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839B1 -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839B1
KR102216839B1 KR1020190110603A KR20190110603A KR102216839B1 KR 102216839 B1 KR102216839 B1 KR 102216839B1 KR 1020190110603 A KR1020190110603 A KR 1020190110603A KR 20190110603 A KR20190110603 A KR 20190110603A KR 102216839 B1 KR102216839 B1 KR 10221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mmunication
wireless
radio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19011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8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DECT method comprises a plurality of vehicle radios, a mai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The plurality of vehicle radios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external wireless networks, respectively, have external antennas, and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The main controller has a radio selection switch capable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radios and is connected to the vehicle radios by wire. The wireless terminals are portable, have headsets, and transmit transmission key values including selected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when a communication mode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ommunication) attached to the headset is selected as a transmission mode. After a vehicle radio matched to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one on one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radio selection switch, the main controller receives a transmission key value from the headset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s, 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selected vehicle radio. When receiving the voice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the vehicle radio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hereto one on one. Therefore, when the vehicle is controlled outside thereof, the accuracy of communication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기계화차량은 통상 3명에서 6명의 승무원이 탑승한다. 차량의 좁은 공간에서 승무원들은 사용이 불편한 유선망 위주의 내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 특히 헬멧에서 차량 내부 벽면에 부착된 조정상자까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 승무원들의 행동 반경이 제한된다. 이러한 것들이 그 동안 사용자 불편 사항으로 개선 요구가 있어 왔으며, 협소한 차량내부 공간은 유선 접속 운용에 따른 승무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Mechanized vehicles usually have 3 to 6 crew members on board. In the narrow space of the vehicle, the crew communicates through an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centered on a wired network that is inconvenient to use. In particular, since the helme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attached to the interior wall of the vehicle with a cable, the radius of action of the crew is limited. These things have been demanded for improvement due to user inconvenience, and the narrow space inside the vehicle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crew due to wired connection operation.

따라서 기계화차량에 설치된 기존 유선형 상호통화기 세트를 무선형으로 개발하여 케이블 접속에 따른 통화품질 및 통신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유선 운용에 따른 고장 빈도를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quality and minimize the frequency of failures due to wired operation by developing a wireless type of existing wired interphone set installed in a mechanized vehicle.

현재 상호통화기세트로는 전차장이 차량을 이탈하면 내부통제를 할 수 없다. 기계화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애로 지역을 정찰하기 위해서는 차량 외부에서 전차장 또는 단차장이 활동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때 차량 내부와 통신할 대책이 없어 차량을 이탈할 때 추가 통신 대책이 필요하다. Currently, the intercom set can not provide internal control if the commander leaves the vehicle. In order to safely guide a mechanized vehicle and reconnaissance of difficult areas, there are cases where the commander or step commander must act outside the vehicle. At this time, there is no measur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vehicle, so additional communication measures are required when leaving the vehicle.

그리고 현재 운용중인 전차 또는 상부 포탑이 회전할 때 슬립링에 의한 유선접속으로 통신 불량과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외부에서 차량을 통제할 때 수기 또는 완수 신호에 의한 통신으로 정확성이 떨어지고, 작전을 위한 지휘 통신이 제한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failure and noise occur due to wired connection through a slip ring when the currently operating tank or upper turret rotates. In addition, when controlling the vehicle from outside the vehicle, the accuracy is degraded due to communication by handwritten or completion signals, and command communication for operations is restric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기존 유선통화기세트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화기 세트로 개발하여 무선통신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협소한 기계화 차량 내부 공간에서의 승무원들의 행동반경의 제한과 불편함을 해소하고, 슬립링에 의한 통신 불량과 잡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계화 차량 외부에서 차량을 통제할 때 통신의 정확성을 높이고 지휘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conveniences, and the existing wired telephone set was developed as a wireless telephone set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provides various function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t eliminates the limitation and inconvenience of the crew's action radius in the space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eliminates communication defects and noise caused by slip rings, and improves the accuracy of communication when controlling the vehicle from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provides command communication.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enables smooth opera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은, 기계화 차량의 복수의 승무원이 무선단말기를 통해 기계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무원간 또는 외부 통신망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기계화차량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계화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대응되고, 기계화 차량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외부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무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차량무전기; 상기 복수의 차량무전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무전기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무전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주제어기; 및 기계화차량의 승무원 간 무선통신과 상기 차량무전기를 통한 외부무선망과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휴대 가능하고, 헤드셋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셋에 부착된 통신모드(송신, 수신, 내부통신)가 송신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송신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키 값이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 조작에 의해 차량무전기가 선택된 후 상기 무선단말기의 헤드셋으로부터 송신키 값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차량 무전기로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고, 차량무전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무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무전기는 상기 주제어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일대일로 대응되는 외부무선망으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외부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제어기로 전달한다.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echaniz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rew members of a mechanized vehicle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a crew member or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inside or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xternal wireless networks, and having an external antenna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Vehicle walkie-talkie; A main controller having a radio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radios,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radio by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rew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external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vehicle radio, and is portable, equipped with a headset, and a communication mode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ommunication) attached to the headset is transmitted. When the mode is selected, a transmission key value including the selected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 transmission key from the headset of the wireless terminal after the vehicle radio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radio selection switch. Upon receiving the value and receiving the voice and data signals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e voice and data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vehicle radio selected through the radio selection switch, and the voice and data signals received from the vehicle radio are transmitted to the radio terminal, and the Upon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the vehicle radio transmits voice and data signals to the corresponding external wireless network on a one-to-one basis, and transmits the voice and data signals received from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to the main controller.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기계화 차량의 내부(차내)에 있는지 기계화차량의 외부(차외)에 있는지를 선택하는 위치선택스위치를 구비하고, 전시 또는 훈련상황에서 헤치가 닫히고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기계화 차량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 안테나를 통해 전파되는 신호가 상기 기계화 차량의 회전 반경 이내로 도달되어 전파감청이나 도청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신호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될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위치선택스위치가 차외로 선택되면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높아지고 기계화 차량 외부로 위치 이동됨을 알리는 외부이동신호를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이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한 송신신호 세기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terminal has a position selection switch that selects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in the vehicle) or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outside the vehicle), and the hatch is closed in an exhibition or training situ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machined When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e signal strength is controlled so that the signal propagated through the antenna of the wireless terminal reaches within the turning radius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is protected from radio interference or eavesdropping, and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moved out of the vehicle, the user When the position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out of the car by the operation of, the intensity of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increases, and an external movement signal notifying that the position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ler from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external mobile signal is received, the strength of a transmission signal through an antenna is increa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전파세기를 실시간 감시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의 전파세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주파수 전력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 전력 자동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무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한 송신신호 세기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 frequency power automatic measu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radio wave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in real time and detects that the wireless terminal moves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radio wave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frequency power automatic measuring device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moved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the strength of a transmission signal through an antenna is increa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주제어기는 외부용 안테나 케이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용 안테나 케이블 포트에 연결되고 기계화 차량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용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용 안테나를 통해 송신신호의 세기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용 안테나를 중심으로 통신 가능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has an external antenna cable port,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antenna connected to the external antenna cable port and located above the mechanized vehicle, and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external antenn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expand a communication area with an external antenna as the center.

상기 차외로 이동된 무선단말기를 외부 무선단말기라 할 때, 상기 외부 무선단말기는 상기 외부 무선단말기의 헤드셋에 부착된 통신모드(송신, 수신, 내부통신) 스위치가 송신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송신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키값을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사용자의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 조작에 의해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매칭되어 있는 차량무전기가 선택된 후, 상기 외부무선단말기의 헤드셋으로부터 송신키값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차량 무전기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무전기는 상기 주제어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일대일로 대응되는 외부무선망으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wireless terminal moved out of the car is referred to as an external wireless terminal,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is the selected transmission mode when a communication mode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ommunication) switch attached to the headset of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is selected as a transmission mode. A transmission key value inclu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ler selects a vehicle radio that is matched one-to-one with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by a user's operation of the radio selection switch, and then receives the transmission key value from the headset of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When receiv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the voice and data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selected vehicle radio through the radio selection switch, and the vehicle radio receives a voice and data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voice and data signals through a wireless network.

상기 주제어기는 무선통신방식에서 FP(Fixed Part) 역할을 수행하는 모국과 다수의 PP(Portable Part)역할을 수행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전시 또는 훈련상황에서는 전차 시동이 꺼진 후에도 주제어기에 설치된 조작스위치 및 복수개의 예비 전지를 통해 오디오 및 데이터 통신 지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controller has a communication module consisting of a mother station playing a role of FP (Fixed Pa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wireless terminal playing a plurality of PP (Portable Part) roles,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starts a tank in an exhibition or training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upport audio and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control switch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spare batteries even after the switch is turned off.

