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784A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784A
KR20030062784A KR1020020003176A KR20020003176A KR20030062784A KR 20030062784 A KR20030062784 A KR 20030062784A KR 1020020003176 A KR1020020003176 A KR 1020020003176A KR 20020003176 A KR20020003176 A KR 20020003176A KR 20030062784 A KR20030062784 A KR 20030062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harging
game
microcompute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1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승수
한창우
이봉순
Original Assignee
한창우
오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우, 오승수 filed Critical 한창우
Priority to KR102002000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2784A/en
Publication of KR20030062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78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oy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charg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a game robot are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 game machine by pre-setting the number of times of which a robot is capable of playing a game with an once charging and automatically performing a charge operation when the number of times is over a pre-set number of times. CONSTITUTION: A microcomputer(10) charges a charger(17) in a robot one time to pre-set a number of times or waiting time that a robot is capable of playing a game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times or the time is over the pre-set number of times or time. A counter unit(11) counts accumulatively a number of times for a continuous game or waiting time pre-set by the microcomputer(10) of a robot to notify the result to the microcomputer(10). When the number of times for the continuous game or waiting time of the robot is more than pre-set value, an emitting unit(14) sends a return signal to a charging room to the robot. A charging unit(13) supplies DC(Direct Current) power for charging to the charger(17) in the robot. A charging detecting unit(12) detects the state that the robot is charged in the charging room. A light receiving unit(18) receives the return signal sent from the emitting unit(14). A microcomputer(15) determines the return signal receiv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18) to control driving of the robot. A direction detecting unit(16) i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15) and detects direction in order to move the robot to the charging room.

Description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Automatic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game robots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본 발명은 원격으로 조정되는 축구 게임기용 로봇의 충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대 또는 두 대를 교대로 사용하는 게임기용 로봇에 있어서, 상기 로봇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게임횟수 또는 소정의 대기시간을 카운트하여 이를 초과하면 게임판 위에 있는 로봇에게 충전장치에서 원격으로 충전복귀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로봇을 소정의 충전실로 복귀시킨 다음 상기 로봇에 내장된 충전지에 자동으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한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of a robot for a soccer game machine that is remotely controlled, and particularly, in a game machine robot using one or two alternatingly, coun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game 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set in the robot. If this is exceeded, the game robot automatically sends a charge return signal from the charging device to the robot on the game board to return the robot to a predetermined charging chamber and automatically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robot. It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종래에는 로봇을 사용하여 게임판 위에서 축구 게임을 하다가 충전기의 전압 저하로 인하여 로봇이 멈추게 되면, 게임기 또는 상기 게임기 부근에 별도로 구비된 충전장치의 전원단자에 로봇의 충전단자를 수동으로 접촉시켜 충전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충전방법은 게임 진행중에 갑자기 로봇이 멈추기도 하고, 로봇을 사람 손으로 옮겨서 충전 작업을 해야 하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when a robot is stopped due to a voltage drop of a charger while playing a soccer game on a game board using a robot, charging is performed by manually contacting a charging terminal of the robot with a power terminal of a game machine or a charging device separately provided near the game machine. Was done.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harging method has a lot of problems because the robot suddenly stops during the game progress, the robot must be moved to the human hand to perform the charging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상기 로봇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게임횟수 또는 소정의 대기시간이 초과되면 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determining that the predetermined number of games 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exceeded in the robot and automatically charg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로봇에 충전를 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charging the gaming rob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로봇에 설치된 충전단자를 보인 저면도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charg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gam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로봇을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charging the gam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대의 로봇을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하는 사례를 보인 게임기의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of a game machine showing an example of the game and charging using a singl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대의 로봇을 교대로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하는 사례를 보인 게임기의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of a game machine showing an example of the game and charge using two robots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도 4에 따른 한 대의 로봇을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6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playing and charging using a robot according to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도 5에 따른 두 대의 로봇을 교대로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and charging two alternating robots according to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도 5에 따른 두개의 로봇을 교대로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하는 과정을 보인 다른 실시사례 플로우 챠트8 is another exemplary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ying and charging two alternating robots according to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충전장치 101 : 로봇장치100: charging device 101: robot device

10, 15 : 마이컴 11 : 카운터부10, 15: microcomputer 11: counter

12 : 충전감지부 13, 26 : 충전부12: charge detection unit 13, 26: charging unit

14 : 발광부 16 : 방향감지부14 light emitting unit 16 direction detecting unit

17 : 충전지 18, 29 : 수광부17: rechargeable battery 18, 29: light receiving unit

21, 31, 31a : 로봇 22 : 아암(Arm)21, 31, 31a: Robot 22: Arm

23, 23a : 충전단자 25 : 보조레그(Leg)23, 23a: charging terminal 25: auxiliary leg (Leg)

27, 27a : 전원단자 28, 28a : 영구자석27, 27a: Power terminal 28, 28a: Permanent magnet

40 : 볼 51 : 게임기40: Ball 51: Game Machine

52 : 게임판 53, 63, 63a : 충전실52: game board 53, 63, 63a: charging room

56, 66, 66a : 충전감지센서 57, 67, 67a : 적외선 램프56, 66, 66a: charge detection sensor 57, 67, 67a: infrared lamp

58, 68, 68a : 출입구58, 68, 68a: doorwa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로봇에 구비된 충전지의 최대용량에 따른 그 범위내에서 상기 충전지를 1회 충전하여 상기 로봇이 연속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횟수 또는 대기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고, 이를 누적 카운트하여 초과할 경우 로봇에게 원격으로 충전복귀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로봇을 충전실로 복귀시켜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robot can continuously play the game or wait time by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once within the range according to the maximum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robot. It is set in advance, and if the cumulative count is excee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is returned to the robot remotely to return the robot to the charging chamber to perform the charging.

