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131A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131A
KR20130044131A KR1020120022470A KR20120022470A KR20130044131A KR 20130044131 A KR20130044131 A KR 20130044131A KR 1020120022470 A KR1020120022470 A KR 1020120022470A KR 20120022470 A KR20120022470 A KR 20120022470A KR 20130044131 A KR20130044131 A KR 20130044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in body
area
charg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0586B1 (en
Inventor
윤상식
김병찬
이준화
정재영
진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652,867 priority Critical patent/US9480379B2/en
Priority to CN201210401150.4A priority patent/CN103054517B/en
Priority to EP12189254.1A priority patent/EP2583610B1/en
Priority to JP2012231778A priority patent/JP2013085964A/en
Publication of KR2013004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131A/en
Priority to US15/151,196 priority patent/US103350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Abstract

PURPOSE: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an auxiliary device and an auxiliary cleaning tool by distinguishing a protrusion limit area or a battery charger area from an obstacle. CONSTITUTION: A robot cleaner comprises an input unit(210), an obstacle detector(220), and a control unit(240). The input unit receives operation instructions of a user from a remote control or an operation panel equipped in a main body. The obstacle detector detects an obstacle which approaches to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controls general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control program.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leaning control unit(241), a driving control unit(242), and a recharge control unit(243). The cleaning control unit controls cleaning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The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The recharge control unit controls charging of the robot cleaner. [Reference numerals] (210) Input unit; (220) Obstacle detector; (230) Signal detector; (240) Control unit; (241) Cleaning control unit; (242) Driving control unit; (243) Charging control unit; (250) Main body driver; (260) Main brush unit driver; (270) Auxiliary cleaning unit driver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본 발명은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for automatically cleaning dust and the like accumulated on a floor while traveling in a cleaning are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자동으로 청소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는 본체의 하부에 쌓인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메인 브러시 외에 벽면 인접부 등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 청소 툴을 구비한다.Generally, 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foreign object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the area to be cleaned by itself without user's operation. Such a robot cleaner includes an auxiliary cleaning tool for improving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adjoining portion of the wall in addition to the main brush for removing dust and the like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의 보조 청소 툴은 로봇 청소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바닥의 먼지, 특히 벽면 인접부의 먼지 등을 청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조 청소 툴은 벽면 인접부 등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는 반면, 로봇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장애물, 예를 들어 벽면과 충돌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uxiliary cleaning tool of the robot cleaner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robot cleaner body toward the outside, thereby cleaning the dust on the floor, especially the dust near the wall.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cleaning tool improves the cleaning performance of the adjoining portion of the wall, etc.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for example, a wall surface is increased by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obot cleaner main body.

특히, 로봇 청소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충전기 또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 형성 장치 등의 부가 장치를 장애물과 구별하지 못하고, 로봇 청소기 시스템의 부가 장치에 근접하여 보조 청소 툴을 돌출시킬 수 있었다. 이 경우 보조 청소 툴과 부가 장치의 충돌로 인해 부가 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부가 장치를 파손시킬 수 있어, 장애물로부터 로봇 청소기 시스템의 부가 장치를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가 요구되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charger or a virtual obstacle area forming device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system from an obstacle, and to make the auxiliary cleaning tool protrude close to the additional device of the robot cleaner system. In this case, the collision between the auxiliary cleaning tool and the additional device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device or damage the additional device, thus requiring a robot cleaner that identifies the additional device of the robot cleaner system from the obstacle.

본 발명의 일측면은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이 감지되더라도 로봇 청소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가 장치 영역인 경우 보조 청소 유닛을 돌출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cleaner for controlling an auxiliary cleaning unit so as not to protrude when an obstacle on a traveling path is detected even in an additional apparatus area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충전기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for traveling on a floor, an obsta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main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to protrude or converg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and to control the auxiliary cleaning unit so that the auxiliary cleaning unit does not protrude in the charging area by identifying the charging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을 생성하고 저장한다.Also, the controller generates and stores a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raveling rou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의 시작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may designate the start position of the travel path of the main body as the position of the charger in the cleaning area map, identify the charging area through the designated charging position in the cleaning area map, And controls to ru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충전 상태를 판단한다.Also,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충전 중이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한다.Further, the controller identifies that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main body is being charg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충전을 종료하고 후진 주행하면 미리 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한다.Also, the controller identifies that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main body finishes charging and runs backward.

또한, 상기 충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identifies the charger area through the signal and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charger area to travel.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와 상기 본체의 도킹을 위해 상기 충전기 측으로 상기 본체의 주행을 유도하는 신호이다.Further, the signal is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body to the charger side for docking the charger and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을 향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transmit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oward the front or the side of the charger.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충전기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이다.Further, the signal is a signal forming a charger area having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on the front side or the side of the charger.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으로 신호 영역을 형성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Also, the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forming a signal area on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in front of or on the side of the charger.

또한, 상기 신호는 서로 중첩되지만 도달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구분된다.Also, the signals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but are divided into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according to the reaching distance o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정지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identifies that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signal is sensed while the main body is at res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nd store a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raveling rou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designate a posi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sensed in the cleaning area map as the charger position, Position to identify the charger area, and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charger area to travel.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돌출 제한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for running on a floor, an obstacl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main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 to protrude or converg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and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 to prevent the auxiliary cleaning unit from protruding in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또한,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projected restriction area through the signal, and the projected restriction area is formed a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일 방향에 미리 정한 크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Further, the signal forms a virtual obstacle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virtual obstacle area and travel.

또한, 상기 신호는 미리 정한 두께 및 길이로 직선의 가상의 벽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이다.Further, the signal is a signal forming a virtual wall region of a straight lin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일 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transmitted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toward one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Further, the signal forms a virtual obstacle area having a constant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virtual obstacle area to travel.

또한,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으로 신호 영역을 형성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forming a signal area with a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또한,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자석 벨트가 형성한다.The magnetic sensor further includes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signal, wherei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through the magnetic field signal, and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is formed by a magnet belt installed on the bottom.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자기장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magnetic field area and ru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을 주행하면서 상기 바닥을 청소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충전기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 running the floor, an obsta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main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for protruding and converg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leaning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the floor; detecting an obstacle on a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and detecting the obstacle, And identifying the charger area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in the charger area.

또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의 시작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상기 충전기 영역으로 식별한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may be performed by designating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as the charger position in the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he traveling path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designating the charger position designated in the cleaning area map as the charger area .

또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본체가 충전 중이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한다.Further,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sens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ody and identifies the main body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if the main body is being charged.

또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충전 종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본체가 충전을 종료하고 후진 주행하면 미리 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한다.Also,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senses the charging completion state of the main body, and when the main body finishes charging and runs backward, it identifies the main body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충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한다.Also,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senses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charger and identifies the charger area via the signal.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와 상기 본체의 도킹을 위해 상기 충전기 측으로 상기 본체의 주행을 유도하는 신호 또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충전기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이다.In addition, the signal is a signal for inducing running of the main body to the charger side for docking the charger and the main body, or a signal forming a charger area having a certain curved surface on the front or side of the charger.

또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가 정지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한다.Also,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identifies the body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signal is sensed while the main body is stationary.

또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신호가 감지되는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한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designates a position where the signal is sensed in the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ravel rou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to the charger position, and identifies the charger area through the designated charger position in the cleaning area map .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을 주행하면서 상기 바닥을 청소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돌출 제한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fo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 running the floor, an obsta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main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for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leaning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the floor; sensing an obstacle on a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and detecting the obstacle,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so that the auxiliary cleaning unit does not protrude in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또한,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의 식별은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jected restriction area sens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identifies the projected restriction area through the signal, and the projected restriction area is formed a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일 방향에 미리 정한 크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Further, the signal may form a virtual obstacle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or form a virtual obstacle region having a constant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Avoiding the area and controlling to travel.

또한,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의 식별은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자기장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자석 벨트가 형성하는 자기장 영역이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truding limiting area senses a magnetic field signal and identifies the protruding limiting area through the magnetic field signal, and the protruding limiting area is a magnetic field area formed by the magnet belt installed on the bottom.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장애물로부터 충전기 영역 또는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여 보조 청소 유닛을 돌출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므로 보조 청소 툴과 부가 장치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청소 툴과 부가 장치의 충돌을 방지하고 본체가 부가 장치를 회피하여 주행하므로 부가 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부가 장치를 파손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충전기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으므로 로봇 청소기 본체가 충전기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으며, 가상의 장애물 영역이 변동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의도대로 가상의 장애물 영역 너머의 물건을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auxiliary cleaning tool and the additional device by prevent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from protruding by identifying the charger area or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from the obstacle. In addition, the collision between the auxiliary cleaning tool and the additional device can be prevented, and the main body avoids the additional device, so that the additional device can be moved or the additional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charger is not moved, the robot cleaner main body can quickly return to the charger, and the virtual obstacle area does not fluctuate, so that the object beyond the virtual obstacle area can be prot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하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보조 청소 유닛을 돌출, 또는 수렴되게 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보조 청소 유닛을 돌출, 또는 수렴되게 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청소 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청소 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for protruding or converg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for protruding or converg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2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virtual obstacle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virtual obstacle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벽면 인접부와 구석 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보조 청소 유닛(21, 2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main body 10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for cleaning a wall adjacent portion and a corner portion.

