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62B1 - 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162B1
KR102306162B1 KR1020170035268A KR20170035268A KR102306162B1 KR 102306162 B1 KR102306162 B1 KR 102306162B1 KR 1020170035268 A KR1020170035268 A KR 1020170035268A KR 20170035268 A KR20170035268 A KR 20170035268A KR 102306162 B1 KR102306162 B1 KR 10230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blocking device
area
rob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6632A (en
Inventor
이창현
우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62B1/en
Publication of KR2018010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6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1/00Application
    • G05D2201/02Control of position of land vehicles
    • G05D2201/0217Anthropomorphic or bipedal robot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객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상기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경우,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의 정보를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to set a blocking area and a robot implementing the same. Sensing an object placed outside of setting an area, and the control unit storing the blocking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blocking area in a map storage unit.

Description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A method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to set a blocking area and a robot implementing it

본 발명은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to set a blocking area and a robot implementing the same.

공항, 학교, 관공서, 호텔, 사무실, 공장, 체육관, 공연장과 같은 문화시설 등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발생하는 공간에서 로봇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체 공간에 대한 맵을 가져야 한다. 한편, 맵은 일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며, 해당 공간에서는 동적으로 로봇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이 공간 운영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In order for the robot to operate in a space wher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ctively occur, such as cultural facilities such as airports, schools, government offices, hotels, offices, factories, gyms, and performance halls, it is necessary to have a map of the entire space. On the other hand, the map is created based on a certain point in time, and in some cases, dynamically blocking the entry of a robot in the space is helpful in space operation.

특히, 공항이나 항만, 기차역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이동하는 공간에서는 사람들의 이동의 편의를 위해 혹은 특정 공간의 진입을 금지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을 배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동적으로 배치되므로 로봇이 이를 맵을 통해서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로봇은 주행 과정에서 로봇의 주행 경로를 변경하거나 혹은 진입이 차단되는 공간을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로봇은 사람들과 충돌하거나 수리 또는 보수 중인 영역에 진입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로봇이 진입이 차단된 영역을 식별하고 이를 분석하여 로봇이 이동하는 방안을 시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in a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move, such as an airport, a port, or a train station, various devices can be arranged for the convenience of people or to prohibit entry into a specific space. In some cases, this cannot be confirmed through the map.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for the robot to change the traveling path of the robot or to identify a space where entry is block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Otherwise, the robot may have problems colliding with people or entering the area being repaired or refurbish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ttempt is made to identify an area where the robot is blocked from entering and analyze it to propose a method for the robot to move.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봇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는 차단 장치들을 식별하고 이를 회피하거나 차단 장치들이 배치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맵 상에 저장하고 이를 회피하여 주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blocking devices disposed on the path of the robot are identified and avoided, or information about the area where the blocking devices are disposed is calculated and stored on the map, and it is avoided and drive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로봇이 진입이 차단된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 차단 장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유지하며 비전 센싱부, 뎁스 센싱부 및 기타 센싱부들을 이용하여 차단 장치들의 물리적 특징들을 확인하여, 이러한 특징들이 센싱될 경우 차단 영역으로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is maintained in a database to check the area where the robot is blocked from entering,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ocking devices are checked using a vision sensing unit, a depth sensing unit, and other sensing units. ,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a blocking area when these features are sensed,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객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상기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경우,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의 정보를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nd setting a bloc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of a robot sensing an object disposed outside the robot; checking whether the object is a blocking device,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setting a blocking area based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storing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in a map storage unit including storing it i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로봇은 로봇의 주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부, 외부에 배치된 객체를 센싱하는 차단장치 감지부,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경우, 상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포함한다. A robot for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nd setting a blocking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unction of the robot, a blocking device sensing unit sensing an object disposed outside, and a blocking device sensing unit When the object is a blocking devi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blocking area based on the blocking device, and a map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로봇은 대면적의 공간에서 다양하게 배치되는 차단 장치들을 비전 센싱부 및 뎁스 센싱부, 또는 선택적으로 라이다 센싱부와 적외선 센싱부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이들 차단 장치들이 군집하여 배치된 경우 해당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하여 해당 로봇 및 다른 로봇들이 차단 영역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e robot can identify blocking devices that are variously arranged in a large-area space using a vision sensing unit and a depth sensing unit, or optionally a lidar sensing unit and an infrared sensing unit, When these blocking devices are disposed in a group,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set as the blocking area, and the robot and other robots may be controlled to avoid the blocking area and ru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로봇이 차단 장치들이 가지는 물리적 특징들을 확인하는 센서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차단 장치 및 차단 영역의 물리적 특징 및 위치적 특징을 센싱하여 로봇이 차단 장치나 사람들과 충돌하지 않고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bove-described robot provides a sensor and a database that confirm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ocking devices, and uses them to sense the physical and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so that the robot can interact with the blocking device or people. It allows you to drive without crashing.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deriv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들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을 구성하는 차단장치 감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구성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 감지부(100)가 외부의 객체를 판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가이드라인형 차단봉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진입 금지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 영역들을 맵 상에 등록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차단장치를 감지한 경우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들이 군집된 형태인 경우,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로봇들 사이에서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의 뎁스에 따라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차단 영역으로 설정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영역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s of block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constituting 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determines an exter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guideline-type blocking rod.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an entry prohibited area.
8 is a diagram in which blocking areas are registered on a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sets a bloc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blocking area when the robot detects a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blocking area when blocking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rouped.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 blocking device and a blocking area between a plurality of rob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setting a blocking area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confirming a movable area in a space in which 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as a blocking area.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

이하,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특정한 목적(청소, 보안, 모니터링, 안내 등)을 가지거나 혹은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의 특성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며 이동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로봇은 소정의 정보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보유하며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robot includes a device that moves while having a specific purpose (cleaning, security, monitoring, guidance, etc.) or provid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which the robot moves. Accordingly, a robo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a device that has a moving means that can move us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a sensor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function.

본 명세서에서 로봇은 맵을 보유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맵은 공간에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고정된 벽, 계단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로봇은 맵 위에 별도의 객체들에 대한 정보를 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은 진입이 차단되는 것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일시적으로 진입이 차단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정보는 동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robot can move while holding the map. The map refers to information about fixed walls, stairs, etc. that have been confirmed not to move in space. In addition, the robot can dynamically store information on separate objects on the map.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blocking access to a specific area may also be stored. Since such information is temporarily blocked from entering, information about it may be dynamically s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들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항, 학교, 관공서, 호텔, 사무실, 공장, 체육관, 공연장과 같은 문화시설(이하 "대면적 유동인구 공간"라 한다)에서는 사람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이동을 위해 11에서 지시되는 차단장치(일명 차단봉)가 배치될 수 있다. 11은 가이드라인(11c)이 두 개의 차단봉(11a, 11b)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s of block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ultural facilities such as airports, schools, government offices, hotels, offices, factories, gymnasiums, and performance hal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rge-area floating population space"), the blocking device (a.k.a. blocking rod) indicated in 11 for the safe and rapid movement of people can be placed. 11 is a shape in which the guide line 11c connects between the two blocking rods 11a and 11b.

또한, 대면적 유동인구 공간에서는 수리 또는 보수 작업이 항상 진행 중이므로, 사람들의 진입을 방지하는 12 또는 13과 같은 표지판이 배치될 수 있다. 12 또는 13은 일정한 각도(예를 들어 예각)로 펼쳐져 배치되며, 전면에서 확인되는 형상과 측면에서 확인되는 형상이 상이한 경우이다. In addition, since repair or maintenance work is always in progress in a large floating population space, signs such as 12 or 13 to prevent people from entering may be placed. 12 or 13 is a case in which the shape confirm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shape confirmed from the side are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it is arranged spread out at a certain angle (eg, an acute angle).

전술한 바와 같이 대면적 유동인구 공간의 구역별 변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차단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은 이를 판별하여 주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blocking devices may be disposed according to the change situation for each zone of the large-area floating popu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robot to discriminate and drive.

이를 위해 로봇은, 차단장치를 식별하는 방안, 차단장치가 군집하였는지를 식별하는 방안, 차단장치들의 배치를 통해 진입 불가한 영역을 산출하는 방안, 차단장치들의 배치를 통해 진입 불가한 영역 중 진입 가능한 영역을 선별하는 방안, 그리고 이들 영역에 대한 정보를 맵에 업데이트 하거나 혹은 다른 로봇들에게 제공하는 방안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To this end, the robot uses a method for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 method for identifying whether the blocking devices are clustered, a method for calculating an area that cannot be entered through arrangement of blocking devices, and an area that can be entered from among the areas that cannot be enter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blocking device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ethod of selecting a robot, and a method of updating the information on these areas on the map or providing it to other robots. Let's look at this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을 구성하는 차단장치 감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차단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 차단장치를 이미지로 센싱하는 비전 센싱부(120), 차단장치를 뎁스로 센싱하는 뎁스 센싱부(130), 그리고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와 센싱부들(120, 130)을 제어하며, 새로이 확인된 차단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술한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하는 감지 제어부(15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constituting 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includes a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 vision sensing unit 120 for sensing the blocking device as an image, and a depth sensing unit 130 for sensing the blocking device as a depth. ), and a detection control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and the sensing units 120 and 130,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newly identified blocking device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as described above. do.