상기 통신모듈은 오디오(Audio) 신호의 A/D(Analog/Digital) 또는 D/A(Digital/Analog) 변환을 수행하고, 전송경로의 음성신호와 수신경로의 음성신호를 비교하여 같은 신호성분을 제거한 후 출력하는 라인에코제거부(Line Echo Canceller)를 구비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DSP)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A/D (Analog/Digital) or D/A (Digital/Analog) conversion of the audio signal, and compares the voice signal of the transmission path and the voice signal of the reception path to obtain the same signal component. It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SP) having a line echo cancellation unit (Line Echo Canceller) to output after remov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은, 차량무전기, 주제어기 및 복수의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기계화 차량용 무선통신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인 제1무선단말기는 통신모드(송신, 수신, 내부통화)를 선택 가능한 통신모드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는 헤드셋과, 상기 헤드셋과 연결되는 헤드셋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휴대 가능하며, 상기 헤드셋의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세기에 의해 헤드셋의 마이크가 기동(wake up)되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상기 주제어기로 무선 전송되고, 소정 시간 동안 마이크에 음성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마이크가 오프(OFF)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 간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헤드셋의 통신모드를 내부통화로 선택하고, 외부전투무선망과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헤드셋의 통신모드가 송신 또는 수신으로 선택하고, 상기 통신모드의 송신은 상기 통신모드 선택 스위치를 당기고 있을 때만 유지되고, 상기 통신모드 선택 스위치를 놓으면 자동으로 통신모드가 수신으로 선택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제1무선단말기로부터 통신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모드 정보가 내부통화이고 상기 제1무선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 중 나머지 무선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외부전투무선망으로부터 차량무전기를 통해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 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모드 정보가 송신이고, 상기 제1무선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외부무선전투망에 상응하는 차량무전기를 통해 상기 제1무선단말기의 음성신호를 외부전투무선망으로 전송하고 나머지 무선단말기로도 상기 음성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고, 수신된 통신모드 정보가 수신이면, 외부전투무선망을 통해 전송되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차량무전기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 한다.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including a vehicle radio, a mai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nd is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1 The wireless terminal has a headset having a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capable of selecting a communication mode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all), a headse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headset, and is portable, and is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headset. The microphone of the headset wakes up by the strength of the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if there is no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icrophone is turned off.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signals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headset is selected as an internal call, and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signals with an external combat wireless network,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headset is selected as transmission or reception, and the communication mode The transmiss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is maintained only whe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is pulled, and whe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is released, the communication mode is automatically selected as reception, the main controller receives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and the reception When the received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is an internal call and a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broadcast to the remaining wireless terminals among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nd the vehicle radio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combat wireless network.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broadcast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and the received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the external device selec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wireless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combat wireless network through the vehicle radio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bat network, and the voice signal is also broadcast to the other wireless terminals. If the received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external combat Receives an external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rough a vehicle radio,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s are broadcast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상기 주제어기는 상시, 음량, VOX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선택 스위치, 무선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기선택 스위치 및 음량 또는 VOX 선도음의 레벨(L, M, H)을 선택할 수 있는 레벨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의 음량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선택 스위치를 통해 음량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기선택 스위치를 통해 해당 무선단말기를 선택하고, 상기 레벨 스위치를 통해 음량의 레벨(L, M, H)을 선택하고, 상기 VOX 선도음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선택 스위치를 통해 VOX를 선택하고, 상기 단말기선택 스위치를 통해 해당 무선단말기를 선택하고, 상기 레벨 스위치를 통해 선도음의 레벨(L, M, H)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is equipped with a control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volume, VOX at all times, a terminal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wireless terminal, and a level switch for selecting the level (L, M, H) of the volume or VOX leading sound, In order to adjust the volume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volume is selected through the control selection switch,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is selected through the terminal selection switch, and the volume level (L, M, H) is selected through the level switch. And, in order to adjust the level of the VOX lead sound, select VOX through the control selection switch, select a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selection switch, and adjust the level of the lead sound through the level switch (L, M, It is characterized by selecting H).

상기 무선단말기는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VOX 기능을 온(ON) 할 수 있는 VOX ON,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OFF,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ON를 선택할 수 있는 전원/VOX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VOX 스위치를 통해 전원 ON이 선택되면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원/VOX 스위치를 통해 전원 OFF가 선택되면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전원/VOX 스위치를 통해 VOX ON이 선택되면 무선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VOX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terminal has a power/VOX switch that can select a VOX function to wirelessly transmit/receive a voice signal to be turned on, a power OFF to cut off the power supply, and a power ON to be supplied with power, When power ON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VOX switch,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when power OFF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VOX switch,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terminal is cut off, and through the power/VOX switch When VOX ON is selected, the VOX function that transmits voice signals wirelessly through a wireless terminal is activat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은, 기계화 차량에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전원 공급장치; 상기 기계화 차량의 메인전원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외부전투무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차량무전기가 거치되는 차량 무전기 거치대; 상기 기계화 차량의 메인(main) 전원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무전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있는 무전기와 일대일로 매칭되는 무전기 입력단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무전기 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기계화 차량의 메인전원 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충전시스템에 의해 충전된 2차전지의 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주제어기; 복수의 2차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전원 공급장치가 출력하는 메인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복수의 2차전지를 구비하는 충전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화 차량의 차량 배터리가 오프(OFF) 될 때, 상기 충전시스템의 2차전지를 통해 상기 주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시스템에 의해 충전된 2차전지를 무선단말기에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시스템의 복수의 2차전지들은 병렬연결되고, 상기 병렬연결된 2차전지의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주제어기에 공급한다.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omprises: a vehicle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main power to the mechanized vehicle; A vehicle radio cradle having a main power input terminal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mounting a plurality of vehicle radios each hav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an external combat radio network; The main power input terminal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the radio input terminals matched one-to-one with the radio installed in the radio holder, and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radio input terminal or the main power input terminal of the mechanized vehicle A main controller receiving power through power supplied through or through power of a secondary battery charged by a charging system; A charg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charged by a main power output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device, wherein when the vehicle battery of the mechanized vehicle is turned off,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charging system, the secondary battery charged by the charging system is inserted into the wireless terminal to supply power, and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of the charging system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parallel The power of the connected secondary battery is boosted and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상기 주제어기는 공급전원의 소스를 차량, 무전기, 전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전원선택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선택 스위치를 통해 차량이 선택되면 상기 주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차량배터리로부터 공급받고, 상기 전원선택 스위치를 통해 무전기가 선택되면 상기 주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무전기로부터 공급받고, 상기 전원선택 스위치를 통해 전지가 선택되면 상기 주제어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2차 전지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 power selection switch that enables you to select any one of a vehicle, a radio, and a battery as a source of supply power, and when a vehicle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 selection switch, power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When the radio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 selection switch, power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is supplied from the radio, and when a battery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 selection switch, the power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is supplied from a secondary battery. To do.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에 의하면, 기계화 차량의 유선형 상호통화기 세트를 무선형으로 대체함으로써 케이블 접속에 따른 통화품질 및 통신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개선시키고 유선 운용에 따른 고장 빈도를 최소화 하고 승무원들의 행동 반경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신뢰성이 확보된 대역의 무선단말기술을 적용하여 유선 케이블 운용에 따른 물리적인 제한 사항인 통화 잡음과 고장의 빈번함을 해소하고, 고신뢰성 및 통화품질을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placing the wired type interphone set of the mechanized vehicle with a wireless type, call quality according to cable connection and reliability and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are improved, and failure due to wired operation The frequency can be minimized and the crew's action radius limit can be removed. In addition, by applying the wireless terminal technology of the band with secured reliability, it eliminates the frequency of call noise and failure, which are physical limitations of wired cable operation, and improves high reliability and call qualit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차장이 해치(hatch)를 열고 밖으로 나와 외부 통제시에도 기계화 차량 반경을 중심으로 통달거리 확장용 외부용 안테나를 이용하여 1Km 까지 통달 거리를 연장함으로써 기계화 차량 또는 전차에서 전차장 또는 단차장이 차량 이탈시 내부 승무원과 통신망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ommander opens the hatch and comes out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outside, the distance is extended to 1Km using an external antenna for extending the distance of the mechanized vehicle. In case of departure of the vehicle, the step commander can maintain the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internal crew.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차가 매복 작전 등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 시동을 오프(OFF) 해야 할 때 주제어기에 부착된 예비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무선단말기를 운용함으로써 배터리 시간을 연장하게 하여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 방전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must be turned off in order to perform an ambush operation,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extended by operating the wireless terminal using the spare battery attached to the main controller as a power source. It can prevent complete discharg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유선 통신망 대신 보안성이 높은 무선통신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보안성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개선하고, 자체점검 기능을 보유하여 야전에서 정비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high-securit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stead of the existing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ccurrence of problems due to security, and secure convenience of maintenance in the field by having a self-check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화 차량의 고장진단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체 진단과 무선통신 기술의 사용으로 통화품질을 개선하고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정비의 편리성과 비용절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장비가동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elf-diagnosis program for a mechanized vehicle and the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improve call quality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failure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cost reduction, as well as increasing equipment operation rate. .

또한 구난전차, 교량전차의 경우 정비반장이 차량 외부에서 무선 인터컴을 통해 조종수를 통제함으로써 피견인차량의 안전한 구난과 교량 전차의 교량 설치에도 전차장의 무선 통제로 안전하고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좁은 기계화 차량 내부 공간에 부착된 조정상자BOX 및 조정상자 연결용 케이블을 제거함으로써 내부공간을 확보하여 승무원의 활동반경이 확대되고 활동 편의성이 개선되어 전투피로도가 감소되며, 기계화차량 성능개량시각종 전장관리체계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scue tanks and bridge tanks, the head of the maintenance team controls the driver through a wireless intercom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safe rescue of the towed vehicle and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of the bridge tank can be safely and quickly installed by the commander's wireless control. In addition, by removing the control box box attached to the inner space of the narrow mechanized vehicle and the cable for connection to the control box, the internal space is secured to increase the radius of activity of the crew and improve the activity convenience, thereby reducing combat fatigue and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echanized vehicles. Space can be secured for installation of the battlefield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방식의 일 예로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시간 및 거리에 따른 DCET 프로토콜의 주파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적용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내부 인터컴 상태에서 DECT RF출력이 -20dBm 일 때, 각 FA 그룹에서 물리적 이격 거리가 일정거리(4.4m 이상) 보장되면 주파수 재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 내부에 위치한 안테나를 가지며, 외부 인터컴 상태에서 차량 내부 안테나의 DECT RF 출력이 +10dBm일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 외부에 별도로 위치한 안테나를 가지며, 외부 인터컴 상태에서 차량 외부 안테나의 DECT RF 출력이 +10dBm일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DECT 타임슬롯과 상기 타임슬롯 내의 필드와 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주제어기(MCU)와 소형 통신기 간의 1차보안 과정에서의 ID등록을 통해 무선 보안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VOX 기능을 제공하는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주제어기가 구비할 수 있는 각종 선택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들이 구비하는 스위치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배터리 기능을 제공하는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DECT모듈이 각각 구비된 6개의 FP(Fixed Part)가 배치된 주제어기(MCU, 15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FP(Fixed Part)의 DECT모듈(1510, 150, 1530, 1540, 1550, 1560) 각각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주제어기(MCU)에 포함된 DECT모듈의 DSP Block(1650)의 세부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ed technique for excluding frequency interference of a DCET protocol according to a frequency, time, and distance that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at when the DECT RF output is -20dBm in an internal intercom state, frequency reuse is possible if the physical separation distance in each FA group is guaranteed to be a certain distance (4.4m or more).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antenna located inside a vehicle i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CT RF output of the vehicle internal antenna is +10dBm in an external intercom state.
FIG. 5 shows a case in which an antenna separately located outside the vehicle i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CT RF output of the vehicle external antenna is +10dBm in an external intercom state.
6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DEC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DECT timeslot, a field in the timeslot, and a configuration thereof.
8 shows wireless security through ID registration in a primary security process between a main controller (MCU) and a small communication devic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providing a VOX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various selection switches that the main controller may have.
11 shows switches provided in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providing a rechargeable batt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ler (MCU, 1500) in which six fixed parts (FPs) each equipped with a DECT module are disposed.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DECT modules 1510, 150, 1530, 1540, 1550, and 1560 of the FP (Fixed Part).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SP Block 1650 of the DECT module included in the main controller (MCU).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은 주제어기(110), 복수의 무선단말기(120, 122, 124) 및 복수의 차량무전기(130, 132, 134, 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ler 110,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120, 122, 124, and a plurality of vehicle radios 130, 132, 134, and 136. It is done by doing.

