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792A -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792A
KR20190102792A KR1020180023717A KR20180023717A KR20190102792A KR 20190102792 A KR20190102792 A KR 20190102792A KR 1020180023717 A KR1020180023717 A KR 1020180023717A KR 20180023717 A KR20180023717 A KR 20180023717A KR 20190102792 A KR20190102792 A KR 2019010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ngle
distance
m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8456B1 (en
Inventor
박지호
배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아이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아이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아이파워
Priority to KR102018002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456B1/en
Priority to PCT/KR2018/015615 priority patent/WO2019168255A1/en
Publication of KR2019010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4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On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with a sight protection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that a user views a display for a long time while a user is close to a display, and a method there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comprises: a main body; a support unit supporting a display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sensor unit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a user; a power unit moving the support unit relative to the main body so that a display angle may be changed; and a control unit classifying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and controlling the power unit to change the display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사용자의 시력 보호를 위해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a display mounting metho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a display mounting method for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play to protect the user's vis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is close to allow the user to use the display at an appropriate distance.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고, 이러한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범위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낮은 연령의 사용자로의 보급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고, 낮은 연령대의 사용자들은 무의식 중에 디스플레이 쪽으로 가깝게 이동하여 시청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시력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낮은 연령대의 사용자들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들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The spread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displays, for example, smart phones, tablets, notebooks, and the like, is expanding, and the range of users using such electronic devices is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prevalence of low-age users is rapidly expanding, and low-age users often move closer to the display during unconsciousness,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user's vision. For this reason, measures for protecting eyesight of low-age users are actively discussed.

가까운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시청함에 따른 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화면을 특정 영상으로 변경시키는 등 디스플레이 화면을 조작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자체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어, 현실적으로 구현이 쉽지 않다. As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vision due to viewing the display at a close distance, a method of manipulating the display screen such as changing the screen to a specific imag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becomes close is know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ardware or software of the containing electronic device itself has to be modified, which is not easy to implement in reality.

다른 방법으로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전자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 활용할 경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전체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전자 장치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작업 중인 데이터의 손실 등 부작용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Alternatively, a method of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is near is known. However, when the method is used in a smartphone or a tablet, the power of the entir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is cut off, which causes a problem of causing damage to the electronic device or loss of data in operation.

따라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른 시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practical and realistic way to solve the problem of vision degradat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gets closer.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력 보호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that can prevent a user from viewing a display for a long time while be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시력 보호 기능을 구현한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asily implementing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without modifying hardware or software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를 구별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조작 시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device to prevent the user from inconvenient when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by applying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by distinguishing the case when the user is close to the distance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And a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시력 보호 모드를 무력화시키려는 경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in response to a case where the user wants to disable the vision protection mod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ile supporting a display; A sensor unit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A power unit for moving the support relative to the main body so that a display angle can be change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lassify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and to control the power unit to change the display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시청 모드, 조작 모드 및 시력 보호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는 다른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viewing mode, an operation mode, and an eye protection mode, and operates in the viewing mode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is the first distance. When the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second distance, the operation mode is operated, and the measured distance corresponds to a limited section that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and exceeds the second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is maintained for at least a first time in the limited section. In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angle to be the first angle in the viewing mode and the operation mode, and the display angle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in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The second angle can be adjusted.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일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the first angle may be an angle set by the user through a viewing angle setting function.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collect the display angle data in the viewing mode and determine the first angle by using a statistical technique.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모드가 제2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warning message when the operation mod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second time.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작 모드로의 강제 진입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user to select forced entry into the operation mode.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조작 모드로 강제 진입한 이후 제3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switch from the manipulation mode to the vision protection mode when there is no manipulation of the user for a third time after forcibly entering the manipulation mode by the user's selec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를 거치하되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시청 모드, 시력 보호 모드 및 조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상기 제1 각도와는 상이한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ounting method performed by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a display angle while mounting a display,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the display; And selecting an operation mode from a viewing mode, an eye protection mode, and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wherein the display angle is adjusted to be a first angle in the viewing mode and the operation mode, and In the vision protection mode, the display angle is adjusted to be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method, in the mode selection step,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e viewing mode is entered; and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distance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the operation mode is entered. Enter the limited time interval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and exceeds the second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first time in the limited time interval. have.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모드 진입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측정된 거리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method, when there is a manipulation mode entry command by the user, the manipulation mode may be entered despite the measured distance.