한편, 이외에도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외부의 객체를 센싱하기 위한 다수의 보조 센싱부들(141, 149)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Lidar)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전술한 보조 센싱부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보조 센싱부들 및 전술한 비전 센싱부(120), 뎁스 센싱부(130)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로봇이 이동하기 위해 주변의 객체를 센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sensing units 141 and 149 for sensing an external object. A lidar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etc. may constitute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sensing units. These auxiliary sensing units, and the aforementioned vision sensing unit 120 and depth sensing unit 130 may be used to sense a surrounding object in order for the robot to move by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차단장치의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로 비전 센싱부(120)에서 산출한 이미지가 차단장치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차단장치의 전면, 후면, 측면 등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는 뎁스 센싱부(130)에서 산출한 뎁스 데이터가 차단장치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차단장치의 전면, 후면, 측면 등에 대한 뎁스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로봇은 다른 로봇 혹은 다른 시스템에서 생성한 정보를 수신하여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stores various information of the blocking device. In one embodiment, image information on the front, rear, side, etc. of the blocking device may be stored so that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image calculat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corresponds to the blocking device.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stores depth information on the front, rear, side, etc. of the blocking device so that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depth data calculated by the depth sensing unit 130 corresponds to the blocking device. can The robot may receive information generated by another robot or another system and store it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

또한, 비전 센싱부(120)가 센싱한 차단장치들 중에서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되지 않은 새로운 외관을 가지는 차단장치는 로봇이 근접하여 차단장치를 센싱할 수 있다. 즉, 비전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가 정밀하게 센싱하여 센싱한 정보들을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하여 추후 로봇이 이동시 동일한 외관의 차단장치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Also, among the blocking devices sens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 a blocking device having a new appearance that is not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may be detected by the robot in proximity to the blocking device. That is,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precisely sense and store the sensed information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so that the robot can sense the blocking device of the same appearance when the robot moves later.

비전 센싱부(120)는 로봇의 주변의 객체들을 촬영하여 이미지로 산출한다. 비전 센싱부(120)가 촬영한 이미지 정보 중에서 차단장치와 유사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감지 제어부(150)는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이미지들과 비교할 수 있다. The vision sensing unit 120 captures objects around the robot and calculates them as images. When the degree of similarity to the blocking device among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the detection control unit 150 may compare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with images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

마찬가지로 뎁스 센싱부(130) 역시 로봇의 주변의 객체들의 뎁스를 산출한다. 특히 비전 센싱부(120)가 촬영한 이미지들 중에서 차단장치와 유사도가 높은 객체를 중심으로 뎁스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이미지 정보와 뎁스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제어부(150)는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뎁스 정보와 외부 객체의 뎁스 정보를 비교하여 차단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Similarly, the depth sensing unit 130 also calculates depths of objects around the robot. In particular, depth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centering on an object having a high similarity to the blocking device among images captur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corresponding image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may be combined. In addition, the sensing control unit 150 may identify the blocking device by comparing the depth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with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external object.

또한, 로봇은 이동이 가능하므로, 외부의 객체와 차단장치 사이의 일치도가 유효 범위에 속하지만 높지는 않은 경우, 외부 객체 주변을 이동하며 전술한 비전 센싱부(120)와 뎁스 센싱부(130)가 외부 객체에 대한 이미지 및 뎁스 정보를 산출하여 다시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이미지 및 뎁스 정보들과 비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bot is movable, when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external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is within the effective range but is not high, it moves around the external object and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described above. may calculate the image and depth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object and compare it with the image and depth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again.

이하, 로봇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결합하여 대면적 유동인구 공간에서 로봇이 차단장치를 식별하고 이에 따라 주행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identifies a blocking device in a large-area floating population space in combination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robot and changes the driving path accordingly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구성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봇(1000)은 외부에 배치된 객체를 센싱하는 차단장치 감지부(100), 맵을 저장하는 맵 저장부(200), 로봇의 주행 기능을 제공하는, 즉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부(300), 로봇의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400), 다른 로봇과 차단장치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이러한 차단장치로 인해 진입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00),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900)로 구성된다. The robot 1000 includes a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100 for sensing an object disposed outside, a map storage unit 200 for storing a map, and a mo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unction of the robot, that is,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obot ( 300), a function unit 400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robot, a communication unit 50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blocking device with another robot or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an area that cannot be entered due to such a blocking device, and these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900 that controls the components.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앞서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맵 저장부(200)는 로봇이 이동하는 공간에 어떠한 고정/이동 객체들이 배치되는지, 혹은 어떤 장애물들이 배치되는지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된다. 맵 저장부(200)에는 고정/이동 객체들의 위치와 이들이 가지는 특성 정보(고정성에 대한 정보, 객체의 물질적 특성 정보들도 저장될 수 있다.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100 is the same as previously described in FIG. 2 . The map storage unit 200 stores information on which fixed/moving objects are arranged in a space in which the robot moves, or which obstacles are arranged. The map storage unit 200 may also store locations of fixed/moving objects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xedness, and materi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objects) that they have.

제어부(900)는 전술한 차단장치 감지부(100)가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경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차단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다양한 실시예에서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When the object sensed by the above-described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is a blocking device, the control unit 900 may set a blocking area based on the blocking device. This will look at the process of setting the blocking area in various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맵 저장부(200)는 고정 객체들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의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map storage unit 200 stores not only information on fixed objects, but also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이동부는 바퀴와 같이 로봇(1000)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로봇(1000)을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부(900)는 맵 저장부(200)에 저장된 영역에서 로봇(10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부(300)에 이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단장치 감지부(100)에서 센싱한 외부의 차단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900)가 분석하여 진행 방향에 진입이 불가한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이동부(3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oving unit is a means for moving the robot 1000 like a wheel, and moves the robot 10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0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900 may provide a movement signal to the moving unit 300 by check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1000 in the area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20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900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external blocking device sensed by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rea that cannot be entered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n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300 . can do.

기능부(400)는 로봇의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소 로봇인 경우 기능부(400)는 청소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안내 로봇인 경우 기능부(400)는 안내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보안 로봇인 경우 기능부(400)는 보안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기능부(400)는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unction unit 400 means providing a specialized function of the robo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leaning robot, the functional unit 400 includes components necessary for cleaning. In the case of a guide robot, the functional unit 400 includes components necessary for guidance. In the case of a security robot, the functional unit 400 includes components necessary for security. The function unit 40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provided by the robo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로봇이 차단장치를 감지하고 이들 차단장치들이 다수 배치된 경우, 로봇이 진입하지 못하는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여 주행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robot detects a block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these blocking devices are disposed, a process of driving by separately setting an area that the robot cannot enter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 감지부(100)가 외부의 객체를 판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determines an exter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봇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차단장치 감지부(100)가 주변에 배치된 객체를 감지한다(S410). 일 실시예로, 비전 센싱부(120)와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도 1에서 예시적으로 살펴본 차단장치(이동식 차단봉, 가이드라인, 진입 금지 안내판 등)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객체가 감지되면 감지 제어부(150)가 감지된 객체를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객체 정보들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S420). In the process of the robot traveling,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detects an object disposed in the vicinity (S410).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includes detecting the blocking device (movable blocking rod, guideline, entry prohibition sign, etc.) exemplarily shown in FIG. 1 using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 When an object is detected, the detection control unit 150 compares the detected object with obj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to calculate a similarity (S420).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비전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가 감지한 객체의 정보와, 로봇의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정보들을 비교하여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서 차단장치의 모양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차단장치의 뎁스를 기준으로 차단장치의 모양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객체의 크기와 형상 등에 기반하여 기존에 저장된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의 객체 정보들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In more detail,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ns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with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of the robot,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is shape can be recognized. And, the shape of the blocking device may be recognized based on the recognized depth of the blocking device. Based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recognized object, the degree of similarity is calculated by comparing it with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산출된 유사도가 차단장치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인 "Sim_Blocking_Factor1"보다 큰 경우, 인식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것으로 확인하고 해당 차단장치의 위치를 확인한다(S440). 이는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보조 센싱부들(141, 149)을 이용하여 차단장치와의 거리 또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제어부에게 차단장치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450). 제어부는 차단장치의 위치에 따라 주행 경로를 변경하고(S460), 차단장치에 대해 장애물 회피 동작 시나리오로 동작한다(S47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culated similarity is similar to the blocking device, for example, when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the preset standard “Sim_Blocking_Factor1”, the recognized object is identified as the blocking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blocking device is checked (S440) ). This may use the depth sensing unit 130 . Alternatively, a distance or location from the blocking device may be checked using a plurality of auxiliary sensing units 141 and 149 . And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1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locking device to the control unit (S450).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riving rout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blocking device (S460), and operates as an obstacle avoidance operation scenario for the blocking device (S470).

한편, S430에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인 "Sim_Blocking_Factor1"보다 작지만, "Sim_Blocking_Factor2"보다 큰 경우(S432), 감지 정확도를 높여 해당 객체를 감지한다(S434). 감지 정확도를 높이는 것은 로봇이 해당 객체로 가까이 이동하거나, 혹은 해당 객체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다각도로 해당 객체의 형상, 색상 등을 비전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된 결과에 대해 다시 S420 단계에서 유사도를 산출하여 후속 과정을 진행한다. Meanwhile, in S430, when the similarity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Sim_Blocking_Factor1" but greater than "Sim_Blocking_Factor2" (S432), the object is detected by increasing the detection accuracy (S434).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the robot moves close to the object or moves around the object so that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can detect the shape, color, etc. of the object from multiple angles. do. With respect to the detected result, a similarity is calculated again in step S420, and a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만약, S430에서 유사도가 "Sim_Blocking_Factor2"보다 작은 경우에는 차단장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로봇은 주행을 계속할 수 있다(S436).If the degree of similarity is smaller than "Sim_Blocking_Factor2" in S43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locking device and the robot can continue driving (S436).

여기서 Sim_Blocking_Factor1 과 Sim_Blocking_Factor2 는 하기와 같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Here, Sim_Blocking_Factor1 and Sim_Blocking_Factor2 may maintain the following relationship.

Sim_Blocking_Factor1 > Sim_Blocking_Factor2 Sim_Blocking_Factor1 > Sim_Blocking_Factor2

여기서 Sim_Blocking_Factor1 및 Sim_Blocking_Factor2 는 로봇이 차단장치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변경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새로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Sim_Blocking_Factor1가 90%이며 Sim_Blocking_Factor2는 60%일 수 있다. 로봇이 센싱한 객체의 정보와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감지 제어부(150)가 비교한 결과 유사도가 90% 이상인 경우에는 차단장치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로봇이 센싱한 객체의 정보와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감지 제어부(150)가 비교한 결과 유사도가 90% 이하이지만 60% 이상인 경우에는 보다 정밀한 센싱을 통해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이 경우 로봇은 이동하여 객체를 정확하게 센싱하거나 혹은 다른 각도에서 센싱하거나, 혹은 다른 보조 센싱부들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Here, Sim_Blocking_Factor1 and Sim_Blocking_Factor2 may be changed while the robot detects a blocking device or may be set to new values from the outside. In an embodiment, Sim_Blocking_Factor1 may be 90% and Sim_Blocking_Factor2 may be 60%. When the detection control unit 150 compare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nsed by the robot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and the degree of similarity is 90% or more, the blocking device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control unit 150 compares the object information sensed by the robot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and the similarity is less than 90% but greater than 60%, additional confirmation is required through more precise sensing. do. In this case, the robot may move to accurately sense the object or sense it from a different angle, or may additionall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by using other auxiliary sensing units.