복수의 차량무전기(130, 132, 134, 136)는 복수의 외부무선망(150, 152)과 일대일로 대응되며, 외부 안테나를 구비하고 외부무선망(150, 152)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복수의 외부무선망(150, 152)은 도 1에서는 편의상 2개의 외부무선망을 도시하고 있지만, 외부무선망은 2 이상의 다수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무선망은 외부전투무선망과 소부대 무선망, 전투원용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무전기는 외부전투무선망용 차량무전기, 소부대 무선망용 차량무전기, 전투원무선망용 차량무전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외부무선망 마다 무전기가 일대일로 대응되어 구비된다. 즉, 제1외부전투무선망에는 제1차량무전기가 구비되고, 제2외부전투무선망에는 제2차량무전기가 구비되고, 소부대무선망에는 소부대무전기가 구비되고, 전투원용 무선망에는 전투원용 무전기가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vehicle radios 130, 132, 134, and 136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wireless networks 150 and 152 on a one-to-one basis, and have an external antenna and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s 150 and 152. The plurality of external wireless networks 150 and 152 are shown in FIG. 1 for convenience, but two or more external wireless networks may be used. For example,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may include an external combat wireless network, a small unit wireless network, and a combatant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vehicle radios include vehicle radios for external combat radio networks, vehicle radios for small units radio networks, and vehicle radios for combatant radio networks. And each external wireless network is equipped with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radios. That is, the first vehicle radio is provided in the first external combat wireless network, the second vehicle radio is provided in the second external combat wireless network, the small unit radio network is provided with the small unit radio network, and the combatant radio network is equipped with a combatant radio. Is equipped.

주제어기(110)는 복수의 외부통신망(150, 152)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무전기 선택 스위치(112)를 구비하며, 차량무전기(130, 132, 134, 136)와 유선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무선단말기(120, 122, 124) 각각은 휴대 가능하고, 헤드셋(10, 12, 14)을 구비하고, 헤드셋(10, 12, 14)에 부착된 통신모드(송신, 수신, 내부통신) 선택스위치가 송신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송신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키 값이 주제어기(110)로 전송된다.The main controller 110 includes a radio selection switch 112 capable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s 150 and 152, and is connected to the vehicle radios 130, 132, 134, and 136 by wire. 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120, 122, 124) is portable, equipped with a headset (10, 12, 14), and a communication mode attached to the headset (10, 12, 14)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ommunication) When th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the transmission mode, the transmission key value including the selected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10.

주제어기(110)는 사용자의 무전기 선택 스위치(112) 조작에 의해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차량무전기(130, 132, 134, 146 중 하나)가 선택된 후, 상기 무선단말기의 헤드셋으로부터 송신키값을 수신하고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112)를 통해 선택된 차량 무전기(130, 132, 134, 136 중 하나)로 음성신호 또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main controller 110 selects a vehicle radio (one of 130, 132, 134, 146)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radio selection switch 112, and then the transmission key value from the headset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receiv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e voice signal or voice signal and data are transmitted to the vehicle radio (one of 130, 132, 134, 136) selected through the radio selection switch 112.

차량무전기(130, 132, 134, 136)는 주제어기(11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일대일로 대응되는 외부무선망으로 음성신호 또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When the vehicle radio (130, 132, 134, 136)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110, it transmits a voice signal or a voice signal and data to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one-to-one.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선통신방식은 다양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을 무선통신방식의 일 예로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DECT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various,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DECT) a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CT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시간 및 거리에 따른 DCET 프로토콜의 주파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적용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ECT 시스템은 기본 1 프레임(Frame) 당 24개의 타임 슬롯(Time Slot)이 존재한다. 국내는 3개의 주파수(3 FA)를 사용할 수 있고, FA 당 사용 가능한 단말기의 최대 수는 12대이다.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lied technique for excluding frequency interference of a DCET protocol according to a frequency, time, and distance that can be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n the DECT system, there are 24 time slots per basic frame. In Korea, three frequencies (3 FA) can be used, and the maximum number of terminals per FA is 12.

도 3은 내부 인터컴 상태에서 중심주파수가 1788 MHz 이고, DECT RF출력이 -20dBm 일 때, 각 FA 그룹에서 물리적 이격 거리가 일정거리(4.4m 이상) 보장되면 DECT RF 출력신호는 -85 dBm 정도로 되어 주파수 재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인터컴은 안테나를 중심으로 반경 1m 떨어지면 신호세기가 -57 dBm이 되고 이 때 신호 손실은 -37dB가 발생되고, 반경 2m 떨어지면 신호세기가 -63 dBm이 되고 이 때 신호 손실은 -43dB가 발생된다. 그리고 반경 4.4m 떨어지면 신호세기가 -85 dBm 이 되고 이 때 신호손실은 -65 dB가 발생된다. 따라서, 반경 약 5m 이상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경우 통신을 위한 최소 수신 레벨 임계 영역으로 진입하고, 이 거리는 DECT 수신기는 잡음으로 인식되어 간섭 없는 주파수 재사용을 의미한다. 3 shows that in the state of the internal intercom, when the center frequency is 1788 MHz and the DECT RF output is -20 dBm, the DECT RF output signal is about -85 dBm when the physical separation distance in each FA group is guaranteed to be a certain distance (4.4m or more). It indicates that frequency reuse is possible. 3, the internal intercom has a signal strength of -57 dBm when a radius of 1 m away from the antenna center is -57 dBm, and a signal loss of -37 dB is generated at this time, and a signal strength of -63 dBm when a radius of 2 m decreases. Is generated -43dB. And when the radius is 4.4m away, the signal strength becomes -85 dBm, and the signal loss is -65 dB. Therefore, if the distance is about 5m or more in radius, it enters the threshold area for the minimum reception level for communication, and this distance is recognized as noise by the DECT receiver, which means frequency reuse without interference.

본 발명에서 무선단말기는 주제어기를 통해서 기계화 차량 승무원 간의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기계화 차량 내부에 있는 경우는 최소한의 무선주파수 신호 세기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시 또는 훈련상황에서 헤치가 닫히고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기계화 차량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 안테나를 통해 전파되는 신호가 상기 기계화 차량의 회전 반경 이내로 도달되도록 신호세기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파감청을 무력화하고 도청을 차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terminal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rew members of a mechanized vehicle through a main controller. If you are inside a mechanized vehicle, you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minimum radio frequency signal strength. For example, when the hatch is closed during an exhibition or training situ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the signal strength may be limited so that the signal propagat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antenna reaches within the turning radius of the mechanized vehicle. . Through this, radio wave monitoring can be disabled and eavesdropping can be blocked.

중심주파수가 1788 MHz 이고, DECT RF출력이 -20dBm 일 때, DECT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계화 차량 내부에 있는 복수의 무선단말기들(120, 122)은 외부로부터 주파수 간섭 없는 내부 무선통신망(140)으로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center frequency is 1788 MHz and the DECT RF output is -20dBm, by using the DECT method,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120 and 122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operate as the in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40 without frequency interference from the outside. can do.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120, 122, 124)는 기계화 차량 내부(차내)에 있는지 기계화차량 외부(차외)에 있는지를 선택하는 위치선택스위치(11, 13, 15)를 구비한다. 즉, 무선단말기의 위치선택 스위치는 기계화 차량 내에 있으면 '차내'로 설정되고, 기계화 차량 외부로 위치가 이동될 때는 '차외'로 설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terminals 120, 122, 1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position selection switches 11, 13, 15 for selecting whether they are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inside the vehicle) or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outside the vehicle). That is, the position selection switch of the wireless terminal is set to'in-vehicle' when it is in the mechanized vehicle, and is set to'outside the car' when the position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무선단말기가 기계화 차량 외부로 이동하여 기계화 차량 내부에 있는 무선단말기와 통화를 하거나 전차장이 기계화 차량 외부에서 내부에 있는 승무원을 지휘할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단말기(124)는 기계화 차량 밖으로 위치 이동될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위치선택스위치(15)가 '차외'로 선택되면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송신 신호의 세기가 저출력(예: -20dBm) 에서 중출력(예: +10dBm)로 높아지고, 중출력의 경우 대략 50m 반경까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계화 차량 외부로 위치 이동된 무선단말기(324)는 기계화 차량 외부로 위치가 이동됨을 알리는 외부이동신호를 주제어기(110)로 전송한다. When the wireless terminal moves to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makes a call with the wireless terminal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or when the commander directs the crew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terminal 124 is located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When the position selection switch 15 is selected as'out of the car' by the user's operation when it is moved,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increases. For example, the intensity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creases from low power (eg -20dBm) to medium power (eg +10dBm), and in the case of medium power, communication is possible up to a radius of approximately 50m. Further, the wireless terminal 324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transmits an external movement signal notifying that the location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to the main controller 110.

