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2501A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2501A
KR20180052501A KR1020170025055A KR20170025055A KR20180052501A KR 20180052501 A KR20180052501 A KR 20180052501A KR 1020170025055 A KR1020170025055 A KR 1020170025055A KR 20170025055 A KR20170025055 A KR 20170025055A KR 20180052501 A KR20180052501 A KR 2018005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display
conversion informa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정훈
김용남
김승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705,43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60688B2/en
Publication of KR2018005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5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7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Abstract

A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memory for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The processor obtains an image, transforms the obtained image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type of visual impairment, and displays the transformed image on the display unit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transformed image for the user with weak eyesigh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

본 개시는 시각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시력 사용자를 위해 변환된 영상을 제공하는 시각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visual aid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sual assistanc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provide a converted image for a low vision user.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개발되면서,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갖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As various devices, including mobile terminals, provide complex and diverse function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hat allow users to use devices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earer's body has been developed and is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a user-customized function.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 네트워크 기술 및 영상 처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과 사용자의 시각 특성에 적합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network technology,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research has been required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interface environment for a user and an image suitable for a user's visual characteristic.

또한, 최근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상 현실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related technology, research for providing a user-customized function using a virtual reality apparatus is required.

본 개시는 저시력 사용자를 위해 변환된 영상을 제공하는 시각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visual aid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provide a converted image for a low vision us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고, 시각 장애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a memory for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hereby acquiring the image, converting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시각 장애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cquiring an image; converting the acquired image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including a type of visual impairment;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장치 및 외부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0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a control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converted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is converted and provided.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image converted based on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8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2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6 and 27 are block diagrams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28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or the purpose of clearly illustrating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in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referred to in this disclosure, they are intended to encompass various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ircumstance of the skilled artisan, . According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construed as merely the names of the terms, but rather on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Moreover,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singular.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limited to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n "electrical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specification, and in particular, the words " above " and similar indications used in the claims may refer to both singular and plural. Further, if there is no description explicitly specifying the order of the steps describ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described.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The phrases "in some embodiments" or "in one embodiment" appearing in various places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umbers of hardware and / or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particular functions.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by circuit configurations for a given function. Also,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Th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with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iques for electronic configuration, signal processing, and / or data processing, and the like. Terms such as " mechanism, " " element, " " means, " and " configuration "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Also, the connection lines or connection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practical devices,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can be represented by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that can be replaced or ad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11)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후, 변환된 영상(1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converts the image 11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outputs the converted image 13 to the display unit 121 Can be displayed.

예를 들어, 일반적인 안경으로 시력 교정이 어려운 시각 특성의 경우, 사용자의 시각에 보이는 영상(12)으로는 사물 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 예 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1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보다 선명하게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머리에 고정시키고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 특성에 적합하게 변환된 영상을 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sual characteristic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alibrate the eyesight with general glasses, recognition of objects may be difficult with the image 12 seen at the user's viewpoi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converted image 13 on the display unit 121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wear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see the object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the user can fix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head and view the converte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외곽선과 나머지 영역 간의 대비(contrast) 조절 처리로 변환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저시력 사용자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보다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입력 영상을 바이너리 이미지(binary image)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저시력 사용자의 사물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extracts the outlin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and provides the converted image with contrast adjustment processing between the outline and the remaining area, The object in the image can be recognized more clearly. In addi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convert an input image into a binary image and provide the image to improve the object recognition rate of the low vision user.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 특성 정보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의 종류, 시각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시각 장애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user's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의 종류는, 저 시력, 색약, 변시증, 중심 암점, 터널 시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may include low vision, color weakness, diverticulosis, central dark spot, tunnel vision, and the like.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시각 장애의 정도는, 저시력의 경우, 시력 등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색약의 경우, 적록 색약, 청황 색약, 전색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중심 암점의 경우, 암점의 위치, 모양,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may mean a visual acuity grade in the case of low vision. In addi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loring medicine, it may be any one of a red coloring powder, a blue coloring red coloring powder, and a red coloring powder. Also,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entral dark spot, it may mean the position, shape and size of a dark spo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된 영상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의 시각 특성에 따라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not only image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but also images stored in the memory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images received from the external apparatus, It can be conver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VR(Virtual Reality) 헤드셋, 글래스형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VR 헤드셋은 디스플레이부(121)가 내장된 형태 또는, 스마트폰을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부(121)로 이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VR (Virtual Reality) headset, a glass type devic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VR headset may be a form in which the display unit 121 is embedded or a form in which a smartphone can be mounted, so that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is used as the display unit 121.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VR(Virtual Reality)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영상의 형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 VR (Virtual Reality) image to a user, and the format of the provided image is not limited thereto.

VR 영상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각이나 청각 등을 통해 사용자가 마치 실제 주변 환경을 보는 것처럼 느끼게 만드는 영상일 수 있다.VR images can be images that make users feel as if they are seeing the actual surroundings through the use of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such as the user's sight or hearing.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은 스테레오스코픽 3D(Stereoscopic 3D) 영상일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3D는 양쪽 눈의 시각 차이를 이용하여 양안 시차가 있는 한 쌍의 2D 영상을 시청자의 양쪽 눈에 각각 제시하여 3차원적인 입체감(깊이감)을 지각할 수 있게 해주는 입체 영상 구현 기술이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a stereoscopic 3D image. Stereoscopic 3D is a stereoscopic image realization technique that allows a pair of 2D images with binocular parallax to be presented to both eyes of viewers using the difference in visual distinction of both eyes to perceive a three dimensional sensation (depth sense).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는 2개의 화면으로 나뉘어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디스플레이시켜 입체 영상 효과를 내는 시분할 입체 방식에 따라 입체 영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21 may be divided into two screens to display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1 may implement a stereoscopic effect in accordance with a time-division stereoscopic method in which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are alternately displayed to produce a stereoscopic effec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영상일 수 있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영상은 카메라(161)로 촬영되는 현실의 영상에 3차원의 가상 영상을 겹쳐서 보여주는 영상일 수 있다.Also, the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e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an image that overlaps and displays a three-dimensional virtual image on a re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61. [

