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302A - Monitoring apparatus using non-use mobile inform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nitoring apparatus using non-use mobile inform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302A
KR20180082302A KR1020170124022A KR20170124022A KR20180082302A KR 20180082302 A KR20180082302 A KR 20180082302A KR 1020170124022 A KR1020170124022 A KR 1020170124022A KR 20170124022 A KR20170124022 A KR 20170124022A KR 20180082302 A KR20180082302 A KR 20180082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module
information applianc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8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3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device using unused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s, which comprises: a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which is composed of an unused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to have a camera, a microphone,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put/output (I/O) terminal of data and power; and a support on which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is mounted to support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I/O terminal of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supply power to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communicates with a first information appliance possessed by a user in the outside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information appliance to control the orientation of the camera included in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mounted on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and a sound signal inputted into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to the first information appliance. The support has a driving module mounted on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to change a posture of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The driving module is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from the first information appliance to change a posture of the second information appliance, thereby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the camera.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be used in monitoring surrounding environment or fire in home or an office by using an unused smartphone.

Description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APPARATUS USING NON-USE MOBILE INFORMATION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apparatus using an un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본 발명은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과 같은 미사용의 정보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종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사물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device using an un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unused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hich is not used and can perform various kinds of monitoring, To a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ontrol over objects.

최근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각종 모니터링이나 주변 환경에 대한 감지를 행하여 모니터링 또는 감지된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Recently, monitoring devices that monitor or monitor information or provide information to a user based on the Internet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들은 근거리 통신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나 각종 센서 등의 각종 감시 기구를 장착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와 통신하면서 각종 감지, 감시나 모니터링 작동을 수행한다.Such monitor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various monitoring devices such a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 camera module and various sensors, and perform various sensing, monitoring or monitoring operation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in a home or office.

카메라 모듈이나 근거리 통신 모듈의 가격이 매우 저렴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기능 모듈을 구비하여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하는 데에는 상당한 비용이 든다.Although the price of the camera module or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has become very low,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monitoring device with such a function module is considerable.

한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사용자가 매우 많아지고, 새로운 모델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이 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빈번하게 휴대용 정보 기기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않고 폐기되는 휴대용 정보 기기가 크게 늘어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users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used by individu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have increased in number and users of new models of smartphones and tablets have been introduced, users tend to use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frequently Therefore,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that are discarded without being used despite their normal operation are increasing.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은 높은 해상도의 카메라, 성능 좋은 스피커와 마이크 및 비교적 높은 송수신 속도를 갖는 각종의 근거리 통신 모듈, 큰 용량의 메모리와 연산 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high-resolution cameras, high-performance speakers and microphones,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with a relatively high transmission / reception speed, and large-capacity memory and computing devices.

따라서, 폐기되는 스마트폰 등은 USIM칩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하드웨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자원이지만, 단지 자원 재활용 차원에서 스마트폰의 기판으로부터 귀금속만이 추출될 뿐이어서 상당한 자원의 낭비가 되고 있다.Therefore, even if a smartphone is discarded, it is a very valuable resource that can use all the basic hardware even if the USIM chip is removed. However, since only the noble metal is extracted from the substrate of the smartphone in terms of resource recycling, a considerable resource is wasted .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품질 고용량의 하드웨어를 갖춘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를 폐기하지 않고 이를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각종 모니터링이나 감시, 감지 작동을 행하는 모니터링 장치로 이용하려는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un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having high-quality and high-capacity hardware as monitoring devices for performing various monitoring, monitoring, and sensing operation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

특히, 미사용의 스마트폰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주변 환경에 대한 감시나 화재 감지와 같은 모니터링에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onitoring device that can be used to monitor an unused smart phone in the home or office, such as monito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detecting fire.

