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067A -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067A
KR20070013067A KR1020050067419A KR20050067419A KR20070013067A KR 20070013067 A KR20070013067 A KR 20070013067A KR 1020050067419 A KR1020050067419 A KR 1020050067419A KR 20050067419 A KR20050067419 A KR 20050067419A KR 20070013067 A KR20070013067 A KR 2007001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image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혜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3067A/en
Publication of KR2007001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0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A method for sharing images and a mobile terminal therefor are provided to transmit more vivid information by sharing an image together with a voice call in case it is difficult to exactly deliver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through voice only. In case of executing a multipoint call and image sharing between many terminals, the associated terminals open a voice channel. At this moment, a transport channel, in addition to the voice channel, is allocated and opened(S300). The users set their terminal modes to either a receiver mode or a sender mode(S301). A user of the sender-mode terminal selects either a frequency mode or an event mode to transmit image data(S302). In case the user of the sender-mode terminal selects the frequency mode, the sender-mode terminal captures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every event(S303). The sender-mode terminal compresses the captured image data(S304). The sender-mode terminal fits the compressed image data to the size of each of the other receiver-mode terminals(S305). Then, the sender-mode terminal sends the image data to the receiver-mode terminals every period(S306).

Description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Method for sharing video and terminal for same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도 1a ~ 도 1d는 본 발명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Figures 1a to 1d are shown to ai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rminal for video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공유 방법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sha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단말기 210 : 화면 캡처(Capture) 수단200: terminal 210: screen capture (capture) means

220 : 영상 압축 수단 230 : 영상 송신 수단220: video compression means 230: video transmission means

240 : 영상 수신 수단 250 : 전송 제어 수단240: image receiving means 250: transmission control means

260 : 모드 설정 수단 270 : 송신 에이전트(Agent)260: mode setting means 270: sending agent (Agent)

본 발명은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통신 환경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다른 단말기 사용자와 공유하여 보는 서비스를 위한 특정 단말기 사용자의 영상을 공유하는 방 법과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haring method and a terminal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user shares a video of his or her terminal with another terminal user in real time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t relates to a law and a terminal therefor.

최근 이동 단말기는 음성 정보만을 이용한 통신 방법 이외에도 화상 정보를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의 화상 통신도 지원하고 있다. Recently, a mobile terminal supports not only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voice information but also a video communication in a multimedia environment f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또한, 단말기는 부착된 카메라로 특정 영상 정보를 받아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에 화면으로 보여주거나,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된 영상이나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 프로토콜 규약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receives the specific image information with the attached camera, and also displays a screen on the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or provides a function for storing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Accordingly, the user can transmit the stored video or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tocol.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망과 통신이 부분적으로 가능하게 되었으며, 개인용 컴퓨터인 PC와 같이 IP 기반으로 완전하게 인터넷 망과 연동할 수 있는 규격들이 준비 중에 있다. In particular, recently,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et network is partially enabl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tandard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PC, which can fully interwork with the Internet network, are being prepared.

또한, 단말기로 기존의 음성 통화 이외에 미디어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실시간 스트리밍과 Off-line 전송 방법으로 나뉜다. In addition, a method of delivering information such as media to th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existing voice call is divided into a real-time streaming and off-line transmission method.

