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114B1 - A home camera apparatus - Google Patents

A home camera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114B1
KR102237114B1 KR1020150015957A KR20150015957A KR102237114B1 KR 102237114 B1 KR102237114 B1 KR 102237114B1 KR 1020150015957 A KR1020150015957 A KR 1020150015957A KR 20150015957 A KR20150015957 A KR 20150015957A KR 102237114 B1 KR102237114 B1 KR 10223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mera
ho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4679A (en
Inventor
박정웅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114B1/en
Publication of KR2016009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9Remote control of cameras, e.g. remote orientation or image zooming control for a PTZ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카메라 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상기 단말기를 인식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등록된 상기 단말기를 인식할 때, 상기 영상 획득부의 상기 감시 영역의 촬영을 중지시키는, 홈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termi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photographs a surveillance area to generate image data, a camer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with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recognize the registered terminal. A home camera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home camera including a camera control unit, wherein the camera control unit, when recognizing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monitoring area, stops photographing of the surveillance area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About.

Description

홈 카메라 장치{A home camera apparatus}Home camera apparatus

본 발명은 홈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영역 내에 있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홈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camer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camera device for protecting the privacy of a user in a surveillance area.

최근에는 방범, 자녀 관찰 등의 목적을 위해 집 안에서도 홈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휴대 전화,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집 안은 물론이고 집 밖에서도 집 안의 홈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Recently, home cameras are being installed inside the house for crime prevention and observation of children.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mages captured by a home camera inside the house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not only inside the house but also outside the house using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computers.

이러한 홈 카메라는 사용자가 집 안에 있을 경우에도 촬영을 계속하며 홈 카메라의 촬영을 정지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버시 모드 버튼을 눌러 감시 카메라의 촬영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home camera continues to shoot even when the user is in the house, and in order to stop the home camera from being photographed, the surveillance camera may stop photographing by pressing the privacy mode button.

하지만, 사용자가 외출 및 귀가 시 마다 홈 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모드 버튼을 눌러 홈 카메라가 프라이버시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very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press the privacy mode button of the home camera every time the user goes out and returns to the home camera to perform the privacy mode.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외부에서 집 안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집 안에 있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n the house feels uncomfortable.

한국 공개 공보 제10-2006-0022843호) (2006.03.13 공개)Korea Open Publication No. 10-2006-0022843) (published on March 13, 20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시 영역 내에 있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홈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camera device for protecting the privacy of a user in a surveillance area.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장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제1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통신하는 카메라 통신부;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를 인지하고, 상기 카메라 통신부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m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area; A camera communication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communicates with the network; And recogniz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exists in the monitoring area, determining whether to register the first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and determining that the first terminal is registered. , And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perate in a privacy mo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가 상기 감시 영역의 촬영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ler controls the image acquisition unit to stop capturing the surveillance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기가 미등록되었거나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감시 영역 외부에 존재하는 등록된 제2 단말기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통신부가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terminal is unregistered or does not exist in the monitoring area, when a remote access signal is received from a registered second terminal outside the monitoring area, the camera control unit,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o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식별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등록된 것으로 인식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he camera control unit compare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first terminal is registe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상기 감시 영역 외에 존재하는 등록된 제2 단말기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통신부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privacy mode, when a remote access signal is received from a registered second terminal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the camera control unit transmits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Control to do 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시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는 미등록된 제2 단말기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통신부가 미등록된 상기 제2 단말기로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remote access signal is received from an unregistered second terminal existing outside the monitoring area, the camera control unit causes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to the unregistered second terminal. Control.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홈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home camer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등록된 단말기를 가진 사용자가 집 안에 있을 시, 자동적으로 홈 카메라의 촬영을 중지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When a user with a registered terminal is in the hous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tecting privacy by automatically stopping shooting of the home camera.

집 밖에 있는 사용자가 홈 카메라를 통해 집 안을 모니터링을 할 때, 집 안에 있는 사용자의 승인을 얻도록 하여, 집 안에 있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When a user outside the house monitors the inside of the house through a home camera,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inside the house by obtaining the approval of the user inside the hou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의 홈 카메라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의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 내에 등록된 단말기가 있을 때, 홈 카메라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 내에 등록된 단말기가 없을 때,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가 홈 카메라에 원격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camera of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home camera when there is a registered terminal in a monitoring area in the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motely accessing a home camera by a terminal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when there is no terminal registered in the surveillance area in the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in the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r does not preclude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홈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home camera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의 홈 카메라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의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ome camera of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of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10)은 감시 영역(S)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카메라(100),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1 to 3, a home camera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home camera 100 for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area S, and at least one termi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200.