본체(10)에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종 센서가 결합되며, 각종 센서는 근접 센서(61), 및/또는 비전 센서(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가 정해진 경로 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즉, 맵이 없는 청소 시스템에서 로봇 청소기(1)는 근접 센서(61)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고 청소 영역을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로봇 청소기(1)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주행하는 경우 즉, 맵을 필요로 하는 청소 시스템에서는 로봇 청소기(1)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맵을 생성하기 위한 비전 센서(6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밖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sensors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detect an obstacle, and various sensors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61 and / or a vision sensor 62.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an arbitrary direction without a predetermined route, that is, in a cleaning system without a map, the robot cleaner 1 detects an obstacle by using the proximity sensor 61, It is possible to do. On the contrary, in the cleaning system that requires the map when the robot cleaner 1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 vision sensor 62 for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nd generating a map may be installed ,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ways.

그리고, 본체(10)에는 충전기, 또는 배출 스테이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신호 센서(63)가 결합된다.A signal sensor 6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charger or the discharging station.

또한,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부(64)가 결합되어 로봇 청소기(1)의 각종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 상태, 집진 장치에 먼지가 가득 찼는지 여부, 또는 로봇 청소기(1)의 청소 모드 등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64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o display various states of the robot cleaner 1. For example,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whether or not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full of dust, or the clean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1 can be indicated.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하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는 메인 브러시 유닛(30), 전원부(50), 구동바퀴(41, 42), 캐스터(43), 보조 청소 유닛(21, 22)을 포함한다.1 and 2,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main brush unit 30, a power source unit 50, driving wheels 41 and 42, a caster 43, and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do.

메인 브러시 유닛(30)은 본체(10) 하부의 중앙 영역에서 후방(R)으로 치우친 부분에 형성된 개구에 장착된다. 메인 브러시 유닛(30)은 본체(10)가 놓여 있는 바닥에 쌓인 먼지를 쓸어 먼지 유입구(33)로 유도한다. 그리고, 메인 브러시 유닛(30)이 장착되는 본체(10) 하부의 개구는 먼지 유입구(33)가 된다.The main brush unit 30 is mounted in an opening formed in a portion rearward (R)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main brush unit 30 sweeps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on which the main body 10 is placed and guides it to the dust inlet 33. The open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on which the main brush unit 30 is mounted becomes the dust inlet 33. [

메인 브러시 유닛(30)은 롤러(31), 롤러(31)의 외부면에 박혀 있는 메인 브러시(32)로 구성된다. 롤러(31)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 브러시(32)는 바닥에 쌓인 먼지를 휘저어 먼지 유입구(33)로 유도한다.The main brush unit 30 is constituted by a roller 31 and a main brush 32 which is embed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31. As the roller 31 rotates, the main brush 32 stirs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and guides the dust to the dust inlet 33.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먼지 유입구(33)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 장치가 결합되어, 먼지 유입구(33)로 유입된 먼지를 집진 장치로 이동하게 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blowing devic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ust inlet 33 so tha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dust inlet 33 is mov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전원부(50)는 본체(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50)는 본체(10)와 본체(10)에 장착된 각종 부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 구동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배터리로 마련되며, 본체(10)가 청소 과정을 완료하고 충전기, 또는 배출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경우 충전기, 또는 배출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The power supply unit 50 supplies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main body 10. The power supply unit 50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driving unit for driving various component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o supply driving power. The battery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when the main body 10 completes the cleaning process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er or the discharging station, it is charged with power from the charger or the discharging station.

구동바퀴(41, 42)는 본체(10) 하부의 중앙 영역의 좌우 가장자리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구동바퀴(41, 42)는 로봇 청소기(1)가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진, 후진 및 회전 주행 등의 이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driving wheels 41 and 42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driving wheels 41 and 42 allow the robot cleaner 1 to perform forward, backward, and rotational movements in the process of cleaning.

로봇 청소기(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 하부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캐스터(43)가 설치되어, 본체(10)가 안정된 자세를 유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바퀴(41, 42)와 캐스터(43)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 caster 43 is provided at the front edg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The driving wheels 41 and 42 and the caster 43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in a single assembly.

본체(10)의 전방(F) 양측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를 덮을 수 있도록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설치된다.Open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F) of the main body (10), and auxiliary cleaning units (21, 22) are provided so as to cover the open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청소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청소 유닛(21, 22)은 사이드 암(102), 테두리 커버(103), 보조 청소 툴(110)을 포함한다.3, the auxiliary cleaning unit 21, 22 includes a side arm 102, a rim cover 103, and an auxiliary cleaning tool 110.

본체(10)의 전방 일측 하부에는 사이드 암(102)이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사이드 암(102)을 구동하는 암 모터(미도시)가 수용된다. 암 모터는 사이드 암(10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소정의 기어를 통해서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며, 이 회전축이 사이드 암(102)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101)에 장착된다.A side arm 102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n arm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side arm 102 is received in the upper side. The arm motor is connected to a rotary shaft (not shown) through a predetermined gear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side arm 102, and the rotary shaft is mounted to the coupling groove 101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arm 102.

이에 따라, 암 모터가 구동되면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사이드 암(102)은 결합홈(101)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사이드 암(102)이 본체(10)의 외측으로 회동하면서, 테두리 커버(103)는 본체(10)의 개구를 더 이상 덮지 않고, 본체(10)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rm motor is driven, the side arm 102 rotates about the coupling groove 101 while rotating the rotation shaft. At this time, the side cover 102 is pivo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side cover 103 does not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0 and forms the side edge of the main body 10.

사이드 암(102)의 타단에는 보조 청소 툴이 결합되는 결합홈(104)이 형성된다. 그 상부에는 보조 청소 툴을 구동하는 회전 모터(미도시)가 수용되고, 회전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보조 청소 툴이 결합홈(104)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At the other end of the side arm 102, an engagement groove 104 is formed to which the auxiliary cleaning tool is coupled. And a rotation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auxiliary cleaning tool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auxiliary cleaning tool rotates about the coupling groove 104 by the driving force of the rotation motor.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청소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clean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청소 유닛(21, 22)은 사이드 암(106), 테두리 커버(108), 보조 청소 유닛(1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include a side arm 106, a rim cover 108, and an auxiliary cleaning unit 110. Fig.

본체(10)의 전방 일측 하부에는 사이드 암(106)이 결합홈(105)을 통해 결합되고, 사이드 암(106)의 내부에는 사이드 암(106)의 외부로 미끄러져 연장되는 연장 암(107)이 수용된다.A side arm 106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an engagement groove 105 and an extension arm 107 slidably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arm 106 is provided in the side arm 106. [ Lt; / RTI >

연장 암(107)은 사이드 암(106)의 내부에서 사이드 암(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사이드 암(106)의 내부에는 레일이 형성되고, 연장 암(107)에는 가이드 고리(미도시)가 형성되어, 연장 암(107)은 레일에 고정된 채로 레일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연장 암(107)의 내부에는 연장 암(107)의 외부로 미끄러져 연장되는 다른 연장 암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연장 암의 이동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연장 암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extension arm 107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arm 106 inside the side arm 106. [ A guide ring (not shown) is formed in the extension arm 107 so that the extension arm 107 slides along the rail while being fixed to the rail . Further, another extending arm slidably extending out of the extending arm 107 can be accommodated in the extended arm 107. 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of the other extension arm can also be done in the same way, and the number of extension arms is not limited.

그리고, 사이드 암(106)의 상부에는 연장 암(107)을 구동하는 암 모터(미도시)가 수용된다. 암 모터는 소정의 기어를 통해서 연장 암(107)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암 모터가 구동되면 연장 암(107)이 사이드 암(106)의 외부로 미끄러져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 때, 테두리 커버(108)는 본체(10)의 개구를 더 이상 덮지 않고, 본체(10)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An arm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extension arm 107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arm 106. The arm motor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extending arm 107 through a predetermined gear. When the arm motor is driven, the extending arm 107 slips out of the side arm 106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the rim cover 108 does not cover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0 any more, and does not form the side rim of the main body 10.