상기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차이는 30도 내지 60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In the display mounting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may be in the range of 30 degrees to 60 degre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시청하는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be prevented from watching the display for a long time while being close to the display.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시력 보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sion protection func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without modifying hardware or software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를 구별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조작 시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may distinguish the case where the distance is close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to apply the vision protection function so as not to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operated.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시력 보호 모드를 무력화시키려는 경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may effectively respond to the case where the user wants to disable the vision protection mode to perform the vision protection func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1 illustrates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ngle adjuster of FIG. 1.
3 to 5 illustrate a case in which various types of display mounting devices change a display angle.
6 and 7 illustrate a display mounting method in which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performs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라는 용어는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모니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 'display' as used herein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function.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a monitor, a notebook,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100, 이하 간략히 '거치 장치'라고도 함)는 본체(110), 지지부(130) 및 각도 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1 illustrates a display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10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mounting device')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 support 130, and an angle adjuster 150.

본체(110)는 바닥, 벽면 등에 설치되어 거치 장치(100) 전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체(110)는 그 내부 또는 외부에 각도 조절부(150)의 일부 또는 전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10 may be installed on a floor, a wall, or the like to stably maintain the entire mounting apparatus 100. The body 110 may include a part or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angle adjuster 150 inside or outside thereof.

지지부(130)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130)는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되도록 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본체(11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은 회전, 슬라이딩 등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ppor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while supporting the display. At this time, the suppor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in a manner that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display angle is change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upport 13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may be rotation, sliding,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각도 조절부(150)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30)를 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가 발광하는 방향(즉, 디스플레이 각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발광면과 수평면(대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바뀌도록 지지부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발광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즉, 상하 방향 회전이 없음) 디스플레이 발광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부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들 양자를 모두 활용하여 디스플레이가 발광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50)가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 내지 도 5의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angle adjuster 150 may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emits light (ie, display angle) by moving the support 130 supporting the display relative to the main body 110. For example, the support may be moved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display light emitting surface and the horizontal plane (the ground plane) is changed, or the display light emitting direction is maintained while the angle at which the display light emitting surface is formed with the horizontal plane is constant (that is, there is no up and down rotation). The support may be moved to rotat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both may be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emits light.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the angle adjusting unit 150 to change the display ang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of FIGS.

도 3(a)는 거치 장치(300)가 디스플레이(10)를 시청 각도로 유지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도 3(b)는 거치 장치(300)가 디스플레이(10)를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3 (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ounting apparatus 300 maintains the display 10 at a viewing angle, and FIG. 3 (b) illustrates that the mounting apparatus 300 changes the display 10 to an eye protection angle. One case is illustrated.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부(330)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면서 연결부(320)를 통해 본체(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지지부(330)에 의해 지지된 디스플레이(10)의 발광면이 사용자의 눈(20)을 향해 발광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좋은 각도일 경우를 시청 각도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도 3(a)에서 디스플레이(10)로부터 연장된 선분(DS)은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을 나타내고, 선분(HS)은 수평면 또는 대지면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발광면(DS)과 수평면(HS)이 이루는 각도(θ)는 디스플레이 각도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the support part 33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20 while supporting the display 10. In FIG. 3A,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display 10 supported by the support 330 emits light toward the user's eye 20. The case in which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of the display is a good angle for viewing by the user will be expressed as a viewing angle. In FIG. 3A, the line segment DS extending from the display 10 represents a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display, and the line segment HS represents a direction of a horizontal plane or a ground plane. An angle θ formed between the display emission surface DS and the horizontal surface HS may be an example of the display angle.

도 3(b)는 지지부(330)가 회전을 하여 디스플레이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력 보호 각도라고 표현하기로 한다.FIG. 3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display is changed to a direction tha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view by rotating the support 330. The display angle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is uncomfortable for viewing will be referred to as the vision protection angle.

도 3을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30)를 본체(3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예, 회전)시켜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을 변경(즉,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기 좋은 시청 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시력 보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rough FIG. 3, the user moves the support 330 relative to the main body 310 (eg, rotates) to change the emission direction of the display 10 (ie, change the display angle). Maintaining a viewing angle that is good for viewing or forming an eye protection angle tha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watch.

도 4는 거치 장치의 다른 형태로서, 지지부(4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10)의 발광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a)는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의 눈(20)을 향하여 시청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이고, 도 4(b)는 지지부(430)의 일부가 본체(4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각도(θ)는 디스플레이 발광면(DS)과 수평면(HS)이 이루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FIG. 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apparatus in which the support 430 moves relative to the main body 410 in a sliding manner to change the light emission angle of the display 10. 4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of the display 10 maintains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for viewing toward the user's eye 20, and FIG. 4B illustrates that a part of the support part 430 is the main body 410. By sliding relative to),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display 10 is changed to an eye protection angle that is not suitable for a user to see. In the example of FIG. 4, the display angle θ may be understood as an angle formed between the display emission surface DS and the horizontal surface HS.