또한, 홈 카메라 시스템(10)은 홈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 및/또는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홈 카메라(100) 내의 저장부(140)와 별도로 저장하는 서버(30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me camera system 10 includes a server 300 that stores image data captured by the home camera 100 and/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separately from the storage unit 140 in the home camera 100. Include more.

홈 카메라(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와 같은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더넷(Ethernet),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무선 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통신망일 수도 있다. The home camera 100, the terminal 200, and the server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Here, the network i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or 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GS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thernet,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Wireless LAN, Bluetooth, and Wi-Fi It may be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mplements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reless Fidelity),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Wireless Broadband (WiBro).

홈 카메라는 건물 또는 특정 지역의 내부나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영상 데이터화한다. 홈 카메라는 실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더 유닛과 영상 데이터를 서버나 사용자의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camera acquires an image inside or outside a building or a specific area and converts it into image data. The home camera may include a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an actual image, an encoder unit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to generate data as an analog or digital image, and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that transmits image data to a server or a user's terminal.

예를 들어, 복수의 홈 카메라(100)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광학 렌즈, CCD등과 같은 촬상 소자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카메라 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may be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 all known camera unit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imaging devices such as CCDs, etc. It can be a concept.

복수의 홈 카메라(100)는 서로 다른 감시 영역(S)을 촬영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홈 카메라(100)는 설치된 지점에서 일정한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에는 다양한 피사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피사체는 사람 이외에도 다양한 물체가 포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to photograph different surveillance areas (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may generate image data of a certain area at an installed point. The image data may include various subjects, and the subject may include various objects in addition to people.

또한, 복수의 홈 카메라(100)는 액추에이터 등의 구동 수단을 포함하며, 소정의 회전 축을 따라 다른 각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include driving means such as an actuator, and may rotate to obtain images of different angles along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복수의 홈 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 및/또는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and/or the user's terminal 200 through a network.

홈 카메라(100)는 감시 영역(S)을 촬영하여 등록된 단말기(200)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등록된 단말기(200)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홈 카메라(100)에서 감시 영역(S)의 촬영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여, 감시 영역(S)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시 영역(S)은 실내 공간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시 영역(S)은 실외 공간이 될 수도 있다.The home camera 100 serves to capture the surveillance area S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user having the registered terminal 200 can view the captured image of the surveillance area S in the home camera 100, so that the situation of the surveillance area S can be grasp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area S is an indoor space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nitoring area S may be an outdoor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홈 카메라 시스템(10)은 두 개의 홈 카메라(100)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카메라 시스템(10)은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홈 카메라(1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camera system 10 includes two home cameras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me camera system 10 includes one or three or more It may include a home camera 100.

감시 영역(S) 내에 배치된 복수의 홈 카메라(100)는 공유기 등과 같은 접속 중계기를 통해 무선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유선 랜 등을 통해 유선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홈 카메라(100) 중 어느 하나에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가 등록된 때,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는 무선 및/또는 유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홈 카메라(10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모든 홈 카메라(100)에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disposed in the monitoring area S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repeater such as a router or the like,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LAN or the like. Accordingly,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other home camera 100 through a wireless and/or wired network. Can be transmitted and stored. That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synchronized with all the home cameras 100.

뿐만 아니라, 복수의 홈 카메라 중 어느 하나가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를 인식하여 인식 정보를 생성한 경우, 인식 정보는 무선 및/또는 유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홈 카메라(10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모든 홈 카메라(100)에 인식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어, 모든 홈 카메라(100)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 및/또는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recognizes the registered terminal in the surveillance area S and generates recognition information,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home camera 100 through a wireless and/or wired network. Can be transmitted and stored. That i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synchronized with all the home cameras 100, so that all the home cameras 100 may enter and/or release the privacy mode.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인식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고, 서버(300)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와 인식 정보는 다시 다른 홈 카메라(100)로 전송되어 모든 홈 카메라(100)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카메라(100)는 영상 획득부(110), 카메라 통신부(130, 도 2 참조) 및 카메라 제어부(120,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홈 카메라(100)는 저장부(140,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certain embodimen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300 are again different home cameras. It is transmitted to 100 so that all home cameras 100 can be synchronized. Referring to FIG. 2, the home camera 10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see FIG. 2 ), and a camera controller 120 (see FIG. 2 ). In addition, the home camera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40 (refer to FIG. 2 ).

영상 획득부(110)는, 감시 영역(S)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감시 영역(S)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이 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serves to generate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urveillance area 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image sensor disposed in the surveillance area S. The type of the image sens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image sensor may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or the like.

영상 획득부(110)는, 획득된 영상은 데이터 전송이 용이하도록 영상을 압축한 압축 포맷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압축 포맷 형태의 영상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또는 MPEG-4 등의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convert the acquired image into a compressed format in which the image is compressed to facilitate data transmission.  video   data in the form of a compression format may have various formats such as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or MPEG-4.

