stop, or how many lines to get off or transfer at a corresponding subway station as a method of moving to a specific destination.

아울러,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생활능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상황별 질문 내용과 연속적으로 일치하는 횟수에 따라 생활능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상황별 질문에 대하여 수집된 정보와 일치하는 답변이 연속 5회 이루어지면, 양호로, 연속 3회 이루어지면 보통으로, 연속 2회이상 일치하지 않으면, 상담 필요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상황이나 질문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determine the life ability state according to the answer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At this time,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determine the life ability st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answer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consecutively match the questions for each situation. For example,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determines if the answer match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 is 5 times in a row, good, 3 times in a row, normal, and if it does not match 2 or more times in a row, counseling need can be judged. Here,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continuously change and provide the situation or question provided to the dementia care subject.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수집된 활력 징후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생체 정보 및 거동 정보를 기반으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욕창, 배변, 식욕, 땀, 및 안구 움직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mental state analyzer 228 may analyze the mental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rough the vital signs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 As an example, the psychological state analyzer 228 determines pressure sores, defecation, appetite, sweat, and eye movement state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behavior information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can

예를 들면,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누운 자세가 불편해 보이거나 등 부위의 촬영 영상을 기초로 욕창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치매 관리 대상자가 불편감을 보이거나 엉덩이 부위의 촬영 영상을 기초로 배변이나 소변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영상에 따라 식욕, 땀 및 안구 움직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state analyzer 228 may determine a pressure sore based on an uncomfortable lying posture or a photographed image of the back.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tate analyzer 228 may detect a state of defecation or urine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of a hip or buttocks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In addition, the mental state analyzer 228 may grasp appetite, sweat, and eye movement states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이때,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파악된 상태에 따라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촬영 영상이나 생체 신호가 일정한 시간 지속되는지에 따라 불안, 초조, 불쾌감, 안도감, 평안 등의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state analysis unit 228 may determ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according to the identified state.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state analyzer 228 may determ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such as anxiety, nervousness, discomfort, relief, peace, etc., according to whether a captured image or a biosignal las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10)은 치매 관리의 효율성 및 실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노령화 시대에 적합한 치매 관리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dementia management, so it is possible to build a dementia management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 aging era.

이때, 시간인지 분석부(222), 사물인지 분석부(224) 및 생활능력 분석부(226)는 분석 결과를 치매 관리 대상자의 인지 상태 측정 결과로서 병원 서버(400)로 보고할 수 있다. 아울러, 심리 상태 분석부(228)는 심리 상태나 파악된 상태를 기초로 활력 징후 위험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에 경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2, the object recognition analysis unit 224, and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may report the analysis result to the hospital server 400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gnitive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In addition, the mental state analyzer 228 may determine the risk of vital signs based on the mental state or the recognized state and alert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of the result.

평가 관리부(229)는 병원 서버(400) 및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로부터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딥러닝 요소로 피드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결과는 현장 상담 진료나 현장 출동에 의한 확인된 상태와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에서 보고하거나 경고한 상태를 비교한 결과를 의미한다. The evaluation management unit 229 may receive evaluation results from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and apply them as feedback to a deep learning element. Here, the evaluation result means a result of comparing a state confirmed by on-site counseling or dispatch to a state reported or warned by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이때, 평가 관리부(229)는 수신된 평가 결과를 보고 및 경고에 대응하는 결과로서 딥러닝 요소로 피드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평가 관리부(229)는 딥러닝에 따라 심리 상태 분석부(228)에서 활용하는 활력 징후 위험의 결정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관리부(229)는 시간인지 분석부(222), 사물인지 분석부(224) 및 생활능력 분석부(226)에서 활용하는 질문, 콘텐츠 또는 과제의 내용 및 인지 상태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valuation management unit 229 may apply the received evaluation result as feedback to the deep learning element as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eport and warning. In addition, the evaluation management unit 229 may adjust the vital sign risk determination criteria used by the mental state analysis unit 228 according to deep learning. In addition, the evaluation management unit 229 may adjust the content of questions, contents or tasks used by the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2, the object recognition analysis unit 224, and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and cognitive state criteria.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10)은 치매 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상태 판단의 적합성 및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진화시킬 수 있으므로 치매 위험 관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evolve the adequacy and accuracy of state determination through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experts for dementia management,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dementia risk management. can make it

데이터베이스(230)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에서 수신한 정보 및 이를 기반으로 산출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30)는 관리 대상자 정보(232), 콘텐츠 정보(234), 분석 결과 정보(236), 피드백 정보(238) 및 관리 운영 정보(239)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230 may sto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nd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thereon. This database 230 may include management subject information 232 , content information 234 , analysis result information 236 , feedback information 238 , and management operation information 239 .