도 4를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30)를 본체(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예, 슬라이딩)시켜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을 변경(즉,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기 좋은 시청 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시력 보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rough FIG. 4, the user moves the support 430 relative to the main body 410 (eg, slides) to change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of the display 10 (ie, change the display angle). Maintaining a viewing angle that is good for viewing or forming an eye protection angle tha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watch.

도 5는 거치 장치의 다른 예시로서, 거치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디스플레이(10)가 지지부(5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20)을 향해 발광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고, 도 5(b)는 지지부(530)가 본체(5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하도록 변경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5(a)의 상태를 시청 각도가 유지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고, 도 5(b)의 상태를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FIG. 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apparatus,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ounting apparatus is viewed from above. 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10 emits light toward the user's eyes 20 while the display 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530. In FIG. 5B, the support 530 has the main body 510.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display 10 is changed to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view.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ate of FIG. 5 (a) is maintained as the viewing angle, and the state of FIG. 5 (b) is changed to the vision protection angle.

도 5를 통해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30)를 본체(5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예, 회전)시켜 디스플레이(10)의 발광 방향을 변경(즉,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청하기 좋은 시청 각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불편한 시력 보호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rough FIG. 5, the user views by changing the emission direction of the display 10 (ie, changing the display angle) by moving (eg, rotating) the support 530 relative to the main body 5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od viewing angle or to create an eye protection angle tha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view.

도 3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를 비교해 보면, 도 3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는 지지부(530)의 회전이라는 관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 발광면이 수평면(도 5의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예, 직각)를 유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발광면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고,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발광면(DS)과 수평면(HS)이 형성하는 각도를 변경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의 경우, 거치 장치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발광면의 방향을 디스플레이 각도를 정의할 수도 있지만 기준을 이와는 다르게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각도를 정의할 수도 있다.When the embodiment of FIG. 3 i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5, the embodiment of FIG. 3 and the embodiment of FIG. 5 are similar in terms of rotation of the support part 530, bu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5, the display light emitting surface is a horizontal plane. The display light emitting surface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ngle (for example,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of FIG. 5, and the display light emitting surface DS and the horizontal surface HS are form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difference is that they rotate in the direction of changing the angle. In the case of FIG. 5, a display angle may be defined as a direction of the display emitting surface based o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mounting apparatus, but a reference may be set differently and a display angle may be defin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 장치에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거치 장치의 구조에 따라 또는 기준 방향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각도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디스플레이 각도'는, 지지부의 이동(예, 회전이나 슬라이딩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이 회전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 기준선 또는 기준면과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이 이루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시청 각도는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적절한 각도로 이해될 수 있고, 시력 보호 각도는 지지부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발광면이 사용자가 시청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또는 불편한 상태로 이동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절대적인 크기는 기준선/기준면의 설정 및 사용자의 선호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절대적인 크기보다는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에 의미가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는, 예를 들면 30도 이상일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가 30도 내지 60도의 범위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이면서도 경각심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를 90도 이상으로 설정하여 가까운 거리에서는 시청이 곤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시청 각도와 시력 보호 각도의 차이가 이러한 수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exemplari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various structures may be used for the mounting apparatus, and the display angle may be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apparatus or the setting of the reference direction. As used herein, the term 'display angle' refers to an angle formed by a reference line or reference plan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a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display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pport (eg, rotation or sliding). It can be understood as. In addition, the viewing angle may be understood as an angle suitable for the user to view, and the vision protection angle means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display is moved to an unsuitable or uncomfortable state for the user to watch as the support moves. It can be understood that. However, since the absolute size of the viewing angle and the eye protection angle may vary depending on the reference line / reference plane setting and the user's preferred ang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ing angle and the eye protection angle is more meaningful than the absolute size of the viewing angle and the eye protection angle. This should be understo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ing angle and the eye protection angle may be enough for the user to feel uncomfortable, for example, when it is 30 degrees or mor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ing angle and the eye protection angle may be set within a range of 30 degrees to 60 degrees, thereby reducing the user's discomfort and giving alar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ing angle and the vision protection angle may be set to 90 degrees or more to make viewing difficult at a close distanc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ing angle and the eye protection ang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numerical range.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절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각도 조절부(150)에 대해 설명한다.FIG. 2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ngle adjuster of FIG. 1. Hereinafter, the angle adjuster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각도 조절부(150)는 제어부(251), 센서부(253), 동력부(255), 사용자 인터페이스(257) 및 표시부(259)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gle adjuster 150 may include a controller 251, a sensor 253, a power unit 255, a user interface 257, and a display 259.

센서부(253)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51)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253)는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253)는 거치 장치의 본체(110) 및/또는 지지부(13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53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controller 251. The sensor unit 253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by using an infrared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nsor unit 253 may be disposed inside and / or outside the main body 110 and / or the support 130 of the mounting apparatus, or may be disposed in a separate housing.

