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259A - 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 Google Patents

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259A
KR20040028259A KR1020020059404A KR20020059404A KR20040028259A KR 20040028259 A KR20040028259 A KR 20040028259A KR 1020020059404 A KR1020020059404 A KR 1020020059404A KR 20020059404 A KR20020059404 A KR 20020059404A KR 20040028259 A KR20040028259 A KR 20040028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central processing
toy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남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5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259A/en
Publication of KR2004002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25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Abstract

PURPOSE: A toy moving up/downward having a sensor-sensitive ability and a method for mo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help achievement performance and sentiment development of babies by conducting up/down movement of the toy till the baby approaches the toy N times and by stopping movement of the toy when the baby approaches the toy N+1 times. CONSTITUTION: The toy comprises an input part(10) for inputting numbers of movement; a display device(20) for expressing status and emotional condition according to signals output from a central processing device(60); a sensor fusion array part(40) having an infrared ray sensor, a supersonic sensor and a magnetic sensor; a sensor connection circuit(30) to transfer data to the central processing device(60); a contact sensing device(50); a driving circuit part(70) and a sound part(80) depending on output data from the central processing device(60); the central processing device(60) connected to all of the input part(10), the display device(20), the sensor connection circuit(30), the contact sensing device(50), the driving circuit part(70) and the sound part(80).

Description

센서 감응형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본 발명은 센서 감응형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유아들의 성취감을 고취시키는 동작을 하는 장난감으로서, 유아가 N회 접근하는 동안 이동하는 동작을 취하며 N+1회째 접근 시 동작을 중지함으로써 유아들의 성취감을 달성시키며 정서발달에 도움을 주도록 제작되는 센서 감응형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sensitive to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that enhances a sense of accomplishment of an infant. The infant takes a movement while approaching N times and operates when the N + 1th approach is perform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sensitive toy that is designed to achieve a sense of accomplishment of young children by helping them to stop and to support their emotional development.

장난감이란 어린이들의 놀이 도구를 뜻하며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면 인형, 유아완구, 음향완구, 게임완구, 수예완구, 모방완구, 승용물완구, 동물완구, 운동완구, 지능완구, 학습완구, 과학완구, 취미완구 등을 들 수 있다.Toys refer to children's play equipment, and if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use, dolls, infant toys, acoustic toys, game toys, handicraft toys, imitation toys, passenger toys, animal toys, sports toys, intelligent toys, learning toys, science toys, hobbies Toys etc. can be mentioned.

어린이에게는 심신의 발달에 부합되는 완구를 선택해 주어야 한다. 특히, 유아에게 부적당한 완구를 안겨주면 예기치 않은 사고를 낼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또한, 구조나 내부의 부속이 복잡한 완구는 아무렇게 만지면 고장이 나기 쉬우므로 유아에게는 단순하고 튼튼한 것이 적당하다.Children should choose toy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ir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In particular, care should be taken because improper toys for infants may cause unexpected accidents. In addition, toys with complicated structures and internal parts are easy to break when touched casually, so simple and durable is suitable for infants.

연령별 장난감의 일반적 선택 요령은 표 1과 같다.General selection tips for toys by age are shown in Table 1.

