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514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514A
KR20180061514A KR1020160160228A KR20160160228A KR20180061514A KR 20180061514 A KR20180061514 A KR 20180061514A KR 1020160160228 A KR1020160160228 A KR 1020160160228A KR 20160160228 A KR20160160228 A KR 20160160228A KR 20180061514 A KR20180061514 A KR 2018006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lte network
smartphone
dron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중남
지윤후
최신형
최인하
송다솔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514A/en
Publication of KR2018006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33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having the operator tracking the vehicle either by direct line of sight or via one or more cameras located remotely from the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B64C2201/127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control system using an LTE network and a method thereof. The drone control system includes a drone including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amera, a smartphone which has a dedicated application to control the drone and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rver which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dron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and receives and stores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range of the drone is extended and real-time image transmission is enabled, a restriction on distance is solved so that the drone control system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an image transmission speed is increased so that the drone control system can be used for various services.

Description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ones using an LTE network,

본 발명은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TE망을 이용하여 드론의 컨트롤 범위를 확장시키고 실시간 영상전송 속도를 개선시키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n LTE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n LTE network for extending a control range of a drones and improving a real- will be.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비행체를 의미한다.Unmanned aerial vehicles are aircraft that have been designed to allow pilots to perform their assigned duties without boarding.

이러한 무인 항공기를 다른 이름으로 "드론"(Drone)이라고도 한다.These unmanned aircraft are also known as "drone" in other names.

이와 같이, 드론은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은 것으로, 지상에는 원격 조종하는 조종사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해 Uninhabited Aerial(Air) Vehicle(UAV)의 약어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As such, the drone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Uninhabited Aerial (UAV) Vehicle (UAV), emphasizing that there is no man on board and there is a remote pilot on the ground.

이러한 드론은 통상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조종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통상 전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 조종한다.The drones are typically remotely controlled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and are usually remotely controlled using a dedicated controller.

한편, 드론은 다양한 임무를 활용될 수 있는데, 임무 수행을 위하거나 이를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가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Drones, on the other hand,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missions, often with a camera attached to them to confirm their mission. The image shot by a camera is usually made available via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in a smart phon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블루투스 무선통신 처리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4310호 "Bluetooth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장치에서의 수신 데이터 처리방법"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The technology for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can be confirm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1-0094310 entitled "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data in a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

그런데,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은 원격 제어의 거리가 짧아 한정된 영역 내에서만 제어가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물 등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원격 제어의 거리는 더 짧아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송속도도 빠르지 않고, 페어링도 자주 끊겨서 페어링 확인을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Howev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mote control distance is short and control is performed only within a limited area. Further, when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building, the distance of the remote control becomes shorter.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speed is not fast, and the pairing is often interrupted.

그리고 원격 제어 거리가 멀어질 경우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실시간 전송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게다가 드론에 다수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더욱 실시간 전송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When the remote control distance is dista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real time, and furthermore, when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drones, the real time transmission becomes more difficul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6341호(공고일 2015.11.05.)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66341 (Published on November 5, 20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에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시키고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의 선택 전송을 통해, 드론의 컨트롤 범위를 확장시키고 실시간 영상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 dr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n LTE network that extends the control range of the drones and enables real-time image transmiss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은, LTE 무선통신 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드론; 상기 드론을 조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으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조종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ones control system using an LTE network, the system comprising: a dron including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amera; A smartphone hav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s and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one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and receiving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조종신호를 LTE망으로 전송하는 조작서버; 및 상기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영상저장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includes an oper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LTE network; And an image storage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그리고, 상기 드론은, LTE 무선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드론의 진행방향을 감지하는 진행방향 감지센서; 및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드론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LTE망으로 전송하는 영상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s may include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t least one camera; A progress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a progress direction of the drones; And an image selector for transmitting only th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es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s to the LTE network.

한편, 상기 스마트폰과 서버를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smartphone and the server may be integrally formed.

한편, 본 발명의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은, 서버가, 전송된 조종신호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LTE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LTE망을 통해 상기 조종신호가 생성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drones control method using the LTE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generates control signals from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LTE network; Receiving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And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which the steering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LTE network.

이 때, 상기 단말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과 드론 간 거리에 대응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LTE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is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drone may be mutually connected by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r an LTE network.

