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850A -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 Google Patents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850A
KR20200098850A KR1020190016475A KR20190016475A KR20200098850A KR 20200098850 A KR20200098850 A KR 20200098850A KR 1020190016475 A KR1020190016475 A KR 1020190016475A KR 20190016475 A KR20190016475 A KR 20190016475A KR 20200098850 A KR20200098850 A KR 2020009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ementia
face
pati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9433B1 (en
Inventor
서말희
Original Assignee
서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말희 filed Critical 서말희
Priority to KR102019001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433B1/en
Publication of KR2020009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8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4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18Manifold reflecting 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ed as a mirror for patients with dementia, which not only helps emotional stability of a patient with dementia by providing a voice of a guardian while the patient with dementia looks at his/her face, but also helps brain activity of a patient with dementia by providing pictures and pronunciation of words. The display device used as a mirror for patients with dementia comprises: a body (100) having a handle (110) to be gripped by a hand of a patient with dementia; a display panel (120)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to display a screen; a mirror film (130)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20) to transmit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120) or reflect an object by using reflection of light; a voice input unit (140) mounted on the body (100) and generating a guardian voice signal by inputting a voice of a guardian; a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for storing the guardian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input unit (140) and controlling output; a voice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the guardian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and a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connected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and the display panel (120), stor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words including word images and word voices in advance, and outputting the information on the words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and the display panel (120).

Description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Mirror display device for dementia patients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환자가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는 동안 보호자의 음성을 제공하여 치매환자의 정서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어의 그림과 발음을 제공하여 치매환자의 뇌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voice of a guardian while a dementia patient is looking at his or her face, it is possible to help stabilize the emotion of the dementia patient, It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combined with a mirror that can help the brain activity of a dementia patient by providing pronunciation.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이다. 즉, 치매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Dementia is a complex symptom in which the normal mature brain is damaged or destroyed by an external person such as acquired trauma or disease, and overall cognitive functions such as intelligence, learning, language, and higher mental functions are reduced. In other words, dementia refers to a state in which various cognitive functions including memory are impaired due to brain damage due to various causes,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the previous level of daily life.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는 약 90가지가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원인 질환은 '알쯔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이다.There are about 90 diseases that cause dementia, and the most important diseases are'Alzheimer's disease','vascular dementia', and'Leuische dementia'.

알쯔하이머병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의 원인으로, 전체 원인의 약 50%를 차지하게 되며, 뇌졸중 후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는 약 10% 내지 15%이고, 알쯔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약 15%이다.Alzheimer's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mentia, accounting for about 50% of the total causes, and vascular dementia that occurs after a stroke is about 10% to 15%, and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occur at the same time, about 15. %to be.

상기와 같은 원인 질환 등을 통해 발생하는 치매의 대표적인 증상은 사람이나 사물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등 기억장애가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물건의 사용방법 등과 같이 수행능력의 저하 등이 있다. Representative symptoms of dementia that occur through the above-described diseases are memory disorders such as inability to remember names of people or objects well, and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ability, such as how to use objects in daily life.

이러한 치매환자는 기억장애, 수행능력의 저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의 저하를 보이기 때문에 자택이나 요양시설 등에서 보호를 받고 있다.These dementia patients are protected at home or in nursing homes because they show a decrease in memory impairment, performance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higher mental function.

이에, 자택이나 요양시설 등에서 생활하는 동안 치매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공개특허 제10-2016-010497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잘록한 오목부가 형성된 다수의 돌기가 상부 면에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돌기들의 오목부 사이에 끼워져 임의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깔을 가진 복수의 끈 및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삽입되며 끈을 포함하는 놀이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하부케이스로 구성된 치매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완구 등이 개발되고 있다.Thus,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104974 to help treat dementia patients while living at home or in a nursing facility,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104974,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with concave portions in the center are uniformly spac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strings having at least one color to form an arbitrary shape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upper case arranged while maintaining the upper case and the concave portions of the protrusions formed in the upper case, and a string inserted into the upper case Toys that ar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consisting of a lower case capable of storing the play goods, are being developed.

상기 공개특허 제10-2016-0104974호는 치매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치매환자의 심리적인 측면까지 도움을 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04974 can help treat dementia patient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help eve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dementia patients.