관리 대상자 정보(232)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관리 대상자 정보(232)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직계 가족 등의 보호자, 및 담당 의료진을 통한 치료 정보 및 상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대상자 정보(232)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인지 상태 문답 결과 및 기록된 활력 징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대상자 정보(232)는 특정 시간대에 대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지인이나 경험에 대하여 사전에 확인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대상자 정보(232)는 생활 속에 특정 상황별로 필요한 정보로서, 현관 비밀번호, 사용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인 금융 정보, 특정 목적지에 대한 이동 방법, 복용중인 약물 및 복용 시간, 주거지 및 직계 가족의 주거지 위치, 및 주거지 주변의 관공서 및 생활 편의시설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target person information 232 may be information on a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target person information 232 may include treatment information and counseling information through guardians such as immediate family members of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and medical staff in charge. In addition, the management target person information 232 may include a question and answer result of the cognitive status of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and recorded vital sig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target person information 232 may include previously confirmed information about acquaintances or experiences of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for a specific time period. In addition, the management subject information 232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each specific situation in life, such as a door password, financial information that is us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how to move to a specific destination, medications being taken and taking time, residence and immediate family's residence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government offi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round the residence.

콘텐츠 정보(234)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 제공되는 질문이나, 콘텐츠 또는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는 영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야생에서의 동물의 생활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과제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답변을 요구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간단한 게임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또는 과제는 다양한 사물에 대한 이미지와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또는 과제는 수준별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준은 이미지에 대한 변형, 움직임 등의 변화의 속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정보(234)는 평가 관리부(229)의 평가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234 may include questions, content, or assignments provided to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In this case, the content refers to information provided as an image, and may be, for example, an image of an animal's life in the wild. The task refers to information that requires a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o answer or instructs to perform, and may be, for example, a simple game. These contents or tasks may include images and motions of various objects. Also, content or assignments may be provided for each level. Here, the level may be set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image, such as deformation or movement. This content information 234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management unit 229 .

분석 결과 정보(236)는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시간인지 분석부(222), 사물인지 분석부(224), 생활능력 분석부(226) 및 심리 상태 분석부(228)에서 분석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236 i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the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2, the object recognition analysis unit 224, the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6, and the psychological state analysis unit ( 228) may be included.

피드백 정보(238)는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 병원 서버(400), 및 소방서 서버(600)에 피드백된 평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eedback information 238 may include evaluation information fed back to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 the hospital server 400 , and the fire station server 600 .

관리 운영 정보(239)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는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 병원 서버(400) 및 소방서 서버(6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 운영 정보(239)는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 병원 서버(400) 및 소방서 서버(600)에 대한 통신 정보, 위치 정보 및 가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operation information 239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 the hospital server 400 , and the fire department server 600 that interoperate with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 For example, the management operation information 239 may include communi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vailability information for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fire department server 600 .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20)은 시간인지를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S21), 사물인지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S22), 생활능력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단계 S23),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S24) 및 평가 관리하는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method 20 of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includes the step of analyzing the time perception state (S21), the step of analyzing the object recognition state (S22), the step of analyzing the life ability state (step S23), the psychological state It may include analyzing (S24) and evaluating and managing (S25).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특정 시간에 대한 문답을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시간인지 상태를 분석하다(단계 S21).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현재의 시간과 관련된 장소 및 지인에 대한 질문을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가 현재 인식하는 시간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질문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가 현재 유아기인지, 학창시절인지, 직장생활인지, 특정 나이대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 first,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time awareness state of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about a specific time (step S21). In this cas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with questions about a place and acquaintances related to the current time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 That is,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ask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about the time currently recognized by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0 and check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person. For exampl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is currently in infancy, school days, working life, or a specific age range.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해당 시간대의 다른 장소 및 다른 지인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가 올바른 답변을 제시한 경우, 첫 번째 질문과 동일 시간대에 대한 유사 질문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30)의 관리 대상자 정보(232)에 미리 저장된 사전 답변을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과 사전 답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generate and provide questions about other places and other acquaintances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 according to the answer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at is, whe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presents a correct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a similar question for the same time period as the first question to the dementia care subject. Her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answer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matches the prior answer through the dictionary answer previously stored in the management target person information 232 of the database 230 .

아울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질문에 대한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와 일치하는 횟수가 제1임계값 이상인 경우, 치매 관리 대상자가 해당 시간으로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임계값은 3회 내지 5회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that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accurately recognizes the corresponding time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s answer to the question matches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s prior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can Here, the first threshold may be 3 to 5 times.

