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195B1 -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 Google Patents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195B1
KR102468195B1 KR1020220079106A KR20220079106A KR102468195B1 KR 102468195 B1 KR102468195 B1 KR 102468195B1 KR 1020220079106 A KR1020220079106 A KR 1020220079106A KR 20220079106 A KR20220079106 A KR 20220079106A KR 102468195 B1 KR102468195 B1 KR 10246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rtical plate
connection module
sensor
work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총재
Original Assignee
아이퍼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퍼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퍼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195B1/en
Priority to PCT/KR2022/009385 priority patent/WO202400522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1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6Vertical technical column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Based on body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by ToF sensor information,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can automatically set the height of a monitor installed in the workstation to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a body. By tracking the position of eyeball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in posture while using the workstation, the height of the monitor installed in the workstation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includes a horizontal plate, an inclined plate, a vertical plate, a pair of posts, a flexible connection module, a position recognition sensor, and a control part.

Description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본 발명은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ToF 센서의 정보에 의한 신체인식과 얼굴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개인 조건에 따른 안구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워크스테이션에 설치된 모니터의 거리와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 workstation based on a ToF sensor, and more specifically, based on body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based on information from a ToF sensor, real-time tracking of the eye position according to a user's personal condition, thereby enabling the workstation to It is about a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distance and height of an installed monitor.

일반적으로, 워크스테이션은 착좌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높이에 해당하는 수평 플레이트, 수평면 위에 대향으로 수설되는 지주, 수평 플레이트 위에서 지주 사이에 구성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경사 플레이트, 경사 플레이트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경사 플레이트의 기울기에 따라 높낮이가 수동 조절되는 수직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와 지주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a workstation is in a sitting state, a horizontal plat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arm, a post installed in opposite directions on a horizontal surface, an inclined plate configured between the posts on the horizontal plate and adjustable in angle, and a state seated on the inclined pl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ertical plate whose height is manu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pl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vertical plate and the support.

이때, 경사 플레이트의 경사각이 최적의 경사각을 형성하고 있을 때, 수직 플레이트의 높낮이는 연결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ation plate forms an optimal inclination angle,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vari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따라서, 일정한 길이의 연결대로 구성된 워크스테이션은 해당 사이즈의 워크스테이션에 최적화 된 신체크기의 사용자에게만 적합하게 되며, 신체크기가 다를 경우 수직 플레이트에 설치된 모니터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눈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Therefore, a workstation composed of a connecting rod of a certain length is suitable only for users with a body size optimized for the workstation of the corresponding size, and when the body size is different, the user's eye level looking at the monitor installed on the vertical plate is different, which is inconvenient. will result in

또한, 사용자의 업무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눈높이 또한 달라지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가 설치된 워크스테이션의 수직 플레이트의 높이를 다시 수동으로 맞추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었다.In addition, as the user's working posture changes, the eye level also changes.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man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of the workstation where the monitor is installed, causing inconvenience.