동력부(255)는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지지부(130)를 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부(255)는 거치 장치의 본체(110) 및/또는 지지부(13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The power unit 255 may move the support 130 relative to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display angle may be changed. The power unit 255 may be disposed inside and / or outside the main body 110 and / or the support 130 of the mounting apparatus, or may be disposed in a separate housing.

동력부(255)는 모터 및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지지부(130)를 움직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ower unit 255 may include a motor and a motor driving unit to provide a force for moving the support unit 130.

실시예에 따라, 동력부(255)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동력부(255)는 모터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대신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시청 모드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체(도면 미도시)를 사용하여 지지부(430)에 시력 보호 모드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힘을 인가하되, 사용자가 지지부(430)를 도 4(a)와 같이 시청 각도로 전환하면 걸림 수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청 각도를 유지하고,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전환할 때 제어부가 걸림 수단을 제어하여 탄성체의 힘을 통해 지지부(430)를 슬라이딩시켜 시력 보호 각도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부(255)에는 모터 및 모터 구동부 등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조 및 낮은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unit 255 may change the display angle by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That is, the power unit 255 may change the angle of the display from the viewing mode to the vision protection angle by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instead of changing the display angle using a motor or the like. 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a force in a sliding direction in the vision protection mode is applied to the support 430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not illustrated), but the user applies the support 430 to FIG. When switching to the viewing angle as shown in FIG. 2, the user maintains the viewing angle set by the user using the locking mean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cking means when switching from the viewing angle to the eye protection angle, thereby supporting the support 430 through the force of the elastic body. It can operate by sliding to switch to the vision protection angle. In this case, the power unit 255 does not need a configuration such as a motor and a motor driving un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실시예에 따라, 동력부(255)는 중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동력부(255)는 모터나 탄성체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대신 중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와 같이 시청 각도일 때 디스플레이(10) 및 지지부(430)가 중력에 의해 시력 보호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되, 시청 모드에서는 걸림 수단 등을 사용하여 중력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기울어짐을 막고 있다가, 시력 보호 각도로 전환할 때 제어부가 걸림 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지지부(430) 및 디스플레이(10)가 기울어지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면 모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를 시력 보호 각도로부터 시청 각도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힘을 활용할 수 있다. 즉, 거치 장치(400)에 모터 등이 포함되지 않아 디스플레이(10)를 시력 보호 각도로부터 시청 각도로 되돌리는 힘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10)를 시청 각도로 되돌리도록 하고 거치 장치(400)는 시청 각도로부터 시력 보호 각도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력부(255)에는 모터 및 모터 구동부 등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조 및 낮은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wer unit 255 may change the angle of the display using gravity. That is, the power unit 255 may change the display angle from the viewing angle to the vision protection angle by using gravity instead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sing a motor or an elastic bod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the display 10 and the support part 430 may be formed to move at an angle of vision protection by gravity, but in a viewing mode, gravity may be used using a locking means. When the display is prevented from being til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cking means when switching to the vision protection angle so that the support unit 430 and the display 10 are tilted by gravity so that the motor is not used. You can change from viewing angle to vision protection angle without having to. In this case, in order to return the display 10 from the vision protection angle to the viewing angle, the user's force may be utilized. That is, when the mounting apparatus 400 does not include a motor or the like and thus cannot provide a force for returning the display 10 from the vision protection angle to the viewing angle, the user is allowed to return the display 10 to the viewing angle. The mounting device 400 may operate in a manner to control the switching from the viewing angle to the vision protection angle. In this case, the power unit 255 does not need a configuration such as a motor and a motor driving un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51)는 각도 조절부(15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1)는 센서부(253)에서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동작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동력부를(255)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1)의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controller 251 may perform an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angle adjuster 15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1 divides the operation mode based on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53, and controls the display angle adjustment func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unit 255 to change the display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Can be done. The display angle adjustment function of the controller 25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below.

사용자 인터페이스(257)와 표시부(259)는 사용자와 거치 장치의 정보 교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7)를 통해 거치 장치로 동작 설정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거치 장치는 표시부(259)를 통해 동작 모드, 경고 메시지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257 and the display unit 259 may be used as information exchange means between the user and the mounting apparatus. That is, the user may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setting to the mounting apparatus through the user interface 257, and the mounting apparatus may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an operation mode and a warning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259.

도 2에 예시된 각도 조절부(150)의 구성들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구성이 필요한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150)의 각각의 구성은 본체 및/또는 지지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외의 제3의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Configurations of the angle adjuster 150 illustrated in FIG. 2 may be disposed in one housing, but each configuration may be distributed in a required position. 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of the angle adjuster 150 may be disposed inside and / or outside the main body and / or the support, but may be disposed at other third places.

