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904A - Cleaner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er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904A
KR20230012904A KR1020210093741A KR20210093741A KR20230012904A KR 20230012904 A KR20230012904 A KR 20230012904A KR 1020210093741 A KR1020210093741 A KR 1020210093741A KR 20210093741 A KR20210093741 A KR 20210093741A KR 20230012904 A KR20230012904 A KR 20230012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leaner
disposed
ai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기탁
김한신
송현섭
허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904A/en
Publication of KR2023001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9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tation, in which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n air outlet formed to discharge air, includes a mesh covering the air outlet, and includes a compression plate that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a dust collecting body and rotates to clean the mesh, and thus, as a rotating plate rotates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the vacuum cleaner station moves the dust to a space other than an air flow path to secure smooth air flow, and can collect additional dust by compressing the dust and secure smooth air flow by sweeping away the dust adsorbed on the mesh.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 {Cleaner station}Cleaner station {Cleaner station}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고, 백리스 타입(Bagless Type)의 먼지집진부를 구비한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station that collects dust inside the cleaner and has a bagless type dust collecting unit.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up small garbage or dust by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fills a dust bin in the product,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및 로봇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stick-type cleaners, robot cleaner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household cleaners,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convenience in use by integrally providing a dust bin and a cleaner body, have been widely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The main body of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intake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a brush can be inserted into the intake.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The Han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is light in weight, but has a short length, so the cleaning area may be limited while sitting. Thus,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standing up,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clean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 type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and can clean high places that are out of reach.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In addition, recently, a robot cleaner that self-cleans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has been used. The robot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its own in the area to be cleaned.

특히, 로봇 청소기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하기 위하여 작은 크기로 설계됨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자주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particular, since robot cleaners are generally designed to be small in size to clean while traveling by themselves, the capacity of the dust bin for storing collected dust is small, so the user has to frequently empty the dust bin.

전술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소기 스테이션이 개발되었다.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를 마친 로봇 청소기를 거치하며, 로봇 청소기가 집진한 먼지를 흡입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은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의 크기보다 훨씬 큰 먼지집진부를 구비한다. 즉, 로봇 청소기가 집진한 먼지들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먼지집진부에 계속 포집되고, 사용자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먼지집진부를 비우는 방식이다. 이에 따르면, 매번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을 비우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가 먼지를 비우는 횟수가 비약적으로 감소하는 장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inconvenience, a cleaner station has been developed. The cleaner station is a device for holding a robot cleaner that has finished cleaning and sucking dust collected by the robot cleaner. In general, a vacuum cleaner station has a dust collection unit much larger than the size of a dust bin of a robot cleaner. That is, the dust collected by the robot cleaner is continuously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of the cleaner station, and the user empties the dust collection unit of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is, compared to the case of emptying the dust bin of the robot cleaner every tim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requency of emptying the dust by the user is drastically reduced.

한편, 먼지집진부의 종류는 크게 백 타입(Bag Type)과 백리스 타입(Bagless Type)이 있다. 백 타입은 먼지집진부에 별도의 봉투(bag)를 구비하여, 봉투에서 먼지를 포집하고, 봉투만을 청소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하여 버리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백리스 타입은 먼지집진부에 별도의 봉투를 구비하지 않으며, 먼지집진부 자체에서 먼지를 포집하고, 먼지집진부 자체를 청소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하여 먼지를 비우는 방식이다. 이때, 봉투는 1회성의 소모품이고, 일반적으로 비닐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봉투를 매번 구매해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 및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환경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백리스 타입의 먼지집진부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종종 설치되기도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dust collection unit is largely divided into a bag type and a bagless type. The bag type is a method in which a separate bag is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dust is collected in the bag, and only the bag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station and discarded. Unlike this, the bagless type does not include a separate bag in the dust collection unit, collects dust in the dust collection unit itself, and separates the dust collection unit from the cleaner station to empty the dust. At this time, since the bag is a one-time expendable item and is general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a cost problem of having to purchase the bag every time and an environmental problem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a bagless type dust collection unit is often installed in a vacuum cleaner station.

일반적으로, 청소기에는 일정 이상 먼지가 집진되어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에는 청소기에서 1차로 집진된 먼지들이 유입되는 바, 한번에 많은 양의 먼지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백리스 타입의 먼지집진부로 많은 양의 먼지가 한번에 유입되는 경우, 순간적으로 유로가 막혀 청소기 스테이션이 포집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a certain amount or more of dust is collected in the cleaner, and dust primarily collected by the cleaner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station, so a large amount of dus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leaner station at one time. In this case, when a large amount of dust flows into the bagless-type dust collection unit at once, the passage may be momentarily blocked, causing the cleaner station to lose its collecting function.

선행문헌 1로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10,463,215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1은 배출 스테이션에 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 1에 따른 스테이션은 먼지통을 구비한 로봇청소기를 거치하기 위한 베이스, 내부에 먼지포집부가 배치되는 캐니스터를 포함한다. 선행문헌 1의 스테이션에 유입된 공기중의 먼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며 필터에서 1차로 여과되고, 싸이클론부에서 2차로 여과된다. As Prior Document 1, US Patent Registration No. 10,463,215 is proposed. Prior Document 1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discharge station. The station according to Prior Document 1 includes a base for holding a robot cleaner having a dust bin, and a canister in which a dust collector is disposed. Dust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tation of Prior Document 1 mov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primarily filtered in the filter and secondarily filtered in the cyclone unit.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에는 청소기로부터 한번에 많은 양의 먼지가 유입되기 때문에, 선행문헌 1에서 개시하는 먼지포집부의 입구단에서는 먼지 덩어리가 끼어 유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a large amount of dust is introduced into the station at one time from 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a problem in which a flow path is clogged by dust lumps may occur at the inlet end of the dust collection unit disclosed in Prior Document 1.

선행문헌 2로 미국 등록특허공보 9,492,048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2는 청소로봇으로부터 장탈착될 수 있는 먼지통에 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 2는 스테이션 하우징, 싸이클론부를 구비한 백리스 타입 포집통, 장탈착 가능한 필터를 제시한다. 선행문헌 2에 다르면, 포집통은 스테이션으로부터 장탈착될 수 있다.As Prior Document 2, US Patent Registration No. 9,492,048 is proposed. Prior Document 2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dust bin detachable from a cleaning robot. Prior Document 2 proposes a station housing, a bagless type collection container having a cyclone unit, and a detachable filter. According to Prior Document 2, the collection bin can be detached from the station.

하지만, 선행문헌 2는 스테이션에 청소기가 도킹되는 방법 또는 포집통을 장착하거나 탈착하는 방법에 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제시할 뿐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이 한번에 많은 양의 먼지가 유입됨에 따라 유로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는다.However, since Prior Document 2 only presents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of docking a vacuum cleaner to a station or a method of attaching or detaching a collection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as a large amount of dust is introduced into the station at one time, the passage is It does not suggest a solution to solve the blockage problem.

즉, 스테이션은 청소기로부터 먼지덩어리가 유입될 수 있고, 한번에 많은 양의 먼지가 유입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는 상기 많은 양의 먼지에 의하여 유로가 막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선행문헌 2에서는 필터의 상부에 먼지가 많이 쌓이면, 공기유동을 방해하여 스테이션의 포집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s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dust lumps may be introduced from the cleaner and a large amount of dust is introduced at one time. However, prior art document 1 and prior art document 2 had a problem that the passage was clogged by the large amount of dust. In particular, in Prior Document 2, if a lot of dust accumulates on the top of the filter, air flow is hindered, resulting in poor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station.