한국등록특허 10-120137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01373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ToF 센서의 정보에 의한 신체인식과 얼굴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개인 조건에 따른 안구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워크스테이션에 설치된 모니터의 거리와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based on body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by ToF sensor information, by tracking the eye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condition in real time, the distance of the monitor installed in the workstation We want to provide an AI workstation based on a ToF sensor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and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은 수평 플레이트(110), 상기 수평 플레이트(110) 상측에 마련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 플레이트(120),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120)의 경사면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플레이트(130), 상기 수직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110)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지주(140), 일단이 상기 지주(14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신축 연결 모듈(150), 사용자 모션을 토대로 사용자의 안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 센서(160) 및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의 센싱 결과를 토대로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의 상하방향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late 110, an inclined plate 120 provided above the horizontal plate 110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the above in an upright state. A vertical plate 130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120, and a pair of posts 140 provided on the horizontal plate 110 while facing each other with the vertical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ing 140,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plate 110, and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the user based on the user's motion Based on the positioning sensor 160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eyeball and the sensing result of the positioning sensor 160,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is adjusted so th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70 t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은 하우징(151), 상기 하우징(151)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인출 바(152) 및 상기 하우징(151) 내측에 마련된 상태에서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인출 바(152)의 일측과 연결된 상태에서 동력을 통해 상기 인출 바(152)의 인출 동작 또는 인입 동작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51, the withdrawal bar 152 provided to be drawn out or drawn in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51 in an outward direction, and the stat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51 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include a motor 153 that provides power so that the withdrawal or withdrawal operation of the withdrawal bar 152 is possible through power in a st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thdrawal bar 152.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는 비행 시간(Time of Flight, ToF)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lization sensor 160 may correspond to a Time of Flight (ToF) sens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얼굴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한 사용자 인식 범위를 설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를 응시하는 초기 눈높이값을 저장하고,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를 응시하는지 여부가 파악되도록 하는 설정부(171),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가 인식되도록 하고, 해당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한 후 안구 위치가 추적되도록 하며, 해당 사용자의 응시 방향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가 파악되도록 하는 센싱부(172) 및 사용자의 동작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의 초기 눈높이값 대비 변경된 눈높이값의 높이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높이차에 상응하도록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70 registers user fac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sets a user recognition range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and allows the user to register the vertical plate A setting unit 171 that stores an initial eye level value for gazing at 13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gazes at the vertical plate 130 through the positioning sensor 160, and the positioning sensor 160 ) to recognize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plate 130, to track the eyeball position after recognizing the user's fac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gaze direction is facing the front. When the sensing unit 172 and the user's motion are change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initial eye level value and the changed eye level value is calculat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and the elastic connection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A driver 173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odule 150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173)는 상기 산출된 높이차를 상기 사용자 얼굴 정보에 함께 저장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상기 높이차를 토대로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73 stores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together with the user's face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based on the height difference at a preset time.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173)는 기 설정된 시간 경과 시, 기 저장된 사용자의 초기 눈높이값에 상응하도록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가 본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73 adjusts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to correspond to the user's initial eye level value stored in advanc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o that the vertical plate 1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can be made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값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상기 조절값을 상기 제어부(170)로 제공하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receives an adjustment valu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input adjustment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A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방법은 수평 플레이트, 경사 플레이트, 수직 플레이트, 한 쌍의 지주, 신축 연결 모듈, 비행 시간(Time of Flight, ToF) 센서에 해당하는 위치 파악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해, 사용자 모션을 토대로 사용자의 안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안구 위치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 플레이트가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경사면을 따라 직립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상하방향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horizontal plate, an inclined plate, a vertical plate, a pair of posts, a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and a Time of Flight (ToF) sensor. In a height adjustment method using a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including a positioning sensor and a control unit,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balls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motion through the positioning sensor,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ed eyeball position is chang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so that the vertical plate moves in an upright stat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so that th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방향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는 설정부에서, 상기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얼굴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한 사용자 인식 범위를 설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를 응시하는 초기 눈높이값을 저장하고, 상기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를 응시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센싱부에서, 상기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가 인식되도록 하고, 해당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한 후 안구 위치가 추적되도록 하며, 해당 사용자의 응시 방향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동작이 변경되는 경우, 구동부에서 상기 위치 파악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초기 눈높이값 대비 변경된 눈높이값의 높이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높이차에 상응하도록 상기 신축 연결 모듈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djusting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o register user fac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and set a user recognition range through the location sensor, in a setting unit, Storing an initial eye level value for gazing at the plat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gazing at the vertical plate through the localization sensor, in a sensing unit,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plate through the localization sensor step of recognizing the user's face,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eyeballs after recognizing the user's 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gaze direction is facing the front, and if the user's motion is changed, the driving unit detects the location Calculat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initial eye level value and the changed eye level value through a sensor,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 연결 모듈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는 구동부에서, 상기 산출된 높이차를 상기 사용자 얼굴 정보에 함께 저장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상기 높이차를 토대로 상기 신축 연결 모듈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 경과 시, 구동부에서 기 저장된 사용자의 초기 눈높이값에 상응하도록 상기 신축 연결 모듈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직 플레이트가 본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is to store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together with the user's face information in the driving unit, and based on the height difference at a preset time,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The step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ep and the step of allowing the vertical plate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to correspond to the initial eye level value of the user pre-stored in the drive unit when a preset time has elapsed.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워크스테이션에 설치된 모니터 높이를 사용자의 안구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세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별 다양한 신체크기에 관계없이 최적의 워크스테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of the monitor installed in the workstation can be set to match the height of the user's eyeball, an optimal workstation can be implemented regardless of various body sizes for each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 중 변동된 사용자의 안구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모니터 높이를 사용자의 안구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워크스테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balls changed during use is tracked in real time, and the height of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user's eyeballs, thereby realizing an optimal work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신축 연결 모듈(15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신축 연결 모듈(150)의 신축 동작을 통해 수직 플레이트(130)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을 통해 수직 플레이트(130)에 설치된 모니터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I workstation 100 based on a ToF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in more detail.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s adjusted through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height of the monitor installed on the vertical plate 130 is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100 in a series order.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is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ovid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I workstation 100 based on a ToF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은 크게 수평 플레이트(110), 경사 플레이트(120), 수직 플레이트(130), 지주(140), 신축 연결 모듈(150), 위치 파악 센서(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late 110, an inclined plate 120, a vertical plate 130, a post 140, and a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a positioning sensor 160, and a control unit 170 may be configured.