연령age 행동 특성 및 선택 기준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Criteria 생후 3개월3 months after birth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있고, 소리가 들린다. 천장에 매달아 아기의 눈 위에서 흔들리며 소리를 내는 완구 따위가 있으면 좋고, 오뚝이나 공기를 넣은 동물 완구 등 색깔이 화려하고 맑고 차분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완구가 좋다.You can see things with your eyes and you hear sounds. A toy that hangs on the ceiling and shakes on the baby's eyes is good, and a toy that can make colorful, clear and calm sounds, such as a toy or a stuffed animal toy, is good. 6개월6 months 손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지 입으로 가져간다. 오뚝이, 공기를 넣은 비닐제 동물완구가 좋다. 부속품이 빠지기 쉬운 것, 뾰족한 것, 삼킬 염려가 있는것, 핥으면 위험한 것 등은 절대로 가까이 두어서는 안 된다.Take whatever you touch with your mouth. It is good to have pneumatic vinyl toys. Accessories that can be easily pulled out, sharp, swallowed or dangerous to lick should never be kept close. 1세 전후Around 1 year old 아무 것이나 손으로 잡으려 하고, 기기를 좋아하며 걸음마를 시작한다. 공기를 넣은 비닐제 완구, 플라스틱제 자동차, 실(seel) 동물완구 등 색다르게 보이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이리저리 만져도 안전해야 한다.Try to grab anything by hand, love the device and start walking. Pneumatic vinyl toys, plastic cars, animal toys, etc. should look different but simple in structure and safe to touch around. 2~4세2-4 years old 자동차, 토막쌓기, 실 동물완구, 승용물완구 등이 좋다.Cars, chops, real animal toys, and toys are good. 4~7세4-7 years old 성별, 취미에 따라 놀이가 다양해진다. 삼륜차, 운동완구, 소꿉놀이, 인형 옷입히기, 색종이접기, 색깔 칠하기, 액세서리 게임, 글자놀이, 기계완구, 간단한 플라스틱 모델 등이 좋다.Play varies according to gender and hobbies. Tricycles, sports toys, playing house, dressing dolls, confetti, coloring, accessory games, letter games, machine toys, simple plastic models, and so on. 초등학생Elementary student 게임, 기계완구, 플라스틱 모델, 기계완구, 미니어처 카, 퍼즐, 이과 완구 등 사고력, 창조력, 운동능력의 발달을 조장시키고 취미를 기를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Games, mechanical toys, plastic models, mechanical toys, miniature cars, puzzles, science toys, etc., should be able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thinking, creativity and motor skills, and to develop hobbies.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 및 센서의 발달과 더불어 이를 이용한 장난감들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마이크로컴퓨터 및 센서를 이용한 장난감들의 기술적 특징과 본 발명의 목적에 이용될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알아본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microcomputers and sensors, the development of toys using the same has been mad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ys using the conventional microcomputer and the sensor and the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us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61961호를 보면, 사용자의 소리를 감지하여 애완로봇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기본 모드 이외에 경주모드, 구역탈출모드, 송 앤드 런 모드, 밀어내기 모드 등 다소 복잡한 동작 모드를 달성하므로 이를 사용하는 연령은 4~7세 이상 되어야 한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61961, it can sense a user's sound and give a command to a pet robot, and in addition to the basic mode moving according to the command, race mode, zone escape mode, song and run mode, push mode, etc. The complex operating mode is achieved, so the age of using it should be 4-7 years ol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7842호를 보면, 주요 목적은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언어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동작모드는 인식된 음성에 상응하여 나타나게 되는 방식으로서, 다소 고가의 장비를 구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07842, the main purpose is to improve language learning by inducing children's curiosity and interest, and the operation mode is a method of appear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cognized voice, and must be equipped with some expensive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2442호를 보면, 덮개부의 임의의 부위에 손가락 등과의 접촉을 검출할 경우 이미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유아들에게 성취감보다는 보여지고 들려지는 것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면이 다분하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0-0062442, when a contact with a finger or the like is detected on an arbitrary part of a cover part, a predetermined action is performed, which induces an interest in being seen and heard rather than a sense of accomplishment among infants. It is plentiful.

특히, 상기 종래기술들에 사용되는 음성센서 및 압력센서 등은 적외선 센서, 마그네틱 센서, 초음파 센서 등에 비해 고가이며 내부에 압전 폴리머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등 내부 장치들도 복잡해지기 때문에 손에 잡히는데로 집어던질 수 있는 유아들의 장난감용으로는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 있어 적합하지 않다.In particular, the voic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used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are more expensive than the infrared sensor, the magnetic sensor, the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It is not suitable for children's toys that can be thrown into the catch because of frequent breakdow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자에 의해 상시 설정되는 이동 횟수 N의 입력을 통해 유아들이 N번 접근하는 동안 이동동작을 하며 N+1번째 접근시 잡을 수 있도록 동작을 멈추는 방식을 취하고, 잦은 충격에 내성을 갖을 수 있는 단순한 구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와 유아와 장난감이 어우러져 유아들의 심리적 발달 단계를 자연적인 발달속성에 따라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특히 유아들에게 성취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센서 감응형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movement of the infants N times approaching the N + 1 th approach through the input of the number of movements N is always set by the guardian By stopping the movement to catch time and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that can withstand frequent shocks, the guardian, the infant and the toy can be combined to educate the child's psychological stages according to their natural developmental attributes.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sensitive to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give a sense of achievement to infa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 과정이다.2 is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실장도이다.3 is a sensor mounting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 횟수 입력부 20 :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10: movement number input unit 20: state and emotion display device