한편, 상기 영상정보는 다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상기 드론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LTE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may transmit onl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es among the images taken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to the LTE networ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드론의 컨트롤 범위를 확장시키고 실시간 영상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거리에 대한 제약이 해소되어 다양한 방면에 이용가능할 뿐 아니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전송 속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one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range of the drones can be extended and the real time image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the restriction on the distance can be solved, ,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In addition, video transmission speed is improved and can be used for various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론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에서의 조작환경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es control system using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drones control method using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environment in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And the like.

본 발명은 드론을 조작하는 기술 및 영상을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전용 컨트롤러가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드론을 조작하며 기존의 근거리 무선통신과 다르게 LTE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드론의 컨트롤 범위 확장과 영상 전송 속도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operating a drones and a technique for processing an image, in which a user manipulates the drones through an application other than a dedicated controller and uses the LTE wireless communication to expand the control range of the drones It aims to improve the image transmission spe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es control system using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은, LTE 무선통신 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드론(1)과, 드론(1)을 조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으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2)과,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된 조종신호에 대응하여 드론(1)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드론(1)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drones control system using an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s 1 including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amera, and a dedicated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s 1, A server 2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one 1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 and receiving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 1; 3).

이 때, 스마트폰(2)에 구성된 무선통신 모듈은 LTE망(4) 접속을 위한 LTE 무선통신 모듈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in the smartphone 2 may be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on to the LTE network 4. [

한편, 서버(3)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전송된 조종신호를 LTE망(4)으로 전송하는 조작서버(31)와, 드론(1)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영상저장서버(32)를 포함한다.The server 3 includes an operation server 31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 to the LTE network 4 and an image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1 And a server 32.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3)를 경유하여 드론(1)을 조종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스마트폰(2)과 드론(1)만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서버(3)의 기능이 스마트폰(2)에 포함되어야 하며, 일례로서 서버(3)를 스마트폰(2)에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s 1 via the server 3 i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system can be configured only by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s 1, The function of the server 3 should be included in the smartphone 2, and the server 3 may be integrated into the smartphone 2 as an examp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폰(2), 드론(1) 및 서버(3)가 LTE망(4)을 이용하여 상호 접속되게 된다. 물론, 4G 통신망에 연계서비스를 통해 상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마트폰(2)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에 따라 스마트폰(2)과 드론(1)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어서 드론(1)의 초기세팅 과정을 진행하여 비행 준비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종신호가 생성되면, LTE망(4)을 통해 조종신호가 서버(3)로 전송되고, 이에 서버(3)에서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드론(1)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서버(3)를 경유하여 드론(1)의 비행을 제어하게 되고, 이 때, 영상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카메라를 작동시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서버(3)로 전송한다. 이에 서버(3)에서는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물론, 영상정보는 스마트폰(2)으로도 동시에 전송하여 스마트폰(2)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론(1)에 다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경우에는 이를 선별적으로 제어하여 실시간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rones control system using the LT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phone 2, the drone 1, and the server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LTE network 4. Of course, the interconnection may be made through the connection service to the 4G communication network.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 1 are paired with each other by executing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 and then the initial setting process of the drone 1 is performed to maintain the flight ready state. At this time, when the steering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the steer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 through the LTE network 4, and the server 3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rones 1. In this way, the flight of the drones 1 is controlled via the server 3, and at this tim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mage information, the camera is operated to transmit image information to the server 3. The server 3 receives and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2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also confirmed on the smartphone 2. If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drone 1,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control the cameras so that real-time imag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론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드론(1)은, LTE 무선통신 모듈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드론(1)의 진행방향을 감지하는 진행방향 감지센서와,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드론(1)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LTE망(4)으로 전송하는 영상 선택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rone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t least one camera, a progress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es 1, To the LTE network 4, onl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es 1 among the image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적용된 드론(1)은, 다수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모든 방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의 제어에 의해 특정 카메라만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정보 중에서 특정 영상정보만을 LTE망(4)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drone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drive a plurality of cameras to capture images in all directions. Further, only a specific camera can b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smart phone 2. [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only specific image information among the generated image information to the LTE network 4 using an image selection techniqu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진행방향에 대한 감지를 통해, 진행방향을 향하는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진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of driving the camera facing the traveling direction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is explained, but the traveling camera may be rot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by using the rotating camera.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rones control method using the LTE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drones control method using an LT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폰(2)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1). 전용 프로그램은 스마트폰(2)과 드론(1)의 페어링 및 조종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first, a dedicated program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 is executed (S1). The dedicated program includes a pairing and manipulation function between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 1.