선행문헌 1 : 미국등록특허 제10,463,215호Prior Document 1: US Patent No. 10,463,215 선행문헌 2 : 미국등록특허 제9,492,048호Prior Document 2: US Patent No. 9,492,04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백리스 타입의 먼지집진부를 구비하되, 일시적으로 과도한 양의 먼지가 한꺼번에 유입되는 경우에도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먼지집진부를 구비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having a bagless type dust collection unit, but preventing a passage from being clogged even when an excessive amount of dust temporarily flows in at onc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동등한 용량을 기준으로 최대한 많은 양의 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먼지집진부를 구비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having a dust collection unit capable of collecting as much dust as possible based on an equivalent capacity.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일정 이상의 먼지가 유입된 경우에도 최소한의 공기 유동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리필터를 구비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having a pre-filter capable of securing a minimum air flow even when a certain amount of dust is introduc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하우징,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집진부를 포함한다. 먼지집진부는 집진바디와 메시와 압축판을 포함한다. 집진바디는 외형을 형성하고, 먼지가 집진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먼지집진부는 공기배출구를 덮는 메시, 집진바디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하며 메시를 청소하는 압축판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coupling part disposed on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oupling surface 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leaner is coupled,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in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It includes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dust.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dust collecting body, a mesh, and a compression plate. The dust collecting body forms an outer shape, has an inner space in which dust is collected, and has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and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from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mesh covering the air outlet and a compression plate rotat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rotating to clean the mesh.

공기유입구는 집진바디의 바닥면과 외벽면과 상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는 집진바디의 바닥면과 외벽면과 상부면에서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면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let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bottom surface, outer wall surface, and top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the air outlet may be formed on one of the bottom surface, outer wall surface, and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excluding the surface where the air inlet is formed. there is.

공기배출구는 집진바디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An air outlet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집진바디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집진바디의 외벽면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판은 집진바디의 외벽면에서 샤프트를 향하여 연장된 고정판과,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body may include a shaft disposed in an internal space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round the shaft. The compression plate may include a fixed plate extending from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oward the shaft, and a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and extending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먼지집진부는 하우징의 일 측방으로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unit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so that it can be attached or detached.

청소기 스테이션은 먼지집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의 회전중심축은 압축판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may include a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At this time,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handle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compression plate.

청소기 스테이션은 먼지집진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먼지집진부의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리필터는 먼지집진부가 장탈착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장탈착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may include a pre-filter disposed above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communicating with an air outlet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t this time, the pre-filter may be attached or detach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unit is attached or detached.

청소기 스테이션은 입구단이 청소기의 먼지통에 연통되고, 출구단이 먼지집진부의 공기유입구에 연통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입유로는 출구단이 입구단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may include a suction passage having an inlet end communicating with the dust bin of the cleaner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t this time, the outlet end of the suction passage may be disposed above the inlet end.

청소기 스테이션은 입구단이 먼지집진부의 공기배출구에 연통되고, 출구단이 하우징의 일 측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유로는 출구단이 입구단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may include a discharge passage having an inlet end communicating with an air outlet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an outlet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one side of the housing. In this case, the outlet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inlet end.

먼지집진부는 집진바디의 외둘레면에 배치되고, 공기배출구와 연통되고, 원심력으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cyclon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lecting body,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and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by centrifugal force.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가 결합된 때 청소기와 먼지집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집진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on motor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cleaner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when the cleaner is coupled and generates air flow.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회전판이 집진바디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먼지를 공기가 유동하지 않는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바, 일시적으로 과도한 양의 먼지가 한꺼번에 유입되는 경우에도 집진바디 내부의 공기유동이 방해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First, since the rotating plate moves the dust to a space where air does not flow while rotating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the air flow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is not disturbed even when an excessive amount of dust is temporarily introduced at once.

둘째, 회전판이 집진바디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집진바디 내부의 먼지를 압축하는 바, 포집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추가적으로 먼지를 더 포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Second, since the rotary plate compresses the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while rotating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volume of the collected dust can be reduced and more dust can be additionally collected.

셋째, 회전판이 집진바디의 내부를 회전하면서 공기배출구의 메시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내는 바, 메시에서 일정 이상의 공기 유량을 유지하는 장점도 있다.Thirdly, since the rotating plate rotates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to sweep dust adsorbed on the mesh of the air outlet,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certain air flow rate in the mesh.

넷째, 프리필터의 여과부재에서 상승하는 유동이 발생하는 바, 여과부재의 하부면에서 먼지가 여과되고, 일정한 무게 이상의 먼지는 중력에 의하여 여과부재의 하부로 떨어지므로, 프리필터에서 최소한의 공기유동을 확보하는 장점도 있다.Fourth, since a rising flow occurs in the filtering member of the pre-filter, dust is filter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ing member, and dust over a certain weight falls to the lower part of the filtering member by gravity, so that the minimum air flow in the pre-filter There are also advantages to securing a .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분해도,
도 4는 도 2에서 먼지집진부의 손잡이가 회전하기 전과 회전한 후를 도시한 도,
도 5는 도 1에서 청소기 스테이션을 A 또는 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집진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배출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먼지집진부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집진부의 분해도,
도 9는 도 6에서 먼지집진부를 C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먼지집진부를 D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필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프리필터를 E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in FIG. 1;
3 is an exploded view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rotation of the handl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in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station in FIG. 1 viewed from an A or B direc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is opened in FIG. 6;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in the direction C in Figure 6;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in the direction D in Figure 9;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ilter in FIG. 11 viewed from the direction 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청소기 시스템은 청소기(200)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 구분된다. 청소기(200)는 이동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써, 이동하며 청소영역에 존재하는 먼지를 흡입하며 내부에 구비된 먼지통에 집진한다. 청소기(200)는 고정되고 이동할 수 없는 구성요소로써, 청소를 마친 청소기(200)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내부에 구비된 먼지집진부(140)에 집진한다.The cleaner system is divided into a cleaner 200 and a cleaner station 100 . The cleaner 200 is a movable component, and moves, sucks in dust present in the cleaning area, and collects dust in a dust bin provided therein. The cleaner 200 is a fixed and immovable component, and collects dust in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provided therein by sucking dust from the cleaner 200 that has been cleaned.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200)는 로봇청소기일 수 있다. 로봇청소기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구동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청소기를 말한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일 측 하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청소기 스테이션(100)과 결합된다.The clea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obot cleaner. A robot cleaner includes a driving motor and refers to a vacuum cleaner driven by the driving motor. The cleaner 200 is disposed adjacent to one lower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and coupled with the cleaner station 100 .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는 것이라 함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고정되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 청소기(200)의 단자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 청소기(200)의 먼지통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먼지집진부(14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연통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ct that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means that the cleaner 200 is fixed and mechanically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 terminals of the cleaner 200 and the terminals of the cleaner station 100. It may include contacting and electrically coupl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dust bin of the cleaner 200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of the cleaner station 100 so that air flows.

청소기(200)는 구동바퀴(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바퀴는 청소기(200)의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청소기(200)를 이동시킨다. 구동바퀴는 청소기(200)의 바닥에 배치된다. 구동바퀴는 좌우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바퀴의 외둘레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결합부(120)의 경사면을 오를 수 있다.The cleaner 200 includes a driving wheel (not shown). The drive wheels receive power from the drive motor of the cleaner 200 and move the cleaner 200 . The driving wheel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200. The drive wheels may be arrang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Gear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and can climb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20.

청소기(200)는 캐스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캐스터는 청소기(200)를 조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캐스터는 상하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캐스터는 좌측 구동바퀴와 우측 구동바퀴 사이에 배치된다. 캐스터는 청소기(200)의 전단에 배치되고, 캐스터가 회전함으로써 청소기(200)는 선회 이동할 수 있다.The cleaner 200 includes casters (not shown). The caster is a component for steering the cleaner 200. The caster is rotatably disposed around a central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The caster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driving wheel and the right driving wheel. The caster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leaner 200, and as the caster rotates, the cleaner 200 can pivot.

청소기(200)는 먼지통과 연통된 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지통에 집진된 먼지는 배출구를 통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 이동한다. 청소기(200)의 배출구는 청소기(2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청소기(200)의 배출구는 결합부(120)에 형성된 흡입구(124)와 연통되며,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배출구와 결합부(120)의 흡입구(124)는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The cleaner 200 includes an outlet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dust bi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moves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outlet of the cleaner 2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200 . The outlet of the cleaner 200 communicates with the inlet 124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20, and specifically, the outlet of the cleaner 200 and the inlet 124 of the coupling part 120 are vertically overlapped.

