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705A - 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 Google Patents

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705A
KR20110060705A KR1020090117375A KR20090117375A KR20110060705A KR 20110060705 A KR20110060705 A KR 20110060705A KR 1020090117375 A KR1020090117375 A KR 1020090117375A KR 20090117375 A KR20090117375 A KR 20090117375A KR 20110060705 A KR20110060705 A KR 2011006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mote control
robot
remo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51787B1 (en
Inventor
김윤구
김진욱
안진웅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1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787B1/en
Publication of KR2011006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5Force or torqu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2Optical sensing devices usin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6Acous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4Vie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Abstract

PURPOSE: A remote-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steer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a remote controller used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allow an operator to recognize a wider range of front situation by displaying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which is formed by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CONSTITUTION: A remote-controlled robot system(10) comprises a remote-controlled robot(20) and a remote controller(30). The remote-controlled robot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200), a camera(220), a distance sensor unit(230), and a robot control unit(210). The distance sensor unit scans obstacles and spaces to detect information on distances to surrounding obstacles. The robot control unit transmits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amera and distan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tance sensor unit to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300), an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33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310).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remote-controlled rob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offers steering information and velocity information about the remote-controlled robot. The operation control unit creates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outputs the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a display unit, and transmits the steering information and velocity information to the remote-controlled robot.

Description

조향 결정 성능이 향상된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원격 조종기{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되는 원격 조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거리 센서, 영상 정보, 햅틱(Haptics) 기술등을 사용하여 조향 결정 성능을 향상시킨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원격 조종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robot system and a remote control device us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 robot system using a distance sensor, image information, haptics technology, and the like to improve steer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to use the same. Being a remote controller.

현재의 유용한 로봇들의 자율주행 성능수준은 가시권내 또는 비가시권내의 원격조종으로 움직이는 수준에서 원활히 동작하며 그 임무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원격조종기의 조종성능이 곧 로봇이 미지의 환경을 극복하고 효율적으로 주행하며 로봇에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로봇기술요소가 된다. The self-driving performance level of the current useful robots operates smoothly at the level of the remote control within the visible or invisible range and performs its mission or function. In this respect, the remote controller's maneuverability is essential for the robot to overcome the unknown environment, drive efficiently, and perform the tasks given to the robot.

기존의 원격조종기는 가시권의 경우 원격조종로봇의 주행 및 움직임을 보면서 조작하거나, 비가시권의 경우 원격로봇이 탑재하고 있는 카메라를 통한 전방 시야의 영상을 수신하여 원격조종자가 로봇을 조종하는 형태이었다. 특히, 비가시권 원격조종기의 경우 로봇에서 보내오는 전방시야의 영상이 그 시야각이 좁고 수신영상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원격조종자의 원격조종성능은 저하되고 비가시권 영역의 원격로봇의 주행성과 활용성이 더불어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하여 원격로봇의 충돌 및 고립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visibl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robot operates while watching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robot, or in the non-visible area, receives the image of the front view through the camera mounted on the remote robot and controls the robo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non-viewing tele remote controller, when the front view image from the robot has a narrow viewing angle and poor reception image quality, the remote control performance of the remote control is degraded and the driving and usability of the remote robot in the non-visible region is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to decrease rapidly. This causes problems such as collision and isolation of the remote robot.