먼저, 수평 플레이트(110)는 사용자가 전면에 착좌한 상태에서 팔높이에 상응하도록 위치되며, 후술되는 한 쌍의 지주(140)와 후술되는 경사 플레이트(120)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수평 플레이트(110) 자체에도 상하 방향으로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유압 실린더 장치(미도시) 혹은 공압 실린더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평 플레이트(110) 자체에 랙앤피니언 기어를 바탕으로 한 자동 높이 조절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수평 플레이트(110) 일측에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 버튼(스위치)(미도시)의 조작을 통해 수평 플레이트(110)가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수평 플레이트(110)의 면적과 지주의 면적은 제한되지 않는다.First, the horizontal plate 11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arm height of the user in a seated state in front, and can provide a space for seating a pair of supports 140 described later and an inclined plate 120 described later. have.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a hydraulic cylinder device (not shown) or a pneumatic cylinder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plate 110 itself to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so, in another embodiment, an automatic height adjusting device based on a rack and pinion gear may be provided on the horizontal plate 110 itself. Therefore,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plate 110 can be freely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anipulating a user manipulation button (switch)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110 . Meanwhile, the area of the horizontal plate 110 and the area of the support are not limited.

한 쌍의 지주(140)는 하단이 수평 플레이트(1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를 가진다. 경사 플레이트(120)는 수평 플레이트(110) 상측에서 한 쌍의 지주(140) 사이에 마련되며, 하측 단부가 수평 플레이트(110)에 접한 상태에서 타측 단부는 한 쌍의 지주(14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통해 경사 플레이트(120)의 경사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pair of posts 140 have their lower e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y are stably seated on the horizontal plate 110 . The inclined plate 12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posts 140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110, and the other end is placed up and down between the pair of posts 140 while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te 110.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120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position in the direction.

경사 플레이트(120)의 후측 상단에는 수직 플레이트(130)가 직립된 상태로 경사면을 따라 위치 이동하게 된다.At the rear upper end of the inclined plate 120, the vertical plate 130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in an upright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 플레이트(120)와 수직 플레이트(130)는 서로 대면된 상태의 한 쌍의 지주(140) 사이에 마련되며, 수직 플레이트(130)는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신축 연결 모듈(150)로 한 쌍의 지주(14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이때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가변에 따라, 직립된 상태의 수직 플레이트(130)가 경사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inclined plate 120 and the vertical plate 130 are provided between a pair of posts 140 facing each other, and the vertical plate 130 has at least two or more, preferably four or more extensions. The connection module 1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posts 140.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length variation of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the vertical plate 130 in an upright state is positio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inclined surface. will move

즉,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수직 플레이트(130)는 경사 플레이트(120)의 전면 방향으로 내려오면서 높이가 하강되고, 반대로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수직 플레이트(130)는 경사 플레이트(120)의 후면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높이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is increased,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s lowered while desc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inclined plate 120, and conversely, when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is shortened ,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s increased while going up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inclined plate 120.

이때, 수직 플레이트(130) 상에는 사용자가 시인 가능한 모니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수직 플레이트(130)의 이러한 위치 이동에 따른 높이 변화는 곧 모니터의 높이 변화를 의미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a monitor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plate 130, the change in height due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vertical plate 130 means the change in height of the monitor.