도 1은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 shows an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장치 및 외부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a control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VR(Virtual Reality) 헤드셋(100a), 글래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b), 투명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글래스형 디바이스(100c),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VR (Virtual Reality) headset 100a, a glass-type wearable device 100b, a glass-like device 100c equipped with a transparent display, a head mounted display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desktop, an electronic book terminal,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 MP3 player,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300)는 영상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는, 서버(300a)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TV)(3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external devic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server 300a or other display device (e.g., TV) 300b, which may provide video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100, It does not.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300)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는 블루레이 디스크(Blue ray Disk) 플레이어, 셋탑 박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스트리밍 장치, 홈 시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단말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Also, 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a playback device that plays back multimedia contents.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300 may include a Blu-ray Disc player, a set-top box, a digital versatile disk player, a streaming device, a home theater,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external device 300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 videophone, an e-book reader, a desktop personal computer, a laptop PC laptop personal computers, netbook comput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MP3 players, wearable devices,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영상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signals, and the like using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transmit video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100.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he server 300 may convert the image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provide the converted image to the display device 100 .

또한, 예를 들어,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한 영상 변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er 300 may receive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transmit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0. [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장치(200)는 리모컨(200b), 키보드(200a) 또는 휴대폰(미도시)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00, such as a remote control 200b, a keyboard 200a, or a cellular phone (not shown).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including infrared or bluetooth.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key (including a button), a touch pad, a microphone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voice, and a sensor capable of motion recogni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Not shown) may be used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줌 인/아웃, 대비(contrast) 조절, 색의 선명도 조절, 채도 조절, 색온도 조절, 또는 시각 특성 정보, 영상 변환 정보의 설정(setting) 등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power on / off button to turn the display device 100 on or off. The control device 200 also controls the zoom in / out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contrast adjustment, the color sharpness adjustment, the saturation adjustment, the color temperature adjustment, or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Setting, and so on.

도 2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 illustrates one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3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301,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acquire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부터 통신부(150)를 통해 영상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can shoot an image in real time via the camera 161. [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image content from the external apparatus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n image stored in the memory 170 as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

단계 S30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각 장애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In step S302,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convert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는, 저 시력, 색약, 변시증, 중심 암점, 터널 시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low vision, color weakness, diarrhea, central dark spot, tunnel vision,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변환 정보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인식하게 하기 위한 영상 변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변환 정보는, 바이너리 이미지(binary image)로의 변환,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확대 또는 축소, 표시 위치 변경, 오브젝트의 외곽선의 대비(contrast) 조절, 색의 선명도 조절, 채도 조절, 색 온도 조절 등에 관한 변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mage conversion value for allow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image more clearly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may be converted into a binary image, enlarged or reduced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adjusting the contrast of the outline of the object, adjusting the sharpness of the color, Color temperature adjustment,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convert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의 색상 변환 값을 포함하는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의 표시 위치 변경 값을 포함하는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21)의 영역 중 사용자의 중심 암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의 표시 위치를 변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convert the color of the image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lor conversion value of the image. In addition,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on the basis of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play position change value of the image, the image of the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dark spot of the user,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mage can be changed.

단계 S30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S303,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하여 제공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예컨대, VR 헤드셋)를 착용한 저시력 사용자는 사물을 보다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vert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in real time based on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provide the converted image to a low vision user (for example, a VR headset) wear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ognize objects more clearly.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트를 저시력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보다 선명하게 인식되는 영상 콘텐트를 시청할 수 있다. Also,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vert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300 based on the vision information of the low vision user and provide the converted imag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mage content more clearly Video content can be viewed.

도 4 내지 도 9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FIGS. 4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converted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각 특성 정보는, 시각 장애의 종류 및 시각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시각 장애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도 4는 색약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약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에 보이는 영상(42)은 오브젝트의 색상 구별이 어려울 수 있다.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image is converted and provided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symptoms of color weakness. As shown in FIG. 4,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color of the object 42 from the image 42 that is visible at the time of the user who has symptoms of color weakness.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입력 영상(41)을, 색약 증상의 사용자가 오브젝트의 색상을 구별할 수 있도록, 변환된 영상(43)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the converted image 43 so that the user of the symptom of color weakness can distinguish the color of the object from the input image 41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have.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색약의 정도(예를 들어, 적록 색약, 청황 색약, 전색약)에 기초하여, 특정 색은 제거하고, 또 다른 특정 색은 부각시키도록 하는 변환 값을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RGB 칼라 필터에 관한 변환 값, 주변 광원에 따른 색 온도의 조절에 관한 변환 값을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환된 영상(4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moves a specific color based on the degree of color weakness (e.g., a red color color, a yellow color color, a full color) A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addi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conversion value related to the RGB color filter and the conversion value related to the adjustment of the col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ambient light source a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43 on the display unit 12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도 5는 변시증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변시증은 시야 내의 사물이 비뚤어지거나 변형되어 보이는 형상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시증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에 보이는 영상(52)은 시야의 일부가 일그러져 보일 수 있다.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image is conver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a visual symptom. It is a shape in which the object in vision is distorted or deformed. As shown in FIG. 5, a part of the visual field 52 may appear distorted in the image 52 seen at the time of the user having the vertigo.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입력 영상(51)을, 변시증의 사용자가 영상이 왜곡되어 보이지 않도록, 변환된 영상(53)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provide an input image 51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61, and a converted image 53 so that the user of the obscuration does not see the image distorted.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변시증의 정도(예를 들어, 사물이 일그러져 보이는 정도, 시야 중 일그러져 보이는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등)에 기초하여, 일그러져 보이는 영역을 보정하기 위한 변환 값을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환된 영상(5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된 영상(53)은 변시증의 사용자 시야에 보이는 왜곡 방향을 역으로 적용하여 변형된 영상일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distorted area (e.g., an area that is distorted in appearance, a location of a distorted visible area, a size shape, etc.) Can be determined a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53 on the display unit 12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ransformed image 53 may be a transformed image by applying the distortion direction shown in the user's field of view of the vision reversely.

