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173Y1 -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173Y1
KR200179173Y1 KR2019990024254U KR19990024254U KR200179173Y1 KR 200179173 Y1 KR200179173 Y1 KR 200179173Y1 KR 2019990024254 U KR2019990024254 U KR 2019990024254U KR 19990024254 U KR19990024254 U KR 19990024254U KR 200179173 Y1 KR200179173 Y1 KR 200179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rtable
charging
portable devic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2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4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1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17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위치가 고정되어 무선전화기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휴대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고정장치와;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휴대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 간의 충전기능과 데이터송수신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2단자의 충전단자로 구성함으로써,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두 장치간 접촉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요구되는 상황(ID 교환 또는 상태 교환 등)에서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용 탭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position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and to transmit data to the portable device;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ixed device to perform a portable fun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ixed device; A situation in whic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required by contact between two devices of a radiotelephone comprising a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by configuring a charging terminal of two terminals to perform a charging fun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between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In the exchange or state exchange, etc., it is possible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n existing charging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tab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두 장치간 접촉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요구되는 상황(ID 교환 또는 상태 교환 등)에서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용 탭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and particularly, in a situation wher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required by contact between two devices of a wireless telephone composed of a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ID exchange or state exchange,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which is suitable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sing an existing charging terminal without using a data transmission tap.

종래의 무선전화기 중에서 특히 본체와 휴대장치 단독으로 구성된 경우(별도의 충전장치 없이 본체에서 충전하는 경우)에 ID 교환 및 상태 교환의 목적으로 충전시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장치가 사용된 적이 있다.Among conventional radiotelephones, a device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t the time of charging has been used, particularly for the purpose of ID exchange and state exchange, when the main body and the portable device are configured alone (if charging in the main body without a separate charging device).

그래서 종래의 데이터 교환방식을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적용하였다.Therefore, two methods ar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data exchange method.

이러한 첫 번째 방식은 별도의 데이터 교환용 탭(TAP)을 이용하여 직접 접촉 방식을 이용하였다.This first method uses a direct contact method using a separate tap for data exchange (TAP).

도1은 이러한 종래의 첫 번째 방식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블록구성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radiotelephone according to the first conventional method.

여기서 참조번호 1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이고, 2는 휴대장치이며, 3은 상기 고정장치(1)에 위치하고 충전여부를 검출하는 충전검출부이고, 4는 상기 휴대장치(2)에 위치하고 충전여부를 검출하는 충전검출부이다.Her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fixing device of a radiotelephone, 2 denotes a portable device, 3 denotes a charge detecting unit located in the fixed device 1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a charge is detected, and 4 denotes a charge device located on the portable device 2 It is a charge detection part to detect.

또한 참조번호 5는 상기 고정장치(1)와 상기 휴대장치(2)의 충전을 위해 연결되는 충전단자이고, 6은 상기 고정장치(1)와 상기 휴대장치(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단자이며, 7은 충전부(7)이고, 8은 배터리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5 is a charging terminal connected for charging the fix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device 2, 6 is a data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fix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device (2). 7 is a charging unit 7 and 8 is a battery.

그래서 고정장치(1)와 휴대장치(2) 간의 충전용 단자 이외에 별도의 데이터용 단자(6)를 두어 데이터 송수신 전용으로 사용하였다. 외관상으로는 세트에 3단자(충전용 2단자, 데이터용 1단자)로 구성된다.Thus, in addition to the charging terminal between the fixing device 1 and the portable device 2, a separate data terminal 6 was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ently, the set consists of three terminals (two terminals for charging and one terminal for data).

두 번째 방식은 충전기에 올려진 것을 인지하여 디폴트 채널(DEFAULT CHANNEL)로 RF(Radio Frequency) 링크를 연결하고, 필요한 데이터(ID 또는 상태 등)를 교환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In the second method, a radio frequency (RF) link is connected to a default channel (DEFAULT CHANNEL) and the necessary data (ID or status) is exchanged.

이를 구조적으로 보면, 세트에 드러나는 단자는 충전용 2단자로 되어 있으며, 미리 약속된 채널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Structurally, the terminal exposed in the set has two terminals for charging and perform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ing a predetermined channel.