한편, 수직 플레이트(130)의 경우 후술되는 다수 개의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가변되는 경우 수직 플레이트(130)의 직립 각도 또한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ertical plate 130, it may maintain an upright state according to the length change of a plurality of elastic connection modules 150 described later, and in some cases, the length of each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varies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upright angle of the vertical plate 130 may also be changed.

신축 연결 모듈(150)은 일단이 지주(14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수직 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특히 신축 연결 모듈(150)은 그 자체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사 플레이트(120)의 경사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만으로 수직 플레이트(130)의 상하 방향의 높이와 거리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ing 140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plate 110 . In particular, since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coupling module 150 itself can be adjusted, the height and distance of the vertical plate 130 can be changed only by adjusting the length whil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120 is fixed. can This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through FIGS. 2 and 3 .

도 2는 신축 연결 모듈(15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신축 연결 모듈(150)의 신축 동작을 통해 수직 플레이트(130)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s adjusted through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신축 연결 모듈(150)은 하우징(151), 하우징(151) 내측에 마련되며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인출 바(152) 및 인출 바(152)의 인출 혹은 인입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51, the housing 151, and the pull-out bar 152 and the draw-out bar 152 provided to be drawn or pulled out or pulled ou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153 that provides power for retracting operation.

하우징(151)의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151)의 일단이 앞서 살펴본 지주(14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In the case of the housing 151, it has a certain length, and one end of the housing 15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ing 140 discussed above.

인출 바(152)는 하우징(151)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거나 혹은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인출 바(152)의 일단이 수직 플레이트(130)의 측면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pull-out bar 152 is pulled out from the housing 151 or drawn into the inside so that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pull-out bar 15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130 .

따라서, 인출 바(152)가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경우, 신축 연결 모듈(150) 자체 길이가 길어지면서 수직 플레이트(130)가 경사 플레이트(120)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게 되고, 인출 바(152)가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는 경우, 신축 연결 모듈(150) 자체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직 플레이트(130)가 경사 플레이트(120)의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ull-out bar 152 is pulled out in an outward direction, the vertical plate 130 comes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120 as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itself becomes longer, and the pull-out bar 152 When is drawn in the inward direction, the vertical plate 130 ris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120 while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itself is shortened.

한편, 인출 바(152)는 이러한 인출 혹은 인입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3)와 연결되며, 모터(153)는 다시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thdrawal bar 152 is connected to the motor 153 that provides power enabling such a withdrawal or withdrawal operation, and the motor 153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receive power.

모터(153)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인출 바(152)는 하우징(15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모터(153)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인출 바(152)는 하우징(151)으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The pull-out bar 152 can be drawn out of the housing 151 by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153, and the pull-out bar 152 can be drawn into the housing 151 by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53. .

한편, 수직 플레이트(130)의 양측부에 마련된 4개의 신축 연결 모듈(150)이 모두 동일한 길이로 가변되는 경우에는 수직 플레이트(130)가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하측에 마련되는 2개의 신축 연결 모듈(150)이 상측에 마련되는 2개의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대비 더욱 길게 인출되는 경우에는, 수직 플레이트(130)가 상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각도가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측에 마련되는 2개의 신축 연결 모듈(150)이 하측에 마련되는 2개의 신측 연결 모듈(150)의 길이 대비 더욱 길게 인출되는 경우에는, 수직 플레이트(130)가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ur flexible connection modules 15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130 are all variable in the same length, the vertical plate 130 can maintain an upright state, but in one embodiment provided on the lower side When the two elastic connection modules 150 are drawn ou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wo elastic connection modules 150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 inclined angl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vertical plate 130 faces the upper side. Similarly, when the two elastic connection modules 150 provided on the upper side are drawn ou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wo new side connection modules 150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 vertical plate 130 may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side. have.