또한, 기존의 원격조정기는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의 좁은 시야각으로 인하여 조종자가 원격조정기를 통해 볼수 있는 시야각이 좁으며, 카메라의 영상만을 통해 로봇과 장애물과의 원근(遠近)감을 파악해야 되므로 원근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원격조종시의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existing remote controller has a narrow viewing angle that the operator can se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due to the narrow viewing angl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robot, and the perspective of the robot and the obstacle must be understood only through the camera image. Since it cannot be grasped correctly, the problem that the running performance at the time of remote control falls.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모바일 로봇들에 탑재하고 있는 초음파센서나 레이저 센서 등의 거리센서정보를 부가적으로 원격조종기에 제공함으로써, 카메라의 좁은 시야각을 해결하고 로봇과 장애물과의 원근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원격 조종 로봇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the remote controller with distance sensor information, such as ultrasonic sensors or laser sensors mounted on remote mobile robots, to solve the narrow viewing angle of the camera and to prevent the robot and obstacles. It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robot system that can improve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remote control robot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the remote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 모바일 로봇들로부터 제공되는 초음파센서나 레이저 센서 등의 거리센서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원격 조종 로봇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격 조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ler that can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of the remote control robot by using the distance sensor information, such as ultrasonic sensors or laser sensors provided from remote mobile robo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향 조종을 담당하는 조이스틱에 햅틱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 조종 로봇에 대한 현재의 조향 조작이 부적절함을 인식시켜줄 수 있는 원격 조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cognizing inadequate current steering operation for a remote control robot using haptic technology in a joystick in charge of steering control.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원격 조종 로봇 및 상기 원격 조종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조종기로 이루어지는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원격 조종 로봇은 상기 원격 조종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듈; 로봇 진행 방향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 로봇 진행 방향의 장애물 및 공간을 스캐닝하여 주변의 장애물과의 거리정보들을 감지하는 거리 센 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 및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 정보들을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원격 조종기로 전송하는 로봇 제어부;를 구비하고,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relates to a remote control robot system comprising a remote control robot and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robot, the remote control robo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ler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robot moving direction; A distance sensor configured to scan obstacles and spaces in a robot traveling direction and detect distance information with surrounding obstacles; And a robot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amera and distan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istance sensor to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원격 조종기는 상기 원격 조종 로봇과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조종자의 운전에 따라 원격 조종 로봇에 대한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로봇 제어부로부터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들과 상기 거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황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인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시키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조종 로봇으로 전송하는 조종 제어부;를 구비하며,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control robot; A display unit; A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steering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for the remote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Receiv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robot control uni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generates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 steering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robot driving control signal using the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terface unit and to transmit the robot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 상기 영상 정보와 거리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 정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가 오버랩된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matching information match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form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verlap.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기의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힘 피드백부 또는 촉각 피드백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조종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조종 제어부는 로봇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에 따라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조종기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orce feedback unit or a tactile feedback unit, and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is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It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unit preferably generates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obstacle in the robot traveling direction to provide to the remote controller.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 로봇의 거리 센서는 초음파 스캐너 또는 레이저 스캐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feature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robot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ultrasound scanner or a laser scanner.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원격 조종기는, 원격 조종 로봇과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부; 조종자의 운전에 따라 원격 조종 로봇에 대한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 조종 로봇으로부터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들과 상기 거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황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인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시키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조종 로봇으로 전송하는 조종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 상기 영상 정보와 거리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 정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가 오버랩된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remote control robot; A display unit; A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steering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for the remote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Receiv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robo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generates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 steering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robot driving control signal using the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terface unit and to transmit the robot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The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Consisting of matching information for match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overlapping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원격 조종기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기의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힘 피드백부 또는 촉각 피드백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조종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조종 제어부는 로봇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와 방위 정보에 따라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조종기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second feature,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orce feedback unit or a tactile feedback unit, and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is configured according to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according to distance information and azimuth information of an obstacle present in a robot traveling direction, and provide the generated force feedback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종래의 원격 조종기를 사용하는 경우, 조종자는 2차원의 영상정보만으로 주행경로를 판단하고 조향하게 된다. 이 경우, 로봇의 전방 경로의 원근(遠近)감이 조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원격조종 시 잦은 충돌이 발생하고 고립되어 원활한 조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좁은 통로 및 사무실 환경에서는 원격 조종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the operator determines and steers the driving route using only two-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In this case, since the perspective of the robot's forward path is unfamiliar to the operator, frequent collisions and isolation during remote operation make it difficult to operate smoothly, and remote control is more difficult in narrow passages and office environments. You lose.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로봇 주행 방향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 및 공간과의 거리정보를 거리센서(초음파 또는 레이저센서)로 인식함으로써, 보다 넓은 범위의 전방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종기는 화면상에 영상정보와 거리정보를 오브랩한 상황인지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조종자는 로봇 전방의 넓은 범위의 상황을 인지하고 원격조종에 필요한 조종자의 조향방향 결정에 시각적으로 효과적 도움을 줄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distance sensor (ultrasound or laser sensor)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obstacle and the space in the front of the robot driv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wider range of forward situation. .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by overlapp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n the screen, the operator recognizes a wide range of situations in front of the robot to determine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operator required for remote control It can help you visually and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종기는 원격조종의 조향과 속도를 조종하는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에 햅틱기술을 채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황인지정보를 통해 조향 결정 성능을 향상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하지 못한 방향으로의 조향이 시도되는 경우 조종자에게 조이스틱의 촉각과 힘정보의 피드백을 주어 감각적으로 현재의 조향조작이 부적절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haptic technology to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speed of the remote control, although the steer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appropriate, If steering in the wrong direction is attempted, the controller gives feedback of the joystick's tactile and force information so that it can sense that the current steering operation is inappropriate.

