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192A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 Google Patents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192A
KR20130086192A KR1020130069600A KR20130069600A KR20130086192A KR 20130086192 A KR20130086192 A KR 20130086192A KR 1020130069600 A KR1020130069600 A KR 1020130069600A KR 20130069600 A KR20130069600 A KR 20130069600A KR 20130086192 A KR20130086192 A KR 20130086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smart glasses
sig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102013006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6192A/en
Publication of KR2013008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1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PURPOSE: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smart glasses and a control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make an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wear the smart glasses in order to maximize availability and utiliz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by controll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le photographing images with a camera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STITUTION: An audio processing unit (170) converts a sound signal delivered by a control un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audio processing unit outputs a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hrough a speaker (120) attached to smart glasses. A video processing unit (160) converts an image signal delivered by the control unit into a suitable signal for a display unit (110). The video processing unit outputs a converted image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A direction detecting sensor (130) detects a moving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Reference numerals] (1) Microphone; (110) Display unit; (120) Speaker; (130) Direction detecting sensor; (140,5) Control unit; (160) Video processing unit; (170) Audio processing unit; (200) Still image camera; (6) Driving unit; (9) Video camera; (AA) Manual operation command; (BB) Automatic operation command; (CC) Still camera photographing command

Description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제어와 조종시스템{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최근 들어, 운송수단 및 각종 전자기기 등의 조정 및 제어 등에 스마트안경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 구글은 자사의 스마트안경인 구글안경을 선보였다. 미디어잇 2013년 6월 6일자 보도를 보면, 구글안경 즉 구글 글래스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수년간 소문이 무성했던 구글 글래스는 전례 없는 완전히 새로운 제품이다. 단순히 정보들을 고글 형태로 투사하는 것에서 벗어나, 네트워크와 항시 연결돼 증강현실과 SNS로 끊임없이 교류할 수 있다. 글래스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터로 뽑힌 8000명은 1500달러를 지불하고 구글 글래스의 초기 버전을 사용하게 됐다. 1500달러의 가격은 상용 버전의 가격이 아니며 정식 출시될 때는 이보다 큰 폭으로 가격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 글래스 테스트 버전의 스펙은 최신 스마트폰에 조금 못 미친다. 500만 화소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됐고 720p 동영상 촬영까지 가능하다. 16GB의 내장 메모리 중 12GB를 사용자가 쓸 수 있고 구글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구글 드라이브와 동기화된다. 손톱보다 작은 디스플레이는 막상 장착하면 25인치 고화질 화면을 약 2.5m 거리에서 떨어져 보는 것과 같다고 한다. 음성은 골진도 진동자를 채용해 고막에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했다. 지원 네트워크는 Wi-Fi(IEEE 802.11b/g)와 블루투스이며, 테스터에 의하면 내장 배터리는 완충 시 3~5시간가량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충전은 마이크로 USB 케이블을 사용한다. 구글 글래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은 다음과 같다. 화상채팅, 지금도 화상채팅을 할 수 있지만 양손의 자유를 포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구글 글래스를 사용하면 이동 중에도 지인의 얼굴을 보며 일상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보는 풍경도 공유할 수 있다. 비디오 촬영, 지금까지는 동영상을 촬영하려면 카메라를 들고 흔들리지 않게 팔을 고정해야만 했다. 하지만 구글 글래스를 사용하면 눈으로 보는 영상을 그대로 흔들림 없이 간편하게 녹화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구글 글래스 데모 영상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이 이 내비게이션이었다.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HUD(Head Up Display)처럼 길을 걷거나 자전거를 탈 때, 혹은 차량으로 이동 중일 때에도 눈앞에 보이는 실제 화면 앞에 내비게이션이 겹쳐져 완벽한 길잡이 노릇을 할 수 있다. 음성 메시지, 삼성전자의 S보이스, LG전자의 Q보이스, 그리고 애플의 시리(Siri) 같은 프로그램으로도 음성 메시지를 보낼 수 있지만 구글 글래스는 좀 더 세련되고 폼 나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증강현실, 이 기능이 구글 글래스의 핵심 기능일 것이다. 구글 글래스를 착용한 채 미술관에 가면 명화를 감상할 때 작품에 맞춰 추가 설명을 화면에 띄우거나 도슨트(Docent) 앱을 통해 음성 해설을 들을 수 있다. 근처의 맛집을 보여달라고 하면 눈앞에 맛집 위치와 상호가 펼쳐지고 전단의 상품을 보는 즉시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도 있다. 모르는 외국어를 봐도 자동으로 번역해 뜻을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현지 언어로 전환해 들려줄 수도 있다. Recently, smart glasses have been used to adjust and control vehicles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Google introduced its smart glasses, Google glasses. The mediait June 6, 2013 report describes the Google Glasses, or Google Glass, well. Google Glass, which has been rumored for years, is an entirely new product. Apart from simply project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goggles, it is always connected to the network so that it can constantly communicate with augmented reality and SNS. The 8000 people who were selected as testers through the Glass Explorer program paid $ 1,500 to use an early version of Google Glass. The $ 1500 price is not the price of a commercial version and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lower when released. The spec of the Google Glass test version is a bit less than the latest smartphones. It is equipped with a 5 million pixel camera module and can shoot 720p video. Of the 16GB of internal memory, 12GB can be used by the user and synced with Google Drive, Google's cloud service. A display smaller than a fingernail is said to look like a 25-inch high-definition screen about 2.5 meters away. The voice employs a stiffness oscillator so that you can hear the sound without connecting it directly to the eardrum. Supporting networks are Wi-Fi (IEEE 802.11b / g) and Bluetooth, and testers say the built-in battery can last three to five hours of continuous use when fully charged. To charge, use a micro USB cable. Here's what you can do with Google Glass: Video chat, you can still video chat, but has the disadvantage of giving up the freedom of both hands. But with Google Glass, you can share your everyday face-to-face contact on the go. In addition, you can share the scenery you see. To shoot video, until now, to shoot video, you had to hold the camera and keep your arms steady. But with Google Glass, you can easily record what you see without shaking. Navigation, the most impressive part of the Google Glass demo video was this navigation. Like the HUD (Head Up Display) used in cars, navigation is superimposed on the front of the real screen, even when you are walking, biking, or moving in a car. Voice messages, programs such as Samsung's S Voice, LG's Q Voice, and Apple's Siri can also send voice messages, but Google Glass can send messages more elegantly and formally. Augmented reality, this feature will be a key feature of Google Glass. If you go to the museum while wearing Google Glass, you can display additional descriptions in line with your artwork when listening to famous paintings, or listen to the audio commentary through the Docent app. If you ask to see nearby restaurants, you will be able to order restaurants online as soon as you see the restaurant location and trade name in front of you. Even if you see a foreign language you don't know, it can be automatically translated to tell you what it is, or you can switch your voice to your local language.

