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795B1 - 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795B1
KR102292795B1 KR1020200025564A KR20200025564A KR102292795B1 KR 102292795 B1 KR102292795 B1 KR 102292795B1 KR 1020200025564 A KR1020200025564 A KR 1020200025564A KR 20200025564 A KR20200025564 A KR 20200025564A KR 102292795 B1 KR102292795 B1 KR 102292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passenger
flight meal
mea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종헌
박재훈
김도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7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25J18/04Arms extensible rot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ng robo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serving robot includes: an in-flight meal cart having one open side,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with a plurality of layers, and having rails formed in a corner of the one side and on the plurality of layers, wherein the plurality of layers are divid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a support part connected with the one side; a robot arm located on the support part,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and at least one camera; a driving part comprising an upper camera and a voice recognition sensor located in an upper part of the in-flight meal cart, and a plurality of wheels located in a lower part of the in-flight meal cart; and a control part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so as to stop the driving part by transmitting a stop signal to the driving part when confirming an encounter of a passenger or arrival at a seat row through the upper camera, controlling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o select or collect an in-flight meal through a voice signal of the passenger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after the stop, controlling the support part and the robot arm such that the support part and the robot arm are moved with respect to a preset position to deliver an in-flight meal tray to the passenger or collect the same, and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so as to confirm whether the in-flight meal tray is normally delivered or normally collect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utonomously delivering and collecting in-flight meals without causing flight attendants to control the work.

Description

서빙 로봇 및 그 제어 방법{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항공기 내에서 기내식 주문을 받고, 음식을 이송 및 회수하는 서빙 로봇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A serving robot that receives an in-flight meal order, transports and retrieves food in an aircraft, and a control method.

로봇은 스스로 작업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기계를 일컫는 말로, 현재 다양한 분야와 환경에 적용하여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사람의 일을 대신하거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서비스 제공형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식당과 같은 영역에서 손님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음식이 나오면 손님에게 전달해주는 서빙 로봇을 통해 적용되고 있다. A robot refers to a machine that has the ability to work on its own, and is currently being applied and utilized in various fields and environments. Among them, service-providing robots that replace human tasks or improve convenience are attracting attention. For example, in areas such as restaurants, it is being applied through a serving robot that receives an order from a customer and delivers the food to the customer.

하지만 아직까지는 항공기 내에서 제공되는 기내식은 승무원이 직접 기내식 카트를 끌고 다니며 손님들에게 주문을 받고 서빙을 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또한, 기내식 카트는 보통 20kg 내지 30kg로 상당한 무게를 지니고 있어, 승무원들의 건강과 기내에서의 사고예방을 위한 기내식 서빙 로봇이 활발하게 개발 및 연구 중이다.However, it is still common for flight attendants to take orders and serve in-flight meals to customers while driving in-flight carts. In addition, the in-flight meal cart usually has a considerable weight of 20 to 30 kg, so an in-flight meal serving robot for the health of crew member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in the cabin is being actively developed and research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8674호(레스토랑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시스템,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8.02.0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28674 (Intelligent service robot system for restaurants, Kyungnam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8.02.06) 미국등록특허공보 제7996109호(Robotic ordering and deliver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Aethon, Inc., 2011.08.09)US Patent Publication No. 7996109 (Robotic ordering and deliver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Aethon, Inc., 2011.08.09)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370634호(Airliner overhead meals delivery, Marian Zdzislaw Augustyniak, 2018.12.27)US Patent Publication No. 2018-0370634 (Airliner overhead meals delivery, Marian Zdzislaw Augustyniak, 2018.12.27)

카메라, 로봇암 및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자율적으로 승객에게 기내식을 전달 및 회수하는 서빙 로봇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are a serving robot and a control method that autonomously deliver and retrieve in-flight meals to passengers through a camera, a robot arm, and a plurality of sensors.

