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129A - 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129A
KR20070119129A KR1020060053321A KR20060053321A KR20070119129A KR 20070119129 A KR20070119129 A KR 20070119129A KR 1020060053321 A KR1020060053321 A KR 1020060053321A KR 20060053321 A KR20060053321 A KR 20060053321A KR 20070119129 A KR20070119129 A KR 20070119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arget device
server
targe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6209B1 (en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209B1/en
Publication of KR2007011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2Protocol perform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n application transferring method using a device discovery protocol within a home network system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transferring an application by conducting a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process in an intuitive way, thereby transferring the application even when device lists are huge as realizing user-friendly application mobility. A control device(40) turns toward an originating device(21), and demands context(S11,S12). The originating device(21) provides the context to the control device(40)(S13). The control device(40) indicates a target device(22), and demands device information on the target device(22)(S14). The target device(22)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n IP(Internet Protocol) address(S15). The control device(40) sends an activation command to the target device(22)(S16). The target device(22) transmits a port number as approving of activation(S17). The control device(40) transmits a registration and invite message to a server(10)(S18). The server(10) transmits an approval message to the control device(40)(S19). The server(10) transfers an application to the target device(22), and the target device(22) performs the transferred application as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10)(S20).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장치 발견 프로토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의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ferring an application in the home network system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의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FIG. 4 is a procedure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transferring an application in the home network system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200: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 서버100, 200: home network system 10: server

21: 휴대폰 22: 노트북21: cell phone 22: laptop

23: TV 24: 냉장고23: TV 24: Refrigerator

30: 유무선 네트워크 40: 제어장치30: wired or wireless network 40: controller

50: 무선 링크계층 60: 어플리케이션50: radio link layer 60: application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home network protocol)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장치 발견(device discover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으로 장치 간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protoc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transferring an appl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a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a home network system, in a user-friendly and intuitive manner. It is about.

최근 들어 가정에서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가정 내에 있는 각종 전자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기술과 달리, 홈 네트워크 기술은 가정 내 전자기기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진일보한 시스템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버(server) 장치에 가전제품, PC, IT제품 등의 각종 클라이언트(client) 장치를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한다.In recent years, home network technologies that can make life at home more convenient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Unlike traditional home automation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in the home, home network technology is an advanced system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networks between home electronic devices. The home network system connects various client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PCs, and IT products to server devices b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trol and manage them integrally.

오늘날의 유무선 통신 서비스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통합되고 있다. 이를 위한 기술 중의 하나가 VoIP(Voice over IP) 기술이다. VoIP 기술은 인터넷 전화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징(multimedia messaging) 서비스 등 다양한 차세대 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구현한다. VoIP 지원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SIP는 영상, 음성 등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session)이나 호(call)를 설정, 수정, 종료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제어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최근 IMS(IP Multimedia Subsystem)가 관심을 끌고 있다. IMS는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하나의 구조로 통합하며 이를 네트워크에 고정된 장치 또는 이동통신 장치로 전달한다.Today'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ervices are being integrated based on Internet Protocol (IP). One technique for this is Voice over IP (VoIP) technology. VoIP technology implements a variety of next generation Internet application services, including Internet telephony services and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echnology is used as a protocol for supporting VoIP. SIP is an application layer control protocol for establishing, modifying and terminating sessions or call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such as video and voice. Recently, IMS (IP Multimedia Subsystem)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service using such a protocol. IMS integrates voice and data services into a single structure and delivers them to devices fixed on the network or to mobile devices.