이에, 인지능력의 저하와 기억력의 장애 등으로 인해 정서적 불안감과 과도한 스테레스를 받아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치매환자의 심리적인 측면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product that can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dementia patients who are negatively affected by emotional anxiety and excessive stress due to cognitive decline and memory impairme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치매환자가 소지할 수 있으면서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는 동안 보호자의 음성을 제공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with a mirror that can be possessed by a dementia patient and that can provide a voice of a guardian while looking at his or her face.

또한, 치매환자의 뇌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어의 그림과 발음을 제공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that can provide a picture and pronunciation of words that can help the brain activity of a dementia patient.

또한, 카메라를 통해 치매환자의 보호자 얼굴 등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capable of photographing and displaying a guardian's face, etc. through a camera.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치매환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10)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화면을 투과시키거나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물을 반사시켜 비추기 위한 거울필름(130)과,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어 보호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보호자음성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입력부(140)와, 상기 음성입력부(140)로부터 수신받은 보호자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출력제어부(150)와,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로부터 수신받은 보호자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연결되며 단어이미지와 단어음성을 포함한 다수개의 단어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단어정보를 상기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하기 위한 단어출력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lay device for a combined mirror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100 provided with a handle 110 for hand gripping by a dementia patient, and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A display panel 120 for displaying a screen, and a mirror film 130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20 for transmit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120 or reflecting an object by using reflection of light And, a voice input unit 14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input a parental voice to generate a parental voice signal, and a parental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input unit 140 to store and control the output. A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a voice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a guardian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and the voice output unit 160 and the display panel 120 are connected, A plurality of word information including word images and word voices are stored in advance, and a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for outputting the word information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and the display panel 120 is included.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손잡이(110)에 치매환자의 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센서(180)가 장착되고,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는, 상기 터치센서(180)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보호자음성신호의 출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180 for detecting a hand of a dementia patient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on the handle 110, and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includes the touch sensor ( Whether or not the guardian voice signal is outpu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at 180) is received.

이때,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치매환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90)와, 상기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촬영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얼굴인식부(200)와, 상기 얼굴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얼굴이 미리 등록된 환자얼굴이미지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얼굴판단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치매진행단계에 따라 다수개의 단어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얼굴판단부(210)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과 상기 환자얼굴이미지가 일치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단어정보 중 미리 저장된 현치매진행단계에 따른 단어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camera 190 for photographing a face of a dementia patient by being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 face recognition unit 200 for recognizing a face from a photographed image taken through the camera 190, and , And a face determination unit 210 for determining whether a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matches a previously registered patient face image, and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is in a preset dementia progression ste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 plurality of word information, and when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recognized face and the patient's face image match, outputting the wo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tored pre-dementia treatment step among the word information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카메라(190)는, 보호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보호자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호자이미지를 저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하기 위한 보호자이미지저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190 comprises a parental image storage unit 220 for generating a parental image by photographing the parental's face, storing the generated parental image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parental image to the display panel 120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천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치매환자가 안전하게 소지할 수 있으면서 촉감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는 동안 보호자의 음성을 제공하여 치매환자의 정서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aterial such as cloth, the dementia patient can safely carry it and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the touch, while providing the guardian's voice while looking at the person's f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help with stability.

또한, 치매환자의 뇌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어의 그림과 발음을 제공함으로 인해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통하여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치매진행을 늦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pictures and pronunciation of words that can help the brain activity of dementia pati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and memory through visual and auditory effects, thereby helping to slow the progression of dementia. have.