이 때, 주제어기(110)는 무선단말기(124)로부터 상기 외부이동신호를 수신하면, 무선단말기(124)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한 송신신호 세기를 높인다. 예를 들어 주제어기(110)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20dBm 에서 +10dBm로 높아지고 50m 반경까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main controller 110 receives the external mobil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124,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is increa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124. For example, the strength of a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of the main controller 110 increases from -20dBm to +10dBm, and communication is possible up to a radius of 50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기계화차량 외부(차외)로 위치 이동될 때, 주제어기는 주파수 전력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주파수 전력 자동측정장치는 무선단말기의 전파세기를 실시간 감시하고 무선단말기의 전파세기를 통해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감지한다. 주파수 전력 자동측정장치를 통해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감지되면, 무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한 송신신호 세기를 높인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outside the vehicle), the master controller may be provided with an automatic frequency power measurement device. The automatic frequency power measurement device monitors the radio wave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in real time and detects that the wireless terminal moves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radio wave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is moved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automatic frequency power measurement device, the intensity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is increa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그리고 주제어기는 무선단말기가 차내 또는 차외에 있을 경우 Embedded Linux 환경의 하드웨어에 보안모듈과 통신모듈과의 S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암호화 및 복호화하여 무선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can perform wireless security functions by encrypting and decrypting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SPI interface between the security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hardware of the Embedded Linux environment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in or outside the vehicl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부 인터컴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중심주파수가 1788 MHz 이고, 기계화 차량 내부 안테나의 DECT RF 출력이 +10dBm 일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안테나를 중심으로 반경 50m에서의 신호세기는 -76dBm 이고, 이 때의 손실은 자유공간손실(-71dB)과 기계화 차량의 해치를 통해 자유공간으로 출력되면서 발생하는 전파손실(-15dB)의 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인터컴을 지원하기 위해 내부에 설치된 안테나로 통신 지원을 하는 경우 통신 반경은 야전에서 사용의 특수성을 고려해서 -10dB 마진을 고려할 경우 안테나를 중심으로 반경 약 50m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m 이상의 간격으로 이격될 경우 통신을 위한 최소 수신 레벨 영역으로 진입하므로 자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는 50m까지 통신 지원이 가능하다.4 shows a state of an external interc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ase where the center frequency is 1788 MHz and the DECT RF output of the antenna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is +10 dBm. Referring to FIG. 4, the signal strength at a radius of 50m around the antenna is -76dBm, and the loss at this time is a free space loss (-71dB) and a propagation loss generated while being output to the free space through the hatch of the mechanized vehicle ( -15dB). Therefore, in case of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an internally installed antenna to support an external intercom, it is desirable that the communication radius be limited to about 50m or less around the antenna when -10dB margin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use in the field. When spaced apart by the above interval, it enters the minimum reception level area for communication, so when using its own antenna, communication support up to 50m is possible.

그리고, 주제어기(110)는 외부용 안테나 케이블 포트(114)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용 안테나 케이블 포트에 연결되고 기계화 차량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용 안테나(3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용 안테나를 통해 송신신호의 세기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용 안테나(116)를 중심으로 통신 가능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제어기(110)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20dBm 에서 +10dBm로 증가되면 200m 반경까지 통신할 수 있게 된다.And, the main controller 110 has an external antenna cable port 114,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antenna 316 connected to the external antenna cable port and located above the mechanized vehicle, and the external antenna By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a communication area can be expanded around the external antenna 116. For example, when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of the main controller 110 increases from -20dBm to +10dBm,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p to a radius of 200m.

도 5는 기계화 차량 외부에 외부안테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 외부 인터컴 상태에서 상기 차량 외부안테나의 DECT RF 출력이 +10dBm일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인터컴 상태에서 보다 넓은 통달거리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용 안테나를 기계화 차량 상부에 설치 및 운영한다. 이 때 전송 신호가 유효하게 도달할 수 있는 반경은 내부 안테나의 출력을 +10dBm으로 높일 경우보다 약 4배 늘어난 200m의 외부 인터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외부안테나를 중심으로 반경 200m 이상의 거리로 이격될 경우 야전에서의 전파 방해요소 -10dB를 감안하면 신호세기는 -84dBm 으로 감소하고, -94dB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외부안테나를 중심으로 반경 200m 이상의 거리로 이격되면 최소 수신 레벨 영역으로 진입하므로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는 200m까지 통신 지원이 가능하다.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external antenna is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and the DECT RF output of the vehicle external antenna is +10dBm in an external intercom state. 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support a wider range of coverage in an external intercom state, a separate external antenna is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top of the mechanized vehicle. In this case, a radius at which a transmission signal can be effectively reached can support an external intercom communication of 200 m, which is about four times greater than when the output of the internal antenna is increased to +10 dBm. If the external antenna is separated by a radius of 200m or more, the signal strength decreases to -84dBm and a loss of -94dB occurs considering -10dB of radio interference in the field. Therefore, if the external antenna is separated by a radius of 200m or more, it enters the minimum reception level area. Therefore, when an external antenna is used, communication support up to 200m is possible.

한편, 상기 차외로 이동된 무선단말기를 외부 무선단말기라 할 때, 상기 외부 무선단말기(124)는 외부 무선단말기(124)의 헤드셋(14)에 부착된 통신모드(송신, 수신, 내부통신) 스위치가 송신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송신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키값을 주제어기(310)로 전송한다. Meanwhile, when the wireless terminal moved out of the car is referred to as an external wireless terminal,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124 is a communication mode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ommunication) switch attached to the headset 14 of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124 When is selected as the transmission mode, the transmission key value including the selected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310.

이 때, 주제어기(110)는 무전기 선택 스위치(312) 조작에 의해 외부무선망(350)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차량무전기가 선택된 후, 외부무선단말기(124)의 헤드셋(14)으로부터 송신키값을 수신하고 외부 무선단말기(124)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무전기 선택 스위치(112)를 통해 선택된 차량 무전기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무전기 선택 스위치(112)를 통해 외부무선망(150)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차량 무전기(130)가 선택될 수 있다. 차량무전기(130)는 주제어기(11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일대일로 대응되는 외부무선망(150)으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110 selects a vehicle radio that corresponds to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350 in a one-to-one manner by operating the radio selection switch 312, and then receives the transmission key value from the headset 14 of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124. And receive a voice signal from an external wireless terminal 124. Upon receiving the voice signal,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lected vehicle radio through the radio selection switch 112. For example, the vehicle radio 130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150 may be selected through the radio selection switch 112 on a one-to-one basis. When the vehicle radio 130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110, it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external wireless network 150 on a one-to-one basi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의 유선형 상호통화기세트의 불편사항을 DECT 기반의 통신프로토콜 스택(DECT standard EN300 175 1-9)을 적용하고 Full Duplexer 구조의 안정적인 내부 무선 인터컴 솔루션을 제공한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DEC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T-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tack (DECT standard EN300 175 1-9) is applied to the inconvenience of the existing streamlined intercom set, and a stable internal wireless intercom solution with a full duplexer structure is provided.

외부 통신도 동일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외부 무선 인터컴의 통신을 지원하며, 전투차량 반경을 중심으로 약 50m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작전이 가능하다. 외부 통신의 통달 거리 확장을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용 안테나를 활용하면 약 200m까지 통신 반경을 확장할 수 있다.By applying the same technology for external communication, it stably supports communication of external wireless intercoms, and various opera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of about 50m around the radius of the combat vehicle. In order to exte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of external communication, a separate external antenna can be used to extend the communication radius to about 200m.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주제어기는 전지충전장치를 구비하며, 무선단말기는 개인 휴대용으로서 탄띠 등에 휴대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차량무전기 접속단자와 6대의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며, 무선단말기는 전지 탈착형으로 3.7V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인터컴 및 외부 인터컴은 1786 MHz ~ 1791 MHz 의 운용주파수를 사용한다.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is provided with a battery charging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a personal portable and can be carried on a tan belt. In addition, it includes 4 vehicle radio connection terminals and 6 wireless terminals. The wireless terminal is a battery detachable type and can use 3.7V power, and the internal intercom and external intercom use an operating frequency of 1786 MHz to 1791 MHz.

본 발명의 실시예는 DECT DSP, DECT 프로토콜 스택, DECT 모듈 제어, DECT 데이터 통신, 외부입력 제어, DECT 무선 제어, 자기진단,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등의 기능블록을 가지며, 이러한 기능블록은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도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unctional blocks such as DECT DSP, DECT protocol stack, DECT module control, DECT data communication, external input control, DECT radio control, self-diagnosis, and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these functional blocks are software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는 1,600 Bit/s 데이타 통신을 지원한다. 도 7은 DECT 타임슬롯과 타임슬롯 내의 필드와 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DECT Time-Slot의 일부인 D-Field(388 bits)의 하위 필더인 A-field의 프로그램 제어를 통한 통신 기능과 B-field(320bit)를 통해 음성데이타 통신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 인터컴 과정에서 데이터통신 지원으로 시스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1,600 Bit/s data communication. 7 shows a DECT timeslot and a field in the timeslot, and their configuration. Referring to FIG. 7,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program control of A-field, which is a lower field of D-Field (388 bits), which is a part of DECT Time-Slot, and a voice dat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B-field (320 bits) can be provided. have. In the wireless intercom process, the system usability can be improved by supporting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두 차례의 암호화과정을 통해 표 1와 같은 높은 보안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igh security performance as shown in Table 1 through two encryption processes.