이하 본 발명의 게임용 로봇의 충전장치 및 방법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a gam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로봇에 충전를 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축구용 게임기(51)의 게임판(52) 상에서 로봇(21)(31)(31a) 조정용 조이스틱(54)에 의해 게임이 이루어지는 게임용 로봇(21)(31)(31a)의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충전장치(100)와 상기 게임용 로봇(21)(31)(31a)의 구동을 위한 충전지(17)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지(17)에 충전을 자동으로 하는 로봇장치(101)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charging the gam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robots (21) (31) (31a) are charged on the game board (52) of the soccer game machine (51) by the robots (21) (31) (31a). In order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charging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is remotely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17 for driving the game robot 21, 31, 31a, to automatically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17 It consists of a robot device 101.

상기 충전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로봇(21)(31)(31a)에 구비된 충전지(17)를 1회 충전하여 상기 로봇(21)(31)(31a)이 연속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소정횟수 또는 대기할 수 있는 소정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이에 대한 초과 여부를 판별하는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설정된 로봇(21)(31)(31a)의 연속 게임횟수 또는 대기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다시 마이컴(10)에 알려주는 카운터부(11)와,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판단되어지는 로봇(21)(31)(31a)의 연속 게임횟수 또는 대기시간이 그 설정치 보다 초과되면 로봇(21)(31)(31a)에게 충전실(53)(63)(63a)로의 복귀신호를 원격으로 송출하는 적외선 발광부(14)와, 상기 충전지(17)에 충전을 위한 직류전원이 공급되는 충전부(13)(26)와, 상기 로봇(21)(31)(31a)이 충전실(53)(63)(63a)에서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감지센서(56)(66)(66a)가 구비된 충전감지부(12)로 구성된다.A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0, the charging battery 17 provided in the robot (21) (31) and (31a) is charged once and the robot (21) (31) and (31a) continuously play the gam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at can be performed or a predetermined time that can be waited in advance, and the microcomputer 10 which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exceeded, and the robots 21, 31 and 31a set by the microcomputer 10 are continuous. The continuous game of the counter part 11 which accumulates the game count or waiting time and informs the microcomputer 10 of the result again, and the robots 21, 31 and 31a judged by the microcomputer 10. An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14 for remotely transmitting a return signal to the charging chambers 53, 63, 63a to the robots 21, 31, 31a when the number of times or the waiting time exceeds the set value; The charging section 13, 26 to which DC power for charging is supplied to the charging section 17, and the state in which the robots 21, 31, 31a charge in the charging chambers 53, 63, 63a. feeling It consists of a charge sensor (56) (66) charge sensor (12) (66a) is provided for.

또한 상기 로봇장치(101)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상기 충전장치(100)에서 송출되는 로봇(21)(31)(31a)의 충전실(53)(63)(63a)로 복귀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부(18)(29)와, 상기 수광부(18)(29)에서 수신된 복귀신호를 판별하여 로봇(21)(31)(31a)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15)과, 상기 마이컴(15)의 제어를 받으며 충전실(53)(63)(63a)로 로봇(21)(31)(31a)을 자동으로 이동하기 위해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방향감지부(16)와, 상기 충전실(53)(63)(63a)에 구비된 충전부(13)(26)에 접촉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기 로봇(21)(31)(31a)에 구비된 충전지(17)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bot device 101 is configured to receive a return signal from the charging chambers 53, 63, 63a of the robots 21, 31, 31a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device 100. A microcomputer 15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bots 21, 31 and 31a by determining an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18 and 29, a return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s 18 and 29, and the microcomputer A direction detecting unit 16 provided with a sensor for sensing a direction to automatically move the robots 21, 31, 31 a to the charging chambers 53, 63, 63 a under the control of 15. It consists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7 provided in the said robot 21, 31, 31a which charges by contacting the charging part 13 and 26 with which the charging chamber 53, 63, 63a was equipp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로봇에 설치된 충전단자를 보인 저면도이다. 상기 로봇(21)(31)(31a)에는 충전지(17)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지(17)에 충전을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게임 볼(40)을 몰고다니는 아암(22)의 양측 하면부에는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으로 구분되며, 자성체로 되어 있는 금속 물질의 충전단자(23)(23a)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다.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charging terminal installed in the gam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hargeable batteries 17 are provided on the robots 21, 31, and 31a, and both side lower surfaces of the arms 22 driving the game ball 40 to receive DC power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ies 17. The part is divided into a plus (+) and a minus (-) polarity,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charging terminals 23 and 23a made of a magnetic material made of magnetic materi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용 로봇을 충전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전성 물질의 금속으로 구비된 충전부(26)의 연장선부에는 탄성력을 보유한 한 쌍의 전원단자(27)(27a)가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으로 구분되며, 그 하면부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28)(28a)을 부착하여 상기 로봇(21)(31)31a)의 가이드(22)의 양측 하면부에 구비된 한 쌍의 금속성 충전단자(23)(23a)에 자력의 힘으로 부착되므로써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된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charging the gam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power terminals 27 and 27a having elastic force is divided into a positive (+) and a negative (-) polarity at an extension line of the charging unit 26 provided with a metal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pair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pair of metallic charging terminals 23 and 23a provided on both lower surfaces of the guides 22 of the robots 21, 31 and 31a by attaching the permanent magnets 28 and 28a. The electrical contact is made by attaching.

