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852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852A
KR20050042852A KR1020030077476A KR20030077476A KR20050042852A KR 20050042852 A KR20050042852 A KR 20050042852A KR 1020030077476 A KR1020030077476 A KR 1020030077476A KR 20030077476 A KR20030077476 A KR 20030077476A KR 20050042852 A KR20050042852 A KR 20050042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ode
displaying
techniqu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2852A/en
Publication of KR2005004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85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시 터치 스크린의 키패드를 통해 영상 촬영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 촬영모드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서브 엘시디로 전환하여 선택 메뉴와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터치 키패드로 다시 전환되는 제2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isplaying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standby mode detects whether an image capturing mode is selected through a keypad of a touch screen, and when the image capturing mode is selected, converts the touch screen into a sub LCD to select a selection menu; A first process of displaying a guide message; And a second process of switching to the touch keypad when the image capturing mode is terminated by sensing whether the image capturing mode is terminated.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터치 키패드로 이용하고, 특정 메뉴 이용시에는 사용자 선택 메뉴 및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that can be used as a touch keypad in a normal manner using a touch screen, and a user-selected menu and a message can be displayed when using a specific menu.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음성통신을 주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음성통신 외에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카메라기능이 지원되는 휴대용 단말기(이하, "카메라 폰"이라 칭함)가 출시되었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 기능을 통해 단순 사진 촬영뿐만 아닌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이하, "캠코더 폰"이라 칭함)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카메라 폰과 캠코더폰은 현재 그 기능이 많이 추가되고 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mainly used for voice communica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and recently, a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mera phone") supporting a camera function has been released to satisfy a user's desire. 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mcorder phone") capable of capturing video as well as simple photography through such a camera function has been developed and released. In addition, such a camera phone and a camcorder phone are currently added a lot of functions.

도 1a-도 1d는 종래 영상 촬영모드시 카메라 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엘시디"라 칭함)를 보인 예시도이다.1A to 1D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f a camera phone in a conventional image capturing mode.

상기 도 1a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먼저 영상 촬영 모드로 들어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방법(1. 일반영상, 2. 연속 촬영, 3. 보이스 캠(Voice Cam))을 엘시디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방법을 선택하면 도 1b와 같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를 엘시디에 표시하며 이때 사용 가능한 선택메뉴(촬영, 명암, 반전, 줌인, 줌아웃)를 캡쳐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기 엘시디 하단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S. 1A to 1D, first, a video recording mode is entered to display a shooting method (1. normal video, 2. continuous shooting, 3. voice cam) as shown in FIG. 1A on the LCD. .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shooting method,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lens is displayed on the LCD as shown in FIG. 1B. The available selection menu (shooting, contrast, inversion, zoom in, zoom out)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data is displayed. It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LCD.

이에, 사용자는 상기 엘시디 하단에 표시되는 선택메뉴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기능을 실행시켜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ptures image data captured by executing a photographing or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a selection menu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LCD.

이후, 상기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관리 또는 편집 모드를 선택하면 도 1c와 같이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엘시디에 표시하고, 그 영상 데이터의 상단에는 저장시 입력한 영상 데이터의 사진이름이나 동영상 데이터의 이름을 표시하고, 하단에는 영상 데이터 정보(2003/8/15/, 10:50P)와 그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총 영상 데이터의 몇번째 영상 데이터 인지를 표시(5/37)하며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한번에 다수개 표시해주는 멀티(muti) 선택메뉴를 표시한다.Thereafter, when the management or editing mode is selected to check the captured image data, the selected image data is displayed on the LCD as shown in FIG. 1C, and the upper part of the image data includes the picture name or the video data of the image data input during storage. The name is displayed, and at the bottom, the image data information (2003/8/15 /, 10: 50P) and the number of image data of the total image data stored therein (5/37) are displayed. Displays the multi-muti selection menu that displays multiple numbers at once.