청소기(200)는 브러시(미도시)를 포함한다. 브러시는 바닥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 보다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브러시는 청소기(200)의 바닥의 일 측에 배치된다. 브러시는 상하로 연장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The cleaner 200 includes a brush (not shown). The brush is a component that sweeps the dust adsorbed on the floor so that it is more easily absorbed. The brus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cleaner 200 . The brush rotates around a central axis extending vertically.

청소기(200)는 걸레(미도시)를 포함한다. 걸레는 수분을 함유하며, 바닥에 흡착된 먼지를 닦아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레는 청소기(200)의 바닥의 일 측에 배치된다. 걸레는 좌측 구동바퀴와 우측 구동바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캐스터의 반대쪽에 배치된다.The cleaner 200 includes a mop (not shown). A mop contains moisture and is a component that wipes and cleans dust adsorbed on the floor. The mop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cleaner 200. The mop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ster, center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left driving wheel and the right driving wheel.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와 결합됨으로써, 청소기(200)를 충전하거나, 청소기(200)의 먼지통에 집진된 먼지를 흡입하거나, 청소가 끝난 청소기(200)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leaner station 100 is a component that is combined with the cleaner 200 to charge the cleaner 200, to suck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of the cleaner 200, or to safely store the cleaned cleaner 200. .

하우징(1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성요소들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housing 110 forms an exterior of the cleaner station 100 and forms a space in which components are accommodated.

하우징(110)은 상하 높이가 좌우 너비 또는 전후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설치되는 방에서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have a vertical height longer than a left-right width or a front-back width. By having such an arrangement, the space occupied by the room in which the cleaner station 100 is installed can be minimized.

하우징(110)은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2,113)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cover 111 and side covers 112 and 113.

상부커버(111)는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The upper cover 11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커버(111)는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커버(111)의 후단은 하우징(110) 바디에 힌지로 결합되는 바, 상방으로 회전하며 하우징(110)의 상부면이 개폐된다. 상기 상부커버(111)가 개방되면, 프리필터(161)가 장탈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pper cover 111 may be opened and closed.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upper cover 111 is hinged to the housing 110 body, rotates upwar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upper cover 111 is opened, the pre-filter 161 may be detached.

제1측부커버(112)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측부커버(112)는 하우징(110)의 좌측면 및 전면에 배치된다.The first side cover 11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10 . Specifically, the first side cover 112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front of the housing 110.

도 2를 참조하면, 제1측부커버(112)는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측부커버(112)의 후단은 하우징(110) 바디에 힌지로 결합되는 바, 좌측방으로 회전하며 하우징(110)의 전면이 개폐된다. 상기 제1측부커버(112)가 개방되면, 먼지집진부(140)가 장탈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first side cover 112 can be opened and closed.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first side cover 112 is hinged to the housing 110 body, rotates to the left, and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first side cover 112 is opened,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can be detached.

제2측부커버(113)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측부커버(113)는 하우징(110)의 우측면 및 후면에 배치된다.The second side cover 113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second side cover 113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rear side of the housing 110 .

제2측부커버(113)는 흡입유로(130) 및 배출유로(170)를 커버한다. 제2측부커버(113)의 내측면에는 소음재를 구비하여,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second side cover 113 covers the suction passage 130 and the discharge passage 170 . A silence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cover 113 to prevent noise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110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결합부(120)는 청소기(200)가 결합되고, 청소기(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결합부(120)는 하우징(110)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한다.The coupler 120 is a component to which the cleaner 200 is coupled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f the cleaner 200 . The coupling part 120 is disposed on the housing 110 and includes a coupling surface 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er 200 is coupled.

결합부(120)는 하우징(110)의 하부면을 커버하고,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20 may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extend forward of the housing 110 .

결합부(120)는 전단이 낮고 후단이 높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200)는 결합부(120)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며 결합부(120)에 진입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20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low front end and a high rear end. Accordingly, the cleaner 200 may enter the coupling portion 120 while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coupling portion 120 .

결합부(120)는 구동바퀴 안착부(121)를 포함한다. 구동바퀴 안착부(121)는 상부에 청소기(200)의 구동바퀴를 안착시킨다. 구동바퀴 안착부(121)는 결합부(120)의 결합부(120)의 결합면에서 하부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구동바퀴 안착부(121)는 구동바퀴에 대응하도록 좌우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20 includes a driving wheel seating part 121 . The driving wheel seating part 121 seats the driving wheel of the cleaner 200 thereon. The driving wheel seating portion 121 is formed by being recessed downward from a coupling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20 of the coupling portion 120 . The driving wheel mount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as a left and right pair to correspond to the driving wheel.

결합부(120)는 걸레 안착부(122)를 포함한다. 걸레 안착부(122)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때 청소기(200)의 걸레의 하부에 배치된다.Coupling portion 120 includes a mop mounting portion 122. The mop mounting portion 122 is disposed below the mop of the cleaner 200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

결합부(120)는 캐스터 가이드(123)를 포함한다. 캐스터 가이드(123)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때 청소기(200)의 캐스터가 지나가는 궤적에 형성된다. 캐스터 가이드(123)는 하방으로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스터 가이드(123)는 청소기(200)가 진입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coupling part 120 includes a caster guide 123. The caster guide 123 is formed on a trajectory along which the caster of the cleaner 200 passes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 The caster guide 123 is formed in a downwardly recessed groove shape. The caster guide 123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er 200 enters.

결합부(120)는 흡입구(124)를 포함한다. 결합부(120)의 흡입구(124)는 흡입유로(130)의 입구단과 연결된다. 결합부(120)의 흡입구(124)는 청소기(200)의 먼지통의 배출구와 연통된다. The coupling part 120 includes a suction port 124 . The inlet 124 of the coupl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inlet end of the suction passage 130 . The inlet 124 of the coupling part 120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of the dust bin of the cleaner 200 .

결합부(120)는 충전단자(125)를 포함한다. 충전단자(125)는 결합부(120)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부로 돌출된다. 결합부(120)의 충전단자(125)는 청소기의 충전단자(미도시)와 접촉되어, 청소기(200)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upling part 120 includes a charging terminal 125 . The charging terminal 125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art 120 and protrudes upward. The charging terminal 125 of the coupling part 120 is in contact with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of the cleaner, so that the cleaner 200 and the cleaner station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하우징(110)에는 먼지집진부 설치공간(114)이 형성된다. 먼지집진부 설치공간(114)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중 일부에 해당한다. 먼지집진부 설치공간(114)은 제1측부커버(112) 및 제2측부커버(113)에 의하여 외부공간으로부터 격리된다. 제1측부커버(112)가 회전하는 경우, 먼지집진부 설치공간(114)은 개방되고, 먼지집진부(140)가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A dust collector installation space 114 is formed in the housing 110 . The dust collector installation space 114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The dust collector installation space 114 is isolated from the external space by the first side cover 112 and the second side cover 113 . When the first side cover 112 rotates, the dust collection unit installation space 114 is opened,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can be attached or detached.

흡입유로(130)는 입구단이 청소기의 먼지통(미도시)에 연통되고, 출구단이 먼지집진부(140)의 공기유입구(1411)에 연통된다. 흡입유로(130)는 결합부(120) 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흡입유로(130)의 입구단은 결합부(120)의 흡입구(124)와 연결되고, 청소기의 먼지통에 연통되어, 청소기의 먼지통의 먼지들은 흡입유로(130)로 유입될 수 있다.The suction passage 130 has an inlet end communicating with a dust bin (not shown) of the vacuum cleaner, and an outlet e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1411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 The suction passage 130 extends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upling part 120 . The inlet end of the suction passage 13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24 of the coupling part 120 and communicates with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dust from the dust bin of the cleaner may flow into the suction passage 130 .