카메라 통신부(130)는,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메라 통신부(13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등록된 단말기(200)로 영상 획득부(11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단말기(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serves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200 and/or the server 300 as described later.

카메라 통신부(13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통신부(130)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등의 무선 통신모듈 유선 랜(LAN)과 같은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Wi-Fi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Bluetooth), Zigbee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etc.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red LAN.

예를 들면, 카메라 통신부(130)는 감시 영역(S) 내에서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감시 영역(S) 내의 단말기(200)와 통신을 한다. 이때, 카메라 통신부(13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감시 영역(S) 내의 단말기(200)와 통신을 한다. For example,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00 in the surveillance area S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in the surveillance area S. In this case,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카메라 통신부(130)는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 및/또는 서버(300)와 광역 통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통신부(130)는 감시 영역 내외의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영역 내외의 단말기(200)로 감시 영역(S)의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perform wide are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200 and/or the server 300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through a wide are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the like. Accordingly,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inside and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In addition, the captured image of the surveillance area S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inside and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또한, 카메라 통신부(130)는 감시 영역 내외의 단말기(200)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 원격 접속 승인 신호, 원격 접속 허용 신호, 원격 접속 거부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and receive a remote access signal,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a remote access permission signal,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and the like from the terminals 200 inside an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예를 들면, 카메라 통신부(130)는,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통신부(130)는 감시 영역(S) 내의 단말기(200)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감시 영역(S) 내의 단말기(200)로부터 원격 접속 허용 신호가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통신부(130)는,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a remote access signal from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In addition,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to the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and a remote access permission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In addition,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terminal 200.

저장부(140)는, 카메라 통신부(130)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의 등록을 요청할 때,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40 serves to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For example, when a user requests registr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he camera control unit 12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in the storage unit 140.

또한, 저장부(140)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140)는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erve to temporarily store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d the storage unit 140 It stores recognition information.

저장부(140)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volatile memories such as D-RAM and S-RAM, as well as nonvolatile memories such as magnetic disks and solid state disks.

저장부(140)에 저장된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 촬영한 영상 데이터, 감시 영역(S) 내의 카메라 인식 정보 등은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300)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바로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captured image data, and camera recognition information in the monitoring area S may be stored in the server 300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In additi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may be temporarily stored and then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카메라 제어부(120)는 영상 획득부(110) 및 카메라 통신부(130)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지를 판단한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대응될 때, 등록된 단말기(200)로 판단한다. The camera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d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e camera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corresponds to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s used.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할 때, 영상 획득부(110)에서의 감시 영역(S)의 촬영을 중지시킨다. 즉, 홈 카메라(100)는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영상 획득부(110)의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해킹 등을 통한 외부 접속으로도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mera controller 120 recognizes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surveillance area S,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stops photographing the surveillance area S. That is, the home camera 100 enters the privacy mod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stops driving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so that privacy can be protected even through external access through hacking or the like.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할 때, 저장부(14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즉, 홈 카메라(100)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하는 때에, 카메라 제어부(120)는 영상 획득부(110) 및/또는 저장부(30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mera controller 120 recognizes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driving of the storage unit 140 may be stopped. That is, when the home camera 100 enters the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ler 120 may stop driving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d/or the storage unit 300.

여기서,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한다는 것은, 감시 영역(S) 내에서 수신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Here, recognizing the terminal 200 registered in the monitoring area (S) means a cas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monitoring area (S)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 matter.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할 때,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recognizing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ntroller 120 may generate and store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40.

또한, 복수의 홈 카메라(100) 중 어느 하나가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를 인식할 때,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다른 홈 카메라(100)로 생성된 인식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모든 홈 카메라(100)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recognizes a terminal registered in the surveillance area S, the camera control unit 120 is generated by the other home camera 100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 recognition information. Accordingly, all home cameras 100 can enter the privacy mode.