드론(1)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스마트폰(2)과 드론(1)간 페어링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S2). As power is supplied to the drone 1, pairing between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 1 is automatically performed (S2).

이 때, 스마트폰(2)과 드론(1)의 페어링에 있어, 스마트폰(2)과 드론(1)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마트폰(2)과 드론(1)이 설정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LTE망(4)을 통해 고유번호 등의 인증과정을 거친 후 지정된 스마트폰(2)과 지정된 드론(1) 간의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s 1 is within the set distance in the pairing of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s 1, the pairing is perform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 1 exceeds the set distance, an authentication process such as a unique number is performed through the LTE network 4, Pairing is preferably performed.

스마트폰(2)과 드론(1)간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드론(1)의 비행을 위한 초기세팅 과정을 진행하다(S3). 초기세팅 과정이 완료되면, 비행 준비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pairing is performed between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 1, an initial setting process for the flight of the drone 1 is performed (S3). When the initial setting process is completed, the flight preparation state is maintained.

이 때, 도 4와 같이 스마트폰(2)에 표시된 조작환경에 근거하여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S4), 스마트폰(2)에서는 조종신호를 생성하여 서버(3)로 전송한다(S5).At this time, if a user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ion environment displayed on the smartphone 2 as shown in FIG. 4 (S4), the smartphone 2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3 (S5).

이에 서버(3)에서는 조종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LTE망(4)을 통해 드론(1)으로 전송하다(S6).The server 3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rones 1 through the LTE network 4 (S6).

이에 드론(1)에서는 제어신호에 대응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S7). 이 때, 제어신호는 비행조종신호, 카메라구동신호, 비행종료신호, 영상정보선택신호 등을 포함한다.Thus, th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performed in the drone 1 (S7).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flight control signal, a camera driving signal, a flight end signal, a video information selection signal, and the like.

한편, 비행전후에 카메라구동신호가 전송되면, 드론(1)에 설치된 카메라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진행방향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해당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만을 LTE망(4)을 통해 서버(3) 및/또는 스마트폰(2)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서버(3)에 저장된 후, 서버(3)에서 스마트폰(2)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S8).When the camera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before and after the flight,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s 1 is driven. At this time, the camera can be selectively drive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ogress direction sensor. Only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 and / or the smartphone 2 via the LTE network 4. [ Meanwhile,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2 from the server 3 after being stored in the server 3 (S8).

한편,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영상정보를 진행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진행방향으로부터 생성된 영상정보만을 LTE망(4)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나머지 영상정보는 드론(1)에 구성된 메모리에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폰(2)으로부터 영상정보선택신호가 전송될 경우에는 진행방향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image information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to the LTE network 4 only in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remaining image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stored in the memory configured in the drone 1.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deo information sel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2, the user may transmit the desired video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progress direction.

[실시예][Examp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드론(1), 스마트폰(2)(전용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3)를 연결하는 LTE망(4), 영상정보를 송출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작되는 드론(1), 영상정보를 스마트폰(2)으로 전송하고 드론(1)을 조작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조작 및 영상을 저장할 서버(3)를 포함한다.1, th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LTE network 4 for connecting a dron 1, a smart phone 2 (dedicated application) and a server 3, And a server 3 for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2 and for storing a dedicated application, operation and image for operating the drones 1.

도 1에 예시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의 스마트폰(2)에 설치된 것이고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드론(1)에 전달한다.The dedicated application illustrated in FIG. 1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 of the client and transfers the function to be used by the user to the drone 1.

도 1에 예시된 LTE망(4)은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드론(1)에 있는 각종 센서의 정보를 이동하는데 이용된다.The LTE network 4 illustrated in FIG. 1 is used for moving requests of clients and information of various sensors in the drone 1.

도 1에 예시된 드론(1)은 클라이언트의 조작에 따라 일을 수행하고, 자세제어 및 이동제어는 드론(1) 내부에서 해결하게 된다.The drone 1 illustrated in FIG. 1 performs work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lient, and the posture control and the movement control are solved within the drone 1.

도 1에 예시된 서버(3)에는 영상저장서버(32)와 조작서버(31)가 포함된다.The server 3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an image storage server 32 and an operation server 31.

도 1에 예시된 영상저장서버(32)에는 드론(1)에 포함된 카메라로부터 들어온 정보가 저장된다.Information entered from a camera included in the drones 1 i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server 32 illustrated in FIG.