흡입유로(130)는 출구단이 입구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흡입유로(13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 내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흡입유로(130)의 출구단은 먼지집진부(140)의 공기유입구(1411)와 연결되어, 흡입유로(130)를 유동하는 먼지들은 먼지집진부(140)로 유동될 수 있다.The outlet end of the suction passage 130 is disposed above the inlet end. The suction passage 130 extends upward from inside the cleaner station 100 . An outlet end of the suction passage 130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411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so that dust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30 may flow to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흡입유로(130) 내부에서 공기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한다. 흡입유로(130)의 내부는 단순한 원통 구조로 형성되는 바, 내부에서 공기저항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들은 공기저항 없이 흡입유로(130)의 출구단까지 유동할 수 있다.Inside the suction passage 130, air ri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Since the inside of the suction passage 130 is formed in a simple cylindrical structure, air resistance hardly occurs therein. Therefore, dust included in the air can flow to the outlet end of the suction passage 130 without air resistance.

먼지집진부(140)는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구성요소이다. 먼지집진부(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dust collection unit 140 is a component that collects dust inside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10 .

본 발명에 따른 먼지집진부(140)는 백리스 타입(Bagless Type)이다. 먼지집진부(140)의 종류는 크게 백 타입(Bag Type)과 백리스 타입(Bagless Type)이 있다. 백 타입은 먼지집진부(140)에 별도의 봉투(bag)를 구비하여, 봉투에서 먼지를 포집하고, 봉투만을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하여 버리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백리스 타입은 먼지집진부(140)에 별도의 봉투를 구비하지 않으며, 먼지집진부(140) 자체에서 먼지를 포집하고, 먼지집진부(140) 자체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하여 먼지를 비우는 방식이다.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gless type. The type of dust collecting unit 140 is largely divided into a bag type and a bagless type. The bag type is a method in which a separate bag is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to collect dust in the bag, and only the bag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station 100 and discarded. Unlike this, the bagless type does not have a separate bag in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collects dust in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itself, and removes dust by separating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itself from the cleaner station 100. way to empty it.

일반적으로, 청소기(200)에는 일정 이상 먼지가 집진되어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청소기(200)에서 1차로 집진된 먼지들이 유입되는 바, 한번에 많은 양의 먼지가 한번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백리스 타입의 먼지집진부(140)에는 한꺼번에 너무 많은 먼지가 한번에 유입됨에 따라, 유로가 막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포집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배출구에 끼어있는 먼지를 제거하고, 포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포집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Generally,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dust is collected in the cleaner 200, and dust primarily collected by the cleaner 200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station 100, so a large amount of dust may be introduced at once. At this time, as too much dust flows into the bagless-type dust collection unit 140 at once, the passage may be blocked and the cleaner station 100 may lose its collecting function. Accordingly,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ans for removing dust stuck in the outlet and compressing the collected dust, so that the collecting function of the cleaner station 100 can be secured.

먼지집진부(140)는 집진바디(141), 메시(144), 및 압축판(142)을 포함한다.The dust collecting unit 140 includes a dust collecting body 141 , a mesh 144 , and a compression plate 142 .

집진바디(141)는 먼지집진부(140)의 외형을 형성하고, 먼지가 집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and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dust can be collected.

집진바디(141)는 샤프트(1414)를 중심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샤프트(1414)는 집진바디(14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샤프트(1414)는 흡입유로(1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샤프트(141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1414)에는 회전판(14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dust collecting body 14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round the shaft 1414. The shaft 1414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aft 141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passage 130, and specifically, the shaft 1414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 rotating plate 14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1414 .

집진바디(141)는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411)와,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412)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411)는 흡입유로(130)와 연통되고, 공기배출구(1412)는 배출유로(170)와 연통된다.The dust collecting body 141 is formed with an air inlet 141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and an air outlet 1412 through which air from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The air inlet 1411 communicates with the intake passage 130 and the air outlet 1412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assage 170 .

공기유입구(1411)는 집진바디(141)의 바닥면과 외벽면과 상부면 중 하나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412)는 집진바디(141)의 바닥면과 외벽면과 상부면에서 공기유입구(1411)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면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유입구(1411)는 집진바디(141)의 외벽면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412)는 집진바디(141)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The air inlet 1411 is formed on one of the bottom surface, outer wall surface, and top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the air outlet 1412 is an air inlet port on the bottom surface, outer wall surface, and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1411) may be formed on one of the faces except for the face formed. Referring to FIG. 7 , the air inlet 1411 is form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the air outlet 14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공기유입구(1411)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은 공기배출구(1412)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과 어긋날 수 있다. 공기유입구(1411)에서 공기는 샤프트(1414)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유입되고, 공기배출구(1412)에서 공기는 샤프트(1414)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집진바디(141)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적어도 1회 이상 전환되므로, 관성에 의하여 공기로부터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A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411 may be different from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412 . Air may be introduced from the air inlet 141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414 , and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41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414 . By having such an arrangement, sinc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changed at least once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dust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by inertia.

공기배출구(1412)는 집진바디(141)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공기배출구(1412)에서 공기는 상승하면서 집진바디(141)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공기배출구(1412)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는 중력에 의하여 집진바디(141)의 상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강한다.The air outlet 14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while rising from the air outlet 1412 . Therefore,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from the air outlet 1412 is not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by gravity and descends.

먼지집진부의 상부커버(146)는 집진바디(141)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먼지집진부의 상부커버(146)는 공기배출구(1412)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공기배출구(1412)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The upper cover 146 of the dust collecting unit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The upper cover 146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air outlet 1412, and at least a part thereof overlaps the air outlet 1412 vertically.

먼지집진부의 상부커버(146)는 제1상부커버(1461)와 제2상부커버(1462)로 구분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146 of the dust collection uni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upper cover 1461 and a second upper cover 1462 .

제1상부커버(1461)와 제2상부커버(1462)는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상부커버(1461)와 제2상부커버(1462)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상부커버(1461)는 제2상부커버(1462)보다 상부에 배치된다.The first upper cover 1461 and the second upper cover 1462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he first upper cover 1461 and the second upper cover 1462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upper cover 1461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upper cover 1462 .

제1상부커버(1461)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ir can be discharged is formed in the first upper cover 1461 .

제2상부커버(1462)에는 싸이클론부(145)가 연결될 수 있다.The cyclone unit 14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cover 1462 .

집진바디(141)에는 포집한 먼지가 배출되기 위한 먼지배출구(1413)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지배출구(1413)는 집진바디(141)의 하부면에 형성된다.A dust outlet 1413 for discharging collected dust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on body 141 . Referring to FIG. 7 , the dust outlet 141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배출커버(143)는 먼지배출구(1413)를 덮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출커버(143)는 집진바디(141)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배출커버(143)는 집진바디(141)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먼지배출구(1413)를 개폐한다.The discharge cover 143 covers the dust outlet 1413. Referring to FIG. 7 , the discharge cover 143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The discharge cover 143 is hinged to the dust collection body 141 and opens and closes the dust outlet 1413 while rotating.

배출커버(143)에는 동력전달부재(1425)가 배치될 수 있다.A power transmission member 1425 may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cover 143 .

메시(144)는 집진바디(141)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메시(144)는 공기배출구(1412)를 덮는다.The mesh 144 is a component that filter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A mesh 144 covers the air outlets 1412 .

메시(144)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메시(144)는 복수의 와이어가 엮여있어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mesh 144 is formed with a number of holes.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mesh 144 by intertwining a plurality of wires.

메시(144)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한다. 즉, 메시(144)의 홀의 크기보다 작은 먼지는 메시(144)를 통과하고, 메시(144)의 홀의 크기보다 큰 먼지는 메시(144)를 통과하지 못한다. 메시(144)를 통과하지 못하는 큰 먼지는 집진바디(141)의 하부로 하강하거나, 메시(144)의 하부면에 흡착된다.The mesh 144 filters dust from the air in a physical way. That is, dust smaller than the hole size of the mesh 144 passes through the mesh 144, and dust larger than the hole size of the mesh 144 does not pass through the mesh 144. Large dust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mesh 144 desc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or is adsorb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esh 144 .