소정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 카메라(100) 중 어느 하나가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할 때,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300)로 생성된 인식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300)에 전송된 인식 정보는 다시 다른 홈 카메라(10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모든 홈 카메라(100)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는 감시 영역(S) 내에 여러 대의 홈 카메라(100)를 설치할 경우, 홈 카메라(100) 간의 동기화 등이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인식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공유함으로써, 모든 홈 카메라(100)가 프라이버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In certain embodiments,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recognizes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ntrol unit 120 transmits the server ( 3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recogni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is transmitted to another home camera 100 again. Accordingly, all home cameras 100 can enter the privacy mode. This is because when several home cameras 100 are installed in the monitoring area S,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ome cameras 100 may not be easy, so by storing and sharing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n the server, all the home cameras 100 Allows you to enter privacy mode.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한 상태에서 감시 영역 외에서 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 신호가 입력될 때,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는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을 승인 여부를 묻는 내용을 포함한다.When the remote access signal of the terminal 200 register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is input while recognizing the terminal 200 registered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ntrol unit 120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Here, the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includes content asking whether to approve the remote access of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로부터 원격 접속 허용 신호를 수신할 때,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로부터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수신할 때,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을 거부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remote access permission signal from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ntroller 120 may allow remote access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However, when receiving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from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ntroller 120 may reject remote access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 승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감시 영역 내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By allowing the user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o select whether to approve the remote access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in the monitoring area.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감시 영역 외에서 미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미등록된 단말기(200)로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camera control unit 120, when the remote access signal of the unregistered terminal 200 is input outside the monitoring area without recognizing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rough this,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nregistered terminal 200.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한 상태에서 감시 영역 외에서 미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미등록된 단말기(200)로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 없이 바로 미등록된 단말기(200)로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when a remote access signal of the unregistered terminal 200 is input outside the monitoring area while recognizing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e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nregistered terminal 200 through the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camera controller 120 may transmit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to the unregistered terminal 200 immediately without transmitting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S)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0)를 인식하지 못한 때,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does not recognize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can transmit image data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have.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유선 및/또는 무선 송수신 단말기(200)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단말기(2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개개인이 거의 모두 휴대하고 있는 통신 기기인 휴대폰이나 집집마다 하나씩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The terminal 200 is a wired and/or 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terminal 200 that a user can carry, and may perform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is irrelevant of any type as long as it can perform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terminal 200 may be a mobile phone, which is a communication device almost all of an individual carries, or a computer possessed by one for each ho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시 영역 외에 있는 단말기(200)는 서버(300)에서 ID/Pass 인증을 거친 후, 서버(300)로부터 홈 카메라(100)의 IP등의 주소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감시 영역 외에 있는 단말기(200)는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홈 카메라(100)의 IP로 접속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receives an address such as an IP address of the home camera 100 from the server 300 after ID/Pass authentication in the server 300. Accordingly,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can access the IP of the home camera 100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홈 카메라(100)는 접속한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수신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에 대응될 때, 단말기(200)기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홈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거나 홈 카메라(100)의 촬영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home camera 1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terminal 200,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llows the terminal 200 to access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 can. Accordingly, a user of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the home camera 100 in real time or control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home camera 100.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감시 영역(S) 내에 단말기(200)가 인식된 경우,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100)는 감시 영역(S) 내의 단말기(100)의 원격 접속 허용이 있어야 홈 카메라(100)에 접속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200 is recognized in the monitoring area (S), the terminal 1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must be allowed to remotely access the terminal 100 in the monitoring area (S). ) Can be accessed.

소정의 실시예에는 홈 카메라(100)와 서버(3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에서 UPnP 등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는 서버(3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In certain embodiments, a network connecting the home camera 100 and the server 300 may not support UPnP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may receive image data stored in the server 300.

단말기(200)는 해당 단말기(200)를 인식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 정보에는, 단말기(200)의 와이파이 통신 모듈의 맥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MAC address) 및/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맥주소(MAC address), 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 또는 미리 지정된 아이디(Identifier: ID)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2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corresponding terminal 2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MAC address) of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200 and/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MAC address,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r a preset It may include an identifier (ID), etc.

단말기(200)는, 단말 통신부(210, 도 3 참조), 단말 제어부(220, 도 3 참조) 및 디스플레이부(230,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200)는 입력부(24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see FIG. 3), a terminal control unit 220 (see FIG. 3), and a display unit 230 (see FIG. 3).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40 (refer to FIG. 3 ).

단말 통신부(210)는,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홈 카메라(100)의 카메라 통신부(130)로 송신한다. 단말 통신부(210)는, 홈 카메라(100)의 카메라 통신부(1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to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home camera 100.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image data from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home camera 100.

단말 통신부(210)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등의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Wi-Fi), Bluetooth,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It may include.

또한, 단말 통신부(210)는, 단말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원격 접속 신호, 단말기(200) 등록 요청 신호 등을 카메라 통신부(130)로 송신하고, 카메라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원격 접속 허용 신호, 원격 접속 거부 신호 등을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 remote access signal generat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220 and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200 to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llows remote access generated by the camera control unit 120 A signal,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and the like ar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입력부(240)는, 홈 카메라(100)에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등록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단말기(200)에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단말기(200) 등록 요청 기능을 하는 앱(App) 등을 실행시켜 단말기(200)의 등록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240 may input a registration request of the user's terminal 200 to the home camera 100. The input unit 24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button on the terminal 200. The registr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200 may be input by executing an app or the like serving as a registration request function of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of the terminal 200.