도 1에서 살펴본 차단장치들은 두 가지의 부류로 나뉘어질 수 있다. 11과 같이 차단봉(11a, 11b)과 가이드라인(11c)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그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운 경우, 그리고 12 및 13과 같이 11과 비교할 때 그 형상이 고정된 경우로 나뉘어질 수 있다. The blocking devices shown in FIG. 1 may be divided into two classes. As shown in 11, the blocking rods 11a, 11b and the guide line 11c are selectively arranged and the shape is free from deformation, and as shown in 12 and 13, when the shape is fixed compared to 11, it can be divided.

도 1의 11과 같은 차단장치를 가이드라인형 차단봉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가이드라인형 차단봉은 사람들의 진입을 막거나 혹은 특정 공간 내에서 사람들이 줄을 설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11과 같은 가이드라인형 차단봉을 인식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A blocking device as shown in 11 of FIG. 1 is called a guideline-type blocking rod, and such a guideline-type blocking rod may be disposed to prevent people from entering or to allow people to line up in a specific space. Therefore,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guideline-type blocking rod as shown in 11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가이드라인형 차단봉을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가이드라인 형태의 차단장치는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차단봉(11a, 11b) 및 가이드라인(11c)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라인(11c)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guideline-type blocking rod. The guideline type blocking device is composed of blocking rods 11a and 11b and a guideline 11c as shown in FIG. 1 . The guideline 11c may be selectively disposed.

도 4의 S410단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Step S410 of FIG. 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주행 과정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차단봉을 감지한다(S411). 비전 센싱부(120)가 감지한 차단봉의 형상을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와 비교한다(S412). 여기서는 도 4의 S420과 달리 일차적인 비교를 의미한다. 차단봉이 가지는 형상, 예를 들어 세로 막대형에 아래쪽에 원반 같은 형상이 배치되는 구조에 기반하여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정보들과 비교할 수 있다.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of the robot detects two or more blocking rods disposed in the front during the driving process (S411). The shape of the blocking rod detect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is compared with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S412). Here, unlike S420 of FIG. 4 , it means a primary comparison. It can be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based on the shape of the blocking rod,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shape such as a disk is disposed below a vertical bar type.

그리고 뎁스 센싱부(130)는 차단봉의 뎁스 정보를 산출한다(S413). 뎁스 정보의 산출은 감지된 차단봉이 두 개이지만 두 개의 크기가 상이할 때, 이들이 정면에서 감지된 것인지 측면에서 감지된 것인지 등 객체가 배치된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가이드라인(11c)이 차단봉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뎁스 센싱부(130) 또는 비전 센싱부(120)가 센싱한다(S414).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calculates depth information of the blocking rod (S413). The calculation of the depth information includes calculating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disposed, such as whether the detected blocking rods are two but different in size, whether they are detected from the front or from the side. Also, the depth sensing unit 130 or the vision sensing unit 120 senses whether the guide line 11c is disposed between the blocking rods (S414).

전술한 과정들을 통해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와 비교할 수 있는 차단봉의 정보(형상, 뎁스, 색상 등)를 산출하면(S415), 도 4의 S420 단계로 진행한다. If information (shape, depth, color, etc.) of the blocking rod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is calcul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 S415 ),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20 of FIG. 4 .

이후 도 4의 S460 과정에서 로봇은 차단봉 사이에 가이드라인이 없는 경우라도, 혹은 가이드라인이 로봇이 통과할 수 있는 높이라 하여도 차단봉이라는 차단장치가 배치된 공간이므로 차단봉 전체를 하나의 차단장치로 식별하여 주행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Afterwards, in the process S460 of FIG. 4 , even if there is no guideline between the blocking rods, or even if the guideline is at a height that the robot can pass, since the blocking device called the blocking rod is a space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is disposed, the entire blocking rod is used as a blocking device. It can be identified and the driving route can be chang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12 또는 13과 같은 차단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12 또는 13은 전면에서의 차단장치의 형상과 측면에서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로봇은 감지된 차단장치의 형상을 전면부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such as 12 or 13 of FIG. 1 . 12 or 13 of FIG. 1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blocking device at the front and the shape at the side. Accordingly, the robot can convert the detected shape of the blocking device into a front image.

먼저,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주행 과정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객체를 감지한다(S611). 비전 센싱부(120)가 감지한 객체의 이미지를 전면부 이미지로 변환한다(S612). 예를 들어 로봇이 객체의 전면이 아닌 비스듬한 위치에 있는 경우 객체의 비스듬하게 감지된 이미지를 전면부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환한 전면부 이미지가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와 비교할 만큼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확인한다(S613). First,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of the robot detects an object disposed in the front during the driving process (S611). The image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is converted into a front image (S612). For example, if the robot is in an oblique position instead of in front of the object, the obliquely detected image of the object can be converted into an image of the front side.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verted front image provides enough information to compare with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S613).

이는 객체의 측면에 로봇이 배치될 경우 전면부 이미지를 정확하게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와 객체의 정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로봇이 배치된 경우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전면부 이미지가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와 비교할만큼 충분하게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로봇이 이동하여 객체의 다른 면을 비전 센싱부(120)가 감지한다(S614). 이후, S612 과정과 같이, 비전 센싱부(120)가 새로이 감지한 객체의 이미지를 전면부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후 S613 과정을 진행한다. 그 결과 충분히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이면, S616으로 진행하여 전면부 이미지에서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와 비교할 수 있는 차단장치의 정보를 산출한다(S615). This is to distinguish between a case in which a front image cannot be accurately generated when the robot is placed on the side of an object and a case in which the robot is plac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front of the object. In the former case, since the front image does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to compare with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the robot moves and the vision sensing unit 120 detects the other side of the object (S614). Thereafter, as in the process S612, the vision sensing unit 120 converts the image of the newly sensed object into the front image, and then proceeds to the process S613. As a result, if sufficient information is provided, it proceeds to S616 and calculates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in the front image (S615).

한편,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는 미리 차단장치들의 다양한 방향에서 획득된 정보(이미지 정보, 뎁스 정보 등)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전면부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stores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depth information, etc.) acquire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blocking devices in advanc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blocking device into a front image may be omitted.

도 4 내지 6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 to 6 are summarized as follows.

객체를 센싱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장치 감지부(100)의 비전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객체의 이미지 정보 또는 뎁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the process of sens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y one or more of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of the blocking device sensing unit 100 calculates any one or more of image information or depth information of the object. includes the process of

또한,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지 확인하는 과정은 S420 내지 S43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정보 또는 뎁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정보들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S420 to S430,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nsed object is a blocking device compares any one or more of image information or depth information with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10 to calculate the similarity. include

특히, 차단장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S420) 이후에 유사도가 불명확한 불명확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에서 유사도의 범위가 Sim_Blocking_Factor1 보다는 작지만 Sim_Blocking_Factor2 보다는 큰 범위에 속하는 경우, 감지 정확도를 높여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S434). 일 실시예로, 객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제어부(900)는 이동부(300)를 제어하여 객체와의 거리 또는 각도를 달리하도록 로봇(1000)을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에서 차단장치 감지부(100)가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를 보다 가까이서, 혹은 다른 각도에서 객체의 다양한 형상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객체가 차단장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blocking device, if the similarity falls within an ambiguous range in which the degree of similarity is unclear after calcula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S420), for example, the range of similarity in FIG. 4 is smaller than Sim_Blocking_Factor1 but larger than Sim_Blocking_Factor2. If it belongs, the object may be detected by increasing the detection accuracy (S434). In one embodiment,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ct an object, the controller 900 controls the moving unit 300 to move the robot 1000 to change a distance or angle with the object, and detects a blocking device at the moved position. The unit 100 may detect an object. In this case, since various shapes of the object can be detected closer to the object or from different angle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blocking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진입 금지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맵 저장부에 저장되는 맵(210)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ting an entry prohibited area. 7 shows an embodiment of the map 210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먼저 맵(21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맵은 로봇(100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맵은 전체 공간을 세분화된 단위 영역으로 나누어 단위 영역에 고정 객체가 배치되어 있는지, 혹은 차단장치가 배치되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일정한 공간을 가로(x 축) 및 세로(y 축)으로 20개씩 나누어 구획되어 있다. 각 셀이 검은 색으로 표시된 것은 고정 객체가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각 셀은 일정한 크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맵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일정한 단위 영역(셀)으로 나누어 각 단위 영역에 고정된 객체가 존재하는지, 차단장치가 배치되어 있는지, 혹은 차단 영역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First, the map 210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map means information about a space in which the robot 1000 can move. The map divides the entire space into subdivided unit areas and stores information on whether a fixed object or a blocking device is disposed in the unit area. In the case of FIG. 7 , a predetermined space is divided by 20 horizontally (x-axis) and vertically (y-axis). When each cell is displayed in black, it means that a fixed object is placed. Each cell can store information of a certain size. That is, the map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is divided into a certain unit area (cell) as shown in FIG. 7 to determine whether a fixed object exists in each unit area, whether a blocking device is disposed, or whether a blocking area exists. information can be stored.

또한, 맵 저장부(200)는 고정 객체뿐만 아니라 1 또는 2와 같이 차단장치도 저장할 수 있다. Also, the map storage unit 200 may store not only a fixed object but also a blocking device such as 1 or 2.