서빙 로봇의 일 실시예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기내식 트레이를 삽입하는 수용공간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의 모서리 및 복수의 층에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층은 복수개의 구획판을 통해 구분되어진 기내식 카트, 일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 지지부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로봇암, 기내식 카트 상단에 위치한 상단카메라 및 음성인식센서, 기내식 카트 하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퀴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부 및 상단카메라를 통해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확인 시 구동부로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정지한 후 음성인식센서에서 인식한 승객의 음성 신호를 통해 기내식을 선별 또는 회수에 대한 판단을 제어하며, 승객에게 기내식 트레이를 전달 또는 회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지지부 및 로봇암이 움직이도록 제어하고, 기내 트레이의 정상 전달 또는 정상 회수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serving robot, one side is open, one side is open, the accommodation space for inserting the in-flight meal tray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re are rails on the edge of one side and a plurality of layers. formed, and a plurality of layers are divided through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a support part connected to one side, a robot arm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and at least one camera, an upper part of the in-flight meal cart Through the upper camera and voice recognition sensor located in the in-flight cart, the driving unit and the upper camera form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flight cart, when a seat row arrives or a passenger encounter is confirmed, a stop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to control it to stop, Then, through the voice signal of the passenger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it controls the judgment on selecting or recalling the in-flight meal, and controls the support and robot arm to move based on the preset position to deliver or retrieve the in-flight meal tray to the passenger. ,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check whether the in-flight tray is normally delivered or retrieved normally.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는 일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레일과 연결되고, 레일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rail formed at the corner of one side,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rail.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팔 연장센서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로봇암 카메라일 수 있으며, 로봇암 카메라는 제1 사물인식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ensor may be an arm extension sensor, the at least one camera may be a robot arm camera, and the robot arm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bject recognition senso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로봇암은 360도 회전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복수의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레일을 통해 지지부 방향으로 이송된 기내식 트레이를 그립하는 그리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obot arm can rotate 360 degrees, can ope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urther includes a gripper for gripping the in-flight meal tray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through the second rail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may includ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카메라는 360도 회전할 수 있고, 3축 가속도센서 및 제2 사물인식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camera may rotate 360 degrees, and may further include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 second object recognition senso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는 동력전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에서 지지부 및 로봇암으로 움직임 신호를 전송하고, 동력전달장치에서 지지부 및 로봇암으로 동력을 전송하여, 지지부 및 로봇암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motion signal to the support unit and the robot arm, and transmit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to the support unit and the robot arm, thereby controlling vertical movement of the support unit and the robot arm.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승객 및 기내식 트레이의 위치를 고려한 연장 신호를, 팔 연장센서로 전송하여 로봇암을 연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bot arm to extend by transmitting an extension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and the in-flight meal tray to the arm extension sensor.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상단카메라로부터 객체인식을 통한 구동부의 자율주행 및 정지를 제어하는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unit GPU and a computing GPU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and stopping of the driving unit through object recognition from the upper camera.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주문을 받기 위해 음성인식센서를 제어하는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voice extraction GPU and a voice processing GPU for controlling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to receive an order.

서빙 로봇이 승객에게 기내식 트레이를 자율적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서빙 로봇이 이동 중 상단카메라를 통해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확인 시, 제어부의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에서 구동부로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음성인식센서에서 인식한 승객의 음성 신호를 제어부의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로 전송하고, 음성 신호를 주문 기내식명으로 처리함으로써 승객이 주문한 기내식에 대한 선별을 제어하는 단계, 선별된 기내식을 기내식 카트에서 꺼내기 위해 기내식 카트 일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레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제1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가 기내식이 위치한 층에 도달하면, 복수의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레일이 작동되어 기내식 트레이를 지지부 측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기내식 트레이를 로봇암의 그리퍼가 그립하고, 승객의 위치를 고려한 연장 신호를 팔 연장센서로 전송하여 로봇암을 연장하며, 승객에게 이송 완료 시 로봇암 카메라 및 제1 사물인식센서를 통해 정상 전달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미리 구축된 좌석 별 기내식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실제로 전달된 기내식 트레이의 수를 비교하여 오차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ing robot to autonomously deliver the in-flight meal tray to the passenger is when the serving robot arrives at the seat or checks the passenger encounter through the top camera while moving, from the power unit GPU of the control unit and the computing GPU to the driving unit. Transmitting a stop signal to control to stop, transmitting the passenger's voice signal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to the voice extraction GPU and voice processing GPU of the control unit, and processing the voice signal as the name of the in-flight meal ordered by the passenger Controlling the sorting, controlling the first rail formed at the edge of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to move up and down in order to take the selected in-flight meal out of the in-flight meal cart, and the support connected to the first rail is located on the floor where the meal is located When reaching , the second rail formed in the plurality of layers is operated to control the transport of the in-flight tray to the support side, the gripper of the robot arm grips the in-flight tray, and an extension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s sent to the arm extension sensor The robot arm is extended by sending it to the passenger, and when the transfer is completed to the passenger, the robot arm camera and the first object recognition sensor control to check whether normal delivery is carried out. Comparing the number of in-flight meal trays may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error.

