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327B1 -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 Google Patents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327B1
KR102047327B1 KR1020180084036A KR20180084036A KR102047327B1 KR 102047327 B1 KR102047327 B1 KR 102047327B1 KR 1020180084036 A KR1020180084036 A KR 1020180084036A KR 20180084036 A KR20180084036 A KR 20180084036A KR 102047327 B1 KR102047327 B1 KR 10204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tation
wires
plate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열
서수원
손재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8008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3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25J18/04Arms extensible rot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ion structure for a robot joint. 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wires operating a joint of a robot; and a plurality of rotary assemblies including a connection member guiding a route for the wir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joint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ires.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rotary shaft on a central vertical line of a vertical cross section, and a distance from the rotary shaft to each spot of an outer edg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ires gets sequentially increased as the connection member goes clockwise or anticlockwise from bottom to top. Since the route for the wire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is guid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the wires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loose while being pulled or unwound, so the wires can be more precisely manipulated. Moreover, since the rotary assemblies are rotated through one single motor connected with a pair of wire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the structure is economical and si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assemblies are connected to form a manipulation part for a robot, and first and second connectors employing the principle of a pulley can be installed consider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assemblies and the tension of the wires. In this case, even if the same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s, a rotation angle for the rotary assemblies can be made to be wide.

Description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Wire joint structure for robot joints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본 발명은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조작부와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늘어짐이 방지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joint structure for a robot joint, and more particularly, a connection member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wire is provided, and the robot joint wire is prevented from sagging of the wire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and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It relates to the connec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로봇 기술 및 로봇 산업 분야는 산업 현장에서 이용되는 산업용 로봇과 의료 현장에서 이용되는 의료용 로봇 등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robot technology and the robot industry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into industrial robots used in industrial sites and medical robots used in medical sites.

이러한 로봇은 인체의 관절 움직임에 유사한 관절 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관절 조립체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관절 조립체를 갖는 로봇의 관절은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등의 동작으로 복수의 관절 조립체에 회전운동을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와이어에 각각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작동에 따라 관절 조립체 사이에 회전운동을 구동시키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Such a robo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joint assemblies to enable joint motion similar to the joint motion of the human body. Joints of the robot having a plurality of joint assemblies are each connected to the wire to drive the rotational movement to the plurality of joint assemblies by the operation, such as pulling the wire. In addition, a method of driving a rotational motion between the joint assembli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by connecting the motor to the wire may be used.

특히, 의료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로봇은 일반적으로 수술 또는 시술 등에 사용되는데, 협소한 인체의 내부에서 이동성이 중시된다. 상기 로봇은 협소한 공간에서 이동되는 특성상 소형화가 필수적이고, 와이어를 통해 관절 조립체의 회전운동을 구동시킴에 있어서 와이어의 장력과 관절 조립체의 회전을 면밀히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In particular, robots used in the medical industry are generally used for surgery or surgery, and mobility is emphasized inside a narrow human body. The robot needs to be miniaturized due to its movement in a narrow space, and it is important to closely control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rotation of the joint assembly in driv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joint assembly through the wire.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를 이용한 로봇 관절의 구동원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관절을 갖는 로봇의 경우 와이어를 이용하여 로봇의 조작부(Master)를 회전시켜 삽입부(Slave)를 회전시키는데, 조작부(Master)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와이어에 의해 삽입부(Slave)가 일정각도 회전된다. 그러나 로봇의 조작부(Master)와 삽입부(Slave)에 회전에 따른 와이어의 늘어나는 길이는 서로 다르며 와이어의 늘어나는 길이의 차이로 인하여 조작부(Master)와 삽입부(Slave)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b)를 참고하면, 삽입부(Slave)에 연결된 와이어는 삽입부(Slave)의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 그 늘어나는 비율이 점차 감소되나 조작부(Master)에 연결된 와이어는 조작부(Master)의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 그 늘어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한다.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차이로 인한 오차는 조작부(Master)와 삽입부(Slave)를 연결하였을 때 누적되어 더욱 커지게 되며 로봇 관절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가 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1 discloses a driving principle of a robot joint using a conventional wire. As shown in (a) of FIG. 1, in the case of a robot having two joints, the robot rotates the insertion part Slave by rotating the operation part Master of the robot using wires, while rotating the operation part Master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ase of moving the wire, the insertion portion Slave is rotated by an angle. However, the lengths of wires extending from rotation to the robot's control panel (Master) and the insert (Slave) are different, and the wires connecting the control panel (Master) and the insert (Slave) are stretch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wire. There is this. Referring to (b) of FIG. 1,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insert (Slave) is increased, the stretching ratio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insert (Slave) is gradually decreased, but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Master) is the control panel (Master). As the angle of rotation increases, the increasing ratio gradually increases. As shown in (c) of FIG. 1, the error due to such a difference accumulates even more when the operation unit (Master) and the insertion unit (Slave) are connected and causes a problem that the wire is stretch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bot joint. do.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작부(Master)와 삽입부(Slave)를 연결하는 와이어 객체별로 별도의 모터를 연결하여 와이어를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의료 산업에서 이용되는 로봇의 경우 각각의 와이어에 독립적인 모터를 연결하는 것은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controlling wires by connecting a separate motor for each wire object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Master) and the insertion unit (Slave) may be used. However, in the case of a robot used in the medical industry, each wire Connecting independent motors has the disadvantages of complicated structure and increased cost.