한편, 신축 연결 모듈(150)은 유압 실린더 장치(미도시) 혹은 공압 실린더 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랙앤피니언 기어를 바탕으로 한 자동 길이 조절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수평 플레이트(110) 일측에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 버튼(스위치)(미도시)의 조작을 통해 신축 연결 모듈(150)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device (not shown) or a pneumatic cylinder device (not shown). In addition, an automatic length adjustment device based on a rack and pinion gear may be provid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flexible connection module 150 may be freely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rough manipulation of a user operation button (switch)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110 .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위치 파악 센서(160)는 사용자 모션을 토대로 사용자의 안구 위치는 물론, 사용자의 안구가 응시하고 있는 응시 지점을 파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1 , the positioning sensor 160 may play a role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user's eyeballs and the gaze point at which the user's eyeballs are gazing based on the user's motion.

이러한 위치 파악 센서(160)는 비행 시간(Time of Flight, ToF)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위치 파악 센서(16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A Time of Flight (ToF) sensor may be applied to the positioning sensor 160,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number of positioning sensors 160 are not limited.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파악 혹은 센싱되는 결과는 제어부(170)로 제공되며, 제어부(170)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수직 플레이트(130)의 상하"??* 높이, 거리 및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The result identified or sensed by the positioning sensor 160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70 automatically adjusts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based on this, thereby moving the vertical plate 130 up and down. "??* Allow height, distance and angle to be adjusted.

제어부(170)는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센싱되는 사용자의 안구 위치, 응시 지점을 토대로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70 automatically adjusts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based on the user's eye position and gaze point sens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설정부(171), 센싱부(172) 및 구동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170 includes a setting unit 171, a sensing unit 172, and a driving unit 173.

설정부(171)는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얼굴 정보를 등록하여 사용자 개개인 별 초기 눈높이값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설정부(171)는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안구 위치를 토대로 사용자가 응시하는 응시 지점을 기준으로 초기 눈높이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171 registers user fac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and stores the initial eye height value for each user. In addition, the setting unit 171 may set an initial eye level value based on a gaze point at which the user gaze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balls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

센싱부(172)는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가 수직 플레이트(130)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지 혹은 자리를 비웠는지 여부가 인식되도록 하고, 또한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 안면 인식을 통한 안구 위치 혹은 응시 지점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응시 방향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지 혹은 타향을 향하고 있는지 여부도 파악하게 된다. 또한, 센싱부(172)는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수직 플레이트(130)를 응시하고 있는지 여부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72 recognizes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plate 130 or is away through the positioning sensor 160, and also recognizes the user's face through the positioning sensor 160. The eyeball position or gaze point can be tracked, and whether the user's gaze direction is facing the front or other direction is also identified. Also, the sensing unit 172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gazing at the vertical plate 130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60 .

구동부(173)는 초기 눈높이값을 토대로 우선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조정하여 수직 플레이트(130)(바람직하게는 수직 플레이트(130)에 설치된 모니터)가 사용자의 응시 높이에 최적화되도록 한다. 이 다음, 사용자의 동작 혹은 자세가 변하여 초기 눈높이 대비 사용자의 응시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 구동부(173)는 초기 눈높이값 대비 변경된 눈높이값에 대한 높이차를 산출하게 되고, 산출된 높이차에 맞게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다시 조정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173 first adjusts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based on the initial eye level value so that the vertical plate 130 (preferably a monitor installed on the vertical plate 130) is optimized for the user's gaze height. Next, when the user's motion or posture changes and the user's gaze height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 eye level, the driving unit 173 calculate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eye level and the changed eye level, and stretches and connect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The length of the module 150 is re-adjusted.

즉, 사용자가 몸을 뒤로 젖히거나 등받이에 더욱 기대어 응시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구동부(173)는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확장(인출 바(152)의 인출)을 유도하여 모니터 높이가 하강하도록 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일어서거나 허리를 세워 응시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구동부(173)는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축소(인출 바(152)의 인입)를 유도하여 모니터 높이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reclines his/her body or leans more against the backrest and the gaze height is lowered, the driving unit 173 induces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withdrawal of the pull-out bar 152) so that the height of the monitor is lowered. Conversely, when the user stands up or raises his/her waist and the height of the gaze increases, the drive unit 173 induces a reduction in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retraction of the pull-out bar 152) so that the height of the monitor rises. .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73)는 앞서 산출된 높이차를 사용자 얼굴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시간에는 해당 저장된 높이차에 맞게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자동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수직 플레이트(130)의 높이가 알아서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driver 173 may store the previously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together with user face information, and at a specific time set by the user, automatically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according to the stored height difference.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73)는 업무 종료와 같이 일정하게 설정된 업무 시간 경과 시에는, 최초 저장된 초기 눈높이값에 상응하도록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직 플레이트(130)가 본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drive unit 173 adjusts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to correspond to the initially stored initial eye level value when the work hours set to a certain extent, such as the end of work, so that the vertical plate 130 is originally You can also make it return to its position.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은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80.