그리고, 연장 암(106)의 일단에는 보조 청소 툴이 결합되는 결합홈(109)이 형성된다. 그 상부에는 보조 청소 툴을 구동하는 회전 모터(미도시)가 수용되고, 회전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보조 청소 툴이 결합홈(109)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One end of the extension arm 106 is formed with an engagement groove 109 to which the auxiliary cleaning tool is coupled. And a rotary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auxiliary cleaning tool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auxiliary cleaning tool rotates about the coupling groove 109 by the driving force of the rotary moto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청소 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청소 툴(1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브러시 암(113)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브러시 암(113)에는 보조 브러시(112)가 결합되고, 브러시 암(113)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축(111)이 결합홈을 통해서 사이드 암(102), 또는 연장 암(106)과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 청소 툴(110)이 회전하게 되면 보조 브러시(112)가 벽면 인접부 등에 쌓인 먼지를 본체(10)의 중앙 영역으로 쓸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brush arm 113 is formed extending radially outward of the auxiliary cleaning tool 110. An auxiliary brush 112 is coupled to the brush arm 113 and a rotary shaft 111 protruding from the brush arm 113 is engaged with the side arm 102 or the extension arm 106 through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auxiliary cleaning tool 110 rotates, the auxiliary brush 112 sweeps the dust accumulated in the vicinity of the wall surface into the central area of the main body 1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청소 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청소 툴(110)의 반경 방향으로 걸레 홀더(116)가 형성되고, 걸레 홀더(116)에는 걸레 홀더(116)의 반경 방향으로 보조 걸레(115)가 안착된다. 걸레 홀더(116)의 중심에는 회전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보조 청소 툴(110)을 회전하게 하는 회전축(114)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 회전축(114)이 결합홈을 통해서 사이드 암(102), 또는 연장 암(106)과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 청소 툴(110)이 회전하게 되면 보조 걸레(115)가 벽면 인접부 등을 닦게 된다.6, the mop holder 116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leaning tool 110 and the auxiliary mop 115 is seated in the mop holder 116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op holder 116. A rotary shaft 114 f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rotary motor and rotating the auxiliary cleaning tool 110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mop holder 116. The rotary shaft 114 is connected to the side arm 102 through the coupling groove, , Or the extension arm 106, respectively. When the auxiliary cleaning tool 110 rotates, the auxiliary mop 115 polishes the adjoining portion of the wall.

한편, 보조 브러시(112)는 탄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걸레(115)는 섬유 재질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brush 11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and the auxiliary mop 115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the fiber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청소 유닛(21, 22)으로 인해 청소 영역이 넓어져, 벽면 인접부나 바닥의 구석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게 된다.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leaning area expanded by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protruding outward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clean the vicinity of the wall surface or the corner of the floor do.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동작에서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은 개별적으로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 암(102)이 본체(10)의 외측으로 회동되거나, 제2 실시예에 따라 연장 암(106)이 본체(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로봇 청소기(1)의 청소 동작 중에 보조 청소 툴(110)이 회전하여 벽면 인접부나 바닥의 구석 부분을 청소하는 것으로 한다.The protrusions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in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described below are arranged such that the side arms 102 are arranged i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extension arm 106 extends outwardly of the main body 10 and protrud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the auxiliary cleaning tool 110 rotates to clean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adjacent to the wall surfa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는 입력부(210), 장애물 감지부(220), 신호 감지부(230), 제어부(240), 본체 구동부(250), 메인 브러시 유닛 구동부(260), 보조 청소 유닛 구동부(270)를 포함한다.7,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n input unit 210, an obstacle sensing unit 220, a signal sensing unit 230, a control unit 240, a main body driving unit 250, a main brush unit driving unit 260, And an auxiliary cleaning unit driving unit 270.

입력부(210)는 본체(10)에 마련된 조작 패널, 또는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는 로봇 청소기(1)의 주행, 청소, 또는 충전 동작에 관련된 명령이 포함된다. 특히, 사용자는 리모콘을 직접 조작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 여부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 receives a user's operation command from an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r a remote controller. The user's operation command includes a command related to running, cleaning, or charg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In particular, the user can directly input commands such as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are protruding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directly.

장애물 감지부(220)는 본체(10)의 주행 중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장애물 감지부(220)는 근접 센서(61), 또는 비전 센서(62)로부터 장애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본체(10)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한다.The obstacle sensing unit 220 senses an obstacle approaching the main body 10 during traveling. More specifically, the obstacle sensing unit 22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bstacle from the proximity sensor 61 or the vision sensor 62, and detects an obstacle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body 10. [

예를 들어, 근접 센서(61)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현되어, 초음파를 송신하고 장애물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접 센서(61)는 본체(10)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송신부와 초음파 수신부가 결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방식의 근접 센서(61)는 장애물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반사되는 초음파의 세기가 커져 높은 출력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근접 센서(61)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본체(10)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61 may be implemented in an ultrasonic manner to sense an obstacle by transmitting ultrasonic waves and receiving ultrasonic waves reflected from obstacles. To this end, the proximity sensor 61 may be installed around the main body 10 in such a manner that at least one ultrasonic transmission unit and an ultrasonic reception unit are coupled. The proximity sensor 61 of the ultrasonic system generates a signal of high output as the intensity of ultrasonic waves reflected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becomes shorter.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proximity sensor 61,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obstacle can be calculated.

한편, 비전 센서(62)는 본체(10)의 주행 경로 상의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으며, 실제 3차원 좌표를 기초로 비전 센서(62)가 처리한 영상상의 본체(10)와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sion sensor 62 can acquire an image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and can detect an obstacle by using the image processing. Based on the actual three-dimensional coordinate,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10 and the obstacle can be calculated.

신호 감지부(230)는 신호 센서(63)로부터 충전기로부터 송신되거나, 충전기의 주변에 형성된 식별 신호를 감지한다.The signal sensing unit 230 senses an identification signal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harger or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through the signal sensor 63.

본체 구동부(250)는 구동바퀴(41, 42)를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1)가 이동되도록 하며, 주행 제어부(242)의 제어 명령에 따라 로봇 청소기(1)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조절한다.The main body driving part 250 drives the driving wheels 41 and 42 to move the robot cleaner 1 and adjusts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raveling speed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traveling control part 242 do.

메인 브러시 유닛 구동부(260)는 청소 제어부(241)의 제어 명령에 따라 롤러(31)를 구동하고, 롤러(31)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 브러시(32)가 회전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를 쓸게 된다.The main brush unit driving unit 260 drives the roller 31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of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and rotates the main brush 32 as the roller 31 rotates so as to sweep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보조 청소 유닛 구동부(270)는 청소 제어부(241)의 제어 명령에 따라 암 모터를 구동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 또는 수렴 여부를 조절한다. 또한, 보조 청소 유닛 구동부(270)는 암 모터의 회전수를 통해 장애물과 거리에 따라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 또는 수렴되는 정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보조 청소 유닛 구동부(270)는 보조 청소 툴(11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보조 브러시(112), 또는 보조 걸레(115)가 벽면 인접부 등을 청소하게 한다.The auxiliary cleaning unit driving unit 270 drives the arm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to control the protrusion or convergence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 In addition, the auxiliary cleaning unit driving unit 270 controls the extent to which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protrude or converge depending on the obstacle and the distance through the rotation speed of the arm motor. The auxiliary cleaning unit driving unit 27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cleaning tool 110 and the rotational speed to allow the auxiliary brush 112 or the auxiliary mop 115 to clean adjacent portions of the wall.

제어부(24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로봇 청소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크게 로봇 청소기(1)의 청소 동작을 제어하는 청소 제어부(241),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242), 로봇 청소기(1)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243)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 control program and includes a cleaning control unit 241 for controlling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 control unit 242, and a charge control unit 243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robot cleaner 1.

청소 제어부(241)는 메인 브러시 유닛(30)의 동작뿐만 아니라,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 또는 수렴 여부, 및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 또는 수렴 정도를 제어한다. 또한, 청소 제어부(241)는 본체(10)의 청소 모드를 자동 청소 모드, 복귀 모드, 충전 모드, 충전 완료 모드, 충전 정지 모드 등으로 구별하고, 청소 모드에 따라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 또는 수렴을 제어한다.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controls not only the operation of the main brush unit 30 but also whether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protrude or converge and the protrusion or convergence degree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distinguishes the cleaning mode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automatic cleaning mode, the return mode, the charging mode, the charging completion mode, the charging stop mode, Or convergence of the light beam.