상기 Off-line 전송 방법은 일단 단말기에 영상 등의 정보를 저장한 후, 이를 파일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실시간 스트리밍의 예로는 화상통화를 들 수 있는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 단말기 표시창의 화면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the off-line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is stored in a terminal and then transmitted as a fil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real-time streaming may be a video call, which may transmit and display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to a screen of a counterpart terminal display window in real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Off-line 전송 방법에서는 저장된 파일만을 전송하므로, 이미 정보의 취득 후 시간이 지난 정보의 취득만이 가능하다는 제약과, 사용자가 저장하고 선택한 후 전송이라는 불편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야 하며, 실시간 스트리밍인 화상 통화의 경우 음성과 카메라 영상에 제한된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는 등, 이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이 제시되지 않아, 새로운 단말기를 개발함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Off-line transmiss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stored file is transmitted. Therefore, only the information that has already passed since the acquisition of the information can be acquired, and the user needs to use an inconvenient interface of storing and selecting the transmission. In the case of a video call, which is a real-time streaming, there is a limitation that only limited information can be shared in real time with a voice and a camera image. Therefore, a preferable method for this is not presented,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developing a new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환경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을 원거리에 있는 여러 단말기 사용자와 공유하여 볼 수 있는 더 효율적인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are a video of a specific user terminal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a plurality of terminal users in a far more efficient video sharing method and a terminal for the user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간에 영상을 공유하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 (a) 전송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b)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단말기를 송신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와, (d) 상기 캡처한 영상을 제 2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n image is shared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Setting a mode, (c) capturing an image of the first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and (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a second terminal. Provides a video sharing method.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캡처한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mpressing the captured image.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제 2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스펙에 맞추어 캡처한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d) may further include correcting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또한, 본 발명은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간에 영상을 공유하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 송신 모드인 제 1 단말기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된 영상을 수신 모드인 제 2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의 스펙에 맞추어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영상을 제 2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n image is shared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from a first terminal in a transmission mode and a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second terminal in receiving a received image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and displaying the corrected image on the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second terminal provides an image shar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송신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송신 에이전트와, 상기 송신 에이전트에 의해 송신 모드로 된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을 캡처하는 화면 캡처 수단과, 상기 캡처한 영상을 압축하는 영상 압축 수단과, 상기 압축된 영상을 송신하기 위한 영상 송신 수단과, 상기 영상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ransmission agent for converting a terminal into a transmission mode, screen capture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of a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in which the transmission agent is in transmission mode, and image compression means for compressing the captured image; And a video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compressed video and a transmiss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ideo transmiss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기는 송신 모드 단말기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 수신 수단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deo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 image from a transmission mode terminal, and a mod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data mode through a user interfac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사용자 간에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특정 단말기 사용자가 제공하는 영상을 공유하여 단말기 사용자 간에 효율적인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 voice call but also an image provided by a specific terminal user can be efficiently shared among the terminal users.

이하 상기의 목적으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for the above purpose.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 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but in certain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a term rather than a name of a term.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영상"이란 어떤 기술 수단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등의 화면으로 재생, 표시된 시작 정보를 의미하며, 화상이라는 말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영상 데이터"란 영상 정보를 표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In this regard, in the present invention, "image" refers to start information reproduced and displayed on a screen such as 2D or 3D by some technical means, and is used in the same concept as an image, and "image data" means image information. Refers to the expressed data.

특히, 본 발명에서 영상이란 용어는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mage is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including an image, text, video, and the lik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단말기"란 정보가 통신망에서 입출력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거나, 디지털 자료 전송 시스템에서 자료를 만들거나 보기 위한 기기 또는 자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한다.In this rega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terminal" refers to a point at which information is input / output in a communication network, or means a device for making or viewing data in a digital data transmission system or a device for performing a function for sending or receiving data. .

이때, 상기 단말기의 예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폰, PC, 통신 가능한 TV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유/무선의 다른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examples of the terminal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phone, a PC, a TV capable of communicating, but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viously applicable to other terminals of wired / wireless.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인 단말기를 제 1 단말기라 정의하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인 단말기를 제 2 단말기라 정의한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in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video data is defined as a first terminal, and a terminal in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video data is defined as a second terminal.