도 7에서 (4, 13)~(9, 13)에 이르는 일직선 및 (4, 5)~(6,5), (6, 5)~(6,10), (6, 10)~ (9, 10)에 이르는 선은 모두 도 1의 11과 같은 차단장치가 로봇에 의해 감지되어 맵 상에 "1"로 표시된 형태이다. In FIG. 7, a straight line from (4, 13) to (9, 13) and (4, 5) to (6,5), (6, 5) to (6,10), (6, 10) to (9) , 10) are all marked as "1" on the map by the blocking device as shown in 11 of FIG. 1 detected by the robot.

한편, (16, 12)에는 도 1의 12와 같은 차단장치가 로봇에 의해 감지되어 맵 상에 "2"로 표시된 형태이다. On the other hand, at (16, 12), the blocking device as shown in 12 of FIG. 1 is detected by the robot and is displayed as "2" on the map.

또한, (14, 4)에는 도 1의 13과 같은 차단장치가 로봇에 의해 감지되어 맵 상에 "3"으로 표시된 형태이다. In addition, at (14, 4), the blocking device as shown in 13 of FIG. 1 is detected by the robot and marked as "3" on the map.

도 7과 같은 구성에서, 로봇은 한 칸의 셀의 공간이 있으면 충분히 진입할 수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710으로 지시되는 영역에도 로봇이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맵 상에 "1"로 표시된 차단장치들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이들이 고정객체들과 함께 폐곡선을 구성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구성이 주변 공간과 구분 짓는 차단장치인 경우에는 로봇은 710이라는 공간에 대해 진입하지 않고 진입 불가한 영역, 즉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 the robot is in a situation in which it can sufficiently enter if there is a space of one cell. Accordingly, the robot may also enter the area indicated by 710 . However, if the blocking devices marked with “1” on the map form a closed curve together with fixed object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arrangement, or if their configuration is a blocking device that distinguishes the surrounding space from the surrounding space, the robot is It is set as an area that cannot be entered without entering, that is, a blocked area.

마찬가지로, (14, 4)에 배치되는 차단장치("3"으로 표시)에 대해서도 로봇이 두 개의 고정 객체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720)에 충분히 진입은 할 수 있으나 차단장치가 출입구에 배치된 경우 720이 지시하는 공간에 대해서는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Similarly, even with respect to the blocking device (indicated by “3”) disposed at (14, 4), the robot can sufficiently enter the space 720 disposed between the two fixed objects, but when the blocking device is disposed at the doorway The space indicated by 720 is set as a blocking area.

반면, (16, 12)에 배치되는 차단장치는 하나만 배치되어 있으며 주변에 다른 고정 객체가 없는 상태이다. 이는 해당 차단장치의 주변에 진입을 금지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로봇은 차단장치가 배치된 셀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만큼의 간격을 유지하고 차단 영역(75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750에서 지시되는 영역은 차단장치가 배치된 셀에서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1칸의 셀 크기만큼 떨어진 영역까지 진입하지 않는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로봇이 보조 센싱부들을 이용하여 바닥의 재질을 센싱하고, 차단장치의 주변에서 바닥의 재질이 변경되는 영역들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only one blocking device disposed at (16, 12), and there are no other fixed objects around. This can be regarded as a situation that can prohibit entry into the vicinity of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ly, the robot can set the blocking area 750 while maintaining an interval by a certain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ell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is disposed. In this case, as an embodiment, the area indicated at 750 is set as a blocking area that does not enter into an area separated by a cell size of one cell in the vertical,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from the cell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is disposed. In another embodiment, the robot may sense the material of the floor using auxiliary sensing units, and may set areas in which the material of the floor is changed around the blocking device as the blocking area.

도 7과 같이 로봇이 차단장치를 식별한 후, 일시적으로 진입이 불가능한 셀들을 차단 영역으로 맵 상에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After the robot identifies the blocking device as shown in FIG. 7 , cells that are temporarily unable to enter can be separately displayed on the map as a blocking are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 영역들을 맵 상에 등록한 도면이다. 도 7의 구성에서 710, 750, 720으로 지시되는 셀들에 "9"라는 값을 설정한다. 이 값은 미리 약속된 값으로, 인접한 차단장치들이 그대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진입하지 않는 것으로 맵 상에 등록한 것을 의미한다.8 is a diagram in which blocking areas are registered on a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 a value of “9” is set in the cells indicated by 710, 750, and 720. This value is a predefined value and means that it is registered on the map as not entering when adjacent blocking devices are placed as they are.

도 7 및 도 8에서 특정한 차단장치, 고정 객체, 그리고 일시적으로 진입이 불가한 차단 영역을 표시하는 값은 맵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러한 값들 또는 저장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FIGS. 7 and 8 , a value indicating a specific blocking device, a fixed object, and a temporarily inaccessible blocking area may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a method of implementing a map,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se values or a storage method it's not going to b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sets a block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봇(1000)의 차단장치 감지부(100)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객체를 센싱한다(S910). 이후 차단장치 감지부(100)가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지 확인한다(S920). 이는 앞서 도 4의 S410 내지 S450 과정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장치의 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차단장치의 외관에 따라 상이하게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100 of the robot 1000 senses an object disposed outside the robot (S910). 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the object sensed by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100 is a blocking device (S920). This may include some of the processes S410 to S450 of FIG. 4 above.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blocking device, 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5 and 6 , an object may be det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the blocking device.

이후,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경우(S930), 로봇(1000)의 제어부(900)는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차단 영역을 설정한다(S940). 이는 앞서 도 7 및 도 8에서 차단장치의 배치, 다른 고정 객체들과의 거리, 차단장치의 군집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차단 영역을 설정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Thereafter, when the sensed object is a blocking device (S930), the controller 900 of the robot 1000 sets a blocking area based on the blocking device (S940). This has been described earlier in FIGS. 7 and 8 that the blocking area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blocking device, the distance from other fixed objects, the clustering of the blocking device, and the like.

그리고, 제어부(900)는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을 맵 저장부(200)에 저장한다(S950). 저장이라는 것은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을 고정 객체들과 구별하여 맵 상의 해당 위치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도 7 및 도 8에서 차단장치와 차단 영역이 등록된 실시예를 살펴보았다.Then, the control unit 900 stores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in the map storage unit 200 (S950). "Storing" means storing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on the map by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fixed objects. Examples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are registered have been described in FIGS. 7 and 8 .

한편, S930에서 감지된 객체가 차단장치가 아닌 경우 로봇은 객체에 대해 장애물 회피 동작을 수행한다(S960). On the other hand, if the object detected in S930 is not the blocking device, the robot performs an obstacle avoiding operation on the object (S960).

정리하면, 로봇(1000)은 주행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배치되는 차단장치들의 위치를 맵에 등록하고, 이들 차단장치들이 군집하여 배치되거나(710의 경우), 또는 고정 객체와의 관계에서 특정 공간을 차단하는 경우(720의 경우) 해당 공간이 물리적으로는 진입이 가능하여도 로봇이 진입하지 않도록 진입 불가한 영역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 정보는 다른 로봇에게도 전달하여 동일한 차단장치들이 그대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른 로봇들도 진입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robot 1000 registers the positions of the blocking devices temporarily dispos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on the map, and blocks these blocking devices in a cluster (in the case of 710), or blocks a specific space in relation to a fixed object (in the case of 720), even if the space is physically possible to enter, it is set as an area that cannot be entered so that the robot does not enter. In addition, thi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other robots so that other robots do not enter when the same blocking devices are placed as they are.

도 9의 S940에서 차단장치들이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되는 경우, 또는 차단장치들이 고정 객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실시예가 구분될 수 있다. In S940 of FIG. 9 , an embodiment of setting a blocking area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blocking devices are disposed or a case in which the blocking devices are disposed adjacent to a fixed object.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차단장치를 감지한 경우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로봇과 객체들과의 위치를 위에서 살펴본 것이며, 이들 위치들은 셀 크기에 대응하여 맵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blocking area when the robot detects a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show the positions of the robot and the objects from above, and these positions may be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cell size.

먼저, 로봇(1000a)은 주행 과정에서 1010에서 지시되는 외부의 객체에 근접한다. 이 객체의 외관을 감지한 결과 차단장치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객체의 위치, 즉 차단장치는 맵 상에 "1"로 표시하였다. First, the robot 1000a approaches the external object indicated at 1010 in the driving process.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appearance of this objec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blocking device, and the location of the object, that is, the blocking device, was marked as "1" on the map.

이하 도 10의 1001a 내지 1006a 는 전술한 차단장치를 "1"로, 로봇의 위치를 "R"로 맵 상에 표시한 것이다. 각각은 상이한 공간의 상황을 의미한다. 도 11의 1001b 내지 1006b 는 도 10의 1001a 내지 1006a 에 대응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한 도면이다. Hereinafter, 1001a to 1006a of FIG. 10 indicate the above-described blocking device as “1” and the position of the robot as “R” on the map. Each represents a different spatial situation. 1001b to 1006b of FIG. 11 are diagrams in which blocking areas are set corresponding to 1001a to 1006a of FIG. 10 .

일 실시예로, 차단장치 및 로봇이 1001a와 같이 동일한 고정 객체가 없는 경우이다. 고정 객체의 유무는 맵 상에 저장될 수 있고, 로봇이 실시간으로 주행하며 센싱한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locking device and the robot do not have the same fixed object as 1001a.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xed object may be stored on the map, and a result of sensing while the robot travels in real time may be stored.

1001a와 같은 구성에서 로봇은 차단장치(1010)가 배치된 영역("1"로 표시된 영역)의 주변에 일정한 거리(예를 들어 3칸의 셀 단위 거리) 내에 다른 차단장치 또는 고정 객체가 전혀 없음을 확인한다. 즉, 로봇은 차단장치(1010)인 객체 주변에 고정 객체 또는 차단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면, 도 11의 1001b와 같이 객체인 차단장치 주변의 일정 범위의 영역 또는 객체(차단장치) 주변의 바닥 재질에 따라 구분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In a configuration such as 1001a, the robot has no other blocking devices or stationary objects within a certain distance (for example, a distance of 3 cells) around the area where the blocking device 1010 is placed (the area marked with “1”). check That is, when the robot confirms that there is no fixed object or blocking device around the object that is the blocking device 1010, as shown in 1001b of FIG. At least one of the areas divided according to the floor material is set as the blocking area.

