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3318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318A
KR20050123318A KR1020040047878A KR20040047878A KR20050123318A KR 20050123318 A KR20050123318 A KR 20050123318A KR 1020040047878 A KR1020040047878 A KR 1020040047878A KR 20040047878 A KR20040047878 A KR 20040047878A KR 20050123318 A KR20050123318 A KR 2005012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디노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노밴 filed Critical (주)디노밴
Priority to KR102004004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3318A/en
Publication of KR2005012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31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를 시도하는 때,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입력하는 과정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통화를 개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측 단말기에 표시되는 소정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선택함으로써 통화를 요청하고,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When attempting a call,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predetermined interface object displayed on the calling party's terminal connec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call can be initiate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checking and enter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Discloses 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for enabling a call between a caller and a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Description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System for providing call connec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본 발명은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에서의 단순한 조작만으로 유무선 전화 통신망에 접속된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가 가능한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making a call between telephone terminals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simple operation at a terminal connected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thereof.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으로, 기업 등 내에서는 사설 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 등에 의해 사용되는 일정수의 외부 전화 회선을 모든 직원이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사용자들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전화 교환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화 시스템에서는, 발신자가 통화를 하고자 하는 착신자에 통화를 시도하려는 경우, 반드시 착신자의 전화 번호를 알고 있을 것이 필요하며, 또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해서는 전화기의 버튼을 직접 누르는 것이 필연적이었다. 또한, 착신자의 전화 번호를 메모리 시켜두고 단축 다이얼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그 용량은 한계가 있으며, 단축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착신자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Generally, a telephone exchange that shares a certain number of external telephone lines used by a private branch exchange (PBX) within an enterprise, etc., and automatically connects telephones among internal users connected to the extension. I am using the system. In such a telephone system, when a caller tries to make a call to a called party,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alled person's phone number, and it is necessary to directly press a button of the telephone to start a call. In addition, even i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party is stored in memory and the speed dial function is used, the capacity is limited,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peed dial number and the corresponding called party.

한편, 인터넷의 발달로, IP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까지 함께 실어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로서 기존의 음성 서비스와 IP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전화망과 데이터망을 하나로 묶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그 하나의 예로, 이른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라 불리는 기술로서, 즉, 인터넷을 쓰기 위해 할당되어 있는 ADSL, 케이블 모뎀, 전용선을 통해서 인터넷 데이터 뿐만 아니라 전화 통화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경우, 컴퓨터 기반의 체제를 이용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므로,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기반의 통상의 전화기를 이용하는 것 보다는 인터페이스의 측면에서 편리할 수는 있다(예컨대, 모니터를 통한 통화 관련 정보의 표시 등). 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s a technology for supporting not only data but also voice from the IP network, a technology for integrating an existing voice service and an IP network to combine a telephone network and a data network into one has emerged. One example is the so-calle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technology, which allows you to make phone calls as well as Internet data through ADSL, cable modems, and leased lines allotted to use the Internet. In the case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ince the call is made using a computer-based system, it may be more convenient in terms of interface than using a normal telephone based o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Eg, display of call related information via a monitor, etc.).

그러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경우에도 통화 품질의 면에서 공중 전화망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뒤지는 한편, 현재 음성 통신은 대부분 공중 전화망 기반의 통상의 전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임에 비추어,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하는 면에 있어서는 그다지 효율적이라 할 수 없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the quality of the call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while the current voice communication is mostly achieved through a conventional telephone based on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 terms of utilizing infrastructure, it is not very efficient.