다만, 수신 모드인 제 2 단말기가 송신 요청에 의해 송신 모드가 되는 경우에는 제 2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 모드가 되는 제 1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 모드의 단말기와 수신 모드의 단말기는 하나 이상이 가능함을 밝혀둔다.However, when the second terminal in the reception mode enters the transmission mode by the transmission request,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data, and the first terminal in the reception mode receives the data, and the terminal of the transmission mode and the reception mode It is noted that more than one terminal is possible.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에이전트(Agent)"란 특정 장면에 따라서 의도를 이해하고 자립적인 판단에 의해서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 즉, 목적하는 웹 페이지를 찾아내면 특정 목적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In this regard, in the present invention, "Agent" refers to a function that understands an intention according to a specific scene and executes a process by independent judgment, that is, a program that executes a specific purpose when a target web page is found.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데이터 모드(Data Mode)"는 영상을 송신하는 단말기에서 어떻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전송 모드를 의미하며, 데이터 모드의 예로는 이벤트 모드(Event Mode)와 프리퀀시 모드(Frequency Mode)가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Mode" means a transmission mode indicating how image data is transmitted by a terminal that transmits an image. Examples of the data mode include an event mode and a frequency mode. Mode).

상기 "이벤트 모드(Event Mode)"는 버튼 조작에 위해 영상이 갱신되는 슬라이드나 전자펜 조작에 의해서 영상이 갱신되는 경우에 버튼, 전자펜 등의 이벤트(Event) 발생시마다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을 캡처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프리퀀시 모드(Frequency Mode)"는 동영상과 같이 이벤트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이 갱신될 경우에 주기적으로 영상을 캡처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The "Event Mode" captures an image of a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whenever an event such as a button or an electronic pen occurs when the image is updated by a slide or an electronic pen manipulation. "Frequency Mode" refers to a case in which a video is periodically captured and transmitted when an image of a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is automatically updated regardless of an event such as a video.

도 1a ~ 도 1d는 본 발명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사용자 3명이 단말기를 사용하여 영상 공유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to 1D are diagrams to help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1A to 1D illustrate a case where three users share an image using a terminal.

먼저, 다자간 통화 또는 영상 공유를 시작하기 위해서 도 1a와 같이 단말기 1, 2, 3 간에 음성 채널(Channel)을 여는 것으로 시작한다.First, in order to start a multi-party call or video sharing, it starts with opening a voice channel between terminals 1, 2, and 3 as shown in FIG. 1A.

이후, 도 1b와 같이 단말기 간에 통화를 위한 음성 채널과는 별도로 영상 채널(Channel)을 연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B, an image channel is opened separately from an audio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이때, 최초 송신 시도한 사용자의 단말기 1이 송신 모드로 설정되면, 나머지 단말기인 단말기 2, 3는 자동으로 수신 모드로 설정된다. 기본적으로 다자간 통화에서는 전화를 건 사용자의 단말기가 송신 모드 단말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설정에 따라서 송신 모드인 단말기가 달라질 수는 있다.At this time, if the terminal 1 of the user who attempted the first transmission is set to the transmission mode, the other terminals, terminals 2 and 3, are automatically set to the reception mode. Basically, in the conference c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of the calling user is set as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However, the terminal in the transmission mode may vary according to the setting.

따라서, 도 1c와 같이 영상 전송은 단말기 1에서 단말기2, 3의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C, the image transmission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 to the terminal 2, 3.

수신 모드의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중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들에게 보내고 싶을 경우에는 송신 요청을 하는바, 상기 송신 요청에 의해서 송신 요청을 한 단말기는 송신 모드 단말기가 되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나머지 단말기가 수신 모드 단말기가 되어 데이터를 수신한다.When a terminal in a reception mode is receiving data and wants to send data to other terminals, a transmission request is made. The terminal which has made a transmission reques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becomes a transmission mode terminal and transmits the data. Becomes a receive mode terminal and receives data.

도 1d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단말기 2가 송신 요청을 하여 송신 모드 단말기가 되면, 단말기 2에서 단말기 1, 3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D, when the terminal 2 makes a transmission request and becomes a transmission mode terminal, the terminal 2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s 1 and 3.