도 6은 중심 암점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중심 암점은 황반 변성으로 사용자의 시야의 중심 영역이 보이지 않는 현상으로, 암점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라켓형 등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황반 변성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에 보이는 영상(62)은 시야의 중심 영역 중 일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image is transformed and provided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having a central dark spot symptom. The central dark spot is a macular degeneration that does not show the central area of the user's visual field. The shape of the dark spot can be circular, elliptical, racquet type,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6, the image 62 visible at the time of a user with macular degeneration may not be able to see some of the central regions of the visual field.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입력 영상(61)을, 중심 암점 증상의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중심 영역의 영상을 다른 위치에서 볼 수 있도록, 변환된 영상(63)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중심 암점 영역(65)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는 영역 중 일부(66)에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the input image 61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on the basis of the converted image 63). For example, a central dark spot area 65, which is not visible in the user's field of view, may be displayed in a portion 66 of the area visible in the user's field of view.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중심 암점의 정도(예컨대, 중심 암점의 위치, 크기, 모양 등)에 기초하여, 중심 암점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의 표시 위치의 변경에 관한 변환 값을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변환 정보는, 중심 암점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할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chang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dark spot area, based on the degree of center dark spot (e.g., position, size, shape, etc. of the center dark spot) Can be determined a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area to be display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dark spot area.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환된 영상(6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63 on the display unit 12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도 7은 중심 암점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Fig. 7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an image is transformed and provided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having a central dark spot symptom.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암점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에 보이는 영상(72)은 시야의 중심 영역 중 일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입력 영상(71)을, 중심 암점 증상의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중심 영역의 영상을 다른 위치에서 볼 수 있도록, 변환된 영상(73)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중심 암점 영역(75)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는 영역 중 일부(76)에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 part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visual field may not be seen in the image 72 seen at the time of the user having the central dark spot symptom. The display apparatus 100 provides the converted image 73 so that the input image 71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can be view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central region invisible to the user with the central dark spot symptom . For example, a central dark spot area 75, which is not visible in the user's field of view, may be displayed in a portion 76 of the area visible in the user's field of view.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중심 암점의 정도(예컨대, 중심 암점의 위치, 크기, 모양 등)에 기초하여, 중심 암점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시야의 전체 영상을 중심 암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일부에 표시하기 위한 변환 값을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변환 정보는, 사용자 시야의 전체 영상을 표시할 위치, 크기, 모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based on the degree of center dark spot (e.g., location, size, shape, etc. of the center dark spo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conversion value for displaying the entire image of the visual field in a part of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center dark spot area a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entire image of the user's field of view.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환된 영상(7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73 on the display unit 12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도 8은 터널 시야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터널 시야는 터널 속에서 터널 입구를 바라보는 모양으로 시야가 제한되는 현상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 시야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에서 보이는 영상(82)은 중심부를 제외한 외곽 영역이 시야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mage is transformed and provided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having the tunnel visual field symptom. Tunnel vis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field of view is restricted as it looks at the tunnel entrance in the tunnel. As shown in FIG. 8, in the image 82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with the tunnel vision symptom, the outer region except for the center portion may not be seen in the field of view.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입력 영상(81)을, 사용자에게 보이는 중심 영역(85)을 통해 볼 수 있도록, 변환된 영상(83)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the converted image 83 so that the input image 81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61 can be viewed through the central area 85 visible to the user have.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터널 시야 증상의 정도(예컨대, 터널 시야 영역의 위치, 크기, 모양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역에 입력 영상 전체를 표시하기 위한 변환 값을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변환 정보는, 사용자 시야의 전체 영상을 표시할 위치, 크기, 모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entire input image in an area viewable by the user based on the degree of the tunnel visual field symptom (e.g., position, size, shape, etc. of the tunnel visual field area) Can be determined a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entire image of the user's field of view.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따라 변환된 영상(8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83 on the display unit 12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도 9는 저조도 환경에서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조도 환경에서 입력되는 영상(91)은 사용자가 사물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image is transformed and provided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in a low-illuminance environment. As shown in Fig. 9, the image 91 input in a low-illuminance environmen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an object.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되는 입력 영상(91)을,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된 영상(93)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the converted image 93 so that the input image 91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can recognize an object in the image.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저조도 환경일 때,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저조도 환경에서는 밝기, 선명도, 대비 조절, 노이즈 제거 등에 관한 변환 값을 변경하여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and change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in a low illumin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can change the conversion value related to brightness, sharpness, contrast adjustment, noise removal, and the like to determin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a low-illuminance environment.