상기 도 1c에서 멀티(Multi)기능을 이용하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다수개 엘시디 화면에 표시하며 그 영상 데이터 상단에는 영상 데이터의 제목과 함께 하단에는 상기 선택메뉴와 영상 데이터 정보가 표시된다.When the multi function is used in FIG. 1C, the stored image data is displayed on a plurality of LCD screens as shown in FIG. 1D, and the selection menu and image data information are displayed at the bottom along with the title of the image data at the top of the image data. Is display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카메라 폰과 캠코더 폰은 촬영시 혹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편집, 관리하는데 있어서 크기가 작은 1개의 엘시디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함과 아울러 그 영상 데이터와 함께 다양한 메뉴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촬영시나 혹은 편집시에 영상 데이터를 제한적으로 표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amera phone and a camcorder phone display the image data on a small LCD when editing or managing the captured image data, and simultaneously display various menus together with the image data. There has been a problem of limited display of video data at the time of editing or editing.

또한, 크기가 작은 1개의 엘시디를 통해 영상 데이터와 메뉴를 동시에 표시하고자 많은 기능의 메뉴를 특정 아이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그 아이콘에 대한 기능을 제대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엘시디 화면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a menu of many functions in the form of a specific icon to simultaneously display image data and menus through one small LCD, the user may not properly recognize the function of the icon and the LCD screen becomes complicated. There was th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터치 키패드로 이용하고 영상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엘시디에 표시할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을 서브 엘시디로 전환하여 메시지 또는 영상 데이터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터치 패드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touch screen to normally use a touch keypad and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data on an LCD so that the message or image data can be displayed by switching the touch screen to a sub LC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touch pa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시 터치 스크린의 키패드를 통해 영상 촬영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 촬영모드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서브 엘시디로 전환하여 선택 메뉴와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터치 키패드로 다시 전환되는 제2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is detected by detecting whether the image shooting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keypad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standby mode is the touch screen. Converting to a sub LCD to display a selection menu and a guidance message; And a second process of switching to the touch keypad when the image capturing mode is terminated by sensing whether the image capturing mode is termina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터치 스크린은 터치패드가 형성된 표시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기모드시에는 터치패드로 입력부가 되고, 영상 촬영모드시에는 서브 엘시디로 전환되어 표시부가 된다. 또한, 상기 영상 촬영모드는 촬영, 관리 및 편집모드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촬영기법이란 일반, 연속, 보이스 캠 촬영기법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여기서, 일반 촬영기법은 단순 사진촬영, 연속 촬영기법은 연속하여 스틸사진을 촬영하는 기법, 보이스 캠 촬영기법은 음성과 동시에 연속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영상 데이터는 메인 엘시디 및 서브 엘시디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들을 통칭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정보는 영상 데이터의 제목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일시를 통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display unit on which a touch pad is formed. In the standby mode, the touch screen is an input unit, and in the image capturing mode, the touch screen is switched to a sub LCD. Also, the image capturing mode is used to mean photographing, managing and editing modes. Incidentally, the photographing technique is used to mean a general, continuous,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Here, the general photographing technique refers to a simple photographing technique,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technique refers to a technique of continuously photographing still photos, and the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refers to a technique of photographing a video continuously with voic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mage data collectively refers to data displayed through the main LCD and the sub LCD. Also, the image data information refers to the title of the image data and the date and time at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RF unit 21 performs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21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데이터 처리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23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23 may include a modem and a codec.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촬상된 영상 데이터와 같이 마이크(MIC)를 통해 저장된 오디오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25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23 or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ata processor 23.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25 outputs an audio signal stored through a microphone MIC, such as captured image data, through a speaker SPK.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캠코더 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상시와 촬영모드에 따라 표시부80과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emory 29 may be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camcorder phon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grams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80 and the touch screen 27 are stored according to the usual and photographing modes. In addi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제어부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진 촬영모드, 동영상 촬영모드, 보이스 캠 촬영모드시에 따른 표시부80의 영상 데이터 표시와 그때 동작가능한 메뉴 또는 영상 데이터, 메시지등을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하며 영상 촬영모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23.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the image data of the display unit 80 and the menu or image data, a message, and the like, which are operable at the time of taking a picture, a video, and a voice c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deo shooting mode.