따라서, 기존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하면서도, 통화시 수화기를 들고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일일이 확인하고, 이를 다시 일일이 전화기에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Therefore, while using the existing public telephone network,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ick up the handset during the call and check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and input it again into the phon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화를 시도하는 때,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입력하는 과정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통화를 개시할 수 있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capable of initiating a call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a process of checking and inputting a phone number of a counterpart when a call is attempted.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은 다자간 음성 컨퍼런스 기능을 통하여 원격지의 사람과도 음성 회의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문서를 공유하며 효과적인 회의를 진행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that enables a voice conference with a remote person through a multi-party voice conference function, so that documents can be shared and an effective conference can be perform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상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측 단말기에 대응하는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상기 추출된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호 처리 모듈; 및 상기 호 처리 모듈이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상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호를 연결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that enables a call between a caller and a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by attempting a call us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a call request between a caller side and a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from a call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ystem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retrieving and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party's terminal that requested the call, when the call request is made; A call connection is made to the caller's telephon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by access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received from the caller's terminal. A call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And a switching module for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wh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1)상기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착신자의 전화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2)상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측 단말기에 대응하는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단계;(3)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상기 추출된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4)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5)상기 단계(4)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상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that enables a call between a caller and a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by attempting a call us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 1) receiving a call request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from the call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2) if there is the call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caller terminal requesting the call; Searching and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3) access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Step (4)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received from the calling party's terminal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by connecting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based on the call; And (5) in the step (4), whe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nects the call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Provide a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이 적용되는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간략히 “시스템”이라고도 함) 100은 그 일례로서, 근거리 통신망(LAN) 등의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그룹웨어 서버 20 및 사용자 단말기 30과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 100은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 30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to which the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and is connected to the groupware server 20 and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call connec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은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발신자)단말기 30로부터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을 통하여 연결된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간의 통화를 연결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100은 발신자측 단말기 30에서 구동되는 소정의 웹(web) 브라우저 상에서 제공되어 표시되는 특정 오브젝트(예컨대, 아이콘)를 조작(예컨대, 마우스로 클릭하는)함으로써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발신자 가 원하는 착신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로의 통화를 시도한다.The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call request information from a user (sender) terminal 30 connected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nects a call between a caller side and a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40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Provide service. In this embodiment. The system 100 receives call request information by manipulating (e.g., clicking with a mouse) a specific object (e.g., an icon) provided and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web browser running on the caller-side terminal 30, so that the caller desires. Attempt a call to the called party'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통신망은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물론, 원거리 통신망, 전화 통신망, 종합정보통신망, 인터넷 통신망, 무선 통신망 등 그 명칭을 불문하고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모든 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은 도 1의 예에서와 같은 사설 전화 통신망은 물론이고, 공중 전화 통신망(PSTN)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the local area network but also all communication networks for data transmission, regardless of their names, such as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Further, the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s well as a private telephone network as in the example of FIG.

사용자 단말기 30는 통상적인 범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로써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시스템 100 및 그룹웨어 서버 20와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 및 상기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ser terminal 30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personal computer. The user terminal 30 may input and display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the call connec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ystem 100 and the groupware server 20 and th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function etc. to make.

그룹웨어 서버 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 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상의 업무에 필요한 것으로서, 집단으로서의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며, 전자 우편 등 사용자 구성원 간의 정보를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도록 사용되는 서버이다. 따라서, 시스템 100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그룹웨어, 메신저, 웹 등)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경우, 그룹웨어 서버 20을 경유하여 단말기 30과 정보의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시스템 100과 단말기 30은 그룹웨어 서버 2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 통신하여도 좋다.The groupware server 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 and is required for normal work. The groupware server 20 is driven by software designed to support work as a group. The groupware server 20 exchanges information among user members such as e-mail and proceeds with the work. Server. Therefore, when the system 10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groupware, messenger, web, etc.), the system 100 transmits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30 via the groupware server 20.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and the terminal 30 may be in direct data communication without the groupware server 20.

전화 단말기 40, 42 및 44는 상기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호가 접속되는 장치이며,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및 이동 통신 전화기(셀룰러 폰 등) 등을 포함한다.Telephone terminals 40, 42, and 44 are devices to which calls are connected through the telephone communication network, and generally include widely used landline telephones, wireless telephones, and mobile telephones (such as cellular phones).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100은 PBX(사설교환기) 1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 40과 접속되어 있다. PBX 10은 회사에서 사용되는 일정수의 외부전화 회선을 모든 직원이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 단말기 40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전화 교환 시스템이다.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the user's telephone terminal 40 via a PBX (private branch exchange) 10. The PBX 10 is a telephone exchange system that allows employees to share a certain number of external telephone lines used in the company and automatically connects telephones between 40 telephone terminals connected to the extension.

이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룹웨어를 통하여 전자 결재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안자(이하, “착신자”라고도 함)에게 결재자(이하, “발신자”라고도 함)가 통화를 시도하여 연결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all connection service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electronic payment through the groupware, an example in which the p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ller") attempts to connect to the draf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ller") will be described. .