다음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 대 또는 두 대의 로봇을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하는 사례를 보인 게임기의 평면도이다. 상기 게임기(51)에는 게임판(52)이 구비되고, 상기 게임판(52)의 소정 부위에는 충전실(53)(63)(63a)을 구비하고, 상기 로봇(21)(31)31a)이 출입하는 출입구(58)(68)(68a)와, 상기 로봇(21)(31)(31a)이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감지센서(56)(66)(66a)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게임판(52) 위에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여 다수의 행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비봉(55)과,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내장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된 둥근 형상의 게임용 볼(40)이 구비되며, 상기 로봇(21)(31)(31a)의 조작으로 상기 볼(40)이 골인되는 골문(59)과, 상기 게임기(51)의 내측에 형성된 충전실(53)(63)(63a)에는 로봇(21)(31)(31a)을 상기 충전실(53)(63)(63a)로 복귀를 유도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 램프(57)(67)(67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다.4 and 5 are plan views of game machines showing examples of playing and charging using one or two rob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machine 51 is provided with a game board 52, and predetermined parts of the game board 52 are provided with charging chambers 53, 63, 63 a, and the robots 21, 31, 31 a. The entrances and exits 58, 68 and 68a, and charge detection sensors 56, 66 and 66a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robots 21, 31 and 31a are charged,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game board 52 has a plurality of defensive rods 55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rows, and a round-shaped game ball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embedded with various kinds of products. 40 is provided, a goal 59 in which the ball 40 is scored by the operation of the robots 21, 31, 31a, and a charging chamber 53 formed inside the game machine 51 ( Infrared lamps 57, 67 and 67a transmit signals for inducing the return of the robots 21, 31 and 31a to the charging chambers 53, 63 and 63a. It becomes a structure provided with.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미설명 부호 24는 로봇(21)(31)31a)의 바퀴이고, 25는 그 보조레그이다.Reference numeral 24 not mentioned above is a wheel of the robot 21 (31) 31a, and 25 is its auxiliary leg.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사례에 의한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게임용 로봇(21)을 한 대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경우와, 게임용 로봇(31)(31a)을 두대 사용하여 교대로 게임 및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도 있으며, 먼저 게임용 로봇(21)을 한 대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preferred method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 game robot 21 is used to automatically perform games and charging, and two game robots 31 and 31a are used to alternately play games and charge automatically. It may be considered a case of performing, and the first case of using one game robot 2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로봇(21)에 구비된 충전지(17)의 최대용량을 고려하여 그 범위내에서 1회 충전으로 상기 로봇(21)이 연속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횟수 또는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을 마이컴(10)을 통해 미리 설정하게 된다. 예를들면 로봇(21)의 동작에 따른 소비전력을 감안하여 그에 따른 충전지(17)의 연속사용 가능시간이 25분(1,500초)으로 산정되었다고 가정하고, 1 게임에 소요되는 시간을 30초로 규정해 두면, 실제로 게임을 할 수 있는 횟수는 50번까지로 되며, 또한 상기 로봇(21)의 동작과 더불어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이 1,500초(25분)로 된다. 즉 상기 로봇(21)이 연속적으로 게임 가능한 횟수 또는 연속적으로 대기 가능한 시간을 상기 마이컴(10)을 통해 미리 설정해 두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정치(게임횟수 또는 대기시간) 초과 여부를 마이컴(10)에서 판별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로봇(21)의 연속 게임횟수 또는 연속 대기시간을 카운터부(11)에서 누적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다시 상기 마이컴(10)에 알려주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판단되어지는 로봇(21)의 연속 게임횟수 또는 대기시간이 설정치 보다 초과할 경우 상기 로봇(21)에게 충전실(53)로의 복귀신호를 적외선에 의해 원격 송출하는 발광부(14)가 동작을 하게되고, 이때 상기 충전실(53)에 구비된 적외선 램프(57)가 동작하여 복귀신호를 송출하므로서 상기 로봇(21)을 제어하여 충전실(53)로 복귀를 유도하게 된다.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7 provided in the robo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robot 21 can continuously play the game or waits with one charge within the range. It is set in advance through (10).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ontinuous use tim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7 is calculated to be 25 minutes (1,500 seconds)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bot 21, the time required for one game is defined as 30 seconds. In this case, the number of times the game can be actually played is up to 50 times, and the time to wait with the operation of the robot 21 is 1,500 seconds (25 minutes). That is, the number of times the robot 21 can continuously play the game or the time that can be continuously waited is set in advance through the microcomputer 10. Therefore, the microcomputer 10 determines whether the set value (game count or waiting time) is exceeded, and the counter unit 11 determines the continuous game count or continuous waiting time of the robot 21 preset by the microcomputer 10. The cumulative count at the) to inform the microcomputer 10 of the result again. As a result, when the number of consecutive games or the waiting time of the robot 21 determined by the microcomputer 10 exceeds the set value, the robot 21 remotely transmits a return signal to the charging chamber 53 to the robot 21 by infrared rays. The light emitting unit 14 operates, and at this time, the infrared lamp 57 provided in the charging chamber 53 operates to send a return signal to control the robot 21 to return to the charging chamber 53. To induce.