본 발명에 따른 원격조종기는 조향 결정 성능의 향상과 조향 명령을 위한 조이스틱에 대한 사용성 증대로 인하여, 조종자가 비가시권 영역의 주행경로를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판단하고 로봇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eer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joystick for steering commands, thereby allowing the operator to easily and stably determine the driving path of the non-viewing zone and operate the robot.

본 발명에서는 햅틱기술(Haptics)을 도입하여 원격 조종기의 조향조종에 조향결정 성능향상 정보에 따른 촉각과 힘을 피드백해 줌으로써, 조종자는 장애물이 있거나 주행이 어려운 방향으로 조향을 시도하려는 하는 경우에 조이스틱의 촉각과 힘의 피드백을 그 방향으로 느끼게 하여 조종자에 감각적으로 현재 조작하려는 조향 방향으로의 로봇주행은 충돌이나 고립의 가능성이 높음을 느끼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조종자는 영상정보와 거리정보를 융합한 형태로 최적주행을 위한 조향결정지원 정보를 얻어 조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에도 불구하고 주행안정성이 떨어지는 방향이나 장애물이 있는 방향으로 조향명령을 내릴 경우 조이스틱의 햅틱(촉각과 힘) 피드백정보를 받아 조향결정과 로봇 원격조종에 보다 효율적인 도움을 얻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the haptics (Haptics) feedback to the steering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by feedback of the tactile sense and force according to the steering decision performance improvement information, the joystick in the case that the operator tries to steer in a direction that is obstacles or difficult to drive The tactile sense of force and the feedback of force are felt in that direction, and the robot's driving in the steering direction which is currently sensibly manipulated by the operator can feel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or isola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not only steer the steering decision support information for optimal driving in the form of fusion of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but also has a direction or obstacle inferior in driving stability despite such information. When the steering command is issued in the direction, the haptic (tactile and forc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joystick is received, so that the steering decision and the robot remote control can be more efficiently helped.