상기에서 단말기 3개의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단말기가 복수 개 이상인 경우에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며, 상기에서는 송신 모드 단말기가 하나인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송신 모드 단말기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임을 밝혀둔다.Although the case of three terminals is used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in the above case, there is one transmission mode termin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 terminals. Is a self-explanatory fact.

이하,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와 영상 공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erminal and an image sharing method for image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rminal for video sh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200)는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을 캡처하기 위한 화면 캡처 수단(210)과, 캡처한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영상 압축 수단(220)과, 압축된 영상을 송신하기 위한 영상 송신 수단(230)과, 특정 단말기에서 송신한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 수신 수단(240)과, 영상 송/수신을 제어하되, 특히 영상을 이벤트(Event)발생시 또는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와, 네트워크 트래픽 등을 고려하여 전송 속도 제어를 위한 전송 제어 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rminal 200 includes screen capturing means 210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image compression means 220 for compressing the captured image, and image transmitting means 230 for transmitting the compressed image. And video receiving means 240 for receiv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a specific terminal, controlling image transmission / reception, in particular, control for transmitting an image when an event occurs or periodically, and network traffic. It comprises a transmission control means 250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rate.

또한,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모드(Data Mode) 설정을 이벤트 모드(Event Mode) 또는 프리퀀시 모드(Frequency Mode)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수단(260)과,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송수신 모드를 송신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송신 에이전트(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mode setting means 260 for setting a data mode setting to either an event mode or a frequency mode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the terminal transmits data. And a transmission agent 270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o the transmission mode.

상기에서 언급한 단말기 구조는 본 발명과 관련한 부분만 설명하였으며, 일반적인 단말기의 기능은 모두 포함됨은 자명한 사실임을 밝혀둔다.The above-mentioned terminal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only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all the functions of the general terminal are inclu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공유 방법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sha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다자간 통화와 영상 공유를 시작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음성이 오가는 채널인 음성 채널을 연다.First, it opens an audio channel, which is an internal channel for voice communication, to start a conference call and share video.

상기 음성 채널을 연후에 상기 음성 채널과 별도의 전송 채널을 할당하여, 할당된 전송 채널을 연다(S300).After opening the voice channel, a separate transmission channel is assigned to the voice channel, and the allocated transmission channel is opened (S300).

이때, 통화가 전송되는 음성 채널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채널인 전송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음성 통화에 의한 통화상의 품질을 저해시키는 요인은 발생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by allocating a transmission channel which is a channel which has no relation to the voice channel through which the call is transmitted, there is no factor that impairs the quality of the call by the voice call.

즉, 새로운 채널의 할당으로 영상의 공유가 전화 통화와는 별도로 진행이 가능하며 서로 대화하는 것은 이전 통화와 똑같이 진행한다. 현재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말해도 서로 통화가 가능한 다자간 통화는 영상 공유와는 별도로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the new channel is allocated to share the video separately from the phone call, and the conversation is performed the same as the previous call. Currently, multi-party calls, which can be talked to by multiple people at the same time, are conducted separately from video sharing.

다시 말해, 여러 사람이 말을 하는 소리는 서로 들으면서 영상은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you can share images while listening to each other's words.

다만, 본 발명에서 음성 채널과 다른 채널인 전송 채널을 할당하는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음성과 영상의 전송을 하나의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However, although the case of allocating a transmission channel which is a channel different from the voice channe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aken as an example,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turally applied even when transmission of voice and video is performed through one channel.

상기 전송 채널 할당 단계(S300) 후,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드 인지를 나타내는 단말기들의 송수신 모드를 설정한다(S301).After the transmission channel assignment step (S300),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of the terminals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data or a data reception mode is set (S301).

예를 들어, 여러 사용자의 단말기들이 동시에 연결되어 특정의 한 사용자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을 여러 사용자의 단말기들이 공유할 경우에, 단 한 명의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만을 보내게 되므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기는 송신 모드(Sender Mode)로 설정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들을 수신 모드(Receiver Mode)로 설정한다. For example, when terminals of several users are conn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images of one user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are shared by the terminals of several users, only one image of the user terminal is sent, so the terminal that transmits data is transmitted. Set to Sender Mode, and set terminals to receive mode.