먼저, 발신자측 단말기 30의 웹 브라우저 50는 기안자로부터 전송된 전자 결재 서류로서, 기안자의 성명 및 소속과 기안의 내용을 표시하고, 아울러 기안자, 즉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4로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오브젝트, 즉 소정의 아이콘 52를 표시한다.First, the web browser 50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is an electronic payment document transmitted from the drafter, which displays the drafter's name, affiliation, and contents of the draft, and enables a call connection service to the drafter, namely,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4. An interface object, that is, a predetermined icon 52 is displayed.

결재자가 기안자에게 통화를 원하는 경우, 결재자는 단순히 마우스로 아이콘 52을 클릭만 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50은 발신자측 단말기 30로부터 그룹웨어 서버 20을 경유하여 시스템 100에 통화 연결의 요청을 한다(S10). If the payer wants to call the drafter, the payer simply clicks the icon 52 with the mouse, and the web browser 50 requests a call connection from the caller terminal 30 to the system 100 via the groupware server 20 (S10).

시스템 100은 발신자측 단말기 30로부터 통화 연결의 요청이 있는 경우, PBX 10에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2 및 404로의 호 접속을 요청하여 호 셋업을 수행한다(S12). When there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the system 100 requests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party and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to perform call setup (S12).

PBX 10은 시스템 100으로부터 호 셋업의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2 및 404에 착신음을 발생한다(S14 및 S16). 시스템 100은 발신자 및 착신자가 모두 전화 단말기 402 및 404를 오프훅한 경우, 전화 단말기 402 및 404간의 호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양측간의 통화가 개시된다. 이 경우, 시스템 100은 전화 단말기 402 및 404과의 호를 계속 유지하면서, 전화 단말기 402 및 404 사이에서 호를 릴레이함으로써 양자간의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써, 시스템 100은 자신과 전화 단말기 402 및 404과의 호를 해제하고, 전화 단말기 402 및 404간의 호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양자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여도 좋다.When there is a request for call setup from the system 100, the PBX 10 generates a ring tone at the calling party and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S14 and S16). When both the caller and the called party off-hook the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the system 100 initiates a call between both sides by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In this case, the system 100 may perform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two by relaying the call between the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while maintaining the call with the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may release the call between itself and the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and connect the calls between the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by mutually connecting each oth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100에 의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회의 통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룹웨어를 통하여 회의 통화(voice conference)를 예약하고, 회의의 의장(이하, “발신자”라고도 함)이 참석자(이하, “착신자”라고도 함)에게 회의 참석을 위한 통화를 시도하여 연결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a call connection service by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erence call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conference call (voice conference) is scheduled through the groupware, and the chairman of the confer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nder") attempts to call the attende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lled party") to attend the conference. An example of connecting will be described.

먼저, 발신자측 단말기 302의 웹 브라우저 50는 미리 예약된 회의 통화에 관한 화면으로서, 참석자 및 통보 방법을 표시하고, 아울러 참석자, 즉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4 내지 408로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오브젝트, 즉 소정의 아이콘 52를 표시한다. First, the web browser 50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2 is a screen for a conference call scheduled in advance. The interface object displays a participant and a notification method, and enables a call connection service to the participant, that is, the called party's terminal 404 to 408. That is, the predetermined icon 52 is displayed.

회의의 의장이 참석자들과 회의 통화를 원하는 경우, 회의의 의장은 단순히 마우스로 해당 참석자에 대응하는 아이콘 52을 클릭만 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50은 발신자측 단말기 302로부터 그룹웨어 서버 20을 경유하여 시스템 100에 회의 개최의 요청을 한다(S20). If the chairman of the meeting wants to make a conference call with the attendees, the chairman of the meeting simply clicks on the icon 52 corresponding to the attendee with a mouse, thereby allowing the web browser 50 to connect to the system 100 from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2 via the groupware server 20. Request to hold the meeting (S20).

시스템 100은 발신자측 단말기 302로부터 회의 개최의 요청이 있는 경우, PBX 10에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2 내지 408로의 호 접속을 요청하여 호 셋업을 수행한다(S22). 시스템 100은 통보 방법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로의 호 접속이 가능하다.When there is a request to hold a conference from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2, the system 100 requests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party and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s 402 to 408 to perform call setup (S22). The system 100 can connect to various terminals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method.