또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질문에 대한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제2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시간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임계값은 2회 ~ 3회일 수 있다.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다른 시간대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문답을 재수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시간인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a question for another time period 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answer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o the question does not match the prior information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Here, the second threshold may be 2 to 3 times.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re-perform the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 other time zones, and determine the time awareness state of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다음으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또는 과제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물인지 상태를 분석한다(단계 S22).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또는 과제를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Next,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object recognition state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hrough the content or task (step S22).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content or tasks to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또는 과제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변화하는 이미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이미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또는 과제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한 형상 변화, 움직임 속도 및 등장과 사라짐 등에 대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a question about the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or task. For exampl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questions about an image that changes, an image that moves at a certain speed or more, and an image that appears or disappears at a certain time interval. That is,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questions about shape changes, movement speeds, and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images included in content or tasks.

아울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사물인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해당 콘텐츠나 과제의 내용과 연속적으로 일치하는 횟수에 따라 사물인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해당 콘텐츠나 과제와 일치하는 답변이 연속 5회 이루어지면, 양호로, 연속 3회 이루어지면 보통으로, 연속 2회이상 일치하지 않으면, 상담 필요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보통이나 상담 필요로 판단한 경우에는 다른 콘텐츠나 과제를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an object recognition state according to an answer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object recognition st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answers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continuously match the content or the content of the task. For exampl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that if an answer matching the content or task is made 5 times in a row, it is good, if it is made 3 times in a row, it is normal, and if it does not match 2 or more times in a row, consultation is required. can Her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other contents or tasks to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if it is determined to be normal or necessary for counseling.

다음으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생활 속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문답을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생활능력 상태를 분석한다(단계 S23).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생활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과 관련된 질문을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상황별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면서 해당 상황에 필요한 사항을 질문하여 답변을 요구할 수 있다.Next,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state of living ability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about various situations in life (step S23).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present vari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life and provide questions related to the situations to the dementia care subject. That is,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request answers by asking questions necessary for the situation while providing virtual images for each situation.

아울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생활능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상황별 질문 내용과 연속적으로 일치하는 횟수에 따라 생활능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상황별 질문에 대하여 수집된 정보와 일치하는 답변이 연속 5회 이루어지면, 양호로, 연속 3회 이루어지면 보통으로, 연속 2회이상 일치하지 않으면, 상담 필요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상황이나 질문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life ability according to the answer of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state of life abi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answer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consecutively match the questions for each situation. For exampl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if an answer consistent with the collected information for each situational question is made 5 times in a row, is good, if it is made 3 times in a row, it is normal, and if it does not match more than 2 times in a row, counseling is performed. need can be judged. Her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continuously change and provide a situation or question provided to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다음으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를 통하여 수집된 활력 징후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단계 S24).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생체 정보 및 거동 정보를 기반으로 치매 관리 대상자의 욕창, 배변, 식욕, 땀, 및 안구 움직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Next,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through the vital signs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step S24).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can grasp pressure sores, defecation, appetite, sweat, and eye movement state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behavior information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0 there is.

예를 들면,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누운 자세가 불편해 보이거나 등 부위의 촬영 영상을 기초로 욕창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가 불편감을 보이거나 엉덩이 부위의 촬영 영상을 기초로 배변이나 소변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치매 관리 대상자의 영상에 따라 식욕, 땀 및 안구 움직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a pressure sore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of a back or a position in which a lying posture is uncomfortable. 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ct a state of defecation or urine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of a hip or buttocks of a person subject to dementia management. 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grasp appetite, sweat, and eye movement states according to the imag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아울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파악된 상태에 따라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촬영 영상이나 생체 신호가 일정한 시간 지속되는지에 따라 불안, 초조, 불쾌감, 안도감, 평안 등의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state. As an exampl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such as anxiety, nervousness, discomfort, relief, peace, etc., according to whether a captured image or a biosignal las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각종 인지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치매 관리 대상자의 인지 상태 측정 결과로서 병원 서버(400)로 보고할 수 있다. 아울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심리 상태나 파악된 상태를 기초로 활력 징후 위험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에 경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report the analysis results of various cognitive states to the hospital server 400 as the cognitive state measurement result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risk of vital signs based on the mental state or the recognized state and alert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of the result.