카메라5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The camera 50 photographs image data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s assumed here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The signal processor 60 conver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50 into an image signal. The signal processor 60 may be implemented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7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또는 상기 카메라50을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80과 터치 스크린27의 규격에 맞춰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수행한다.The image processor 7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60. The image processor 70 transmits the image signal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or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50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80 and the touch screen 27, and compresses and decompresses the image data. .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상기 영상 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80은 엘시디 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엘시디가 된다.The display unit 80 displays messages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80 displays an image signal or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70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8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Here, the display unit 80 becomes a main LC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치 스크린27은 평상시에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와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키패드를 표시하고, 영상 촬영모드시에는 상기 터치 키패드에서 영상 및 메뉴등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 전환한다. 상기 제2 표시부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 및 메뉴등을 표시하는 서브 엘시디가 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27 normally displays a touch keypad for inputting numbers and character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and switches to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images and menus on the touch keypad in the image capturing mode. do. The second display unit 27 may be a sub LCD displaying the image, the menu,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처리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reference to FIG. 1, when the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the keypad 27 and sets the calling mode,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is and di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ata processor 23. After processing the RF signal through the RF unit 21 to output. Thereafter, when the other subscriber generates the response signal, the counter subscriber detects it through the RF unit 21 and the data processor 23.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data processor 23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0 displays text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23 on the display 80.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50은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5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0에 촬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60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부60은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70에 출력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apturing a person or an environment and displaying or transmitting the image screen. First, the camera 50 may be mounted on a portable telephone or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utside. That is, the camera 50 may be an external camera or an internal camera. The camera 50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5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 internal CCD sensor and then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60. Then, the signal processor 60 converts the image signal into digital image data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or 70.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캠코더 폰으로 가정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27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과정을 살펴보면, 대기모드에서 터치 스크린27의 다수의 숫자키(문자포함)와 기능키 기능의 터치 키패드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은 이를 인식하여 표시부80에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27에는 상기 영상 촬영모드시 제공되는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표시부80에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 및 편집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부80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에 관한 영상 데이터 정보를 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a camcorder phone, the menu display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touch screen 27 will be described. In the standby mode, a plurality of numeric keys (including letters) and function key functions of the touch screen 27 are touched. When the image capturing mode is selected by using the keypad, the controller 10 recognizes this and displays the image data captured on the display unit 80, and displays a selection menu provided in the image capturing mode on the touch screen 27, or capture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80. Image data for managing and editing image data is displayed, and image data information about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0 is display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은 311단계의 대기모드에서 표시부80에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27에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키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0 displays a standby screen on the display unit 80 in the standby mode in step 311, and displays a touch keypad for inputt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on the touch screen 27. .

상기 3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312단계를 통해 영상 촬영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 촬영모드가 선택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80에 카메라50에 의해 캡쳐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27에 표시된 상기 터치 키패드를 사라지게한후 영상 촬영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모드(촬영, 관리 , 편집)선택 메뉴를 표시한다.In step 311, the controller 10 detects whether the image capturing mode is selected in step 312, and when the image capturing mode is selected, displays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50 on the display unit 80 as shown in FIG. After the touch keypa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disappears, a mode (shooting, management, editing) selection menu for selecting an image capturing mode is displayed.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된 모드중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제어부10은 313단계에서 표시부80에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27에 상기 모드에 따른 선택메뉴를 표시한다.According to a mode selected among the mode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on the display unit 80 in step 313, and displays a selection menu according to the mode on the touch screen 27.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영상 촬영모드에 따른 터치 패드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pad according to an image capturing mode in FIG. 3.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은 510단계에서 상기 제2 표시부27에 표시된 모드중 선택되는 모드를 감지하여 촬영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은 511단계에서 터치 스크린27에 도 4b와 같은 촬영기법 선택메뉴(일반, 연속, 보이스 캠(Voice Cam))를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5, if the controller 10 detects a mode selected from the mode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7 in step 510, the controller 10 selects a photographing technique selection menu as shown in FIG. 4B on the touch screen 27 in step 511. (Normal, Continuous, Voice Cam) is displayed.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512단계를 통해 상기 촬영기법 선택메뉴중 선택되는 촬영기법을 감지하여 일반 촬영기법이면, 513단계에서 터치 스크린27에 도 4c와 같이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의 반전, 명암, 줌 등의 기능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선택메뉴를 표시하고, 그 선택메뉴에 따라 촬영을 할 수 있도록 10초후 촬영을 하는 10초후 촬영과 즉시 촬영을 시작하는 촬영 선택메뉴를 제공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0 detects a photographing technique selected from the photographing technique selection menu in step 512, and if it is a general photographing technique, in step 513, inversion, contrast, zoom, etc. of the image data captured on the touch screen 27 as shown in FIG. 4C. It displays a selection menu so that you can select and set a function, and provides a shooting selection menu that starts shooting after 10 seconds and immediately starts shooting after 10 seconds so that shoot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menu.