이에 따라 소형화에 최적화되며 보다 정밀한 로봇 관절의 구동과 와이어의 제어를 위한 구조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tructure for driving the robot joint and controlling the wire more precisely and optimized for miniaturization are required.

(문헌 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8714호(등록일:16.10.18)(Document 00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68714 (Registration Date: 16.10.18)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 관절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는데 있어서 와이어의 늘어짐이 방지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oint is to provide a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that prevents sagging of the wire in driving the robot joint using a wire.

또한, 수술용 로봇에 최적화 가능하도록 소형화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에 경쟁력을 갖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ownsized and competitive in manufacturing cost to be optimized for the surgical rob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는 로봇의 관절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관절의 회전에 따른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조립체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수직 단면의 중심 수직선상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와이어와 접촉되는 하단부터 상단까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회전축으로부터 와이어와 접촉되는 외측 테두리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회전에 따른 와이어의 늘어짐을 방지되도록 수치해석을 통해 결정된다.Wire connecting structure for a robot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tion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wires for driving the joints of the robot and the connect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wire and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joint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on the center vertical line of the vertical sect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o each point of the outer edge contacting the wire as it progress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contacting the wire. Is determin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to prevent sagging of the wire due to rotation.

또한, 연결부재는 좌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또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연결부재의 회전각도가 증가할 때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른 와이어의 이동 거리 변화율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the rate of change o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may gradually decrease.

또한, 연결부재에는 와이어와 접촉되는 외측 테두리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ire on the outer edge in contact with the wire.

또한, 회전조립체는, 연결부재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회전프레임, 회전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프레임과 고정된 제1 플레이트 및 회전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며 회전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회전조립체는 복수로 연결부재와 인접한 다른 연결부재 간의 회전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assembly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frame, the rotating frame supporting the connecting member, the first plate fixed to the rotating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frame by a certain distance. And a second plate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rotation assembly may be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rotation axis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and another adjacent connection member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또한, 서로 인접하여 연결된 회전조립체는 각기 제1 플레이트끼리 연결되거나 제2 플레이트끼리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assemblies connect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respectively.

또한, 제1 플레이트에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제1 홀이 구비되고, 제2 플레이트에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제2 홀이 구비되며, 회전프레임에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심홀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holes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the second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holes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and the rotating frame has a plurality of center holes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Can be.