서빙 로봇이 식사 종료된 승객의 기내식 트레이를 자율적으로 회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서빙 로봇이 이동 중 상단카메라를 통해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확인 시, 제어부의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에서 구동부로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음성인식센서에서 인식한 승객의 음성 신호를 제어부의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로 전송하고, 음성 신호를 식사 종료로 처리함으로써 승객의 기내식 트레이 회수에 대한 판단을 제어하는 단계, 승객의 식사가 종료되었을 시, 승객의 위치를 고려한 연장 신호를 팔 연장센서로 전송하여 로봇암을 연장하고, 로봇암의 그리퍼를 통해 승객의 기내식 트레이를 그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기내식 트레이를 그립하면, 기내식 카트의 일측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레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제1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가 삽입가능한 층에 도달하면, 로봇암이 기내식 트레이를 기내식 카트에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기내식 트레이의 삽입 완료 시, 로봇암 카메라 및 제1 사물인식센서를 통해 정상 삽입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ing robot to autonomously retrieve the in-flight meal tray of the passenger after the meal is completed is the power unit GPU and computing GPU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serving robot arrives at the seat or checks the passenger encounter through the upper camera while moving. Transmitting a stop signal to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o stop, transmitting the passenger's voice signal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to the voice extraction GPU and voice processing GPU of the control unit, and processing the voice signal as the end of the meal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ecision on recall, when the passenger's meal is finished, transmits an extension signal considering the passenger's position to the arm extension sensor to extend the robot arm, and to grip the passenger's meal tray through the gripper of the robot arm Controlling, when the in-flight meal tray is gripped, the first rail formed at the edge of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is controlled to move up and down, and when the support connected to the first rail reaches the insertable layer, the robot arm Controlling the in-flight meal tray to be inserted into the in-flight meal cart and, upon completion of the insertion of the in-flight meal tray, may include controlling to check whether the in-flight meal tray is normally inserted through the robot arm camera and the first object recognition sensor.

전달 및 회수 알고리즘을 구축함으로써 기내식 카트가 자율 주행하고, 각각 승객에게 해당되는 기내식을 승무원의 제어 없이 자율적으로 전달 및 회수하는 서빙 로봇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By building a delivery and retrieval algorith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ng robot and a control method that autonomously drive an in-flight meal cart and autonomously deliver and retrieve in-flight meals for each passenger without the control of a crew memb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내식 카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내식 카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일에 연결된 지지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암 팔의 연장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구축된 좌석 별 기내식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이 기내식을 승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이 기내식을 승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이 승객으로부터 기내식을 회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이 승객으로부터 기내식을 회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is a front view of an in-flight meal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of an in-flight meal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n operation view illustrating that the support connected to the first rail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n operation view illustrating an extension of a robot arm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pre-built in-flight meal database for each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rving robot delivers an in-flight meal to a passeng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rving robot delivers an in-flight meal to a passe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rving robot retrieves in-flight meals from a passeng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2 is an operation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rving robot collects in-flight meals from passe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 및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a serving robot and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in each drawing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의 전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서빙 로봇(1)은 기내식 카트(10), 기내식 카트(10) 일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20), 지지부 상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로봇암(30), 기내식 카트(10) 상단에 위치한 상단카메라(40) 및 음성인식센서(50), 기내식 카트(10) 하단에 위치하는 복수의 바퀴(63)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부(60) 및 상단카메라를 통해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확인 시 구동부로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정지한 후 음성인식센서에서 인식한 승객의 음성 신호를 통해 기내식을 선별 또는 회수에 대한 판단을 제어하며, 승객에게 기내식 트레이를 전달 또는 회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지지부 및 로봇암이 움직이도록 제어하고, 기내 트레이의 정상 전달 또는 정상 회수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serving robot 1 includes an in-flight meal cart 10, a support 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and located on the support, at least one sensor and at least one camera A robot arm 30, an upper camera 40 and a voice recognition sensor 50 located at the top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and a driving unit 60 formed of a plurality of wheels 63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 and the upper camera to transmit a stop signal to the driving unit when a seat row arrival or passenger encounter is confirmed and control to stop. A control unit 70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unit and the robot arm based on a preset position to deliver or retrieve the in-flight tray to the passenger, and control to check whether the in-flight tray is normally delivered or retrieved. can