PBX 10은 시스템 100으로부터 호 셋업의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2 에 착신음을 발생하도록 하고(S24),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4 내지 408에 착신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회의를 공지하고 참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S26). 한편, 시스템 100은 착신자측 단말기 304 내지 308에 e-mail등을 전송하여 회의를 공지하고 참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시스템 100은 e-mail등을 전송을 위한 e-mail 서버 모듈(도시 안됨)을 포함하여도 좋고,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의 e-mail 서버와 연동하여 착신자측 단말기 304 내지 308(도 3 참조)에 e-mail등을 전송하여 회의를 공지하고 참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When there is a call setup request from the system 100, the PBX 10 generates a ring tone at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402 (S24), and generates a ring tone at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s 404 to 408 to announce a meeting and determine whether to attend. (S26).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100 may send an e-mail or the like to the called party terminals 304 to 308 to announce the meeting and determine whether to attend. In this case, the system 100 may include an e-mail server module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 e-mail or the like. As another embodiment, the receiver side terminals 304 to 308 (operating with an external e-mail server) may be used. E-mail or the like may be sent to announce the meeting and determine whether to attend.

시스템 100은 발신자 및 착신자가 모두 전화 단말기 402 및 404 내지 408를 오프훅한 경우, 전화 단말기 404 내지 408간의 호를 연결함으로써 회의 의장 및 참석자간의 통화 회의가 개시된다.When both the caller and the called party off-hook the telephone terminals 402 and 404 to 408, the system 100 initiates a conference call between the conference chairman and the attendee by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telephone terminals 404 to 408.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102,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 104, 호 처리 모듈 106, 스위칭 모듈 108 및 데이터베이스 116를 포함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a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4, a call processing module 106, a switching module 108 and a database 116.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102은 시스템 100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측 단말기 30으로부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간의 통화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The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a call request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ing party terminal 40 from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connected to the system 1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102은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측 단말기 30에 표시되는 착신자의 전화 단말기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발신자가 클릭한 경우, 상기 착신자의 전화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에 시스템 100의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102을 링크시킴으로써,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102은 통화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determines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when the caller click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displayed on the calling party's terminal 30 requesting the call. In this case, by linking the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of the system 100 to the icon, the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may receive call request information.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 104는 상기 통화의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측 단말기 30에 대응하는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다. 이 경우,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 104는 통화 요청이 전송된 당해 발신자측 단말기 30의 식별 정보(예컨대, IP 주소)를 이용하여 발신자측 단말기 30에 대응하는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다.When the call is requeste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4 retrieves and extra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r-side telephone terminal 40 corresponding to the caller-side terminal 30 requesting the call. In this cas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4 retrie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by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n IP address)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to which the call request was sent. Extract.

여기에서, 발신자측(혹은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는 시스템 100이 전화망을 통하여 발신자측(혹은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 호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서, 통화의 상대방을 특정하는 정보를 말한다. 여기에는,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의 전화 단말기 40의 전화 번호 또는 착신자 및 발신자 ID 등이 있다.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 104는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의 전화 단말기 40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116에 인덱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or called party's) phone terminal 40 refers to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ther party of the call when the system 1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party's (or called party's) phone terminal 40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 This includ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elephone terminal 40 of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or the called party and the calling party ID.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4 index and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lephone terminal 40 of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in the database 116.

호 처리 모듈 106은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추출된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의 호를 접속하는 한편, 발신자측 단말기 30로부터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근거하여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의 호 접속을 수행한다.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connects the call to the calling party terminal 4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40 extracted by connecting to the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identifies the calling party terminal 40 from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Receives the information, and performs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based on the information.

스위칭 모듈 108은 호 처리 모듈 106이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간의 호를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칭 모듈 108은 호 처리 모듈 106과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과의 호를 유지하면서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 사이에서 호를 릴레이하거나, 호 처리 모듈 106과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과의 호를 해제하고,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간의 호를 접속함으로써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간의 호를 연결한다.The switching module 108 connects a call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wh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connects the call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ing module 108 relays a call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while maintaining a call betwe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and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or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and the calling party's side. And the call between the caller side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40 is connected by releasing the call with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40 and connecting the call between the caller side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40.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발신자 및/또는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종류를 나타내는 단말기 종류 정보를 발신자측 단말기 30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기 종류 정보 수신 모듈 110을 더욱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 104는 상기 단말기 종류 정보에 대응하여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 종류 정보는 회사 전화, 집전화, 핸드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typ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10 for receiving terminal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calling party and / or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from the calling party's terminal 30. In this cas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4 preferably searches for and extra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terminal 40 in response to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work phone, a home phone, a mobile phone, and the like.