한편 민간부문에서 무인항공기는 지상에 대한 촬영과 감시위한 용도로 현재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 예로 중국의 경우, 세계일보 2012년 8월 29일자 보도를 보면, 중국이 무인항공기를 동원해 대대적인 해양감시에 나섰는데, 국가해양국은 최근 연해지역 11개 성에 기지를 설립하고 기지마다 최소 무인항공기 1개 이상을 배치해 해당 성의 관할 해역을 감시할 계획이라고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해외판이 29일 보도했다. 해양국은 날로 연해개발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정밀한 해양감시와 검측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주요 해양감시수단으로 사용되는 위성 혹은 항공 원격탐지나 현지감시 및 검측은 정밀도와 편의성 등 여러 측면에서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해양국의 위칭쑹(于靑松) 해역관리국장은 무인항공기는 새로운 원격감시도구로 예정된 궤도로 비행하며 촬영이 가능하다며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상도가 뛰어난 사진과 동영상을 확보하게 돼 해역동향파악과 환경감시, 자원보호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에는 그러나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갈수록 치열해지는 영유권분쟁에 대비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당국은 최근 6개월 사이 무인항공기 원격탐지 실험을 시행해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주춘렬 특파원).  Meanwhile, in the private sector,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currently us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for shooting and surveillance of the grou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ina, according to the August 29, 2012 report of China, China launched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launched a large-scale maritime surveillance. An overseas version of the People's Daily of the Communist Party reported on Wednesday that it plans to deploy more than one to monitor the jurisdiction of the province. The Maritime Affairs Bureau requires precise marine monitoring and detection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maritime development, and explained that satellite or aviation remote sensing and local monitoring and detection, which are currently used as major marine monitoring means, are lacking in many aspects, such as precision and convenience. The Maritime Bureau's Director of Maritime Affairs Bureau said that unmanned aerial vehicles can be photographed while flying in orbit with a new remote monitoring tool, which will ensure real-time picture and video with excellent resolution. It will be a big help to resource protection. The measure, however, is intended to prepare for an increasingly fierce territorial dispute in the East and South China Seas. Chinese authorities have reported satisfactory results by conducting unmanned aerial vehicle remote sensing tests in the last six months.

다음으로 군사용도를 보면, 무인항공기는 비행고도에 의해 초저고도(5,000ft이하), 저고도(5,000~20,000ft), 중고도(20,000~45,000ft) 및 고고도(45,000ft이상)로 분류하는데, 2007년 말 기준 미군이 운용중인 무인항공기는 전술 및 전략급의 중대형 무인항공기가 15종 528대이고, 소형 무인항공기가 6종 3,437대이나 이 중에서 대표적인 무인항공기인 MQ-1프레데터(Predator)는 General Atomics사가 제작한 무인항공기로 동체길이 8.1m, 날개 폭 14.8m의 정찰기로 920킬로미터의 작전반경을 가지고, 8,000m이하의 중고도에서 최대 200킬로그램의 탑재체를 싣고, 24시간 이상 비행이 가능하고 전자광학(EO), 적외선감지기(IR) 및 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이용하여 정찰 및 표적획득 임무를 수행한다.Next, in military use,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classified into ultra low altitude (less than 5,000 ft), low altitude (5,000 to 20,000 ft), medium to high (20,000 to 45,000 ft), and altitude (more than 45,000 ft) by flight altitude. As of the end of 2007, UAVs operated by the US military were 528 tactical and strategic class medium and large sized UAVs, and 3,437 small UAVs. Among them, the MQ-1 Predator, which is a representative UAV, is a General It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ufactured by Atomics with a reconnaissance of 8.1m and a wingspan of 14.8m.It has a 920-kilometer operating radius and can carry up to 200 kilograms of airborne cargo at more than 24 hours. Use optical (EO), infrared (IR) and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o perform reconnaissance and target acquisition miss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스마트안경 및 지상 혹은 특정지역에 대한 촬영 및 감시, 공격을 하는 무인항공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스마트안경을 착용하여, 상공을 운항 중인 무인항공기와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무인항공기에 대해서 촬영과 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제어와 조종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shoots, monitors, and attacks on the smart glasses and the ground or a specific area as described above, and more specificall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operates the air by wearing the smart glasses. It is about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and control system using smart glasse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in real time and simultaneously perform shooting and adjustment for unmanned aerial vehicle.