도 6은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을 수행하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을 설명한다.6 illustrates a procedure in which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performs the display mounting method. A display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거치 장치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강제 조작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10). 강제 조작 모드는 제어부의 모드 판단에 따라 조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의 모드 판단과는 무관하게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조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 모드로의 강제 진입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강제 조작 모드 선택이 있는 경우 S66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의 강제 조작 모드 선택이 없는 경우 S62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ler of the mounting apparatus may check whether the user is in a forced operation mode (S610). The forced operation mode does not enter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mod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but means to enter the operation mode by the user's instruction regardless of the mod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That is,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user to select forced entry into the operation mode. If there is no user forced operation mode selec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60 and if there is no user forced operation mode selec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20.

한편, 도 6에는 S610 단계가 거리 측정 단계(S62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S610 단계는 S620 단계보다 늦게 수행되거나 또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특별한 순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모드 진입 명령이 있으면 측정된 거리에도 불구하고 조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FIG. 6 illustrates that step S610 is performed before the distance measuring step S620, step S610 may be performed later than step S620 or may be performed in no particular order in an interrupt manner. In this case, if the user enters the manipulation mode entry command, the manipulation mode may be entered despite the measured distance.

S620 단계에서 센서부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을 위해 적외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peration S620, the sensor unit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Infrared light may be used for distance measure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S630 단계에서 제어부는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시청 모드, 조작 모드 및 시력 보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즉, 시청에 적절한 거리 이상일 경우)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즉,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거리)일 경우 조작 모드로 동작하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조작을 위한 거리보다는 멀되 시청 거리로는 너무 가까운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n operation S630, the controller may select an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viewing mode, an operation mode, and an eye protection mode.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at is, more than the distance suitable for viewing) and operates in the viewing mode, and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distance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that is, the distance for the manipulation of the display). In operation mode,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exceeds the limited period (farther than the distance for operation, but too close to the viewing distance) may operate in the vision protection mode.

시력 보호 모드는 측정된 거리가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추가 조건으로 할 수 있다. 즉, 거리가 제한 구간에 해당하는 상태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할 때 시간 조건을 추가로 설정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제한 구간에 들어온 경우 바로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나, 시간 조건을 포함할 경우 거리가 일시적으로 가까워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The vision protection mode may be an additional condition that the measured distance is maintained for at least a first time in the limited period. That is, when the distanc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the first time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restricted period, the eye protection mode may be operated. The reason for setting the additional time condition when entering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is that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if the user immediately enters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when the user enters the restricted section temporarily, but the distance is temporary when the time condition is included. This is because the user's convenience may not be enhanced because the eyesight mode does not operate.

S630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S640 단계, S650 단계 또는 S660 단계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로 진행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mode selected in step S630, it may proceed to any one of step S640, S650 or S660.

제어부가 S630 단계에서 시청 모드로 판단하면, S640 단계로 진행하여 시청 모드로 진입하고, S642 단계에서 제어부는 지지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1 각도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한다는 것은 다른 각도로부터 제1 각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제1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viewing mode in step S63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40 and the viewing mode is entered. In step S642,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upport unit to adjust the display angle to be the first angle. The first angle may be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for the user to watch the display. 'Adjusting the display angle to be the first angle'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changing the display angle to be the first angle from another angle, but also maintaining the first angle adjusted by the user.

한편, 제1 각도(시청 각도)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일 수 있다. 시청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는 사용자나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거치 장치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시청 각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시청 각도를 설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제어부는 시청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각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시청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The first angle (viewing angle) may be an angle set by a user through a viewing angle setting function. Since the viewing angle suitable for viewing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user or a situation, the mounting apparatus may provide a viewing angle setting function to allow the user to set the viewing angle. As another method of setting the viewing angle, the controller may collect display angle data in the viewing mode and determine the viewing angle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제어부가 S630 단계에서 시력 보호 모드로 판단하면, S650 단계로 진행하여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하고, S652 단계에서 제어부는 지지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기에 부적절하거나 불편한 각도인 시력 보호 각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한다는 것은 다른 각도로부터 제2 각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2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in step S63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50 enters the eyesight protection mode, and in step S652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upport to adjust the display angle to be the second angle. Here, the second angle may be an eye protection angle that is an angle that is inappropriate or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watch the display. 'Adjusting the display angle to be the second angle'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changing the display angle from the other angle to the second angle but also maintaining the second angle.