또한, 카메라를 통해 치매환자의 보호자 얼굴 등을 촬영하여 보호자의 음성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치매환자에게 보호자 얼굴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치매환자와 보호자 간의 유대감을 유지시켜 치매환자의 정신기능과 신체기능이 저하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ace of the guardian of the dementia patient can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guardian's voice, and the face of the guardian can be continuously exposed to the dementia patient, thereby maintaining the bond between the dementia patient and the guardian. There is an effect of slowing down the rate of this decl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블록도.
1 is a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a combined mirror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for a combined mirror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bined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mirror display device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ined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by,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bined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to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a known function that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urther, directional terms such as'top','bottom','front','back','front end','front','rear end'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s). Sinc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환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10)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화면을 투과시키거나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물을 반사시켜 비추기 위한 거울필름(130)과,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어 보호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보호자음성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입력부(140)와, 상기 음성입력부(140)로부터 수신받은 보호자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출력제어부(150)와,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로부터 수신받은 보호자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연결되어 미리 저장된 다수개의 단어이미지와 단어음성이 포함된 단어정보를 상기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하기 위한 단어출력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for a combined mirror for a dementia pati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provided with a handle 110 for hand gripping by the dementia patient, as shown in FIGS. 1 to 4, A display panel 120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display a screen, and a display panel 120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20 to transmit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120 or use reflection of light to A mirror film 130 for reflecting and reflecting, a voice input unit 14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input a parental voice to generate a parental voice signal, and a guardian received from the voice input unit 140 A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for storing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a voice signal, a voice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a guardian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and the voice output unit 160 And a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for outputting word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re-stored word images and word voice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20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and the display panel 12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본체(100)는, 치매환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바형상의 손잡이(110)가 구비되면서 일정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while being provided with a bar-shaped handle 110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dementia patient can grasp it by hand. In this case, the main body 100 is not limited to a circl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또한, 상기 본체(100)는 부드럽고 따뜻한 극세사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preferably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soft and warm microfiber.

상기 본체(100)가 극세사 등과 같은 천으로 제조됨으로써 치매환자가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부드럽고 따뜻한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면서 지속적으로 만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치매환자의 손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디스플레이패널(120) 등이 장착될 경우에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 등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main body 100 is made of a fabric such as microfiber, it is possible to help the dementia patient's hand movement by inducing it to be touched continuously while allowing the dementia patient to feel a soft and warm touch when gripped by hand. When the display panel 120 or the like is mounted, an external shock can be absorbed, so that failure of the display panel 120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상기 본체(100)의 손잡이(110)에는 상기 손잡이(110)의 파지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터치센서(18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ount a touch sensor 180 on the handle 110 of the main body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handle 110 is gripped.

상기 터치센서(180)는, 치매환자가 상기 손잡이(110)를 파지하였을 경우에 상기 치매환자의 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sensor 180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by sensing the hand of the dementia patient when the dementia patient grips the handle 110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며, 치매환자나 보호자가 손으로 터치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2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nd a touch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so that a dementia patient or a guardian can input an instruction displayed on the screen by touching it with a hand.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는 치매환자가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볼 수 있도록 거울필름(130)을 부착할 수 있다.A mirror film 130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20 so that the dementia patient can see his or her face.

즉, 상기 거울필름(13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경우에 상기 화면을 투과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경우에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물을 반사시켜 비출 수 있다.That is, the mirror film 130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20 and transmits the screen whe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20, and the screen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20. In some cases, it can be illuminated by reflecting an object using reflection of light.

상기 거울필름(13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경우에 거울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치매환자가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게 된다.The mirror film 130 can be used as a mirror when the screen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20, so that the dementia patient can see his or her face.

또한, 상기 거울필름(130)은 파손될 위험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치매환자가 소지하더라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isk of damage to the mirror film 130 is remarkably low,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even if a dementia patient is possessed.

상기 음성입력부(140)는,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어 보호자의 음성을 입력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음성입력부(140)는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어 보호자가 치매환자에게 들려주고 싶은 내용에 대한 보호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보호자음성신호를 생성한다.The voice input unit 14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input the voice of a guardian. In other words, the voice input unit 14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and generates a guardian voice signal by inputting the guardian's voice for the content that the guardian wants to hear to the dementia patient.

상기 음성입력부(140)를 통해 보호자의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치매환자에게 보호자의 음성을 들려줄 수 있어 치매환자의 정서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보호자와의 유대감을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By inputting the voice of the guardian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40, the voice of the guardian can be heard to the dementia patient, thereby helping to stabilize the emotion of the dementia patient and maintaining a bond with the guardian.

상기 음성입력부(140)에 생성된 보호자음성신호는 음성출력제어부(150)로 전송된다.The parental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voice input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는, 상기 음성입력부(140)로부터 보호자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저장한 후 출력을 제어한다.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receives and stores a guardian voice signal from the voice input unit 140 and controls the output.