메시(144)는 샤프트(141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Mesh 144 is disposed radially outwardly and spaced from shaft 1414 .

메시(144)는 반원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시(14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mesh 144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semicircle. At this time, the mesh 144 may be formed to be convex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압축판(142)은 집진바디(141) 내부공간에 집진된 먼지를 압축하는 구성요소이다. 압축판(142)은 집진바디(141)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하며 메시(144)를 청소한다.The compression plate 142 is a component that compresses the dust collec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on body 141 . The compression plate 142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rotates to clean the mesh 144.

압축판(142)의 제1기능은 집진바디(141) 내부공간에 집진된 먼지를 압축하는 것이고, 제2기능은 메시(144)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내는 것이다.The first function of the compression plate 142 is to compress the dust collec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the second function is to sweep away the dust adsorbed on the mesh 144.

압축판(142)은 고정판(1421), 회전판(1422) 및 메시클리너(14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plate 142 may include a fixed plate 1421, a rotating plate 1422, and a mesh cleaner 1423.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판(1421)은 집진바디(141)의 외벽면에서 샤프트(1414)를 향하여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fixing plate 1421 extends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toward the shaft 1414 .

고정판(1421)은 집진바디(1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1421)은 집진바디(141)에서 돌출되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고정판(1421)의 내측단은 샤프트(1414)에 인접하되, 샤프트(1414)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421)은 회전판(142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The fixing plate 14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The fixing plate 1421 protrudes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extends radially inward. An inner end of the fixing plate 142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haft 1414 but spaced apart from the shaft 1414 . Therefore, the fixed plate 142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1422 .

고정판(1421)은 샤프트(14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The fixing plate 1421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414 .

고정판(1421)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1421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판(1422)은 샤프트(14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Referring to FIG. 10 , a rotating plate 1422 is rotatably coupled to a shaft 1414 and extends radially outward.

회전판(1422)은 샤프트(1414)의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회전판(1422)은 중공을 구비한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에 샤프트(1414)가 삽입될 수 있다.The rotating plate 1422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1414 . The rotating plate 1422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and a shaft 1414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회전판(1422)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회전판(1422)의 외측단은 집진바디(141)의 내둘레면에 인접하되, 집진바디(141)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판(1422)은 샤프트(1414)를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ng plate 1422 extends radially outward. The outer end of the rotating plate 1422 is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bu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Thus, the rotation plate 1422 can rotate with the shaft 1414 as a rotation center axis.

회전판(1422)이 회전한 때, 회전판(1422)은 공기유입구와 샤프트의 중심축과 고정판(1421)이 형성하는 가상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회전판(1422)이 회전한 때에 먼지를 공기가 유동하지 않는 공간으로 이동시켜, 집진바디 내부의 공기유동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rotary plate 1422 rotates, the rotary plate 1422 may be disposed in a virtual space formed by the air inlet,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and the fixing plate 1421 . By having such an arrangement, when the rotating plate 1422 rotates, the dust is moved to a space where air does not flow, so that the air flow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is not hindered.

도 10을 참조하여, 압축판(142)의 작동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plate 142 will be described.

도 10a는 압축판(142)이 이동하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10b는 압축판(142)이 이동한 후의 상태도이다. 10A is a state diagram before the compression plate 142 moves, and FIG. 10B is a state diagram after the compression plate 142 moves.

도 10a를 참조하면, 샤프트(1414)를 중심으로, 고정판(1421)은 3시 방향에 배치되고, 압축판(142)은 6시 방향에 배치된다. 공기유입구(1411)는 샤프트(1414)의 1시방향에 배치되고, 공기배출구(1412)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샤프트(1414)의 9시 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먼지는 샤프트(1414)를 중심으로 1시방향부터 9시방향까지 존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with respect to the shaft 1414, a fixing plate 1421 is disposed at a 3 o'clock direction and a compression plate 142 is disposed at a 6 o'clock direction. The air inlet 1411 is disposed in the 1 o'clock direction of the shaft 1414, and the air outlet 1412 is disposed in the 9 o'clock direction of the shaft 1414, although not shown. Accordingly, dust may exist from the 1 o'clock direction to the 9 o'clock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ft 1414 .

도 10b를 참조하면, 회전판(1422)은 샤프트(1414)를 중심으로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샤프트(1414)의 2시 방향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집진바디(141) 내부의 먼지는 압축되고 회전판(1422)과 고정판(1421) 사이에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10B , the rotating plate 1422 rotates clockwise (CW) around the shaft 1414, and may finally rotate up to the 2 o'clock direction of the shaft 1414. At this time, the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is compressed and located between the rotating plate 1422 and the fixing plate 1421.

도 10b 이후, 회전판(1422)은 다시 도10a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도10b상태에서 집진바디(141) 내부로 유입된 먼지는 샤프트(1414)의 4시방향의 공간에 위치하고, 회전판(1422)이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함에 따라 압축되고, 최종적으로 샤프트(1414)의 4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After FIG. 10B, the rotating plate 1422 may return to the state of FIG. 10A. In the state of FIG. 10B,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is located in the space of the 4 o'clock direction of the shaft 1414, and is compressed as the rotating plate 1422 rotates counterclockwise (CCW), and finally the shaft ( 1414) may be located in the 4 o'clock direction.

메시클리너(1423)는 메시(144)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내는 구성요소이다. 메시클리너(1423)는 회전판(1422)의 상단에 배치된다.The mesh cleaner 1423 is a component that sweeps away dust adsorbed on the mesh 144 . The mesh cleaner 1423 is disposed on top of the rotating plate 1422 .

메시클리너(1423)의 내측단은 회전판(1422)의 내측단까지 연장되고, 외측단은 회전판(1422)의 외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The inner end of the mesh cleaner 1423 may extend to the inner end of the rotating plate 1422, and the outer end may extend to the outer end of the rotating plate 1422.

메시클리너(1423)는 회전판(1422)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된다. 메시클리너(1423)의 상단은 메시(144)에 접촉하고, 회전판(1422)이 회전함에 따라 메시(144)의 하부면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낼 수 있다.The mesh cleaner 1423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plate 1422 . The upper end of the mesh cleaner 1423 contacts the mesh 144, and as the rotating plate 1422 rotates, dust adsorb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sh 144 may be swept away.

메시클리너(1423)는 신축성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클리너(1423)의 일부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mesh cleaner 1423 may include a stretchable material. For example, a part of the mesh cleaner 1423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회전판(1422)은 압축모터(1424) 및 동력전달부재(1425)에 의해 동작된다.The rotating plate 1422 is operated by a compression motor 1424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1425.

압축모터(1424)는 회전판(1422)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압축모터(1424)는 먼지집진부(140)의 일 측에 배치되되 공기배출구(1412)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회전판(1422)에 동력을 전달한다.The compression motor 1424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power for driving the rotary plate 1422 . The compression motor 142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or 140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outlet 1412, and transmits power to the rotating plate 1422.

도 6을 참조하면, 압축모터(1424)는 먼지집진부(1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압축모터(1424)는 배출커버(143)의 외측에 배치되어, 배출커버(143)를 통과하여 먼지집진부(14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회전판(1422)에 동력을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6 , a compression motor 1424 is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 The compression motor 1424 is disposed outside the discharge cover 143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cover 143 to transmit power to the rotating plate 1422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or 140 .

압축모터(1424)는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a는 압축모터(1424)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이고, 도 10b는 압축모터(1424)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이다.The compression motor 1424 can rotate in both directions. 10A shows when the compression motor 1424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FIG. 10B shows when the compression motor 1424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압축모터(1424)에 연결된 샤프트(1414)는 집진모터(150)의 연결된 샤프트(1414)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압축모터(1424)에 연결된 샤프트(1414)와 집진모터(150)에 연결된 샤프트(1414)는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가 압축모터(1424)와 집진모터(15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haft 1414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motor 1424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haft 1414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and specifically, the shaft 1414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motor 1424 and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The shaft 1414 connected to may be disposed coaxially. Accordingly, one motor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compression motor 1424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150.