또한, 로봇암(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팔 연장센서(37)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로봇암 카메라(33)일 수 있으며, 로봇암 카메라(33)는 제1 사물인식센서(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robot arm 30 may be an arm extension sensor 37 , the at least one camera may be a robot arm camera 33 , and the robot arm camera 33 may be a first object. A recognition sensor 35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로봇암 카메라(33)는 바코드센서 및 QR코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센서 및 QR코드센서를 통해 추가적으로 기내식을 선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arm camera 33 may further include a barcode sensor and a QR code sensor. Additional in-flight meals can be selected through barcode sensors and QR code sensors.

또한, 로봇암(30)은 360도 회전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기내식 트레이를 그립하는 그리퍼(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arm 30 may rotate 360 degrees and ope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gripper 31 for gripping the in-flight meal tray.

또한, 상단카메라(40)는 360도 회전하고 3축 가속도센서(41) 및 제2 사물인식센서(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amera 40 may rotate 360 degrees and further include a 3-axis acceleration sensor 41 and a second object recognition sensor 43 .

또한, 구동부(60)는 동력전달장치(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61 .

또한, 제어부(70)는 상단카메라(40)로부터 객체인식을 통한 구동부(60)의 자율주행 및 정지를 제어하는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unit GPU and computing GPU 71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and stopping of the driving unit 60 through object recognition from the upper camera 40 .

또한 제어부(70)는 주문을 받기 위해 음성인식센서(50)를 제어하는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extraction GPU and a voice processing GPU 73 for controlling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50 to receive an ord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의 사시도이다. 다만,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형태로 도출할 수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r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IG. 2 is only a series of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rived in different forms.

도 2를 참조하면, 서빙 로봇(1)은 기내식 카트(10), 지지부(20), 로봇암(30), 상단카메라(40), 구동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암(30), 상단카메라(40), 구동부(60) 및 제어부(70)가 포함하는 각각의 센서, 장치 또는 GPU는 도면 상에는 개시하지 않았지만, 이상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serving robot 1 may include an in-flight meal cart 10 , a support unit 20 , a robot arm 30 , an upper camera 40 , a driving unit 60 , and a control unit 70 . Each sensor, device, or GPU included in the robot arm 30, the upper camera 40, the driving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70 is not disclosed on the drawing, bu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bove, so it will be omitted. do.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1)의 사시도로써, 이상에서 언급한 상이한 형태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rving robot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examples of the different types mentioned above.

도 3을 참조하면, 서빙 로봇(1)의 다른 실시예는 지지부(20)를 기준으로 양 측에 각각 기내식 카트(10)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nother embodiment of the serving robot 1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in-flight meal cart 10 to both sides based on the support 2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내식 카트(10)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기내식 카트(10)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is open, and an accommodation sp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formed therein.

또한, 복수의 층은 복수개의 구획판을 통해 구분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ayers may be divided through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또한, 일측면의 모서리에는 제1 레일(11)이 형성되고, 복수의 층에는 제2 레일(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ail 11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one side, and the second rail 13 may be formed on the plurality of layers.