통신부(180)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조절값은 제어부(170)로 제공되며, 제어부(170)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eg, a smart phone, etc.) and may receive an input of an adjustment valu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from the user terminal. The input adjustment value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70, and the controller 170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based on this.

특히, 제어부(170)의 제어를 바탕으로 한 수직 플레이트(130)의 현재 설정 높이 등에 대한 정보는 통신부(180)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피드백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set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can be fed back to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and the user receives this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You can check and understand in real time.

다음으로는, 도 4를 통해 앞서 살펴본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을 통해 수직 플레이트(130)에 설치된 모니터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installed on the vertical plate 130 through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described in order.

도 4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을 통해 수직 플레이트(130)에 설치된 모니터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height of the monitor installed on the vertical plate 130 is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100 in a series order.

도 4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100) 앞에 위치하게 되면 위치 파악 센서(160)는 사용자의 안구 위치 및 응시 위치를 파악하고(S401), 제어부(170)는 파악된 초기 눈높이값을 토대로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수직 플레이트(130)(이에 설치된 모니터 포함)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S402).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100, the positioning sensor 160 determines the user's eyeball position and gaze position (S401), and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e initial eye level. Based on the value,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ncluding the monitor installed thereon) (S402).

만약 사용자의 업무자세가 변경되어 사용자의 응시 높이가 달라지게 되면, 제어부(170)는 다시 달라진 사용자의 응시 높이를 바탕으로 변경된 눈높이값의 높이차를 산출하게 되고(S403), 산출된 높이차에 상응하도록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수직 플레이트(130)의 높이를 재조정하게 된다(S404).If the user's work posture changes and the user's gaze height changes, the controller 170 calculates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changed eye level value based on the user's gaze height that has changed again (S403), and calculates the he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Correspondingly,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s readjusted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S40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
110: 수평 플레이트
120: 경사 플레이트
130: 수직 플레이트
140: 지주
150: 신축 연결 모듈
151: 하우징
152: 인출 바
153: 모터
160: 위치 파악 센서
170: 제어부
171: 설정부
172: 센싱부
173: 구동부
100: ToF sensor based AI workstation
110: horizontal plate
120: inclined plate
130: vertical plate
140: holding
150: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1 housing
152: withdrawal bar
153: motor
160: positioning sensor
170: control unit
171: setting unit
172: sensing unit
173: driving unit

Claims (4)