한편 상기 로봇(21)에 구비된 수광부(18)(29)에서 수신된 복귀신호를 방향감지부(16)에서 감지하고, 상기 마이컴(15)이 이를 판별하여 로봇(21)을 구동 및 제어하여 충전실(53)로 자동 복귀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로봇(21)은 충전실(53)에 구비된 출입구(58)를 통해 충전실(53)로 진입하게되고, 여기서 충전부(13)(26)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용 전원단자(27)(27a)에 로봇(21)의 아암(22)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단자(23)(23a)가 플러스(+) 및 마이너스(-) 극성에 맞게 각각 접촉되어 충전지(17)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27)(27a) 하면부에 부착된 한 쌍의 영구자석(28)(28a)에 의해 로봇(21)의 아암(22) 하면부에 구비된 한 쌍의 금속성 충전단자(23)(23a)가 자력의 힘으로 부착되어 안정된 충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6 detects the return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s 18 and 29 provided in the robot 21, and the microcomputer 15 determines the driving signal to drive and control the robot 21. I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thread 53. Accordingly, the robot 21 enters the charging chamber 53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58 provided in the charging chamber 53, where a pair of charging power terminals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s 13 and 26 ( A pair of charging terminals 23 and 23a provided on the arm 22 of the robot 21 to the 27 and 27a contacts the rechargeable battery 17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ve (+) and negative (-) polarities, respectively. Charging is done. At this time, the pair of metallic charging terminals 23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rm 22 of the robot 21 by a pair of permanent magnets 28 and 28a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27 and 27a. (23a) is attached by the force of the magnetic for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able charging.

다음은 한 대의 로봇을 사용하여 게임 및 충전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process of playing and charging using a single robo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게임기(51)의 게임판(52) 상에서 로봇(21)을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S11)와,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게임횟수를 판별하는 단계(S12)와,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대기시간을 판별하는 단계(S13)와, 상기 단계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되지 않았으면 게임을 계속진행하는 단계(S14)와, 상기 단계(S12)(S13)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 하면 발광부(14)에 구비된 적외선 램프(57)를 통해 상기 로봇(21)을 충전실(53)로 복귀를 지시하는 로봇복귀신호 송출단계(S15)와, 상기 단계에 이어 로봇(21)에 구비된 수광부(18)(29)를 통해 상기 로봇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6)와, 상기 단계에 이어 방향 감지센서가 구비된 방향감지부(16)에서 복귀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로봇(21)에 구비된 마이컴(15)이 판별하여 상기 로봇(21)을 충전실(53)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17)와, 상기 단계에 이어 충전부(13)(26)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용 전원단자(27)(27a)에 로봇(21)의 아암(22)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단자(23)(23a)가 접촉되어 충전지(17)에 충전이 시작되는 단계(S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된다.Step (S11) of proceeding the game using the robot 21 on the game board 52 of the game machine 51, and subsequent to the step (S12) for determining the cumulative game number preset in the microcomputer 10 and In step S13, a predetermined cumulative waiting time is determined by the microcomputer 10 after the above step, and if the game count (number>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does not exceed the set value, the game. In step S14 and if the game count (number>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in the step (S12) (S13) exceeds the set value, the infrared lamp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14 ( 57 through the robot return signal sending step (S15) for instructing the robot 21 to return to the charging chamber 53 through the robo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8 (29) provided in the robot 21 following the step; Receiving the robot return signal (S16), and following the step from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6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sensor, the return room Detecting the fragrance, the microcomputer 15 provided in the robot 21 is determined to return the robot 21 to the charging chamber 53 (S17), and the charging unit 13 (following the step) A pair of charging terminals 23 and 23a provided on the arm 22 of the robot 21 is in contact with the pair of charging power terminals 27 and 27a provid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7. It is a process including a step (S18) that the charging is started.

다음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게임용 로봇(31)(31a)을 두 대 사용하는 방법 중 1번로봇(31)이 게임을 먼저 하고 2번로봇(31a)이 충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사용되는 게임용 로봇(31)(31a)의 수에 일치하는 수의 충전실(68)(68a)을 구비하여 로봇(31)(31a)을 교대로 충전하여 사용하므로서 그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The following 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first robot 31 of the method of using two game robots (31) (31a) and the second robot (31a) is charging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is can be implemented by alternately charging and using the robots 31 and 31a with the charging chambers 68 and 68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ame robots 31 and 31a used for the game.