동력전달부재(1425)는 압축모터(1424)의 동력을 회전판(1422)에 전달해주는 구성요소이다.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425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compression motor 1424 to the rotary plate 1422.

동력전달부재(14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425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gears.

동력전달부재(1425)는 배출커버(143)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425)는 먼지집진부(14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격리하기 위하여 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425 may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cover 143 . At this time,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425 may include a sealer (not shown) to isolate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

먼지집진부(140)는 하우징(110)의 일 측방으로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o be mounted or detachable.

먼지집진부(140)가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방향은 프리필터(161)가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방향과 서로 교차된다. 도 2를 참조히면, 먼지집진부(140)는 하우징(110)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삽입되면서 장착되고,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탈착된다. 이는, 프리필터(161)가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는 것과 비교된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14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inters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filter 161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 Referring to FIG. 2 ,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is mounted while being inserted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to the rear, and is detached while being drawn forward. This is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pre-filter 161 is insert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housing 110 .

손잡이(181)는 먼지집진부(14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손잡이(181)는 먼지집진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handle 181 is a component that a user grips when detaching the dust collector 140 from the housing 110 . The handle 18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

손잡이(181)는 먼지집진부(140)가 탈착될 때 회전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먼지집진부(140)가 탈착될 때 손잡이(18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먼지집진부(14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사용자는 손잡이(181)를 파지하고 전방으로 당겨 먼지집진부(140)를 탈착할 수 있다. 손잡이(181)는 먼지집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탈착시에만 회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바, 손잡이(181)가 장착될 때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공간에서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여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handle 181 rotates when the dust collector 140 is detached. Referring to FIG. 4B , when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is detached, the handle 181 rotates clockwise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 The user may detach the dust collector 140 by gripping the handle 181 and pulling it forward. The handle 18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or, rotates only when detached, and protrudes forward. When the handle 181 is mounted, it occupies only a minimum spac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leaner station 100, Space can be used efficiently.

집진바디(141)에는 손잡이 삽입홈(1415)이 형성된다. 손잡이 삽입홈(1415)은 손잡이(181)가 장착될 때 손잡이(18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손잡이 삽입홈(1415)은 집진바디(141)의 일 측에서 내측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손잡이(181)가 장착될 때 손잡이(181)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측방으로 회전하고, 손잡이 삽입홈(1415)에 삽입된다.A handle insertion groove 1415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The handle insertion groove 1415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handle 181 is inserted when the handle 181 is mounted. The handle insertion groove 1415 is formed by recessing inward from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When the handle 181 is mounted, the handle 181 rotates sideways around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on groove 1415.

손잡이(181)는 집진바디(141)에 힌지 결합된다. 손잡이 힌지(182)는 집진바디(141)의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 힌지(182)는 손잡이(181)의 일 측에 삽입되거나, 또는 손잡이(181)를 관통한다. 손잡이 힌지(182)가 손잡이(181)를 관통하는 경우, 손잡이 힌지(182)의 단부에는 체결부재(183)가 체결될 수 있다.The handle 181 is hinged to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The handle hinge 182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The handle hinge 182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handle 181 or passes through the handle 181 . When the handle hinge 182 passes through the handle 181, a fastening member 183 may be fastened to an end of the handle hinge 182.

손잡이(181)의 회전중심축은 압축판(142)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손잡이(181)의 회전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먼지집진부(140)가 장착된 때 손잡이(18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손잡이 삽입홈(1415)에 삽입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먼지집진부(140)가 탈착될 때 손잡이(18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먼지집진부(14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handle 18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compression plate 142. Referring to FIG. 6 ,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handle 181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ring to FIG. 6A around the rotation center axis, when the dust collector 140 is mounted, the handle 181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on groove 1415. Also, referring to FIG. 6B , when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is detached, the handle 181 rotates clockwise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

손잡이(181)는 수평부(1811)와 수직부(1812)로 구분될 수 있다. 손잡이의 수평부(1811)는 일견하여 볼 때 집진바디(14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손잡이의 수평부(1811)의 내측단에는 손잡이 힌지(182)가 삽입되거나 관통된다. 손잡이의 수직부(1812)는 손잡이의 수평부(1811)의 외측단에서 절곡되고, 수평부(1811)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의 수직부(1812)는 수평부(1811)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다.The handle 181 may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portion 1811 and a vertical portion 1812. The horizontal portion 1811 of the handle extend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t a glance. A handle hinge 182 is inserted or penetrated into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811 of the handle. The vertical portion 1812 of the handle is bent at an out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811 of the handle and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811 . Specifically, the vertical portion 1812 of the handle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portion 1811 extends.

프리필터(181)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프리필터(161)는 헤파필터의 상류에 배치되어, 헤파필터로 유입되는 공기중에서 큰 먼지를 1차로 여과한다.The pre-filter 181 is a component that filters dust from the air. Specifically, the pre-filter 161 is disposed upstream of the HEPA filter and primarily filters large dust from air flowing into the HEPA filter.

프리필터(161)는 먼지집진부(140)의 상부에 배치되고, 먼지집진부(140)의 공기배출구(1412)와 연통된다. The pre-filter 161 is disposed above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outlet 1412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

프리필터(161)는 먼지집진부(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 프리필터(161)와 먼지집진부(140) 사이에 위치하는 먼지는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먼지집진부(140)에 침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집진부(140)의 용량은 프리필터(161)의 용량보다 작기 때문에, 먼지를 되도록 먼지집진부(140)에 포집하도록 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포집용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The pre-filter 161 is disposed above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and dust positioned between the pre-filter 161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descends due to gravity and is deposited on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pacity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is smaller than the capacity of the pre-filter 161, it is possible to collect dust in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to maximize the collection capacity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ere is.

프리필터 케이스(1611)는 프리필터(161)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여과부재(1614)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The pre-filter case 1611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pre-filter 161 and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ltering member 1614 therein.

프리필터의 여과부재(1614)는 프리필터(161)에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구성요소이다. 프리필터의 여과부재(1614)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즉, 프리필터의 여과부재(1614)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먼지들을 통과시키고, 관통공보다 큰 먼지들을 여과한다.The filtering member 1614 of the pre-filter is a componen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re-filter 161 . The filtering member 1614 of the pre-filter separates dust from the air by a physical method. That is, the filtering member 1614 of the pre-filter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asses dust smaller than the through-holes, and filters dust larger than the through-holes.

프리필터(161)는 집진바디(141)의 공기배출구(1412)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리필터(161)는 하부면에 유입구(1612)가 형성되고, 측면에 배출구(1613)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프리필터(161)를 향해서 상방으로 유입되고, 프리필터(161)로부터 측방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프리필터(161)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은 적어도 1회 이상 바뀔 수 있고, 여과부재(1614)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통과할 수 있다.In the pre-filter 161, air is introduc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412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air is discharged in a crossing direction. Referring to FIG. 11 , the pre-filter 161 has an inlet 1612 formed on a lower surface and an outlet 1613 formed on a side surface. Thus, air flows in upward toward the pre-filter 161 and is discharged from the pre-filter 161 sideways. By having this arrange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s inside the pre-filter 161 can be changed at least once, and can evenly pass through the surface of the filtering member 1614 as a whole.