주행 제어부(242)는 본체(10)의 전진, 후진, 또는 회전 주행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주행 제어부(242)는 본체(10)의 주행을 위한 구동 바퀴(41, 42)의 회전 방향과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주행 제어부(242)는 본체(10)의 주행 경로에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본체(10)가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해서 어느 방향으로 선회해야하는지 또는 후진해야하는지 제어한다.The travel control section 242 controls the forward, backward, or rotational travel of the main body 10. [ More specifically, the travel control unit 242 controls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drive wheels 41, 42 for running the main body 10. The travel control unit 242 control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0 should turn or reverse in order to avoid an obstacle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i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

충전 제어부(243)는 로봇 청소기(1)가 청소를 완료한 경우 충전기, 또는 배출 스테이션으로 복귀하여 충전이 이뤄지도록 제어하며, 본체(10)와 충전기가 도킹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 상태를 판단한다. 즉, 충전 제어부(243)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 또는 충전 중 충전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 등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robot cleaner 1 completes cleaning, the charge control unit 243 returns to the charging station or the discharging station so as to perform charging. Wh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dock to perform charging, do. That is, the charge controller 243 can determine whether the charge is completed or the power of the charger is turned off during charging.

이하에서는 상술한 로봇 청소기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청소 유닛의 돌출, 또는 수렴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protrusion or convergence of the sub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robot clea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A to 8D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참조하면, 본체(10)는 충전기(80)에 접촉하여 충전 중인 상태이다. 충전 제어부(241)는 본체(10)가 충전기(80)에 접촉되어 있으면 충전 중인 상태로 감지한다.Referring to FIG. 8A, the main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charger 80 and is charging. The charging control unit 241 detects that the main body 10 is in the charging state when the main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charger 80.

본체(10)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자동 청소 지시에 따라 본체(10)는 충전기(80)와 접촉을 해제하고 청소 영역의 주행을 시작한다. 본체(10)는 미리 정한 주행 경로에 따라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주행 제어부(242)는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을 생성하고 저장한다.When charging of the main body 10 is completed or the main body 10 releases the contact with the charger 80 according to the user's automatic cleaning instruction, the traveling of the cleaning area is started. The main body 10 removes dust on the floor while traveling in a cleaning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vel route. To this end, the travel control unit 242 generates and stores a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raveling rou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한편, 본체(10)가 충전기(80)와 접촉하여 충전 중 사용자가 본체(10)를 들어 임의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본체(10)가 청소를 시작하는 위치는 충전기(80)의 위치에 해당한다. 즉, 본체(10)의 주행 경로의 시작 위치가 충전기(80)의 위치에 해당한다.The position where the main body 10 starts to clean when the main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charger 80 and the user does not move the main body 10 during charging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That i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도 8B를 참조하면, 주행 제어부(242)는 청소 영역 맵을 생성하고, 본체(10)의 주행 경로에 대하여 각각의 주행 영역(D)을 저장한다. 본체(10)는 주행 경로에 따라 주행 영역(D)을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한다. 그리고 주행 제어부(242)는 각각의 주행 영역(D)의 청소 완료 상태를 저장한다. 따라서, 각각의 주행 영역(D)의 청소 완료 상태를 판단하고, 청소를 완료하지 않은 주행 영역(D)을 주행 경로에 따라 차례대로 주행하면서 먼지를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8B, the travel control unit 242 generates a cleaning area map, and stores each traveling area D for the traveling route of the main body 10. [ The main body 10 travels along the traveling region D along the traveling path to remove dust on the floor. The running control section 242 stores the cleaned state of each of the running regions D. [ Thus, the cleaning completion state of each of the running regions D is determined, and dust is removed while the running region D, which has not been cleaned, travels in turn along the running route.

또한, 주행 제어부(242)는 청소 영역 맵에서 본체(10)의 주행 경로의 시작 위치를 충전기(80)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제어부(242)는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80) 위치를 통해 충전기 영역(C)을 식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vel control unit 242 can designate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traveling route of the main body 10 as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in the cleaning area map. The travel controller 242 can identify the charger area C through the location of the charger 80 specified in the cleaning area map.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벽을 추종하면서 주행하는 경우 벽 방향의 보조 청소 유닛(21)를 돌출하여 측벽의 인접부의 먼지를 제거한다. 도 8B에는 우측 보조 청소 유닛(21)를 돌출하여 주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0)의 좌측 벽을 추종하면서 주행하는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좌측 보조 청소 유닛(22)이 돌출된 상태로 주행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B, when the main body 10 travels while following the wall, the auxiliary cleaning unit 21 in the wall direction is protruded to remove dust from the adjacent portion of the side wall. 8B shows a case where the right auxiliary cleaning unit 21 protrudes and travel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traveling while following the left wall of the main body 10, the left auxiliary cleaning unit 22 is protruded State.

도 8C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주행 경로 상에 장애물(O)이 위치할 수 있다. 청소 제어부(241)는 본체(10)가 주행 경로에 따라 주행 영역(D)을 주행하면서 장애물(O)이 감지되면 보조 청소 유닛(21)가 돌출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8C, the obstacle O may be locat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 21 to protrude when the main body 10 travels along the traveling path D along the traveling path and an obstacle O is detected.

특히, 본체(10)의 주행 경로 상에서 본체(10)의 측면에만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이 일시적으로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 후 본체(10)의 내부로 수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청소 유닛(21)의 제어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조 청소 유닛(21)를 일시적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도 장애물(O)이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보조 청소 유닛(21)이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only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the auxiliary cleaning unit 21 temporarily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10 and then converges into the main body 10 Can be controlled. Since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 21 is performed in real time, even when the auxiliary cleaning unit 21 is temporarily driven, when the obstacle O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auxiliary cleaning unit 21 continuously Can be driven.

도 8D를 참조하면, 본체(10)가 충전기 영역(C)에 접근하여 주행하는 경우 장애물 감지부(220)는 본체(10)의 주행 경로 상의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할 수 있다. 청소 제어부(241)가 충전기(80)를 장애물로 판단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을 돌출하는 경우 본체(10)와 충전기(80)의 충돌 위험이 증가하며, 본체(10)와 충전기(80)가 충돌하여 충전기(80)의 위치에 변경이 있는 경우 청소 완료 후 본체(10)가 충전기(80)로 복귀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D, when the main body 10 approaches the charger area C and travels, the obstacle sensing part 220 can sense the charger 80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as an obstacle.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increases when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judges that the charger 80 is an obstacle and protrudes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Wh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80 may collide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may be changed, it may be difficult to return the main body 10 to the charger 80 after completion of cleaning.

따라서, 청소 제어부(241)는 충전기 영역(C)을 식별하여 충전기 영역(C)에서는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주행 제어부(242)는 충전기 영역(C)에 대해서는 본체(10)의 진입을 제한하고, 본체(10)가 충전기 영역(C)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충전기 영역(C)으로 주행하지 않고 회피하여 충전기 영역(C)에 인접한 주행 영역(D)을 통과한다.Therefore,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identifies the charger area C and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in the charger area C. The travel control unit 242 restricts entry of the main body 10 into the charger area C and controls the main body 10 to avoid the charger area C to travel. That is, as shown in FIG. 8D, the main body 10 avoids traveling to the charger area C and passes through the travel area D adjacent to the charger area C.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0)에는 충전 단자(51)가 마련되어 충전기(80)의 충전 단자(81)와 접촉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43)는 본체(10)의 충전 단자(51)가 충전기(80)의 충전 단자(81)에 접촉되어 있으면 충전 중인 상태로 감지한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B는 본체(10)와 충전기(80)의 접촉을 통해 충전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10)는 충전기(8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기적 방식 등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충전 제어부(243)는 본체(10)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본체(1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51 and can contact the charging terminal 81 of the charging device 80. The charge control unit 243 detects that the charging terminal 51 of the main body 10 is in the charging state when the charging terminal 51 of the main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81 of the charging unit 80. [ 9A to 9B illustrate a method of charging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controller 243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main body 10 to detect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ody 10. [

청소 제어부(241)는 충전 제어부(243)로부터 본체(10)의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본체(10)가 충전 중이면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한다. 따라서, 본체(10)가 충전 중에 장애물 감지부(220)가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비정상적인 돌출로 인해 본체(10)와 충전기(80)의 접촉이 해제되거나, 충전기(80)와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충돌로 인해 충전기(8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charge control unit 243 and identifies that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if the main body 10 is being charged. Therefore, the obstacle detecting unit 220 detects the charging unit 80 as an obstacle while the main body 10 is charging, thereby prevent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from protruding. That is, due to the abnormal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th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is released, or the charger 80 and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collide with each oth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or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10)가 충전을 종료하고 후진 주행하여 충전기(80)와 접촉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충전 제어부(243)는 본체(10)의 배터리 잔여량을 확인하고, 미리 정한 배터리 잔여량에 도달한 경우 본체(10)가 충전기(80)로 복귀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체(10)가 충전을 완료한 경우 충전 제어부(243)는 자동으로 본체(10)와 충전기(80)의 접촉을 해제하고 본체(10)가 직전 청소 영역으로 복귀하여 계속적으로 바닥을 청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본체(10)가 충전을 종료하고 빠른 속도로 후진 주행하는 경우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을 돌출할 수 있다.10,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finishes charging and travels backward to release contact with the charger 80 is shown. The charging control unit 243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main body 10 and controls the running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return to the charger 80 and charge the battery when the predetermined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reached . The charging control unit 243 automatically releases th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and controls the main body 10 to return to the immediately preceding cleaning area to continuously clean the floor can do. At this time, when the main body 10 finishes charging and moves backward at a high speed,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can be protruded by sensing the charger 80 as an obstacle.