게임기(51)의 게임판(52) 상에서 1번로봇(31)을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S21)와,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게임횟수를 판별하는 단계(S22)와,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대기시간을 판별하는 단계(S23)와, 상기 단계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되지 않았으면 1번로봇(31)으로 게임을 계속진행하는 단계(S24)와, 상기 단계(S22)(S23)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하면 발광부(14)에 구비된 적외선 램프(67)를 통해 상기 1번로봇(31)을 충전실(63)로 복귀를 지시하는 1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25)와, 상기 단계에 이어 1번로봇(31)에 구비된 수광부(18)(29)를 통해 상기 1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6)와, 상기 단계에 이어 방향 감지센서가 구비된 방향감지부(16)에서 복귀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1번로봇(31)에 구비된 마이컴(15)이 판별하여 상기 1번로봇(31)을 충전실(63)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27)와, 상기 단계에 이어 충전부(13)(26)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용 전원단자(27)(27a)에 1번로봇(31)의 아암(22)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단자(23)(23a)가 접촉되어 충전지(17)에 충전이 시작되는 단계(S28)와, 상기 단계에 이어 2번로봇(31a)을 게임판(52)으로 복귀를 지시하는 2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29)와, 상기 단계에 이어 2번로봇(31a)에 구비된 수광부(18)(29)를 통해 상기 2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와, 상기 단계에 이어 수신된 게임복귀신호를 방향감지부(16)에서 감지하고, 이를 2번로봇(31a)에 구비된 마이컴(15)이 판별하여 상기 2번로봇(31a)을 게임판(52)으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된다.Step (S21) of proceeding the game using the first robot 31 on the game board 52 of the game machine 51, and determining the cumulative game number set in advance in the microcomputer 10 (S22). And,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umulative waiting time preset in the microcomputer 10 (S23), and the number of times the game (number>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in the step did not exceed the set value If the first robot (31) to continue the game (S24) and the step (S22) (S23), if the game count (number>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exceeds the set value light emitting unit Sending the robot No. 1 charging return signal for instructing the return of the robot No. 31 to the charging chamber 63 through the infrared lamp 67 provided in (14) and subsequent steps Receiving the first robot charging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18 (29) provided in the first robot (31) (S26), and following the step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6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detects a return direction, and the microcomputer 15 provided in the first robot 31 determines the return direction to return the first robot 31 to the charging chamber 63. As long as the arm 22 of the robot No. 1 is provided in the step S27 and the pair of charging power terminals 27 and 27a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13 and 26 after the step S27. In step S28, when the pair of charging terminals 23 and 23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harging is started on the rechargeable battery 17 (S28). Receiving the second robot game return signal (S29), and receiving the second robot game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18 (29)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31a following the step (S30) Then, the direction of the detection unit 16 receives the game return signal received after the above step, and the microcomputer 15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31a determines the second robot 31a by the game board 52 Return to) It is a process comprising a step (S31).

한편 상기 1번로봇(31) 충전시작단계(S28)에서는 충전실(63)에서 1번로봇(31)이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충전감지센서(66)가 감지하여, 이를 2번로봇(31a) 충전실(63a)에 구비된 충전감지센서(66a)에 송출하므로서, 상기 2번로봇(31a)이 게임진행 중에 출입구(68a)를 통해 충전실(63a)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인터럽트( interrupt)를 하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charging start step S28 of the first robot 31, the charging detection sensor 66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bot 31 is charged in the charging chamber 63, and the second robot 31a detects the state. By sending to the charge detection sensor (66a) provided in the charging chamber (63a), the robot No. 2 (31a) interrupts the entry into the charging chamber (63a) through the entrance (68a) during the game progress will be.

다음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게임용 로봇(31)(31a)을 두 대 사용하는 방법 중 2번로봇(31a)이 게임을 먼저 하고 1번로봇(31)이 충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ollowing 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bot No. 2 (31a) of the method of using two game robots (31, 31a) first and the robot No. 1 (31) is charging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게임기(51)의 게임판(52) 상에서 2번로봇(31a)을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S41)와,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게임횟수를 판별하는 단계(S42)와,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대기시간을 판별하는 단계(S43)와, 상기 단계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되지 않았으면 2번로봇(31a)으로 게임을 계속진행하는 단계(S44)와, 상기 단계(S42)(S43)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하면 발광부(14)에 구비된 적외선 램프(67a)를 통해 상기 2번로봇(31a)을 충전실(63a)로 복귀를 지시하는 2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5)와, 상기 단계에 이어 2번로봇(31a)에 구비된 수광부(18)(29)를 통해 상기 2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6)와, 상기 단계에 이어 방향 감지센서가 구비된 방향감지부(16)에서 복귀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2번로봇(31a)에 구비된 마이컴(15)이 판별하여 상기 2번로봇(31a)을 충전실(63a)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47)와, 상기 단계에 이어 충전부(13)(26)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용 전원단자(27)(27a)에 2번로봇(31a)의 아암(22)에 구비된 한 쌍의 충전단자(23)(23a)가 접촉되어 충전지(17)에 충전이 시작되는 단계(S48)와, 상기 단계에 이어 1번로봇(31)을 게임판(52)으로 복귀를 지시하는 1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9)와, 상기 단계에 이어 1번로봇(31)에 구비된 수광부(18)(29)를 통해 상기 1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50)와, 상기 단계에 이어 수신된 게임복귀신호를 방향감지부(16)에서 감지하고, 이를 1번로봇(31)에 구비된 마이컴(15)이 판별하여 상기 1번로봇(31)을 게임판(52)으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된다.Step (S41) of proceeding the game by using the second robot (31a) on the game board 52 of the game machine 51, and determining the cumulative game number set in advance in the microcomputer 10 (S42) And,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umulative waiting time set in advance in the microcomputer 10 (S43), and the game count (number>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in the step did not exceed the set value If the second robot (31a) proceeds to continue the game (S44), and in the step (S42) (S43) if the game count (number>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exceeds the set value light emitting unit (S45) to send the second robot charging recovery signal instructing the return of the second robot 31a to the charging chamber 63a through the infrared lamp 67a provided in (14); Receiving the second robot charging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18, 29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31a) (S46), and the step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6 provided with a direction detecting sensor detects a return direction, and the microcomputer 15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31a determines the return direction and returns the second robot 31a to the charging chamber 63a. And a pair of charging power terminals 27 and 27a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13 and 26 subsequent to the step S47 and the arm 22 of the second robot 31a. A pair of charging terminals 23 and 23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start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17 (S48), and the robot 31 is then instructed to return to the game board 52. Receiving the first robot game return signal (S49), and receiving the first robot game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18 (29) provided in the first robot 31 (S50) after the step (S50) And the game return signal received following the step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6, and the microcomputer 15 provided in the first robot 31 determines the first robot 31 on the game board ( 52) The giving is a process including the step S51.