차단장치 주변의 일정 범위란 셀 단위로 산출할 수 있으며 1101과 같이 지시된 영역을 모두 "5"로 설정하여 차단 영역으로 맵에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비전 센싱부(120) 또는 보조 센싱부들을 이용하여 차단장치 주변의 바닥 재질을 확인하고, 바닥 재질이 차단장치가 배치된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대해서만 차단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02와 같이 차단장치가 배치된 영역을 중심으로 y축으로 위로 2칸 뒤, x축으로 우측으로 1칸만큼의 영역의 바닥 재질들이 동질하며 그 외의 영역의 바닥 재질이 상이한 경우, 이는 공사 중이거나 특정한 처리를 위한 영역으로 판단하여 1102가 지시하는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 certain range around the blocking device can be calculated in units of cells, and all indicated areas such as 1101 can be set to “5” and registered on the map as a blocking area. In another embodiment, a floor material around the blocking device may be checked using the vision sensing unit 120 or auxiliary sensing units, and only an area having the same floor material as the area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is disposed may be set as the blocking area. For example, as in 1102, if the floor materials in the area 2 spaces up on the y-axis and 1 space to the right on the x-axis centering on the area where the blocking device is placed are the same, and the floor materials in other areas are different, this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is under construction or for a specific treatment, and the area indicated by 1102 can be set as a blocking area.

다음으로, 1002a, 1003a, 1004a를 살펴본다. 이는 로봇이 감지한 차단장치("1"로 표시)와 고정 객체의 거리가 정해진 기준 보다 멀리 떨어진 경우를 보여준다. 1002a, 1003a, 1004a 모두 로봇의 진입 방향에 차단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차단장치와 주변의 고정 객체와의 거리는 셀 단위 3칸의 거리가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이 2칸인 경우, 고정 객체와 차단장치와의 거리는 기준 이상이다. Next, look at 1002a, 1003a, and 1004a. This shows the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blocking device (displayed as “1”) and the fixed object detected by the robot is farther than the set standard. In all of 1002a, 1003a, and 1004a, a blocking device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robo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surrounding fixed object is 3 cells per cell. When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2 spac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is greater than the criterion.

이때, 로봇의 제어부(900)는 고정 객체의 반대편이 열린 공간인지 닫힌 공간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열린 공간인 경우, 반대편에 또다른 차단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0 of the robot checks whether the opposite side of the fixed object is an open space or a closed space. Also, if it is an open space, check if there is another blocking device on the other side.

1002a의 경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로봇의 반대편(1011)이 열린 공간이며 반대편에 또다른 차단장치가 없다. 이 경우, 로봇은 도 11의 1002b와 같이 차단장치의 주변만을 1103과 같이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물론, 로봇은 차단 영역의 바깥으로 점선과 같이 이동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1002a, the opposite side 1011 of the robot is an open space based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re is no other blocking device on the opposite side. In this case, the robot sets only the periphery of the blocking device to the blocking area as shown in 1103 as shown in 1002b of FIG. 11 . Of course, the robot can move out of the blocking area like a dotted line.

1003a의 경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로봇의 반대편(1012)이 닫힌 공간이다. 이는 고정 객체와 차단장치를 연결하면 소정의 폐곡선 형태가 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은 도 11의 1003b와 같이 차단장치와 주변의 고정 객체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모두 차단하는 것으로 감지하여 해당 폐곡선 영역을 1104와 같이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로봇은 차단 영역의 바깥으로 점선과 같이 이동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1003a, the opposite side 1012 of the robot with respect to the blocking device is a closed spac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are connected, a predetermined closed curve is formed. In this case, as shown in 1003b of FIG. 11 , the robot detects that all of the closed curve area including the blocking device and surrounding fixed objects is blocked, and sets the corresponding closed curve area as the blocking area as shown in 1104 . The robot can move out of the blocking area like a dotted line.

1004a의 경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로봇의 반대편(1013)에 두 개의 차단장치가 배치됨을 감지하였다. 이는 로봇(1000a)이 직접 센싱한 결과일 수도 있고, 다른 로봇이 센싱하여 맵에 등록한 차단장치의 정보를 수신한 결과일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1004a, it was sensed that two blocking devices wer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1013 of the robot with respect to the blocking device. This may be a result of direct sensing by the robot 1000a, or a result of receiving information of a blocking device sensed by another robot and registered in the map.

따라서, 반대편(1013)이 고정 객체로 막힌 공간은 아니지만, 차단장치들로 인해 막힌 공간이다. 이 경우 로봇은 도 11의 1004b와 같이 차단장치와 주변의 고정 객체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모두 차단하는 것으로 감지하여 해당 폐곡선 영역을 1105와 같이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로봇은 차단 영역의 바깥으로 점선과 같이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posite side 1013 is not a space blocked by a fixed object, but a space blocked by blocking devices. In this case, as shown in 1004b of FIG. 11, the robot detects that all of the closed curve area including the blocking device and surrounding fixed objects is blocked, and sets the corresponding closed curve area as the blocking area as shown in 1105. The robot can move out of the blocking area like a dotted line.

1005a의 경우 차단장치의 위치와 주변의 고정 객체 사이를 연결한 폐곡선(1014) 내에 로봇이 포함된 경우이다. 이에 대해 로봇은 차단장치의 뒤쪽 편으로의 진입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은 고정 객체를 제외하고 차단장치의 주변 부분만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도 11의 1005b에 110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차단 영역을 설정한다. 로봇은 점선과 같이 후진하여 주행한다. In the case of 1005a, the robot is included in the closed curve 1014 connecting the location of the blocking device and the surrounding fixed objects. In contrast, the robot can determine that the entry to the rear side of the blocking device is blocked. In this case, the robot sets only the surrounding part of the blocking device as the blocking area, excluding the fixed object. A blocking area is set as indicated by 1106 in 1005b of FIG. 11 . The robot moves backwards like the dotted line.

1006a의 경우 차단장치의 위치와 주변의 고정 객체 사이의 거리가 인접한 상태(셀 1칸의 거리)이므로, 고정 객체와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1015)을 설정하여 이를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차단 영역의 설정은 도 11의 1006b에 1107로 표시된 바와 같다. 로봇은 점선과 같이 주행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1006a,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blocking device and the surrounding fixed object is adjacent (the distance of one cell), a closed curve area 1015 including the stationary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is set and this is set as the blocking area. The blocking area is set as indicated by 1107 in 1006b of FIG. 11 . The robot can travel like a dotted line.

도 10 및 도 11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0 and 11 are summarized as follows.

제어부(900)는 차단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차단장치(1010)에 인접한 고정 객체를 확인한다. 확인 과정은 맵 저장부(200)에 저장된 맵을 이용하거나 보조 센싱부들, 특히 라이다 센싱부를 이용하여 고정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고정 객체와 차단장치(1010)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고정 객체 및 차단장치(1010)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설정하고, 폐곡선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The control unit 900 identifies a fixed object adjacent to the blocking device 1010 in order to set the blocking area. In the confirmation process, a fixed object may be identified using a map stored in the map storage unit 200 or using auxiliary sensing units, particularly, a lidar sensing unit. Further, the controller 900 sets a closed curve region including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1010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1010 , and sets the closed curved region as the blocking region.

또한, 제어부(900)는 차단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차단장치(1010)에 인접한 고정 객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객체 주변에 고정 객체 또는 차단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면, 제어부(900)는 객체 주변의 일정 범위의 영역 또는 객체 주변의 바닥 재질에 따라 구분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도 10 및 도 11의 1001a/1001b 에서 살펴보았다. Also, in order to set the blocking area, if the control unit 90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fixed object or blocking device around the object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fixed object adjacent to the blocking device 1010, the control unit 900 controls the object Any one or more of an area of a certain range around an area or an area divid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loor around the object is set as the blocking area. It looked at 1001a/1001b of FIGS. 10 and 11 .

한편, 도 1의 11과 같은 차단봉 및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되는 차단장치의 경우, 하나의 차단봉 또는 두 개의 차단봉 및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는 하나의 차단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이 하나만 존재할 경우에는 도 10 및 도 11에서 적용된 실시예를 적용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대면적 유동인구 공간에서 도 1의 11과 같은 차단장치는 사람들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경우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단장치에 따라, 혹은 차단장치들이 군집하여 배치되는 경우 차단 영역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blocking device composed of a blocking rod and a guideline as shown in 11 of FIG. 1, one blocking rod or two blocking rods and a guideline selectively coupled may be determined as one blocking device. And when there is only one of them, the blocking area may be set by applying the embodiment applied in FIGS. 10 and 11 . In particular, in a large-area floating population space, a blocking device as shown in FIG. 1 11 is disposed when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people. Accordingly, the blocking area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blocking device or when the blocking devices are disposed in a group.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들이 군집된 형태인 경우,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2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blocking area when blocking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rouped.

(0, 2) 내지 (0, 13)의 검은 색 셀은 고정 장치를 의미한다. Black cells from (0, 2) to (0, 13) mean fixed devices.

도 12의 1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하나에 "1"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하나의 차단장치(도 1의 11)를 의미한다. (11, 2)에 위치하는 로봇("R"로 표시")의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점선과 같이 (11, 5)에 배치되는 차단장치("1"로 표시)를 감지한다. 여기서 로봇은 주변에 다른 차단장치가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순차적으로 로봇의 위치에서 확인되는 차단장치들을 감지하여 맵 상에 등록한다. 그 결과 도 12의 1202와 같이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11, 5)에 배치된 첫번째 차단장치 외에도 다수의 차단장치를 점선과 같이 감지하고 하고 맵 상에 "1"로 등록한다. As shown in 1201 of FIG. 12 , “1” in one cell means one blocking device (11 in FIG. 1).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100 of the robot (indicated by "R") located at (11, 2) detects the blocking device (indicated by "1") disposed at (11, 5) as shown by a dotted line. Here, the robot checks whether other blocking devices are placed around it, detects blocking devices that are sequentially identified at the position of the robot, and registers them on the map As a result, as shown in 1202 of Fig. ) detects multiple blocking devices like the dotted line in addition to the first blocking device arranged in (11, 5) and registers it as “1” on the map.