또한, 제2 플레이트에는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2 이상의 제2 연결구가 구비되고, 와이어는 일부가 연결부재의 외측 테두리에 접촉된 상태로 한 쌍이 제2 연결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late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second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pair of wire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s, respectively, with a part of the second member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제1 플레이트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연결구가 구비되고, 와이어는,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1 홀을 통과하여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2 연결구에 연결된 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1 연결구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wire,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provided in the second plate through the first hole provided in the first plate, and then to the first plate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provided.

또한, 한 쌍의 와이어는 회전조립체 외부에 구비되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구동모터는 연결부재의 개수와 같은 개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wires are provided outside the rotary assembly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for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s, and the driving motors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connecting memb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의 관절을 구동시키는데 있어서 와이어의 늘어짐이 방지되므로 관절의 구동에 따른 와이어의 오차가 방지되어 정밀한 로봇 관절의 구동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gging of the wire is prevented in driving the joint of the robot, the error of the wire due to the driving of the joint is prevented, thereby enabling precise driving of the robot joint.

또한,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2 연결구를 통하여 움직도르래의 원리가 적용되므로 관절의 각도 변화 대비 와이어의 길이변화량이 커지기 때문에 연결 부재의 회전축(중심)에서부터 연결부재의 외곽 면까지의 거리를 작게 하여 조작부(Master)를 소형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inciple of the pulley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provided in the second plat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ength of the wire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angle change of the joint,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master.

또한, 본 발명의 한 쌍의 와이어에 하나의 모터를 연결하여 로봇을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의 단순화 및 소형화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robot can be driven by connecting one motor to the pair of wi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downsized.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를 이용한 로봇 관절의 구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의 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수치해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결합된 로봇 관절의 구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결합된 로봇 관절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의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립체와 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회전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riving principle of a robot joint using a conventional wi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numerical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robot joint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stretching of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robot joint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otary assembly and the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otary assemblies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rticular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lis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는 로봇의 관절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와이어(W) 및 상기 와이어(W)와 접촉하며 상기 관절의 회전에 따른 상기 와이어(W)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연결부재(110)를 포함하는 회전조립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10)는, 수직 단면의 중심 수직선상에 회전축(111)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W)와 접촉되는 하단부터 상단까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11)으로부터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는 외측 테두리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회전에 따른 와이어(W)의 늘어짐을 방지되도록 수치해석을 통해 결정된다.Wire connection structure for a robot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wires (W) for driving the joints of the robot and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wire (W)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joint It includes a rotating assembly 100 including a connecting member 110 for guiding, the connecting member 110, the rotating shaft 111 is provided on the center vertical lin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in contact with the wire (W)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rotary shaft 111 to each point of the outer edge contacting the wir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is prevented from sagging of the wire W due to the rotation. Is determined.

먼저 본 발명의 로봇 관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로봇 관절은 다수의 회전조립체(100)가 연결된 조작부(Master)와 상기 조작부에서 와이어(W)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삽입부(Slave)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에서 상기 와이어(W)를 당기거나 푸는 등의 방식으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삽입부는 다양하게 구동된다. 상기 삽입부의 구동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된 회전조립체(100)의 수와 연결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삽입부와 와이어(W)로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에 연결된 다수의 와이어(W)가 집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와이어(W)를 당기거나 풀기 위하여 모터(M) 등이 추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First, the robot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robot joint is driven by being connected to the wire (W) as a plurality of rotation assemblies 100 are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unit (Master) and the manipulation unit (W). The insertion part (Slave) can be divided into. The insertion part is driven in various ways as the operation part is operated by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W. The driving of the insertion unit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and connection state of the rotary assembly 100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The manipulation par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W connected to the insertion part and the wire W are collec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motor (M), etc. to pull or loosen the wire (W)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본 발명의 회전조립체(100)는 상기 로봇의 조작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를 각각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로봇의 삽입부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로봇이 관절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rotation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of the robot and rotates the rotation assembly 100 in a set direction, respectively, and has a structure for driv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robot and thereby performing the robot motion. .