한편 상기 2번로봇(31a) 충전시작단계(S48)에서는 충전실(63a)에서 2번로봇(31a)이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충전감지센서(66a)가 감지하여, 이를 1번로봇(31)의 충전실(63)에 구비된 충전감지센서(66)에 송출하므로서 상기 1번로봇(31)이 게임진행 중에 출입구(68)를 통해 충전실(63)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인터럽트( interrupt)를 하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charging start step S48 of the second robot 31a, the charging detection sensor 66a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robot 31a is charged in the charging chamber 63a, and the first robot 31 detects the state. By sending out to the charge detection sensor 66 provided in the charging chamber 63 of the first robot 31 to interrupt (interrupt) to prevent entering the charging chamber 63 through the entrance 68 during the game progress will b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회 충전으로 로봇이 게임할 수 있는횟수 또는 대기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이를 초과시 자동으로 충전을 수행하므로서 게임기를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number of times the robot can play a game or a waiting time in one charge, and automatically performs charging when it exceeds thi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game machine more usefully.

Claims (10)

로봇에 구비된 충전지를 1회 충전하여 연속 게임을 할 수 있는 소정횟수 또는 대기할 수 있는 소정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이에 대한 초과 여부를 판별하는 마이컴과;A microcomputer that charges the rechargeable battery included in the robot once and set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the continuous game or a predetermined time for waiting, and determines whether to exceed it; 상기 마이컴에 의해 설정된 로봇의 연속 게임횟수 또는 대기시간을 누적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다시 마이컴에 알려주는 카운터부와;A counter unit for accumulating a continuous game number or waiting time of the robot set by the microcomputer and informing the microcomputer of the result again; 상기 마이컴에 의해 판단되어지는 로봇의 연속 게임횟수 또는 대기시간이 설정치 보다 초과되면 상기 로봇에게 충전실로의 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발광부와;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return signal to the charging chamber to the robot when the number of continuous games or waiting time of the robot determined by the microcomputer exceeds the set value; 상기 로봇에 구비된 충전지에 충전을 위한 직류전원이 공급되는 충전부와;A charging unit to supply DC power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robot; 상기 로봇이 충전실에서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충전감지부와;A charge detecting unit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robot is charging in a charging room; 상기 발광부에서 송출되는 복귀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와;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a retur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된 복귀신호를 판별하여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과;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robot by determining a return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으며, 로봇을 충전실로 이동하기 위해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와;A direction detect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nd sensing a direction to move the robot to the charging chamber; 상기 충전부에 접촉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로봇에 구비된 충전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장치Automatic charging device for a gaming robo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robot is charged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의 아암에는 양측 하면부에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으로 구분되며, 자성체의 도전성 금속물질로 되어 있는 한 쌍의 충전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장치The arm of the robot has a pair of charging terminals, which are divided into positive (+) and negative (-) polarities at both lower surfaces thereof, and are provided with a conductive metal material of a magnetic material, wherein the automatic charging device for a gaming robot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전부는 도전성 금속으로 되며, 그 연장선부에는 한 쌍의 전원단자가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으로 구비되며, 그 하면부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장치The charging part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and the extension line part has a pair of power terminals having positive (+) and negative (-) polarities, and a lower part of the gaming robot, wherein a pair of permanent magnets are attached. Automatic charg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전실은 게임판의 소정 부위에 로봇의 수와 일치하는 갯 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장치The charging chamber is an automatic charging device for a gam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he game board to match the number of robo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컴에서 설정되는 로봇이 연속 게임을 할 수 있는 소정횟수 또는 대기할 수 있는 소정시간은 상기 충전지의 최대용량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장치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at the robot set in the microcomputer can play a continuous game or a predetermined time for waiting can be performed within the maximum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로봇을 한 대 사용하여 게임과 충전을 수행하는 게임기에 있어서,In a game machine that uses a robot to play games and charges, 상기 게임기의 게임판 상에서 로봇을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S11)와;Step (S11) of playing a game using a robot on a game board of the game machine;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게임횟수를 판별하는 단계(S12)와;Determining the cumulative game number set in advance by the microcomputer (S12);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대기시간을 판별하는 단계(S13)와;Determining the cumulative waiting time set in advance by the microcomputer (S13); 상기 단계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되지 않았으면 게임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S14)와;If the game count (number> n) or waiting time (time> t) does not exceed the set value in the step, continuing the game (S14); 상기 단계(S12)(S13)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하면 로봇을 충전실로 복귀 지시하는 로봇복귀신호 송출단계(S15)와;A robot return signal sending step (S15) of instructing the robot to return to the charging chamber when the game count (number>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exceeds the set value in the step (S12) (S13); 상기 단계에 이어 로봇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상기 로봇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6)와;Receiving the robot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robot following the step (S16); 상기 단계에 이어 방향 감지센서가 구비된 방향감지부에서 복귀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로봇에 구비된 마이컴이 판별하여 상기 로봇을 충전실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17)와;And detecting the return direction in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equipped with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and determining the return direction by the 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robot (S17); 상기 단계에 이어 충전부에 구비된 충전용 전원단자에 로봇에 구비된 충전단자가 접촉되어 충전지에 충전이 시작되는 단계(S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방법Subsequent to the above step, the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robot come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power terminal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and the 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started. 