이때,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에 기 보호자음성신호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로부터 새로운 보호자음성신호가 수신되면 기 보호자음성신호를 삭제한 후 새로운 보호자음성신호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stores the original protected consonant voice signal, when a new protected consonant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the previous protected consonant voice signal is deleted, and then the new protected consonant voice signal is stored.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는 상기 터치센서(180)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보호자음성신호의 출력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는 상기 터치센서(180)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상기 보호자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음성출력부(160)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센서(180)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받지 않을 경우에 상기 보호자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출력부(160)로 전송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the parental voic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a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sensor 180 is received. In other words, whe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180,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transmits it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to output the parental voice signal, and the touch sensor 180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guardian voic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를 통해 치매환자가 상기 손잡이(110)를 파지할 경우에만 보호자음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분별하게 보호자음성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치매환자가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는 동안 상기 보호자음성을 제공받기 때문에 치매환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allows the dementia patient to receive the protective consonant voice only when the handle 110 is gripped, thereby preventing the provision of the protective consonant voice indiscriminately, while the dementia patient illuminates his or her face. Since the parental voice is provided while watching, it is possible to help the dementia patient to feel a sense of stability.

상기 음성출력부(160)는,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를 통해 상기 보호자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unit 160 receives and outputs the parental voice signal through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는, 다수개의 단어이미지와 단어음성이 포함된 단어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must have previously stored word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word images and word voices.

여기서, 상기 단어정보는 치매환자의 흥미를 유도하면서 치매환자의 증상별로 치료하기 위해 치매진행단계에 따라 다수개의 단어이미지와 단어음성이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d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word images and word voices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stage of dementia in order to induce interest of the dementia patient and treat each symptom of the dementia patient.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상기 음성출력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단어정보를 출력한다. 즉,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는 상기 단어정보 중 단어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단어정보 중 단어음성을 상기 음성출력부(160)로 전송하여 출력한다.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20 and the voice output unit 160 to output the word information. That is,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transmits and outputs a word image among the word information to the display panel 120, and transmits and outputs a word voice among the word information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또한,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을 통해 다수개의 단어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단어정보 중에서 치매환자가 자신이 원하는 단어정보를 선택할 경우에 상기 선택된 단어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may list and provide a plurality of word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panel 120, and when the dementia patient selects the desired word informatio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word information, the Selected word information can also be output.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를 통해 치매환자에게 상기 단어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치매환자의 뇌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통하여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치매진행을 늦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the wor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dementia patient, thereby helping the brain activity of the dementia patient, while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y and memory through visual and auditory effects. You will be able to help you slow down.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치매환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90)와, 상기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촬영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얼굴인식부(200)와, 상기 얼굴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얼굴이 미리 등록된 환자얼굴이미지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얼굴판단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 camera 190 for photographing a face of a dementia patient, and a fa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face from a photographed image taken through the camera 190 ( 200), and a face determination unit 210 for determining whether a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matches a pre-registered patient face image.

상기 카메라(190)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치매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생성한다.The camera 19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capture a face of a dementia patient to generate a photographed image.

상기 촬영이미지는 치매환자의 눈, 코, 입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얼굴 정면이 촬영되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graphed image is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face so that the eyes, nose, and mouth of the dementia patient can be identified.

이때, 상기 카메라(190)는 보호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보호자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amera 190 may generate a guardi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guardian's face.

상기 카메라(190)를 통해 생성된 촬영이미지는 상기 얼굴인식부(200)로 전송된다.The photographed image generated through the camera 190 is transmitted to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상기 얼굴인식부(200)는,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얼굴인식부(200)는 상기 촬영이미지에서 얼굴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영역에서 눈, 코, 입 등과 같은 얼굴의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recognizes a 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hat is,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detects a face region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recognizes a face by extracting facial feature information such as eyes, nose, and mouth from the detected face region.

상기 얼굴인식부(200)에서 상기 촬영이미지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190) 등을 자동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photographed image is not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the camera 190 or the like can be automatically terminated.

상기 얼굴판단부(210)는, 상기 얼굴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얼굴과 미리 등록된 환자얼굴이미지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얼굴판단부(210)는 상기 인식된 얼굴의 특징정보와 미리 등록된 환자얼굴이미지의 특징정보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whether the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matches a previously registered patient face image.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cognized face feature information matches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face image registered in advance.

여기서, 상기 환자얼굴이미지는 상기 얼굴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얼굴과 판단할 수 있도록 치매환자의 얼굴 정면을 촬영한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ient's face image is an image photographed in front of the face of the dementia patient so that the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can be determined.