도 10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s converted and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b)로부터, 외부 장치(300b)에서 출력 중인 영상 콘텐트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 콘텐트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콘텐트는 VR 영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image content being output from the external apparatus 300b, from the external apparatus 300b. At this time,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the converted image content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content may be a VR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장치(300b)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PC port), 및 USB 포트(USB 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영상 콘텐트를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300b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300a via at least one of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port, a component jack, a PC port, and a USB port. Video content can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sour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300b)는 영상 콘텐트를 저시력 사용자가 보다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영상 변환 처리를 한 후, 변환 처리된 영상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300b may perform an image conversion process so that a low-vision user can recognize the image content more clearly, and then transmit the converted image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100. [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50)를 통해 영상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방식은, IR, 블루투스, BLE, 초음파, 지그비, 와이 파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video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may include IR, Bluetooth, BLE, ultrasound, ZigBee, WiFi, and the like.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영상 콘텐트를 수신한 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 및 영상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convert an image based on at least one of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user after receiving the image cont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

도 4 내지 도 10은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4 to 10 illustrate an embodim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관한 설명에서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oviding an image converted based on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1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shown in Figs. 12 to 16. Fig.

단계 S11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In step S1101,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acquire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된 영상,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121)에 표시할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displays at least one of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sour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an image stored in the memory 170, As shown in Fig.

단계 S110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각 장애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 및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단계 S1104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S1102,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plays the image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of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and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In step S1103,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convert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step S1104,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오브젝트의 속성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extract the objects contained within the image and determine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object.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텍스트, 인물, 풍경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text, a portrait, a landscape, and a screen of another display device.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enlarge and display an image output from a screen of another display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61)로 촬영된 입력 영상(1201) 내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1205)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스크린(1205) 내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기 위한 변환 값을 영상 변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extract a screen 1205 of another display device in the input image 1201 photographed by the camera 16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a transformation value for magnifying and displaying the image in the screen 1205 as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스크린(1205)의 영상 영역만을 확대한 영상(1203)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를 시청 중인 사용자가 주변 이미지는 제거된 TV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전체 영역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여, 높은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n image 1203 on the display unit 121 in which only the image area of the screen 1205 is enlarged.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can provide a high degree of immersion feeling by allowing only a TV image of a user who is watching a TV to remove an ambient image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121.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주변 이미지를 제외한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예컨대, 저시력, 변시증 등)에 기초하여 변환 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for transforming an image, including a screen region, excluding the surrounding image, based on the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e.g., low vision, .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책의 텍스트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processor 130 may magnify and display a text area of a book.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입력 영상(1301) 내의 책이나 신문 등의 텍스트가 포함된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텍스트 영역으로부터 텍스트의 선을 추출하고 확대하여 표시하기 위한 변환 값을 포함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extract an object including a text such as a book or a newspaper in the input image 1301. [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ransform values for extracting and magnifying and displaying a line of text from the text region.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책을 포함하는 영상을 카메라(161)를 통해 획득한 경우, 주변 이미지를 제외한 책의 텍스트 영역만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acquires an image including a book through the camera 161, it can provide a high readability to the user by enlarging and displaying only the text area of the book except for the surrounding images.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책의 주변 이미지를 제외한 텍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을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예컨대, 저시력, 변시증 등)에 기초하여 변환 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for transforming an image that includes a text region other than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book based on the user ' s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e.g., low vision, .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영상 내에 포함된 인물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converted imag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 person included in the image.

예를 들어, 중심 암점 증상을 가진 사용자의 시각에는 중심 영역이 가려진 영상(1402)이 보이기 때문에, 영상의 중심 영역에 인물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인물을 식별하지 못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image 1402 in which the central region is obscured is viewed at the time of the user having the central scotosis symptom, the user may not be able to identify the person if the person is inclu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image.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입력 영상(1401) 내의 인물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예컨대, 중심 암점의 위치, 크기, 모양)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extract the person in the input image 1401. 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the user (e.g., location, size, shape of the center dark spot).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영상 내의 중심 암점 영역으로 인해 가려진 인물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하기 위한 변환 값을 포함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ransformation value for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hadowed person due to the central dark spot region in the image.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텍스트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text and display it.

일 실시 예에 따라, 중심 암점 증상의 사용자의 시야에 보이는 영상(1502)에서는 중심 암점 영역(1505)으로 인해 텍스트의 일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image 1502 viewed in the user's view of the central dark spot symptom, part of the text may not be visible due to the central dark spot region 1505. [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입력 영상(1501) 내의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가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로서 중심 암점의 위치, 크기, 모양을 획득한 경우, 중심 암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텍스트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extract text in the input image 15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130 acquires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central dark spot as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the image conversion for mov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text to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central dark spot area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중심 암점(1505)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 텍스트(예컨대,BCD)를 중심 암점 영역의 좌우 영역에 표시(1503, 1504)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중심 암점 영역(1505)에 대응하는 텍스트의 일부(예컨대, B)는 중심 암점의 좌측 영역에, 텍스트의 일부(예컨대, CD)는 중심 암점의 우측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중심 암점 외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텍스트(예컨대, A, E)가 가려지지 않도록,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암점 영역(1506, 1507)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텍스트(예컨대, AB)를 표시하고, 중심 암점 영역을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에 텍스트(예컨대, CDE)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for displaying invisible text (e.g., BC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central dark spot region 1503, 1504 due to the central dark spot 1505.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portion of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dark spot area 1505 (e.g., B) in the left area of the center dark spot and a portion of the text (e.g., CD) in the right area of the center dark spot. Further, the processor 130 can move the display position so that the text (e.g., A, E) display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center dark spot is not covered. For example, text (e.g., AB) may be displayed in the left area with respect to the center dark spot areas 1506 and 1507, and text (e.g., CDE) may be displayed in the right area with respect to the center dark spot area.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변환된 영상 내에서 사용자의 중심 암점에 대응하는 영역을 원형(1506), 사각형(1507)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dark spot of the user in the converted image in the form of a circle 1506, a square 1507,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키보드(200a)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ext input through the keyboard 200a on the display unit 121. FIG.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키보드(200a)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오브젝트로서 획득하고, 텍스트의 선과 바탕의 색의 반전을 이용하여 텍스트가 부각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acquires the text input through the keyboard 200a as an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and the text can be highlighted using the inverse of the line of the text and the background color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o be processed can be determined.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시력 특성 정보(예컨대, 저시력, 난시 등)에 기초하여, 텍스트의 확대 비율, 색 반전에 관한 변환 값을 포함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cluding conversion values for color reversal, text enlargement ratio, based on the user's visual acuity information (e.g., low vision, astigmatism, etc.) .