도 1에 예시된 조작서버(31)는 클라이언트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조작한 정보를 조작서버(31)를 가진다.The operation server 31 illustrated in FIG. 1 has an operation server 31 for information that a client has operated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LTE망(4)은 IEEE 계열 3.5세대(3.5G) Wibro방식의 이동통신 기술을 기준으로 하며 상향 대역폭 10MHz 하향 대역폭 10MHz를 기본으로 한다.The LTE network (4) is based on the 3.5G (3.5G) Wibro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IEEE family and is based on an upstream bandwidth of 10 MHz and a downlink bandwidth of 10 MHz.

드론(1)은 디지털 카메라, LTE통신이 가능한 동글 모듈, 싱글 보드 컴퓨터를 포함하며, 적어도 700MHz 싱글 코어 이상의 중앙처리 장치, 256MB이상의 메모리장치 및 Raspbian 3.18이상의 운영체제 등을 포함한다.The drones 1 include a digital camera, a dongle module capable of LTE communication, a single board computer,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t least 700 MHz single core, a memory device of 256 MB or more, and an operating system of Raspbian 3.18 or higher.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6.0버전 이상인 마쉬멜로 버전으로 설계되며, 가로화면 고정이다. 또한, 핸드폰과 타블렛 등 안드로이드 기반 모든 모바일 기기를 지원한다.The dedicated application is designed as a marshmallow version of Android 6.0 or later, and is horizontal fixed. It also supports all Android-based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and tablets.

서버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32비트로 설계된 인텔사의 100MHz P54C, 모토롤라 120MHz 파워PC604 또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의166MHz 울트라SPARC-1 계열 이상의 중앙처리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램과 롬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운영체제를 포함한다.The server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a data storage device, a memory device and an operating system including a RAM and a ROM, a 100 MHz P54C of Intel Corporation designed for 32 bits, a Motorola 120 MHz Power PC 604 designed for 32 bits or a 166 MHz Ultra SPARC- .

영상저장서버(32)는 드론(1)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기록 및 스트리밍한다.The video storage server 32 records and stream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1.

조작서버(31)는 드론(1)을 조작하는 데 사용할 Throttle, Roll, Yaw, Pitch 4채널 조작 정보를 전송한다.The operation server 31 transmits Throttle, Roll, Yaw, and Pitch 4 channel operation information to be used for operating the drone 1.

서버는 영상 정보를 스트리밍하고 조작 정보를 전송해 주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The server includ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streaming video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operation inform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드론(1)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론(1) 조작시 디스플레이되는 '초기 화면' 및 '동작 화면'은 도 4와 같다.3, the 'initial screen' and the 'operation screen' displayed when the drones 1 are operated are shown in FIG.

클라이언트는 자신들의 스마트폰(2)을 이용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도 4에 예시된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초기 화면'에서 기본적인 조작방법과 주의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다.When a client executes a dedicated application using their own smartphone 2, the 'initial screen' illustrated in FIG. 4 is displayed. You can check basic operation method and precautions in 'Initial Screen'.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2)과 드론(1) 간 페어링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LTE망(4)으로 드론(1)의 정보를 제공한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스마트폰(2)의 화면을 구성하는 뷰어에 영상저장서버(32)에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이를 통하여 드론(1)의 상태를 확인하고 '동작 화면'에 구성된 방향키를 통하여 조작서버(31)를 거쳐 다시 LTE망(4)을 통해서 드론(1)을 조작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mart phone 2 and the drones 1 are paired, the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drones 1 to the LTE network 4. The image storage server 32 can provide the image to the viewer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2 in the dedicated application. The client confirms the state of the drones 1 and operates the drones 1 through the LTE network 4 via the operation server 31 via the direction key configured in the 'operation screen'.

본 실시예에서는 드론(1) 조종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 화면'에 있는 조작 버튼을 통하여 생성된 조종신호를 LTE망(4)을 통해 서버(3)로 전송하면, 서버(3)에 구성된 조작서버(31)를 통해 계산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드론(1)으로 전송하고, 이에 드론(1)에서 비행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비행 제어를 포함하여 카메라 제어, 영상 처리 제어도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rones 1 are manipulated, when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button on the 'operation screen' i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 via the LTE network 4,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31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rone 1 so that the flight control is performed in the drone 1. Of course, camera control and image processing control including flight control are also performed.