전술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a monitoring apparatus using an un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는, Th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로 이루어지고, 카메라, 마이크,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데이터와 전원의 입출력 단자을 갖춘 제2 정보 기기; 및A second information device comprising an un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having a camera, a microphon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for data and power; And

제2 정보 기기가 탑재되어 제2 정보 기기를 지지하고, 제2 정보 기기의 입출력 단자와 결합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며 제2 정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A second information device is mounted to support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and is coupled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를 포함하고,Lt; / RTI >

제2 정보 기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유하는 외부의 제1 정보 기기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제1 정보 기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거치대에 탑재되는 제2 정보 기기의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며, 카메라 및 마이크에 입력되는 영상 및 소리 신호를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고,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first information device held by the user via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video and sound signals input to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to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거치대는 제2 정보 기기에 탑재되는 제2 정보 기기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구동 모듈을 구비하고, 제2 정보 기기가 수신한 제1 정보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듈이 구동되어 제2 정보 기기의 자세를 변경시킴으로써 카메라의 지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drive module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mounted on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he drive module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received by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he orientation of the camera is controlled by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amera.

이러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1 정보 기기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하는 공간에서 제1 정보 기기를 통하여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공간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by the user's operation in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currently used by the user. The user can monitor the status of the space to be monitored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in the space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나 사용하지 않고 폐기되거나 재활용 처분되는 정보 기기는 제2 정보 기기로서 거치대에 탑재되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하여 그 공간의 영상과 소리의 정보를 제1 정보 기기에 전송하게 된다.An information device which can be normally operated but is disposed of or discarded without being used is a second information device which is mounted in a space to be monitored and mounted on a cradle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sound of the space through a normally operating camera and a microphone To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사용자는 제1 정보 기기를 통하여 제2 정보 기기가 취득하여 송신하는 영상과 소리를 확인하면서 모니터링 대상 공간 내에서 제2 정보 기기의 카메라가 촬영하여야 하는 위치를 지향하도록 제2 정보 기기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ontrols the postur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o direct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n the monitoring space while confirming the video and sound that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acquires and transmits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can do.

그러한 제2 정보 기기의 자세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정보 기기에서 생성되어 제2 정보 기기에 전송되고 제2 정보 기기는 해당 제어 신호를 거치대의 구동 모듈에 보내어 거치대가 작동함으로써 제2 정보 기기의 자세가 변경된다.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s generated in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send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e module of the cradle, The postur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s chang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고 폐기되는 휴대용 정보 기기를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장비로서 활용할 수 있고, 특히 모니터링 공간에 배치되어 수동적으로 해당 공간의 일부의 영상만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즉 모니터링을 하는 주체가 보유하는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공간에 대한 능동적 모니터링을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to be discarded without being used can be utilized as a monitoring apparatus for a spac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erform active monitoring on the monitoring space by using the information equipment possessed by the user, that is, the monitoring subject.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 특징으로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2 정보 기기는 오디오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거치대는 스피커 및 제2 정보 기기의 오디오 출력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하는 신호선을 포함하여, 제2 정보 기기로부터의 소리 신호가 거치대의 스피커를 통하여 소리로 재생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As a fur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ncludes an audio output terminal, and the cradle transmits an output signal from the speaker and the audio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o the speaker And a sound signal from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ncluding a signal line, is reproduced by sound through a speaker of a cradle.

이러한 부가적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는 모니터링만이 아니라 화상 대화를 하는 수단 등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additional features, th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monitoring but also as means for video conversation.