따라서, 청소 제어부(21, 22)는 본체(10)가 충전을 종료하고 후진 주행하는 경우 미리 정한 시간 동안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충전 제어부(243)는 본체(10)의 충전 종료 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을 종료한 경우 본체(10)의 충전 상태 정보를 청소 제어부(241)로 송신한다. 청소 제어부(241)는 본체(10)의 주행 속도를 고려하여 본체(10)가 충전기로부터 일정 거리 밖으로 벗어나는 일정 시간 동안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을 제한한다.Accordingly, the cleaning control units 21 and 22 recognize that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main body 10 finishes charging and runs backward, and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do not protrude . The charging control unit 243 senses the charging completion state of the main body 10 and transmits the charging sta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10 to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when charging is completed.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restricts the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main body 10 is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ger in consideration of the running speed of the main body 10. [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1 to 12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충전기(80)는 장애물로부터 충전기(8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신호를 송신한다. 본체(10)에는 식별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230)가 마련되어 충전기(80)에서 송신하는 식별 신호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정면 또는 측면에 복수의 신호 센서(63)가 설치되어 충전기(8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감지부(230)는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충전기(80)의 식별 신호를 감지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charger 80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ignal that allows the charger 80 to be identified from the obstacle.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ignal sensing unit 230 for sens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sense an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80.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signal sensors 63 ar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80. The signal sensing unit 230 receive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80 And an identification signal is detected.

여기서, 식별 신호는 충전기(80)와 본체(10)의 도킹을 위해 충전기(80) 측으로 본체(10)의 주행을 유도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청소를 완료한 경우 본체(10)는 충전기(80)로 복귀하기 위한 주행 알고리즘에 따라 충전기(80)를 향해 주행하게 된다. 이 때 충전기(80)의 위치를 추정하여 충전기(80)와 본체(10)의 도킹, 구체적으로 충전기(80)의 접촉 단자와 본체(10)의 접촉 단자의 접촉을 위해 충전기(80)에서 송신하는 신호이다.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body 10 toward the charger 80 for docking the main body 10 with the charger 80. That is, 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the main body 10 travels toward the charger 80 according to the traveling algorithm for returning to the charger 80. [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is estim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80 in order to dock the charger 80 and the main body 10, specifically, to mak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of the charger 80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main body 10. [ .

예를 들어, 충전기(80)에는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82)가 설치되어, 충전기(80)의 전방 또는 측방에 대하여 식별 신호 영역(L)을 형성한다. 여기서, 각 적외선 신호의 세기 또는 도달 거리를 달리하여 제1 적외선 신호 송신부는 저출력의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여 제1 적외선 신호 영역를 형성하고, 제2 적외선 신호 송신부는 고출력의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여 제1 적외선 신호 영역보다 작은 제2 적외선 신호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적외선 신호와 제2 적외선 신호는 서로 중첩되지만 도달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er 80 is provided with a signal transmitter 82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signal to form an identification signal area L for the front or side of the charger 80. Here, the first infrared signal transmitter transmits a low-output infrared signal to form a first infrared signal region, and the second infrared signal transmitter transmits a high-output infrared signal to the first infrared signal transmitter, A second infrared signal region smaller than the signal region may be formed. The first infrared signal and the second infrared signal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ut the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aching distance o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즉, 충전기(80)에 설치되는 신호 송신부(82)는 충전기(80)의 전방 또는 측방을 향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여 식별 신호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식별 신호는 적외선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등도 동일한 방식으로 가능하다.That is, the signal transmitter 82 provided in the charger 80 can transmit an infrared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oward the front or the side of the charger 80 to form an identification signal area. An ultrasonic signal, a laser signal, and the like are also possible in the same manner.

본체(10)에 설치되는 신호 센서(63)는 적외선 신호 등을 수신하고, 청소 제어부(241)는 신호 감지부(230)를 통해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식별 신호를 통해 장애물과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고,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주행 제어부(242)는 본체(10)의 충전이 필요하거나 청소를 종료한 상태가 아니고, 청소를 위해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고 있는 동안 본체(10)의 주행을 유도하는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본체(10)와 충전기(80)가 도킹하도록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는 본체(10)와 충전기(80)의 도킹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기 때문이다.The signal sensor 63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receives an infrared signal or the like and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detects that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signal sensing unit 230 And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not to protrude. That is, the obstacle and the charger area are identifi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signal so that the main cleaning unit 21, 22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and the main body 10 avoids the charger area and runs. When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body 10 is sensed while the main body 10 is traveling along the traveling route for cleaning rather than requiring the main body 10 to be charged or cleaned, 10 do not control the running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are docked. This is because docking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is not required.

도 12를 참조하면, 식별 신호는 충전기(80)의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충전기(80)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형태로 충전기 영역을 형성하여, 본체(10)가 충전기(8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이다. 충전기(80)와 본체(10)의 도킹을 위한 신호와 달리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하여 본체(10)가 충전기(80)를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하는 신호이다.Referring to FIG. 12, 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a signal forming the area of the charger 80. That is, a charger area is formed in a form having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on the front side or the side of the charger 80 to prevent the main body 10 from entering the charger 80. Unlike the signal for docking the charger 80 and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senses the charger 80 as an obstacle so that the main body 10 avoids the charger 80 and travels.

충전기(80)에는 식별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83)가 설치되어, 충전기(80)의 전방 또는 측방에 대하여 식별 신호 영역(A)을 형성한다. 여기서, 식별 신호는 서로 중첩되지만 도달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제어부(242)는 제2 신호 영역이 식별되는 경우 본체(10)의 주행 경로에 충전기(80)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본체(10)의 주행에 주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 감지부(220)의 감지도를 높여 본체(10)와 충전기(80)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와 함께 제1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주행 제어부(242)는 본체(10)와 충전기(80)의 충돌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본체(10)를 회전하고 충전기(80)를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signal transmitter 83 for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is provided in the charger 80 to form an identification signal area A in front of or behind the charger 80. [ Here, the identification signals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but can be divided into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according to the arrival distance o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ignal area is identified, the travel control unit 242 determines that the charger 80 is located on the traveling route of the main body 10, and can pay attention to traveling of the main body 1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by increasing the degree of detection of the obstacle detecting unit 220. When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together with the second signal, the travel control unit 242 determines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and rotates the main body 10 to rotate the charger 80 And can be controlled to avoid running.

충전기(80)가 송신하여 형성하는 식별 신호 영역(A)은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signal area A formed by the charger 8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본체(10)에 설치되는 신호 센서(63)는 적외선 신호 등을 수신하고, 청소 제어부(241)는 신호 감지부(230)를 통해 식별 신호를 감지한다. 청소 제어부(241)는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충전기(80)를 장애물로 판단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인 장애물의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어 장애물의 인접부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제어하지만, 충전기(80)의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충전기(80)와 본체(10)의 충돌을 방지하고 충전기(80)의 위치에 변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The signal sensor 63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receives an infrared signal or the like and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senses an iden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signal sensing unit 230.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determines that the charger 80 is an obstacle and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not to protrude when an identification signal is detected. The charger 80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so as not to protrude in the case of the charger 80 so that the charger 80 can control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to protrude, And the main body 10 and prevents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from being chang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체(10)는 충전을 위해 충전기(80)와 도킹할 수 있다. 본체(10)와 충전기(80)가 도킹하는 경우 본체(10)의 충전 단자(51)와 충전기(80)의 충전 단자(81)가 접촉한다. 이 때 신호 센서(63)는 충전기(80)의 신호 송신부(82)로부터 송신되는 신호(L)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신호 감지부(230)는 충전기 영역을 나타내는 식별 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충전 제어부(243)는 본체(10)의 충전 단자(51)와 충전기(80)의 충전 단자(81)의 접촉을 감지한다. 충전 제어부(243)가 본체(10)의 충전 중인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청소 제어부(241)는 본체(10)가 정지 상태에서 충전기(80)의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즉, 청소 제어부(241)는 본체(10)가 충전을 위해 충전기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main body 10 may be docked with the charger 80 for charging. Wh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are docked, the charging terminal 5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ing terminal 81 of the charger 8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ignal sensor 63 receives the signal 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82 of the charger 80. The charging control unit 243 senses the contact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5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ing terminal 81 of the charging unit 80 Detection. Even if the charging controller 243 does not detect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controller 10 controls the cleaning controller 241 such that when the main body 10 detects the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charger 80 when the main body 10 is stopped, Area. ≪ / RTI > That is,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can control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not to protrude when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or charging.