30 : 센서 접속 회로 40 : 센서 퓨전 어레이부30 sensor connection circuit 40 sensor fusion array unit

41 : 초음파 센서 42 : 적외선 센서41: ultrasonic sensor 42: infrared sensor

50 : 접촉 감응 장치부 60 : 중앙 처리 장치부50: contact sensitive device 60: central processing unit

70 : 구동회로부 71 : 구동기70: driver circuit portion 71: driver

80 : 음원부 81 : 스피커80: sound source 81: speaker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보호자에 의해 이동 횟수 N 값 및 이동거리 M 값을 상시 변경될 수 있는 이동 횟수 입력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센서,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 접촉 감응 장치 등에서의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를 통해 구동시키는 센서감응형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number input unit capable of constantly changing the moving number N value and the moving distance M value by a guardian, and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to receive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status and emotion display devices, and touch sensitive devices. It is achieved by a sensor-sensitive toy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o drive through.

본 발명의 구성을 기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목적인 유아들의 심리적 발달 단계를 자연적인 발달속성에 따라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특히 유아들에게 성취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것을 달성할 수 있는 그 근거를 1세부터 3~4세까지 유아의 심리적 특성을 제시함으로서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Prior to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ducate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according to their natural developmental attributes—especially to give them a sense of accomplishment.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present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from 1 to 3-4 years old.

1세부터 3~4세까지 유아의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자기과시, 호기심과 탐색, 모방, 자기의지, 자기중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호기심과 탐색, 자기의지라는 두 가지 심리적 발달단계에 초점을 맞춰 본 발명의 센서 감응형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시된다.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infants from 1 to 3-4 years of age include self-examination, curiosity and search, imitation, self-will and self-centeredness. Among them, the sensor-sensitiv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re presented, focusing on two psychological development stages of curiosity, search, and self-will.

1세부터 3~4세까지 유아의 호기심은 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다. 유아의 이러한 호기심과 탐색의 욕구에 도움이 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집안은 가능하면 마음대로 움직이고 놀고 만져도 되는 자유가 허락되는 환경이어야 한다. 그러나 하지 말아야 할 것과 해도 되는 것을 이때부터 일관성 있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From 1 to 3-4 years old, infants' curiosity is extremely natural. An environment conducive to this curiosity and desire for exploration should be created, and the household should be an environment where freedom is allowed to move, play and touch as freely as possible. But what should and should not be done should be consistently taught from this point forward.

2세 전후의 어린이는 자기고집 내지 억지가 강하다. 유아의 자기고집을 강압적으로 억압하거나 부모의 의사에 따라 꺾으려고만 한다면 유아에게 불안을 가중시키고 공격적이며 화를 잘 내는 품성을 낳게 된다. 나중에 성장하여 나타나는 영적인 문제, 심리적인 문제의 뿌리가 이때 벌써 생기는 것이다. 유아는 자신이 처한 환경이나 주변 인물들과 자신의 수준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대처하는 것을 배워야 하기 때문에 유아의 자기 고집을 보다 협동적인 방향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Children around 2 years of age are strongly insisted or forced. If you try to coercely suppress your child's self-indulgence or break it according to your parents' intentions, you will give your child anxiety, an aggressive and angry character. The roots of spiritu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at later grow up are already occurring. Infants need to be guided in a more collaborative direction because they have to learn to cope in their own environment or with the people around them in appropriate ways.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사항은 상기 설명된 호기심과 탐색, 자기의지라는 두 가지 심리적 발달단계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ich illustrate two psychological development stages of curiosity, exploration, and self-will,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블록도이다. 이동 횟수 입력부(10),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 센서 접속 회로부(30), 센서 퓨전 어레이(fusion array)부(40) 및 접촉 감응 장치부(50) 등이 중앙 처리 장치부(60)에 연결되고 중앙 처리 장치부(60)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 단계별 동작 및 소리를 발생하는 구동회로부(70), 구동기(71), 음원부(80), 스피커(81) 등이 연결된 상태를 볼 수 있다.First, Figure 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count input unit 10, 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unit 20, the sensor connection circuit unit 30, the sensor fusion array unit 40, the contact sensitive unit 50, and the like a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units ( 6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circuit unit 70, the driver 71, the sound source unit 80, the speaker 81, etc., which generate the operation and sound for each step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You can see the status.