그러나 첫 번째 방식인 별도의 데이터 교환용 단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장치의 소형화와 슬림화 구조에서 디자인 구성상의 많은 제약을 갖고 있어, 별도의 단자를 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terminal for data exchange, which is the first method,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the design configuration in the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structure of the devi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pace must be secured in order to configure a separate terminal.

또한 두 번째 방식인 디폴트 채널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교환방식은 전파환경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자칫 치명적인 시스템 오류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ireless data exchange method using the default channel, which is the second method, has a problem that can cause a fatal system error in a situation where the radio environment becomes more complicat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두 장치간 접촉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요구되는 상황(ID 교환 또는 상태 교환 등)에서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용 탭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tuation in whic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contact between two devices of a radiotelephone consisting of a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is required (ID exchange 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capable of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n existing charging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a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위치가 고정되어 무선전화기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휴대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고정장치와;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휴대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 간의 충전기능과 데이터송수신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2단자의 충전단자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 fixed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portable device;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ixed device to perform a portable fun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ixed devic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wo-terminal charging terminal to perform a charging fun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between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도1은 종래 무선전화기의 블록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고정장치 12 : 휴대장치11: fixing device 12: portable device

13 : 충전검출부 14 : 데이터 출력부13 charge detection unit 14 data output unit

15, 17 : 제너 다이오드 16 : 배터리15, 17: Zener diode 16: battery

18 : 충전단자 19 : 충전부18: charging terminal 19: charging unit

20 : 데이터 입력부20: data input unit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using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telephon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가 고정되어 무선전화기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휴대장치(12)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고정장치(11)와;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장치(11)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장치(11)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휴대장치(12)와; 상기 고정장치(11)와 휴대장치(12) 간의 충전기능과 데이터송수신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2단자의 충전단자(18)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position is fixed so that the function of the radiotelephone is performed, and a fixing device 11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portable device 12; A mobile device (12)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ixed device (11) to perform a portable function of the radiotelephone,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ixed device (11); It consists of a two-terminal charging terminal 18 to perform a charging fun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between the fixing device 11 and the portable device 12.

상기에서 고정장치(11)는, 상기 휴대장치(12)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는 충전검출부(13)와; 상기 충전검출부(13)에서 검출된 충전여부 및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송신신호를 송출하는 데이터 출력부(14)와; 상기 충전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상기 휴대장치(12)의 전위변동을 결정하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15)로 구성된다.The fixing device 11, the charge detection unit 13 for detect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12 is charged; A data output unit 14 for transmitting an appropriat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ate of charge detected by the charge detection unit 13, and the like; And a first zener diode (ZD1) 15 for determining the potential change of the portable device 12 in accordance with the data transfer during charging.

상기에서 고정장치는, 상기 충전검출부의 전압(V_CHG)에서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Vzd1)을 뺀 값(V_CHG - Vzd1)이 상기 휴대장치 내의 제2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Vzd2)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뺀 값(V_CHG - Vzd1)을 설정한다.In the fixing device, the value V_CHG-Vzd1 obtained by subtracting the voltage Vzd1 of the first zener diode from the voltage V_CHG of the charge detector is lower than the zener voltage Vzd2 of the second zener diode in the portable device. The subtracted value (V_CHG-Vzd1) is set.

상기에서 휴대장치(12)는, 상기 휴대장치(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와; 상기 고정장치(11) 내의 제1 제너 다이오드(ZD1)(15)와 연동되어 데이터의 하이 또는 로우를 분별해내는 제2 제너 다이오드(ZD2)(17)와; 상기 휴대장치(12)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19)와; 상기 고정장치(11)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데이터 입력부(20)로 구성된다.The portable device 12 includes a battery 16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12; A second zener diode (ZD2) 17 connected with a first zener diode (ZD1) 15 in the fixing device 11 to discriminate high or low of data; A charging unit 19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12; It consists of a data input unit 20 for read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xing device (1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using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그 하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성하는 고정장치(11)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 수신부를 구성하는 휴대장치(12)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parts, as shown in FIG. 2, one of which is a fixing device 11 constituting a data transmitter, and the other is a portable device 12 constituting a data receiver.