IMS와 SIP의 도입에 따라, 네트워크 상의 여러 이종(異種) 장치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옮길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예를 들면, 휴대폰을 단말로 이용하여 동작 중인 화상회의 어플리케이션을 노트북이나 TV로 끊어짐 없이 옮기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것을 흔히 어플리케이션 이동성(application mobility)이라 부른다.The introduction of IMS and SIP laid the foundation for moving applications between different heterogeneous devices on the network.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amlessly transfer a video conferencing application to a laptop or TV using a mobile phone as a terminal. This is often called application mobility.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장치(이하, 현재장치(originating device)라 함)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전하고자 하는 장치(이하, 목적장치(target device)라 함)를 선택할 때, 집 안의 모든 장치들을 포함한 목록으로부터 원하는 장치를 선택하여야 한다.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저 장치'라고 직접 손으로 가리켜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목록에 열거된 장치들을 일일이 검색하여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야 한다. 따라서 장치 목록이 방대한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selecting a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device) to which the application is to be transferred from the device on which the application is runn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riginating device), all devices in the house are selected. You must select the desired device from the list included. In the prior art, it is not possible for a user to directly point and select 'low devices', so the devices listed in the list must be searched individually to select one of them.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when the device list is large.

장치 목록에는 각 장치의 IP 주소 정보가 있어서 IMS로 하여금 서버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문제는 현재 도입되고 있는 IMS만으로는 사용자 친화적인 어플리케이션 이동성을 구현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IMS는 장치가 선택된 후부터만 다루고,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The device list contains the IP address information of each device, allowing IMS to register with the server. The problem is that the current IMS alone makes it difficult to implement user-friendly application mobility. This is because the IMS typically only deals with the device after the device is selected and not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어플리케이션 이동성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user-friendly application mobility in a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장치 발견 및 제어 과정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ocol capable of intuitively performing a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process in a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장치 간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ferring an application between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내의 장치 발견 프로토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lication transfer method using a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a home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은, 서버에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장치가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장치 중의 하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현재장치이며, 나머지 클라이언트 장치 중의 어느 하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전하고자 하는 목적장치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방법이다.In the application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lient devices are connected to a server, one of the client devices is a current device on which the application is running, and one of the remaining client devices is a destination device to which the application is to be transferred. This is how to do it.

본 발명의 방법은, 제어장치가 현재장치 쪽으로 향하고 현재장치에 컨텍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현재장치가 컨텍스트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장치로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어장치가 목적장치 쪽을 가리키고 목적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목적장치가 제어장치로 IP주소를 비롯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어장치가 목적장치에 활성화 명령을 보내는 단계와, 목적장치가 제어장치로 활성화 승인과 함께 포트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어장치가 IP주소, 컨텍스트, 포트를 이용하여 서버로 등록 겸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제어장치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목적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을 옮기고 목적장치가 서버와 통신하면서 이전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he control device pointing towards the current device and requesting a context from the current device, the current device providing a context to the control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text request, and the control device pointing to the destination device Requesting device information for the device, providing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P address, to the control device by the target device, sending a command to activate the device to the target device, and authorizing the activation of the device to the controller. Transmitting the port number together with the controller, sending the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server using the IP address, context, and port, sending the authorization message to the controller, and the server Moving the application to the device and executing the migrated application while the target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에서, 등록 겸 초대 메시지의 전송 단계는 제어장치가 목적장치의 IP주소로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제어장치가 컨텍스트를 목적장치로 보내는 단계와 목적장치가 직접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pplication transf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includes the step of the control device registering the SIP with the IP address of the target device, or the control device sending the context to the target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directly SIP.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gistering.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에서, 제어장치는 목적장치를 가리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리모콘일 수 있다.In the application transf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preferably a device capable of designating a location by pointing the target devic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은, 현재장치가 목적장치 쪽을 가리키고 목적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목적장치가 현재장치로 IP주소를 비롯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현재장치가 목적장치에 활성화 명령을 보내는 단계와, 목적장치가 현재장치로 활성화 승인과 함께 포트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현재장치가 IP주소, 컨텍스트, 포트를 이용하여 서버로 등록 겸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현재장치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목적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을 옮기고 목적장치가 서버와 통신하면서 이전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current device pointing to the target device and requesting device information on the target device, providing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n IP address to the current device, and The device sends an activation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the target device sends a port number with the activation approval to the current device, and the current device sends a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server using the IP address, context, and port. And the server sending the approval message to the current device, and the server moving the application to the target device and executing the transferred application while the target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에서, 등록 겸 초대 메시지의 전송 단계는 현재장치가 목적장치의 IP주소로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현재장치가 컨텍스트를 목적장치로 보내는 단계와 목적장치가 직접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 함할 수 있다.In the application transf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includes the current device registering the SIP with the IP address of the destination device, or the current device sending the context to the destination device and the destination device directly SIP. This may include registering.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에서, 현재장치는 목적장치를 가리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휴대폰일 수 있다.In the application transf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device is preferably a device capable of pointing to a target device and may be, for example, a mobile phone.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서버(10)에 휴대폰(21), 노트북(22), TV(23), 냉장고(24) 등의 각종 클라이언트 장치가 유무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리모콘과 같은 제어장치(40)가 무선 링크계층(50)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어플리케이션(60)이 현재 동작 중인 장치(이하, 현재장치(originating device)라 함)를 편의상 휴대폰(21)이라 하고, 어플리케이션(60)을 이전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이하, 목적장치(target device)라 함)를 편의상 노트북(22)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home network system 100, various client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21, a notebook 22, a TV 23, a refrigerator 24,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a server 10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30. It is connected and configured. In addition, a control device 40 such as a remote controller is connected via the wireless link layer 50. In such a configuration, a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riginating device) on which the application 60 is currently operating is referred to as a mobile phone 21 for convenience, and a targe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stination device) to which the application 60 is to be transferred. target device) is referred to as a notebook 22 for convenience.