본 발명의 추가의 부가적 특징으로서, 제2 정보 기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서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와이파이 모듈을 통하여 정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제1 정보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1 정보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ㅈ전달하여 이 블루투스 모듈과 접속되는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s a fur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ncludes a Wi-Fi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 receives information to /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by access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to the 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최근에 널리 이용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용 정보 기기는 블루투스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을 갖추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Recently, widely 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have a Bluetooth module and a Wi-Fi modul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all of thes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와이파이 모듈은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사용하는 제1 정보 기기를 통하여 제2 정보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모니터링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은 본 발명의 모니터링 장치가 단지 모니터링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내에 존재하는 다른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The Wi-Fi module may be used by a user to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to / from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currently used by the user and to control the monitoring device. The Bluetooth module is not limited to monitoring only the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to perform control functions for other devices existing in the space.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 장비 및 제어 장비를 갖추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전술한 부가적 특징에 따르면, 단지 제어 대상 기기가 블루투스 모듈을 갖추어 제2 정보 기기와 연결될 수만 있다면, 해당 공간과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가 원격으로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remotely control the device using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device.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only the control target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 It becomes possible for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devic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모니터링 장치가 포함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거치대의 제어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monitoring apparatu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module of a cradle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및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소정의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등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of monitoring the predetermined space by the monito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모니터링 장치가 포함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First,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monitoring apparatus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의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모니터링 장치로서는 USIM 칩이 제거된 미사용의 제2 스마트폰(300B)이 제2 정보 기기로서 마련되어 있고 이 제2 스마트폰(300B)이 탑재되어 지지되는 거치대(500)가 마련되어 있으며, USIM 칩을 구비하여 정상적으로 통신 기능을 하는 제1 스마트폰(300A)이 모니터링 장치를 제어하고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는 제1 정보 기기로서 마련되어 있다. The monitoring system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radle 500 in which a second smart phone 300B having an unused USIM chip removed as a second information device is mounted and the second smart phone 300B is mounted and supported as a monitoring device And a first smart phone 300A having a USIM chip and normally functioning as a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as a first inform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 monitoring device and using a monitoring function.

모니터링 장치는 가정의 거실이나 주방과 같이 모니터링을 하고자 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데, 그 모니터링 대상의 장소에는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무선 라우터(200)가 마련되어 있다.The monitoring device is arranged in a place where monitoring is to be performed, such as a living room or a kitchen in a home. A wireless router 200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is provided at a site to be monitored.

제2 스마트폰(300B)은 와이파이 모듈을 갖추고 있어서 무선 라우터(200)를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되고, 사용자가 보유하고 사용하는 제1 스마트폰(300A) 역시 이동통신망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제2 스마트폰(300B)과 정보를 송수신한다.The second smartphone 300B is equipped with a Wi-Fi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router 200. The first smartphone 300A, which the user holds and uses, is also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other network And transmits / receives information to / from the second smartphone 300B.

거치대(500)의 상단에는 제2 스마트폰(300B)이 탑재되어 지지되는 거치부(520)가 마련되는데, 거치부(520)는 제2 스마트폰(300B)의 하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The mounting part 5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table 500 and supports the second smartphone 300B. The mounting part 520 is configured to inser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mart phone 300B have.

지지부(520)의 저면에는 연결 커넥터(5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연결 커넥터(530)는 통상적인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제2 스마트폰(300B)의 하단면에 마련되는 전원 충전과 신호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단자(330)에 결합되어 제2 스마트폰(300B)에 전원을 공급하고 신호를 입출력한다.The connection connector 53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0. The connection connector 5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like the conventional smart phone, Terminal 330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smartphone 300B and input / output a signal.

거치대(500) 하부의 베이스(580) 내부에는 제어 모듈(574) 등이 탑재되는 기판(555)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기판(555)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575) 및 거치대의 제어 모듈(574)이 마련되어 있다.A substrate 555 on which the control module 574 and the like are mounted is provided inside the base 580 under the cradle 500. The substrate 555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module 575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A control module 574 of the control unit 574 is provided.

연결 커넥터(530)는 연결선(531)을 통해서 제어 모듈(574)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 모듈(575)을 통하여 공급되는 직류 전원이 제어 모듈(574)로부터 커넥터(530)를 통하여 제2 스마트폰(300B)에 인가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2 스마트폰(300B)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 등이 제어 모듈(574)에 입력된다.The connection connector 5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74 through the connection line 531 and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575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574 to the second smartphone And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574 from the second smartphone 300B.