또한, 입력부(240)는, 홈 카메라(100)부터 수신한 원격 접속 승인 신호에 대응하여 원격 접속 승인 여부를 묻는 메시지에 대해 원격 접속 허용 또는 원격 접속 거부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240 may input remote access permission or remote access rejection to a message asking whether to approve remote access in response to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received from the home camera 100.

단말 제어부(220)는, 입력부(240)에서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의 등록 요청이 입력될 때, 식별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단말 제어부(220)는,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 및 식별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홈 카메라(100)로 전송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식별 정도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한 때, 수신한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When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240, the terminal control unit 22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signal. 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 unit 22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200 to the home camera 1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In additio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store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in the storage unit 140 when the identification degre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단말 제어부(220)는,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홈 카메라(100)로부터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수신한 때, 디스플레이부(230)로 원격 접속 승인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입력부(240)를 통해 원격 접속 허용 또는 원격 접속 거부를 입력될 때, 원격 접속 허용 또는 원격 접속 거부를 입력하게 된다. When the terminal controller 220 receives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from the home camera 1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the terminal control unit 220 displays a message asking whether to approve the remote connection on the display unit 230. When the user inputs remote access permission or remote access rej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240, the user inputs remote access permission or remote access rejection.

디스플레이부(230)는 홈 카메라(10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홈 카메라(100)로부터 수신한 원격 접속 승인 신호에 대응하여 원격 접속 승인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 입력부(240)의 역할을 동시에 수생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30 serves to display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home camera 10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a message asking whether to approve the remote access in response to the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received from the home camera 100. In addition, in certain embodiments, the display unit 230 may be formed as a touch panel to simultaneously serve as the input unit 240.

또한,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not shown)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홈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 인식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rver 300 serves to receive and store image data captured by the home camera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and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rough a network. do.

예를 들면, 서버(300)는 외부의 IDC(Internet Data Center) 등에 있는 외부 서버이며, 모든 사람이 계정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홈 카메라(100)에 접속할 때, 서버에서 ID/Pass 인증을 거친 후에 홈 카메라(100)의 IP 등의 주소를 받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IP 주소로 접속하여 홈 카메라(100)에 접속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er 300 is an external server in an external Internet Data Center (IDC), etc., and everyone can have an account.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of the terminal 200 accesses the home camera 100, after ID/Pass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the server, the user receives an address such as the IP of the home camera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access the home camera 100 by accessing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또한,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서버(300)는 인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홈 카메라(100)로 전송하여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 또는 해제하도록 한다. 즉, 서버(300)는 모든 홈 카메라(100) 간의 동기화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300 receives and store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 through the network. In addition,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recognition information to all home cameras 100 through a network to enter or release the privacy mode. That is, the server 300 may synchronize all home cameras 100.

예를 들면, 서버(300)는 복수의 홈 카메라(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시 영역(S) 내에 등록된 단말기(200)가 있다는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서버(300)는 수신하여 저장한 인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홈 카메라(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모든 홈 카메라(100)는 영상 획득부(110)이 작동하지 않는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한다. For example, the server 300 receives and stores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there is a terminal 200 registered in the monitoring area S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me cameras 100. In addition, the server 300 transmits the received and stored recognition information to another home camera 300 through a network. Accordingly, all home cameras 100 enter a privacy mode in which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does not operate.

사용자는 등록된 단말기(200)를 통해 서버(300)에 접근하여 서버(3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The user may access the server 300 through the registered terminal 200 and inquire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erver 300.

이러한, 서버(300)는 백업, 로그 기록 또는 인덱싱 작업을 위한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홈 카메라(100)에 기본적으로 저장매체로 구성된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서버(300)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The server 300 may b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backup, log recording, or indexing, and since the home camera 100 basically includes a storage unit composed of a storage medium, the server 300 ) May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카메라(100)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home camera 100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 내에 등록된 단말기가 있을 때, 홈 카메라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home camera when there is a registered terminal in a surveillance area in the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100)의 영상 획득부(110)는 감시 영역(S)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홈 카메라(100)는 감시 모드를 수행한다. 홈 카메라(100)의 카메라 제어부(120, 도 2 참조)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등록된 단말기(201, 202)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of the home camer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 surveillance area S to generate image data. That is, the home camera 100 performs a monitoring mode. The camera controller 120 (refer to FIG. 2) of the home camera 100 may transmit image data from the registered terminals 201 and 202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예를 들면,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30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한다. 등록된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서버(300)에 접속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mera control unit 120 transmits and stores image data to the server 300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A user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may access the server 3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and receive image data.