이동 횟수 입력부(10)는 디지털 표시장치, 다이얼 등을 이용하여 보호자에 의해 N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N 값은 유아의 감정상태 또는 심리적 발달단계 등을 고려하여 보호자가 상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횟수 입력부(10)는 이동 횟수 N 값외에 이동거리 M 값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유아의 성장과 민첩성을 감안하여 30cm, 50cm, 1m 등 상시 보호자에 의해 재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movement number input unit 10 allows the guardian to input the N value by using a digital display, a dial, or the like. The N value can be changed by the guardian at all times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state or psychological development stage of the infant. In addition, the movement number input unit 10 may arbitrarily adjust the movement distance M value in addition to the movement number N value. In other words, 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and agility of infants, such as 30cm, 50cm, 1m can be reset by a regular caregiver.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는 중앙 처리 장치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한다.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에서 수행하는 동작은 작은 램프 등을 이용하여 빛이 깜빡이는 동작, 빛이 순차적으로 깜빡이는 동작 등 단순하고 쉽게 달성할 수 있는 동작을 구현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지적한 복잡한 동작에 수반되는 복잡하고 고가의 장치들을지양한다.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unit 20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ach step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unit 20 implements a simple and easily achieved operation such as an operation of blinking light or an operation of sequentially blinking light using a small lamp or the like. That is, it avoids the complicated and expensive devices involved in the complicated operation pointed out as a problem in the prior art.

센서 접속 회로부(30)에는 센서 퓨전 어레이부(40)가 연결되는 바,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가 유아를 감지하여 발생하는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부(60)로 전달한다.The sensor fusion array unit 40 is connected to the sensor connection circuit 30, and the infrared sensor and the ultrasonic sensor transmit a signal generated by sensing the infan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센서 접속 회로부(30)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중앙 처리 장치부(60)를 통해 처리되어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 구동회로부(70) 및 음원부(80)에서 각 단계에 알맞는 동작이 수행된다.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connection circuit unit 30 is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unit 60 so that 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unit unit 20, the driving circuit unit 70, and the sound source unit 80 perform operations appropriate to each step. This is do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 과정이다. 보호자에 의해 상기 이동 횟수 입력부(10)에 이동 횟수 N 값 및 이동거리 M 값이 입력되고 동작 모드가 시작된다.2 is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ian inputs the movement number N value and the movement distance M value to the movement number input unit 10, and the operation mode is started.

최초 초기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지만 일정 시간동안 접근 검출이 없으면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 또는 음원부(80)에서 유도 동작(유도빛 또는 유도음)이 발생된다.In the initial initial state, no action is taken, but if there is no approach det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 induction operation (induction light or induction sound) is generated in 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unit 20 or the sound source unit 80.

적외선 센서에 의해 접근이 검출되면 설정된 이동 횟수 N에 따라 동작 정지 또는 이동 동작 및 유도 동작이 발생된다. 유아의 접근횟수가 설정된 이동 횟수 N보다 작을 동안에는 이동 동작 및 유도 동작이 수행되며 유아의 접근횟수가 설정된 이동 횟수 N보다 크게 되는 N+1회째에는 동작이 정지된다. 동작이 정지된 후 유아의 접촉이 검출되면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 또는 음원부(80)를 통해 빛 또는 소리가 발생한다.When an approach is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an operation stop or a movement operation and an induction operation occur according to the set number of movements N. The movement and the induction operation are performed while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infant is less than the set number of movements N,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at the N + 1 th time when the number of times of approaching the infant is greater than the set number of movements N. When the touch of the infant is detected after the operation is stopped, light or sound is generated through 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device unit 20 or the sound source unit 80.