전술한 원격조종기의 시각적, 촉각적 운용성 증대로 인하여, 최적주행 조향각 결정, 비가시권 장애물인식/회피 주행성능향상, 햅틱피드백 기반 조종자 운용성에 대한 향상된 효과를 보였다.Due to the increased visual and tactile operability of the above-mentioned remote controller, it showed the effects of determining optimal driving steering angle, invisible obstacle recognition / avoidance driving performance, and haptic feedback-based manipulator opera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조향 성능 향상과 관련된 기술적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없는 기술적 구성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the steering performance of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description will be made mainly o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steering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10)은 원격 조종 로봇(20) 및 원격 조종기(30)로 이루어진다. 원격 조종 로봇(20)은 주행 방향의 전방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원격 조종기로 전송하고, 전방의 장애물 및 공간의 거리들을 스캐닝하여 원격 조종기로 전송하며, 원격 조종기로부터 전송되는 로봇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원격 조종기(30)는 원격 조종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들을 화면에 오버랩하여 출력하고, 햅틱 기술을 적용한 조종간으로부터 입력되는 로봇 구동 제어 신호를 원격 조종 로봇으로 전송한다. 이하, 원격 조종 로봇 및 원격 조종기의 구조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verall remote control robo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remote control robo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robot 20 and a remote controller 30. The remote control robot 20 captures an image in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ler, scans obstacles and spaces in front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robot driv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riven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ler 30 overlaps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robot on the screen and outputs the robot controller, and transmits a robot driv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panel to which the haptic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 robot.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robot and the remot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원격 조종 로봇(20)은 제1 통신 모듈(200), 로봇 제어부(210), 카메라(220), 거리센서부(230)를 구비한다. 제1 통신 모듈(200)은 원격 조종기(3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카메라(220)는 원격 조종 로봇의 주행 방향의 전방에 대한 영상을 촬상하여 로봇 제어부로 제공한다. 이 경우, 카메라의 시야각에 따라 촬상되는 영상의 범위가 결정된다. 거리센서부(230)는 원격 조종 로봇의 주행 방향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 및 공간과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여 로봇 제어부로 제공한다. 상기 거리 센서부는 초음파 스캐너 또는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초음파 스캐너 또는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는 경우 원격 조종 로봇의 전방의 180°의 방위각에 대한 거리 정보들을 스캐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 봇 제어부(210)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와 상기 거리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스캐닝된 거리 정보들을 제1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조종기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조종기로부터 전송되는 로봇 구동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원격 조종 로봇의 동작을 제어한다. First, the remote control robot 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0, a robot controller 210, a camera 220, and a distance sensor unit 230.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remote controller 30. The camera 220 captures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robot and provides it to the robot controller. In this case, the range of the image imag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camera. The distance sensor unit 230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space in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robot and provides it to the robot controller. The distance sensor unit may use an ultrasound scanner or a laser scanner, and in the case of using an ultrasound scanner or a laser scanner, the distance sensor unit may scan and provide distance information about a 180 ° azimuth in front of the remote control robot. The robot controller 210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mera and the scanned dista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istance sensor unit to the remote controller us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robot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alyze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robot.