도 1의 클라이언트 장치(21, 22, 23, 24)는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그 밖에 도 각종 정보통신기기, 가전기기, AV기기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30)는 예컨대 이더넷(ethernet), 홈 PNA, 전력선 통신(PLC), IEEE 1394, IEEE 802.17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기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IEEE 802.15.3(HR WPAN), IEEE 802.15.4(LR WPAN), IEEE 802.11(WLAN)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The client devices 21, 22, 23, and 24 of FIG. 1 are merely examples, and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home appliances, and AV devices may be applied. Wired and wireless network 30 includes, for example, wired network technologies such as Ethernet, home PNA, power line communications (PLC), IEEE 1394, IEEE 802.17, Bluetooth, ultra wide band (UWB), IEEE 802.15.3 (HR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such as WPAN, IEEE 802.15.4 (LR WPAN), IEEE 802.11 (WLAN), and the like.

제어장치(40)는 소형이고 사용자가 직접 목적장치를 가리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는 리모콘이 제어장치(40)인 경우이지만,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현재장치 자체가 제어장치가 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목적장치가 제어장치를 겸할 수도 있다. 무선 링크계층(50)은 수십 미터 범위 내의 방향성 있는 저전력, 저속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적외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등이 이용 가능하다.The control device 40 is compact and the user can directly point to the target device to designate the pos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is the control device 40, but the present device itself may be a control device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 and in some cases, the target device may also serve as the control device. The wireless link layer 50 may be constructed using directional low power, low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in a range of several tens of meters. For example, infrared communication (IrDA), zigbee, and Bluetooth may be used.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있어서, 소정의 현재장치(21)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60)을 새로운 클라이언트 장치, 즉 특정 목적장치(22)로 이전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옮겨 가고자 하는 목적장치(22)를 제어장치(40)로 직접 가리켜 어플리케이션 이전을 수행한다.In such a home network system 100, when a user wants to transfer an application 60 running on a predetermined current device 21 to a new client device, that is, a specific target device 22, the user wants to move the target device ( 22) direct to the control device 40 to perform the application transf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the home network system illustrated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현재장치(21)는 서버(10)와 통신하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화상회의)을 수행한다(S11). 이때, 어플리케이션을 목적장치(22)로 옮기고 싶으면, 제어장치(40)가 사용자의 행위에 의하여 현재장치(21) 쪽으로 향하고 현재장치(21)에 컨텍스트(context)를 요청한다(S12). 컨텍스트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모든 정보일 수 있다. 현재장치(21)는 컨텍스트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장치(40)로 컨텍스트를 제공한다(S13).Referring to FIG. 2, the current apparatus 21 perform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g, a video conferenc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0 (S11). At this time, if you want to move the application to the target device 22, the control device 40 is directed toward the current device 21 by the user's action and requests the context (context) to the current device 21 (S12). The context may be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The current device 21 provides a context to the control device 40 in response to the context request (S13).