단말기 종류 정보 수신 모듈 110은 발신자측 단말기 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단말기 종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발신자가 선택함으로써, 당해 단말기 종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10 may receive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by selecting the interfac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yp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의 호 접속 순서를 규정하는 접속 순서 정보를 발신자측 단말기 30으로부터 수신하는 접속 순서 정보 수신 모듈 112을 더욱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 호 처리 모듈 106은 상기 접속 순서 정보에 대응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순서로서는 발신자 응답 후 착신자 연결(predictive call), 착신자 응답 후 발신자 연결, 착발신자 동시 연결 등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sequenc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12 for receiving from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connection sequence information defining a call connection sequence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rminal 4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performs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rder information. The connection order may include a predictive call after the caller response, a caller connection after the caller response, and a simultaneous caller call.

또한, 시스템 100은 착신자측 단말기 304 내지 308(도 3 참조)에 e-mail등을 전송하여 회의를 공지하고 참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메일 전송 모듈(도시 안됨)을 더욱 포함하여도 좋다. 한편, 시스템 100은 외부의 e-mail 서버와 연동하여 착신자측 단말기 304 내지 308(도 3 참조)에 e-mail등을 전송하여 회의를 공지하고 참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mail transmission module (not shown) for sending an e-mail or the like to the called party's terminals 304 to 308 (see FIG. 3) to announce the meeting and determine whether to attend.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100 may interwork with an external e-mail server to send an e-mail or the like to the called party's terminals 304 to 308 (see FIG. 3) to announce the meeting and determine whether to attend.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실시간으로 통화 상태에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30으로 전송하는 통화 상태 정보 전송 모듈 114을 더욱 포함하여도 좋다. 통화 상태에 관련한 정보로는 통화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발신자 연결중, 착신자 연결중, 호 전환 중, 연결 실패 등) 등이 있다. 통화 상태 정보 전송 모듈 114은 호 처리 모듈 106 및 스위칭 모듈 108의 동작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통화 연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3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l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114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all state to the user terminal 30 in real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l state includes information on a call connection state (during caller connection, caller connection, call transfer, connection failure, etc.). The call state information transmitting module 114 preferably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call connection state to the user terminal 30 while continuously checking the operations of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and the switching module 108.

상기한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통상적인 범용 컴퓨터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구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programming a conventional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Howev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nd implement dedicated hardware for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느 경우에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포함되는 상기 모듈들 102 내지 112의 각각은 상호간에 버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미 널리 알려진 운영체계나 통신 프로토콜 등의 소프트웨어(도시되지 않음)와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장치 등의 하드웨어(도시되지 않음)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현함에 요구되는 공지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지의 구성요소와 그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공지된 기능 등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ny case, each of the modules 102 to 112 included i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via a bus (not shown). By utilizing software such as a communication protocol (not shown) and hardware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memory device (not show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known function requir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Known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nd known functions performed by them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상기 모듈들 102 내지 112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일부나 전부를 독립된 하드웨어인 서버로 구현한 서버의 집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적 구현의 변형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설계상의 선택사항에 지나지 않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urthermore,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a set of servers in which some or all of one or a combination of the modules 102 to 112 are implemented as servers that are independent hardware. This modification of hardware implementation is merely a design option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Next,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동작이 시작되어, 발신자측 단말기 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착신자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오브젝트 52를 발신자가 조작, 즉 마우스로 클릭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오브젝트 52에 링크되어 있는 시스템 100 의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102는 통화 연결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02).First, the operation is started, and when the caller manipulates, that is, clicks with a mouse, the interface object 52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the call request information of the system 100 linked to the interface object 52 is received. Module 102 receives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step S302).

다음으로, 시스템 100의 단말기 정보 추출 모듈 104는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 102가 수신한 통화 연결 요청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 116를 검색하여 당해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304). Next, the terminal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104 of the system 100 searches the database 116 based o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02 to extra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r-side telephone terminal 40 (step S304). .

한편, 시스템 100의 단말기 종류 정보 수신 모듈 110은 발신자측 단말기 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단말기 종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발신자가 선택하는 경우, 당해 단말기 종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06).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10 of the system 100 receives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when the caller selects an interfac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yp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step S306).

한편, 시스템 100의 접속 순서 정보 수신 모듈 112은 발신자측 단말기 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접속 순서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오브젝트를 발신자가 선택하는 경우, 당해 접속 순서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08).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order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112 of the system 100 receives the connection order information when the caller selects an interfac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rd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step S308).