로봇을 두 대 사용하여 교대로 게임과 충전을 수행하는 게임기에 있어서,In a game machine that alternately plays games and charges using two robots, 상기 게임기의 게임판 상에서 1번로봇을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단계(S21)와;Proceeding to play the game using the first robot on the game board of the game machine (S21);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게임횟수를 판별하는 단계(S22)와;Determining the cumulative game number preset in the microcomputer (S22) following the step;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대기시간을 판별하는 단계(S23)와;Determining the cumulative waiting time set in advance by the microcomputer 10 (S23); 상기 단계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되지 않았으면 1번로봇으로 게임을 계속진행하는 단계(S24)와;In step S24, if the number of games (number of times>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continuing the game with the first robot (S24); 상기 단계(S22)(S23)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하면 발광부를 통해 상기 1번로봇을 충전실로 복귀를 지시하는 1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25)와;In step S22 and step S23, when the number of games (number of times>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exceeds the set value, the robot no. 1 charging return signal is instructed to return the robot to the charging chamber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Sending step (S25); 상기 단계에 이어 1번로봇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상기 1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6)와;Receiving the first robot charging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robot following the step (S26); 상기 단계에 이어 방향 감지센서가 구비된 방향감지부에서 복귀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1번로봇에 구비된 마이컴이 판별하여 상기 1번로봇을 충전실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27)와;And detecting the return direction in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equipped with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and determining the return direction by the 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first robot (S27); 상기 단계에 이어 충전부에 구비된 충전용 전원단자에 1번로봇에 구비된 충전단자가 접촉되어 충전지에 충전이 시작되는 단계(S28)와;In step S28, the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first robot contacts the charging power terminal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and starts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S28); 상기 단계에 이어 2번로봇을 게임판으로 복귀를 지시하는 2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29)와;Transmitting a robot game return signal to robot No. 2 indicating the return of the robot No. 2 to the game board (S29); 상기 단계에 이어 2번로봇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상기 2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와;Receiving the second robot game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following the step (S30); 상기 단계에 이어 수신된 게임복귀신호를 방향감지부에서 감지하고, 이를 2번로봇에 구비된 마이컴이 판별하여 상기 2번로봇을 게임판으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방법And a step (S31) of detecting the received game return signal from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and determining the micom provided to the second robot to return the second robot to the game board (S31). Automatic charging method of game robo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1번로봇 충전시작단계(S28)에서는 1번로봇이 충전실에서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1번로봇 충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2번로봇 충전감지센서에 송출하므로서 상기 2번로봇이 게임중 충전실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방법In the first robot charging start step (S28), the robot charging sensor 1 detects the state where the robot 1 is charging in the charging chamber, and transmits it to the robot charging sensor 2 so that the robot 2 is in the game. Automatic charging method of the gam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venting entering into the charging chamber 로봇을 두 대 사용하여 교대로 게임과 충전을 수행하는 게임기에 있어서,In a game machine that alternately plays games and charges using two robots, 상기 게임기의 게임판 상에서 2번로봇을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S41)와;Proceeding to play the game using the second robot on the game board of the game machine (S41);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게임횟수를 판별하는 단계(S42)와;Determining the cumulative game number preset in the microcomputer (S42) following the step; 상기 단계에 이어 마이컴(10)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대기시간을 판별하는 단계(S43)와;Determining the cumulative waiting time set in advance by the microcomputer 10 (S43); 상기 단계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되지 않았으면 2번로봇으로 게임을 계속진행하는 단계(S44)와;If the number of games (number> n) or waiting time (time> t) does not exceed the set value in the above step, continuing the game with the second robot (S44); 상기 단계(S42)(S43)에서 게임횟수(횟수>n) 또는 대기시간(시간>t)이 설정치 보다 초과하면 발광부를 통해 상기 2번로봇을 충전실로 복귀를 지시하는 2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5)와;In step S42 and step S43, when the number of games (number of times> n) or the waiting time (time> t) exceeds the set value, the robot no. Sending step (S45); 상기 단계에 이어 2번로봇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상기 2번로봇 충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6)와;Receiving the second robot charging recovery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following the step (S46); 상기 단계에 이어 방향 감지센서가 구비된 방향감지부에서 복귀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2번로봇에 구비된 마이컴이 판별하여 상기 2번로봇을 충전실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47)와;And detecting the return direction in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provided with the direction detecting sensor, and determining the return direction by the microcomputer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S47); 상기 단계에 이어 충전부에 구비된 충전용 전원단자에 2번로봇에 구비된 충전단자가 접촉되어 충전지에 충전이 시작되는 단계(S48)와;In step S48, the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second robot is contacted with the charging power terminal provided in the charging unit and the charging is start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S48); 상기 단계에 이어 1번로봇을 게임판으로 복귀를 지시하는 1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송출하는 단계(S49)와;Transmitting a robot return signal # 1 instructing to return the robot # 1 to the game board after the step (S49); 상기 단계에 이어 1번로봇에 구비된 수광부를 통해 상기 1번로봇 게임복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50)와;Receiving the first robot game return signal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first robot after the step (S50); 상기 단계에 이어 수신된 게임복귀신호를 방향감지부에서 감지하고, 이를 1번로봇에 구비된 마이컴이 판별하여 상기 1번로봇을 게임판으로 복귀시켜 주는 단계(S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방법And a step (S51) of detecting the received game return signal b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and determining the micom provided to the first robot to return the first robot to the game board (S51). Automatic charging method of game robo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2번로봇 충전시작단계(S48)에서는 2번로봇이 충전실에서 충전하고 있는상태를 2번로봇 충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1번로봇 충전감지센서에 송출하므로서 상기 1번로봇이 게임중 충전실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로봇의 자동충전방법In the robot No. 2 charging start step (S48), the robot No. 2 charging sensor detects the state in which the robot No. 2 is charging in the charging chamber, and sends the robot no. Automatic charging method of the gam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venting entering into the charging chamber
KR1020020003176A 2002-01-19 2002-01-19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KR200300627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176A KR20030062784A (en) 2002-01-19 2002-01-19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176A KR20030062784A (en) 2002-01-19 2002-01-19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784A true KR20030062784A (en) 2003-07-28