상기 이동 동작 및 유도 동작이 수행되던 중 다른 장애물이 검출되면 장애물회피 동작을 수행한다. 장애물이란 본 발명의 장난감이 움직이는 영역을 미리 설정해주는 경계구역과 유아에게 위험할 수 있는 사물을 뜻하는 것으로서, 마그네틱 테이프로 장난감이 움직일 수 있는 경계구역을 설정하고 장난감에 부착되는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경계구역이 감지된다. 경계구역이 감지되어 회피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경계구역을 타고 빙그르르 돌도록 한다. 또한, 유아에게 위험할 수 있는 사물이 검출되어 장애물 회피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초음파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랜덤한 동작으로 회피한다.When another obstacle is detected while the movement operation and the induction operation are performed, the obstacle avoidance operation is performed. Obstacle means a boundary zone that pre-sets the moving area of th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 that can be dangerous to the infant, the boundary area that the toy can move with magnetic tape and is bounded by a magnetic sensor attached to the toy Zone is detected. When the border zone is detected and the evacuation action is performed, ride the border zone round and round. In addition, when an object that may be dangerous to an infant is detected and the obstacle avoidance operation is performed, the ultrasonic sensor detects it and avoids it with a random operation.

상기 이동 동작은 유아가 접근해 오는 방향에 대해 랜덤하게 움직이게 된다. 유아가 접근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만 후퇴하는 동작은 자칫 유아의 호기심과 탐색심리를 저하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여러가지 이동 동작들을 예로 들면, 우로 빙그르르 회전하며 이동, 좌로 빙그르르 회전하며 이동, 우로 굽어가기, 좌로 굽어가기, 지그재그 후퇴, 직선 후퇴 등이며, 중앙 처리 장치부(60)에서 랜덤하게 선택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회로부(70)는 이에 알맞는 회로 동작을 하게 되고 구동기를 구동시킨다.The movement moves random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fant approaches. Retreating only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pproaching infant may lower the infant's curiosity and search psychology. For example, various preset movements may be performed by rotating right and left, moving left and right, moving, bent right, bent left, zigzag retracting, linear retracting, and the like, which is randomly selec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As a result, the driving circuit unit 70 performs an appropriate circuit operation and drives the driv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실장도이다. 유아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41)는 모든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장난감의 둘레에 여러개 설치하며 장애물을 인식하는 초음파 센서(42)는 한개 정도 설치하면 충분하다. 또한 경계구역을 인식해주는 마그네틱 센서도 한개를 장난감 내부에 내장하며 경계구역을 설정해주는 마그네틱테이프는 실내공간의 주위환경을 고려해 여러군데 설치하는 바, 보호자에 의해 상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한다.3 is a sensor mounting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rared sensor 41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infant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toy so as to detect all directions, and one ultrasonic sensor 42 for detecting the obstacle is enough to install. In addition, a magnetic sensor that recognizes a boundary area is also embedded inside the toy, and the magnetic tape that sets the boundary area is installed in several places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indoor space, so that the guardian can change the position at all times.

본 발명의 센서 감응형 장난감은 사용연령 1세부터 3~4세까지의 유아가 적당하며 손에 잡히는데로 집어던질 수 있는 유아들의 행동특성상, 그 외부는 잦은 충격에도 내부의 장치들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센서가 인식하는 범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외부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유아가 만지며 놀이를 할 때 촉감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최대한 유아의 호기심과 탐색심리를 고취시켜야 한다.The sensor-sensitiv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infants 1 to 3-4 years of age, and due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that can be thrown into the hand, the outside should be able to protect the internal devices from frequent shocks. d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ns to protect the outside 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ange recognized by the sensor. In addition, when the infant touches and plays, the child's curiosity and search psychology should be encouraged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ouch and design.

따라서, 인형에 옷을 입히듯이 센서가 인식하는 범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부분의 장난감 외부에 다양한 옷을 입힐 수 있도록 제작하는 방법 또는 장난감에 옷을 입히지 않아도 되도록 최초 제조시 그 외형의 디자인과 재질을 고려하는 방법 등의 수단을 구비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clothes on the outside of the toy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sensor's perception like the clothes on the dolls, or to design the material and the design of the external shape during the initial manufacturing so that the clothes do not need to be dressed. Means, such as the method to consider.