상기 단계 S306 및/또는 단계 S308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Step S306 and / or step S308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다음으로, 시스템 100의 호 처리 모듈 106은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 및/또는 단말기 종류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의 호 접속을 수행한다(단계 S310).Next,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of the system 1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r-side telephone terminal 4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of the caller-side telephone terminal 40 (step S310).

한편, 호 처리 모듈 106은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부터 수신된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의 식별 정보 및/또는 단말기 종류 정보에 근거하여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으로의 호 접속을 수행한다(단계 S312).On the other hand,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performs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received from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step S312).

이 경우, 단계 S310 및/또는 S312는 단계 S308에서 수신된 접속 순서 정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steps S310 and / or S312 are preferab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der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308.

다음으로, 스위칭 모듈 108은 호 처리 모듈 106이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호 처리 모듈 106과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과의 호 접속을 해제하고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 40간의 호 접속을 개시함으로써 발신자 및 착신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단계 S314).Next, wh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makes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respectively, the switching module 108 releases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106 and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40, and th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By initiat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telephone terminals 40, a call is made between the caller and the called party (step S314).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과 발신자 및 착신자 전화 단말기 40이 사설 교환기(PBX)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공중 통신망(PSTN)을 통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 전화 단말기 40과 연결되어도 좋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ystem 100 and the caller and the called telephone terminal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a private branch exchange (PBX) is described as an example. As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may be connected to the calling and called telephone terminal 4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 30에서 구동되는 메신저 60에 의해 표시되는 착신자(대화 상대방)에 대응하는 아이콘 52을 클릭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 100은 공중 통신망(PSTN)을 통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측 이동 통신 전화 단말기 40간의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3에서의 예에서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시스템 100으로부터 발신자 및 착신자측 이동 통신 전화 단말기 40 각각으로의 호 접속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SMS) 혹은 대화식 음성 응답(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을 이용하여도 좋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when the icon 52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conversation partner) displayed by the messenger 60 running on the calling party terminal 30 is clicked,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The call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may b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unlike in the examples in Figs. 2 and 3, in the call connection from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ch of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a short message (SMS) or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is used. , Interactive Voice Response) may be us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입력하는 과정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업무 처리 중 통화를 원할 때 수화기를 들고 상대방의 내선번호나 핸드폰 번호를 눌러 통화를 해야 하는 불편한 과정이 필요 없이 간단한 마우스 클릭만으로 원하는 사람과의 통화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can be connected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the process of checking and inputt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In other words, when you want to call during business processing, you can make a call with the person you want with a simple mouse click,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ke a call by pressing the extension or mobile number of the other par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자간 음성 컨퍼런스 기능을 제공하여 원격지의 사람과도 음성 회의가 가능하며 같은 문서를 공유하며 효과적인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업 인트라넷의 기본인 그룹웨어, KMS, 회의관리, 문서공유 시스템 등 모든 기업 정보 포탈에서 연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ulti-party voice conference func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voice meeting with a remote person, share the same document, and conduct an effective meeting. Furthermor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nked to all corporate information portals such as groupware, KMS, meeting management, document sharing system, which are the basics of the corporate intrane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하여 높은 통화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한 통화 연결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ple and convenient call connection can be achieved us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while maintaining a high call quality using an existing public telephon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이 적용되는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xample to which the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통화 연결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by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100에 의한 회의 통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erence call by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이 적용되는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other example to which the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laims (12)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service for enabling a call between a caller and a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by attempting a call us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요청 정보 수신 모듈;A call request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a call request between a caller side and a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from a caller terminal connected with the system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측 단말기에 대응하는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A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retrieving and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party's terminal that requested the call, when the call request is made;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상기 추출된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호 처리 모듈; 및A call connection is made to the caller's telephon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by access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received from the caller's terminal. A call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And 상기 호 처리 모듈이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호를 연결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And a switching module for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wh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화 요청 수신 모듈은 상기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측 단말기에 표시되는 소정의 아이콘을 발신자가 클릭한 경우,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전화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And the call request receiving module determines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to the telephone terminal of the called party corresponding to the icon when the caller clicks on a predetermined icon displayed on the caller terminal requesting the cal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신자 및/또는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단말기 종류 정보를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말기 종류 정보 수신 모듈을 더욱 포함하며, And a terminal typ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erminal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calling party and / or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from the calling party's terminal,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 추출 모듈은 상기 단말기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searches for and extra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elephon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 순서를 규정하는 접속 순서 정보를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접속 순서 정보 수신 모듈을 더욱 포함하며, And a connection sequence information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connection sequence information from the caller terminal, the connection sequence information defining a call connection sequence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상기 호 처리 모듈은 상기 접속 순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And the call processing module performs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r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access order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실시간으로 통화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 상태 정보 전송 모듈을 더욱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al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call state to a user terminal in real ti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호 처리 모듈이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상기 호 처리 모듈과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해제하고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호 접속을 개시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switching module, wh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respectively, releases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 processing module and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and between the calling party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initiating call connection.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A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enabling a call between a caller and a called party's terminal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by attempting a call us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1)상기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착신자의 전화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1) receiving a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party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2)상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측 단말기에 대응하는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단계;(2) retrieving and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party's terminal that requested the call when the call request is received; (3)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상기 추출된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발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3) connecting to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and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terminal; (4)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4)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by access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etwork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received from the calling party's terminal; And (5)상기 단계(4)에서, 상기 서비스의 제공 시스템이 상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상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간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5) in step (4), whe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nects the call to the caller side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respectively, a call connection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caller's side and the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How we deliver the servic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통화를 요청한 발신자측 단말기에 표시되는 소정의 아이콘을 발신자가 클릭한 경우,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전화 단말기로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In the step (1), when the caller clicks on a predetermined icon displayed on the caller terminal requesting the call, the call conn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determines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to the caller of the called party corresponding to the icon. .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6)상기 발신자 및/또는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단말기 종류 정보를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6)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terminal typ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the calling party and / or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from the calling party's terminal,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 종류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And in the step (2), search and extra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elephon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ype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7)상기 발신자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로의 호 접속 순서를 규정하는 접속 순서 정보를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7)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from the caller side terminal, connection sequence information that defines a call connection order to the caller and called party's telephone terminal, 상기 제(2) 및 제(3)단계는 상기 접속 순서 정보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The second and third steps ar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access order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실시간으로 통화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a call connection ser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all state in real time to the user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8) 상기 단계(5)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에 각각 호 접속한 경우, 상기 시스템과 발신자측 및 착신자측 전화 단말기와의 호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8) the step (5) includes the step of releas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and the caller side and the caller side telephone terminal whe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nects the caller side and the called party telephone terminal, respectively. To provide call transfer services.
KR1020040047878A 2004-06-24 2004-06-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KR200501233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878A KR20050123318A (en) 2004-06-24 2004-06-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878A KR20050123318A (en) 2004-06-24 2004-06-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318A true KR20050123318A (en) 2005-12-29