도 4에 예시된 '초기 화면'은 우측 하단부에 이동표시를 통하여 '초기화면'에 보여주는 기본적인 조작방법과 주의화면이 계속 이동하게 된다. 일정 화면이 지나가면 우측 하단부에 있는 이동표시가 바뀌고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드론(1)이 연결된다.In the 'initial screen' illustrated in FIG. 4, the basic operation method and the attention screen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through the movement display at the lower right portion are continuously moved. When the schedule screen is over, the movement display on the lower right side is changed and the dedicated application and drones (1) are connected.

도 4에 예시된 '동작 화면'은 좌측 하단부에 드론(1)의 움직임을 조작 할 수 있는 4 Channel 버튼이 있다. 우측 하단부에는 Throttle과 Pitch를 조작하는 버튼이 있고 좌측 하단부는 Yaw, Roll를 조작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동작 화면' 전체는 영상저장서버(32)에서 LTE망(4)을 통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 화면이 실시간으로 보여준다.The 'operation screen' illustrated in FIG. 4 has a 4-channel button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dron 1 at the left lower end. There is a button for manipulating the throttle and pitch in the lower right part, and a button for manipulating the yaw and roll in the lower left part. In addition, the entire 'operation screen' shows the screen delivered to the dedicated application through the LTE network 4 in the image storage server 32 in real time.

한편, 스마트폰(2)과 드론(1)의 페어링이 이루어진 후, Throttle과 Yaw를 통하여 드론(1)의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이 값을 변경함으로써 드론(1)의 전원을 조작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pairing of the smartphone 2 and the drone 1 is performed, whether or not the drone 1 is operated through the throttle and the yaw is checked, and the power of the drone 1 is operated by changing this value.

이어서, 작동된 드론(1)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녹화를 시작하면, LTE망(4)을 통하여 이를 영상저장서버(32)로 전달하고, 영상저장서버(32)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Then, when recording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started in the activated drone 1, the record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image storage server 32 through the LTE network 4, and the image storage server 32 displays the corresponding image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LTE 무선통신 모듈을 탑재한 드론(1)을 스마트폰(2) 등에서 조작하여 영상정보의 전송속도를 높이는 한편 고화질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드론(1)의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감지신호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동시에 LTE망(4)을 통하여 서버(3) 및/또는 스마트폰(2)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operating a drones 1 equipped with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n a smart phone 2 or the like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speed of image information and realize a high-quality imag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that can mount various sensors of the drone 1 and provide video information of a camera as well as a detection signal to the server 3 and / or the smartphone 2 through the LTE network 4 at the same time have.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의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or more exemplary implementations, the functions present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the functions may be stored on or transmitted via one or more instructions or code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including any medium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a computer program from one place to another. The storage medium may be any general purpose computer or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special purpose computer.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such computer-readable media can comprise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RAM, ROM, E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edia, magnetic disk storage media or other magnetic storage devices, But not limited to, a general purpose computer, a special purpose computer, a general purpose processor, or any other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particular processor.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페이지, 서버(3),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connection means may be considered as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xample, if the software is transmitted over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a coaxial cable, fiber optic cable, twisted pair, digital subscriber line (DSL), or infrared radio, and microwave from a web page, server 3, ,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coaxial cable, fiber optic cable, twisted pair, DSL, or infrared radio, and microwave may be included within the definition of such medium. The discs and discs used here include compact discs (CDs), laser discs, optical discs, DVDs, floppy discs, and Blu-ray discs where disc plays the data magnetically, As shown in FIG. The combinations may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computer readable media.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엘리먼트, 컴포넌트, 논리블록, 모듈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듈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various illustrative elements, components, logical blocks, modules, and algorithm step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electronic hardware, computer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In order to clarify the interchangeability of hard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components, blocks, modules and steps have been described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depends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se functions in varying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but such implementation decisions are not necessarily outside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개시물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서 기재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illustrative logical blocks and module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or performed with a general purpose process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othe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ransistor logic, discrete hardware components, or any combination designed to implement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A general purpose processor may be a microprocessor;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such a processor may be an existing 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or state machine.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comput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 combination of such configurations.

하드웨어 구현에 대하여,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및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들(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범용 목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범용-목적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For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various illustrative logic, logic blocks, and modules of processing unit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spec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Such a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discrete gate or transistor logic, discrete hardware components, general purpose processors, Controllers, microprocessors, other electronic units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general purpose processor may be a microprocessor, but, in the alternative, it may be any conventional 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or state machine. The processor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computing devices (e.g.,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ny other suitable configuration). Additionally, at least on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capable of implementing one or more of the steps and / or operations described herein.