본 발명의 회전조립체(100)에 구비된 연결부재(110)는 와이어가 접촉되면서 와이어(W)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상기 연결부재(110)의 형상을 먼저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늘어짐을 방지하는 특정 형상을 갖는다.The connection member 110 provided in the rotary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wire W while the wire contacts. When the shape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is described first, the connection member 110 has a specific shape that prevents the sag generated while the wire W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ssembly 100.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의 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수치해석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110)가 결합된 로봇 관절의 구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110)가 결합된 로봇 관절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W)의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numerical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robot joint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stretching of the wire (W)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robot joint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10).

도 2의 (a)는 본 발명에서 와이어의 늘어짐이 방지되는 연결부재(110)의 최적형상을 도출하기 위한 알고리듬 수행 과정을 나타내며, 도 2의 (b)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각도 변화에 따른 수치해석 과정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재(110)는 단면의 중심 수직선상에 회전축(111)을 갖고, 상기 단면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의 단면이 좌우 대칭되는 경우 상기 대칭되는 연결부재(110)의 좌우측 테두리에 와이어(W)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가 접촉되지 않는 연결부재(110)의 표면은 좌우 대칭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좌우측이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나 상기 연결부재(110)의 좌우 대칭은 반드시 만족하여야 할 필요는 없고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각도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W)의 늘어짐이 방지되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상기 연결부재(110)의 좌측과 우측이 각각 수치해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10)의 좌우측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2 (a) shows a procedure for performing an algorithm for deriving the optimal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to prevent the sagging of the wi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change in the angl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The numerical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2 and 3, the connection member 110 may have a rotation axis 111 on a center vertical line of the cross section,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vertical line of the cross section.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is symmetrical, the wire (W) may b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symmetrical connecting member 110, the wire (W)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is not in contact The surface may not be symmetrical.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describes the cas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have a symmetrical shape, but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atisfied, but the setting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assembly 100 is performed. It may vary. That i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are each numerically interpreted within the object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agging of the wire W is prevented, and thu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may have different shapes. Can be.

상기 수치해석은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10)와 연결된 와이어(W)의 늘어나는 정도, 이동경로를 반영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치해석은 도 2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10)의 회전 각도를 수직방향(0도)을 기준으로 -60 내지 60 도까지 변화시키면서 상기 연결부재(110)의 테두리와 연결된 와이어(W)의 늘어난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와이어(W)의 늘어난 정도가 상기 삽입부(Slave)에서 와이어(W)의 늘어난 정도와 동일하도록 해석된다. 상기와 같은 해석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형상이 결정된다.The numerical analysis is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elongation of the wire (W)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10, the movement path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erical analysis changes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to -60 to 60 degree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0 degree) as shown in (b) and 4 (b) of FIG. While comparing the stretched degree of the wire (W)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while the stretched degree of the wire (W) is interpreted to be the same as the stretched degree of the wire (W) in the insert (Slave). Through the above analysis,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determined.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재(110)는 단면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11)으로부터 상기 와이어(W)와 접촉되는 각 지점까지 거리가 순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각도로 진행하면서 순차적으로 위치를 정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와이어(W)의 접촉지점 중 최하단을 1번 위치로 정하고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와이어(W)의 접촉지점 중 최상단을 N번 위치로 정할 수 있다. 반시계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진행하면서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하는 경우 상기 N은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진행되는 각도에 따라 100, 1000 등 다양한 숫자를 가질 수 있다. N이 100인 경우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와 와이어(W)의 접촉지점은 100개의 위치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축(111)에서 상기 분할된 각 위치까지의 거리는 각각 부여된 숫자가 커질수록 증가한다. 즉, 상기 회전축(111)에서 1번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축(111)에서 2번까지의 거리가 더 크며, N-1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N까지의 거리가 더 크다.For example, as the connecting member 110 proceed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cross sectio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ng shaft 111 to each point of contact with the wire W may be sequentially increased. Can be. When sequentially position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the outer edge and the wire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The lowermost end of the contact point (W) may be set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uppermost end of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wire W may be set to the N position. When numbers are sequentially assigned while procee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N may have various numbers such as 100 and 1000 depending on the angle proceed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N is 100, the contact point of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wire W may be divided into 100 posi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ng shaft 111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to each divided position increases as the number assigned thereto increases.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shaft 111 to the second position is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shaft 111 to position 1, and the distance to N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to the position of N-1.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아래의 알고리듬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부재(110)의 최적형상을 도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lgorithm may be performed to derive an optimal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알고리듬(Algorithm)Algorithm