Family

ID=3729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878A KR20050123318A (en) 2004-06-24 2004-06-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33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97B1 (en) * 2008-11-11 2011-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VoIP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97B1 (en) * 2008-11-11 2011-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VoIP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8684B2 (en) User controlled call management
US6754323B1 (en) Establishing a conference call from a call-log
US8532278B2 (en) Conference call setup automation
US7917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correlation of instant messages
US201002994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manager for wireless wireline converged telecommunication services related application
US20100303061A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non-specific network protocols and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1523846A (en) MeetMe assistant performing call screening and providing personalised availability information
US7636326B2 (en) Private communications network including connected public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3360041B2 (en) Telephone equipment
KR100937487B1 (en) System for using internet telephone with mobile and method thereof
KR100598337B1 (en) Method for click to call service from WWW based on PSTN/IN-internet interworking architecture
JP5582278B2 (en) Call control system and call control method
KR2005012331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connecting a call
KR100563964B1 (en) PDA for providing of multitude internet telephony and method thereof
KR100453229B1 (en) Method for offering a majority telephony addition service by using internet
WO2024095347A1 (en) Web phone system, server device for web phone, and program for web phone
TW566022B (en) Network real-time dialo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to implement network dialog
KR2003006306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TI Service for Extention Terminal by Using an IP-PBX
JP2003264644A (en) Telephone system using internet
KR1005708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Program
JP2024065858A (en) WEB telephone system, WEB telephone server device, and WEB telephone program
JP2021136513A (en) Call system, call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all program,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and call method
KR101107188B1 (en) Phone number save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020031785A (en) One number internet communication portal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0501215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