지디넷코리아(ZDNet Korea) 2013년 6월 8일자 보도에는 구글안경과 같은 스마트안경의 배경기술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내용을 보면, 구글글래스를 계기로 몸에 착용하는 기기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IT 기기는 방 안의 PC에서 손 안의 스마트폰으로, 다시 내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빠르게 세대 이동을 한다. 6월 7일(현지시간) 씨넷은 구글글래스의 조상격인 안경 모양의 스마트 기기의 역사를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구글글래스의 조상인 안경형 기기의 역사는 40년이 넘었다. 지난 1968년 유타대학 연구원이던 이반 서덜랜드의 안경 이후 올해 구글글래스까지 다양한 안경형 디지털 기기의 역사를 만날 수 있다. 가장 먼저, 45년 전인 1968년 이반 서덜랜드는 다모클레스 칼을 개발했다. 다모클레스의 칼은 안경형 기기 역사의 시작을 열었다. 다모클레스의 칼은 디스플레이를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다. 이반 서덜랜드는 유타대학 연구원으로 이 기기는 그의 제자 밥 스프로울과 함께 개발했다. 다음 스티브 만의 웨어콤프1에 대해, 1980년 스티브 만이 개발한 웨어콤프1이다. 스티브 만은 토론토대학 컴퓨터전기공학과 교수, IEEE 선임 회원 등으로 있으며 초기 증강현실 분야를 연구한 권위자다. 웨어콤프1은 시각적인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 몸 구석구석에 다양한 기기를 부착해야 했다. 무선 신호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안테나가 달렸다. 기기를 통해서는 동영상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현실, 안경형 디지털 기기의 선구자 스티브 만 파인버그의 스마트안경, 콜롬비아대학 컴퓨터학과 스티브 만 파인버그 교수는 지난 1996년 처음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증강현실 기능의 모바일 기기를 만들었다. 토론토 대학 스티브 만 교수는 디지털 안경 개발에 35년 이상 열정을 쏟았다. 스티브 만의 `웨어콤프4`에 대해, 애플의 매킨토시가 출시되던 1984년 웨어콤프4가 출시됐다. 스티브 만이 개발한 웨어콤프4는 신호처리 기기를 옷처럼 입어야 했다. 왼쪽 눈에 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는 다양한 이미지를 볼 수 있었다. 웨어콤프1처럼 음성, 동영상 등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달렸다. 웨어콤프4가 나온 1984년은 윌리엄 깁슨이 공상과학소설 뉴로맨서에서 증강현실을 다뤄 화제가 되기도 한 해였다. 1989년 리플렉션테크놀로지의 더프라이빗아이에 대해, 1989년에는 진동 거울, 수직으로 LED를 배열한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더프라이빗아이가 나왔다. 더프라이빗아이는 1.25인치, 흑백화면을 탑재했다. 다음 1998년 증강현실 고글 `아이탭`에 대해, 스티브 만의 디지털안경에 대한 관심은 유년기 할아버지에게 용접을 배운 뒤부터 시작됐다. 그는 용접하는 동안 앞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디오 카메라, 디스플레이, 컴퓨터 등을 사용했다. 계속해서 디지털안경 아이텝에 대해, 디지털안경의 아버지로 불리는 스티브 만이 1999년 나온 아이탭을 착용했다. 만이 착용한 아이탭은 시각 이미지를 기록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겹쳐서 볼 수 있었다. 눈과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었다. 대신 몸에는 작은 컴퓨터를 부착해야 했다. 다음으로 2000년 마이크로옵티컬의 `태스크9`에 대해, 마이크로옵티컬은 마크 스피처가 지난 1995년 설립했다. 마이크로옵티컬은 지난 2010년 문을 닫았지만 특허 기술은 구글이 인수했다. 마크 스피처는 현재 구글 X랩 이사로 재직중이다. 다음 2005년 마이크로비전의 노마드디지털디스플레이에 대해, 마이크로비전은 자동차용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공급하는 업체다. 다음 2005년 부직 V920에 대해, 부직은 지난 2005년 비디오 안경인 V920을 개발했다. 이 회사는 15년 동안 비디오 안경에 매진했다. 다음 2008년 마이뷰의 개인용 미디어뷰어 크리스탈 에디션에 대해, 마이뷰의 개인용 미디어 뷰어는 외부에서 동영상을 받아다가 시청을 할 수 있는 기기다. 동영상을 공급하는 기기는 아이팟 등을 이용하면 된다. 미디어뷰어는 작은 화면으로 큰 화면의 영상을 보는 듯한 효과를 줬다. 다음 2009년 부직 랩시쓰루 프로토에 대해, 부직은 지난 2005년 비디오 안경인 V920에 이어 2009년 랩시쓰루를 개발했다. 다음 2010년 비지콤에 대해, 마이뷰는 지난 2010년 디지털안경 신제품을 출시했다. 마이뷰는 1995년 마이크로옵티컬의 창립자이기도 한 마크 스피처가 설립했다. 2011년에는 부직 랩AR920이 개발되었다. 다음 2013년 메타의 개발자용 시제품에 대해, 메타의 안경은 3D 공간에 들어간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손을 이용해 가상세계와도 상호작용할 수 있다. 메타시스템은 영화 아이언맨, 아바타 등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3D 입체 안경, 동작 제어 시스템 등을 개발했다. 메타는 오는 2014년에는 세련된 형태의 안경을 출시할 계획이다(송주영 기자). ZDNet Korea's June 8, 2013 report details the background of smart glasses such as Google glasses. According to the contents, the era of devices worn on the body by Google Glass will be opened. IT devices move quickly from a PC in the room to a smartphone in the hand and back to a product you can wear on your body. On June 7 (local time) CNET reported the history of the glasses-shaped smart device, the ancestor of Google Glass, with photos. The spectacle device, the ancestor of Google Glass, has been around for over 40 years. After Ivan Sutherland's eyeglasses, which was a researcher at the University of Utah in 1968, we can see the history of various glasses-type digital devices from Google Glass this year. First of all, in 1968, Ivan Sutherland, 45 years ago, developed the Damocles sword. Damonculus' knife opened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spectacle devices. Damocles' sword is a display worn on the head. Ivan Sutherland is a researcher at the University of Utah.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with his student, Bob Sparrow. Next, Steve's Wearcom1 was developed by Steve Mann in 1980. Steve Mann is a professor of computer and electrical engineering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and a senior member of the IEEE. He is an author of early augmented reality. In order to create a visual experience, WearComp 1 needed to attach various devices to every corner of the body. The antenna ran to capture radio signals. You can also watch videos through the device. Next, Steve Man Pineberg, a pioneer in augmented reality and eyeglass digital devices, and Steve Man Pineberg, professor of computer science at Columbia University, made 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s using transparent displays for the first time in 1996. University of Toronto professor Steve Mann has spent more than 35 years developing digital glasses. Regarding Steve's `` WarComp 4 '', Ware Comp 4 was released in 1984 when Apple's Macintosh was released. Developed by Steve Mann, the WearComp 4 had to wear signal processing equipment like clothes. The display on the left eye shows a variety of images. Like the WearComp 1, it has an antenna for wirelessly transmitting voice and video. In 1984, when WarCompass 4 was released, William Gibson was the subject of augmented reality in science fiction neuromancers. In 1989, Reflection Technology's The Private Eye came out, and in 1989, The Private Eye was equipped with a vibrating mirror and a vertically arranged LED display. The Private Eye has a 1.25 inch, black and white screen. Next, in 1998, about augmented reality goggles Eyetap, Steve's interest in digital glasses began after he had learned to weld with his grandfather. He used video cameras, displays, and computers to keep a good eye on the front while welding. Subsequently, about Digital Eyeglasses, Steve Mann, the father of digital glasses, wore Eyetap, released in 1999. Eyetap, worn by Mann, could record visual images and overlay digital images. The eyes and camera could be used at the same time. Instead, he had to attach a small computer to his body. Next, for Micro Optical's Task 9, Micro Optical was founded in 1995 by Mark Spitzer. Micro Optical closed down in 2010, but the patented technology was acquired by Google. Mark Spitzer is currently on the board of directors of Google X Lab. Next, for Microvision's Nomad Digital Display in 2005, Microvision is a supplier of automotive head-up displays. For the next nonwoven V920 in 2005, the nonwoven developed the V920 video glasses in 2005. The company sold out video glasses for 15 years. For the next 2008 MyView Personal Media Viewer Crystal Edition, MyView's Personal Media Viewer is a device that allows you to receive and watch videos from outside. The device that supplies the video may be an iPod. The media viewer gave the effect of watching a big screen with a small screen. For the next nonwoven labs see-through prototype in 2009, the nonwovens developed the labs see-through in 2009, following the 2005 V920 video glasses. Next year, BizComm released my new digital glasses in 2010. MyView was founded in 1995 by Mark Spitzer, a founder of Micro Optical. In 2011, the nonwoven lab AR920 was developed. For the next 2013 prototype for Meta's developer, Meta's eyeglasses create the illusion that it's in 3D space. You can also interact with the virtual world using your hands. Metasystem has developed 3D stereoscopic glasses and motion control system that can be found in movies such as Iron Man and Avatar. Meta plans to release stylish glasses in 2014 (Reporter Song Ju-young).

한편 무인항공기(UAV:Unmanned Aeriel Vehicle) 또는 무인항공기시스템(UAS : Unmanned Aircraft System)이란 일반적으로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상에서의 원격조정에 의해 또는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비행체 스스로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또는 이러한 기능의 일부나 전부를 가진 비행체계를 말한다. 한국은 국방과학연구소가 1980년대 제트추진형 기만용 무인기인 솔개를 시작으로 1988년 한국항공우주산업과 서울대가 공동으로 도요새를 개발하였으며, 2000년 국방과학연구소가 군단 무인항공기 탐색 개발을 시작하였다. 이후 한국항공우주산업과 육군 군단에서 운용 중인 송골매의 개발을 완료함으로써 한국은 현재 독자개발 무인기를 운용한 세계 10개국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Unmanned Aeriel Vehicles (UAVs) or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s), on the other hand, are generally used by remote control on the ground without a pilot, or by a pre-programmed program or around the aircraft itself. A vehicle that recognizes, judges, and flies autonomously, or a flight system having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s. In 1988, the Korea Aerospace Industries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jointly developed a snipe, with the National Defense Science Research Institute starting with the kite, a jet-propelled unmanned drone in the 1980s. Later, by completing the development of the falcons in operation by the Korean aerospace industry and the Army Corps, Korea became one of the ten nations in the world currently operating independent-developed drones.