이어서, 제어장치(4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라 목적장치(22) 쪽을 가리키고 목적장치(22)가 어떤 장치인지에 대한 장치 정보(device description)를 요청한다(S14). 장치 정보는 예컨대 장치의 이름, 종류, 화면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목적장치(22)는 제어장치(40)로 IP주소를 비롯한 장치 정보를 제공한다(S15).Subsequently, the control device 40 points to the target device 22 according to the user's action and requests device description of what device the target device 22 is (S14). The device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name, type, screen size, and the like of the device. The target device 22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P address to the control device 40 (S15).

이어서, 제어장치(40)는 목적장치(22)에 활성화 명령(activation command)을 보낸다(S16). 활성화는 전원을 켜고 로그인을 시행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목적장치(22)는 제어장치(40)로 활성화 승인(acknowledgement)과 함께 포트(port) 번호를 전송한다(S17).Subsequently, the control device 40 sends an activation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22 (S16). Activation includes the procedure of powering on and performing a login. The target device 22 transmits a port number with an activation acknowledgment to the control device 40 (S17).

이어서, 제어장치(40)는 전송받은 IP주소, 컨텍스트, 포트 등을 이용하여 서버(10)로 등록 겸 초대(registration cum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S18). 이때, 제어장치(40)는 목적장치(22)의 IP주소로 SIP 등록을 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목적장치(22)로 보내 목적장치(22)가 직접 SIP 등록을 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 device 40 transmits a registration cum invite message to the server 10 using the received IP address, context, port, etc. (S18).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40 registers the SIP with the IP address of the target device 22 or sends the application context to the target device 22 so that the target device 22 directly registers the SIP.

이어서, 서버(10)는 제어장치(40)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S19), 목적장치(22)로 어플리케이션을 옮겨가게 된다. 이에 따라 목적장치(22)는 서버(10)와 통신하면서 이전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S20).Subsequently, the server 10 transmits an approval message to the control device 40 (S19), and moves the application to the destination device 22. Accordingly, the target device 22 performs the transferred applic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0 (S20).

이상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은 통합 리모콘 하나로 모든 장치를 켜는 통상적인 방식과 일견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통합 리모콘 방식은 장 치들이 어떤 장치인지에 대한 정보가 리모콘 안에 미리 설정되어 있고 단방향으로 목적장치에 명령을 보내는 반면, 본 발명의 방법은 양방향 협상을 통해 목적장치의 ID를 읽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application transfer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turning on all devices with a singl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However,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 method differs in that the information on which device is the device is preset in the remote control and sends a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in one direction, wherea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ads the ID of the target device through bidirectional negotiation. There i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의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200)은 유무선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연결된 서버(10)와 클라이언트 장치(21, 22, 23, 24)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60)이 동작 중인 현재장치(예컨대, 휴대폰(21))를 직접 제어장치로 이용한다. 물론 제어장치를 겸할 수 있는 현재장치는 사용자가 들고 조작할 수 있도록 소형이어야 하고, 사용자가 직접 목적장치를 가리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치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본 실시예 및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목적장치가 제어장치를 겸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home network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rver 10 and client devices 21, 22, 23, and 24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30.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rent device (eg, the mobile phone 21) in which the application 60 is operating is directly used as a control device. Of course, the current device, which can also serve as a control device, must be small so that the user can lift and operate it, and the device can be directly positioned by the user.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target device may also serve as a control devic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200)에 있어서, 현재장치(21)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60)을 특정 목적장치(22)로 이전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옮겨 가고자 하는 목적장치(22)를 현재장치(21)로 직접 가리켜 어플리케이션 이전을 수행한다. 이때, 현재장치(21)는 무선 링크계층(50) 위에서 장치 발견 및 제어 프로토콜을 실행한다.In such a home network system 200, when a user wants to transfer an application 60 operating in the current device 21 to a specific target device 22, the user moves the target device 22 to the current device 21. Directly to) to perform the application migration. At this time, the current device 21 executes a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protocol on the radio link layer 50.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the home network system illustrated in FIG. 3.