프리필터의 유입구(1612)는 프리필터(161)를 좌우로 구획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 측에 치우처져 배치될 수 있다. 프리필터의 배출구(1613)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1612 of the pre-filter may be disposed biased to one side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dividing the pre-filter 161 into left and right sides. The outlet 1613 of the pre-filter may b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프리필터(161)는 먼지집진부(140)가 장탈착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장탈착된다. 프리필터(161)가 하우징(110)에 장착 또는 탈착되는 방향은 프리필터(161)가 하우징(110)에 장착 또는 탈착되는 방향과 서로 교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리필터(161)는 상부커버(111)가 개방될 때 하우징(110)의 상부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며 장착된다. 반대로, 프리필터(161)는 하우징(11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며 탈착된다. 이는 먼지집진부(140)가 하우징(1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장탈착되는 것과 비교된다.The pre-filter 161 is attached and detach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140 is attached and detach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filter 161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inters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filter 161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 Referring to FIG. 2 , the pre-filter 161 moves downwar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when the upper cover 111 is opened and is mounted. Conversely, the pre-filter 161 moves upward from the housing 110 and is detached. This is compared to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ust collector 140 to the front or rear of the housing 110 .

프리필터(161)는 전단이 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2를 참조하면 프리필터의 여과부재(1614)는 전단이 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프리필터(161)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은 여과부재(1614)의 표면으로부터 되도록 수직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pre-filter 161 is disposed above the rear end.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12, the filtering member 1614 of the pre-filter has a front end higher than the rear end. By having this arrange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s inside the pre-filter 161 can be arranged as close to vertical as possible from the surface of the filtering member 1614 .

프리필터의 유입구(161)는 여과부재(1614)의 하부면에 마주하고, 배출구는 여과부재(1614)의 상부면에 마주한다. 따라서, 여과부재(1614)에 많은 양의 먼지가 여과된 경우, 중력에 의하여 여과부재(1614)의 하부로 떨어지므로, 여과부재(1614)에 일정 이상의 먼지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최소한의 공기유동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inlet 161 of the pre-filter faces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ing member 1614, and the outlet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ing member 1614.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dust is filtered by the filtering member 1614, it fall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ing member 1614 by gravity, thereby preventing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dust from adsorbing to the filtering member 1614 and minimizing the amount of air.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liquidity.

배출유로(170)는 입구단이 먼지집진부(140)의 공기배출구(1412)에 연통되고, 출구단이 하우징(110)의 일 측에서 외부와 연통된다.The discharge passage 170 has an inlet e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1412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and an outlet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

배출유로(170)는 프리필터(161) - 흡입모터 - 헤파필터를 통과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와 연통된다.The discharge passage 170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161 - the suction motor - the HEPA filter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배출유로(170)는 흡입유로(130)와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17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uction passage 130 .

배출유로(170)는 출구단이 입구단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즉, 배출유로(170) 내부에서 공기는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한다.The outlet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170 is disposed lower than the inlet end. That is, air descends from top to bottom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170 .

배출유로(170)의 단면은 제1방향의 직경이 제2방향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70)의 단면은 흡입유로(130)의 단면이 원형인 것과는 달리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170 may have a diameter in the first direction larger than a diameter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17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unlike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suction passage 130 .

먼지집진부(140)에는 싸이클론부(145)가 배치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145)는 원심력으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싸이클론부(145)는 집진바디(141)의 외둘레면에 배치되고, 공기배출구(1412)와 연통된다.A cyclone unit 145 may be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 The cyclone unit 145 is a component that separates dust from air by centrifugal force. The cyclone unit 145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communicates with the air outlet 1412.

싸이클론부(145)는 집진바디(141)의 공기유입구(1411)의 하류에 배치되고 공기배출구(1412)의 상류에 배치된다.The cyclone unit 145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inlet 1411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disposed upstream of the air outlet 1412.

싸이클론부(145)는 집진바디(141)의 외둘레면에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집진바디(141)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싸이클론부(145)는 집진바디(141)의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yclone unit 145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Referring to FIG. 7 ,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yclone unit 145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싸이클론부(145)는 집진바디(1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것과 달리 싸이클론부(145)는 집진바디(141)와 별개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The cyclone unit 14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 Although not shown, unlike the above, the cyclone unit 145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and then combined.

싸이클론부(145)는 외관과 내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145)의 외관은 집진바디(141)와 일체로 형성된다. 싸이클론부(145)의 내관은 먼지집진부(140)의 상부커버(146)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상부커버(1462)에 형성된다. The cyclone unit 145 may be divided into an outer tube and an inner tube. The exterior of the cyclone unit 14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The inner tube of the cyclone unit 145 may be formed on the upper cover 146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and is specifically formed on the second upper cover 1462.

싸이클론부(145)의 내관의 중심축은 외관의 중심축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싸이클론부(145)에 유입된 공기는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에서 나선운동을 하고, 원심력에 의해 먼지가 분리된다. 분리된 먼지는 싸이클론부(145)의 하부로 하강하고, 공기는 내관의 내측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tube of the cyclone unit 145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central axis of the outer tube. Thu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yclone unit 145 spirals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and dust is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The separated dust desc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cyclone unit 145,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ube.

싸이클론부(145)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1상부커버(1461)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412)를 통해 프리필터(161)로 향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unit 145 is directed to the pre-filter 161 through the air outlet 1412 formed in the first upper cover 1461 .

집진모터(15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집진모터(150)는 청소기(200)가 결합된 때 청소기(200)와 먼지집진부(140)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ir flow inside the cleaner station 100 .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is disposed between the cleaner 200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집진모터(150)는 청소기(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먼지집진부(14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is disposed above the cleaner 200 and below the dust collection part 140 .

집진모터(150)는 헤파필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프리필터(161)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is disposed above the HEPA filter and below the pre-filter 161.

집진모터(150)는 압축모터(1424)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is disposed under the compression motor 1424.

프리필터(161)는 먼지집진부(140)를 중심으로 집진모터(150)의 반대쪽에 배치된다.The pre-filter 161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with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as the center.

프리필터(161)와 헤파필터는 공간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프리필터(161)는 먼지집진부(140)를 중심으로 헤파필터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프리필터(161)는 집진모터(150)를 중심으로 헤파필터의 반대쪽에 배치된다.The pre-filter 161 and the HEPA filt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pre-filter 161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EPA filter with the dust collector 140 as the center. The pre-filter 161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EPA filter with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as the center.

압축모터(1424)는 먼지집진부(140)를 중심으로 집진모터(150)와 같은쪽에 배치된다. 즉, 압축모터(1424)와 집진모터(150)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압축모터(1424)와 집진모터(150)는 모두 소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압축모터(1424)와 집진모터(150)를 하나의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공간을 둘러싸도록 소음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소음부재를 최소한으로 배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소음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motor 1424 is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with the dust collecting part 140 as the center. That is, the compression motor 1424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15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Both the compression motor 1424 and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are components that generate noise. Therefore, by arranging the compression motor 1424 and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in one space and arranging the noise member to surround the space, noise generation of the cleaner station 100 is minimized by arranging the noise member to a minimum. can d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공기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면, 청소기(200)의 먼지통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흡입유로(130)는 연통된다. 집진모터(150)가 작동하면, 공기는 흡입유로(130) - 먼지집진부(140) - 사이클론부 - 프리필터(161) - 배출유로(170) - 집진모터(150) - 헤파필터를 경유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입유로(130)부터 프리필터(161)까지는 상승유로를 형성하고, 프리필터(161)부터 헤파필터까지는 하강유로를 형성한다.The air flow of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 dust bin of the cleaner 20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ssage 130 of the cleaner station 100.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operates, the air flows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30 - the dust collection part 140 - the cyclone part - the pre-filter 161 - the discharge passage 170 - the dust collecting motor 150 - the HEPA filter, and then the vacuum cleaner.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ation 100. At this time, an ascending passage is formed from the suction passage 130 to the pre-filter 161, and a descending passage is formed from the pre-filter 161 to the HEPA fil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먼지집진부(140)는 유입된 먼지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먼지집진부(140)의 상부면에는 공기배출구(1412)가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412)에는 메시(144)가 배치되므로, 공기는 메시(144)를 통과하고 먼지는 메시(144)를 통과하지 못한다.The dust collecto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dust from introduced dust. Since the air outlet 14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40 and the mesh 144 is disposed in the air outlet 1412, air passes through the mesh 144 and dust does not pass through the mesh 144. can not do it.