1202에서 차단장치들이 배치된 형상을 살펴보면 일정한 사각형(1202r)의 영역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음을 로봇의 제어부(900)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로봇의 위치에서 모든 차단장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로봇은 인접한 다른 차단장치들을 확인하기 위해 이동한다. Looking at the shape in which the blocking devices are arranged in 1202 , the control unit 900 of the robot can confirm that it constitutes a part of the area of the regular rectangle 1202r. Howev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check all blocking devices at the robot's location, the robot moves to check other blocking devices adjacent to it.

도 13의 1301과 같이 실선과 같이 (11, 2)에서 (9, 2)로 이동한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차단장치들을 감지한다. 앞서 (11, 5) 뒤에 배치되었던 차단장치들이 감지되며 이들의 위치 정보 역시 맵에 저장한다. 뎁스 센싱부(130)가 산출한 차단장치들의 뎁스 정보에 기반하여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정보를 맵 상에 등록할 수 있다.As shown in 1301 of FIG. 13 ,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of the robot moving from (11, 2) to (9, 2) as shown by a solid line detects a plurality of blocking devices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The blocking devices that were previously placed behind (11, 5) are detected and their location information is also stored in the map. Distanc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blocking devices calculated by the depth sensing unit 130 , and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on the map.

차단장치들 사이로 로봇이 진입할 수 있는 경우라 하여도, 로봇(1000)의 제어부(900)는 차단장치들이 소정의 폐곡선(1202r)을 구성하는지를 확인하여, 1202r에 대해 차단 영역을 설정한다. Even when the robot can enter between the blocking devices, the control unit 900 of the robot 1000 checks whether the blocking devices constitute a predetermined closed curve 1202r, and sets the blocking area for 1202r.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일 실시예로 앞서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차단 영역 전체를 "9"로 등록하여 차단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차단 영역의 경계 부분을 "9"로 등록하여 차단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of setting the blocking area,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entire blocking area may be registered as “9” to be set as the blocking area. In another embodimen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blocking area may be registered as “9” to be set as the blocking area.

도 13의 1302에서는 차단장치들이 구성하는 경계선에 연장하여 차단 영역의 경계 부분을 "9"로 표시하여 맵 상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영역은 "9" 및 "1"로 구성된 폐곡선 영역이므로 로봇은 해당 영역에 대해서는 진입하지 않는다. In 1302 of FIG. 13 , a boundary portion of the blocking area extending to the boundary line constituted by the blocking devices may be marked as “9” and registered on the map. In this case, since the blocking area is a closed curved area composed of "9" and "1", the robot does not enter the corresponding area.

정리하면,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서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객체 주변에 하나 이상의 제2객체를 추가로 센싱하여 제2객체가 차단장치인 것을 확인하고(도 12), 제어부(900)는 객체 및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설정한다(도 12의 1202). 이 과정에서 제어부(900) 및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도 13과 같이 로봇을 이동시켜서 더 많은 차단장치들을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0)는 폐곡선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고 로봇이 해당 영역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한다(도 13의 1302).In summary, in the embodiment of FIGS. 12 and 13 ,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of the robot additionally senses one or more second objects around the object to confirm that the second object is the blocking device ( FIG. 12 ), The controller 900 sets a closed curve area including the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 1202 in FIG. 12 ). 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900 and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can sense more blocking devices by moving the robot as shown in FIG. 13 . Then, the control unit 900 sets the closed curve area as the blocking area and prevents the robot from entering the corresponding area (1302 in FIG. 13).

도 12 및 도 13에서 비전 센싱부(120)가 다수의 차단 장치들을 이미지로 획득할 경우, 이들 차단 장치들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해 뎁스 센싱부를 이용하거나 혹은 보조 센싱부의 일 실시예인 라이다 센싱부를 이용하여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라이다 센싱부의 경우 높이 조절을 하여 차단 장치들 뒤쪽에 배치된 또다른 차단 장치들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cquires a plurality of blocking devices as images in FIGS. 12 and 13 , the depth sensing unit is used to identify the distance between these blocking devices, or a lidar sensing unit as an embodiment of the auxiliary sensing unit is used. so you can check the distan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dar sensing unit, the height of the blocking devices is adjusted to identify the distances of other blocking devices disposed behind the blocking devices.

도 13에서 차단 영역으로 구성된 영역에서는 로봇이 진입할 수 없으므로 해당 영역은 로봇이 기능하지 않은 영역이 된다. 따라서, 로봇이 다른 영역에 대해 특정한 기능(예를 들어 청소, 보안 등)을 수행한 후, 다시 차단 영역으로 설정되었던 공간으로 회귀하여 해당 공간에 차단장치가 여전히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차단장치가 없는 경우, 차단 영역으로 지정되었던 공간에 대해서만 새로이 특정한 기능(예를 들어 청소, 보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robot cannot enter the area configured as the blocking area in FIG. 13, the corresponding area becomes an area in which the robot does not function. Therefore, after the robo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eg, cleaning, security, etc.) for another area, it returns to the space set as the blocking area and checks whether the blocking device is still placed in the space, and then the blocking device is activated. If not, a specific function (eg, cleaning, security, etc.) can be newly performed only for the space designated as the blocking area.

도 12 및 도 13에서 차단장치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형상의 차단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전 센싱부(120)는 차단장치들의 외관, 컬러 등을 센싱하고 감지 제어부(150)는 센싱된 객체들을 복수의 그룹 차단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단장치들이 군집화되었는지 여부는 차단장치들의 외관과 색상, 그리고 이들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도 1의 11과 같은 차단봉 형태는 중간의 가이드라인(11c)의 있는 경우와 있지 않은 경우 차단봉 사이의 거리를 중심으로 차단장치의 군집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blocking device in FIGS. 12 and 13 ,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blocking devices of the same shape are arranged. To this end, the vision sensing unit 120 senses the appearance and color of the blocking devices, and the sensing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the sensed objects as a plurality of group blocking devices. That is, whether the blocking devices are clustered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and color of the blocking devic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locking rod shape as shown in 11 of FIG. 1 , the degree of clustering of the blocking devices can be confirm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blocking rods when the intermediate guide line 11c is present and when there is no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5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로봇들 사이에서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예는 제1로봇(1000b) 및 제2로봇(1000c), 그리고 선택적으로 서버(2000)를 포함한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 blocking device and a blocking area between a plurality of rob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of FIG. 14 includes a first robot 1000b and a second robot 1000c, and optionally a server 2000 .

제2로봇(1000c)의 제어부(900)가 주행 경로 상에 배치되는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을 맵 저장부에 저장한다(S1410). 그리고 제2로봇(1000c)의 통신부(500)는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0) 또는 제1로봇(1000b)에게 송신한다. 이는 로봇들에게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방식과 서버(2000)에게 전송된 후 서버(2000)가 로봇들에게 전송하는 제2방식 모두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900 of the second robot 1000c stores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disposed on the travel route in the map storage unit (S141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00 of the second robot 1000c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to the server 2000 or the first robot 1000b. This is possible both in the first method of transmitting to the robots in a broadcasting manner and in the second method in which the server 2000 transmits to the robots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0 .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제1로봇(1000b)은 맵 저장부에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한다(S1430). 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the first robot 1000b updates it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map storage unit (S1430).

그리고 제1로봇(1000b)은 이후 주행 과정에서 S1430에서 업데이트 했던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의 변동 상황을 센싱하여 맵 저장부에 업데이트를 한다(S1440). 이는 이전에 배치되었던 차단장치들 중에서 일부가 이동하거나 추가되거나 혹은 차단 영역을 정의하던 차단장치들이 완전히 제거되는 등의 변동 상황을 맵 저장부에 반영하여 업데이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n, the first robot 1000b senses the change state of the blocking device and blocking area updated in S1430 during the subsequent driving process and updates the map storage unit (S1440). This means updating by reflecting changes in the map storage, such as moving or adding some of the previously deployed blocking devices, or completely removing the blocking devices defining the blocking area.

변동된 사항에 대하여 제1로봇(1000b)은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송신한다(S1450). 이부분 역시 로봇들에게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방식과 서버(2000)에게 전송된 후 서버(2000)가 로봇들에게 전송하는 제2방식 모두 가능하다. In response to the changed matter, the first robot 1000b transmits updated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S1450). The first method of transmitting this part to the robots in a broadcasting method and the second method of transmitting the part to the robots by the server 2000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0 are both possible.

제2로봇(1000c)은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에 대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수신하여 맵 저장부에 저장한다(S1460). The second robot 1000c receives the updated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and stores it in the map storage unit (S1460).

본 발명을 구현할 경우, 차단장치 감지부의 비전 센싱부(120)와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이동식 차단봉으로 차단된 가이드라인, 위험 표지판, 진입 금지용 안내표지판 등 차단장치들을 인식할 수 있다. 특히, 비전 센싱부(120)가 센싱한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이 가지고 있는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차단장치들의 외관들과 비교하여 인식하고, 이 인식된 차단장치의 뎁스 정보를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센싱하여 이들 차단장치들의 위치에 따라 진입 가능 혹은 차단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11가 같은 차단봉에서 차단봉의 뎁스가 근접한 경우, 차단봉에 가이드라인이 쳐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봉과 가이드라인의 높이에 상관없이 로봇이 진입할 수 있는 높이여도 진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locking devices such as guide lines, danger signs, and guide signs for prohibition of entry can be recognized using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of the blocking device sensing unit. . In particular,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sens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the robot recognizes by comparing it with the appearances of the blocking devices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110 possessed by the robot, and the depth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blocking device is recognized by the depth sensing unit. By sensing using 130 ,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ccessible or blocked area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se blocking devices. For example, when the depths of the blocking rods are close to each other in the blocking rod 11 of FIG. 1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guideline is placed on the blocking rod.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blocking rod and the guide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bot from entering even if it is at a height that the robot can enter.