도 4를 참조하면, 현재장치(21)는 서버(10)와 통신하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 션을 수행한다(S31). 이때, 어플리케이션을 목적장치(22)로 옮기고 싶으면, 현재장치(21)가 사용자의 행위에 따라 목적장치(22) 쪽을 가리키고 목적장치(22)의 장치 정보를 요청한다(S32). 목적장치(22)는 현재장치(21)로 IP주소를 비롯한 장치 정보를 제공한다(S33).Referring to FIG. 4, the current device 21 perform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0 (S31). At this time, if you want to move the application to the target device 22, the current device 21 points to the target device 22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actions and requests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22 (S32). The target device 22 provides th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P address to the current device 21 (S33).

이어서, 현재장치(21)가 목적장치(22)에 활성화 명령을 보내고(S34), 목적장치(22)는 현재장치(21)로 활성화 승인과 함께 포트 번호를 전송한다(S35). 현재장치(21)는 전송받은 IP주소, 포트 및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서버(10)로 등록 겸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S36).Subsequently, the current device 21 sends an activation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22 (S34), and the target device 22 transmits a port number with the activation confirmation to the current device 21 (S35). The current device 21 transmits a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server 10 by using the received IP address, port, and the context it has (S36).

이어서, 서버(10)는 현재장치(21)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S37), 목적장치(22)로 어플리케이션을 옮겨가게 된다. 이에 따라 목적장치(22)는 서버(10)와 통신하면서 이전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S38).Subsequently, the server 10 transmits the approval message to the current device 21 (S37), and moves the application to the target device 22. Accordingly, the target device 22 performs the transferred applic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0 (S38).

이상,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se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현재 소정의 장치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장치로 옮기고자 할 때, 장치 목록 으로부터 목적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목적장치를 가리켜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치 발견 및 제어 과정을 직관적으로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이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장치 목록이 방대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이전할 수 있고, 사용자 친화적인 어플리케이션 이동성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pplication currently running on a certain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is to be moved to another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select the target device instead of selecting the target device from the device list. Make sur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perform the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process to transfer the applic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transfer an application even if the device list is large, and implement user-friendly application mobility.

Claims (10)