상기 송수신 모드 설정은 예를 들어, 송신을 시도하는 최초 사용자의 단말기 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송신 모드로 설정되면,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들은 자동으로 수신 모드로 설정되게 하여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of the first user who attempts to transmit is set to the transmission mode by a user opera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setting may be set to the reception mode automatically so as to prevent simultaneous transmission. Do.

다만,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송신 모드인 단말기가 하나인 경우 외에 송신 모드인 단말기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가능하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transmission mode in addition to one terminal in a transmission mode.

만일, 송신 모드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마치면, 모든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자신의 단말기를 송신 모드로 설정을 시도하려는 요청을 할 수 있는바, 송신 모드로 설정을 요청한 단말기가 송신 모드로 설정되어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고,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은 다시 자동으로 수신 모드로 설정된다. If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finishes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ll users can request to set their terminal to the transmission mode by a user's operation. The terminal requesting the transmission mode is set to the transmission mode. To transmit the image data, and the other user terminals are automatically set to the reception mode again.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특정 수신자가 수신 도중에 자신의 단말기 영상의 송신을 원할 경우에, 영상 데이터 수신 중 송신 요청에 의해 기존 송신 모드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송신을 중단시키고 자신을 송신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는 방법을 "Pre-Emption 방법"이라고 명명한다. 즉 데이터 송수신 중간에 모드의 변경이 발생하면 영상 데이터를 보내는 단말기가 바뀌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receiver wants to transmit his or her terminal image during reception, a method of stopping transmission of image data of an existing transmission mode terminal and changing itself to a transmission mode by a transmission request during image data reception is provided. Name it "Pre-Emption Method." That is, when a mode change occurs in the middl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is changed.

이와 달리, 서비스 방법에 따라 송신 모드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 송신을 멈추기 전까지는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송신 모드로 전환하지 못하도록 할 경우를 "Non-Pre-Emption 방법"이라고 명명한다.In contrast,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when a transmission mode terminal does not allow another user to switch its terminal to a transmission mode until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data is stopped, the "Non-Pre-Emption method" is called.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단말기는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영상 공유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을 하고 있으나, 두 개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화면을 동시에 공유하는 확장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이에 대해 제약받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describes a case in which one terminal shares an image from one terminal, for example, but can provide an extended function of simultaneously sharing a screen from two or more terminals. The technical idea is not constrained by this.

송수신 모드가 설정된 후, 사용자는 송신 모드 단말기가 프리퀀시 모드(Frequency Mode)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또는 이벤트 모드(Event Mode)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의 데이터 모드(Data Mode)를 선택한다(S302).Aft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set, the user selects a data mode of whether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transmits the image data in the frequency mode or the event mode (S302). .

여기서, 상기 데이터 모드 설정은 전송 속도를 설정하는 경우로 볼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동영상과 같이 자동으로 화면 표시창의 영상이 갱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고려하여 단말기나 단말기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상의 초당 최대 전송 가능한 프레임(Frame) 또는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Frame-Rate)로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data mode setting may be regarded as a case of setting a transmission rate. For example, in case of image data such as a video, the image of the screen display window is automatically updated, considering the network traffic, the terminal or the terminal communicates. It can be set to transmit at the maximum transmittable frame (Frame) per second or the set frame rate (Frame-Rate) on the network.

그리고, 텍스트나 송신 모드 단말기 사용자가 영상을 편집 도구로 수정한 것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영상 버퍼가 변경되거나 영상이 새로 업데이트 되는 시점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하거나, 버튼이나 전자펜 등에 의해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시점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When the text or transmission mode terminal user transmits a modified image by an editing tool, the image data is set to be transmitted when the image buffer is changed or the image is newly updated, or an event is generated by a button or an electronic pen. In this case, the video data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when the event occurs.