먼지집진부(140)에는 압축판(142)이 배치된다. 압축판(142)은 집진바디(141)의 샤프트(14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판(1422)이 회전하면 집진바디(141)의 내부에 포집된 먼지는 회전판(1422)과 고정판(1421)에 의하여 압축된다. 먼지가 압축되어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먼지집진부(140)는 보다 많은 먼지를 추가로 포집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가동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A compression plate 142 is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40 . The compression plate 1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1414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Specifically, when the rotating plate 1422 rotates, dust collec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141 is compressed by the rotating plate 1422 and the fixing plate 1421 . As dust is compressed and its volume is reduced, the dust collection unit 140 can additionally collect more dust,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cleaner station 100 can be improved.

압축판(142)에는 메시클리너(1423)가 배치된다. 메시클리너(1423)는 회전판(1422)의 상단에 배치되며, 회전판(1422)이 회전할 때 메시(144)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낸다. 따라서, 메시(144)에 흡착된 먼지에 의해서 공기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mesh cleaner 1423 is disposed on the compression plate 142 . The mesh cleaner 1423 is disposed on top of the rotating plate 1422 and sweeps away dust adsorbed on the mesh 144 when the rotating plate 1422 rotat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flow from being obstructed by dust adsorbed on the mesh 144 and to prevent performance of the cleaner station 100 from deteriorat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청소기 시스템
100: 청소기 스테이션 110: 하우징
120: 결합부 130: 흡입유로
140: 먼지집진부
141: 집진바디 1411: 공기유입구
1412: 공기배출구 1413: 먼지배출구
1414: 샤프트 1415: 손잡이 삽입홈
142: 압축판 1421: 고정판
1422: 회전판 1423: 메시클리너
1424: 압축모터 1425: 동력전달부재
143: 배출커버 144: 메시
145: 싸이클론부 146: 상부커버
1461: 제1상부커버 1462: 제2상부커버
150: 집진 모터
160: 필터 161: 프리필터
1611: 프리필터 케이스 1612: 유입구
1613: 배출구 1614: 여과부재
162: 헤파필터
170: 배출유로
181: 손잡이 182: 손잡이 힌지
183: 체결부재
200: 청소기
10: cleaner system
100: cleaner station 110: housing
120: coupling part 130: suction flow path
140: dust collector
141: dust collecting body 1411: air inlet
1412: air outlet 1413: dust outlet
1414: shaft 1415: handle insertion groove
142 compression plate 1421 fixed plate
1422: rotary plate 1423: mesh cleaner
1424: compression motor 1425: power transmission member
143: discharge cover 144: mesh
145: cyclone unit 146: upper cover
1461: first upper cover 1462: second upper cover
150: dust collection motor
160: filter 161: pre-filter
1611: pre-filter case 1612: inlet
1613: outlet 1614: filtering member
162: HEPA filter
170: discharge passage
181: handle 182: handle hinge
183: fastening member
200: cleaner

Claims (19)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집진부는,
외형을 형성하고, 먼지가 집진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집진바디;
상기 공기배출구를 덮는 메시;
상기 집진바디의 내부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하며 상기 메시를 청소하는 압축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housing;
a coupling part disposed on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oupling surface 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leaner is coupled;
A dust collecting unit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collecting dust in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The dust collection unit,
A dust collecting body having an external shape, having an inner space for collecting dust, and having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inner space and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from the inner space is discharged;
a mesh covering the air outlet;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compression plate rotata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nd rotating to clean the mes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집진바디의 바닥면과 외벽면과 상부면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집진바디의 바닥면과 외벽면과 상부면에서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let is formed on one of a bottom surface, an outer wall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he air outlet is formed on one of a bottom surface, an outer wall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except for a surface where the air inlet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집진바디의 상부면에 형성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outlet is
A cleaner sta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바디는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바디의 외벽면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판은,
상기 집진바디의 외벽면에서 상기 샤프트를 향하여 연장된 고정판;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ng body includes a shaf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round the shaft,
The compression plate,
a fixing plate extending from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toward the shaft;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은,
상기 회전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메시에 흡착된 먼지를 쓸어내는 메시클리너;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4,
The compression plate,
and a mesh cleaner disposed on the top of the rotating plate and sweeping away dust adsorbed on the mes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부의 일 측에 배치되되 상기 공기배출구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에 동력을 전달하는 압축모터;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outlet,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compression motor that transmits power to the rota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방으로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on unit,
A cleaner station disposed to be attached or detach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handle rotatably coupled to the dust collection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중심축은,
상기 압축판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handle is,
A vacuum cleaner sta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compress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집진부의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는 프리필터;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pre-filter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는,
상기 집진바디의 공기배출구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e-filter,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of the dust collecting body,
Air is introduced in a parallel direction,
Cleaner station with air exhaust in crossed directio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는,
상기 먼지집진부가 장탈착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장탈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e-filter,
A vacuum cleaner sta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unit is attached and detach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attached and detach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는,
전단이 후단보다 상부에 배치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0,
The pre-filter,
A cleaner station in which the front end is disposed above the rear end.
제1항에 있어서,
입구단이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에 연통되고,
출구단이 상기 먼지집진부의 공기유입구에 연통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end communicates with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A vacuum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suction passage having an outlet e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of the dust collection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는,
출구단이 입구단보다 상부에 배치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4,
The suction flow path,
A cleaner station in which the outlet end is disposed above the inlet end.
제1항에 있어서,
입구단이 상기 먼지집진부의 공기배출구에 연통되고,
출구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서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end communicates with the air outlet of the dust collection unit,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discharge passage having an outlet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one side of the hous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출구단이 입구단보다 하부에 배치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6,
The discharge flow path,
A vacuum cleaner station having an outlet end lower than an inlet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집진부는,
상기 집진바디의 외둘레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통되고,
원심력으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collection unit,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Communicated with the air outlet,
A vacuum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air by centrifug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결합된 때 상기 청소기와 상기 먼지집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집진모터;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on motor disposed between the cleaner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when the cleaner is coupled and generating air flow.
KR1020210093741A 2021-07-16 2021-07-16 Cleaner station KR202300129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41A KR20230012904A (en) 2021-07-16 2021-07-16 Cleaner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41A KR20230012904A (en) 2021-07-16 2021-07-16 Cleaner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04A true KR20230012904A (en) 2023-01-26

Family

ID=8511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741A KR20230012904A (en) 2021-07-16 2021-07-16 Cleaner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90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15B1 (en) 2001-01-31 2004-12-23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extruding tubes having a deformed section and die therefor
US9492048B2 (en) 2006-05-19 2016-11-15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15B1 (en) 2001-01-31 2004-12-23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extruding tubes having a deformed section and die therefor
US9492048B2 (en) 2006-05-19 2016-11-15 Irobot Corporation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bo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970B2 (en) Vacuum cleaner
EP1955631B1 (en) Vacuum cleaners
CA1324866C (en) Portable hand held vacuum cleaner
US7070636B2 (en) Cyclonic vacuum cleaner with filter and filter sweeper
US7222392B2 (en) Airflow system for bagless vacuum cleaner
KR102656583B1 (en) Robot cleaner
US5025529A (en) Portable hand held vacuum cleaner
JP2017536182A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MXPA05007404A (en)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pad.
US10362912B2 (en) Vacuum cleaner
US7260867B2 (en) Bagless dust box for vacuum cleaner
KR20230012904A (en) Cleaner station
EP4356804A1 (en) Vacuum cleaner station
KR20220081704A (en) cleaner
CN215820765U (en) Cleaning equipment with simple and convenient ash scraping structure
CN215820766U (en) Cleaning equipment with simple ash scraping operation
KR20230013341A (en) Cleaner station
CN117677329A (en) Dust collector station
KR20230133658A (en) Cleaner station
KR20230133656A (en) Cleaner station
KR20230133657A (en) Cleaner station
GB2398232A (en) Agitator and suction fan motor drive arrangements in vacuum clea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