도 12 내지 도 16은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2 to 16 illustrate an embodim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관한 설명에서 도 18 내지 도 23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8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7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8 to FIG.

단계 S17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의 종류 및 상기 시각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시각 장애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702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70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1701,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of the user and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can do. In step S1702,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acquir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In step S1703,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헤드셋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장착한 것으로 감지하면,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nses that the headset-type display device 100 is mounted,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the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21 . For example, when the user receives a user input for pressing a button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the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내용을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소리로 출력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outpu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2 by sound.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예컨대, 키보드(200a), 리모컨(200b))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200b)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선택 항목을 상하,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ceive information input via the control apparatus 200 (e.g., the keyboard 200a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b).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n input signal by moving the selected ite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up and down, left and righ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0b.

도 18은 저시력에 관한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다.18 shows an example of acqui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w visual acuity.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시각 장애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고, 저시력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801).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저시력의 등급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력 등급(예컨대, 2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802).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변환 영상의 예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가장 잘 보이는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803). As shown in FIG. 18, the processor 130 can display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on the display unit 121 and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low vision (1801).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rating of low vision on the display 121 and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user's visual acuity rating (e.g., level 2) (1802).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n example of a transform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and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user's most visible image (1803).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예컨대, 저시력, 2급, 사용자가 잘 보이는 영상으로 선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e.g., low vision, class 2, user-selected image) input via the user interface .

도 19는 색약에 관한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다.19 shows an example of acquir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lor weakness.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시각 장애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고, 색약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901).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색약의 종류(예컨대, 적록 색약, 청황 색약, 전색약)를 식별하기 위한 테스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1902). As shown in FIG. 19,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on the display unit 121 and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olor weakness (1901).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test screen 1902 for identifying the kind of color weakness (for example, red color pink color, red color pink color, total color pink) on the display unit 121.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예컨대, 적록 색약)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e.g., a red-eye color weakness) of the user acquired via the user interface.

도 20은 변시증에 관한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다.Fig. 20 shows an example of acquir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lated to visual acuity.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시각 장애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고, 변시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001).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시야 중에서 왜곡되어 보이는 위치 및 왜곡 정도를 획득하기 위한 격자 무늬의 테스트 화면(예컨대, 암슬러 그리드 차트(Amsler grid chart))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 the processor 130 can display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on the display unit 121, and can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visual symptom (2001).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plaid test screen (e.g., an Amsler grid chart) on the display unit 121 to obtain a distorted appearance and a degree of distortion in the user's view have.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시야에 왜곡되어 보이는 선을 직선으로 보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002).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키보드(200a) 또는 리모컨(200b)을 통해 테스트 화면 상에 표시된 아이콘을 좌우상하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왜곡되어 보이는 선을 움직여서 직선 형태로 보일 때까지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할 수 있다(200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2002) that rectifies a line that appears distorted to the user ' s view.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moving the icon displayed on the test screen horizontally up and down through the keyboard 200a or the remote controller 200b. Processor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that adjusts until it appears to be in a straight line by moving a distorted line (2003).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격자 무늬 테스트를 통해 입력된 보정 패턴을 분석하고, 보정 패턴을 역으로 이용하여, 사용자 시야에서 영상이 왜곡되어 보이지 않도록 영상을 보정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analyzes the input correction pattern through a grid pattern test and uses the correction pattern in reverse to generat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the image so that the image is not distorted in the user's view You can decide.

도 21 내지 도 22는 중심 암점 증상에 관한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다.21 to 22 show an example of acquir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central dark spot symptom.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시각 장애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고, 중심 암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101).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2102). 이 때, 중심 암점 증상의 사용자의 시각에는 영상의 중심부 일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2102).As shown in FIG. 21, the processor 130 can display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on the display unit 121 and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enter dark spot (2101).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2102).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image may not be seen at the user's point of the central dark spot symptom (2102).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원 형태의 아이콘(2106)을 표시하고, 아이콘(2106)의 위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리모컨(200b)의 버튼 입력을 통해, 아이콘(2106)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아이콘(2106)의 모양(예컨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라켓형 등)을 선택하거나, 아이콘(2106)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10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circular icon 2106 on the display portion 121 and receive user input to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con 2106. [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icon 2106 or select the shape of the icon 2106 (e.g., a circle, an ellipse, a rectangle, a racquet type, etc.) through the button input of the remote control 200b , Or may receive a user input that enlarges or reduces the size of the icon 2106 (2103).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중심 암점 영역이 모두 포함될 때까지 아이콘(2107)의 위치, 크기, 모양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104).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는 중심 암점의 영역을 모두 가릴 수 있을 정도로, 아이콘(2107)의 크기를 확대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user input 2104 to adjust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icon 2107 until all of the user's center dark spot areas are included.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that magnifies the size of the icon 2107, such that it may obscure the area of the central dark spot visible in the user's field of view.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중심 암점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중심 암점 영역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user's center dark spot area through user input and determine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center dark spot area.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중심 암점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할 위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location to display by mov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dark spot area.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2201). 이 때, 중심 암점 증상의 사용자의 시각에는 영상의 중심부 일부(2205)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22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2201). At this time, the central part 2205 of the image may not be visible at the user's point of the central dark spot symptom (2201).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아이콘(2206)을 표시하고, 원 형태의 아이콘(2206)의 위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20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n icon 2206 on the display unit 121 and receive a user input 2202 to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con 2206 in the form of a circle.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키보드(200a) 또는 리모컨(200b)의 버튼 입력을 통해, 아이콘(2206)의 위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아이콘(2206)의 위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암점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user inpu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icon 2206 through the button inputs of the keyboard 200a or remote control 200b.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an image to be displayed by mov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ark spot area of the user based on a user input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con 2206. [