상기 얼굴판단부(210)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과 상기 환자얼굴이미지가 일치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로 단어정보의 출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얼굴판단부(210)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과 상기 환자얼굴이미지가 일치하다고 판단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로 단어정보의 출력을 요청하지 않고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When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recognized face and the patient's face image match,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may request the output of word information, and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face and the patient's face image match,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may be automatically terminated without requesting the output of word information.

상기 얼굴인식부(200)와 얼굴판단부(210)를 구성함으로써 치매환자에게 사용권한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치매환자의 치매진행단계에 따라 단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반복적인 단어제공으로 인한 치매환자의 흥미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configuring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and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it is possible to give permission to use the dementia patient, as well as to provide wo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mentia progression step of the dementia pati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mentia patient's interest from being lowered due to.

이때,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는, 상기 얼굴판단부(210)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과 상기 환자얼굴이미지가 일치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치매진행단계에 따라 분류된 단어정보 중에서 미리 저장된 현치매진행단계에 따라 단어정보를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when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recognized face and the patient's face image match, pre-stored pre-stored dementia among word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mentia progression step. Word information is output according to the steps in progress.

상기 현치매진행단계는 치매환자의 현재 치매진행상태에 대한 정보로, 사전에 보호자가 치매환자의 현재 치매진행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The current dementia progress step i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ementia progression of the dementia patient, and a guardian may input the current dementia progression of the dementia patient in advance.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에서 치매환자의 현치매진행단계에 따라 단어정보를 출력해줌으로써 치매환자의 단어수준에 따라 학습할 수 있게 되며, 치매진행단계에 관계없이 무분별하게 반복되어 단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매환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뇌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outputs wo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mentia patient's current dementia progression step, so that it is possible to learn according to the word level of the dementia patient, and the word information is output by indiscriminately repeating regardless of the dementia progression step. It is possible to help brain activity while preventing dementia patients from becoming interested.

한편, 상기 카메라(190)에서 보호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보호자이미지가 생성될경우에는 상기 보호자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보호자이미지저장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guardian image is generated by photographing a guardian's face in the camera 190, a guardian image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the guardian imag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보호자이미지저장부(220)는, 상기 생성된 보호자이미지를 저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할 수 있다.The parental image storage unit 220 may store the generated parental image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panel 120.

상기 보호자이미지저장부(220)를 통해 보호자의 얼굴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할 때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에서 상기 보호자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출력부(160)로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outputting the parental's face to the display panel 120 through the parental image storage unit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outputs the parental voice signal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

상기 보호자이미지저장부(220)를 통해 보호자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함으로 인해 치매환자에게 보호자 얼굴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치매환자와 보호자 간의 유대감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By outputting the guardian image to the display panel 120 through the guardian image storage unit 220, the guardian's face can be continuously exposed to the dementia patient, thereby maintaining a bond between the dementia patient and the guardia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방법은, 미리 상기 음성입력부(140)를 통해 보호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보호자음성신호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190)를 통해 치매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환자얼굴이미지를 미리 저장한다.In the method of using the combined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arental voice signal is generated and stored by inputting a parental's voice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140 in advance. In addition, the face of the dementia patient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90 to store the patient's face image in advance.

그 후 치매환자가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기 위해 상기 손잡이(110)를 파지하면 상기 터치센서(180)에서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로 전송한다.Thereafter, when the dementia patient grips the handle 110 to view his or her face, the touch sensor 180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음성출력제어부(150)는 미리 저장된 보호자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음성출력부(160)는 상기 보호자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s a previously stored parental voice signal to the voice output unit 160. The voice output unit 160 outputs the parental voice signal.

상기 카메라(190)를 작동시킨 후 치매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생성된 촬영이미지를 상기 얼굴인식부(200)로 전송한다.After the camera 190 is operated, the photographed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dementia patient is transmitted to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상기 얼굴인식부(200)에서 상기 촬영이미지를 통해 얼굴영역을 검출하여 인식한 후 상기 얼굴판단부(210)를 통해 상기 인식된 얼굴이 미리 저장된 환자얼굴이미지와 일치한지 판단한다.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detects and recognizes a face region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face matches a previously stored patient face image through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상기 얼굴판단부(210)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이 미리 저장된 환자얼굴이미지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에서 미리 저장된 현치매진행단계에 대응되는 단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되게 된다.When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recognized face matches the patient's face image previously stored,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extracts the 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tored dementia progression and displays the display. It is output to the panel 120.