또한, 복수개의 구획판은 제2 레일(13)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구획판 및 제2 레일(13)은 컨베이어 벨트로 대체될 수 있다.Also, the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rail 13 , and the partition plate and the second rail 13 may be replaced by a conveyor bel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내식 카트(10)의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기내식 카트(10)의 복수의 층은 복수개의 구획판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닌 기내식 카트(10) 양 측면에 일정 길이만큼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lurality of layers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may be divided by forming grooves of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 rather than being divid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일(11)에 연결된 지지부(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6 is an operation view illustrating that the support part 20 connected to the first rail 1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20)는 기내식 카트(10) 일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레일(11)과 연결되고, 제1 레일(11)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upport unit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rail 11 formed at the corner of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 and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rail 11 .

또한, 제어부(70)에서 제1 레일(11)으로 움직임 신호를 전송하고, 동력전달장치(61)에서 제1 레일(11)로 동력을 전송하여, 지지부(2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ransmitting a mo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0 to the first rail 11 , and transmitt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61 to the first rail 11 ,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upport unit 20 can be controlled. hav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암 팔의 연장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7 is an operation view showing the extension of the robot arm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로봇암 팔은 안테나 형태이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robot arm is in the form of an antenna, and the length can be adjusted.

또한, 제어부(70)에서 승객 및 기내식 트레이의 위치를 고려한 연장 신호를 팔 연장센서(37)로 전송하여 로봇암 팔을 연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 may extend the robot arm arm by transmitting an extension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passenger and the in-flight meal tray to the arm extension sensor 37 .

또한, 제어부(70)에서 로봇암(30)으로 움직임 신호를 전송하고, 동력전달장치(61)에서 로봇암(30)으로 동력을 전송하여 로봇암(3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 may transmit a motion signal to the robot arm 30 and transmit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61 to the robot arm 30 to control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bot arm 30 .

또한, 그리퍼(31)의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형태로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gripper 31 is only a series of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rived in a different shap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 구축된 좌석 별 기내식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pre-built in-flight meal database for each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승객이 탑승 전 기내식을 예약하면, 기내의 좌석도 상에 해당 좌석에 해당되는 승객의 기내식명이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서빙 로봇(1)은 가1 좌석에는 A 기내식, 다3 좌석에는 B 기내식, 라6 좌석에는 C 기내식을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when a passenger makes a reservation for an in-flight meal before boarding, the name of the passenger's in-flight me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eat may be input and stored on the seat map of the cabin. Based on this database, the serving robot 1 can deliver the A1 in-flight meal to the A1 seat, the B in-flight meal to the C3 seat, and the C in-flight meal to the D6 sea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1)이 기내식을 승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rving robot 1 delivers in-flight meals to passe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서빙 로봇(1)이 승객에게 기내식 트레이를 자율적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은, 서빙 로봇(1)이 이동 중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시 정지하는 단계(S100), 승객의 주문을 받고 주문한 기내식을 선별하는 단계(S200), 기내식이 담긴 트레이를 지지부(20) 측으로 이송하는 단계(S300), 로봇암(30)을 통해 승객에게 전달하고, 정상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0) 및 데이터베이스 및 실제 전달된 기내식 수를 비교하여 오차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ing robot 1 to autonomously deliver an in-flight meal tray to a passenger is a step in which the serving robot 1 stops when a seat row arrives or encounters a passenger during movement (S100), the passenger Steps of receiving the order of and selecting the ordered in-flight meals (S200), transferring the tray containing the in-flight meals to the support unit 20 side (S300), delivering them to the passenger through the robot arm 30, and checking whether normal delivery (S400) and comparing the database and the number of meals actually delivered may include a step (S500)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rror.

또한, 서빙 로봇(1)이 이동 중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시 정지하는 단계(S100)는 3축 가속도 센서(41) 및 제2 사물인식센서(43)를 통해 좌석열 및 승객을 포함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제어부(70)의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71)에서 구동부(60)로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100) of the serving robot 1 stopping when a seat row arrives or a passenger encounters an object including a seat row and a passenger through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41 and the second object recognition sensor 43 during movement (S100) can be recognized, and may include controlling to stop by transmitting a stop signal from the power unit GPU and computing GPU 71 of the control unit 70 to the driving unit 60 .