따라서, 본 발명의 센서 감응형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유아의 감정상태 또는 심리적 발달단계 등을 고려하여 보호자에 의해 이동 횟수 N 값 및 이동거리 M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를 유도하며 유아의 N회째 접근시까지 이동하여 회피하는 동작을 취하며 N+1회째 접근시 동작을 멈추어 유아에게 잡힘으로써, 유아의 호기심과 탐색심리를 고취시키며 자기의지에 대치되는 회피동작에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어 유아의 자기 고집을 보다 협동적인 방향으로 지도할 수 있고 이동하면서 회피하던 장난감을 잡았을 때 유아에게 성취감을 줄 수 있는 장점 및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들의 기어다니는 운동 및 걸음마 등을 촉진시킴으로서 하체및 뇌의 발달에 도움을 준다.Therefore, the sensor-sensitive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llow the guardian to input the number of movement N and the distance M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state or psychological development stage of the infant, induce the infant, The child moves to the Nth approach and avoids the movement. The N + 1th approach stops the movement and is caught by the infant, which inspires the child's curiosity and search psychology and naturally adapts to the avoidance movement that opposes his will. There are advantages and effects that can lead one's stubbornness in a more cooperative direction and give children a sense of accomplishment when they catch a toy that has been avoided while moving. In addition, by promoting the crawling movement and walking, etc. of the infant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lower body and brain.

Claims (6)

사용자의 감정상태 또는 심리적, 육체적 발달단계 등을 고려하여 보호자가 이동 횟수 입력부(10)에 이동 횟수 N 값 및 이동거리 M를 입력하고, 상기 이동 횟수 N 값 및 이동거리 M은 보호자가 상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단계;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state of the user or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velopment stage, the guardian inputs the number of movements N and the distance M in the number of movement input unit 10, and the number of movements N and the distance M can be changed by the guardian at all times. First step to ensure; 센서 퓨전 어레이부(4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는 센서 접속 회로부(30)를 통해 중앙 처리 장치부(60)로 데이타를 전달하는 제 2단계; 및A second step of detecting a user's movement in the sensor fusion array unit 40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unit 60 through the sensor connection circuit unit 30; And 상기 제 1단계 및 제 2단계의 입력 데이타 값에 따라 중앙 처리 장치부(60)에서 미리 설정된 출력 데이타 값을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 구동회로부(70), 음원부(80)로 전달하는 제 3단계According to the input data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he output data values preset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are transferred to 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unit 20, the driving circuit unit 70, and the sound source unit 80. Third stage of delivery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응형 장난감의 동작 방법.Method of operation of the sensor-sensitive to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사용자의 감정상태 또는 심리적 발달단계 등을 고려하여 보호자가 이동 횟수 N 값 및 이동거리 M 값을 입력하고 상기 이동 횟수 N 값 및 이동거리 M 값은 보호자가 상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횟수 입력부(10);The guardian inputs the number of movements N and the distance M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state or psychological development stage of the user, and the number of movements input unit 10 for allowing the guardian to constantly change the number of movements N and the distance M value. ; 중앙 처리 장치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 단계별로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A state and emotion display device unit 20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ach step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적외선 센서(41), 초음파 센서(42) 및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 퓨전어레이부(40);A sensor fusion array unit 40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41, an ultrasonic sensor 42, and a magnetic sensor; 상기 센서 퓨전 어레이부(40)가 연결되고 중앙 처리 장치부(60)로 데이타를 전달하는 센서 접속 회로부(30);A sensor connection circuit unit 30 connected to the sensor fusion array unit 40 and transferring data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unit 60; 사용자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중앙 처리 장치(60)로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감응 장치부(50);A touch sensitive device unit 50 for detecting a contact with a user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중앙 처리 장치부(60)의 출력 데이타 값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회로부(70);A driving circuit unit 70 driven according to the output data value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중앙 처리 장치부(60)의 출력 데이타 값에 따라 구동되는 음원부(80); 및A sound source unit 80 driven according to the output data value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And 상기 이동 횟수 입력부(10), 상태 및 감정 표시 장치부(20), 센서 접속 회로부(30), 접촉 감응 장치부(50), 구동회로부(70) 및 음원부(80)가 연결되어 데이타 값을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부(60)The movement number input unit 10, the state and emotion display unit 20, the sensor connection circuit unit 30, the contact sensitive unit 50, the driving circuit unit 70, and the sound source unit 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 60 to process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응형 장난감.Sensor-sensitive to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력되는 이동 횟수 N 값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접근 횟수가 N 번째까지 상기 중앙 처리 장치부(60) 및 구동회로부(70)을 통해 이동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접근 횟수가 N+1 번째일때 상기 중앙 처리 장치부(60)를 통해 이동 동작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응형 장난감.The input number of movements N is such that the number of accesses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or is perform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and the driving circuit unit 70 until the Nth time, and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sensor-sensitive toy, characterized in that to stop the movement operation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when the number of times of the user's access is N + 1th.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사용자의 접근 횟수가 N 번째까지 수행되는 상기 이동 동작은 우로 빙그르르 회전하며 이동, 좌로 빙그르르 회전하며 이동, 우로 굽어가기, 좌로 굽어가기, 지그재그 후퇴, 직선 후퇴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회로부(70)를 구성하여 중앙 처리 장치부(60)를 통해 상기 동작들 중 어느 한 동작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응형 장난감.The moving operation in which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of the user is performed up to N times is rotated right and left, and the driving circuit unit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moving left and right and rotating and moving, bent right, bent left, zigzag retracting and linear retreating. A sensor-sensitive toy, characterized in that 70 is configured to randomly select any of the above operations throug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60).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센서 감응형 장난감의 외부는 상기 센서가 사용자를 인식하는 범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부분에 다양한 옷을 입힐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응형 장난감.The outside of the sensor-sensitive toy is a sensor-sensitive toy, characterized in that to produce a variety of clothes to the par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ange of the sensor to recognize the us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경계구역을 설정해주는 마그네틱테이프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감응형 장난감.The magnetic sensor is a sensor-sensitive toy,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ognizing the magnetic tape to set the boundary area.
KR1020020059404A 2002-09-30 2002-09-30 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KR200400282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04A KR20040028259A (en) 2002-09-30 2002-09-30 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04A KR20040028259A (en) 2002-09-30 2002-09-30 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565U Division KR200375085Y1 (en) 2004-11-08 2004-11-08 Sensor responsive t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59A true KR20040028259A (en) 2004-04-03