보안단계Security level 근거Evidence 내용Contents 1단계Stage 1 TSI 보안 Protocol 규격(IPEI, RFPI)TSI security protocol standard (IPEI, RFPI) 등록된 장치만 무선접속 가능Only registered devices can wirelessly access 2단계Step 2 TSI 보안 Protocol 규격 DSAATSI security protocol standard DSAA 무선구간에서 2차적 보안체계 제공Provides a secondary security system in the wireless section 참고Reference DECT Standard Authentication Algorithm (DSAA)DECT Standard Authentication Algorithm (DSAA)

암호화 절차를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주제어기와 소형 무선단말기 간의 1차보안 과정에서의 ID등록을 통해 무선 보안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1차 보안 과정에서는 기기간 상호등록과정을 통해 1차적 무선보안을 제공한다. 주제어기는 전차장 무선단말기(또는 승무원 무선단말기)에 사전에 부여된 고유한 International Portable Equipment Identity(IPEI)의 6byte ID를 이미 주제어기에 등록된 기기만 Air Link를 통해 무선 접속이 진행된다. 반대로 단말기는 사전 부여된 Radio Fixed Part Identity(RFPI) 라고 일컫는 6byte ID를 통해 주제어기와 Air Link를 통해서만 접속된다. 2차 보안과정을 위해, 상호등록과정과 별개로 2차 보안 단계인 암호화 Key의 생성을 통한 코딩(Coding) 과정을 통해 2차적 무선 보안성을 제공한다.The encryption proced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8 shows wireless security through ID registration in a primary security process between a main controller and a small wireless terminal. In the first security process, the first wireless security is provided through the mutual registration process between devices. For the master controller, only the devices that have already registered the 6byte ID of the unique International Portable Equipment Identity (IPEI) previously assigned to the commander's wireless terminal (or the crew's wireless terminal) to the master controller, are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Air Link. On the contrary, the terminal is connected only through the main controller and Air Link through a 6 byte ID called Radio Fixed Part Identity (RFPI) assigned in advance. For the second security process, it provides secondary wireless security through a coding process through the generation of an encryption key, which is a second security step, separate from the mutual registration proc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2차적 무선 보안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주제어기는 무선단말기에 부여된 고유한 IPEI와 상기 IPEI의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고 상기 보안키와 IPEI 를 주제어기에 저장한다. 또한 무선단말기는 RFPI와 상기 RFPI의 자리수를 이용하여 보안키를 생성하여 음성신호를 암호화하여 주제어기로 전송하면, 주제어기는 암호화된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보안키를 획득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높은 통화 음질을 제공한다. ITU-T에서 권고한 G.726 코덱 사용에 따른 32 kbit/s ADPCM 음성 코덱지원이 용이하고, GFSK (BT=0.5)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잡음을 제거하고 통화가 선명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wireless security may be performed as follows. The main controller generates a security key using the unique IPEI assigned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number of digits of the IPEI, and stores the security key and the IPEI in the main controller. In addition, if the wireless terminal generates a security key using RFPI and the number of digits of the RFPI, encrypts the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main controller, the main controller obtains and decrypts the previously stored security key when receiving the encrypted voic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I ca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igh call quality. It is easy to support 32 kbit/s ADPCM voice codec according to the use of G.726 codec recommended by ITU-T, and through GFSK (BT=0.5) digital signal processing, noise is removed and calls are clear.

도 9는 VOX 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DECT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the DEC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a VOX function.

VOX 기능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DECT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주제어기(1110), 복수의 무선단말기(920, 922, 924) 및 차량무전기(930, 932, 934, 9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the DEC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provides a VOX function is a main controller 1110,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920, 922, 924, and vehicle radios 930, 932, 934, 936).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인 제1무선단말기(920)는 헤드셋(20), 헤드셋(20)과 연결되는 헤드셋 연결단자(22)을 구비한다. 헤드셋(20)은 통신모드 선택 스위치(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다. 통신모드 선택 스위치는 통신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통신모드는 송신, 수신 및 내부통화로 이루어진다.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the first wireless terminal 920 includes a headset 20 and a headset connection terminal 22 connected to the headset 20. The headset 2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not show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allows the communication mode to be selected. The communication mode consists of transmission, reception and internal calls.

복수의 무선단말기(920, 922, 924) 간의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헤드셋(20)의 통신모드를 내부통화로 선택한다. 외부무선망(950, 952)과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헤드셋(20)의 통신모드가 송신 또는 수신으로 설정되고, 상기 통신모드 중 송신은 상기 통신모드 선택 스위치를 당기고 있을 때만 유지되고, 상기 통신모드 선택 스위치를 놓으면 자동으로 통신모드가 수신으로 설정된다.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signals between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920, 922, and 924,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headset 20 is selected as an internal call.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signals with external wireless networks (950, 952),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headset 20 is set to transmit or receive, and among the communication modes, transmission is maintained only when th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switch is pulled, and the communication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released, the communication mode is automatically set to receive.

복수의 무선단말기(920, 922, 924) 각각은 휴대 가능하다. 무선단말기(920)는 헤드셋(20)의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세기에 의해 헤드셋의 마이크가 기동(wake up)되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주제어기(910)로 무선 전송되고, 소정 시간 동안 마이크에 음성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마이크가 오프(OFF)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920, 922, and 924 is portable. In the wireless terminal 920, the microphone of the headset wakes up by the strength of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headset 20, and the voice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910, and a predetermined time If there is no audio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during the period, the microphone is turned off.

이 때, 주제어기(910)는 제1무선단말기(920)로부터 통신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통신모드 정보가 내부통화이고 제1무선단말기(92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 중 나머지 무선단말기(922, 924)로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외부무선망(950 또는 952)으로부터 상기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매칭된 차량무전기(930, 932, 934, 936 중 하나)를 통해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920, 922, 924)로 브로드캐스팅 한다.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910 receives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920, and when the received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is an internal call and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920, the plurality of Vehicle radios 930, 932, which broadcast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remaining wireless terminals 922 and 924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match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one-to-one from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950 or 952 When a voice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e of 934 and 936),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broadcast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920, 922, and 924.

또한 주제어기(910)는 상기 수신된 통신모드 정보가 송신이고, 상기 제1무선단말기(92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외부무선전투망에 상응하는 차량무전기를 통해 상기 제1무선단말기(920)의 음성신호를 외부무선망으로 전송하고 나머지 무선단말기(922, 924)로도 상기 음성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주제어기(1110)는 헬멧의 통신모드 정보가 수신이면, 외부무선망(950 또는 952)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상기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연결된 차량무전기(930, 932, 934, 936 중 하나)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선단말기(920, 922, 924)로 브로드캐스팅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910 transmits the received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and when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920, the controller 910 transmits the control through a vehicle radio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wireless battle network selected by the user's operation. 1 The voice signal of the wireless terminal 920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and the voice signal is also broadcast to the other wireless terminals 922 and 924.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of the helmet is received, the main controller 1110 transmits an external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950 or 952, and a vehicle radio 930, 932, 934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in a one-to-one manner. 936), and broadcast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920, 922, and 924.

도 10은 주제어기가 구비할 수 있는 각종 선택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주제어기(1010)는 무전기선택 스위치(1010), 제어선택 스위치(1020), 단말기선택 스위치(1030) 및 레벨조정 스위치(1040) 및 전원선택 스위치(1050)를 구비할 수 있다. 10 shows various selection switches that the main controller may have. The main controller 1010 may include a radio selection switch 1010, a control selection switch 1020, a terminal selection switch 1030, a level adjustment switch 1040, and a power selection switch 1050.

제어선택 스위치(1020)는 상시, 음량, VOX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음량'은 무선단말기의 음량을 조절할 때 선택되고, 'VOX'는 외부무선망과의 음성통화나 내부무선통신망에서 무선단말기 간의 음성통신에서 음량을 조절할 때 선택된다. '상시'는 '음량'이나 'VOX' 외의 일반적인 정상 동작일 때 선택된다. 무전기선택 스위치(1220)는 기계화 차량의 복수의 무선단말기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된다. 레벨조정 스위치(1040)는 음량 또는 VOX 선도음의 레벨(L, M, H)을 설정할 때 사용된다.The control selection switch 1020 can always select the volume, VOX, and'volume' is selected when adjusting the volume of the wireless terminal, and'VOX' is a voice call with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or between wireless terminals in an in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selected when adjusting the volume in voice communication. 'Normal' is selected for normal normal operation other than'Volume' or'VOX'. The radio selection switch 1220 is used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s of a mechanized vehicle. The level adjustment switch 1040 is used to set the volume or the level (L, M, H) of the VOX lead sound.

무선단말기(920)의 음량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어선택 스위치(1020)를 통해 '음량'을 선택하고, 단말기 선택 스위치(1030)를 통해 해당 무선단말기(920)를 선택하고, 레벨조정 스위치(1040)를 통해 음량의 레벨(L, M, H)을 선택한다. In order to adjust the volume of the wireless terminal 920, the'volume' is selected through the control selection switch 1020,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920 is selected through the terminal selection switch 1030, and the level adjustment switch 1040 Select the volume level (L, M, H) through.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셋의 마이크를 기동(wake up)한 후 다른 무선단말기와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의 선도음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다른 무선단말기와의 통신은 주제어기를 통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OX 선도음의 레벨을 조정하여 VOX 선도음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VOX 선도음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어 기능선택 스위치(1020)를 통해 VOX를 선택하고, 상기 단말기 선택 스위치(1030)를 통해 해당 무선단말기(920)를 선택하고, 상기 레벨조정 스위치(1040)를 통해 선도음의 레벨(L, M, H)을 선택한다. 여기서 VOX의 선도음이란 무선단말기(920)의 헤드셋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첫 음성을 말한다. 상기 첫 음성의 세기를 통해 마이크가 기동(wake up)하므로 마이크가 기동(wake up)되는 음성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municate with other wireless terminals after wake up the microphone of the headset. At this time, you can set the threshold of the leading sound of the microphone. It provides a microphone hands-free function. At this time, communication with other wireless terminal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main controll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threshold value of the VOX lead tone 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VOX lead tone. In order to adjust the level of the VOX lead sound, the VOX is selected through a control function selection switch 1020,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920 is selected through the terminal selection switch 1030, and the level adjustment switch 1040 Select the level (L, M, H) of the leading sound through. Here, the leading sound of VOX refers to the user's first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in the headset of the wireless terminal 920. Since the microphone wakes up through the strength of the first voice, the strength of the voice signal at which the microphone wakes up can be adjusted.