등록된 단말기(201, 202)는 단말 통신부(210, 도 3 참조)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30, 도2 참조)에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등록된 단말기(201, 202)의 사용자는 감시 영역(S)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The registered terminals 201 and 202 receive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see FIG. 3), and output the received image data on the display unit 230 (see FIG. 2). Accordingly, a user of the registered terminals 201 and 202 can grasp the situation of the monitoring area S.

등록된 단말기(20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감시 영역 내로 들어올 때, 등록된 단말기(201)의 단말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201)의 식별 정보를 홈 카메라(100)로 전송한다. When a user using the registered terminal 201 enters the monitoring area,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1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1 to the home camera 100 through a network.

홈 카메라(100)의 카메라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영역 내의 단말기(201)로 송신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카메라 제어부(120)로 입력한다.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home camera 1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1 in the surveillance area through a network and inputs it to the camera control unit 120.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로부터 식별 정보가 입력될 때,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호출한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내의 단말기(201)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가 저장부(140)에 호출된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한다.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e camera control unit 120 call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e camera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1 in the monitoring area is called to the storage unit 140.

카메라 제어부(120)는 수신된 식별 정보가 호출된 기 저장된 식별 정보에 대응될 때, 감시 영역 내의 단말기(201)를 등록된 단말기(201)로 판단한다. 즉,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1)가 존재함을 인식하게 된다.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alled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terminal 201 in the monitoring area as the registered terminal 201. That is, 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cognizes that the registered terminal 201 exists in the monitoring area.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1)를 인식할 때, 영상 획득부(110)에서의 감시 영역의 촬영을 중지시킨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내에서 등록된 단말기(201)를 인식할 때, 저장부(1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When the camera controller 120 recognizes the registered terminal 201 in the surveillance area,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stops capturing the surveillance area. In addition, the camera controller 120 may stop driving the storage unit 140 when recognizing the registered terminal 201 in the monitoring area.

이에 따라, 홈 카메라(100)는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프라이버시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홈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볼 수 없어 감시 영역 내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me camera 100 enters the privacy mode. As the user enters the privacy mode, the user cannot see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home camera 100 through the terminal 200, thereby protecting the user's privacy in the surveillance area.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100)는, 감시 영역 내에 등록된 단말기(201)를 인식한 상태에서 카메라 통신부(130, 도 2 참조)를 통해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2)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접속 신호에는 단말기(202)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home camer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see FIG. 2) while recognizing the terminal 201 registered in the surveillance area. It is possible to receive a remote access signal from the terminal 202. The remote access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2.

예를 들면,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2)는 서버(300)에서 ID/Pass 인증을 거친 후, 홈 카메라(100)에 원격 접속 신호를 송신하고, 홈 카메라(100)의 카메라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 For example, the terminal 202 outside the monitoring area transmits a remote access signal to the home camera 100 after ID/Pass authentication in the server 300, and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home camera 100 It receives remote access signals through the network.

카메라 통신부(130)는 수신한 원격 접속 신호를 카메라 제어부(120, 도 2 참조)로 입력한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원격 접속 신호를 수신한 경우, 원격 접속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단말기(202)인지를 판단한다.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inputs the received remote access signal to 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fer to FIG. 2). When receiving a remote access signal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e camera control unit 120 compa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emote access signal with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202 is registered.

카메라 제어부(120)는 등록된 단말기(202)라고 판단한 후, 저장부(140, 도 2 참조)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감시 영역(S) 내에 등록된 단말기(201)를 인식한 인식 정보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After determining that it is the registered terminal 202, the camera control unit 120 checks whether there is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ing the registered terminal 201 in the current monitoring area S from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see FIG. 2). Confirm.

카메라 제어부(120)는, 현재 감시 영역(S) 내에 등록된 단말기(201)를 인식한 때,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생성한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1)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cognizes the terminal 201 registered in the current monitoring area S, it generates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The camera control unit 120 transmits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1 in the monitoring area S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감시 영역(S) 내의 등록된 단말기(201)는, 단말 통신부(210, 도 3 참조)를 통해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수신한 때, 원격 접속 승인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30, 도 2 참조)에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원격 접속 허용 또는 원격 접속 거부를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When the registered terminal 201 in the monitoring area S receives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see FIG. 3),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a message asking whether to approve the remote access or not. ).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remote access permission or remote access rej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240.