이후, 제어부10은 영상 데이터 촬영전이나 촬영중에 설정되는 반전, 명암, 줌등의 선택메뉴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도 4d와 같이 터치 스크린27에 그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제목을 입력하라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키패드를 표시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10 captures image data according to a selection menu such as inversion, contrast, zoom, etc., which is set before or during image data shooting, and inputs a title of the captured image data on the touch screen 27 as shown in FIG. 4D. Display the touch keypad for entering characters.

반면, 상기 512단계를 통한 제어부10의 촬영모드 감지결과 연속촬영기법이면, 514단계에서 제어부10은 상기 도 4c에 의해 설정되는 연속 촬영기법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도 4e와 같이 표시부80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80에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를 멀티상태의 스틸사진으로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하며 메모리29에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hotographing mode detection result of the control mode 10 in step 512 is a continuous shooting method, in step 514,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ontinuous shooting method set in FIG. 4C on the display unit 80 as shown in FIG.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display unit 8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as a multi-state still picture and stored in the memory 29.

반면, 상기 512단계를 통한 상기 제어부10의 촬영모드 감지결과 보이스 캠 촬영기법이면, 5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80에 표시하고, 촬영전이나 촬영중 설정할 수 있는 반전, 명암, 줌 선택메뉴와 촬영 선택메뉴와 그 촬영 선택메뉴를 통해 보이스 캠 촬영기법이 시작되면 촬영되고 있는 시간과 그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정보를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a voice cam recording technique of the shooting mode detection result of the control unit 10 in step 512,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the captured image data on the display unit 80, as shown in Figure 4f, in step 515, When the voice cam recording technique is started through the reverse, contrast, zoom selection menu and shooting selection menu that can be set during shooting and the shooting selection menu, the recording time and image data information are displayed.

한편, 상기 510단계를 통해 터치 스크린27에 표시된 상기 도4a에서 선택된 영상 촬영모드가 관리모드이면 제어부10은 516단계에서 상기 도 4b와 같이 촬영기법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선택 관리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27에 촬영기법 선택메뉴를 표시한다.Meanwhile, if the image capturing mode selected in FIG. 4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in operation 510 is a management mode, the controller 10 may select and manage image data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technique as shown in FIG. 4B in step 516. Display the shooting technique selection menu.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517단계를 통해 관리하고자 선택되는 촬영기법을 감지하여 일반 촬영기법의 관리모드이면, 518단계에서 도 6a와 같이 표시부80에는 일반촬영모드를 통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중 시간상 제일 먼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27에는 상기 표시부80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 다음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소정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27에는 상기 표시부80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 정보(영상 데이터 제목, 촬영 일시)를 표시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된 영상 데이터중 상기 표시부80에 표시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키가 표시된다.In operation 517, the control unit 10 detects a photographing technique selected to be managed, and if it is a management mode of a general photographing technique, in step 518, the display unit 80 first photographs the image data stored through the general photographing mode as shown in FIG. 6A. The displayed image data,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 data stored after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0 is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27 displays image data information (image data title, shooting date and time) of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0, and selects dat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0 from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The arrow keys are displayed.