그래서 데이터 송신부를 구성하는 고정장치(11)에는 휴대장치(12)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는 충전검출부(13)와, 충전여부 및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송신신호를 송출하는 데이터 출력부(14)와, 이를 전원단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출력부(14) 내의 제2 트랜지스터(Q2)와, 충전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휴대장치(12)의 전위의 변동을 결정하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15) 및 기타 주변회로 소자로 구성된다.Thus, the fixing device 11 constituting the data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charging detection unit 13 for detect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12 is charged, a data output unit 14 for transmitting an appropriat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harging is performed, and the like. The second transistor Q2 in the data output unit 14, which serves to connect it to a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first zener diode for determining a change in potential of the portable device 12 according to data transmission during charging. ZD1) 15 and other peripheral circuit elements.

또한 데이터 수신부를 구성하는 휴대장치(12)에는 휴대장치(12)의 기본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와, 데이터 송신부인 고정장치(11)에 있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15)와 함께 데이터의 하이 또는 로우를 분별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제너 다이오드(ZD2)(17) 및 수신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데이터 입력부(20)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장치(11)와 휴대장치(12) 사이에는 충전단자(18)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12 constituting the data receiver includes a battery 16 for supplying basic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12, a first zener diode (ZD1) 15 in the fixed device 11 as a data transmitter, It consists of a second zener diode (ZD2) (17) which serves to discriminate the high or low of the data together and the data input unit 20 for reading the received data, the fixing device 11 and the portable device The charging terminal 18 is connected between the 12.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고정장치(11)의 충전검출부(13)에서 휴대장치(12)의 충전여부를 인지하여 고정장치(11)의 제어장치는 데이터출력부(14)를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First, by detect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12 is charged by the charging detector 13 of the fixing device 11, the control device of the fixing device 11 transmits necessary data through the data output unit 14.

이때 송출되는 데이터는 하이 또는 로우로 이루어지는데, 데이터의 구성 비트가 하이일 때 휴대장치(12)의 수신단에서도 하이로 인식하고, 로우일 때는 로우로 인식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transmitted data is made high or low. When the configuration bit of the data is high, the receiving end of the portable apparatus 12 should be recognized as high, and if it is low, it should be recognized as low.

그래서 데이터 비트가 하이일 때 데이터 출력부(14) 내의 제2 트랜지스터(Q2)가 온 되어 충전단자(18)의 '-' 단자의 전위, 즉 휴대장치(12)의 그라운드(GND) 전위는 거의 고정장치(11)의 GND 전위와 같아진다.Therefore, when the data bit is high, the second transistor Q2 in the data output unit 14 is turned on,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 terminal of the charging terminal 18, that is, the ground (GND) potential of the portable device 12 is almost equal. It is equal to the GND potential of the fixing device 11.

이때의 V1은 충전검출부(13)에서 검출된 V_CHG 값이 거의 그대로 걸리게 되며, 이때 ZD2 양단에 걸리는 전압(Vzd2)은 제너 전압보다 높게 되어, 데이터 입력부(20)내의 저항 R2에 의해서 하이가 걸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V_CHG value detected by the charge detector 13 is almost intact, and at this time, the voltage Vzd2 across ZD2 is higher than the Zener voltage, and high by the resistor R2 in the data input unit 20. .

한편 송신 데이터 비트가 로우일 경우, V1에는 ZD1을 뺀 전위가 걸리게 되며, 즉 'V_CHG - Vzd1'이 되며, 이때의 ZD2 양단의 전위는 ZD 전압보다 낮게 되어, 데이터입력부(20)에 걸리는 신호는 로우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mit data bit is low, V1 is applied with the potential minus ZD1, that is, 'V_CHG-Vzd1', and the potential at both ends of ZD2 is lower than the ZD voltage, so that the signal applied to the data input unit 20 is Goes low.

따라서 데이터 출력부(14)의 값이 그대로 데이터 입력부(20)에 나타나게 된다.Therefore, the value of the data output unit 14 is displayed on the data input unit 20 as it is.

여기서 주의할 점은 ZD1과 ZD2의 제너 전압의 설정에 있다.Note that the Zener voltage of ZD1 and ZD2 is set here.