그리고 무전기 선택 스위치(1010)는 외부무선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때,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매칭되어 있는 차량무전기를 선택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무전기(R1~R4)와 외부무선망이 일대일로 대응되므로 차량무전기가 선택되면 외부무선망도 선택된다. 또한 무전기 접속단자(1080)는 차량무전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포트이므로 4개의 연결포트가 구비된다. 외부안테나 케이블 포트(1070)은 기계화 차량 상부에 설치된 외부안테나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포트이다. 외부안테나와 주제어기가 케이블로 연결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범위가 200 m의 반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dio selector switch 1010 is used to select a vehicle radio that is matched one-to-one with an external radio network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through an external radio network.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hicle radios R1 to R4 and the external radio network correspond one-to-one, when the vehicle radio is selected, the external radio network is also selected. In addition, since the radio connection terminal 1080 is a connection 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radio by wire, four connection ports are provided. The external antenna cable port 1070 is a port connected to an external antenna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mechanized vehicle by a cable. When the external antenna and the main controller are connected by a cable, the communication range can be extended to a radius of 200 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급 전원의 소스를 차량, 무전기, 전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전원선택 스위치(1050)는 주제어기(9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주제어기(910)는 전원을 차량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직접 받을 수 있고, 무전기에 입력되는 전원을 주전원으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고, 예비용 배터리인 2차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단말기상태표시(1090)는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각 무선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이면 ON 이고 현재 사용중이 아니면 OFF 된다. 차량전원입력단자(1060)는 차량전원장치(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메인전원이 입력되는 단자이다. A power selection switch 1050 that allows you to select any one of a vehicle, a radio, and a battery as a source of the supply power allows you to select the power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910, and the main controller 910 converts the power to vehicle power. It can be directly received from a device (not shown), power input to the radio can be supplied as main power, and power can be supplied from a secondary battery that is a spare battery. The terminal status display 1090 indicate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terminal. If each wireless terminal is operating normally, it is ON, and if it is not currently in use, it is OFF. The vehicle power input terminal 1060 is a terminal to which main power output from a vehicle power supply (not shown) is inpu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들이 구비하는 스위치들을 나타낸 것이다. 무선단말기(920)는 전원/VOX 스위치(1110), 위치선택 스위치(1120) 및 헤드셋 연결단자(1130)를 구비한다. 전원/VOX 스위치(1110)는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송 수 신하는 VOX 기능을 온(ON) 할 수 있는 VOX ON,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OFF,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ON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전원/VOX 스위치(1110)를 통해 전원 ON이 선택되면 무선단말기(1120)로 전원이 공급되고, 전원/VOX 스위치(1110)를 통해 전원 OFF가 선택되면 무선단말기(920)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전원/VOX 스위치(1110)를 통해 VOX ON이 선택되면 무선단말기(920)를 통해 무선으로 음성신호를 송 수 신하는 VOX 기능이 활성화된다.11 shows switches provided in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920 includes a power/VOX switch 1110, a position selection switch 1120, and a headset connection terminal 1130. The power/VOX switch 1110 allows you to select VOX ON, which can turn on the VOX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wirelessly, power OFF to cut off the power supply, and power ON to which power is supplied. When power ON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VOX switch 1110,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terminal 1120, and when power OFF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VOX switch 1110, the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terminal 920 is cut off. If VOX ON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VOX switch 1110, the VOX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signals wirelessly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920 is activated.

위치선택 스위치(1120)는 '차외' 모드 또는 '차내'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차외' 모드로 선택되면, 무선단말기가 기계화 차량 외부로 위치 이동할 때 전송신호의 세기를 높게 한다. The position selection switch 1120 makes it possible to select a'out of the car' mode or a'in-vehicle' mode. When the'out of the car' mode is selected, the intensity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increased when the wireless terminal moves to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배터리 기능을 제공하는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providing a rechargeable batter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배터리 기능을 제공하는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은, 차량전원장치(1210), 차량무전기 거치대(1230), 주제어기(1240), 충전시스템(1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전원장치(1210)는 기계화 차량에 메인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전원은 18V ~ 32V를 사용할 수 있다. 차량무전기 거치대(1430)는 상기 기계화 차량의 메인전원 입력단자(1232)를 구비하고, 복수의 차량무전기(R1, R2, R3, R4)를 거치한다. 차량무전기(R1, R2, R3, R4)는 외부무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that provides a rechargeable batter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210, a vehicle radio holder 1230, a main controller 1240, and a charging system 1250. The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210 supplies main power to the mechanized vehic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ower source may use 18V ~ 32V. The vehicle radio mount 1430 includes a main power input terminal 1232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mounts a plurality of vehicle radios R1, R2, R3, and R4. Each of the vehicle radios R1, R2, R3, and R4 is provided with an antenna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주제어기(1240)는 기계화 차량의 메인전원 입력단자(1245)를 구비하고 차량 무전기 거치대(1230)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무전기(R1, R2, R3, R4)와 일대일로 매칭되는 차량무전기 입력단자(1242, 1244, 1246, 1248)를 구비하고 차량 무전기 입력단자(1242, 1244, 1246, 1248)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기계화 차량의 메인전원 입력단자(124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충전시스템(1250)에 의해 충전된 2차전지의 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main controller 1240 has a main power input terminal 1245 of a mechanized vehicle, and a vehicle radio input terminal that matches one-to-one with vehicle radios (R1, R2, R3, R4) installed in the vehicle radio mount 1230 ( Power or charging system 1250 provided with 1242, 1244, 1246, 1248 and supplied through vehicle radio input terminals 1242, 1244, 1246, 1248 or main power input terminal 1245 of a mechanized vehicl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of the secondary battery charged by ).

충전시스템(1250)는 복수의 2차전지(1252, 1254, 1256, 1258)를 구비하고, 기계화 차량의 메인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 기계화 차량의 메인전원은 주제어기(1240) 메인전원 입력단자(1245) 또는 차량무전기 입력단자(1242, 1244, 1246, 1248)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기계화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전원장치(1210)를 OFF 해야 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작전을 수행할 때 차량에서 소리가 나면 안될 경우에는 차량전원장치를 OFF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전원장치(1210)의 메인전원 대신 충전시스템의 2차전지(1252, 1254, 1256, 1258)를 통해 주제어기(12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시스템(1250)의 복수의 2차전지들(1252, 1254, 1256, 1258)은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병렬 연결된 전지의 전원을 승압하여 주제어기(1240)에 공급할 수 있다.The charging system 125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252, 1254, 1256, and 1258, and is charged by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mechanized vehicle. The main power of the mechanized vehicle may be input through the main power controller 1240, the main power input terminal 1245 or the vehicle radio input terminals 1242, 1244, 1246, and 1248.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turn off the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210 that supplies power to the mechanized vehicle. For example, if the vehicle should not make a sound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turn off the vehicle power supply. In this case,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240 through the secondary batteries 1252, 1254, 1256, and 1258 of the charging system instead of the main power of the vehicle power supply 1210. To this end,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252, 1254, 1256, and 1258 of the charging system 125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power of the parallel connected batteries may be boosted and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240.

주제어기(1240)는 공급 전원의 소스를 차량, 무전기, 전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전원선택 스위치(1249)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선택 스위치(1229)를 통해 '차량'이 선택되면 주제어기(12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배터리(1210)로부터 공급받는다. 전원선택 스위치(1249)를 통해 '무전기'가 선택되면 주제어기(12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무전기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선택 스위치(1249)를 통해 '전지'가 선택되면 주제어기(12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시스템(1250)의 2차전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1240 may include a power selection switch 1249 for selecting one of a vehicle, a radio, and a battery as a source of the supplied power. When'vehicle'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 selection switch 1229, power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240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1210. When'the radio'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 selection switch 1249, power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240 may be supplied from the vehicle radio. When'battery' is selected through the power selection switch 1249, power su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1240 may be suppli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charging system 1250.

예를 들어, 주제어기는 무선통신방식 통신에서 FP(Fixed Part) 역할을 수행하는 모국과 다수의 PP(Portable Part)역할을 수행하는 승무원 무선단말기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전차의 매복 작전 등 전차의 소음이 전투생존성과 직결되는 전시 또는 훈련상황에서는 전차시동이 꺼진 후에도 주제어기 전면부에 설치된 조작스위치 및 복수개의 예비전지를 통해 오디오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a mother station that plays a role of FP (Fixed Part) i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of a crew member that plays a number of PP (Portable Part) roles,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n ambush operation of a tank. In an exhibition or training situation in which the noise of a light tank is directly connected to combat survival, audio and data communication can be enabled through a control switch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spare batteries even after the tank is turned off.

한편, DECT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기술은 무선 전화 통신에 널리 사용되며 주요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메커니즘으로 단거리 용으로 설계되어 있다. DECT 기술은 무선 음성, 팩스,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통신,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무선 PBX를 제공하며, 무선 전화 통신이 제공하는 유연성을 통해 DECT 기술은 응용 프로그램의 주요 표준이 되었다. DECT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강화된 원거리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준은 유럽 원거리 통신 기준 학회(ETSI)의 일원에 의해 개발되었다. DECT / GSM 상호 작용이 표준화 되었으며 기본 GSM 서비스가 DECT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 될 수 있다. Meanwhile, DECT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wireless telephony and is designed for short distances as an access mechanism for major networks. DECT technology provides wireless voice, fax, data and multimedia communication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nd wireless PBXs, and the flexibility that wireless telephony provides has made DECT technology a major standard for applications. The standards for DECT or digitally enhanced telecommunication systems were developed by a member of the European Institute of Telecommunication Standards (ETSI). DECT / GSM interaction has been standardized and basic GSM services can be provided via the DECT air interface.