무인항공기의 활용분야는 세부적으로 보면 군수분야에서는 실시간 정찰(지역, 선, 점표적의 정찰), 포병 화력유도, 전투 피해 평가, 해상 및 해안 감시, 지뢰 탐지, 전자전 수행(기만, 공격, 방어), 적 레이더 교란 및 파괴, 무인 공중 전투, 무인 폭격, 해안 상륙 작전 지원, 항공기동로 개척 등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민수분야에서는 국경순찰, 지형 및 시설물 공중촬영, 산불 및 산림 감시, 해안 및 선박 감시, 범죄 색출 및 추적, 방제 및 방역, 기상 자료 수집, 재해예방, 통신 중계, 환경 감시, 재난 구조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무인항공기는 최소의 비용으로 인명피해 없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민과 군 및 관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In detail, the field of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is real-time reconnaissance (reconnaissance of area, line and point target), artillery fire guidance, combat damage assessment, sea and coast monitoring, mine detection, electronic warfare (deception, attack, defense). , Radar disturbance and destruction, unmanned aerial combat, unmanned bombing, coastal landing operations, and pioneering air routes. In the civil field, it is also used for border patrols, aerial photographs of terrain and facilities, forest fires and forest surveillance, coastal and ship surveillance, crime screening and tracking, control and prevention, weather data collection, disaster prevention, communication relay,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disaster relief. have. As su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civilian, military and civilian governments with the advantage that it can achieve its intended purpose without damage to life with minimal cost.

현재 상기한 바와 같이, 무인항공기는 군사용이나 관측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운용을 위해 무인항공기 관련하여 여러 장치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인항공기에 있어, 그 제어 및 조종에는 아직까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과 장점을 가진 스마트안경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는 무인항공기의 가용성과 활용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스마트안경을 착용하여, 상공을 운항 중인 무인항공기와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무인항공기에 대해서 촬영과 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제어와 조종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특히 무인항공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스마트안경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와 상기 스마트안경의 이동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무인항공기의 이동 및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의 이동 및 카메라 조절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widely used for military or observation purposes, various devices are used together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its operation. However, in 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smart glasse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have not yet been used for control and steering, which reduces the availability and util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and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glasses to allow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to wear smart glasses, and transmit and receive in real time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ing in the air to perform shooting and adjustment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t the same time. For the purpose, in particular,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mages captur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real time and displaying them on a smart glasses screen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movement and shoot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mart glasses. The company began to develop aircraft movement and camera control systems.

관련 선행기술로는 무인 비행기 조종 시스템 및 그 방법(한국 등록특허번호 10-0999556)과 공중에 떠다니는 무인 정보 수집과 송신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한국 등록특허 10-1103846)이 있다.Related prior arts include a drone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orean Patent No. 10-0999556), a method of collecting and transmitting unmanned information floating in the air, and a system there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103846).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항공기의 가용성과 활용성이 최대가 되도록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스마트안경을 착용하여, 무인항공기에 대해서 촬영과 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제어와 조종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무인항공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스마트안경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와 상기 스마트안경의 방향전환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및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의 이동 및 카메라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and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 glasses to allow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to wear the smart glasses to proceed with the shooting and adjustment at the same time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maximize the availability and util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images captured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real time and displaying them on a smart glasses screen, and a moving camera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movement and shooting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djustment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인항공기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무인항공기 조종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무인항공기 조종자에 의해 스마트안경의 방향이 제어될 때마다 스마트안경의 전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무인항공기의 이동방향이 제어되고,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의 카메라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인항공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무인항공기 조종자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지상의 조종자에게 항공기를 탑승한 것과 같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by receiving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attach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the drone operator wearing smart glasses. hav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witching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whenever the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is controlled by the drone operator wearing the smart glasses, unmanned to adjust the shooting direction It provides a camera control device of the aircraf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giving an effect such as boarding an aircraft to a ground man by showing the image taken by the drone in real time to the drone man wearing the smart glasses. .

다음으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제어방법은, 상기 무인항공기가 감시 및 촬영지역의 상공에 진입하고 자동조종되는 단계; 상기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제어부에 의해 동영상카메라 촬영명령이 발생되어 구동부가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동영상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동영상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동영상카메라와 연결된 영상 송신기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영상 수신기로 전송되어 영상 수신기와 연결된 스마트안경에 실시간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카메라와 연결된 무인항공기 내부의 제어부로 실시간 전송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 전송된 영상을 제어부가 판독하여 영상 상의 표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표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과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인항공기의 제어부에 의해 스틸 영상카메라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가 스틸 영상카메라를 작동시켜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의 항공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무인항공기의 제어부에 의해 스틸 영상카메라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가 스틸 영상카메라를 작동시켜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의 항공사진을 촬영하면, 이를 지상의 무인항공기 조종자의 스마트안경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이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목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가 다시 무인항공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photographing an aerial photograph using smart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entering the air over the monitoring and photographing area and autopiloting; Generating a video camera photographing command by a controller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operate a video camera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a driver; The video obtained by the video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video receiver located on the ground by the video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and displayed on the smart glasses connected to the video receiver in real time,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insid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Transmitted; A control unit reading an image transmitted by the video camera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a display on the image is an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that the display object matches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a still image camera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o that the driver operates the still image camera to photograph the aerial photograph of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step; And a still image camera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driving unit operates the still image camera to photograph the aerial photograph of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and displays it on the smart glasse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on the grou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that the target is not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o drive the driver to operat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gain.