반면, 상기 제어부10은 517단계를 통해 관리하고자 선택되는 촬영기법이 연속 촬영기법의 관리모드이면, 519단계에서 도 6b와 같이 상기 표시부80에는 연속 촬영을 통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슬라이드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27에는 슬라이드식으로 표시되는 스틸 사진을 멀티식으로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hotographing technique selected to be managed in step 517 is the management mode of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technique,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image data stored through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on the display unit 80 in a sliding manner as shown in FIG. 6B, in step 519. On the touch screen 27, a still picture displayed in a sliding manner is displayed in a multi way.

이때,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되는 스틸 사진의 영상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0은 표시부80에 상기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one of the image data of the still pictu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selected image data on the display unit 80.

반면, 상기 제어부10은 517단계를 통해 관리하고자 선택되는 촬영기법이 보이스 캠 촬영기법의 관리모드이면, 520단계에서 도 6c와 같이 상기 표시부80에는 보이스 캠 촬영을 통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부27에는 보이스 캠 촬영기법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선택메뉴(정지/재생/일시정지/뒤로/앞으로)를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hotographing technique selected for management in step 517 is the management mode of the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image data stored through voice cam photographing on the display unit 80 as shown in FIG. 6C in step 520. The second display unit 27 displays a selection menu (stop / play / pause / back / forward) relat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한편, 상기 510단계를 통해 터치 스크린27에 표시된 상기 도4a에서 선택된 영상 촬영모드가 편집모드이면 제어부10은 521단계에서 상기 도 4b와 같이 촬영기법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선택 관리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27에 촬영기법 선택메뉴를 표시한다.Meanwhile, if the image capturing mode selected in FIG. 4A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in operation 510 is the edit mode, the controller 10 may select and manage image data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technique as shown in FIG. 4B in step 521. Display the shooting technique selection menu.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522단계를 통해 편집하고자 선택되는 촬영기법을 감지하여 상기 관리모드와 동일하게 523~525단계를 통해 상기 촬영기법에 따라 터치 스크린27에 선택메뉴를 표시한다. In operation 522, the control unit 10 detects a photographing technique selected for editing and displays a selection menu on the touch screen 27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technique in steps 523 to 525 in the same manner as the management mode.

즉,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523단계에서 일반 촬영기법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 6a와 같이 쉽게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하고, 상기 524단계에서 연속 촬영기법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 6b와 같이 쉽게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하며, 상기 525단계에서 보이스 캠 촬영기법의 영상 데이터를 상기 도 6c와 같이 쉽게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보이스 캠 촬영기법의 영상 데이터 재생시, 캡쳐기능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하고, 그 캡쳐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여부를 상기 터치 스크린27에 표시한다.That is,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image data of the general photographing technique on the touch screen 27 so that the image data of the general photographing technique can be easily selected and edited as shown in FIG. 6A, and the image data of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technique is displayed in FIG. 6B. As shown in FIG. 6C, the video data of the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is easi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7 so as to be easily selected and edi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captures the image data reproduced by the capture function on the touch screen 27 when the image data of the voice cam recording technique is reproduced,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data on the touch screen 27. Display.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터치 스크린으로 대치하여 평상시에는 터치 키패드로 사용하고 많은 기능이 지원되는 메뉴가 실행중일때에는 상기 터치 키패드에서 선택메뉴와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서브 엘시디로 전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선택메뉴를 상기 서브 엘시디에 표시함으로써, 메인 엘시디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제한없이 볼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and normally uses the touch keypad, and when a menu supporting many functions is running, a sub-LCD displaying a selection menu and a guidance message on the touch keypad. By switching to and displaying the selection menu available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sub LC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main LCD can be viewed without limitation.

또한, 메인 엘시디를 통해 실행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 선택메뉴를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해당 선택메뉴의 기능을 쉽게 인지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selection menu on the image data executed through the main LCD,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function of the selection menu,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1a-도 1d는 종래 영상 촬영모드시 카메라 폰의 엘시디를 보인 예시도.Figure 1a-1d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LCD of the camera phone in the conventional video recording mod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모드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선택 메뉴를 보인 예시도.4A and 4F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election menu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hoot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영상 촬영모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인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image capturing mode of FIG. 3.