제어부가 S630 단계에서 조작 모드로 판단하거나 S610 단계에서 강제 조작 모드로 판단한 경우, S660 단계로 진행하여 조작 모드로 진입하고, S662 단계에서 제어부는 지지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거나 조작하기에 적절한 시청 각도일 수 있다. 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in operation S630 or the forced operation mode in operation S610, the controller proceeds to operation S660 to enter the operation mode, and in operation S662,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upport to adjust the display angle to be the first angle. have. Here, the first angle may be a viewing angle suitable for the user to watch or manipulate the display.

S662 단계에서 시청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S664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제3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조작 모드로부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사용자에 의한 시력 보호 기능의 무력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강제 조작 모드를 설정할 경우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의 거리에 무관하게 조작 모드로 진입하므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의 거리가 가까워져도 시력 보호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강제 조작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도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조작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거리 센서에서 측정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변동되는 정도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viewing angle adjustment is completed in step S66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64,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third time) has elapsed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ithout the user's operation, the user can switch from the operation mode to the vision protection mode. The reason for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ithout the user's operation is to prevent the user from disabling the vision protection function. That is, when the user sets the forced operation mode, the user enters the operation mode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and thus the vision protection mode may not be activated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is close. Even if the user has set the forced operation mode, this problem can be prevented by switching to the vision protection mode if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user's manipulation, the motion sensor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motion for manipulating the display or the degree of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Judgment may be ma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가 거리를 측정하고 모드를 구분하는 절차를 좀 더 상세히 예시하기로 한다. Next, the procedure of measuring the distance by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classifying the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S710 단계에서 센서부는 소정 주기(T0)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주기는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In operation S710, the sensor unit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at a predetermined period T0. The distance measurement period may b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situation.

S720 단계에서 제어부는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에 비해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에 비해 같거나 클 경우 S721 단계로 진행하여 변수 count1과 변수 count2를 영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이후 S723 단계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현재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이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가 아니면 S725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청 각도로 조절한 후 S7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In operation S720,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distance L is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L1. If the measured distance L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irst distance L1,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721 to initialize the variable count1 and the variable count2 to zero. Thereafter, after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display angle P is the viewing angle P0 in step S723, if the current display angle P is the viewing angle P0, the flow proceeds directly to step S770, and the current display angle P is viewed. If it is not the angle P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25 and the display angle is adjusted to the viewing angle, an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70.

여기서, count1은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할 때 제1 시간(T1)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이고, count2는 조작 모드에서 경과된 시간을 제2 시간(T2) 및 제3 시간(T3)와 비교하여 조작 모드가 장기화될 경우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거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이다. 시청 모드에서는 두 변수(count1 및 count2)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초기화할 수 있다.Here, count1 is a variabl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ime T1 has elapsed when entering the vision protection mode, and count2 is the second time T2 and the third time (T2). Compared with T3), this variable is used to send a warning message or switch the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is prolonged. In watch mode, the two variables (count1 and count2) are not used and can be initialized.

S720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에 비해 작다고 판단된 경우, S730 단계로 진행하여 측정된 거리(L)가 제1 거리(L1)과 제2 거리(L2)의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 즉 측정된 거리(L)가 제한 구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0 that the measured distance L is smaller than the first distance L1,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30 in which the measured distance L is equal to the first distance L1 and the second distance L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distance between them, that is, whether the measured distance L is in the limited section.

S730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L)가 제한 구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S731 단계로 진행하여 count1을 1씩 가산하고, count2를 영으로 초기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33 단계에서 count1이 제1 시간(T1)에 비해 작을 경우 S770 단계로 진행하고(즉, 일정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하지 않음), S733 단계에서 count1이 제1 시간(T1)에 비해 같거나 클 경우 S735 단계 및 S737 단계로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각도(P)를 시력 보호 각도(P1)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S735 단계 및 S737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면, S735 단계는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력 보호 각도(P1)와 실질적으로 같은지를 확인하고, 같을 경우 별도의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없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하고, 다를 경우 S737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력 보호 각도로 조절한 후 S770 단계로 진행하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30 that the measured distance L is within the limited perio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31 where count1 is added by one and count2 may be initialized to zero. Next, if count1 is smaller than the first time T1 in step S73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70 (that is, since a predetermined time has not passed, the eye protection mode is not entered), and in step S733, count1 is the first time (T1). If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play may enter the steps S735 and S737 and adjust the display angle P to be the eye protection angle P1. When the steps S735 and S737 are described separately, step S735 confirms that the current display angle P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ye protection angle P1, and if so, proceeds directly to step S770 without adjusting the display angle. If differen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37 to adjust the display angle to the eye protection angle and illustrates the procedure to proceed to step S770.