또한, 프로세서(130)는 아이콘(2207)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암점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2203).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ark spot area of the user (2203)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moving the icon 2207 up, down, left, and right.

도 23은 터널 시야 증상에 관한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예를 도시한다.Fig. 23 shows an example of acquir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lated to a tunnel vision symptom.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시각 장애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고, 터널 시야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301).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2302). 이 때, 터널 시야 증상의 사용자의 시각에는 영상의 외곽부 일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2302).As shown in FIG. 23, the processor 130 can display the type of blindness on the display unit 121 and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tunnel vision (2301).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2302). At this time, a part of the outer frame part of the image may not be seen at the time of the user of the tunnel vision symptom (2302).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원 형태의 아이콘(2305)을 표시하고, 아이콘(2305)의 위치, 크기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키보드(200a) 또는 리모컨(200b)의 버튼 입력을 통해, 원 형태의 아이콘(2305)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2302).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circular icon 2305 on the display portion 121 and receive user input to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con 2305. [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enlarge or reduce the size of the circular icon 2305 through the button input of the keyboard 200a or the remote controller 200b (2302).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터널 시야로 인해 보이지 않는 영역의 경계에 근접할 때까지 아이콘(2306)의 위치, 크기, 모양을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303).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2303 to adjust the location, size, and shape of the icon 2306 until it is close to the border of the invisible area due to the user's tunnel visio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터널 시야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터널 시야 영역에 기초하여, 터널 시야 영역의 내부에, 전체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user's tunnel view area through user input. The processor 130 can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reducing and displaying the entire image in the tunnel view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tunnel view field.

한편, 단계 S1704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704,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store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식별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정보는, 숫자, 문자, 기호, 특정 키 입력 신호 등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apable of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users. For exampl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efined by numbers, letters, symbols, specific key input signal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stor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17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변환 정보 중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extract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입력(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 장치(200)의 특정 버튼 등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input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the user input using the specific button of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control device 200),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display the converted image based on the extract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각 특성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store the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in the memory 170 in response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store in the memory 170 a plurality of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각 특성 정보 및 영상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convert an input image using at least one of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한편, 도 18 내지 도 23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 특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가이드 멘트를 출력하고, 제어 장치(200)(예컨대, 키보드(200a), 리모컨(200b))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18 to 23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interfa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guidance for allowing the user to input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2, and the control device 200 (e.g., the keyboard 200a, the remote controller 200b ) Of the user's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도 18 내지 도 23은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8 to 23 illustrate an embodim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2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단계 S2401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시각 특성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2401,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시각 특성 정보에 대응하여 디폴트로 설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170)는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시각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rmin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set in default by corresponding to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eviously store a conversion value for converting an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 시력에 대해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평균 변환 값(예컨대, 영상의 확대 비율, 외곽선의 대비 조절 비율 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set an average conversion value (e.g., an enlargement ratio of an image, a contrast adjustment ratio of an outline, etc.) for converting an image with respect to low vision.

단계 S240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2402,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chang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based on the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리모컨(200b)을 통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user input to chang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operating a button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nd convert the image based on the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can chang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0b,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based on the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단계 S2403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시된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2403,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based on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displayed image.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환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선명하게 보이는 변환 영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어 장치(2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변환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n image to be convert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 the display unit 121, receive input to select a transformed image that is clearly visible to the user have.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onverted image using a button provided on the control device 200 or the display device 100.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변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formed image selected by the user input.

단계 S2404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step S2404,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store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변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store the image transform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ransformed image in the memory 170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 변환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store a plurality of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ocessor 130 may invok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170 based 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2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변환 영상을 미리 제공하면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provide a convert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21 in advanc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n optimal image.

도 2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면서,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2501, 2502, 2503)을 차례로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verts an image based on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while chang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2501, 2502, and 2503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변환 영상(2501, 2502, 2503)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변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stor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converted images 2501, 2502, and 2503,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 can check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based on the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y using the control device 200 or a button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00. [ The processor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stor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verted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도 25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25 shows an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6 및 도 27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26 and 27 are block diagrams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6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6,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control unit 130 and a display unit 121. FIG. However, not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6 ar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00. [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6, or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21)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27,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110, an output unit 120, a sensing unit (not shown), a display unit 121,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 A / V input unit 160, and a memory 170.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ser input unit 110 means a means for the user to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tact type capacitance type, pressure type resistive type, infrared ray detection type, surface ultrasonic wave conduction type, A tension measuring method, a piezo effect method, et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10)는, 시각 특성 정보, 영상 변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110)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변환된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10 may receive user input for sett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lso, the user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onverted image to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1), 음향 출력부(122), 및 진동 모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 vibration signal, and the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21, an acoustic output unit 122, and a vibration motor 123 have.