본 발명에 따른 DECT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은 DECT 모듈을 통해 DECT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한다. 일반적으로 DECT 통신시스템은 FP(Fixed Part)와 PP(Portable Part)로 이루어진다.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the DEC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DECT method through the DECT module. In general, the DECT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FP (Fixed Part) and PP (Portable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개의 무선단말기 각각에 PP가 설치되고, 주제어기에 6개의 무선단말기의 PP에 상응하는 FP들이 설치되어 DECT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한다. 도 13은 DECT모듈이 각각 구비된 6개의 FP(Fixed Part)가 배치된 주제어기(MCU, 13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개의 FP(Fixed Part) 각각은 DECT모듈(1310, 1320, 1330, 1340, 1350, 1360)을 구비하며, 6개의 PP(Portable Part)와 일대일 대응되어 짝(pair)를 이룬다. 본 발명 실시예의 6개의 PP(Portable Part)는 6개의 무선단말기에 해당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주제어기(1300)는 RS232(미도시)를 통해 PC와 연동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P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ix wireless terminals, and FPs corresponding to the PPs of the six wireless terminals are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ler to communicate with the DECT communication method.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ler (MCU, 1300) in which six fixed parts (FPs) each equipped with a DECT module are disp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ix fixed parts (FP) includes DECT modules 1310, 1320, 1330, 1340, 1350, and 1360, and is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six portable parts (PP) to form a pair. Achieve. Six portable parts (PPs) of the present embodiment correspond to six wireless terminals. Referring to FIG. 13, the main controller 1300 may interwork with a PC through RS232 (not shown).

도 14는 FP(Fixed Part)의 DECT모듈(1310, 1320, 1330, 1330, 1350, 1360) 각각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DECT모듈(1310, 1320, 1330, 1340, 1350, 1360)은 RF증폭부(1410), RF송수신부(1420), DIP(1430), CPU(1440), 디지털신호처리부(DSP, 1450), AFE(1460) 및 주변장치부(1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F증폭부(1410)는 RF 송수신부(1420)에서 전달되는 RF 신호를 안테나로 최종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증폭한다. RF 송수신부(1420)는 DIP(Dedicated Instruction Processor, 1430)와 연동 후 FSK 방식으로 RF 데이터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DIP(1430)는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 송수신을 위해 TDMA 타이밍(Timing)에 동기시킨다. CPU(1640)는 DIP(1430), DSP(1450)와 상호 연동하여 데이터 통신과 함께 오디오(Audio)신호를 관장하고 동시에 Peripheral(1470) 제어 등을 수행한다. 디지털신호처리부(DSP, 1450)는 오디오(Audio) 신호의 Analog to Digital/Digital to Analog 변환을 수행하고,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 LEC, 이득제어(Gain Control) 등을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이다. AFE(1660)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동되는 종단 아날로그 처리를 수행한다. 주변장치부(Peripheral, 1670)는 GPIO, UART, SPI, I2C 등 외부 장치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집적 장치이다.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DECT modules 1310, 1320, 1330, 1330, 1350, and 1360 of the FP (Fixed Part). The DECT module (1310, 1320, 1330, 1340, 1350, 1360) is an RF amplifier (1410), RF transmitter and receiver (1420), DIP (1430), CPU (1440),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450), AFE It comprises (1460) and a peripheral device unit (1470). The RF amplification unit 1410 analog amplifies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F transceiver 1420 in order to be finally transmitted to the antenna. The RF transceiver 1420 interworks with a dedicated instruction processor (DIP) 1430 and then performs RF data signal processing in an FSK method. The DIP 1430 synchronizes with TDMA timing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aseband signal. The CPU 1640 interworks with the DIP 1430 and the DSP 1450 to manage audio signals along with data communication, and simultaneously control the peripheral 1470 and the lik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SP, 1450) i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that performs analog-to-digital/digital-to-analog conversion of an audio signal and processes digital filters, LECs, and gain controls. to be. The AFE 1660 performs terminal analog processing interlocked with the audio interface device. Peripheral 1670 is a hardware integrated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such as GPIO, UART, SPI, and I2C.

도 15는 주제어기(MCU)에 포함된 DECT모듈의 디지털신호처리부(1450)의 세부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ECT모듈의 DSP Block(1450)은 디지털 이득조절부(1710), 라인에코제거부(Line Echo Canceller, 1520), 합산부(1530), CODEC LSR(1540), CODEC MIC(1550), 아날로그 이득조절부(1560), 노이즈 필터(1570) 및 신호레벨 조절부(15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450 of the DECT module included in the main controller (MCU). The DSP Block 1450 of the DEC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gain adjustment unit 1710, a line echo canceller 1520, a summing unit 1530, a CODEC LSR 1540, and a CODEC MIC. (1550), an analog gain adjustment unit 1560, a noise filter 1570, and a signal level adjustment unit 1580.

디지털 이득조절부(1510, Auto Gain Control)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일정 범위 이내의 크기가 되도록 디지털적으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The digital gain control unit 1510 (Auto Gain Control) digitally adjusts and outputs the input voice signal to be within a certain range.

라인에코제거부(Line Echo Canceller, 1520)는 전송 경로의 음성 신호와 수신 경로의 음성 신호를 비교하여 같은 신호 성분을 제거한 후 출력하며, CODEC LSR(1540)으로부터 출력되는 LINE 출력 신호가 반사되어 들어오는 echo 신호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라인에코제거부(Line Echo Canceller, 1550)는 볼륨 조절부(1522), 송신레벨 검출부(1554), 에코 제거기(1526, Echo Canceller), 억제기(suppressor, 1528) 및 수신레벨 검출부(15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ine Echo Canceller (1520) compares the voice signal of the transmission path and the voice signal of the reception path, removes the same signal component, and outputs it, and the LIN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DEC LSR (1540) is reflected. It removes the echo signal. The line echo cancellation unit (Line Echo Canceller, 1550) includes a volume control unit (1522), a transmission level detection unit (1554), an echo canceller (1526, Echo Canceller), a suppressor (suppressor, 1528) and a reception level detection unit (1529). Including.

볼륨 조절부(1522)는 입력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송신레벨 검출부(1524)는 전송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며, 측정된 전송 신호의 크기가 에코제거기(1526)와 억제기(1528)에 입력되어 파라미터(parameter)로 사용된다. 에코 제거기(1526, Echo Canceller)는 두개의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같은 성분의 신호를 제거한 후 출력한다. 억제기(suppressor, 1528)는 특정 크기 이하의 신호를 더 작게 줄여서 출력하며, 에코제거기(1526)에서 Echo Cancelling된 후에 발생한 잡음(noise) 성분을 제거한다. 수신레벨 검출부(1529)는 수신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며, 측정된 전송 신호의 크기가 에코제거기(1526)과 억제기(1528)에서 파라미터(parameter)로 사용된다The volume control unit 1522 adjusts and outputs the input signal level. The transmission level detection unit 1524 measures and outputs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measured size of the transmission signal is input to the echo canceller 1526 and the suppressor 1528 and is used as a parameter. An echo canceller 1526 compares two input signals, removes signals of the same component, and outputs them. A suppressor 1528 reduces and outputs a signal smaller than a certain size to a smaller size, and removes a noise component generated after Echo Cancelling in the echo canceller 1526. The reception level detector 1529 measures and outputs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measured magnitude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used as a parameter in the echo canceller 1526 and the suppressor 1528.

합산부(summator, 1530)는 두개의 신호를 입력 받아서 각각의 신호 크기를 조절한 후 합쳐서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레인에코 제거부(LEC, 1520)에서 출력된 신호와 내부 DSP에서 발생시킨 오디오 톤(Audio Tone) 신호와 내부 DSP 자체에서 생성된 신호를 더해서 출력할 수 있다. CODEC LSR(154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장치로 출력하며 신호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The summator (1530) receives two signals, adjusts the size of each signal, and combines them to output. Here, the signal output from the lane echo removal unit (LEC) 1520, the audio tone signal generated by the internal DSP, and the signal generated by the internal DSP itself may be added and output. The CODEC LSR 1540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outputs it to an analog device, and adjusts the signal level.

CODEC MIC(1550)는 아날로그 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신호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아날로그 이득조절부(Analog Auto Gain Control, 1560)는 음성 신호를 일정 범위 이내의 크기가 되도록 조절하여 출력한다. CODEC MIC(1550)와 연동하여 아날로그 신호처리가 이루어진다. 노이즈필터(1570, RFI Filter)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디지털 필터이다. 신호레벨 조절부(1580)는 입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며, 단순히 무선 전송 전에 신호 레벨을 조절하여 출력한다.The CODEC MIC 155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signal input from an analog device, converting it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it, and may adjust a signal level. Analog Auto Gain Control (1560) adjusts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be within a certain range. Analog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CODEC MIC (1550). The noise filter 1570 (RFI Filter) is used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a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 and is a digital filter. The signal level control unit 1580 adjusts the size of the input signal, and simply adjusts and outputs the signal level before wireless transmiss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110 : 주제어기(MCU) 112 : 무전기선택 스위치
114 : 외부안테나 케이블 입력단자 120 : 제1무선단말기
122 : 제n무선단말기 10, 12, 14 : 헤드셋
11, 13, 15 : 위치선택 스위치 130, 132, 134, 136 : 차량무전기
140 : 내부무선통신망 150, 160 : 외부무선망
910 : 주제어기(MCU) 920, 922, 924 : 무선단말기
930, 932, 934, 936 : 차량무전기 940 : 내부무선통신망
20, 23, 24 : 헤드셋 22 : 헤드셋 연결단자
950, 952 : 외부무선망 1010 : 무전기선택 스위치
1020 : 제어선택 스위치 1030 : 단말기선택 스위치
1040 : 레벨조정 스위치 1050 : 전원선택 스위치
1060 : 차량전원 입력단자 1070 : 외부안테나 케이블 포트
1080 : 무전기접속단자 1090 : 단말기상태표시
1110 : 전원/VOX 스위치 1120 : 위치선택 스위치
1130 : 헤드셋 연결단자 1210 : 차량전원 공급장치
1230 : 차량무전기 거치대 1232 : 거치대 메인전원 입력단자
1240 : 주제어기(MCU) 1242, 1244 : 차량무전기 입력단자
1246, 1248 : 차량무전기 입력단자 1245 : 메인전원 입력단자
1249 : 전원선택 스위치 1250 : 충전시스템
1252, 1254, 1256, 1258 : 2차전지
110: main controller (MCU) 112: radio selection switch
114: external antenna cable input terminal 120: first wireless terminal
122: n-th wireless terminal 10, 12, 14: headset
11, 13, 15: position selection switch 130, 132, 134, 136: vehicle radio
140: in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50, 160: external wireless network
910: main controller (MCU) 920, 922, 924: wireless terminal
930, 932, 934, 936: vehicle radio 940: in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 23, 24: headset 22: headset connector
950, 952: external wireless network 1010: radio selection switch
1020: control selection switch 1030: terminal selection switch
1040: level adjustment switch 1050: power selection switch
1060: vehicle power input terminal 1070: external antenna cable port
1080: radio connection terminal 1090: terminal status display
1110: Power/VOX switch 1120: Position selection switch
1130: headset connection terminal 1210: vehicle power supply
1230: Vehicle radio mount 1232: Main power input terminal of the mount
1240: main controller (MCU) 1242, 1244: vehicle radio input terminal
1246, 1248: vehicle radio input terminal 1245: main power input terminal
1249: power selection switch 1250: charging system
1252, 1254, 1256, 1258: secondary battery