단말 제어부(220, 도 3 참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원격 접속 허용 신호 또는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홈 카메라(100)로 전송한다.The terminal control unit 220 (refer to FIG. 3) transmits a remote access permission signal or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the home camera 10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감시 영역(S) 내의 단말기(201)로부터 원격 접속 허용 신호를 수신한 때,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2)의 원격 접속을 허용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감시 영역(S) 내의 단말기(201)로부터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수신한 때,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2)의 원격 접속을 거부한다.Whe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ceives a remote access permission signal from the terminal 201 in the monitoring area S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e camera control unit 120 allows remote access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2 outside the monitoring area. In addition, whe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ceives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201 in the monitoring area S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e remote access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2 outside the monitoring area is rejected. do.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감시 영역 외에서 홈 카메라(100)에 접속시, 감시 영역(S) 내의 사용자로부터 원격 접속 승인 절차를 거치도록 하여, 감시 영역(S) 내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home camera 1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the user in the monitoring area S undergoes a remote access approval procedure, so that the privacy of the user in the monitoring area S can be protec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에서 감시 영역 내에 등록된 단말기가 없을 때,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가 홈 카메라에 원격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motely accessing a home camera by a terminal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when there is no terminal registered in the surveillance area in the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100)는, 감시 영역(S) 내에 등록된 단말기(201)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2, 203)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5, the home camer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te from terminals 202 and 203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without recognizing the terminal 201 registered in the surveillance area S. Can receive a connection signal.

예를 들면,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2, 203)는 서버(300)에서 ID/Pass 인증을 거친 후, 홈 카메라(100)에 원격 접속 신호를 송신하고, 홈 카메라(100)의 카메라 통신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 For example, the terminals 202 and 203 outside the monitoring area pass ID/Pass authentication in the server 300, and then transmit a remote access signal to the home camera 100, and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home camera 100 ) Receives the remote access signal through the network.

카메라 제어부(120, 도 2 참조)는,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2, 203)가 등록된 단말기(202)인 경우, 원격 접속을 허용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2, 203)가 미등록된 단말기(203)인 경우 원격 접속을 거부한다.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fer to FIG. 2) allows remote access when the terminals 202 and 203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are the registered terminals 202. In additio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jects the remote connection when the terminals 202 and 203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are the unregistered terminals 203.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2, 203)가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2, 203)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와 저장부(140, 도 2 참조)에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s 202 and 203 outside the monitoring area are registered terminals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s 202 and 203 outside the monitoring area and the storage unit 140 (refer to FIG. 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by comparing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따라서, 감시 영역(S) 내에 등록된 단말기(201)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감시 영역 외의 미등록된 단말기(203)의 접속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terminal 201 registered in the monitoring area S is not recognized, access of the unregistered terminal 203 outside the monitoring area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camer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홈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홈 카메라(100, 도 2 참조)의 영상 획득부(110, 도 2 참조)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S110). 취득된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통신부(130, 도 2 참조)를 통해 등록된 단말기(200, 도 3 참조)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camera system will be describe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see FIG. 2) of the home camera 100 (see FIG. 2) captures the surveillance area and acquires image data (S110). The acquired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0 (see FIG. 3)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see FIG. 2).

홈 카메라(10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감시 영역 내의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120). 카메라 제어부(120, 도 2 참조)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시, 저장부(140, 도 2 참조)에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호출한다.The home camera 1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S120). When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the camera controller 120 (see FIG. 2) call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see FIG. 2).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내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되는지를 판단한다(S130). The camera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monitoring area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30).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내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대응될 때, 감시 영역 내의 단말기(200)를 등록된 단말기(200)로 인식하여 영상 획득부의 감시 영역의 촬영을 중지시킨다(S140).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monitoring area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recognizes the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as a registered terminal 200 and stops photographing the monitoring area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ke it (S140).

홈 카메라(100)는 카메라 통신부(130)를 통해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정보 및 원격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S150). The home camera 1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remote access signal from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surveillance area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130 (S150).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외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되는지를 판단한다(S160).The camera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corresponds to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60).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외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대응될 때,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를 등록된 단말기(200)로 인식하여 감시 영역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S171)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corresponds to the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mera controller 120 recognizes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as a registered terminal 200 and sends it to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Transmits a remote access acknowledgment signal (S171)

홈 카메라(100)는 감시 영역 내의 등록된 단말기(200)로부터 원격 접속 허용 신호 또는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수신한다(S180). 홈 카메라(100)는 원격 접속 허용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을 허용한다(S192). 홈 카메라(100)는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시 영역 외의 등록된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을 거부한다(S191).The home camera 100 receives a remote access permission signal or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from the registered terminal 200 in the monitoring area (S180). When the home camera 100 receives the remote access permission signal, the home camera 100 allows remote access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S192). When the home camera 100 receives the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the home camera 100 rejects the remote access of the registered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S191).