한편, 도 13은 식별 신호의 일 예로서 본체(10)와 충전기(80)의 도킹을 위해 본체(10)를 충전기(80)측으로 유도하는 신호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하여 본체(10)가 충전기(80)를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하는 신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가 충전기(8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의 경우에도 본체(10)는 충전기(80)에 진입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즉, 본체(10)의 충전 복귀 모드로 인해서 본체(10)가 충전을 위해 충전기(80)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충전기(80)의 식별 신호가 감지됨에도 불구하고 충전기(80)와 접촉할 수 있다. 본체(10)가 충전기(80)와 접촉하여 충전 복귀 모드가 종료하고 충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도 충전기(80)에서는 계속하여 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기(80)의 식별 신호가 감지됨에 따라 청소 제어부(241)는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할 수 있으나, 본체(10)의 정지 상태를 통해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충전 중에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하여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13 shows a signal for guiding the main body 10 to the charger 80 side for docking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as an example of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main body 10 to avoid the charger 80 and to travel.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 signal for preventing the main body 10 from entering the charger 80, the main body 10 may be able to enter the charger 80. That is, when the main body 10 approaches the charger 80 for charging due to the charging / returning mod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may contact the charger 80 even though the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charger 80 is detected . Even when the main body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harger 80 to end the charge return mode and enter the charging mode, the charger 80 can continue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signal.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can sense the charger 80 as an obstacle as the identification signal of the charger 80 is sensed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through the stopped state of the main body 10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can be controlled not to protrude. Therefore, the charger 80 is detected as an obstacle during the charging of the main body 10 to prevent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from protruding.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charger area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0)는 미리 정한 주행 경로에 따라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주행 제어부(242)는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을 생성하고 본체(10)의 주행 경로에 대하여 각각의 주행 영역(D)을 저장한다. 본체(10)는 주행 경로에 따라 주행 영역(D)을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main body 10 removes dust on the floor while traveling in a cleaning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veling route. To this end, the travel control unit 242 generates a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he traveling path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stores the respective traveling areas D i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 The main body 10 travels along the traveling region D along the traveling path to remove dust on the floor.

본체(10)의 주행 경로 상에서 충전기(80)의 식별 신호(L)가 감지되는 경우 주행 제어부(242)는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위치를 충전기(80)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주행 제어부(242)는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80) 위치를 통해 충전기 영역(C)을 식별하고, 충전기 영역(C)을 장애물로 감지하지 않는다. 즉, 주행 제어부(242)는 충전기 영역(C)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지만,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보조 청소 유닛(21, 22)을 돌출하는 경우 본체(10)와 충전기(80)의 충돌 위험이 증가하고, 충돌로 인해 충전기(80)의 위치에 변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소 제어부(241)는 충전기 영역(C)을 식별하여 충전기 영역(C)에서는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When the identification signal L of the charger 80 is sensed on the traveling route of the main body 10, the travel control unit 242 can designate the posi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sensed to the charger 80 position. The travel control unit 242 identifies the charger area C through the location of the charger 80 specified in the cleaning area map and does not detect the charger area C as an obstacle. That is, the travel control unit 242 controls the sub-cleaning units 21 and 22 so as not to protrude while avoiding the charger area C and controlling to travel.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increases when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are protruded and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may be changed due to the collision. Therefore,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identifies the charger area C and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not to protrude in the charger area C.

도 14는 식별 신호의 일 예로서 본체(10)와 충전기(80)의 도킹을 위해 본체(10)를 충전기(80)측으로 유도하는 신호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전기(80)를 장애물로 감지하여 본체(10)가 충전기(80)를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하는 신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14 shows a signal for guiding the main body 10 to the charger 80 side for docking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as an example of the identification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signal for detecting the obstacle and causing the main body 10 to avoid the charger 80 to travel.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virtual obstacle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제한 신호 유닛(90)은 식별 신호를 송신하여 돌출 제한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 제한 영역은 제한 신호 유닛(90)에서 송신하는 식별 신호로 형성되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으로서 본체(10)가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limiting signal unit 90 transmit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form a protruding limiting region.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is formed so that the main body 10 avoids a virtual obstacle area and runs as a virtual obstacle area formed by th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

본체(10)에 마련되는 신호 감지부(230)는 제한 신호 유닛(90)에서 송신하는 식별 신호를 감지하고, 청소 제어부(241)는 식별 신호를 통해서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정면 또는 측면에 신호 센서(63)가 설치되어 제한 신호 유닛(9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감지부(230)는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제한 신호 유닛(90)의 식별 신호를 감지한다.The signal sensing unit 2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senses the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and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identifies the protrusion restriction reg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signal. The signal sensor 63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The signal sensing unit 23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90).

여기서, 식별 신호는 제한 신호 유닛(90)의 일 방향에 미리 정한 크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신호는 미리 정한 두께 및 길이로 직선의 가상의 벽 영역(W)을 형성할 수 있다. 주행 제어부(242)는 가상의 벽 영역(W)이 감지되는 경우 가상의 벽 영역(W)에 진입하지 않고 선회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벽 영역(W)은 벽과 바닥 사이의 인접부에 쌓인 먼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청소 제어부(241)는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가상의 벽 영역(W)을 형성하는 식별 신호는 제한 신호 유닛(90)의 일 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dentification signal can form a virtual obstacle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signal can form a virtual wall area W of a straight lin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The travel control unit 242 can control to travel so as to travel without going into the virtual wall area W when the virtual wall area W is detected. In addition, since the dust accumulated in the adjoining portion between the wall and the floor does not exist in the imaginary wall region W,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not to protrude.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ming the imaginary wall region W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transmitted within a certain angular range toward one direction of the limit signal unit 90.

한편, 식별 신호는 제한 신호 유닛(90)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R)을 형성할 수 있다. 제한 신호 유닛(90)은 가상의 장애물 영역(R)을 형성하여, 본체(10)의 진입을 방지한다. 즉, 제한 신호 유닛(90)의 둘레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R)을 장애물로 감지하여 본체(10)가 제한 신호 유닛(90)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청소 제어부(21, 22)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R)을 장애물로 감지하지만,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보조 청소 유닛(21, 22)과 제한 신호 유닛(90)이 충돌하는 경우 제한 신호 유닛(90)의 위치에 변동이 생겨 제한 신호 유닛(90)이 형성하는 가상의 벽 영역(W)에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가상의 벽 영역(W) 너머에는 충돌로 인한 파손의 염려가 있는 물건 등이 위치하여, 사용자가 제한 신호 유닛(90)으로 가상의 벽 영역(W)을 형성하여 본체(10)의 진입을 제한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can form a virtual obstacle region R having a constant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forms a virtual obstacle region R to prevent the entry of the main body 10. [ That is, it is a signal to cause the main body 10 to avoi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to travel by sensing the virtual obstacle region R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as an obstacle. The cleaning control units 21 and 22 detect the virtual obstacle region R as an obstacle but control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not to protrude. A change occurs in the posi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when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collide with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so that a change is made in the virtual wall area W formed by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This is because it can happen. An object or the like which is likely to be damaged due to collision is placed beyond the imaginary wall region W so that the user can form a virtual wall region W with the limit signal unit 90 Limit entry.

제한 신호 유닛(90)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R)을 형성하는 식별 신호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한 신호 유닛(90)의 측면에 복수 개의 신호 송신부가 설치되어, 제한 신호 유닛(90)이 위치한 바닥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한 신호 유닛(90)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 형태로 신호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신호 영역을 형성하는 식별 신호는 적외선 신호에 제한되지 않고, 초음파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An identification signal forming a virtual obstacle region R having a constant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can use an infrared signal. That is, when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and an infrared signal is transmitted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floor where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is located, The signal area can be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ming the signal area is not limited to the infrared signal, and the ultrasonic signal or the laser signal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식별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virtual obstacle area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신호 감지부(230)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외에도 자기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청소 제어부(241)는 자기장 신호를 통해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고,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signal sensing unit 230 may sense a magnetic field signal in addition to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identifies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through the magnetic field signal, and controls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so as not to protrude.