상기 원격 조종기(30)는 제2 통신 모듈(300), 조종 제어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330), 전원 공급부(340)를 구비한다. 제2 통신 모듈(300)은 원격 조종 로봇(20)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원격 조종 로봇의 제1 무선 통신 모듈과 원격 조종기의 제2 통신 모듈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동일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The remote controller 3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00, a steering control unit 310, a display unit 320, a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330, and a power supply unit 340.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remote control robot 20. Therefor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mote control robo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remote controller are set to use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in the same frequency ban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3 exemplarily shows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종 제어부(310)는 상기 제2 통신 모듈(300)을 통해 상기 원격 조종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20)의 화면에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들을 출력한다. 상기 조종 제어부는 좁은 시야각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와 넓은 방위각을 갖는 스캐닝된 거리 정보들을 서로 매칭시켜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기의 화면에 출력된 상황 인지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스캐닝된 거리 정보들이 오버랩(overlapping)된 정보들이며, 상기 화면상에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들이 오버랩된 형태로 출력된다. 이때, 거리 정보들은 원격 조종 로봇의 레이저 스캐너 또는 초음파 스캐너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정보들이므로, 이러한 거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원격 조종 로봇의 전방의 180°의 방위각내에 존재하는 장애물 및 공간과의 이격 거리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화면에 영상과 해당 영상의 거리 정보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조종자가 화면을 통해 장애물과의 정확한 이격 거리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좁은 시야각에 해당하는 영역뿐만 아니라 넓은 방위각에 해당하는 영역의 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기존에는 좌우 공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격 조종 로봇의 방향을 이동시킨 후 영상을 다시 촬상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로봇의 좌우 공간을 디스플레이된 거리 정보들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좌우 공간을 확인하는 작업이 줄어들어 전체 목표 지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평균적으로 단축된다. The steering controller 310 analyzes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robo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outputs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320. The steering controller generates contextual awareness information by matching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arrow viewing angle with scanned distance information having a wide azimuth, and outputs the contextual awareness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FIG. 2 exemplarily shows context awareness informati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image information and scanned distance information are overlapped, and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re output in the form of overlapping on the screen. At this time, since the distance information is obtained by using a laser scanner or an ultrasound scanner of the remote control robot, obstacles and spaces existing within a 180 ° azimuth angle of the front of the remote control robo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To indicat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As such, by displaying the image and distanc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mage together on a single screen, the operator can check the exact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obstacle through the screen, and not only a narrow viewing angle but also a wide azimuth region Distanc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As a result, in the past, it took a lot of time because the image of the remote control robot after moving the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in order to check the left and right space, but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see the left and right space of the robot through the displayed distance information I can figure it out. Thus,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time to check the left and right spaces on average to shorten the time to reach the entire target point.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330)는 원격 조종 로봇의 조향과 속도를 조종하는 것으로서, 햅틱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힘 피드백부와 촉각 피드백부를 갖는 조종간, 조이스틱 등이 사용된다.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330)는 조종자의 운전에 따라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조종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조종 제어부는 상기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원격 조종 로봇으로 전송한다. 상기 조종 제어부는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조향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거리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안전 거리보다 작은 경우 에는 현재의 조향 조작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한다.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330 controls the steering and the speed of the remote control robot, a steering wheel having a force feedback unit and a tactile feedback unit for applying haptic technology, a joystick, and the like are used.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330 generates steering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and transmits the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to the steering controller, and the steering controller transmits the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 robot. When the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speed information are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the steering controller detects distance information with an obstacle exist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detected distance information is a preset safety distance. If smaller,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teering operation is inappropriate, and generates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조종 제어부로부터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면, 힘 피드백부 또는 촉각 피드백부를 구동시켜 조종자에게 현재의 조향 조작이 부적절함을 인식하도록 한다. When the force feedback signal or the tactile feedback signal is input from the steering control unit,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drives the force feedback unit or the tactile feedback unit to recognize that the present steering operation is inappropriate.

상기 촉각 피드백부는 진동 모터 등을 구비하여, 모터의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통해 조종자가 촉각적으로 조향 조작이 부적절함을 인식하도록 한다. 진동 모터는 진폭, 주파수, 전달시간 등을 바꿔가며 다양한 촉감 유형을 만들어낼 수 있다.The tactile feedback unit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motor, etc., so that the operator recognizes that the steering operation is inappropriate through tactile vibration of the motor. Vibration motors can produce a variety of tactile types by varying the amplitude, frequency, and propagation time.