Family

ID=3733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404A KR20040028259A (en) 2002-09-30 2002-09-30 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25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21B1 (en) * 2018-02-01 2019-05-29 주식회사 모던토이 Tag play to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76A (en) * 2000-03-15 2001-10-23 고꾸붕 이사오 Electronic to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mory media
KR20020034570A (en) * 2000-11-02 2002-05-09 배상비 Moving toy for recognizing object
KR20020061961A (en) * 2001-01-19 2002-07-25 사성동 Intelligent pet rob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76A (en) * 2000-03-15 2001-10-23 고꾸붕 이사오 Electronic to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mory media
KR20020034570A (en) * 2000-11-02 2002-05-09 배상비 Moving toy for recognizing object
KR20020061961A (en) * 2001-01-19 2002-07-25 사성동 Intelligent pet rob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21B1 (en) * 2018-02-01 2019-05-29 주식회사 모던토이 Tag play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chaud et al. Mobile robotic toys and autism: observations of interaction
US8909370B2 (en) Interactive systems employing robotic companions
Hutson et al. Investigating the suitability of social robots for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EP2596461B1 (en) Autonomous robotic life form
Michaud et al. Characteristics of mobile robotic toys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US6827317B1 (en) Baby bottle accessory
US10864453B2 (en) Automatic mobile robot for facilitating activities to improve child development
US20170151504A1 (en) Plush stuffed animal with removable rigid teething bandana
US11393352B2 (en) Reading and contingent response educational and entertain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90130775A1 (en) Interactive device for object, playpen enclosure for child, and crib
US20190209932A1 (en) User Interface for an Animatronic Toy
White New first three years of life: Completely revised and updated
Ward Babytalk
JPH11179061A (en) Stuffed doll provided with eye of lcd
KR200375085Y1 (en) Sensor responsive toy
Cooke Early sensory skills
KR200375086Y1 (en) Sensor responsive toy for up-and-down motion
US20040110445A1 (en) Infant-operable remote controlled entertainment and education device and system
KR20040028259A (en) Sensor responsive toy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US20020102909A1 (en) Cloth shape with pockets for objects
KR20040028250A (en) Sensor responsive toy for up-and-down motion and its method for operation
Veronese et al. Off-the-shelf, robotic toys and physically impaired children: an analysis and suggested improvements
KR100425964B1 (en) Mobile apparatus
Lu et al. mediRobbi: an interactive companion for pediatric patients during hospital visit
Dancy You are your child's first teacher: Encouraging your child's natural development from birth to age si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