특히, 차단봉(도 1의 11) 또는 안내표지판(도 1의 12, 13 등)과 같은 차단장치들이 배치된 면적을 맵에 등록하고 정해진 구역에서 특정한 기능(예를 들어 청소)를 완료한 후 기능하지 않은 영역(미 청소 구역 등)을 다시 청소할 때, 또다시 같은 판단과 동작을 반복해서 비효율적으로 청소하지 않도록 시나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rea in which the blocking devices such as blocking rods (11 in FIG. 1) or guide signs (12, 13 in FIG. 1, etc.) are arranged is registered on the map and a specific function (eg, cleaning) is completed in a designated area. When cleaning an area that has not been cleaned (such as an uncleaned area), a scenario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same judgment and action are not repeated and inefficiently cleaned.

또한, 차단봉 이외에 공사구역에 설치하는 도 1의 12 및 13과 같은 삼각뿔 안내판으로 구분된 영역도 비전 센싱부(120)으로 인식한 후,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차단 영역을 지정하여 차단 영역(청소 제한 구역, 보안 제한 영역)으로 맵 상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공항, 백화점, 놀이동산 등과 같이 대규모 인원들이 이동하는 공간에서 차단봉, 공사구역 표시 삼각뿔 등 다양한 차단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는 대면적의 공간에서 로봇이 차단된 공간에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이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여 이후 차단이 해제되면 진입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rea divided by the triangular pyramid guide plate as shown in 12 and 13 of FIG. 1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area in addition to the blocking rod is recognized by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n blocked by designating the blocking area using the depth sensing unit 130 It can be updated on the map with areas (clean-restricted areas, security-restricted area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event the robot from entering the blocked space in a space of a large area in which various blocking devices such as a blocking rod and a triangular pyramid to indicate a construction area can be disposed in a space where large-scale personnel such as airports, department stores, and amusement parks move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m is maintai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nter and perform functions when the block is released later.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단장치의 뎁스에 따라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1501은 로봇(1000a)이 전방의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를 비전 센싱부(120)가 센싱한다. 또한, 뎁스 센싱부(130)는 이들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여 로봇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어 있음을 센싱한다. 따라서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 사이에 별도의 가이드라인(도 1의 11c와 같은)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라도,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을 하나의 차단장치로 설정하거나 혹은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 사이의 공간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한다. 15 is a view for setting a blocking area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1501, the vision sensing unit 120 senses the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in front of the robot 1000a. Also, the depth sensing unit 130 calculates depth information of the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and senses that they are dispos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robot. Therefore, even when a separate guide line (such as 11c in FIG. 1) is not disposed between the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the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are set as one blocking device or the two blocking rods The space between (1511a, 1511b) is set as the blocking area.

그 결과 로봇의 제어부(900)는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을 맵(1501m)에 차단장치로 각각 "1"을 등록한다. 참고로 로봇의 위치는 "R"로 표시하였다.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900 of the robot registers the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as blocking devices on the map 1501m, respectively. For reference, the position of the robot is indicated by "R".

한편, 제어부(900)는 두 개의 차단장치 사이를 로봇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이라 하여도 진입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앞서 살펴본 혹은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 사이의 공간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해 맵(1501m)에 "9"로 등록한다. 만약, 제어부(900)가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을 하나의 차단장치로 설정하는 경우, "9" 대신 "1"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900 is set not to enter even if the width between the two blocking devices can pass the robot. In order to set a space between the previously described or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as a blocking area, "9" is registered on the map 1501m. If the control unit 900 sets the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as one blocking device, it may be set to “1” instead of “9”.

또 다른 실시예에서, 1502 역시 로봇(1000a)이 전방의 두 개의 차단봉(1512a, 1512b)를 비전 센싱부(120)가 센싱한다. 또한, 뎁스 센싱부(130)는 이들 두 개의 차단봉(1512a, 1512b)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여 로봇을 기준으로 상이한 거리에 배치되어 있음을 센싱한다. 이 거리는 로봇이 보유한 기준거리(1미터와 같이 가이드라인이 확장 가능한 길이)와 비교하여 두 개의 차단봉(1512a, 1512b)이 별개의 차단장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vision sensing unit 120 senses the two blocking rods 1512a and 1512b in front of the 1502 as well as the robot 1000a. Also, the depth sensing unit 130 calculates depth information of the two blocking rods 1512a and 1512b and senses that they are dispos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robot. This distance can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distance possessed by the robot (the length where the guideline can be extended, such as 1 meter),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wo blocking rods 1512a and 1512b are separate blocking devices.

로봇의 제어부(900)는 두 개의 차단봉(1512a, 1512b)을 맵(1502m)에 별개의 차단장치로 각각 "1"을 등록한다. 참고로 로봇의 위치는 "R"로 표시하였다. 또한, 두 개의 차단장치 사이를 로봇이 통과할 수 있는 폭인 경우에는 이들 사이를 실선과 같이 통과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900 of the robot registers the two blocking rods 1512a and 1512b as separate blocking devices on the map 1502m, respectively, with “1”. For reference, the position of the robot is indicated by "R". Also, if the width between the two blocking devices is enough for the robot to pass, it can pass between them like a solid lin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차단 영역으로 설정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영역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앞서 도 13에서 로봇은 센싱된 차단장치들의 위치를 "1"로 표시하였으며, 이들 차단장치들의 위치에 기반하여 폐곡선(1202r)에 따라 차단 영역을 설정하였다. 그런데 도 13의 1302에서 (9, 2)에 위치하였던 로봇이 도 16의 1601과 같이 (1, 2)로 이동하여 새로이 차단장치들을 센싱한 경우, 이전에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였던 1601r 영역에 차단장치가 전혀 없다는 것을 제어부(900)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1602와 같이 로봇은 (1, 6)으로 이동하여 새로이 차단 영역(1602r)을 설정한다. 로봇이 추가적으로 센신한 결과 로봇이 이동하지 않는 차단 영역의 경계가 도 13의 1302와 달리 변경되었으며, 로봇은 1602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로봇이 다른 장애물 혹은 사람들이 다수 센싱되는 경우 새로이 장애물 회피 시나리오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16 is a view for confirming a movable area in a space in which 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as a blocking area. Previously, in FIG. 13 , the robot indicated the positions of the sensed blocking devices as “1”, and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se blocking devices, the blocking area was set according to the closed curve 1202r. However, when the robot located at (9, 2) in 1302 of FIG. 13 moves to (1, 2) as shown in 1601 of FIG. 16 and senses the blocking devices anew, the blocking device is located in the 1601r area previously set as the blocking area. The control unit 900 may confirm that there is no In this case, as in 1602, the robot moves to (1, 6) and newly sets the blocking area 1602r. As a result of the additional sensing by the robot, the boundary of the blocking area in which the robot does not move is changed differently from 1302 of FIG. 13 , and the robot can move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of 1602 . Of course, in this process, if the robot senses other obstacles or a large number of people, it can move according to the obstacle avoidance scenario.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대면적에서 자율주행으로 안내, 보안, 청소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은 시시각각 바뀌는 차단장치(도 1의 차단봉들과 안내표지판 등)를 인식하여 그 구역을 회피하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공항, 터미널, 병원, 학교, 백화점, 놀이동산 등과 같은 환경에서는 이동식 차단봉으로 티켓팅 부스의 가이드라인, 행사 등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영역이 많으므로, 이들을 인식하여 주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차단봉 안쪽은 사람들이 들어가면 안되는 지역이거나 티케팅 등을 위해 사람들이 줄을 서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로봇은 이러한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도 15와 같은 실시예에서 로봇이 두 개의 차단봉(1511a, 1511b)을 통과하여 진입하면 복잡한 차단봉의 구조로 빠져 나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지역에 로봇이 진입하지 않음으로써,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로봇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e robot that performs the role of guidance, security, cleaning, etc. in autonomous driving in a large area recognizes the blocking devices (blocking rods and guide signs in FIG. 1, etc.) You can dodge the area and perform your role. In particular, in environments such as airports, terminals, hospitals, schools, department stores, amusement parks, etc., there are many areas where movement is restricted by guidelines of ticketing booths and events with movable blocking rods, 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m and drive. Since there are many cases where people are not allow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blocking bar or people are lining up for ticketing, etc.,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robot can set this area as a blocking area so as not to drive. If,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the robot enters through the two blocking rods 1511a and 1511b, there is a case where it cannot get out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blocking rod. 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unning of the robot so as not to cause damage to the person by not entering the area where people wait in line.

또한 대규모의 공간에서는 별도의 공사 또는 청소를 위해 진입 금지 안내판(도 1의 12, 13 등)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large-scale space, an entry prohibition sign (12, 13, etc. in FIG. 1) may be installed for separate construction or cleaning.

따라서, 로봇은 다양한 형상의 차단장치들을 인식하여, 차단장치들의 인접한 공간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차단장치들이 군집한 경우 이들의 배치된 위치를 차단 영역으로 하여 맵 상에 등록하는 스캐닝 과정을 통해 진입 불가한 영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서는 추후 로봇이 회귀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refore, the robot recognizes the blocking devices of various shapes and prevents them from approaching the space adjacent to the blocking devices. In addition, when blocking devices are clustered, an area where they cannot enter is set through a scanning process of registering on the map by using their arranged location as a blocking area, and for this, the robot returns later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맵 상에서 고정 객체들과 차단장치 및 차단 영역을 구별 가능하게 저장할 경우, 로봇은 실시간으로 배치된 차단장치들을 맵 상에 반영하고 이들 차단장치들이 제거되면 또한 맵에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로봇의 활동 반경을 높이고 주행 경로를 단축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fixed objects,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are distinguishably stored on the ma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reflects the blocking devices arranged in real time on the map, and when these blocking devices are removed, it is also displayed on the map. Since it can be remov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adius of motion of the robot and shorten the travel path.