상기 데이터 모드가 프리퀀시 모드인 경우는 송신 모드 단말기 화면 표시창에 보이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의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시마다 캡처한다(S303).When the data mode is the frequency mode, video data such as a moving picture, an image, and a text displayed on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are captured at each event (S303).

또한, 송신 모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고 가능함을 밝혀둔다.It is also noted that it is possible to capture video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상기 단계(S303)에서 캡처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을 위해 압축한다(S304). 이 단계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단계로 압축할 필요가 없는 영상 데이터는 압축하지 않고 송신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image data captured in the step S303 is compressed for transmission (S304). This step is performed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in a short time, and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e image data without compression without compressing it.

상기에서 캡처되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 모드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 크기에 맞추어 보정한다(S305).The captured and compressed image data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S305).

이는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는 한가지 종류가 아니므로, 각기 다른 크기의 단말기 화면 표시창을 가진다. 이에 따라 송신 모드 단말기가 송신한 영상의 크기는 수신 모드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크기와 반드시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This is because there is not one type of terminal used by each user, and thus has different sized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s. Accordingly, the size of the image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그러므로, 송신 모드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크기와 수신 모드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크기의 비율을 적용하여 수신 모드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이는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to the user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is adjusted by applying a ratio of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to the size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이러한 보정은 송신 모드 단말기가 수신 모드 단말기의 스펙에 맞추어 보정후에 송신하는 방법과, 보정하지 않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모드 단말기에서 자신을 단말기 스펙에 맞추어 보정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Such corre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after the cor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and by the reception mode terminal receiving the uncorrected image data.

상기에서 전자의 방법은 송신 모드 단말기와 수신 모드 단말기가 1:1 통신을 하는 경우에 유리하며, 후자의 방법은 송신 모드 단말기와 수신 모드 단말기가 1:n 통신을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The former method is advantageous when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and the reception mode terminal have 1: 1 communication, and the latter method is advantageous when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and the reception mode terminal have 1: n communication.

이때, 송신 모드 단말기에서 보정하는 방법의 경우에 수신 모드 단말기들에 대한 스펙 정보는 서로 간에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 세션을 설정할 때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calibrating in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reception mode terminals is preferably obtained when establishing a session to allocate channels to each other.

상기 단계(S305) 후, 영상 데이터를 수신 모드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주기마다 송신한다(S306).After the step S305, 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mode terminal in real time at intervals (S306).

이때, 수신 모드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 모드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에 영상의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사용자 서로 간에 영상을 공유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ception mode terminal receives the image data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to share the image between the terminal users.

상기 단계(S302)에서, 데이터 모드가 이벤트 모드인 경우는 송신 모드 단말기 화면 표시창에 보이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의 영상 데이터를 이벤트 발생시마다 캡처한다(S307).In step S302, when the data mode is the event mode, video data such as a moving picture, an image, a text, and the like displayed on the transmission mode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is captured every time an event occurs (S307).

상기 단계(S307)에서 캡처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을 위해 압축한다(S308). 이 단계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단계로 압축할 필요가 없는 영상 데이터는 압축하지 않고 송신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image data captured in the step S307 is compressed for transmission (S308). This step is performed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in a short time, and it may be possible to transmit the image data without compression without compressing it.

상기에서 캡처되어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 모드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 크기에 맞추어 보정한다(S309). 이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서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The captured and compressed image data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S309).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step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here.

상기 단계(S309) 후, 영상 데이터를 수신 모드 단말기에 이벤트 발생시마다 송신한다(S306).After the step S309,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mode terminal every time an event occurs (S306).

이때, 수신 모드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 모드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에 영상의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사용자 서로 간에 영상을 공유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ception mode terminal receives the image data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screen display window of the reception mode terminal to share the image between the terminal users.