Claims (11)

기계화 차량의 복수의 승무원이 무선단말기를 통해 기계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무원간 또는 외부 통신망과의 통신을 지원하는 기계화차량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계화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대응되고, 기계화 차량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외부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무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차량무전기;
상기 복수의 차량무전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무전기 선택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무전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주제어기; 및
기계화차량의 승무원 간 무선통신과 상기 차량무전기를 통한 외부무선망과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휴대 가능하고, 헤드셋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셋에 부착된 통신모드(송신, 수신, 내부통신)가 송신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송신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키 값이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 조작에 의해 차량무전기가 선택된 후 상기 무선단말기의 헤드셋으로부터 송신키 값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차량 무전기로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고, 차량무전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무선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무전기는 상기 주제어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일대일로 대응되는 외부무선망으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외부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기계화 차량의 내부(차내)에 있는지 기계화차량의 외부(차외)에 있는지를 선택하는 위치선택스위치를 구비하고, 전시 또는 훈련상황에서 헤치가 닫히고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기계화 차량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무선단말기 안테나를 통해 전파되는 신호가 상기 기계화 차량의 회전 반경 이내로 도달되어 전파감청이나 도청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신호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될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위치선택스위치가 차외로 선택되면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세기가 높아지고 기계화 차량 외부로 위치 이동됨을 알리는 외부이동신호를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이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한 송신신호 세기를 높이고, 무선통신방식에서 FP(Fixed Part) 역할을 하는 모국이 상기 무선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PP(Portable Part)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단말기와 베이스밴드 신호 송수신을 위해 송수신 신호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타이밍에 동기시키는 DIP(Dedicated Instruction Processor) 및 오디오 신호의 A/D(Analog/Digital) 또는 D/A(Digital/Analog) 변환을 수행하고, 전송경로의 음성신호와 수신경로의 음성신호를 비교하여 같은 신호성분을 제거한 후 출력하고 라인 출력신호가 반사되어 들어오는 에코 신호를 제거하는 라인에코제거부를 구비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DS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
In a mechanize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rew members of a mechanized vehicle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crew members or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s inside or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 plurality of vehicle radios installed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xternal wireless networks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having an external antenna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A main controller having a radio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 radios, and connected to the vehicle radio by wire; And
I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rew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external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vehicle radio, and is portable, equipped with a headset, and a communication mode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ommunication) attached to the headset is a transmission mode. If selected as, the transmission key value including the selected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The main controller receives a transmission key value from the headset of the wireless terminal after the vehicle radio is selected by operation of the radio selection switch, and when the voice and data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radio terminal, the voice and the vehicle radio selected through the radio selection switch Transmit data signals, and transmit voice and data signals received from vehicle radios to wireless terminals,
When the vehicle radio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it transmits voice and data signals to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one-to-one, and transmits the voice and data signals received from the external wireless network to the main controller,
The wireless terminal has a position selection switch that selects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inside the mechanized vehicle (in the vehicle) or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outside the vehicle), and the hatch is closed in an exhibition or training situ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machined When located inside a vehicle, the signal strength is controlled so that the signal propagated through the antenna of the wireless terminal reaches within the turning radius of the mechanized vehicle and is protected from radio interception or eavesdropping, and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moved out of the vehicle When the position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out of the vehicle by operation,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increases, and an external movement signal informing that the position is moved outside the mechanized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When the main controller receives the external mobile signal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e streng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is increa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mother station serving as a fixed part (FP)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It ha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talled PP (Portable Part),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dedicated instruction processor (DIP) that synchronizes a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with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ing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aseband signal with the wireless terminal, and an analog/digital (A/D) or D/A of the audio signal. Equipped with a line echo removal unit that performs (Digital/Analog) conversion, compares the voice signal of the transmission path with the voice signal of the reception path, removes the same signal component, and outputs it, and removes the echo signal that is reflected from the line output signal. Mechanize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S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전파세기를 실시간 감시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의 전파세기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주파수 전력 자동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 전력 자동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가 차외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무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한 송신신호 세기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ler
And a frequency power automatic measu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radio wave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in real time and detect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moves out of the vehicle through the radio wave strength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radio frequency power through the automatic frequency power measuring device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erminal is moved out of the vehicle, the intensity of a transmission signal through an antenna is increa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는
외부용 안테나 케이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용 안테나 케이블 포트에 연결되고 기계화 차량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부용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용 안테나를 통해 송신신호의 세기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용 안테나를 중심으로 통신 가능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main controller
The external antenna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antenna cable port,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antenna connected to the external antenna cable port and located above the machined vehicle, and increasing the intensity of a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external antenna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expand a communication area with a cent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외로 이동된 무선단말기를 외부 무선단말기라 할 때, 상기 외부 무선단말기는
상기 외부 무선단말기의 헤드셋에 부착된 통신모드(송신, 수신, 내부통신) 스위치가 송신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송신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키값을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사용자의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 조작에 의해 외부무선망과 일대일로 매칭되어 있는 차량무전기가 선택된 후, 상기 외부무선단말기의 헤드셋으로부터 송신키값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 무선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전기 선택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차량 무전기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무전기는
상기 주제어기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일대일로 대응되는 외부무선망으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n the wireless terminal moved out of the car is referred to as an external wireless terminal,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is
When a communication mode (transmission, reception, internal communication) switch attached to the headset of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is selected as a transmission mode, a transmission key value including the selected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The main control is
After selecting a vehicle radio that is matched one-to-one with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radio selection switch, receiving a transmission key value from the headset of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the radio selection switch Transmits voice and data signals to the selected vehicle radio via
The vehicle radio is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ceiving the voice and data signals from the main controller, the voice and data signals are transmitted to an external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one-to-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기의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은 전시 또는 훈련상황에서는 전차 시동이 꺼진 후에도 주제어기에 설치된 조작스위치 및 복수개의 예비 전지를 통해 오디오 및 데이터 통신 지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ain controller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mechanized vehicle using a wireles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upport audio and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control switch and a plurality of spare batteries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ler even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ff in an exhibition or training situ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10603A 2019-09-06 2019-09-06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2216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603A KR102216839B1 (en) 2019-09-06 2019-09-06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603A KR102216839B1 (en) 2019-09-06 2019-09-06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174A Division KR20210029665A (en) 2020-08-10 2020-08-10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839B1 true KR102216839B1 (en) 2021-02-17

Family

ID=7473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603A KR102216839B1 (en) 2019-09-06 2019-09-06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8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3443A1 (en) * 2011-08-21 2023-04-20 Asensus Surgical Europe S.a.r.l Vocally actuated surgical control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948A (en) * 1991-08-22 1993-03-05 Rohm Co Ltd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293452Y1 (en) * 2002-07-29 2002-10-31 연합정밀주식회사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Tank
KR20080099586A (en) * 2007-05-10 200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luetooth system for vehicle having hands-free and data transmission
KR20120049571A (en) * 2010-11-09 2012-05-17 연합정밀주식회사 Communication system for combat car using the wireless intercom terminal and the wireless intercom terminal
JP2016063235A (en) * 2014-09-12 2016-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Wireless slave apparatus, wireless master apparatus sel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948A (en) * 1991-08-22 1993-03-05 Rohm Co Ltd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293452Y1 (en) * 2002-07-29 2002-10-31 연합정밀주식회사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for Tank
KR20080099586A (en) * 2007-05-10 200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luetooth system for vehicle having hands-free and data transmission
KR20120049571A (en) * 2010-11-09 2012-05-17 연합정밀주식회사 Communication system for combat car using the wireless intercom terminal and the wireless intercom terminal
JP2016063235A (en) * 2014-09-12 2016-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Wireless slave apparatus, wireless master apparatus sel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3443A1 (en) * 2011-08-21 2023-04-20 Asensus Surgical Europe S.a.r.l Vocally actuated surgical control system
US11886772B2 (en) * 2011-08-21 2024-01-30 Asensus Surgical Europe S.a.r.l Vocally actuated surgical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0992B2 (en) Satellite communication terminal
US6272359B1 (en)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multiple units
JP2503906B2 (en) Portable radio
US5422934A (en) Cordless range extension accessory apparatus for radio telephones
EP0678230B1 (en) Radio link parameter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5410587A (en) Ultrasonic radiotelephone for an automobile
US20130010657A1 (en) Vehicle crew communications system
EP0728383A1 (en) Satellite communications adapter for cellular handset
US4775996A (en) Hybrid telephony communication system
KR102216839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80649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wired/wireless pop-out speakerphone microphone
US7725075B2 (en) Control element for simplex HF to VHF/UHF cross-band system with transmission breakthrough
US2023011936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RU2490794C1 (en) Composite radio station
KR20210029665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A1131315A (en) Infrared radiation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82055A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200027857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DECT system
KR20200027853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echanized vehicle using DECT system
WO1992008310A1 (en) Selectable cordless or corded telecommunications system
JPS63233623A (en) Mobile body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radio channel switching method
RU196546U1 (en) TELECOMMUNICATIONS COMMUNICATION DEVICE FOR AIRCRAFT CREW
JP2890941B2 (en) Wireless telephone devic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AU2007203522B2 (en) Control element for simplex HF to VHF/UHF cross-band system with transmission breakthrough
CA1260642A (en) Hybrid telephony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