거치대(500)의 지지부(520)는 제2 모터(553)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제2 모터(553)는 지지대(560)에 결합되어 있고, 지지대(560)는 제1 모터(55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 모터(551)는 기판(555)이 내장되며 거치대(500)를 지면에 놓이게 해주는 거치대 하부의 베이스(58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520 of the holder 500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553 and the second motor 553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560. The supporting portion 560 is fixed to the supporting portion 560 of the first motor 551 And the first motor 551 is fixed and disposed inside the base 58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radle that houses the substrate 555 and places the cradle 500 on the ground.

제1 모터(551)는 회전축이 베이스(58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지지대(560)를 지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해주며, 제2 모터(553)는 회전축이 베이스(580)에 대해 평행, 즉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지지부(520)를 지면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해준다.Th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551 is perpendicular to the base 580 so that the support 560 rotates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553 is transmitted to the base 580 That is, parallel to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520 rotates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ground.

이에 따라, 제1 모터(551) 및 제2 모터(553)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520)가 2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지지부(520)에 지지되는 제2 스마트폰(300B)은 지면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고 좌우 방향의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모터(551) 및 제2 모터(553)는 거치대의 구동 모듈을 이루는 것으로서 거치대에 탑재되는 제2 정보 기기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다.Th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551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553 causes the support 520 to rotate around the two axes so that the second smartphone 300B supported by the support 520 can be rotated The tilting angle of the tilting can be adjusted and the tilting angle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the first motor 551 and the second motor 553 constitute a driving module of the cradle, and change the postur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mounted on the cradle.

이러한 제1 및 제2 모터(551, 55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574)에는 커넥터(530)을 거쳐 제2 스마트폰(300B)으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모듈(574)이 제1 및 제2 모터(551, 553)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지지부(520)에 탑재된 제2 스마트폰(300B)의 자세를 변환하게 된다.Various control signals are input to the control module 57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551 and 553 from the second smartphone 300B through the connector 530, The controller 574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motors 551 and 553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mounted on the supporter 520. [

제2 스마트폰(300B)에는 카메라(310) 및 마이크(3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카메라와 마이크에 입력되는 영상 정보와 소리 정보는 제2 스마트폰(300B)의 와이파이 모듈 및 모니터링 장치가 배치된 공간의 무선 라우터(200)를 통하여 제1 스마트폰(300A)에 전송된다.The second smartphone 300B is provided with a camera 310 and a microphone 320.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input to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are transmitted to the second smartphone 300B via the Wi- 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martphone 300A through the wireless router 200 in the space.

사용자는 제1 스마트폰(300A)을 통하여 모니터링 장치가 배치된 공간의 영상 및 소리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제2 스마트폰(300B)의 자세를 변환하여 카메라(310) 및 마이크(320)가 지향하는 자세를 변경한다.The user confirms the video and sound of the space in which the monitoring device is disposed through the first smartphone 300A and converts the attitude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according to the need and controls the camera 310 and the microphone 320 Change the orientation to be oriented.

이러한 지향 자세의 변경은 제1 스마트폰(300A)에서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스마트폰(300A)에는 제2 스마트폰(300B)과 거치대(5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며, 제2 스마트폰(300B)에도 제1 스마트폰(300A)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스마트폰(300B)이 갖추고 있는 각종 모듈이나 장치 및 거치대(500)의 각종 모듈이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다.The change of the orientation posture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and the cradle 500 is installed in the first smartphone 300A and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is installed in the second smartphone 300B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various control signals to be generated and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various modules or devices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and various modules or devices of the cradle 500 are mounted.

사용자는 제1 스마트폰(300A)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2 스마트폰(300B)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조정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 신호는 제2 스마트폰(300B)에 수신되고 제2 스마트폰(300B)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거치대의 제1 및 제2 구동 모터(551, 533)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입출력 단자(330)를 통하여 거치대의 제어 모듈(574)에 전송한다.The user can adjust the posture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by driving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such adjustment is received by the second smartphone 300B, The application of the phone 300B generates control signals for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551 and 533 of the cradle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control signals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s to the control module 574 of the cradle via the input / do.