도 6a-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모드 및 편집 모드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선택 메뉴를 보인 예시도.6A-6D illustrate exemplary selection menu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management mode and an edit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제어부 21: RF부10: control unit 21: RF unit

23: 데이터 처리부 25: 오디오 처리부23: data processor 25: audio processor

27: 키패드 29: 메모리27: keypad 29: memory

50: 카메라 60: 신호처리부50: camera 60: signal processing unit

70: 영상처리부 80: 표시부70: image processing unit 80: display unit

ANT: 안테나 MIC: 마이크ANT: antenna MIC: microphone

SPK: 스피커SPK: Speaker

Claims (6)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In the display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touch screen, 대기 모드시 터치 스크린의 키패드를 통해 영상 촬영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 촬영모드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서브 엘시디로 전환하여 선택 메뉴와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1 과정과;A first step of detecting whether an image capturing mode is selected through a keypad of a touch screen in a standby mode, and switching the touch screen to a sub LCD to display a selection menu and a guidance message if the image capturing mode is selected; 상기 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터치 키패드로 다시 전환되는 제2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a second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he image capturing mode is ended and switching back to the touch keypad when the image capturing mode is termin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 영상 촬영모드가 촬영모드, 관리모드 또는 편집모드인가를 감지하여 상기 촬영모드이면 촬영하고자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의 촬영기법과 그 선택된 영상 데이터의 촬영기법에 따른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cess detects whether the image capturing mode is a photographing mode, a management mode, or an editing mode, and detects whether the image capturing mode is the photographing mode. Displaying a selection menu; 상기 관리모드이면 상기 촬영기법을 통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image data information of image data sto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technique in the management mode; 상기 편집모드이면 상기 촬영기법을 통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다수개 멀티식으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in the editing mode, displaying a plurality of multi-type image data stored by the photographing techniq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드는 선택되는 촬영기법이 일반 촬영기법, 연속 촬영기법 또는 보이스 캠 촬영기법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일반 촬영기법이면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의 명암과 반전, 줌등을 조절할 수 있는 선택 메뉴와 촬영에 관한 선택키를 표시하는 과정과;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hotographing mode detects whether the selected photographing technique is a general photographing technique, a continuous photographing technique, or a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Displaying a selection menu and a selection key for shooting; 상기 연속 촬영기법이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명암과 반전, 줌등을 조절할 수 있는 선택메뉴와 촬영키를 통해 연속하여 촬상되는 영상 데이터를 다수개의 스틸사진으로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the image data continuously captured through a selection menu and a shooting key for adjusting the contrast, inversion, and zoom of the image data as a plurality of still pictures in the continuous photographing technique; 상기 보이스 캠 촬영기법이면 캡쳐되는 영상 데이터의 명암과 반전, 줌등을 조절할 수 있는 선택 메뉴와 촬영에 관한 선택키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voice cam photographing method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a selection menu for adjusting the contrast, inversion, zoom, etc. of the captured image data and a selection key for shoot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관리모드가 일반 촬영기법, 연속 촬영기법 또는 보이스 캠 촬영기법의 관리모드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일반 촬영기법의 관리모드이면 해당 영상 데이터의 정보와 그 영상 데이터 다음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소정개 표시하며 그 소정개 표시된 영상 데이터외에 다른 소정개의 영상 데이터로 이동시키는 방향키를 표시하는 과정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lected management mode detects whether the selected management mode is a management mode of a general shooting technique, a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 or a voice cam shooting technique. Display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tored image data sequentially and displaying a direction key for moving to other predetermine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predetermined displayed image data; 상기 연속 촬영기법의 관리모드이면 연속 촬영기법을 통해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다수개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by the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 in the management mode of the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 상기 보이스 캠 촬영기법의 관리모드이면 영상 데이터의 재생에 관련된 선택 메뉴와 재생 시간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in the management mode of the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displaying a selection menu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data and the reproduction tim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편집모드가 일반 촬영기법, 연속 촬영기법 또는 보이스 캠 촬영기법의 편집모드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일반 촬영기법의 편집모드이면 알반 촬영기법에 의해 촬영된 소정개의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소정개 표시하며 그 소정개 표시된 영상 데이터외에 다른 소정개의 영상 데이터로 이동시켜 편집할 수 있는 선택메뉴와 방향키를 표시하는 과정과;The predetermined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Alban imag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lected editing mode is an editing mode of the general shooting technique, the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 or the voice cam shooting technique. Displaying a selection menu and a direction key for sequentially displaying a predetermined number and moving and editing other predetermine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displayed image data; 상기 연속 촬영기법의 편집모드이면 연속 촬영기법에 의해 촬영된 다수개의 스틸 사진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image data of a plurality of still pictures taken by the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 in the editing mode of the continuous shooting technique; 상기 보이스 캠 촬영기법의 편집모드이면 보이스 캠 촬영기법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 관련 메뉴와 캡쳐기능키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displaying a playback function menu and a capture function key of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in the edit mode of the voice cam photographing techniqu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기능키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apturing function comprises capturing image data reproduced on a display unit and displaying it on a touch screen when the capture function key is input.
KR1020030077476A 2003-11-04 2003-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200500428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476A KR20050042852A (en) 2003-11-04 2003-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476A KR20050042852A (en) 2003-11-04 2003-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852A true KR20050042852A (en) 2005-05-11