수평 플레이트(110);
상기 수평 플레이트(110) 상측에 마련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 플레이트(120);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120)의 경사면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플레이트(130);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110) 상에 마련되는 한 쌍의 지주(140);
일단이 상기 지주(14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신축 연결 모듈(150);
사용자 모션을 토대로 사용자의 안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 센서(160); 및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의 센싱 결과를 토대로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의 상하방향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
horizontal plate 110;
An inclined plate 1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110 and provided to enable angle adjustment;
A vertical plate 130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late 120 in an upright state;
A pair of posts 140 provided on the horizontal plate 110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with the vertical plate 130 therebetween;
An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ding 140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plate 130 and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 positioning sensor 160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balls based on the user's motion; and
A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based on the sensing result of the positioning sensor 160; , a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얼굴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한 사용자 인식 범위를 설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를 응시하는 초기 눈높이값을 저장하는 설정부(171);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가 인식되도록 하고, 해당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한 후 안구 위치가 추적되도록 하며, 해당 사용자의 응시 방향이 정면 혹은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를 응시하는지 여부가 파악되도록 하는 센싱부(172); 및
사용자의 동작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위치 파악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의 초기 눈높이값 대비 변경된 눈높이값의 높이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높이차에 상응하도록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부(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170,
Registering user face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localization sensor 160, setting a user recognition range through the localization sensor 160, and storing an initial eye level value at which the user gazes at the vertical plate 130 Setting unit 171 to;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it is recognized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rtical plate 130, and after recognizing the user's face, the eyeball position is tracked, and the user's gazing direction is from the front or a sensing unit 172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gazes at the vertical plate 130; and
When the user's motion is changed,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initial eye level value and the changed eye level value is calculated through the location sensor 160, and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A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comprising a; driving unit 173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73)는,
상기 산출된 높이차를 상기 사용자 얼굴 정보에 함께 저장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상기 높이차를 토대로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고, 또한
기 설정된 시간 경과 시, 기 저장된 사용자의 초기 눈높이값에 상응하도록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직 플레이트(130)가 본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2,
The drive unit 173,
The calculated height differenc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user face information, and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i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the height difference at a preset time, and
When a preset time elapses, the vertical plate 1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connection module 150 to correspond to the user's initial eye level value stored in adv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신축 연결 모듈(15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값을 입력받으며, 입력된 상기 조절값을 상기 제어부(170)로 제공하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oF 센서 기반 AI 워크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A communication unit 180 that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 receives an adjustment valu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connection module 150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input adjustment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Characterized in that,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KR1020220079106A 2022-06-28 2022-06-28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KR102468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106A KR102468195B1 (en) 2022-06-28 2022-06-28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PCT/KR2022/009385 WO2024005228A1 (en) 2022-06-28 2022-06-30 Tof sensor-based ai work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106A KR102468195B1 (en) 2022-06-28 2022-06-28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195B1 true KR102468195B1 (en) 2022-11-17

Family

ID=8423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106A KR102468195B1 (en) 2022-06-28 2022-06-28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8195B1 (en)
WO (1) WO2024005228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474A (en) * 2008-01-17 2009-07-22 임차성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positioning
KR20110112787A (en) * 2010-04-07 2011-10-13 김성윤 Desk for correct body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KR20120084132A (en) * 2011-01-19 2012-07-27 김기홍 Monitor control robot and control methods for preventing herniated cervical disc
KR101201373B1 (en) 2012-03-13 2012-11-14 국방과학연구소 Multi-function console with apparatus for adjusting a displacement of monitor
KR200487423Y1 (en) * 2017-06-16 2018-09-13 정증자 Monitor Mount with Desk
KR20200042666A (en) * 2018-10-16 2020-04-24 (주)아이원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474A (en) * 2008-01-17 2009-07-22 임차성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positioning
KR20110112787A (en) * 2010-04-07 2011-10-13 김성윤 Desk for correct body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KR20120084132A (en) * 2011-01-19 2012-07-27 김기홍 Monitor control robot and control methods for preventing herniated cervical disc
KR101201373B1 (en) 2012-03-13 2012-11-14 국방과학연구소 Multi-function console with apparatus for adjusting a displacement of monitor
KR200487423Y1 (en) * 2017-06-16 2018-09-13 정증자 Monitor Mount with Desk
KR20200042666A (en) * 2018-10-16 2020-04-24 (주)아이원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228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8965B2 (en) Robot
CN113076780B (en) Intelligent mirror for body building
CN107270605B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21838A1 (en) Kiosk hav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CN107870424A (en) Adjustable virtual realit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display module
CN105128773B (en) Driving vision automatic regulating system
KR20090079474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isplay positioning
KR20130004824A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1266232B2 (e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system
KR102468195B1 (en)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WO2019193057A1 (en) Handset for controlling a support device or a movable surface
KR101883306B1 (en) Massage Chair Capable of Massaging Front Side of Body
US20090095868A1 (en) Supporting arrangement for a presentation device
US8588978B2 (en) Robot
JP5636610B2 (en) Chair massage machine
CN210323945U (en) Automatic supporting and adjusting notebook computer
EP1596687B1 (en) Supporting arrangement for a presentation device
CN215993344U (en) Intelligent control seat
KR101961354B1 (en) Smart apparatus for correcting and training of sitting posture
CN212088907U (en) Intelligent bed screen with driving mechanism
CN219500742U (en) Rotary child seat with breathing lamp
CN207768630U (en) wheelchair
CN108041874A (en) It is a kind of can pre- preventing cervical spondylosis office chair
KR101529303B1 (en) Bidet device
CN114948487B (en) Programmable control nursing bed with protec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