또한, 카메라 제어부(120)는 감시 영역 외에서 수신된 식별 정보가 기 저장된 식별 정보와 대응되지 않을 때,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를 단말기(200)를 미등록된 단말기(200)로 판단하여 감시 영역 외의 단말기(200)의 원격 접속을 거부한다(S172).In addition,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does not correspond to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mera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terminal 200 outside the monitoring area as an unregistered terminal 200 and determines the monitoring area. The remote access of the other terminal 200 is rejected (S172).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홈 카메라 시스템 100: 홈 카메라
110: 영상 획득부 120: 카메라 제어부
130: 카메라 통신부 140: 저장부
200, 201, 202, 203: 단말기 210: 단말 통신부(210)
220: 단말 제어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입력부 300: 서버
10: home camera system 100: home camera
110: image acquisition unit 120: camera control unit
130: camera communication unit 140: storage unit
200, 201, 202, 203: terminal 210: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220: terminal control unit 230: display unit
240: input unit 300: server

Claims (6)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제1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통신하는 카메라 통신부;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를 인지하고,
상기 카메라 통신부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한 상기 감시 영역의 촬영을 중지시키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미등록되었거나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감시 영역 외부에 존재하는 등록된 제2 단말기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통신부가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홈 카메라 장치.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area;
A camer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And
Recogniz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exists in the surveillance area,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the first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erminal is registered, including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acquisition unit to operate in a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 unit stops photographing of the surveillance area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in the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 unit,
When the first terminal is not registered or does not exist in the surveillance area,
When a remote access signal is received from a registered second terminal existing outside the monitoring area,
A home camera device that controls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mag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식별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등록된 것으로 인식하는, 홈 카메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era control unit,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compar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is recognized as being registered.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제1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통신하는 카메라 통신부;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를 인지하고,
상기 카메라 통신부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한 상기 감시 영역의 촬영을 중지시키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상기 감시 영역 외에 존재하는 등록된 제2 단말기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통신부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원격 접속 승인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홈 카메라 장치.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area;
A camer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And
Recogniz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exists in the surveillance area,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the first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erminal is registered, including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acquisition unit to operate in a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 unit stops photographing of the surveillance area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in the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 unit,
In the privacy mode, when a remote access signal is received from a registered second terminal outside the monitoring area,
Controlling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mote access approval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제1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통신하는 카메라 통신부;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를 인지하고,
상기 카메라 통신부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의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획득부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한 상기 감시 영역의 촬영을 중지시키고,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감시 영역의 외부에 존재하는 미등록된 제2 단말기로부터 원격 접속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 통신부가 미등록된 상기 제2 단말기로 원격 접속 거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홈 카메라 장치.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area;
A camer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And
Recogniz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exists in the surveillance area,
Determine whether to register the first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erminal is registered, including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acquisition unit to operate in a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 unit stops photographing of the surveillance area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in the privacy mode,
The camera control unit,
When a remote access signal is received from an unregistered second terminal existing outside the monitoring area,
Controlling the camera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mote access rejection signal to the unregistered second terminal.
KR1020150015957A 2015-02-02 2015-02-02 A home camera apparatus KR102237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957A KR102237114B1 (en) 2015-02-02 2015-02-02 A home camera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957A KR102237114B1 (en) 2015-02-02 2015-02-02 A home camera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679A KR20160094679A (en) 2016-08-10
KR102237114B1 true KR102237114B1 (en) 2021-04-08

Family

ID=5671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957A KR102237114B1 (en) 2015-02-02 2015-02-02 A home camera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11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849A (en) * 2004-03-30 2005-10-13 Hitachi Ltd Supervisory system and supervisor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559B1 (en) 2004-09-08 2006-10-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notify service of home network monitoring
KR100835372B1 (en) * 2006-02-06 2008-06-04 주식회사 우주아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age photographed by network cameras
KR20130048372A (en) * 2011-11-02 2013-05-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dividual privacy pretcting method
KR102058918B1 (en) * 2012-12-14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849A (en) * 2004-03-30 2005-10-13 Hitachi Ltd Supervisory system and supervisor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679A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318B2 (en) Credential transfer management camera system
EP2878120B1 (en) Camera network for credential transfer management
JP6732902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US9462186B2 (en) Initial camera mode management system
US20120044354A1 (en) Versatile dual mode wireless camera hotspot device
US9025014B2 (en) Device detection camera system
US9947191B2 (en) Monitoring system
US11032524B2 (en) Camera control and image streaming
JP3733924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WO2013070461A1 (en) Wireless camera with image sharing route prioritization
KR100892072B1 (en) System for providing security monitoring service using mobile phone
KR102237114B1 (en) A home camera apparatus
JP2022189835A (en) Imaging apparatus
US20140123260A1 (en) Terminal equipment, server,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server
WO20160583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monitoring, and wireless terminal
US201700857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12565654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50365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255261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JP2016208197A (en) Imaging apparatus
KR20110100717A (en) A network camera and a method for providing video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