또한, 승객의 주문을 받고 주문한 기내식을 선별하는 단계(S200)는 음성인식센서(50)에서 인식한 승객의 음성 신호를 제어부의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73)로 전송하고, 음성 신호를 주문 기내식명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200) of receiving the passenger's order and selecting the ordered in-flight meal transmits the passenger's voice signal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50 to the voice extraction GPU and the voice processing GPU 73 of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cessing the order as an in-flight meal name.

또한, 기내식이 담긴 트레이를 지지부(20) 측으로 이송하는 단계(S300)는 선별된 기내식을 기내식 카트에서 꺼내기 위해 기내식 카트 일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레일(1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제1 레일(11)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20)가 기내식이 위치한 층에 도달하면, 해당 층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레일(13)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S300) of transferring the tray containing the in-flight meal to the support unit 20 side, the first rail 11 formed at the edge of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ake the selected in-flight meal out of the in-flight meal cart. and controlling, when the support 20 connected to the first rail 11 reaches the floor where the in-flight meal is located, controlling the second rail 13 formed on the floor to operate. .

또한, 로봇암(30)을 통해 승객에게 전달하고, 정상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0)는 기내식 트레이를 로봇암(30)의 그리퍼(31)가 그립하고, 승객의 위치를 고려한 연장 신호를 팔 연장센서(37)로 전송하여 로봇암(30)을 연장하며, 승객에게 이송 완료 시 로봇암 카메라(33) 및 제1 사물인식센서(35)를 통해 정상적으로 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S400) of delivering to the passenger through the robot arm 30 and checking whether normal delivery is performed, the gripper 31 of the robot arm 30 grips the in-flight tray, and an extension signal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s appli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extending the robot arm 30 by transmitting it to the arm extension sensor 37, and checking whether the transfer to the passenger is completed normally through the robot arm camera 33 and the first object recognition sensor 35. hav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이 기내식을 승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0에 대한 전달 과정은 이상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서빙 로봇(1)이 자율적으로 기내식을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10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rving robot delivers an in-flight meal to a passe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process for FIG. 10 will be omitted since the process of autonomously delivering the in-flight meal by the serving robot 1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이 승객으로부터 기내식을 회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rving robot collects in-flight meals from passe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서빙 로봇(1)이 이동 중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시 정지하는 단계(S100), 승객의 식사 종료 여부 및 기내식 트레이 회수 여부 판단하는 단계(S600), 로봇암(30)을 통해 기내식 트레이를 그립하는 단계(S700), 기내식 트레이를 회수하여 기내식 카트(10)에 삽입하는 단계(S800) 및 기내식 트레이의 정상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step of stopping the serving robot 1 when a seat row arrives or encounters a passenger during movement (S100),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ssenger's meal is finished and whether the in-flight meal tray is retrieved (S600), the robot arm (30) It may include a step of gripping the in-flight meal tray through (S700), a step of recovering the in-flight meal tray and inserting it into the in-flight meal cart 10 (S800), and a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flight meal tray is normally inserted (S900).

또한, 서빙 로봇(1)이 이동 중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시 정지하는 단계(S100)는 3축 가속도 센서(41) 및 제2 사물인식센서(43)를 통해 좌석열 및 승객을 포함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제어부(70)의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71)에서 구동부(60)로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100) of the serving robot 1 stopping when a seat row arrives or a passenger encounters an object including a seat row and a passenger through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41 and the second object recognition sensor 43 during movement (S100) can be recognized, and may include controlling to stop by transmitting a stop signal from the power unit GPU and computing GPU 71 of the control unit 70 to the driving unit 60 .

또한, 승객의 식사 종료 여부 및 기내식 트레이 회수 여부 판단하는 단계(S600)는 음성인식센서(50)에서 인식한 승객의 음성 신호를 제어부(70)의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73)로 전송하고, 음성 신호를 식사 종료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S6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ssenger's meal is finished and whether the in-flight meal tray is retrieved, the passenger's voice signal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50 is transmitted to the voice extraction GPU of the control unit 70 and the voice processing GPU 73 . and processing the voice signal as the end of the meal.