상기 무인항공기의 이륙 및 착륙과 상공에서의 이동 등의 무인항공기에 대한 작동명령은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수동으로 무인항공기를 이륙시키면, 이후 감시 및 촬영지역의 상공으로 진입되도록 하고, 촬영 및 감시지역에 도착한 후에는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자동조종명령을 주면 감시 및 촬영지역을 순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인항공기가 자동으로 감시 및 촬영지역을 순회 중 감시 및 촬영대상물이 발견되면, 이때 카메라 촬영방향은 스마트안경의 방향전환을 통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인항공기시스템에서 통신은 무선 혹은 GPS위성 및 통신용 위성의 인공위성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peration commands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take-off, landing and moveme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manually takes of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n enters the surveillance and shooting area, and enters the shooting and monitoring area. After arriving, it is advisable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to provide automatic piloting orders for the area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In addition,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ally detects and monitors a shooting area while traveling,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camera shooting direc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In addition,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t is preferable to use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of a radio or GPS satellite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무인항공기 조종자에 의해 스마트안경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스마트안경의 전환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무인항공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고 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무인항공기 조종자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지상의 조종자에게 항공기에 탑승한 것과 같은 효과를 부여한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과 장점을 가진 스마트안경을 착용하여 실제 항공기에 탑승한 것과 같이, 무인항공기를 제어 및 조정하여 무인항공기의 가용성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스마트안경을 착용하여, 상공을 운항 중인 무인항공기와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무인항공기에 대해서 촬영과 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안경을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에 대한 제어와 조종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무인항공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스마트안경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안경의 전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및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의 조정 및 제어와 카메라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djusts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switching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whenever the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by the drone operator wearing the smart glasses and the camera By showing the video taken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wearing the smart glasses in real time, gives the ground operator the same effect as boarding the aircraft. Therefore, as in a real aircraft by wearing smart glasse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advantag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and usabil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real-ti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fligh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shoot and adjust simultaneously, and provide the control and control system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smart glasses, especially photograph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vides a device that can receive the image in real time and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smart glasses, and provides the control and contro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amera control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movement and shoot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switching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무인항공기 조종자와 무인항공기사이의 송수신 시스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및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및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betwe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wearing smart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nd aerial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monitoring and photographing aerial photograph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using smart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무인항공기로부터 전송된 무선주파수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키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무인항공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제어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소리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된 스피커에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스마트안경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착용자의 전면 혹은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마트안경에 부착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항공기로부터 전송된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각각 상기 비디오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방향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방향신호를 상기 무선주파수송수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무인항공기에게 전송한다.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무인항공기로 전송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for wirelessly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A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convert radio frequency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to baseband signals;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transmitting in real time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An audio processo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convert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a speake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 video processo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converting an imag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a direction detecting senso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to detect a moving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The display unit is attached to the smart glasses to be located on the front or one side of the wearer wearing the smart glasses. The control unit outputs a video signal and a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composit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the video processor and the audio processor, respectively, and outputs a dir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through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 receiver. Sen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real time.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converts the di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다음으로 본 발명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신호를 스마트안경과 같은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무인항공기에 있어서,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스틸용영상 및 동영상카메라; 상기 스틸용영상 및 동영상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신호와 상기 스틸용영상 및 동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포함한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하고, 방향신호에 따라 상기 스틸용영상 및 동영상카메라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외부기기에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무선주파수신호로 전송된 상기 방향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포함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transmits a video signal taken by photographing a surrounding image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smart glasses, the microphone for receiving ambient sound; Still image and video camera for taking a picture of the surrounding; A driving unit for switching a shooting direction of the still image and video camera; The driving unit outputs a composite video signal including a sound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and a video signal captured by the still image and video camera, and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still image and video camera according to a direction sig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converting the composit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adio frequency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converting the di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to a baseban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to the controller. It includes a frequency transcei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무인항공기 조종자와 무인항공기사이의 송수신 시스템 개요도로서,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가 착용하는 무선주파수신호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안경(100)과,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지상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무선주파수신호로 스마트안경(100)에게 전송하는 무인항공기(200)로 구성된다. 스마트안경(100)은 스마트안경(100)에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기능과 소리신호의 출력 기능을 부여하여 무인항공기(200)의 카메라에 의해 공중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마트안경(100)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주고, 또한 무인항공기(2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향 등의 소리신호를 스마트안경(100)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안경(100)의 착용자가 지상에서도 비행기에 탑승한 것과 같은 기분을 갖도록 하고, 착용자인 무인항공기 조종자(300)가 스마트안경(100)을 착용하여, 상공을 운항 중인 무인항공기(200)와 실시간으로 송수신하여 무인항공기(200)에 대해서 촬영과 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무인항공기(200)에 대한 제어와 조종기능의 역할을 하여, 상기 스마트안경(1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무인항공기(200)의 카메라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무인항공기(200)는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공중에서 지상의 영상을 촬영하고 탑재된 마이크를 통해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입력받은 후, 촬영한 영상신호와 입력된 소리신호를 포함하는 복합영상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스마트안경(100)에게 전송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betwe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wearing smart glass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smart signal displaying in real time an image signal provided as a radio frequency signal worn by the operator 3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Glasses 1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hat shoots the image of the ground through the mounted camera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smart glasses 100 as a radio frequency signal. The smart glasses 100 are provided with a display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and the output function of the sound signal to the smart glasses 100 on the smart glasses 100 in real time on the image taken in the air by the camera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By displaying and also providing a sound signal such as sound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hrough the smart glasses 100, so that the wearer of the smart glasses 100 to feel like aboard the plane on the ground. And, the wearer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300 is wearing the smart glasses 100, in real time to send and receive ov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n flight ov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o proceed with the shooting and adjustment at the same time By acting as a control and control function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he camera shoot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100. It is adjustab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captures an image of the ground from the air through a mounted camera, receives a sound generated from the surroundings through a mounted microphone, and then outputs a composite video signal including the captured video signal and the input sound signal. Converts 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o the smart glasses (100).

여기서, 무인항공기(200)는 별도로 법적인 허가없이 사용할 수 있는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대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스마트안경(100)에게 전송하되, 어드레스를 이용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복합영상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안경(100)이 착용자에 의해 방향이 이동될 때마다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한 방향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무인항공기(200)로 실시간 전송하면, 무인항공기(200)는 스마트안경(100)으로부터 전송된 방향신호에 따라 탑재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스마트안경(100)이 이동된 방향으로 변경시킨다.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ransmits the composite video signal to the smart glasses 100 using the 2.4GHz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frequency which can be used without a separate legal permission, but unilaterally combines it without using an address. The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ed. When the smart glasses 100 detect the direction of movement whenever the direction is moved by the wearer, and converts the detected direction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n real tim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s smar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mounted camera is chang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mart glasses 100 are mov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lasses 100.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안경(100)과 무인항공기(200)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및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Looking at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smart glasses 1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performing such a function as follows.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nd aerial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0)와,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0)와, 스마트안경(10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감지 센서(130)와, 무인항공기(200)로부터 전송된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부(110)와 스피커(120)로 출력시키고, 방향감지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방향신호를 무인항공기(200)로 전송하는 제어부(140)와, 무인항공기(200)로부터 전송된 무선주파수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무인항공기(200)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50)와,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하는 비디오 처리부(160)와,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소리신호를 스피커(120)에 적합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120)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17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a speaker 120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nd a direction for detec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100. Outputs a video signal and a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direction sensor 130 and the composit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o the display 110 and the speaker 120, respectively, to the direction sensor 130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the dir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and converts the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nto a baseband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By converting the transmitted direction signal to a radio frequency signal to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150 for transmitting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and converts the imag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140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10 display And a video processor 160 for outputting to 110 and an audio processor 170 for converting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140 into an electrical signal suitable for the speaker 120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peaker 120. .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안경(100) 상에 배치되고 배터리나 건전지에 의해 구동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무인항공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인 스마트안경(100)의 착용자가 실제로 비행기에 탑승하여 무인항공기를 직접 제어 및 조정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인 착용자가 스마트안경(100)을 착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착용자 눈의 전면 혹은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현하며, 스마트안경(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무인항공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무인항공기(200)의 카메라로 촬영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착용자 눈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스마트안경(10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disposed on the smart glasses 100 and driven by a battery or a battery. The display unit 110 receives and displays an image signal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by the controller 140, so that the wearer of the smart glasses 100, which is the operator 3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tually boards the plane. To directly control and adjus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ly, when the wearer who is the driver 300 of the drone wears the smart glasses 100, the display unit 110 is implemented to be located at the front or one side of the wearer's eye, and the display unit of the smart glasses 100 ( 110 may be implemented to be abl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he display unit 1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wearer's eye, and when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smart glasses ( 100) to be located on one side. In addition, the display 11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스피커(120)는 무인항공기(2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인 스마트안경(100)의 착용자가 무인항공기(2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보면서 동시에 그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현장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스피커(120)는 스마트안경(100) 상에 부착되되, 착용자가 스마트안경(100)을 착용하고 있을 때 착용자의 양측 귀 근처에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speaker 120 receives and outputs a sound signal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n real time, so that the wearer of the smart glasses 100 which is the operator 3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photograph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While watching the video signal, at the same time it can listen to the sound signal generated from the surroundings to give a higher sense of reality. The speaker 120 is attached to the smart glasses 100, it will be preferable to be implemented as a pair so that the wearer is located near both ears of the wearer when wearing the smart glasses 100.