제어 모듈(574)은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모터(551, 553)의 회전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제2 스마트폰(300B)이 탑재된 지지부(520)가 회전하여 제2 스마트폰(300B)의 자세가 조정된다.The control module 574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551 and 553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o that the supporting part 520 on which the second smartphone 300B is mounted rotates, The posture of the smartphone 300B is adjusted.

제2 스마트폰(300B)의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스마트폰(300B)의 카메라(310)가 촬영하는 영상을 확인하여 제2 스마트폰(300B)의 카메라가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을 지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the posture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is changed, the user confirm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310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and directs the direction of the camera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Whether or not they are doing so.

한편 거치대(500)에는 화재를 탐지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545)가 부착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545)의 출력 신호는 거치대의 제어 모듈(574)에 입력되고 제2 스마트폰(300B)을 통하여 제1 스마트폰(300A)에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an infrared ray sensor 545 is attached to the table 500 as a sensor for detecting a fire. The output signal of the infrared sensor 545 is input to the control module 574 of the cradle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smartphone 300A through the second smartphone 300B.

제1 스마트폰(300A)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적외선 센서(545)로부터의 측정 신호가 화재 상황을 나타내는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른 스피커 등으로 알람을 발생하여 제1 스마트폰(300A)의 이용자가 화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first smartphone 300A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ment signal from the infrared sensor 545 indicates a fire situation and generates an alarm using a speaker or the lik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To recognize the fire situation.

거치대(500)에는 적외선 센서 외에도 가스 센서나 각종 센서를 부착하고, 이들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제어 모듈(574)을 통하여 제2 스마트폰(300B)을 거쳐 제1 스마트폰(300A)에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이 실시예의 모니터링 장치가 배치된 공간에 대한 다양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A gas sensor or various sensors are attached to the cradle 500 in addition to an infrared sensor and signals from these sensor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574 to the first smartphone 300A via the second smartphone 300B can do. Thereby, various monitoring of the space in which the monitor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can be performed.

이 실시예의 모니터링 장치에는 이상 설명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외에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The monitor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he monitoring function described above.

거치대(500)에는 스피커(540)가 마련되어 있고, 이 스피커(540)는 오디오 커넥터(510)를 통하여 제2 스마트의 오디오 출력 단자(350)에 접속되어 있다.The cradle 500 is provided with a speaker 540. The speaker 5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mart audio output terminal 350 through the audio connector 510. [

제1 스마트폰(300A)의 어플리케이션은 제1 스마트폰(300A)의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을 제2 스마트폰(300B)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제2 스마트폰(300B)은 제1 스마트폰(300A)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오디오 커넥터(510)를 통하여 전송되어 거치대의 스피커(540)에서 음성으로 출력된다.The applic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to the second smartphone 300B and the second smartphone 300B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300A. The output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audio connector 510 and outputted as a voice from the speaker 540 of the cradl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스마트폰(300A)의 사용자는 제2 스마트폰(300B)이 놓인 공간의 사람과 대화를 나누거나 각종 음성을 그 공간에 전달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can communicate with a person in the space where the second smartphone 300B is placed or transmit various voices to the space.