또한, 로봇암(30)을 통해 기내식 트레이를 그립하는 단계(S700)는 승객의 식사가 종료되었을 시 승객의 위치를 고려한 연장 신호를 팔 연장센서(37)로 전송하여 로봇암(30)을 연장하고, 로봇암(30)의 그리퍼(31)를 통해 승객의 기내식 트레이를 그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gripping the in-flight meal tray through the robot arm 30 (S700), when the passenger's meal is finished, an extension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passenger's position is transmitted to the arm extension sensor 37 to extend the robot arm 30 and controlling the gripper 31 of the robot arm 30 to grip the passenger's in-flight meal tray.

또한, 기내식 트레이를 회수하여 기내식 카트(10)에 삽입하는 단계(S800)는 기내식 트레이를 그리퍼(31)가 그립하면, 기내식 카트(10)의 일측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레일(1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제1 레일(11)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20)가 삽입가능한 층에 도달하면, 로봇암(30)이 기내식 트레이를 기내식 카트(10)에 삽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S800) of recovering the in-flight meal tray and inserting it into the in-flight meal cart 10 is when the gripper 31 grips the in-flight meal tray, the first rail 11 formed at the edge of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10 This is controll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support part 20 connected to the first rail 11 reaches the insertable layer, the robot arm 30 controls the in-flight meal tray to be inserted into the in-flight meal cart 10 . may include steps.

또한, 기내식 트레이의 정상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900)는 기내식 트레이의 삽입 완료 시 로봇암 카메라(33) 및 제1 사물인식센서(35)를 통해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flight meal tray is normally inserted (S900) is a step of controlling to check whether the in-flight meal tray is normally inserted through the robot arm camera 33 and the first object recognition sensor 35 when the insertion of the in-flight tray is completed. may includ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로봇이 승객으로부터 기내식을 회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2에 대한 회수 과정은 이상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서빙 로봇(1)이 자율적으로 기내식을 회수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12 is an operation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rving robot collects in-flight meals from passe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very process of FIG. 12 will be omitted since the process of autonomously recovering in-flight meals by the serving robot 1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above.

1: 서빙 로봇
10: 기내식 카트
11: 제1 레일
13: 제2 레일
20: 지지부
30: 로봇암
31: 그리퍼
33: 로봇암 카메라
35: 제1 사물인식센서
37: 팔 연장센서
40: 상단카메라
41: 3축 가속도 센서
43: 제2 사물인식센서
50: 음성인식센서
60: 구동부
61: 동력전달장치
63: 바퀴
70: 제어부
71: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
73: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
1: Serving Robot
10: In-flight meal cart
11: first rail
13: second rail
20: support
30: robot arm
31: gripper
33: robot arm camera
35: first object recognition sensor
37: arm extension sensor
40: top camera
41: 3-axis acceleration sensor
43: second object recognition sensor
50: voice recognition sensor
60: drive unit
61: power train
63: wheel
70: control unit
71: Power unit GPU and compute GPU
73: speech extraction GPU and speech processing GPU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서빙 로봇이 승객에게 기내식 트레이를 자율적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빙 로봇이 이동 중 상단카메라를 통해 좌석열 도착 또는 승객 조우 확인 시, 제어부의 동력장치 GPU 및 컴퓨팅 GPU에서 구동부로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음성인식센서에서 인식한 상기 승객의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음성추출 GPU 및 음성처리 GPU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주문 기내식명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승객이 주문한 기내식에 대한 선별을 제어하는 단계;
선별된 상기 기내식을 기내식 카트에서 꺼내기 위해 상기 기내식 카트 일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레일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레일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가 상기 기내식이 위치한 층에 도달하면, 복수의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레일이 작동되어 상기 기내식 트레이를 상기 지지부 측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내식 트레이를 로봇암의 그리퍼가 그립하고, 상기 승객의 위치를 고려한 연장 신호를 팔 연장센서로 전송하여 상기 로봇암을 연장하며, 상기 승객에게 이송 완료 시 로봇암 카메라 및 제1 사물인식센서를 통해 정상 전달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미리 구축된 좌석 별 기내식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실제로 전달된 상기 기내식 트레이의 수를 비교하여 오차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erving robot to autonomously deliver an in-flight tray to a passenger, the control method comprising:
controlling the serving robot to stop by transmitting a stop signal from the power unit GPU and the computing GPU of the control unit to the driving unit when a seat row arrival or passenger encounter is confirmed through the upper camera while the serving robot is moving;
transmitting the passenger's voice signal recognized by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to the voice extraction GPU and voice processing GPU of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selection of the in-flight meal ordered by the passenger by processing the voice signal as an ordered in-flight meal name;
In order to take out the selected in-flight meal from the in-flight meal cart, the first rail formed at the edge of one side of the in-flight meal cart is controll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pport connected to the first rail reaches the floor where the in-flight meal is located. When the second rail formed in the plurality of layers is operated, controlling the in-flight meal tray to be transferred to the support side;
A gripper of the robot arm grips the in-flight tray, an extension signal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is transmitted to the arm extension sensor to extend the robot arm, and when the transfer to the passenger is completed, the robot arm camera and the first object recognition sensor Controlling to check whether normal delivery through; and
Controlling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error by comparing the database and the number of in-flight meal trays actually delivered based on a previously built in-flight meal database for each seat;
Including, a control method.
삭제delete
KR1020200025564A 2020-02-28 2020-02-28 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92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564A KR102292795B1 (en) 2020-02-28 2020-02-28 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564A KR102292795B1 (en) 2020-02-28 2020-02-28 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795B1 true KR102292795B1 (en) 2021-08-23