S730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L)가 제한 구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즉, 측정된 거리(L)가 제2 거리(L2) 보다 작은 경우), S751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와 실질적으로 같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51 단계에서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와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S752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P)를 시청 각도(P0)로 조절한 후 S7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30 that the measured distance L is not within the limited section (that is, the measured distance L is smaller than the second distance L2), the flow proceeds to step S751 to determine the current display angle (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P)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viewing angle P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51 that the current display angle P is different from the viewing angle P0,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752 to adjust the display angle P to the viewing angle P0 and then proceed to step S770.

S751 단계에서 현재의 디스플레이 각도(P)가 시청 각도(P0)와 실질적으로 같다고 판단된 경우, S753 단계로 진행하여 count1을 영으로 초기화하고, count2를 1씩 가산할 수 있다. 이후 S755 단계로 진행하여 count2를 제2 시간(T2)과 비교한 후, count2가 제2 시간(T2)보다 작으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별도의 경고 메시지나 모드 전환 없이 진행)하고, count2가 제2 시간(T2)보다 같거나 클 경우 S757 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S757 단계의 경고 메시지는 조작 모드에서의 경과 시간이 좀 더 지속될 경우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사전에 경고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S759 단계에서 count2를 제2 시간보다 더 큰 제3 시간(T3)과 비교한 후, count2가 제3 시간(T3)보다 작으면 바로 S770 단계로 진행(모드 전환 없이 진행)하고, count2가 제3 시간(T3)보다 같거나 클 경우 S735 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각도를 시력 보호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즉, 조작 모드에서 시력 보호 모드로 강제 전환). 이와 같이, S753 단계부터 S759 단계는 조작 모드에서의 경과 시간이 길어질 경우 먼저 경고 메시지를 표시한 후 조작 모드가 계속되면 강제로 시력 보호 모드로 전환하는 절차를 예시하고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51 that the current display angle P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viewing angle P0, the flow proceeds to step S753 to initialize count1 to zero and add count2 by one.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55 and count2 is compared with the second time T2. If count2 is less than the second time T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70 immediately (without a separate warning message or mode switching), and count2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ime T2,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757 to display a warning message. The warning message in step S757 may be used to warn in advance that the user may be switched to the vision protection mode if the elapsed time in the operation mode continues. Next, in step S759, after count2 is compared with the third time T3 that is greater than the second time, if count2 is less than the third time T3, the process proceeds directly to step S770 (without changing the mode), and count2 is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time T3, the display angle may be changed to the vision protection angle by proceeding to step S735 (that is, forced switching from the operation mode to the vision protection mode). As described above, steps S753 to S759 illustrate a procedure of first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when the elapsed time in the operation mode becomes long and then forcibly switching to the vision protection mode if the operation mode continues.

S770 단계는 한 번의 거리 측정 및 모드 구분에 따른 동작 이후에 각도 조절 기능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각도 조절 기능을 계속할 경우 S710 단계로 진행하여 거리 측정을 다시 시작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각도 조절 절차를 종료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Step S77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angle adjustment function 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measurement and mode division once, proceed to step S710 to resume the distance measurement if the angle adjustment function continues, otherwise the angle The termination of the adjustment procedure is illustr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질 경우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와 가까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수정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시력 보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와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를 구별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시력 보호 모드를 무력화시키려는 경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display, the display angle may be changed to prevent the user from watching the display for a long time while the user approaches the displa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eyesight protection func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using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without modifying the hardware or software of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may distinguish the case where the user is close to the display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to apply an eye protection function so as not to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may effectively respond to the case where the user wants to disable the vision protection mode to perform the vision protection function.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본체;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디스플레이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구분하고,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main body;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ile supporting a display;
A sensor unit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and the user;
A power unit for moving the support relative to the main body so that a display angle can be changed;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lassify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and to control the power unit to change the display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시청 모드, 조작 모드 및 시력 보호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와는 다른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viewing mode, an operation mode, and an eye protection mode.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e viewing mode is operated.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distance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is operated in the operation mode,
When the measured distance corresponds to a restricted section that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and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first time in the limited section, the eye protection mode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In the viewing mode and the operation mode, the display angle is adjusted to be the first angle,
And the display angle is adjusted so that the display angle is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in the vision protection mo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시청 각도 설정 기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gle is an angle set by the user through a viewing angle setting fun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 모드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llects the display angle data in the viewing mode and determines the first angle by using a statistical techniqu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모드가 제2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transmits a warning message when the operation mode is maintained for a second time or long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조작 모드로의 강제 진입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user with a function of selecting forced entry into the operation mode.
디스플레이를 거치하되 디스플레이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거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시청 모드, 시력 보호 모드 및 조작 모드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청 모드 및 상기 조작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제1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고,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도를 상기 제1 각도와는 상이한 제2 각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
In the display mounting method performed by the display mounting apparatus that can be mounted on the display, but can change the display angle,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the display; And
Selecting an operation mode among a viewing mode, an eye protection mode, and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In the viewing mode and the operation mode, the display angle is adjusted to be a first angle,
And the display angle is adjusted to be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in the vision protection mod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가 제1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시청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제2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조작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거리 초과인 제한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가 상기 제한 구간에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mode selection step,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distance, the viewing mode is entered.
When the measured distance is less than the second distance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the operation mode is entered,
When the measured distance corresponds to a restricted section that is less than the first distance and is greater than the second distance, and the measured distanc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first time in the limited section, entering the vision protection mode How to mount the displa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모드 진입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측정된 거리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거치 방법.The display mount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user enters the operation mode despite the measured distance when the user enters the operation mode entry command.
KR1020180023717A 2018-02-27 2018-02-27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884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17A KR102088456B1 (en) 2018-02-27 2018-02-27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PCT/KR2018/015615 WO2019168255A1 (en) 2018-02-27 2018-12-10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717A KR102088456B1 (en) 2018-02-27 2018-02-27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792A true KR20190102792A (en) 2019-09-04
KR102088456B1 KR102088456B1 (en) 2020-03-12