또한, 비전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차단장치를 정확하게 센싱하며, 차단장치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110)를 유지 및 업데이트 하여 차단장치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11과 같은 사람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차단장치가 감지된 경우, 로봇의 제어부(900) 및 차단장치 감지부(100)는 그 부근에서 보조 센싱부들(141~149) 중에서 적외선 센싱부 또는 열감지 센싱부 등을 이용하여 사람들의 군집 정도를 센싱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사람들이 다수 줄을 설 수 있도록 차단봉과 가이드라인으로 구역을 정하는 경우 로봇이 차단봉과 사람들을 감지하여 해당 영역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ing device is accurately sensed using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 and the database 110 for blocking devices is maintained and updated to increase the identification of the blocking device. 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devi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people is detected as shown in 11 of FIG. 1 , the control unit 900 and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100 of the robot sense infrared rays among the auxiliary sensing units 141 to 149 in the vicinity thereof. The blocking area may be set by sensing the degree of crowding by using a part or a heat sensing unit. In particular, when a zone is defined with a blocking rod and guideline so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line up, the robot detects the blocking rod and people and prevents them from entering the area,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은 비전 센싱부(120) 및 뎁스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도 1의 11과 같은 형상의 차단장치들이 배치되면 이들 차단장치 주변에 사람들의 군집 정도를 적외선 센싱부 또는 열감지 센싱부를 이용하여 확인한 후, 차단장치들에 의해 구분되는 차단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th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vision sensing unit 120 and the depth sensing unit 130 to measure the degree of crowding of people around the blocking devices when blocking devices having a shape as shown in 11 of FIG. 1 are disposed. After checking by using the infrared sensing unit or the thermal sensing unit, the blocking area divided by the blocking devices may be set.

한편, 차단장치의 식별 없이도 로봇들의 맵 상에 일시적으로 차단 영역으로 등록하면, 로봇이 해당 영역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robot is temporarily registered as a blocking area on the map without identification of the block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bot not to enter the corresponding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In addition, even if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all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e or mor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operat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of the combined hardware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storage medium including a semiconductor recording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module that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an external devi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it will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단장치 감지부 110: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
120: 비전 센싱부 130: 뎁스 센싱부
141~149: 보조 센싱부 150: 감지 제어부
200: 맵 저장부 300: 이동부
400: 기능부 500: 통신부
900: 제어부 1000: 로봇
100: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110: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120: vision sensing unit 130: depth sensing unit
141 to 149: auxiliary sensing unit 150: sensing control unit
200: map storage unit 300: moving unit
400: function unit 500: communication unit
900: control unit 1000: robot

Claims (14)

로봇의 차단장치 감지부가 로봇의 외부에 배치된 객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상기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경우,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의 정보를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의 비전 센싱부 및 뎁스 센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객체의 이미지 정보 또는 뎁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뎁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유사도가 불명확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로봇의 주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객체와의 거리 또는 각도를 달리하도록 로봇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상기 객체를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Sensing an object disposed outside of the robot by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of the robot;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sensed by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is a blocking device;
when the sensed object is a blocking device, setting, by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a blocking area based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in a map storage unit,
Sensing the object includes calculating at least one of image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of the object at least one of a vision sensing unit and a depth sensing unit of the blocking device sensing uni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nsed object is a blocking device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a similarity by comparing any one or more of the image information or the depth information with information stored in a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After calculating the similarity
When the degree of similarity falls within an unclear range,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may control the moving unit providing the driving function of the robot to move the robot to change a distance or angle with the object; and
The method of setting a blocking area by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nsing the object by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at the mov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단장치에 인접한 고정 객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고정 객체와 상기 차단장치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고정 객체 및 상기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폐곡선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blocking area is
identifying a fixed object adjacent to the blocking device;
setting a closed curve area including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and
and setting the closed curve area as a block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는 객체 주변에 하나 이상의 제2객체를 추가로 센싱하여 상기 제2객체가 차단장치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객체 및 상기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곡선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confirming
confirming that the second object is a blocking device by additionally sensing one or more second objects around the object by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setting, by the control unit, a closed curve area including an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nd
The method of setting a blocking area by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setting the closed curve area as a block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 주변에 고정 객체 또는 차단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주변의 일정 범위의 영역 또는 상기 객체 주변의 바닥 재질에 따라 구분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blocking area is
confirming that there is no fixed object or blocking device around the object; and
A method for setting a blocking area by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f an area of a certain range around the object or an area divided according to a floor material around the object as a blockin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로봇의 통신부가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다른 로봇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storing the map storage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robot,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to another robot or server,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blocking device and setting the blocking area.
로봇의 주행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부;
외부에 배치된 객체를 센싱하는 차단장치 감지부;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센싱한 객체가 차단장치인 경우, 상기 차단장치를 기준으로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의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는 감지 제어부, 비전 센싱부, 뎁스 센싱부 및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전 센싱부 및 상기 뎁스 센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객체의 이미지 정보 또는 뎁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면,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뎁스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차단장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며,
상기 유사도가 불명확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객체와의 거리 또는 각도를 달리하도록 로봇을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상기 객체를 센싱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로봇.
a mo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unction of the robot;
a blocking devic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ject disposed outsi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a blocking area based on the blocking device when the object sensed by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is a blocking device; and
a map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blocking device and the blocking area;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includes a detection control unit, a vision sensing unit, a depth sensing unit, and a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When at least one of the vision sensing unit and the depth sensing unit calculates any one or more of image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sensing control unit calculates a similarity by comparing any one or more of the image information or the depth information with information stored in the blocking device database unit,
When the degree of similarity falls within an unclear range,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controls the moving unit to move the robot to change a distance or angle with the object, and sets a blocking area by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in which the blocking device sensing unit senses the object at the moved position robot that do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상기 차단장치에 인접한 고정 객체를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객체와 상기 차단장치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고정 객체 및 상기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폐곡선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로봇.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identifies a fixed object adjacent to the blocking device,
The control unit sets a closed curved area including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object and the blocking device, and sets the closed curved area as a blocking area,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to create a blocking area Robots to s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객체 주변에 하나 이상의 제2객체를 추가로 센싱하여 상기 제2객체가 차단장치인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객체 및 상기 제2객체를 포함하는 폐곡선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폐곡선 영역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로봇.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blocking device detecting unit additionally senses one or more second objects around the object and confirms that the second object is a blocking device,
The control unit sets a closed curve area including an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nd sets the closed curve area as a blocking area, a robot for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and setting a blocking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 감지부가 상기 객체 주변에 고정 객체 또는 차단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주변의 일정 범위의 영역 또는 상기 객체 주변의 바닥 재질에 따라 구분되는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차단 영역으로 설정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로봇.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blocking device detection unit confirms that there is no fixed object or blocking device around the object,
The control unit identifies a blocking device and sets the blocking area by setting any one or more of an area of a certain range around the object or an area divided according to a floor material around the object as a blocking are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통신부가 상기 차단장치 및 상기 차단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다른 로봇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차단장치를 식별하여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로봇.
7. The method of claim 6,
A robot for setting a blocking area by identifying a blocking device,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robot transmits the blocking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blocking area to another robot or ser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35268A 2017-03-21 2017-03-21 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KR1023061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68A KR102306162B1 (en) 2017-03-21 2017-03-21 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68A KR102306162B1 (en) 2017-03-21 2017-03-21 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632A KR20180106632A (en) 2018-10-01
KR102306162B1 true KR102306162B1 (en) 2021-09-29

Family

ID=6387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268A KR102306162B1 (en) 2017-03-21 2017-03-21 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4803A1 (en) * 2021-06-15 2022-12-22 Dmg森精機株式会社 Unmanned conveyanc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92B1 (en) * 2004-11-03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readability of a map representing objects in space
KR100999083B1 (en) * 2003-12-18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ciding approach forbidden area for mobile robot using noncontact identif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11175393A (en) * 2010-02-24 2011-09-08 Toyota Motor Corp Route planning apparatus, autonomous mobile robot, and method for planning movement pa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018B1 (en) * 2003-09-16 2005-11-08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recognizing and tracking an object
KR20150142475A (en) * 2014-06-12 2015-12-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obstacle detec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83B1 (en) * 2003-12-18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ciding approach forbidden area for mobile robot using noncontact identifi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0703692B1 (en) * 2004-11-03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readability of a map representing objects in space
JP2011175393A (en) * 2010-02-24 2011-09-08 Toyota Motor Corp Route planning apparatus, autonomous mobile robot, and method for planning movement p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632A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938B1 (en) Method of identifying obstacle on a driving surface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US11688081B2 (en) Method of performing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with respect to a salient object in an image
CN104536445B (en) Mobile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KR102302239B1 (en) Method of controlling cart-robot in restricted area and cart-robot of implementing thereof
KR102350533B1 (en) Method of configuring position based on vision information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US20180210448A1 (en) Method of identifying functional region in 3-dimensional space, and robot implementing the method
CN106778655B (en) Human body skeleton-based entrance trailing entry detection method
JP6814334B2 (en) CNN learning methods, testing methods, learning devices, and testing devices for blind spot monitoring
Díaz-Vilariño et al. Indoor navigation from point clouds: 3D modelling and obstacle detection
JPH02244306A (en) Visu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68203B1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06291506A (en) Vehicle target recognition methods based on single line cloud data machine learning and device
KR1025845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ing the number of person
Jang et al. Semantic segmentation-based parking space detection with standalone around view monitoring system
KR102457588B1 (en) Autonomous robot, location estimation server of autonomous robot and location estimation or autonomous robot using the same
US118359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ally identifying one or more of an object and a location in a robotic environment
KR102306162B1 (en) Method of configuring blocking region by indentifying blocking apparatus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CN106774300A (en) A kind of AGV anti-collision device for trolley
KR101372803B1 (en) Safe apparatus of cross-walk on the school zone
Wang et al. Autonomous robot navigation with rich information mapping in nuclear storage environments
KR102329674B1 (en) Method of configuring position based on identification of fixed object and moving object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KR102269227B1 (en) Driving safety apparatus in tunnel and on all roads
JP6869561B2 (en) CNN learning methods, testing methods, learning devices, and testing devices for blind spot monitoring
KR20210095411A (en) Method for movement control of bollard for vehicle entering restriction and bollard system performing the method
KR20210080712A (en) Vehicle number plate recognition system for p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