디스플레이부(12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 변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1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a converted image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isplay unit 121 and the touch pad have a layer structure and ar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2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unit 12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two or more display portions 1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two or more display units 121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using a hinge.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2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50 or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sound output unit 12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alarm sound) perform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 The sound output unit 12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일 실시 예에 따라, 음향 출력부(122)는 시각 특성 정보, 영상 변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콘텐트를 재생하는 경우 영상 콘텐트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ound output unit 122 may output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guide information for receiv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udio output unit 122 may output the audio data included in the video content when the display device 100 reproduces the video content.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vibration motor 123 can output a vibration signal. For example, the vibration motor 123 may output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output of audio data or video data (e.g., a call signal reception tone, a message reception tone, etc.). In addition, the vibration motor 123 may output a vibration signal when a touch is input to the touch screen.

프로세서(13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25에 기재된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Processor 13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device 100.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110, an out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n A / V input unit 160 ) Can be generally controlled. The processor 130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device 100 described in Figures 1-25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70. [

프로세서(130)(Processor)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Processor)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 graphic processor (not shown) for graphics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video.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oC (System On Chip) that integrates a core (not shown) and a GPU (not shown). The processor may include single core, dual core, triple core, quad core and multiples thereof.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A processor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For example,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main processor (not shown) and a sub processor (not shown) operating in a sleep mode.

그래픽 처리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1)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The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generates a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icon, an image, and a text us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The operation unit calculates an attribute value such as a coordinate value, a shape, a size, and a color to be displayed by each of the objects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screen using the user input input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 The rendering unit generates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the objects based on the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The screen generated by the rendering unit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21. [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카메라(161)를 통해 촬영된 영상,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회득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acquire an image. The processor 13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61, the imag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170. [

또한,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시각 장애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시각 장애의 종류 및 시각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시각 장애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the user's visual impairment and the degree of the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control to stor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170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브젝트는, 텍스트, 인물, 풍경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determin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bjects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bject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text, a portrait, a landscape, and a screen of another display device.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convert the image based on the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and determin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displayed image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변환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변환 정보는,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변경, 오브젝트의 확대 또는 축소, 오브젝트의 색상, 채도 변경 및 오브젝트의 외곽선의 대비(contrast)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변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control to store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170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cludes a conversion value related to at least one of changing a display position of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enlarging or reducing an object, changing a color of an object, changing a color saturation, and changing a contrast of an outline of an object .

일 실시 예 따른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vert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1. [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may sense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state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transmit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30. [

센싱부(1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magnetism sensor 141, an acceleration sensor 142,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143, an infrared sensor 144, a gyroscope sensor 145, (GPS) 146, an air pressure sensor 147, a proximity sensor 148, and an RGB sensor (illuminance sensor) 149.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unction of each sensor can be intuitively deduced from the nam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30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allow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200 or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e.g., serv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51,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52, and a broadcast reception unit 153.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nit,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a WLAN communication unit, a Zigbee communication unit, IrDA,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unit, a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unit, an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nit, an Ant +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ke.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5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53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outsid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not include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5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50)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어 장치(200) 및 서버(300)와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verting the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image to the display unit 121, to / from the controller 200 and the server 300 .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6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61 and a microphone 162. The camera 161 can obtain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through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ommunication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sensor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or a separate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61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7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The camera 16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162 receive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For example, the microphone 162 may receive acoustic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or speaker. The microphone 162 may use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메모리(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7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30 and may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7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An optical disc, and the like.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Th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70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for example, a UI module 171, a touch screen module 172, a notification module 173, .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UI module 171 can provide a specialized UI, a GUI, and the like that are interlocked with the display device 100 for each application. The touch screen module 172 senses a touch gesture on the user's touch screen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touch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30. [ The touch screen module 172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recognize and analyze the touch code. The touch screen module 172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hardware including a controller.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Various sensors may be provided in or near the touch screen to sense the touch or near touch of the touch screen. An example of a sensor for sensing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is a tactile sensor. A tactile sensor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contact of a specific object with a degree or more that a person feels. The tactile sensor can dete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roughness of the contact surface, the rigidity of the contact object,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tact point.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is an example of a sensor for sensing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The user's touch gestures can include tap, touch & hold, double tap, drag, panning, flick, drag and drop, swipe, and the like.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notification module 173 may generate a signal for notifying the display device 100 of an event occurrence.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schedule notification, and the like. The notification module 173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 the form of a video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21 or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 the form of an audio signal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2, It is possible to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 the form of a vibration signal.

도 28은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28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8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 공급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28,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 storage unit 270, 280).

무선 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주변 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 또는 주변 기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을 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 또는 주변 기기(3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can transmit / receive a signal to / from any on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r the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n IR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peripher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the lik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peripheral device 300 through the IR module as needed.

또는,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초음파, 지그비(zigbee) 등이 방식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 또는 주변 기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 a wireless LAN (e.g.,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ultrasonic, Zigbee, Or the peripheral device 300. [0033] FIG.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200)로 영상 표시 장치(100) 또는 주변 기기(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he peripheral device 300 to the control device 2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part 230. [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0 to th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touch the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to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0 to the control device 200. [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 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on the basis of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43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moving speed of 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like. Meanwhil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sensed.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3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video or audio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the signals received by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0. [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0 is operated or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50.