도 2는 이 실시예의 모니터링 장치에서 거치대(500)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제어 요소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various control elements provided in the cradle 500 in the monitor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가정이나 사무실에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571)이 거치대의 잭(570)을 통하여 공급되고, 전원 모듈(575)에서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거치대(500)의 각 요소와 제2 스마트폰(300B)에 공급된다.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571 supplied to a home or an office is supplied through a jack 570 of a cradle and converted into a DC power source by a power source module 575 to connect each element of the cradle 500 and the second smartphone 300B, .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제1 스마트폰(300A)를 통해서 통신망을 통하여 제어 신호를 보내면, 제2 스마트폰(300B)이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연결 커넥터(530)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제어 모듈(574)로 송신한다. 제어 모듈(574)은 이 제어 신호를 받아서 제1 및 제2 모터(551, 553)의 회전을 제어하여 거치대의 지지부(520)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지향하게 한다.When the second smart phone 300B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first smart phone 300A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mart phone 300B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574. The control module 574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tors 551 and 553 so that the supporter 520 of the cradle is oriented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한편, 통상의 스마트폰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2 스마트폰(300B) 역시 근거리 통신 모듈의 하나로서 와이파이 모듈 외에도 블루투스 모듈을 갖추고 있다. 제2 스마트폰(300B)은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거치대(500)가 배치된 공간에 있는 블루투스 모듈을 갖춘 다른 기기와 접속된다.Meanwhile, the second smartphone 300B of the present embodiment, like a typical smartphone, is also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has a Bluetooth module in addition to the Wi-Fi module. The second smartphone 300B is connected to another device having a Bluetooth module in a space where the cradle 500 is dispos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그러한 다른 기기의 하나의 예로서 도 3에는 전원 차단 장치(110)가 마련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nother apparatus, a power cut-off device 110 is provided in Fig.

전원 차단 장치(110)는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는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115)에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도통되도록 하는 것이며, 제어 모듈(112)과 전원 모듈(111) 및 블루투스 모듈(113)을 갖추고 있다.The power cut-off device 110 is disposed in the space so as to cut off or to allow the current to flow to the power line 115 supplying power to various devices using commercial AC power. The control module 112 and the power module 111 And a Bluetooth module 113, as shown in FIG.

전원 차단 장치(110)는 블루투스 모듈(113)을 통하여 제2 스마트폰(300B)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모듈(112)이 전원 차단 모듈(120)를 제어하여 전원선(115)에서의 전류를 개폐한다. 또한, 전원 차단 모듈(120)이 전원을 차단하는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113)을 통하여 제2 스마트폰(300B)에 전송한다.The power cut-off device 11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second smartphone 300B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13 and controls the power cutoff module 12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power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current in the line 115. [ In addition,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power-off module 120 is in the power-off stat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martphone 300B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13. [

제1 스마트폰(300A)은 그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2 스마트폰(300B)으로부터 전원 차단 장치(110)가 전원선(115)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이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스마트폰(300A)의 어플리케이션 조작을 통하여 제2 스마트폰(300B)에 전원 차단 장치(110)가 전원을 개폐하는 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smartphone 300A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power cutoff device 110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line 115 from the second smartphone 300B through the loaded application, The user can cause the power cutoff device 110 to send a signal to the second smartphone 300B to turn on / off the power through the application operation of the first smartphone 300A.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제2 스마트폰(300B)을 거치대(500)에 탑재하고 거재대의 연결 커넥터(530)를 제2 스마트폰(300B)의 입출력 단자(330)에 삽입함으로써 자동으로 연동되어 동작하게 구성할 수 있다. Such a series of operations are automatically interlocked and operated by mounting the second smartphone 300B on the cradle 500 and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530 of the cradle into the input / output terminal 330 of the second smartphone 300B Can be configured.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과 작동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은 스마트폰이 이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와 결합되어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공간의 영상과 소리를 취득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에서는 대한 방범이나 보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nused smart phone is combined with the crad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o configure the monitoring apparatus,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and carries out crime prevention or security function from the outside.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모니터링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모니터링 공간과 이격된 위치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공간에 있는 사람과 원격 영상 회의 등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모니터링 공간에 배치된 기기를 원격으로 조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monitoring function, and may perform a remote video conference with a person in the monitoring space using a smartphone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monitoring space, You can also remotely control the device.