방향감지 센서(130)는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인 머리에 스마트안경(100)을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가 머리를 움직일 경우 움직인 머리의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한 방향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하여 감지한 방향신호가 무인항공기(20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한다. 이는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인 스마트안경(100)의 착용자가 자신의 머리를 움직여 무인항공기(200)에 탑재된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인 착용자는 자신의 머리를 움직여 자신이 보고 싶은 방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The direction sensor 130 detects the direction of the moved head when the wearer who wears the smart glasses 100 on the head, which is the operator 300 of the drone, moves the head to the controller 140. The dir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n real time. This is to allow the wearer of the smart glasses 100, which is the manipulator 300 of the drone, to move his head to move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drone 200. Accordingly, the manipulator of the drone ( The wearer 300) can move his head to see the image in the direction he wants to see in real time.

제어부(140)는 무인항공기(200)로부터 전송된 복합영상신호가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5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각각 비디오 처리부(160)와 오디오 처리부(170)로 출력시킨다. 이때, 비디오처리부(16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하고, 또한 오디오 처리부(17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소리신호를 스피커(120)에 적합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1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방향감지 센서(130)에 의해 감지된 방향신호를 실시간으로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50)을 통해 무인항공기(150)로 전송한다.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50)는 무인항공기(200)로부터 전송된 2.4GHz의 ISM 대의 무선주파수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또한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신호를 2.4GHz의 ISM 대의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무인항공기(200)로 전송한다. When the composit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s received through the RF transmitter / receiver 150, the controller 140 outputs a video signal and a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received composite video signal to the video processor 160. Output to the audio processor 170. In this case, the video processor 160 converts an imag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140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110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display 110, and the audio processor 170 controls the controller 140.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by converts into an electrical signal suitable for the speaker 120 and outputs to the speaker (1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the dir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130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50 through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150 in real time.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150 converts a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2.4 GHz ISM band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nto a baseband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and also transmits a di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40. The 2.4GHz ISM band is converted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200)는,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10)와,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인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와, 마이크(21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신호와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포함한 복합영상신호를 스마트안경(10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안경(100)으로부터 전송된 방향신호에 따라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의 촬영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와, 스마트안경(100)으로부터 전송된 무선주파수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5)로 전달하고 제어부(5)로부터 전달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스마트안경(100)으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와, 제어부(5)의 제어에 따라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6)를 구비한다. 마이크(210)는 무인항공기(2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입력받아 제어부(5)에 적합한 전기적 소리신호를 제어부(5)로 출력한다.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는 제어부(5)의 촬영 지시에 따라 비행중인 무인항공기(200)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5)로 실시간 전달하며, 또한 구동부(6)에 의해 촬영 방향이 이동된다. 따라서 제어부(5)에는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가 촬영하여 실시간 전송한 영상을 판독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5)는 마이크(21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신호와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포함한 복합영상신호를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를 통해 스마트안경(100)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또한 스마트안경(100)으로부터 전송된 방향신호에 따라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의 촬영 방향의 이동을 제어한다.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40)는 스마트안경(100)으로부터 전송된 2.4GHz의 ISM 대의 무선주파수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5)로 전달하고, 또한 제어부(5)로부터 전달되는 복합영상신호를 2.4GHz의 ISM 대의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스마트안경(100)으로 전송한다. 구동부(6)는 제어부(5)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스틸영상카메라(7) 및 동영상카메라(9)의 촬영 방향을 이동시킨다. 2,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210 for receiving ambient sounds, a still image camera 7 and a video camera (that is, a camera for capturing surrounding images). 9) and the composite video signal including the sound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10 and the video signal photographed by the still image camera 7 and the video camera 9 to the smart glasses 100, smart glasses ( The control unit 5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till image camera 7 and the video camera 9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100, and baseband to the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glasses 100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the control unit 5 and converting the composit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5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40 and the control unit 5, Still video camera under control (7 And a driving unit 6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amera 9. The microphone 210 receives a sound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and outputs an electric sound signal suitable for the controller 5 to the controller 5. The still image camera 7 and the video camera 9 capture an imag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n flight according to a shooting instruction of the controller 5, and deliver the image to the controller 5 in real time, and also by the driving unit 6. The shooting direction is shif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5 has a function of read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still image camera 7 and the video camera 9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 is smart through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240, a composite video signal including a sound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10 and the video signal captured by the still image camera 7 and the video camera (9). Real-time transmission to the glasses 100, and also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till image camera 7 and the video camera 9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glasses 100.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240 converts the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2.4 GHz ISM band transmitted from the smart glasses 100 into a baseband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5, and also the complex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5. And converts the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2.4GHz ISM band and transmits to the smart glasses (100). The driving unit 6 moves the photographing directions of the still image camera 7 and the video camera 9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control unit 5.

상기 무인항공기(200)는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의 제어 및 조정 명령에 따라 촬영 및 감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인항공기 시스템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과 도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may be configured as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shooting and monitoring according to a control and adjustment command of the operator 3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fore, with reference to Figures 1, 2 and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안경(100)을 이용한 감시 및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무인항공기(200)의 제어 및 조정방법은, 조종자(300)가 수동으로 상기 무인항공기(200)를 이륙시켜 무인항공기(200)를 감시 및 촬영지역의 상공에 진입시키고 자동조종명령을 주면(S10), 무인항공기(200)가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항공기의 위치를 계산하고 무인항공기(200)에 입력되어 있는 감시 및 촬영지역의 경도, 위도와 촬영고도를 계산하여, 감시 및 촬영지역까지 자동으로 이동하여,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감시 및 촬영지역을 순회한다. 상기와 같이 무인항공기(200)가 이륙된 후에는 상기 무인항공기(200)에 탑재된 제어부(5)에 의해 동영상 카메라(9) 촬영명령이 발생되어 구동부(6)가 무인항공기(200)에 탑재된 동영상 카메라(9)를 작동시킨다(S20).In the control and adjustment metho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for monitoring and photographing aerial photographs using the smart glass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300 manually takes of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 Into the air of the monitoring and shooting area, and give the automatic control command (S1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receives the GPS signal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aircraft and is inpu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t calculates the longitude, latitude, and altitude of the surveillance and shooting area, automatically moves to the monitoring and shooting area, and then traverses the monitoring and shooting area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program. Af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s taken off as described above, a video camera 9 photographing command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5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and the driving unit 6 is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The operated video camera 9 is operated (S20).