상기 단계(S306, S310) 후, 수신 모드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내기를 원하여 송신 요청을 하면, 상기 송신 요청을 한 사용자의 단말기가 송신 모드 단말기가 되고, 나머지 단말기가 수신 모드 단말기가 된다(S311).After the above steps (S306, S310), if a specific terminal user among the reception mode terminals wants to send the image data to another terminal user and makes a transmission request, the terminal of the user making the transmission request becomes a transmission mode terminal, and the remaining terminals Is the reception mode terminal (S311).

이때, 상기 수신 모드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가 영상 데이터 수신 도중 송신 모드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Pre-Emption 방법"이고, 영상 데이터 수신이 끝난 후에 송신 모드가 되는 경우를 "Non-Pre-Emption 방법"이다.In this case, when a specific terminal among the reception mode terminals enters a transmission mode while receiving image data, the above-mentioned "pre-emption method"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transmission mode is received after the reception of the image data "Non-Pre-Emption". Way ".

상기 단계(S311) 후, 다시 S302 단계부터의 과정을 수행하여 단말기 사용자 간에 영상을 공유하게 된다.After the step S311, the process from step S302 is performed again to share the image among the terminal user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환경에서 여러 단말기 사용자들과 화면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어떤 정보를 설명하고자 하는 사용자(이를 테면 선생님)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어떤 정보를 서로 다른 장소에서 다른 참고 자료를 곁들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는 상황에 유용한 기술이다. 이때, 음성 데이터는 기존과 동일하게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공유된 화면을 보면서 설명을 듣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은 수시로 원할 때 질문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haring a screen with a plurality of terminal users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for example, a teacher) who wants to explain some information to another user has different information in different places. This technique is useful for situations where you want to explain in detail with reference materials. At this time, the voice data can be exchanged in the same way as before, so that other users who listen to the explanation while watching the shared screen can frequently ask questions.

또한, 본 발명은 공유된 영상을 보면서 설명을 듣고 있던 사용자가 더욱 나은 정보를 자신의 단말기에 가지고 있을 경우나, 자신의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경 혹은 장소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싶을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기 모드를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시켜 현재 단말기 상에 보이는 이미지를 공유하도록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who listened to the description while watching the shared video has better information on their terminal or by using a camera attached to their terminal to change the image or video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or place If the user wants to share with the user, the user can switch the terminal mode from the reception mode to the transmission mode to switch to share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terminal.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는 단 말기 사용자 간에 음성만으로 상대방에게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 텍스트, 이미지, 그리고 동영상 등의 영상을 음성 통화와 함께 동시에 영상을 공유함으로써 더욱 생생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ideo sharing method and the terminal for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sharing a video,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 with a voice call at the same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only by voice between the terminal users It has the effect of delivering more vivid information.