게다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몇몇의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은 기계-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또는 명령들의 세트의 적어도 하나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물은 임의의 적절한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In addition, various aspects or featur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 method, apparatus, or article of manufacture using standard programming and / or engineering techniques. Moreover, steps and / or operation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spec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in a combination of the two. Additionally, in some aspects, steps or acts of a method or algorithm may be present as a machine-readable medium, or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any combination of codes or instructions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It can be integrated into computer program stuff. The term article of manufacture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 computer program accessible from any suitable computer-readable device or medium.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 드론
2 : 스마트폰
3 : 서버
1: Drones
2: Smartphone
3: Server

Claims (8)

LTE 무선통신 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드론;
상기 드론을 조종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으며,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조종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드론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A dron including an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amera;
A smartphone hav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drones and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nd a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on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and receiving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조종신호를 LTE망으로 전송하는 조작서버; 및
상기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영상저장서버를 포함하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comprises:
An oper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o an LTE network; And
And an image storage server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LTE 무선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드론의 진행방향을 감지하는 진행방향 감지센서; 및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드론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LTE망으로 전송하는 영상 선택부를 포함하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s,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t least one camera;
A progress direction sensor for sensing a progress direction of the drones; And
And an image selector for transmitting onl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es from the images taken by the cameras to the LTE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서버를 일체로 형성시킨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ones control system using an LTE network in which the smartphone and the server are integrally formed.
서버가,
전송된 조종신호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LTE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드론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LTE망을 통해 상기 조종신호가 생성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The serve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LTE network;
Receiving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ones; And
And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LTE networ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인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erminal is a smartphone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드론 간 거리에 대응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LTE망으로 상호 연결되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dron control method using an LTE network interconnected wi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LTE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dron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다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상기 드론의 진행방향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LTE망으로 전송하는 LTE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 LTE network only in an image corresponding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dron among images photograph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KR1020160160228A 2016-11-29 2016-11-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 KR20180061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28A KR20180061514A (en) 2016-11-29 2016-11-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28A KR20180061514A (en) 2016-11-29 2016-11-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14A true KR20180061514A (en) 2018-06-08

Family

ID=6259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228A KR20180061514A (en) 2016-11-29 2016-11-2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514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589A (en) 2018-08-21 2020-03-02 최혜민 The drone pilot application security program
KR20200035692A (en)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00052171A (en)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00078073A (en)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57405A (en)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77635A (en)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light path of drone
KR20240013260A (en) 2019-12-17 2024-01-3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light path of dr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41B1 (en) 2015-06-01 2015-11-05 원기연 A multi- purpose fire fighting drone
KR20160123885A (en) * 2015-04-17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using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flay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885A (en) * 2015-04-17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using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flaying
KR101566341B1 (en) 2015-06-01 2015-11-05 원기연 A multi- purpose fire fighting dron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589A (en) 2018-08-21 2020-03-02 최혜민 The drone pilot application security program
KR20200035692A (en)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00052171A (en)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00078073A (en)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57405A (en)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10077635A (en)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light path of drone
KR20240013260A (en) 2019-12-17 2024-01-30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light path of dr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151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by lte network
US10741061B1 (en) Mobile computing device for use in controlling wirelessly controlled vehicles
US10338581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control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device
US200302312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ipulating a field of view of a video image from a remote vehicle
JP6760615B2 (en) Mobile maneuvering system, maneuvering signal transmission system, mobile maneuver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573697B2 (en) Operation guide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47488A (en) A drone system which utilize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drone management server which uses the same
CN107450573B (en) Flight shoo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intellig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ircraft
CN104378584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tilizing vehicle system integrated remote wireless image capture
CN105667775A (en) Mobile phone App based remotely-controllable miniature aerial-photographing four-rotor aircraf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269590A1 (en) Controlle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the same
CN10437858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tilizing vehicle system integrated remote wireless image capture
EP3261405A1 (en) Local network for simultaneously exchanging data between a drone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WO2019169880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termin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CN112455664A (en) Self-stabilizing spherical unmanned aerial vehicle camera assembly
KR101950593B1 (en) Audio video navigation apparatus and vehicle video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user interface of the audio video navigation apparatus
JP2019195169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regarding control of flight vehicle
CN110622086A (en) Movable object application framework
KR20220078810A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radio control toy and apparatus therefor
CN112640446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mobile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11625015A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mounted terminal
JP2019195176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regarding control of flight vehicle
CN218941341U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O2023086744A1 (en) Sharing externally captured content in communications
KR20230108127A (en)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