다음으로,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병원 서버(400) 및 치매 관리 센터 서버(300)로부터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딥러닝 요소로 피드백으로 적용한다(단계 S25). 이때,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평가 결과를 보고 및 경고에 대응하는 결과로서 딥러닝 요소로 피드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딥러닝에 따라 심리 상태 분석부(228)에서 활용하는 활력 징후 위험의 결정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매 위험 관리 서버(200)는 단계 S21 내지 단계 S24에서 활용하는 질문, 콘텐츠 또는 과제의 내용 및 인지 상태 기준을 조정할 수 있다.Next,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e hospital server 400 and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300 and applies them as feedback to the deep learning element (step S25). At this time,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apply the received evaluation result as a feedback to a deep learning element as a result corresponding to a report and a warning. In addition,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adjust the vital sign risk determination criteria used by the mental state analyzer 228 according to deep learning. Accordingly,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00 may adjust the content and cognitive state standards of questions, contents or tasks used in steps S21 to S24.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The above methods may be implemented by the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10 as shown in FIG. 1, and in particular,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that performs these steps, in which case, these programs are computer readable. It can be stored in a possible recording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mbined with a carrier wave in a transmission medium or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and includes, for exampl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It may be a floppy disk, a hard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means of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
100 : 정보 수집 장치 110 : 스마트 스피커
120 : 스마트 폰 130 : 스마트 워치
140 : 스마트 카메라 200 : 치매 위험 관리 서버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22 : 시간인지 분석부 224 : 사물인지 분석부
226 : 생활능력 분석부 228 : 심리 상태 분석부
229 : 평가 관리부 230 : 데이터베이스
232 : 관리 대상자 정보 234 : 콘텐츠 정보
236 : 분석 결과 정보 238 : 피드백 정보
239 : 관리 운영 정보 300 : 치매 관리 센터 서버
400 : 병원 서버 500 : 보호자 단말
600 : 소방서 서버
10: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100: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10: smart speaker
120: smart phone 130: smart watch
140: smart camera 200: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control unit
222: time perception analysis unit 224: object recognition analysis unit
226: life ability analysis unit 228: psychological state analysis unit
229: evaluation management unit 230: database
232: management subject information 234: content information
236: analysis result information 238: feedback information
239: management operation information 300: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400: hospital server 500: guardian terminal
600: fire station server

Claims (2)