상기 힘 피드백부는 조종자에 의한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의 움직임을 조종하여, 조종자가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의 조향 조작이 부적절함을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힘 피드백부는 원격조종기의 조이스틱에 모터를 부착하여 장애물이 있는 방향으로의 조향 조작시 조이스틱의 방향조작에 힘이 느끼도록 하거나, 조향 휠의 경우 휠을 돌리고자 하는 방향에 제동장치를 하여 휠을 돌리는데 힘을 느끼게 하거나, 조이스틱의 스틱인 경우엔 특정방향으로 스틱을 기울이는 것에 제동을 걸어 스틱 조작시 힘을 느끼게 하도록 구성된다. The force feedback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by the operator to allow the operator to recognize that the steering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is inappropriate. The force feedback unit attaches the motor to the joystick of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force feels the steering wheel of the joystick when steering the obstacle in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or in the case of the steering wheel, the brake is applied to the direction to turn the wheel. It is configured to feel the force to turn, or in the case of the stick of the joystick, to apply the braking to tilting the stick in a specific direction to feel the force when the stick is operat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do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which are not illustrated above in the scope are possible.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과 원격 조종기는 현존 소방방재 및 재난지원 전문서비스로봇들, 소방관보조로봇, 소방진화로봇, 재난지원로봇, 재난지역 인명탐색 로봇, 군사용 정찰/감시로봇 등에 적용, 활용이 가능하다.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and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nd utilized in, existing fire protection and disaster support professional service robots, firefighter assistant robots, fire extinguishing robots, disaster support robots, disaster area life search robots, military reconnaissance / surveillance robots, and the like. This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verall remote control robo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기의 화면에 출력된 상황 인지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2 exemplarily shows context awareness informati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10: remote control robot system

20 : 원격 조종 로봇20: remote control robot

30 : 원격 조종기30: remote controller

200 : 제1 통신 모듈200: first communication module

210 : 로봇 제어부210: robot control unit

220 : 카메라220: camera

230 : 거리센서부230: distance sensor

300 : 제2 통신 모듈30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310 : 조종 제어부310: control unit

320 : 디스플레이부320: display unit

330 :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330: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340 : 전원 공급부340: power supply

Claims (5)

원격 조종 로봇 및 상기 원격 조종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조종기로 이루어지는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comprising a remote control robot and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robot, 상기 원격 조종 로봇은 The remote control robot 상기 원격 조종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듈;A first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ler; 로봇 진행 방향의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robot moving direction; 로봇 진행 방향의 장애물 및 공간을 스캐닝하여 주변의 장애물과의 거리정보들을 감지하는 거리 센서;A distance sensor configured to scan distances and obstacles in a robot traveling direction and detect distance information with surrounding obstacles;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 및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거리 정보들을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원격 조종기로 전송하는 로봇 제어부;를 구비하고,And a robot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amera and distan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istance sensor to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원격 조종기는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원격 조종 로봇과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robot;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조종자의 운전에 따라 원격 조종 로봇에 대한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A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steering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for the remote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로봇 제어부로부터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들과 상기 거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황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인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시키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원격 조종 로봇으로 전송하는 조종 제어부;를 구비하여, Receiv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robot control uni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generates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 steer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steering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to a remote control robot.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 상기 영상 정보와 거리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 정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가 오버랩된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The contextual awareness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matching information for match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The contextual awarenes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form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overlap each other. Remote Control Robo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기의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힘 피드백부 또는 촉각 피드백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조종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조종 제어부는 로봇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와 방위 정보에 따라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조종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orce feedback unit or a tactile feedback unit, and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is driven according to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orientation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present in the robot traveling direction to the remot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 로봇의 거리 센서는 초음파 스캐너 또는 레이저 스캐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 로봇 시스템. The remote control robot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robot is configured as an ultrasound scanner or a laser scanner. 원격 조종 로봇과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robot;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조종자의 운전에 따라 원격 조종 로봇에 대한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생성 하여 제공하는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A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steering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for the remote control robot according to the driver's driving;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 조종 로봇으로부터 영상 정보 및 거리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들과 상기 거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황인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 인지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시키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조향 정보와 속도 정보를 원격 조종 로봇으로 전송하는 조종 제어부;Receiv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robo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generates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 steer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d transmitting steering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to a remote control robot; 를 구비하여,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 상기 영상 정보와 거리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 정보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황 인지 정보는 영상 정보와 거리 정보가 오버랩된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기.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nd matching information match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The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form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overlap each other.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기의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힘 피드백부 또는 촉각 피드백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 조종용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조종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조종 제어부는 로봇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와 방위 정보에 따라 힘 피드백 신호 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원격 조종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기.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of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force feedback unit or a tactile feedback unit, and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unit is driven according to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a force feedback signal or a tactile feedback signal according to distance information and azimuth information of an obstacle present in a robot traveling direction, and provides the generated remote feedback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KR1020090117375A 2009-11-30 2009-11-30 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KR101151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375A KR101151787B1 (en) 2009-11-30 2009-11-30 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375A KR101151787B1 (en) 2009-11-30 2009-11-30 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705A true KR20110060705A (en) 2011-06-08
KR101151787B1 KR101151787B1 (en) 2012-05-31