Family

ID=7749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564A KR102292795B1 (en) 2020-02-28 2020-02-28 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79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5500A (en) * 2021-12-23 2022-02-18 菏泽学院 Automatic food delivery robot
KR102438742B1 (en) * 2022-01-17 2022-08-31 주식회사 워커스하이 Unmanned Robot Serving System
KR20240024510A (en)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Object gripping robot and object transportation method ther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276A (en) * 1996-03-30 1997-10-14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Carrying robot system
KR101777506B1 (en) * 2016-03-24 2017-09-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Arm of a robot for having multi joints
KR101828674B1 (en) 2016-03-31 2018-02-1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gent service robot system for restaur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276A (en) * 1996-03-30 1997-10-14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Carrying robot system
KR101777506B1 (en) * 2016-03-24 2017-09-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Arm of a robot for having multi joints
KR101828674B1 (en) 2016-03-31 2018-02-12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gent service robot system for restaura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370634호(Airliner overhead meals delivery, Marian Zdzislaw Augustyniak, 2018.12.27)
미국등록특허공보 제7996109호(Robotic ordering and delivery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Aethon, Inc., 2011.08.0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5500A (en) * 2021-12-23 2022-02-18 菏泽学院 Automatic food delivery robot
KR102438742B1 (en) * 2022-01-17 2022-08-31 주식회사 워커스하이 Unmanned Robot Serving System
KR20240024510A (en)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Object gripping robot and object transportation method ther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795B1 (en) Serv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12500B2 (en) Automated system for transporting payloads
CN109279252B (en) Cargo picking system and method
US10994930B2 (en) Replenishment and order fulfillment system
US20200002094A1 (en) Method and dispensing station for distributing articles
CN108408315B (en) Conveying equipment
US9957107B2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CN103889864B (en) Method for providing delivery unit from warehouse
JP2022089860A (en) Storage and delivery system
CN110356752B (en) Goods 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CN112770990A (en) Collaborative automated logistics facility
CN111232884B (en) Autonomo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5232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sequencing luggage items
WO2021252756A1 (en) Automated delivery vehicle
JP2023517355A (en) Baggage and parcel handling system
EP3816079A1 (en) Bag supply system
CN108217358A (en) For empty lift car and the Motion trajectory of lift car is occupied
EP2918519A1 (en) Automated system for transporting payloads
JP2022093572A (en) Picking facility
WO2022207574A1 (e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3791969B1 (en) A conveyor sorting device and method
JP2021095250A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7402568B1 (en) Conveyance system, conveyance method
JP2022039254A (en) Load conveyance system, load conveyance method and load conveyance program
KR20240031913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