치매 관리 대상자가 휴대하거나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주거시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 대한 문답 및 활력 징후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장치; 및
상기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문답 및 활력 징후 정보를 기반으로 인지 상태를 분석하여 병원 서버 및 보호자 단말로 분석 결과를 보고하고, 활력 징후 위험이 감지되면 치매 관리 센터 서버로 경고하는 치매 위험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는,
상기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하여 치매 관리 대상자가 현재 인식하는 시간을 질문하고, 그 답변에 따른 해당 시간과 관련된 장소 및 지인에 대한 질문을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에 따라 미리 저장된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 중에서 해당 시간대의 다른 장소 및 다른 지인에 대한 질문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질문에 대한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답변이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사전 정보와 일치하는 횟수가 제1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문답을 종료하여 그 결과에 따라 시간인지 상태를 판단하며, 일치하지 않는 횟수가 제2임계값 이상인 경우, 다른 시간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하여 그 결과에 따라 시간인지 상태를 판단하며,
콘텐츠 또는 과제를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 또는 과제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질문으로서, 변화하는 이미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이미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이미지에 대한 질문을 제공하고 해당 질문의 답변에 따라 사물인지 상태를 판단하며,
생활 중 상황별 질문을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되, 생활 중 상황별 질문은 상황별 가상 이미지와 해당 상황에 따른 답변을 요구하며, 현관 비밀번호, 사용 빈도가 일정 횟수 이상인 금융 정보, 특정 목적지에 대한 이동 방법, 복용중인 약물 및 복용 시간, 주거지 및 직계 가족의 주거지 위치, 및 주거지 주변의 관공서 및 생활 편의시설 위치에 대한 상황 및 질문을 제공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생활능력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수집된 활력 징후 정보에 따라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욕창, 배변, 식욕, 땀, 및 안구 움직임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상태에 따라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
A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that is carried by a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or installed in a residential facility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to collect questions and answers and vital sig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managed with dementia; and
A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that analyzes the cognitive state based on the questions and answers and vital sig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repor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hospital server and the guardian terminal, and alerts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when a risk of vital signs is detected; including,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 question is asked about the time currently recognized by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and according to the answer, questions about places and acquaintances related to the time are provided to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an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answer of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Among the stored dictionary information of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 questions about other places and other acquaintances of the corresponding time are generated and provided,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s answer to the question matches the dementia management target's prior information is the second. If it is more than the 1st threshold, the question and answer is terminated and the time recognition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and if the number of mismatche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 question about another time period is provided and the time perception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judge,
Provide content or a task to the dementia management subject, and as a question about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or task, a question about a changing image, an image moving at a certain speed or more, an image that appears or disappears at a certain time interval, and According to the answer to the question, the state of object recognition is determined,
Contextual questions in life are provided to the dementia care recipient, but contextual questions in life require virtual images by context and answ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front door password, financial information that is us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and specific destinations. It provides situations and questions about how to move, medications being taken and time taken, the location of residence and immediate family, and the location of public offi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round the residence,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state of ability to live is determined,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that determines the state of pressure sores, defecation, appetite, sweat, and eye movement of the person subject to dementia care according to the collected vital sig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of dementia car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ndi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 관리 센터 서버는 상기 경고된 활력 징후 위험에 대한 감지 근거를 요청하여 감지 적합성을 평가하여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로 보고하고, 상기 경고된 활력 징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현장 출동하도록 소방서 서버로 통지하며,
상기 소방서 서버는 현장 출동 요원에 의한 결과 보고를 기초로 현장 출동 요청 사항과 출동후 현장 상태를 비교분석하여 출동 적합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로 보고하며,
상기 병원 서버는 상기 보고된 인지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의 현장 상담 진료 결과와 상기 보고된 인지 상태를 비교분석하여 상태 판단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로 보고하고,
상기 치매 위험 관리 서버는 상기 병원 서버 및 상기 치매 관리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보고 및 경고에 대응하는 결과로서 딥러닝 요소로 피드백으로 적용하여 상기 활력 징후 위험의 결정 기준 및 상기 치매 관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질문, 콘텐츠 또는 과제의 내용 및 인지 상태 기준을 조정하는 디지털 치매 위험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requests detection grounds for the warned vital sign risk, evaluates the detection suitability, reports i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and dispatches to the site if it is determined that action on the warned vital sign is necessary. Notify the fire department server to do so,
The fire station serv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ield dispatch request and the site status after dispatch based on the report of the result by the field dispatch agent, evaluates dispatch suitability, and reports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The hospital server compares and analyzes the on-site counseling treatment results of the dementia care subject and the reported cognitive status based on the reported cognitive status, evaluates the adequacy of state determination, and reports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The dementia risk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e hospital server and the dementia management center server, applies them as feedback to a deep learning element as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eport and warning, and determines the vital sign risk and manages the dementia. A digital dementia risk management system that adjusts the criteria for the content and cognitive status of questions, content or tasks provided to the subject.
KR1020210162694A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KR202300761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94A KR20230076176A (en)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694A KR20230076176A (en)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176A true KR20230076176A (en) 2023-05-31

Family

ID=8654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694A KR20230076176A (en) 2021-11-23 2021-11-23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17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480B1 (en) 2019-06-03 2019-09-04 유병림 Hybri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er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480B1 (en) 2019-06-03 2019-09-04 유병림 Hybri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server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4247B (en) Multi-feature fusion diagnosis user emotion monitoring method
Farahani et al. Healthcare iot
RU2267158C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deviations in controlled environment
US5544649A (en) Ambulatory patient health monitoring techniques utilizing interactive visual communication
US11523773B2 (en) Biofeedback for therapy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CN103400332A (en) Health service platform system based on real-time monitoring
EP2375964A1 (en) Method for remote diagnostics monitoring and support of patients and device and telemedical center
CN102299952A (en) Remote medical system and intelligent household medical system
CN113168893A (en) Platform-independent real-time medical data display system
US119923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sleep disturbance
Josephine et al. Monitoring and sensing COVID-19 symptoms as a precaution using electronic wearable devices
JP2021533971A (en) Intelligent biometric data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Chatterjee et al. Conceptualizing tomorrow's healthcare through digitization
KR102258832B1 (en) Silver care system
Gelogo et al. Unified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architecture with collaborative model
Pistorius Developments in emerging digital health technologies
US202301141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aregiver burnout risk
CN116825337A (en) Patient safety nursing early warning system
KR20230076176A (en) System for digitally managing dementia risk
CN116072310A (en) Intelligent edge computing system applied to medical health service
Costin et al. Complex telemonitoring of patients and elderly people for telemedical and homecare services
CN113270198A (en) Continuation nursing system for discharged depression patients
Sun et al. An overview of aiomt applications
Rayimdjonova et al. DESIGN AND CREATION OF A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S UNDER CONSTANT CONTROL
Ahmed et al. Smart health architecture integration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