즉, 'V_CHG - Vzd1'의 전압이 ZD2의 제너 전압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하여야 한다.That is, the voltage of 'V_CHG-Vzd1' should be set to be lower than the Zener voltage of ZD2.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송신 데이터에 따라 수신부의 기준 그라운드 전위를 Vzd1 만큼 가변시킴으로써 데이터 입력부(20)에 하이와 로우의 구분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the high and low in the data input unit 20 by varying the reference ground potential of the receiver by Vzd1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ata.

이처럼 본 고안은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두 장치간 접촉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용 탭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a conventional charging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ab when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required by contact between two devices of a radiotelephone composed of a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will be.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기의 두 장치간 접촉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요구되는 상황(ID 교환 또는 상태 교환 등)에서도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용 탭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의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using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tuation in whic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he contact between the two devices of the radiotelephone consisting of a fixed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is required (ID exchange or state exchange, etc.). ) Also has the effect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existing charging terminal without using a separate tab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laims (2)

휴대장치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는 충전검출부와, 상기 충전검출부에서 검출된 충전여부 및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송신신호를 송출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충전시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상기 휴대장치의 전위변동을 결정하는 제1 제너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위치가 고정되어 무선전화기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고정장치와;A char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charged, a data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an appropriate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harge detection unit detects the charge, and a potential change of the portable device due to data transmission during charging; A fixing device having a first zener diode, the fixing device having a fixed position to perform a function of a wireless telephone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portable device; 상기 휴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고정장치 내의 제1 제너 다이오드와 연동되어 데이터의 하이 또는 로우를 분별해내는 제2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휴대장치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와,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휴대장치와;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a second zener diode interlocking with a first zener diode in the fixing device to discriminate high or low data,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A portable apparatus having a data input unit for rea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apparatus being connected to the fixed apparatus to perform a portable func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and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fixed apparatus; 상기 고정장치와 휴대장치 간의 충전기능과 데이터송수신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2단자의 충전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And a charging terminal of two terminals for performing a charging fun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between the fixed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device, 상기 충전검출부의 전압(V_CHG)에서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Vzd1)을 뺀 값(V_CHG - Vzd1)이 상기 휴대장치 내의 제2 제너 다이오드의 제너 전압(Vzd2)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뺀 값(V_CHG - Vzd1)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The subtracted value V_CHG such that the value V_CHG-Vzd1 obtained by subtracting the voltage Vzd1 of the first zener diode from the voltage V_CHG of the charge detector is lower than the zener voltage Vzd2 of the second zener diode in the portable device. -Vzd1)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ing a charging terminal of a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KR2019990024254U 1999-11-08 1999-11-08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KR2001791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254U KR200179173Y1 (en) 1999-11-08 1999-11-08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254U KR200179173Y1 (en) 1999-11-08 1999-11-08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173Y1 true KR200179173Y1 (en) 2000-04-15

Family

ID=1959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254U KR200179173Y1 (en) 1999-11-08 1999-11-08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17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319B1 (en) An adapter unit for adaptively supplying a portable radio telephone with power
US5266880A (en) Battery monitoring circuit
US6265844B1 (en) Battery pack with photo means for enabling integral circuitry
US5367556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used with an adaptor unit having a hand-free circuit
WO1989003624A1 (en) Radio arrangement having two radios sharing circuitry
US5590414A (en) Adapter unit for a portable radio telephone enabling either one of data transmission and hand-free operation
JPS6333021A (en) Portable wireless telephone set
KR20060121975A (en) Battery circuit with non-volitable memory and thermistor on a single line
CN101472519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human body
KR1006300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luetooth wireless earphone using power of potable phone
US6586967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data signal output at voltage level of the device coupled thereto
KR200179173Y1 (en) Apparatus for data transmitting by using charging terminal in cordless telephone
CN111615029A (en) Wireless earphone reset circuit, wireless earphone and reset method
JPH10173748A (en) Cordless telephone set
KR100725861B1 (en)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an accumulator and method of detecting the disconnection of an accumulator
CN107678995B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950003321B1 (en) Data tranceiving system in cordless phone
KR100519409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269157B2 (en) Transceiver
KR200291392Y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H02309847A (en) Identification code setting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set
KR0147280B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462361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920007542Y1 (en) Apparatus for transfering between inside antenna and outside antenna
JPH0621879A (en) Cordless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