서버에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중의 하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현재장치이며, 나머지 클라이언트 장치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전하고자 하는 목적장치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In a home network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lient devices are connected to a server, one of the client devices is a current device on which an application is running, and one of the remaining client devices is a destination device to which the application is to be transferred. 제어장치가 상기 현재장치 쪽으로 향하고 상기 현재장치에 컨텍스트를 요청하는 단계;Directing a control device towards the current device and requesting a context from the current device; 상기 현재장치가 상기 컨텍스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by the current device, a context to the control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text request;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목적장치 쪽을 가리키고 상기 목적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The control device pointing to the target device and requesting device information for the target device; 상기 목적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 IP주소를 비롯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by the target devic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n IP address to the control device;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목적장치에 활성화 명령을 보내는 단계;The control device sending an activation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상기 목적장치가 상기 제어장치로 활성화 승인과 함께 포트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Sending, by the target device, a port number with an activation confi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IP주소, 상기 컨텍스트, 상기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 등록 겸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control apparatus, a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server using the IP address, the context, and the port; 상기 서버가 상기 제어장치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Sending, by the server, an approval message to the control device; And 상기 서버가 상기 목적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을 옮기고 상기 목적장치가 상기 서버와 통신하면서 이전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The server moving an application to the target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o perform a migr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a home network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록 겸 초대 메시지의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목적장치의 IP주소로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The transmitting of the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may include the step of the SIP registration by the control device to the IP address of the targe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록 겸 초대 메시지의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컨텍스트를 상기 목적장치로 보내는 단계와 상기 목적장치가 직접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The step of sending the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includes the step of the control device sending the context to the destination device and the destination device directly registering the SIP.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목적장치를 가리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And the control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designating a location by pointing to the target devi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장치는 리모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 플리케이션 이전 방법.And said control device is a remote control. 서버에 다수개의 클라이언트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중의 하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현재장치이며, 나머지 클라이언트 장치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전하고자 하는 목적장치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In a home network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lient devices are connected to a server, one of the client devices is a current device on which an application is running, and one of the remaining client devices is a destination device to which the application is to be transferred. 상기 현재장치가 상기 목적장치 쪽을 가리키고 상기 목적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The current device pointing to the target device and requesting device information on the target device; 상기 목적장치가 상기 현재장치로 IP주소를 비롯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by the target device,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n IP address to the current device; 상기 현재장치가 상기 목적장치에 활성화 명령을 보내는 단계;The current device sending an activation command to the target device; 상기 목적장치가 상기 현재장치로 활성화 승인과 함께 포트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Sending, by the target device, a port number with an activation confirmation to the current device; 상기 현재장치가 상기 IP주소, 상기 컨텍스트, 상기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 등록 겸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current device, a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to the server using the IP address, the context, and the port;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장치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Sending, by the server, an authorization message to the current device; And 상기 서버가 상기 목적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을 옮기고 상기 목적장치가 상기 서버와 통신하면서 이전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The server moving an application to the target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o perform a migrated application; 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Application transfer method in a home network system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등록 겸 초대 메시지의 전송 단계는 상기 현재장치가 상기 목적장치의 IP주소로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The transmitting of the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may include the step of the SIP registration by the current device to the IP address of the target de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등록 겸 초대 메시지의 전송 단계는 상기 현재장치가 상기 컨텍스트를 상기 목적장치로 보내는 단계와 상기 목적장치가 직접 SIP 등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gistration and invitation message includes the step of the current device sending the context to the target device and the target device directly registering the SIP. 제6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현재장치는 상기 목적장치를 가리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And wherein the current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designating a location by pointing to the target devic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현재장치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어플리케이션 이전 방법.And the current device is a mobile phone.
KR1020060053321A 2006-06-14 2006-06-14 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KR101236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321A KR101236209B1 (en) 2006-06-14 2006-06-14 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321A KR101236209B1 (en) 2006-06-14 2006-06-14 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29A true KR20070119129A (en) 2007-12-20
KR101236209B1 KR101236209B1 (en) 2013-02-22

Family

ID=3913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321A KR101236209B1 (en) 2006-06-14 2006-06-14 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2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8614A1 (en) * 2012-10-11 2014-04-17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US11755303B2 (en) 2012-10-11 2023-09-12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25A (en) 2018-10-1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39760A (en) * 2022-09-20 202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959B1 (en) * 2003-04-12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 home service system
KR100601670B1 (en) * 2004-05-03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over network, media renderer and media sour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8614A1 (en) * 2012-10-11 2014-04-17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US9565475B2 (en) * 2012-10-11 2017-02-07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US10326662B2 (en) 2012-10-11 2019-06-18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US11755303B2 (en) 2012-10-11 2023-09-12 Netfl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layback of streaming digital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209B1 (en) 201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3183B2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system
CN100502334C (en) Method for wireless data transfer
KR101732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put back channel in AV system
JP441074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JP5992830B2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method
WO2006088035A1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JP2006237815A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communication session
CN107070933A (en) Set up and control Wi Fi show the audio connected and voice backward channel
JP2007068119A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WO20110873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video conferencing device
CN102316606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wireless fidelity (WiFi) service agency
KR101236209B1 (en) method of application transfer using device discovery protocol in home network system
EP2007101B1 (en) A system with session transfer capability and related method
Shacham et al. The virtual device: Expanding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service discovery and session mobility
KR1006807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off between a different kind of device and SIP server and working method of SIP server using the same
EP2680498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ervice control of home network device
US202103295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user mobility in an enterprise serviced by multiple distributed communication controllers
JPWO2004080010A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rvice handoff function, user terminal device, transfer destination terminal device, proxy server device
US20070113249A1 (en)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9147428A (en) Method of switching connection to wide area/narrow area network, mobile terminal, and program
CN105141879B (en) Video calling convers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04362062A (en) Network system, data download continuation method in terminal switching in the network system, and its program
US9578105B2 (en) Device optimiz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multi-mode, multi-media communications
Kwak Ubiquitous services system based on SIP
EP26097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mo by using upnp telepho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