Family

ID=678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717A KR102088456B1 (en) 2018-02-27 2018-02-27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8456B1 (en)
WO (1) WO201916825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38B1 (en) * 2022-05-25 2022-10-27 (주) 아하 Interactive Plat Panel Display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779A (en) * 2001-06-01 2002-12-10 Sharp Corp Robot type interfac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6163459A (en) * 2004-12-02 2006-06-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and program for power management method
KR20140126163A (en) * 2013-04-22 2014-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150088024A (en) * 2014-01-23 2015-07-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VN mode
KR20150127507A (en) * 2014-05-07 2015-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50309A (en) * 2014-10-29 2016-05-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Auto position adjust monitor
KR101667758B1 (en) * 2015-04-17 2016-10-28 최동원 Angle adjustment device of monitor of education desk
KR20170085804A (en) * 2016-01-15 2017-07-25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use rotational monitor stand
KR20170105812A (en) * 2016-03-10 2017-09-20 주식회사 씨큐너스 Multipurpose lighting stand
KR20180024597A (en) * 2016-08-30 2018-03-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energy-saiving stand using automatic lighting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222A (en) * 1998-03-18 1999-10-15 윤종용 Monitor with automatic cam structure for angle adjustment
KR20090079474A (en) * 2008-01-17 2009-07-22 임차성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positioning
KR20160096409A (en) * 2015-02-05 2016-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ontrolling Position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779A (en) * 2001-06-01 2002-12-10 Sharp Corp Robot type interfac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06163459A (en) * 2004-12-02 2006-06-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and program for power management method
KR20140126163A (en) * 2013-04-22 2014-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150088024A (en) * 2014-01-23 2015-07-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VN mode
KR20150127507A (en) * 2014-05-07 2015-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50309A (en) * 2014-10-29 2016-05-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Auto position adjust monitor
KR101667758B1 (en) * 2015-04-17 2016-10-28 최동원 Angle adjustment device of monitor of education desk
KR20170085804A (en) * 2016-01-15 2017-07-25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use rotational monitor stand
KR20170105812A (en) * 2016-03-10 2017-09-20 주식회사 씨큐너스 Multipurpose lighting stand
KR20180024597A (en) * 2016-08-30 2018-03-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energy-saiving stand using automatic lighting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38B1 (en) * 2022-05-25 2022-10-27 (주) 아하 Interactive Plat Panel Display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8255A1 (en) 2019-09-06
KR102088456B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5610B2 (en) Floating window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20153412A1 (en) Control method, control system, and smart glasses for first person view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CN107430278B (en) User-based context sensitive hologram response
KR101432057B1 (en) A method of control to billboards and billboard
US9942529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CN10947908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zooming with respect to an object
JPWO2014156146A1 (en) Electronic mirror device
KR20140020219A (en) Wearable display deice having sliding structure
JP6528962B2 (en) Head-up display
US10453176B2 (en) Display apparatus to control display form of virtual object
EP3925677A1 (en) Viewing angle rotation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023568B2 (en) Head-mounted device
JP2004233908A (en) Head-mounted display
US11310431B2 (en)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changing in-focus range
KR102088456B1 (en) Display Moun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074588A (en) Robot having projection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in robot
JP20220519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10963048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visual human-machine interaction
EP3469415A1 (en) A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ular accidents
US1106930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509090B (en) Projec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system
JP2017226292A (en) On-vehicle display device
KR20220074648A (en) slim type XR device having variable transparenc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30797A (en) Apparatus for night vi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JP6322241B2 (en) Head-moun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