상기와 같이 동영상 카메라(9) 작동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동영상 카메라(9)와 연결된 영상 송신기(8)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영상 수신기(2)로 전송되어 상기 영상 수신기(2)와 연결된 스마트안경(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 카메라(9)와 연결된 제어부(5)로 실시간 전송된다(S30). 이때 제어부(5)는 동영상 카메라(9)에 의해 획득된 영상 속에서의 각종 표시물에 대해, 미리 입력된 값인 감시 및 촬영 대상물과의 비교를 통해, 실시간으로 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obt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video camera 9 is transmitted to the video receiver 2 located on the ground by the video transmitter 8 connected with the video camera 9, and connected to the video receiver 2. The display unit 110 of the glasses 100 is displayed in real time, and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control unit 5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9 (S3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5 may check whether the various displays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video camera 9 are compared with the monitoring and photographing targets, which are input values, in real tim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영상 카메라(9)에 의해 획득된 감시 및 촬영되는 영상이 스마트안경(100)의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디스플레이 되면, 동시에 상기 제어부(5)는 상기 동영상 카메라(9)에 의해 실시간 전송된 영상을 판독하여,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에 의해서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항공스틸사진으로 촬영할 감시 및 촬영대상물인지 그 판단을 하게 된다(S40). 이때, 무인항공기의 조종자(300)는 인터넷에 연결된 자신이 착용한 스마트안경(100)에 대해, 실시간으로 촬영할 감시 및 촬영대상물의 입력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안경(100)에서 촬영할 감시 및 촬영대상물의 입력된 값이 변경되면, 실시간으로 제어부(5)에 전송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image captured and monitored by the video camera 9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smart glasses 1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 at the same time by the video camera 9 By reading the image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compared with the value previously input by the operator 3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to take a still-steel photograph (S40). At this time, the operator 300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change the input values of the monitoring and shooting target to be taken in real time with respect to the smart glasses 100 worn by the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addition, when the input value of the monitoring and shooting target to be photographed in the smart glasses 100 is change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 in real time.

상기 제어부(5)에 의해 표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과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인항공기의 제어부(5)에 의해 스틸 영상카메라(7)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6)가 스틸 영상카메라(7)를 작동시켜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의 항공사진을 촬영한다(S50). 이때, 상기 무인항공기의 제어부(5)에 의해 스틸 영상카메라(7)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6)가 스틸 영상카메라(7)를 작동시켜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의 항공사진을 촬영하면, 이를 지상의 무인항공기 조종자(300)의 스마트안경(1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60). 이때 스마트안경(100)에 실시간으로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의 항공사진이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면, 동시에 스마트안경(100)에는 감시 및 촬영지역에 대한 자동모드에 대한 계속 여부가 디스플레이되어, 무인항공기 조종자(300)에게 자동모드 가부(可否)를 묻고, 이때 부(否)의 경우, 이전 단계인 감시단계(S20)로 돌아가서 계속해서 감시 및 촬영임무를 수행하고, 가(可)의 경우, 수동조종명령단계로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단계(S40)에서, 상기 제어부(5)에 의해 표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이 아니라고 판단되면(S40), 무인항공기(200)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감시 및 촬영지역을 계속해서 순회한다(S20).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5 that the display object matches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the control signal 5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generates a still image camera 7 operation signal, and the driving unit 6 causes the still image camera ( Operate 7) to photograph the aerial photograph of the monitoring and shooting target (S50). At this time, when the still image camera 7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5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driving unit 6 operates the still image camera 7 to photograph the aerial photograph of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It can be displayed by transmitting in real time to the smart glasses 100 of the drone operator 300 of (S60). At this time, when the aerial photo of the monitoring and shooting target is transmitt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to the smart glasses 100, at the same time the smart glasses 100 is displayed whether or not to continue the automatic mode for the monitoring and shooting area, drone operator 300 ), Auto mode or not, and if it is negative, go back to the previous monitoring step (S20) to continue monitoring and shooting missions. Proceed to Preferably, in the checking step (S40),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5 that the display is not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S4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is monitored and photographed area according to a pre-input program Continue to traverse (S20).

상기 무인항공기(200)의 이륙 및 착륙과 상공에서의 이동 등의 무인항공기에 대한 작동명령은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수동으로 무인항공기를 이륙시키면, 이후 감시 및 촬영지역의 상공으로 진입되도록 하고, 촬영 및 감시지역에 도착한 후에는 무인항공기 조종자가 자동조종명령을 주면 감시 및 촬영지역을 순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인항공기가 자동으로 감시 및 촬영지역을 순회 중 감시 및 촬영대상물이 발견되면, 이때 카메라 촬영방향은 스마트안경의 방향전환을 통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인항공기시스템에서 통신은 무선 혹은 GPS위성 및 통신용 위성의 인공위성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peration commands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takeoff and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200 and movement in the air, allow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to manually take of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n enter into the monitoring and photographing area. After arriving at the surveillance area, it is advisable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will be able to cycle through the surveillance and photographing area with an automatic control command. In addition,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ally detects and monitors a shooting area while traveling,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camera shooting direc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In addition,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t is preferable to use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of a radio or GPS satellite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스마트안경
110: 디스플레이부
120: 스피커
130: 방향감지 센서
140, 5: 제어부
150, 240: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160: 비디오 처리부
170: 오디오 처리부
200: 무인항공기
300: 무인항공기 조종자
1: 마이크
2: 영상수신기
3: 명령송신기
4: 명령수신기
6: 구동부
7: 스틸영상카메라
8: 영상송신기
9: 동영상카메라
100: smart glasses
110:
120: speaker
130: direction sensor
140, 5: control unit
150, 240: radio frequency transceiver
160: video processing unit
170: audio processing unit
200: unmanned aerial vehicle
300: drone manipulator
1: microphone
2: video receiver
3: command transmitter
4: command receiver
6: drive unit
7: Still video camera
8: Video Transmitter
9: video camera