반면, 상기 얼굴판단부(210)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이 미리 저장된 환자얼굴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단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하지 않고 종료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recognized face does not match the previously stored patient face image, the word information may be terminated without outputting the word information to the display panel 120.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미리 교육영상이 저장된 교육서버(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230)와, 상기 송수신부(230)를 통해 교육영상을 수신받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제어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230 for communicating with an education server (not shown) in which an education image is stored in advance, and an image output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education image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30 and outputting an image ( 24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교육서버(미도시)는, 치매환자에게 필요한 안전교육영상 등과 같은 다수개의 교육영상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ducation server (not shown) stores a plurality of education images such as safety education images necessary for dementia patients in advance.

상기 송수신부(230)는, 상기 교육서버(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USB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transceiver 230 may use a wireless network such as Wi-Fi or Bluetooth or a wired network such as USB to communicate with the education server (not shown).

상기 영상출력제어부(240)는, 상기 송수신부(230)를 통해 상기 교육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받은 교육영상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The image output control unit 240 may store and manage an education image received from the education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30.

또한, 상기 영상출력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받은 교육영상을 치매환자나 보호자가 선택할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output control unit 240 outputs the received educational image to the display panel 120 when a dementia patient or guardian selects it.

상기와 같이 치매환자에게 교육영상을 출력해줌으로 인해 치매환자에게 안전교육을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치매환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outputting an educational image to a dementia patient, safety education can be provided to a dementia patient, as well as an interest in a dementia patient, thereby improving a learning effect.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본체(100)가 극세사 등으로 제조되어 치매환자가 안전하게 소지할 수 있으면서 촉감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display device for use as a mirror for dementia patients, the main body 100 is made of microfiber or the like, so that the dementia patient can safely carry it and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 touch.

또한, 상기 거울필름(130)을 통해 치매환자가 자신의 얼굴을 비추어 보는 동안 보호자의 음성을 제공하여 치매환자의 정서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voice of the guardian while the dementia patient is looking at his or her face through the mirror film 130, it is possible to help stabilize the emotion of the dementia patient.

또한, 치매환자의 뇌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어이미지와 단어음성을 제공함으로 인해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통하여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치매진행을 늦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word images and word voices that can help the brain activity of dementia patients, cognitive and memory can be improved through visual and auditory effects, thereby helping to slow the progression of dementia.

또한, 치매환자의 보호자 얼굴 등을 촬영하여 보호자의 음성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치매환자에게 보호자 얼굴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치매환자와 보호자 간의 유대감을 유지시켜 치매환자의 정신기능과 신체기능이 저하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ace of the guardian of the dementia patient can be photographed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guardian's voice, so that the guardian's face is continuously exposed to the dementia patient, thereby maintaining the bond between the dementia patient and the guardia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low down.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if these improvements and changes ar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y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손잡이
120: 디스플레이패널 130: 거울필름
140: 음성입력부 150: 음성출력제어부
160: 음성출력부 170: 단어출력제어부
180: 터치센서 190: 카메라
200: 얼굴인식부 210: 얼굴판단부
220: 보호자이미지저장부 230: 송수신부
240: 영상출력제어부
100: main body 110: handle
120: display panel 130: mirror film
140: voice input unit 150: voice output control unit
160: voice output unit 170: word output control unit
180: touch sensor 190: camera
200: face recognition unit 210: face determination unit
220: guardian image storage unit 230: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0: image output control unit

Claims (4)