Family

ID=3724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476A KR20050042852A (en) 2003-11-04 2003-11-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2852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549A (en) * 2005-10-01 200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input function and its input method
CN100399251C (en) * 2005-06-30 2008-07-02 联想(北京)有限公司 Dynamic navigating intelligent interactive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09131281A1 (en) * 2008-04-22 200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user interface to display menu related to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7962180B2 (en) 2006-11-27 2011-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vent that user missed
US8558801B2 (en) 2007-12-20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8922518B2 (en) 2007-12-20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0503376B2 (en) 2007-12-2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image and control guides displayed on a display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9251C (en) * 2005-06-30 2008-07-02 联想(北京)有限公司 Dynamic navigating intelligent interactive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70037549A (en) * 2005-10-01 2007-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input function and its input method
US7962180B2 (en) 2006-11-27 2011-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vent that user missed
US9778832B2 (en) 2007-12-20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8558801B2 (en) 2007-12-20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8922518B2 (en) 2007-12-20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250778B2 (en) 2007-12-20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411502B2 (en) 2007-12-20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933927B2 (en) 2007-12-20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0481779B2 (en) 2007-12-20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0503376B2 (en) 2007-12-20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image and control guides displayed on a display
US10901590B2 (en) 2007-12-20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function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055209B2 (en) 2008-04-22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user interface to display menu related to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09131281A1 (en) * 2008-04-22 200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user interface to display menu related to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0606456B2 (en) 2008-04-22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provide user interface to display menu related to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7760B2 (en) Mobile phone device with camera
US20060274155A1 (en)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4264170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0217015A (en) Camera with communication function
KR100566215B1 (en) Method for serving book mark of moving picture contents
KR100692005B1 (en)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68234A (en) Cellular phone terminal
JP4614246B2 (en) Camera with communication function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JP2005191899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amera
KR100663480B1 (en) Method for deleting message in mobile telephone
KR100557184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terminal with a camera and two indications
KR100557091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constructing background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1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phone
KR100557152B1 (en) Method for executing of multi abbreviated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630078B1 (en) Method for reorganizing imag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KR100605996B1 (en)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KR1010028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JP2005318347A (en) Imag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KR100557094B1 (en) Method for adjusting inverted image in display system
KR100584391B1 (en) Method for inputting the name of photographing images in wireless terminal
KR100744344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data
KR100630096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terminal
KR100594147B1 (en) Video data playback method of portable terminal
KR100605995B1 (en) Method for performing memo of voice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