한편, 돌출 제한 영역은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한 신호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자석 벨트(M)가 형성하는 자기장 영역일 수 있다. 본체(10)의 주행 경로에 자석 벨트(M)가 위치하는 경우 주행 제어부(242)는 장애물로 감지하여 본체(10)가 자석 벨트(M)를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청소 제어부(241)는 자기장 신호가 감지되는 자기장 영역을 돌출 제한 영역으로 식별하므로,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자석 벨트(M)는 자기장 영역을 형성하는 일 예에 해당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장을 형성하는 어떠한 장치 또는 물체도 동일한 방식으로 돌출 제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limiting region may be formed of a limiting signal uni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nd may be a magnetic field region formed by a magnet belt M installed on the flo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When the magnet belt M is position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the travel control unit 242 detects the obstacle and controls the main body 10 to avoid the magnet belt M to travel. Further, the cleaning control unit 241 identifies the magnetic field area where the magnetic field signal is sensed as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so that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are prevented from protruding. Here, since the magnet belt M corresponds to an example of forming a magnetic field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device or object forming a magnetic field can form a protrusion limiting region in the same manner.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주행 알고리즘에 따라 본체(10)가 바닥을 주행하면서 메인 브러시로 바닥을 쓸어 청소한다(S310). 본체(10)에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부(220)를 마련하고, 장애물 감지부(220)를 통해 본체(10)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한다(S320).Referring to FIG. 17, first, the main body 10 travels on the floor according to the traveling algorithm, and sweeps the floor with the main brush to clean the floor (S310). An obstacle sensing unit 22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or an ultrasonic signal to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and an obstacle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is sensed through the obstacle sensing unit 220 at step S320.

그리고, 감지된 장애물 영역이 충전기 영역인지 식별한다(S330). 여기서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가능하다. 로봇 청소기(10)는 본체(10)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을 통해서 청소 영역을 주행하고 청소 영역의 청소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본체(10)의 주행 경로의 시작 위치를 충전기(80) 위치로 지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경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80) 위치를 충전기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obstacle area is a charger area (S330). Here,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is possible in various ways. The robot cleaner 10 can run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he traveling path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10 and determine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completely cleaned. Charger 80 position.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harger 80 specified in the cleaning area map can be identified as the charger area.

또한, 본체(1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충전기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즉, 본체(1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본체(10)가 충전 중이면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본체(10)의 충전 종료 상태를 감지하고, 본체(10)가 충전을 종료하고 후진 주행하면 미리 정한 시간 동안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본체(10)는 충전을 종료하는 경우 후진 주행하여 충전을 위해 청소를 종료했던 위치로 복귀하는 주행을 한다. 이 경우 미리 정한 시간 동안 본체(10)가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함으로써 본체(10)가 후진 주행하는 동안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본체(10)의 충전 중 또는 충전 종료시에 본체(10)와 충전기(8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ger area can be identified by a method of detect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ody 10. [ That is, if the main body 10 is being charg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ody 10,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 the charging area. The charging end state of the main body 10 may be sensed in a similar manner and the main body 10 may be identified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ing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main body 10 finishes charging and runs backward. The main body 10 travels backward to return to the position where cleaning has been completed for charging. In this case, by identifying the main body 10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are prevented from protruding while the main body 10 is running backward. This is for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harger 80 during charging of the main body 10 or at the end of charging.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방법은 충전기(80)에서 식별 신호를 송신하고, 충전기(80)에서 송신하는 식별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본체(10)에 신호 감지부(230)를 마련하고, 감지되는 식별 신호를 통해 충전기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기(80)와 본체(10)의 도킹을 위해 본체(10)의 주행을 유도하는 신호이거나 충전기(80)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충전기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일 수 있다.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장애물 영역을 충전기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가 충전을 위해 충전기(80)와 접촉하는 경우 본체(10)는 정지 상태이며, 이 경우에도 식별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즉, 본체(10)가 정지 상태에서 식별 신호가 감지되면,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 영역 맵을 이용하여,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위치를 충전기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A method of identifying the charger area may be a method of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at the charger 80 and sens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at the charger 80.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the signal sensing unit 230 and the charger area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sensed identification signal. Here, 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body 10 for docking the charger 80 and the main body 10, or may be a signal for forming a charger area having a curved surface on the front side or the side of the charger 80 Lt; / RTI > When an identification signal is detected, the obstacle area can be identified as a charger area.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in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charger 80 for charging, the main body 10 is in a stopped state, and an identification signal can be sensed even in this case. That is, if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detected while the main body 10 is stationary, it can be identified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urther, by using the cleaning area map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sensed can be designated as the charger position.

충전기 영역인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S340). 보조 청소 유닛(21, 22)의 돌출로 인해 충전기(8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체(10)가 충전기(80)를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여, 본체(10)와 충전기(80)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harger area,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are controlled so as not to protrude (S340).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charger 80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ody 10 from colliding with the charger 80 by controlling the main body 10 to avoid the charger 80 and running.

충전기 영역이 아닌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도록 제어하여, 장애물 인접부에 쌓인 먼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350).If it is not the charger area,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protrude to clean the dust accumulated in the vicinity of the obstacle (S350).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1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주행 알고리즘에 따라 본체(10)가 바닥을 주행하면서 메인 브러시로 바닥을 쓸어 청소하고(S410), 본체(10)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한다(S420).Referring to FIG. 18, first, the main body 10 sweeps the floor with the main brush while sweeping the floor according to the traveling algorithm (S410), and detects an obstacle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10 (S420).

장애물이 감지되면 감지된 장애물 영역이 돌출 제한 영역인지 식별한다(S430). 여기서 돌출 제한 영역은 제한 신호 유닛(90)에서 송신하는 식별 신호를 통해서 식별하는데, 이를 위해 본체(10)에는 식별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If an obstacle is detected, it is discriminated whether the detected obstacle region is a protrusion limiting region (S430). In this case,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is identified through an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To this end,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signal sensing unit 230 for sensing an identification signal.

돌출 제한 영역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한 신호 유닛(90)의 일 방향에 미리 정한 크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거나, 제한 신호 유닛(90)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의 장애물 영역은 실제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지만,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하여 본체(10)가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장애물 영역과 가상의 장애물 영역의 차이점은 하기와 같이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는지 여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 신호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otruding restriction region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by forming a virtual obstacle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or by forming a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90 It is possible to form a virtual obstacle area. The virtual obstacle area is for controlling the main body 10 to avoid a virtual obstacle area while sensing that an actual obstacle is not present but an obstacle exist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tacle area and the virtual obstacle area is whether or not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protrude as follows.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 laser signal, or the like.

한편, 돌출 제한 영역은 자기장 영역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석 벨트와 같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장치 또는 물체를 바닥에 설치하고,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여 자기장 신호를 통해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자기장 영역이 감지되는 경우 본체(10)는 자기장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되는 한편, 보조 청소 유닛도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에 마련되는 신호 센서에 자석 센서를 이용하면, 자석 벨트 등에서 형성하는 자기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limiting reg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region. For example, a device or object that forms a magnetic field, such as a magnet belt,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a magnetic field signal may be sensed to identify a protrusion restricted area through a magnetic field signal. When the magnetic field area is sensed, the main body 10 is controlled so as to avoid the magnetic field area and run, while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so as not to protrude. Here, when a magnetic sensor is used for the signal sensor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 magnetic field signal formed by a magnet belt or the like can be sensed.

돌출 제한 영역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0)의 진입을 방지하는 진입 방지선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로봇 청소기(1)는 진입 방지 선을 전자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 등을 통해 감지하거나, 비전 인식을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The method of forming the protruding restriction reg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in the form of an entry preventing line for preventing entry of the main body 10, and the robot cleaner 1 may prevent the entry preventing line from passing through an electromagnetic signal, Sensing, or vision recognition.

최종적으로, 장애물 영역이 돌출 제한 영역인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S440), 돌출 제한 영역이 아닌 경우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돌출되도록 제어하여, 장애물 인접부에 쌓인 먼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S450).Finally, when the obstacle region is the protrusion limiting region, control is performed such that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are not protruded (S440). If the obstacle region is not the protrusion limiting region,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are protruded, So that dust accumulated in the adjacent portion can be cleaned (S450).