Family

ID=3221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176A KR20030062784A (en) 2002-01-19 2002-01-19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278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60B1 (en) * 2008-10-20 2011-07-04 한국과학기술원 Automatic charging system of remote control mobile unit
KR101489971B1 (en) * 2008-11-05 2015-02-06 한국과학기술원 Automatic charging method for Remote control mobile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103A (en) * 1990-03-28 1991-12-13 Shinko Electric Co Ltd Charging control system for mobile robot
KR950032464U (en) * 1994-05-31 199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robot power supply
KR20010051322A (en) * 1999-10-29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Charging system for a movable robot, method of searching a charging station, movable robot,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KR20010084466A (en) * 2000-02-25 2001-09-06 윤덕용 robot soccer gam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103A (en) * 1990-03-28 1991-12-13 Shinko Electric Co Ltd Charging control system for mobile robot
KR950032464U (en) * 1994-05-31 199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robot power supply
KR20010051322A (en) * 1999-10-29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Charging system for a movable robot, method of searching a charging station, movable robot,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KR20010084466A (en) * 2000-02-25 2001-09-06 윤덕용 robot soccer game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60B1 (en) * 2008-10-20 2011-07-04 한국과학기술원 Automatic charging system of remote control mobile unit
KR101489971B1 (en) * 2008-11-05 2015-02-06 한국과학기술원 Automatic charging method for Remote control mobil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630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thod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secondary battery
WO200510160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on of a charging condition
JP2007125251A (en) Move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used for system and charging device of terminal device
ES2092689T3 (en) BATTERY DRIVEN DEVICE.
EP1410480A1 (en) Battery charger with sequential charging
KR200300627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of game robot
SE461249B (en) BATTERY FITTED BOOSTER FUNCTION APPLIANCE
KR200276674Y1 (en) Game robot charging system
US5486750A (en) Battery charger with polarity sensing and timer
KR100577825B1 (en) Charging system for game robot
EP1191660A3 (en) Power circuit, power suppl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010113825A (en) Crawler Driving Device and Game Device
JPH0879339A (en) Residual battery capactiy display device for cordless telephone set
KR20030078625A (en) Golf practice device
JP2544729B2 (en) Gaming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gaming machines
JPH0970074A (en) Remote controller and game machine
KR100373240B1 (en)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of electric vehicle
JP2002085817A (en) Running object game machine
JPH07320790A (en) Charging device
CN211675272U (en) Wireless vibration waistband
JP6946987B2 (en) Pachinko machine
KR200273676Y1 (en) Game robot charging system
CN218607951U (en) Sports baseball bat for children
KR100436591B1 (en) Position and Heading Angle Detection System having Power Supply Function for a Mobile Object
JPH0654453A (en)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