치매환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10)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화면을 투과시키거나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물을 반사시켜 비추기 위한 거울필름(130)과,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어 보호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보호자음성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입력부(140)와,
상기 음성입력부(140)로부터 수신받은 보호자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출력제어부(150)와,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로부터 수신받은 보호자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과 연결되며 단어이미지와 단어음성을 포함한 다수개의 단어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상기 단어정보를 상기 음성출력부(160)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하기 위한 단어출력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body 100 provided with a handle 110 for gripping the dementia patient by hand,
A display panel 120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display a screen,
A mirror film 130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20 for transmit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120 or reflecting and illuminating an object by using reflection of light,
A voice input unit 14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o input the voice of a parent to generate a parental voice signal,
A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for storing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arental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input unit 140;
A voice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a parental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The audio output unit 160 and the display panel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ord information including word images and word audio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wor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udio output unit 160 and the display panel 120. A display device combined with a mirror for a dementia patient comprising a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for outputting 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손잡이(110)에 치매환자의 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센서(180)가 장착되고,
상기 음성출력제어부(150)는, 상기 터치센서(180)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보호자음성신호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180 for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hand of a dementia patient on the handle 110,
The voice output control unit 150 is a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e parental voic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sensor 180 is receiv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치매환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90)와, 상기 카메라(190)를 통해 촬영된 촬영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얼굴인식부(200)와, 상기 얼굴인식부(200)에서 인식된 얼굴이 미리 등록된 환자얼굴이미지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얼굴판단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단어출력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치매진행단계에 따라 다수개의 단어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얼굴판단부(210)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과 상기 환자얼굴이미지가 일치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단어정보 중 미리 저장된 현치매진행단계에 따른 단어정보를 출력하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camera 190 for photographing a face of a dementia patient by being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 face recognition unit 200 for recognizing a face from a photographed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90, and the Includes a face determination unit 21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200 matches the previously registered patient face image,
The word output control unit 170 classifies a plurality of word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dementia progression step, and when the face determin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recognized face and the patient face image match, the word A display device combined with a mirror for a dementia patient to output wo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tored current dementia progression stage among the informa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90)는, 보호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보호자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호자이미지를 저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로 출력하기 위한 보호자이미지저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amera 190 generates a guardi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guardian's face,
A mirror display device for a dementia patient comprising a parental image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the generated parental image and outputting it to the display panel 120.
KR1020190016475A 2019-02-13 2019-02-13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KR1021894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75A KR102189433B1 (en) 2019-02-13 2019-02-13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475A KR102189433B1 (en) 2019-02-13 2019-02-13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850A true KR20200098850A (en) 2020-08-21
KR102189433B1 KR102189433B1 (en) 2020-12-11

Family

ID=7223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475A KR102189433B1 (en) 2019-02-13 2019-02-13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4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011A (en) * 2020-02-05 2021-08-13 오지선 A half mirror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90B1 (en) * 2010-04-16 2011-11-04 이창희 Reclamation style mirror combination display system
KR20120074499A (en)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mirror and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295187B1 (en) * 2012-01-20 2013-08-09 (주)가바플러스 Improvement-effect of brain-function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KR20150050993A (en) * 2013-11-01 2015-05-11 박광민 Magic mirror for mind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323B2 (en) 1993-10-01 2001-03-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Light dispersion equalization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90B1 (en) * 2010-04-16 2011-11-04 이창희 Reclamation style mirror combination display system
KR20120074499A (en)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mirror and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295187B1 (en) * 2012-01-20 2013-08-09 (주)가바플러스 Improvement-effect of brain-function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KR20150050993A (en) * 2013-11-01 2015-05-11 박광민 Magic mirror for mind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011A (en) * 2020-02-05 2021-08-13 오지선 A half mirr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433B1 (en)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048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garding electronic eyewear applicable for seniors
EP0466492B1 (en) Monitor system
KR102113634B1 (en) 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for showing user's status and user status display method and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the system
US20190240842A1 (en) Robot assisted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70259318A1 (en) System for interacting with develop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US111452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content based on user reaction
CN111656304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Macpherson Sensory substitution and augmentation: An introduction
KR202001054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s
KR102189433B1 (en)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JP7066115B2 (en) Public speaking support device and program
US115449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method, and recording medium
Majewski Part of Your General Public Is Disabled. A Handbook for Guides in Museums, Zoos, and Historic Houses.
WO2017016941A1 (en) Wearable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Burns Clinical management of agnosia
WO2020175969A1 (en) Emo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emotion recognition method
EP4331489A1 (en) Sound-based attentive state assessment
TWM584676U (en) Digital aid
CN113633870A (en) Emotional state adjusting system and method
WO20201489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esent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0950045B2 (en)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system and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reality image in accordance with a sensed motion
KR20230050046A (en) Audio-visual lerning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s
RU2679866C1 (en) Visual-sound system for the blind and partially sighted people
KR101499858B1 (en)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Hopkins Seeing Feelingly: A Sight‐Impaired Observer's Reflections on an Infant Observ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