일 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3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LED module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external device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odule, an audio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 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ler 200. The power supply unit 260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controller 200 is not mo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controller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

제어부(28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o the display device 100 ) Or to the external device 300.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80)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 및 영상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80)는 변환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for chang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for selecting the converted image to the display device 100.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can be created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Furtherm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For example, methods implemented with software modules or algorithms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code or program instructions, which the computer can read and execut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any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can include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such as ROM, floppy disks, hard disks, and the like), optical storage media such as CD ROMs, DVDs, Do not.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also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an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data stored in distributed recording media, such as program instructions and codes, can be executed by at least one computer have.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The particular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re by way of example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disclosure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nly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ure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 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 etc., " in this disclosure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is disclosure in detail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개시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은 본 개시의 실행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Also,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such as " essential ", " importantly ", etc.,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not be essential components for the performance of this disclosure.

본 개시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개시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본 개시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본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substitutions are to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his disclosure.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본 개시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rms " part, "" module, " and the like, as used herei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Module" may be embodied by a program stored o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addressed and that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 part " or "module"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 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A는 a1, a2 및 a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기재은, A라는 엘리먼트(element)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인 엘리먼트가 a1, a2 또는 a3라는 넓은 의미이다. As used herein, the description "A may include one of a1, a2 and a3" has a broad meaning that an exemplary element that may be included in the element A is a1, a2, or a3.

상기 기재로 인해 엘리먼트 A를 구성할 수 있는 엘리먼트가 반드시 a1, a2 또는 a3로 국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A를 구성할 수 있는 엘리먼트가, a1, a2 및 a3 이외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엘리먼트들을 배제한다는 의미로, 배타적으로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The element capable of constituting the element A due to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1, a2 or a3. It should be noted, therefore, that the element capable of configuring A is not exclusively interpreted in the sense that it excludes other elements not illustrated except a1, a2, and a3.

또한, 상기 기재는, A는 a1를 포함하거나, a2를 포함하거나, 또는 a3를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기재가 A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반드시 소정 집합 내에서 선택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가, 반드시 a1, a2 및 a3를 포함하는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a1, a2, 또는 a3가 컴포넌트 A를 구성한다는 것으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means that A may include a1, include a2, or include a3. This does not mean that the elements of which A constitute A are necessarily determined within a given set. For examp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does not necessarily construe that a1, a2, or a3 selected from the set including a1, a2, and a3 constitute component A.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30 : 제어부
121 : 디스플레이부
100: display device
130:
121:

Claims (1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고, 시각 장애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A memory for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o acquire an image, convert the acquired image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type of visual impairment, and display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 RTI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시각 장애의 종류 및 상기 시각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시각 장애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of the user and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Acqui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es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obtained image based on the acquired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emory comprising:
And stores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determine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an object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는,
텍스트, 인물, 풍경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is,
A screen of text, a portrait, a landscape, and other display devic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획득된 시각 특성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Displaying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time characteristic information,
Chang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displayed imag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emory comprising:
And stores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 정보는,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변경, 상기 오브젝트의 확대 또는 축소, 상기 오브젝트의 색상, 채도 변경 및 상기 오브젝트의 외곽선의 대비(contrast)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변환 값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cludes:
A conversion value related to at least one of changing a display position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enlarging or reducing the object, changing a color of the object, changing a saturation, and changing a contrast of an outline of the object.
제1 항에 있어서,
통신부; 및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amera,
Wherein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cquires at least one of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 image stored in the memory.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시각 장애의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quiring an image;
Converting the acquired image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a user including a type of visual impairment; And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image on a display uni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각 장애의 종류 및 상기 시각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시각 장애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시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시각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mprise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of the user and a degree of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isual impairment;
Acquiring the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And determining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obtained image based on the obtained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제1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storing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mprises:
And determin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based on an object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는,
텍스트, 인물, 풍경 및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is,
Text, a portrait, a landscape, and a screen of another display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시각 특성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영상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영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변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Displaying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visu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Chang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hang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based on a user input selecting the displayed image.
제1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정된 영상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storing the determined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 정보는,
상기 영상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변경, 상기 오브젝트의 확대 또는 축소, 상기 오브젝트의 색상, 채도 변경 및 상기 오브젝트의 외곽선의 대비(contrast)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변환 값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mage conversion information includes:
A transformation value relating to at least one of changing a display position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enlarging or reducing the object, changing a color of the object, changing a saturation, and changing a contrast of an outline of the objec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동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cquiring of the image comprises: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an imag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via a communication unit, and an image stored in a memory.
제 10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of claim 10.
KR1020170025055A 2016-11-10 2017-02-24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 KR201800525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05,439 US11160688B2 (en) 2016-11-10 2017-09-15 Visual ai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0026P 2016-11-10 2016-11-10
US62/420,026 2016-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01A true KR20180052501A (en) 2018-05-18

Family

ID=6245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055A KR20180052501A (en) 2016-11-10 2017-02-24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250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6074B2 (en) 2018-10-08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4043502A1 (en) * 2022-08-25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6074B2 (en) 2018-10-08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4043502A1 (en) * 2022-08-25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0688B2 (en) Visual ai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407203A1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speech and text captions
US20210405761A1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with object manipulation
US11194388B2 (en) Visibility improvement method based on eye tracking,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7765429B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164546B2 (en) HM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1767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431712B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US20240144611A1 (en) Augmented reality eyewear with speech bubbles and translation
CN111970456B (en) Shooting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915671B2 (en) Eye gaze control of magnification user interface
US11741679B2 (e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enhancement
KR20180052501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he same
KR20130065074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3007105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90008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