Claims (12)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간에 영상을 공유하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n image is shared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 전송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a) assigning a transport channel; (b)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1 단말기를 송신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b) setting a first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to a transmission mode; (c) 상기 제 1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와, (c) capturing an image of the first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d) 상기 캡처한 영상을 제 2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and (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a second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캡처한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Compressing the captured image further comprises the image shar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제 2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스펙에 맞추어 캡처한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And correcting the captured imag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a) comprises: 상기 할당된 전송 채널은 음성이 송수신 되는 채널과 다른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The allocated transmission channel is a video shar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nel is different from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 voic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b), 제 1 단말기가 송신 모드인 경우에는 제 2 단말기는 수신 모드가 되어 제 1 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신을 마치기 전까지는 제 2 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If the first terminal is in the transmission mode, the second terminal is in the receiving mode, the data sharing method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erminal can not transmit data until the first terminal finishes transmitting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b), 제 1 단말기가 송신 모드인 경우에도 수신 모드인 제 2 단말기 중 어느 특정 단말기가 송신 요청을 하면, 제 2 단말기가 송신 모드가 되어 제 1 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신을 멈추고 제 2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Even when the first terminal is in the transmission mode, when a specific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reception mode makes a transmission request, the second terminal enters the transmission mode and stops the data transmiss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the data. An image shar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b), 상기 송신 모드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And at least one terminal in the transmission mode.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 간에 영상을 공유하는 통신 환경에 있어서,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an image is shared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송신 모드인 제 1 단말기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an image from a first terminal in a transmission mode; 상기 수신된 영상을 수신 모드인 제 2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의 스펙에 맞추어 보정하는 단계와,Correcting the received image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of a screen display window of a second terminal in a reception mode; 상기 보정된 영상을 제 2 단말기의 화면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환경에서의 영상 공유 방법.And displaying the corrected image on a screen display window of a second terminal. 단말기를 송신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송신 에이전트와,A sending agent for converting the terminal into a transmission mode, 상기 송신 에이전트에 의해 송신 모드로 된 단말기 화면 표시창의 영상을 캡처하는 화면 캡처 수단과,Screen capture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of a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in a transmission mode by the transmitting agent; 상기 캡처한 영상을 압축하는 영상 압축 수단과,Image compression means for compressing the captured image; 상기 압축된 영상을 송신하기 위한 영상 송신 수단과,Image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compressed image; 상기 영상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송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And a transmiss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ideo transmission.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송신 모드 단말기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영상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And a video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 image from a transmission mode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And a mod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data mode through a user interfac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데이터 모드(Data Mode)는 이벤트 모드(Event Mode), 프리퀀시 모드(Frequency Mod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공유를 위한 단말기.The data mode (Data Mode) is a terminal for image sharing,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event mode (Event Mode), the frequency mode (Frequency Mode).
KR1020050067419A 2005-07-25 2005-07-25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KR200700130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19A KR20070013067A (en) 2005-07-25 2005-07-25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19A KR20070013067A (en) 2005-07-25 2005-07-25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067A true KR20070013067A (en) 2007-01-30

Family

ID=3801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419A KR20070013067A (en) 2005-07-25 2005-07-25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306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90B1 (en) * 2007-10-04 2010-02-02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sharing service
KR100971630B1 (en) * 2008-06-30 2010-07-2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Method of sharing image using internet telephone protocol between image phone and image phone
US8819167B2 (en) 2009-07-20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KR20180136054A (en)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90B1 (en) * 2007-10-04 2010-02-02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sharing service
KR100971630B1 (en) * 2008-06-30 2010-07-2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Method of sharing image using internet telephone protocol between image phone and image phone
US8819167B2 (en) 2009-07-20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US9712480B2 (en) 2009-07-20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KR20180136054A (en)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0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ideo
US20050208962A1 (en) Mobile phone, multimedia chat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EP1491044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US9024997B2 (en) Virtual presence via mobile
US7715872B2 (en) Video call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video through third display
US6453336B1 (en) Video conferencing with adaptive client-controlled resource utilization
US5920693A (en) Audio to video switchover in video conferencing
EP2672704A1 (en) Multiple channel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cameras
US20050073575A1 (en) Camera for communication of streaming media to a remote client
CN10121275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multi-party video call and the display method
KR20050094693A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sending image signal as video image for mobile phone
CN102611871A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video communication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ing terminal
KR1006992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ting video data and audio data to web in video telephon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5003532A1 (en) Multimedia conferencing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070013067A (en) Method and terminal for image sharing
NZ547939A (en) Push to watch: a video person-to-person streaming application
US20070120949A1 (en) Video, sound, and voice over IP integration system
KR100989660B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remote video chain
EP1718076B1 (en) Mobile terminal for selectively storing video call data and video call data storing method therefor
KR100595619B1 (en) Video telephon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0000206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telephony
KR20120047512A (en)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of multimedia communication for group media communication
KR101366317B1 (en) Method for Multipoint Video Telepony in Mobile Terminal
KR1009492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cument sharing by using standard video terminal and ip tv
KR19990061602A (en) Video Configuration Control Method of Video Confer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