Claims (1)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무인항공기로부터 전송된 무선주파수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키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무인항공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제어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소리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된 스피커에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스마트안경에 장착되며, 상기 스마트안경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방향감지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안경을 착용한 착용자의 전면에 위치되거나 상기 스마트안경에 임의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항공기로부터 전송된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와 소리신호를 각각 상기 비디오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방향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방향신호를 상기 무선주파수송수신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무인항공기에게 전송하고, 상기 무선주파수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무인항공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인항공기가 감시 및 촬영지역의 상공에 진입하고 자동 조종되는 단계; 상기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제어부에 의해 동영상카메라 촬영명령이 발생되어 구동부가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동영상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동영상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동영상카메라와 연결된 영상 송신기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영상 수신기로 전송되어 영상 수신기와 연결된 스마트안경에 실시간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상기 동영상카메라와 연결된 무인항공기 내부의 제어부로 실시간 전송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 전송된 영상을 제어부가 판독하여 영상 상의 표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표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과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인항공기의 제어부에 의해 스틸 영상카메라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가 스틸 영상카메라를 작동시켜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의 항공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무인항공기의 제어부에 의해 스틸 영상카메라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가 스틸 영상카메라를 작동시켜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의 항공사진을 촬영하면, 이를 지상의 무인항공기 조종자의 스마트안경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이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목표물이 감시 및 촬영 대상물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가 다시 무인항공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안경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제어와 조종시스템   A display unit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signal; A radio frequency transceiver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convert radio frequency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to baseband signals; A control unit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transmitting in real time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An audio processo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convert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a speake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 video processo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and converting an imag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display unit; And a direction detecting sensor mounted on the smart glasses to detect a moving direction of the smart glasses, wherein the display unit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wearer wearing the smart glasses or attached to any one side of the smart glasses. The controller outputs a video signal and a sound signal included in the composit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the video processor and the audio processor, respectively, and outputs a dir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direction sensor to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 receiver.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isplay apparatus using a smart glass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real time, and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transmits the dir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to a radio frequency signal to transmi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onitors and Steps to enter the Chamber of local spirits and autopilot; Generating a video camera photographing command by a controller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operate a video camera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a driver; The video obtained by the video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video receiver located on the ground by the video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and displayed on the smart glasses connected to the video receiver in real time,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insid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onnected to the video camera. Transmitted; A control unit reading an image transmitted by the video camera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a display on the image is an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that the display object matches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a still image camera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o that the driver operates the still image camera to photograph the aerial photograph of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step; And a still image camera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driving unit operates the still image camera to photograph the aerial photograph of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and displays it on the smart glasse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or on the grou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that the target is not the object to be monitored and photographed,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driv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gai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and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glass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130069600A 2013-06-18 2013-06-18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KR201300861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00A KR20130086192A (en) 2013-06-18 2013-06-18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00A KR20130086192A (en) 2013-06-18 2013-06-18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192A true KR20130086192A (en) 2013-07-31

Family

ID=4899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600A KR20130086192A (en) 2013-06-18 2013-06-18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6192A (en)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1658A (en) * 2014-07-17 2014-10-22 金陵科技学院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performing monitoring shooting and controlling through smart glasses
CN105116235A (en) * 2015-09-22 2015-12-02 西华大学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earch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
CN105137204A (en) * 2015-09-22 2015-12-09 西华大学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indoor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
CN105430322A (en) * 2016-01-22 2016-03-23 深圳市华玺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video conference by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60107788A (en) * 2015-03-05 2016-09-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angible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9493125B2 (en) 2014-10-17 2016-11-1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vehicle using wearable device
KR20160136957A (en) * 2015-05-21 2016-1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method of ensuring visibility using drone when get on and off and the system of them
KR20170030318A (en) 2015-09-09 2017-03-17 선종현 Smart device for controling unmanned moving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ing unmanned moving objec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N106933133A (en) * 2015-12-30 2017-07-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Unmanned plan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termin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08563238A (en) * 2018-06-15 2018-09-21 歌尔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pparatus of remote controlled drone, equipment and system
KR20180108618A (en) * 2016-01-28 2018-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Drone flight control
CN109213181A (en) * 2018-09-04 2019-01-15 涵速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A kind of underwater unmanned plane visual angle switching system based on Brilliant Eyes camera lens control technology
CN109346991A (en) * 2018-12-06 2019-02-15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A kind of portable power inspection device that FPV technology is combined with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US10303172B2 (en) 2015-08-19 2019-05-28 Eyedea Inc.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utomatic track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28425A (en) 2018-05-08 2019-11-18 선종현 Method for controling unmanned moving object based on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o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US10535195B2 (en) 2016-01-06 2020-01-14 SonicSensory, Inc. Virtual reality system with drone integration
RU2755629C1 (en) * 2005-06-17 2021-09-1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hysical exercise, combining monitoring of physical exercise and visual data with wireless wearable apparatuses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5629C1 (en) * 2005-06-17 2021-09-1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hysical exercise, combining monitoring of physical exercise and visual data with wireless wearable apparatuses
CN104111658A (en) * 2014-07-17 2014-10-22 金陵科技学院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performing monitoring shooting and controlling through smart glasses
CN104111658B (en) * 2014-07-17 2016-09-14 金陵科技学院 A kind of unmanned plane being monitored by intelligent glasses shooting and controlling
US9493125B2 (en) 2014-10-17 2016-11-1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vehicle using wearable device
KR20160107788A (en) * 2015-03-05 2016-09-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tangible control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KR20160136957A (en) * 2015-05-21 2016-1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method of ensuring visibility using drone when get on and off and the system of them
US10303172B2 (en) 2015-08-19 2019-05-28 Eyedea Inc.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utomatic track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30318A (en) 2015-09-09 2017-03-17 선종현 Smart device for controling unmanned moving object and method for controling unmanned moving objec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N105137204A (en) * 2015-09-22 2015-12-09 西华大学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indoor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
CN105116235A (en) * 2015-09-22 2015-12-02 西华大学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earch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
CN106933133A (en) * 2015-12-30 2017-07-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Unmanned plan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termin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method and system
US10535195B2 (en) 2016-01-06 2020-01-14 SonicSensory, Inc. Virtual reality system with drone integration
CN105430322B (en) * 2016-01-22 2019-02-01 深圳市星网信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unmanned plane access video-meeting method and system
CN105430322A (en) * 2016-01-22 2016-03-23 深圳市华玺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video conference by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80108618A (en) * 2016-01-28 2018-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Drone flight control
KR20190128425A (en) 2018-05-08 2019-11-18 선종현 Method for controling unmanned moving object based on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o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same
CN108563238B (en) * 2018-06-15 2021-08-24 歌尔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08563238A (en) * 2018-06-15 2018-09-21 歌尔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pparatus of remote controlled drone, equipment and system
CN109213181A (en) * 2018-09-04 2019-01-15 涵速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A kind of underwater unmanned plane visual angle switching system based on Brilliant Eyes camera lens control technology
CN109346991A (en) * 2018-12-06 2019-02-15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A kind of portable power inspection device that FPV technology is combined with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346991B (en) * 2018-12-06 2024-04-05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FPV technology and many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combine together portable electric power insp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6192A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perated by smart eyeglass
US11039086B2 (en) Dual lens system having a light splitter
KR20130076844A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for monitoring jellyfish and trip currents, water-bloom
EP3629309A2 (en) Drone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US20190243357A1 (en) Wearable uav control device and uav system
US9269239B1 (en) Situational awareness system and method
WO20180324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stereoscopic display
EP374225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NO201203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surrounding area of an unmanned aircraft
KR20180064253A (en) Flight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7163265A (en) Controlling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11611700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virtual un-zoomed imaging
WO201716671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apturing panoramic image
KR101662032B1 (en) UAV Aerial Display System for Synchronized with Operators Gaze Direction
JP2018112809A (en)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JP2017183852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0557718B2 (en) Auxiliar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2188151A1 (en) Image photographing method, control apparatus, movable platfor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348289B1 (en) System for inspecting a facility using drones and its control method
KR20230101974A (en) integrated image providing device for micro-unmanned aerial vehicles
JP2017208070A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formation shar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1818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facility
KR102118345B1 (en) System for Providing Realtiime Trenches Security Guard Service by using Drone in Field
KR20220036399A (en) Mixed reality moniter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KR20110136225A (en) An intelligent aviation robot using g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