Family

ID=4439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375A KR101151787B1 (en) 2009-11-30 2009-11-30 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78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5272A (en) * 2014-09-23 2015-03-04 四川师范大学 Multifunctional education robot system
KR20160094167A (en) 2015-01-30 2016-08-09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of controlling observation view of robot
KR20160094168A (en) 2015-01-30 2016-08-09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of controlling observation view of robot
JP2018183608A (en) * 2012-08-02 2018-11-22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remote control gaming
CN110053041A (en) * 2018-04-13 2019-07-26 吕泉晔 A kind of robot remote control system
KR20220060064A (en) * 2020-11-03 2022-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robot post-processing system using haptic technolog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87691A (en) * 2021-12-09 2023-06-1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Remote control device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robot using various work contents in virtual sp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40B1 (en) * 2016-08-24 2018-06-21 국방과학연구소 Remote controll device and remote controll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
KR101957896B1 (en) * 2018-06-29 2019-07-04 한화시스템(주) integrated image and situation display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7538B2 (en) * 2006-07-14 2013-11-05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emote vehicle
JP5028568B2 (en) 2006-01-24 2012-09-19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Robot control system
KR100791381B1 (en) * 2006-06-01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collision for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3608A (en) * 2012-08-02 2018-11-22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remote control gaming
CN104385272A (en) * 2014-09-23 2015-03-04 四川师范大学 Multifunctional education robot system
KR20160094167A (en) 2015-01-30 2016-08-09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of controlling observation view of robot
KR20160094168A (en) 2015-01-30 2016-08-09 전자부품연구원 Apparatus of controlling observation view of robot
CN110053041A (en) * 2018-04-13 2019-07-26 吕泉晔 A kind of robot remote control system
KR20220060064A (en) * 2020-11-03 2022-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robot post-processing system using haptic technolog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87691A (en) * 2021-12-09 2023-06-1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Remote control device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robot using various work contents in virtual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787B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787B1 (en) Remotely controlled robot system with enhanced heading determination performance and remote controller in the system
KR101978740B1 (en) Tele-op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81087B2 (e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62788B2 (en) Communication draw-in system, communication draw-in method, and communication draw-in program
US7853372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collision of remote-controlled mobile robot
US9400504B2 (en) Mobile robot
CA24079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JP2000079587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robot
JP6166107B2 (en) Unmanned mobile remote control system and unmanned mobile
US8466959B2 (en) Vehicle video control system
IL295508A (en) Tactical advanced robotic engagement system
CN113467731B (en)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of display system
WO2020210918A1 (en) Underwater vehicle with an omnidirectiona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movement of the same
JP2018164223A (en) Display system
Evans III et al. Control solutions for robots using Android and iOS devices
KR101031815B1 (en) Remote control unit and communications method of using the same
Ross et al. High performance teleoperation for industrial work robots
KR20190079363A (en) Collaborative robot
Inoue et al. BirdViewAR: Surroundings-aware Remote Drone Piloting Using an Augmented Third-person Perspective
US20230333550A1 (en) Remote operation system, remote op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H1139035A (en) Robot remote control system
KR102615626B1 (en) Method for visually or aurally providing information to guide driving and autonomous mobile robo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170087200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robot remotely based on force-feedback using expanded guide circle
WO2019155860A1 (en) Switch, individual identific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data transmission program
JP202317728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