이상,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속도 제어 장치 및 이 장치에서의 속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구성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며, 그러한 수정, 변경 및 구성요소가 부가된 장치와 방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300A: 제1 스마트폰 300B: 제2 스마트폰
200: 무선 라우터 500: 거치대
300A: first smart phone 300B: second smart phone
200: wireless router 500: cradle

Claims (6)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장치로서,
미사용의 휴대용 정보 기기로 이루어지고, 카메라, 마이크,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데이터와 전원의 입출력 단자을 갖춘 제2 정보 기기; 및
제2 정보 기기가 탑재되어 제2 정보 기기를 지지하고, 제2 정보 기기의 입출력 단자와 결합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며 제2 정보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거치대;
를 포함하고,
제2 정보 기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유하는 외부의 제1 정보 기기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제1 정보 기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거치대에 탑재되는 제2 정보 기기의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며, 카메라 및 마이크에 입력되는 영상 및 소리 신호를 제1 정보 기기에 송신하고,
거치대는 제2 정보 기기에 탑재되는 제2 정보 기기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구동 모듈을 구비하고, 제2 정보 기기가 수신한 제1 정보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듈이 구동되어 제2 정보 기기의 자세를 변경시킴으로써 카메라의 지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것인 모니터링 장치.
A monitoring device using an un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 second information device comprising an unuse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having a camera, a microphon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for data and power; And
A holder for supporting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mounted with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being coupled wit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Lt; / RTI >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first information device held by the user via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And transmits the video and sound signals input to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to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The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drive module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mounted on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he drive module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received by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Wherein the orientation of the camera is controlled by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amera.
청구항 1에 있어서,
거치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어 제2 정보 기기에 공급하는 전원 모듈이 마련되는 것인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unit is provided with a power module for receiving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the AC power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정보 기기는 오디오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거치대는 스피커 및 제2 정보 기기의 오디오 출력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하는 신호선을 포함하여, 제2 정보 기기로부터의 소리 신호가 거치대의 스피커를 통하여 소리로 재생되는 것인 모니터링 장치.
Claim 1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ncludes an audio output terminal and the cradle includes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speaker and the audio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o the speaker so that a sound signal from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Is reproduced as a sound through the sound 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정보 기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서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와이파이 모듈을 통하여 정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제1 정보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제1 정보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ㅈ전달하여 이 블루투스 모듈과 접속되는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것인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ncludes a Wi-Fi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Fi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And controls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정보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제2 정보 기기의 블루투스 모듈과 접속되는 다른 기기 중의 어느 하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어 신호인 것인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is a control signal that turns on or off any one of the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거치대에는 거치대 주변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탐지 센서가 마련되고, 탐지 센서가 탐지한 정보를 제2 정보 기기에 송신하며, 제2 정보 기기는 탐지 센서가 탐지한 정보를를 제1 정보 기기에 전송하는 것인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tection sensor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around the cradle is provided in the cradle,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he second information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the first information device Monitoring device.
KR1020170124022A 2017-01-09 2017-09-26 Monitoring apparatus using non-use mobile information device KR2018008230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872 2017-01-09
KR20170002872 2017-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302A true KR20180082302A (en) 2018-07-18

Family

ID=6304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22A KR20180082302A (en) 2017-01-09 2017-09-26 Monitoring apparatus using non-use mobile inform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3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0746B1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US9479354B2 (en) Monitoring camera system
US20130045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ce of visitor
US20150022674A1 (en) Wireless video camera
JP5866551B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n monitoring system
US20180054228A1 (en) Teleoperated electronic device holder
JP5866550B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n monitoring system
WO2015155936A1 (en) Monitoring camera system
KR20180079824A (en) Home robo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4967888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remote control equipment
JP2016100791A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n monitoring system
JP5866538B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in monitoring system
TWM496304U (en) Monitoring camera and monitoring camera system
KR101009721B1 (en) Mobile image robot phone
US10623695B1 (en) Video messaging device having a levitating camera
JP2015046842A (en) Video monitoring system, mobile terminal for use therefor, and program
KR101677144B1 (en) Home network system utilizing the existing interphone
KR20180082302A (en) Monitoring apparatus using non-use mobile information device
JP2014176042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voice input/output unit control method
JP2016063386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antenna position and direction
KR20140058906A (en)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used mobile device and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180079823A (en) Method for operating home robot and smart home system including the same
JP5887543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in surveillance camera system
WO2023286680A1 (en)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system
JP5887564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in surveillance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