상술한 로봇 청소기(1)의 동작은 충전기(80)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로봇 청소기(1)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는 배출 스테이션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robot cleaner 1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harger 80 but also to the discharge station for discharging the dust stored in the robot cleaner 1 in the same mann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 청소기(1)의 보조 청소 유닛(21, 22)이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보조 청소 유닛의 개수 및 설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cleaning units 21 and 22 of the robot cleaner 1 ar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However, the number of auxiliary cleaning uni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210: 입력부 220: 장애물 감지부
230: 신호 감지부 240: 제어부
250: 본체 구동부 260: 메인 브러시 유닛 구동부
270: 보조 청소 유닛 구동부
210: input unit 220: obstacle detection unit
230: Signal detection unit 240: Control unit
250: main body driving part 260: main brush unit driving part
270: auxiliary cleaning unit driving unit

Claims (35)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충전기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 body running on the floor;
An obsta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being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converge; And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to protrude or converge when the obstacle is sensed, and to control the auxiliary cleaning unit so as not to protrude in the charger area by identifying the charg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nd stores a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raveling rou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의 시작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esignates the start position of the travel path of the main body as the position of the charger in the cleaning area map, identifies the area of the charger through the designated charger position in the cleaning area map, A robot cleaner that controls driv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a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충전 중이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identifies that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main body is being char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충전을 종료하고 후진 주행하면 미리 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identifies the main body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main body finishes charging and runs back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er, wherein the controller identifies the charger area through the signal and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charger area to trave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와 상기 본체의 도킹을 위해 상기 충전기 측으로 상기 본체의 주행을 유도하는 신호인 로봇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is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body to the charger side for docking the charger and the main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을 향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transmit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oward the front or the side of the charg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충전기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인 로봇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is a signal forming a charger area having a constant curved surface on the front or side of the charg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으로 신호 영역을 형성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forming a signal area in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on the front side or the side of the charger.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서로 중첩되지만 도달 거리 또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제1 신호와 제2 신호로 구분되는 로봇 청소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0,
Wherein the signals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but are divided into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according to a reaching distance or an intensity of a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정지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identifies the main body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signal is sensed while the main body is at res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식별 신호가 감지되는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d stores a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raveling rou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designates a posi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sensed in the cleaning area map as the charger position, Wherein the main body identifies the charger area and controls the main body to travel by avoiding the charger area.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돌출 제한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 body running on the floor;
An obsta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being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converge; And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to protrude or converg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and to control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so as to prevent the auxiliary cleaning unit from protruding in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제15항에 있어서,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로 형성되는 로봇 청소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sensing unit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protrusion restriction area through the signal,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일 방향에 미리 정한 크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ignal forms a virtual obstacle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virtual obstacle area to trave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미리 정한 두께 및 길이로 직선의 가상의 벽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인 로봇 청소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ignal is a signal forming a virtual wall area of a straight lin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일 방향을 향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transmit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oward one direction of the restriction signal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ignal forms a virtual obstacle area having a constant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the virtual obstacle area to trave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으로 신호 영역을 형성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identification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ignal, an ultrasonic signal, and a laser signal forming a signal area with a constant curved surface around the restriction signal unit.
제15항에 있어서,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자석 벨트가 형성하는 자기장 영역인 로봇 청소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signal, wherei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through the magnetic field signal, and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is a magnetic field area formed by a magnet belt installed on the floo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자기장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in body to avoid running the magnetic field area.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을 주행하면서 상기 바닥을 청소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충전기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for a robot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for running on the floor, an obsta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main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for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leaning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the floor;
Detecting an obstacle on a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And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to protrude or converg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so that the auxiliary cleaning unit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in the charging area by identifying the charging area.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의 시작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상기 충전기 영역으로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designates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to the charger position in the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he traveling path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identifies the charger position specified in the cleaning area map as the charger area Control method of robot clean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본체가 충전 중이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senses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ody and identifies the main body as being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main body is being charged.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충전 종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본체가 충전을 종료하고 후진 주행하면 미리 정한 시간 동안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detects the charge completion state of the main body and identifies that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main body finishes charging and runs backwar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충전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sens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charger and identifies the charger area through the signal.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충전기와 상기 본체의 도킹을 위해 상기 충전기 측으로 상기 본체의 주행을 유도하는 신호 또는 상기 충전기의 전방 또는 측방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충전기 영역을 형성하는 신호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signal is a signal for inducing running of the main body to the charger side for docking the charger and the main body or a signal for forming a charger area having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in the front or side of the charge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가 정지 상태에서 상기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본체가 상기 충전기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identifies that the main body is located in the charger area when the signal is sensed while the main body is at rest.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영역의 식별은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 맵에서 상기 신호가 감지되는 위치를 상기 충전기 위치로 지정하고 상기 청소 영역 맵에서 지정된 충전기 위치를 통해 상기 충전기 영역을 식별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ger area is performed by a robot cleaner that identifies a position at which the signal is sensed in a cleaning area map including travel route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to the charger position and identifies the charger area through a charger location specified in the cleaning area map, / RTI >
바닥을 주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근접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청소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을 주행하면서 상기 바닥을 청소하는 단계;
상기 본체의 주행 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 또는 수렴되도록 제어하고,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여 상기 돌출 제한 영역에서는 상기 보조 청소 유닛이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for a robot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for running on the floor, an obstacl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stacle approaching the main body, an auxiliary cleaning unit for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Cleaning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the floor;
Detecting an obstacle on a traveling path of the main body; And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cleaning unit to protrude or converge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and to control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so that the auxiliary cleaning unit does not protrude in the protrusion limiting area.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의 식별은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제한 신호 유닛에서 송신하는 신호로 형성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det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and identifies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through the signal, and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is formed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unit Way.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일 방향에 미리 정한 크기의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한 신호 유닛의 둘레에 일정한 곡면을 가지는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가상의 장애물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signal forms a virtual obstacle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in one direction of the limiting signal unit or forms a virtual obstacle region having a constant curved surface around the limiting signal unit, 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avoid running.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의 식별은 자기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자기장 신호를 통해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돌출 제한 영역은 상기 바닥에 설치되는 자석 벨트가 형성하는 자기장 영역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33. 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truding restriction area detects a magnetic field signal and identifies the protrusion restriction area through the magnetic field signal, and the protrusion restriction area is a magnetic field area formed by a magnet belt installed on the bottom.
KR1020120022470A 2011-10-21 2012-03-05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70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52,867 US9480379B2 (en) 2011-10-21 2012-10-16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01210401150.4A CN103054517B (en) 2011-10-21 2012-10-19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12189254.1A EP2583610B1 (en) 2011-10-21 2012-10-19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2012231778A JP2013085964A (en) 2011-10-21 2012-10-19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151,196 US10335005B2 (en) 2011-10-21 2016-05-10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21 2011-10-21
KR20110108221 2011-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31A true KR20130044131A (en) 2013-05-02
KR101970586B1 KR101970586B1 (en) 2019-04-22

Family

ID=4865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470A KR101970586B1 (en) 2011-10-21 2012-03-05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58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968A (en) * 2014-02-28 2016-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remote controller therein
WO2018135870A1 (en) * 2017-01-18 2018-07-26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273A (en) * 1993-12-02 1995-06-20 Nippon Yusoki Co Ltd Self traveling type vacuum cleaner
US20010004719A1 (en) * 1998-07-31 2001-06-21 Volker Sommer Service robot for the automatic suction of dust from floor surfaces
JP2005006857A (en) * 2003-06-18 2005-01-13 Toshiba Tec Corp Vacuum cleaner
US20050156562A1 (en) * 2004-01-21 2005-07-2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auto-dock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5211366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KR20070107956A (en) * 2006-05-04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KR20090033608A (en)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273A (en) * 1993-12-02 1995-06-20 Nippon Yusoki Co Ltd Self traveling type vacuum cleaner
US20010004719A1 (en) * 1998-07-31 2001-06-21 Volker Sommer Service robot for the automatic suction of dust from floor surfaces
JP2005006857A (en) * 2003-06-18 2005-01-13 Toshiba Tec Corp Vacuum cleaner
US20050156562A1 (en) * 2004-01-21 2005-07-2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auto-dock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332890B2 (en) * 2004-01-21 2008-02-19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auto-dock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5211366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KR20070107956A (en) * 2006-05-04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KR20090033608A (en)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968A (en) * 2014-02-28 2016-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remote controller therein
KR20220095249A (en) * 2014-02-28 202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remote controller therein
US11550316B2 (en) 2014-02-28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remote controller included therein
WO2018135870A1 (en) * 2017-01-18 2018-07-26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46520B2 (en) 2017-01-18 2021-03-16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586B1 (en)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3610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1006795B2 (en) Robot cleaner
KR101752190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5311B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54956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21095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315275B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133746B2 (en) Autonomous machine for docking with a docking station and method for docking
KR101666902B1 (en) Controlling Method of Cleaner
KR102301758B1 (en) Autonomous Mobile Robot and Method for Driving Control the same
KR101970582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70586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53309B1 (en) Robot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37643A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742680B2 (en) Autonomous vehicle
JP7089452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201001005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ervation cleaning of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