1. Find q(n); 연결부재(110)의 모든 끝점(p(1) ~ p(10))과 와이어(W)의 시작점(u(1))을 연결한 가상선(L_u(1)_q(1) ~ L_u(1)_q(10))의 각도.1. Find q (n); Virtual lines L_u (1) _q (1) to L_u (1) connecting all end points p (1) to p (10)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starting point u (1) of the wire W. angle of) _q (10)).

2. maxQn = max(q(n)); q(n)이 최대인 값.2. maxQn = max (q (n)); The value where q (n) is maximum.

3. maxPointNum = index(maxQn); maxQn의 인덱스 값.MaxPointNum = index (maxQn); Index value of maxQn.

4. L_u(1)_p(max) 계산; u1에서 maxPointNum까지의 거리.4. Calculate L_u (1) _p (max); The distance from u1 to maxPointNum.

5. L_pp =

Figure 112018071428904-pat00001
(L_p(i-1)_p(i)); 나머지 거리.5. L_pp =
Figure 112018071428904-pat00001
(L_p (i-1) _p (i)); Remaining distance.

6. L= L_u(1)_p(max) + L_pp; 전체 와이어의 길이.6. L = L_u (1) _p (max) + L_pp; The length of the entire wire.

7. 1 내지 6의 과정을 모든 각도에서 길이(L) 계산.7. Calculate length (L) at all angles from 1 to 6.

8. 각도가 0도일 때를 기준 값으로 하여 모든 각도에서 길이 변화 계산.8. Calculate length change at all angles with reference value when angle is 0 degrees.

9. 삽입부(Slave)와 유사한 길이 변화를 갖는 연결부재의 형상 Lr(n)의 조합.9. Combination of the shape Lr (n) of the connecting member with a length change similar to that of the slave.

상술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수치해석을 통하여 와이어의 늘어짐을 방지하는 다양한 형상이 도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various shapes to prevent sagging of wires may be deriv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부재(110)의 좌우측 테두리는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연결부재(110)가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부재(110)의 형상에 의해 이동 경로가 가이드된다.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have a curved shape, and when the connection member 110 is rotated at an angle about the rotation axis 111, the wire W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The movement path is guided by the shape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결합된 로봇 관절의 구동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와이어의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며, 도 4의 (c)는 상기 연결부재(110)를 통해 가이드되는 와이어(W)의 늘어짐이 방지되는 구조를 나타낸다.Figure 4 (a) shows the driving state of the robot joint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shows the degree of stretching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Figure 4 (c )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sagging of the wire W guid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10 is prevented.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0)를 포함한 로봇 관절은 상기 회전축(111)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각도가 증가할 때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와이어(W)의 이동 거리 변화율이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관절을 갖는 로봇에서 삽입부(Slave)의 회전각도가 증가할 때 상기 삽입부에 연결된 와이어(W)의 이동 거리 변화율이 점차 감소되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삽입부(Slave)와 조작부(Master)를 각각 연결하는 와이어(W)의 이동 거리 변화율이 동일하거나 극히 미미한 차이를 갖기 때문에 삽입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늘어짐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에서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와이어(W)의 이동거리는 상기 삽입부에서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상기 와이어(W)의 이동거리와 같을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4, the robot joint including the connection member 110 may have an increas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111. The rate of change o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W according to the rotation may be gradually reduced. This reflects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W connected to the insert gradually decreases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insert Slave increases in the robot having two joints shown in FIG. 1. Since the rate of change o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s W connecting the slave and the operation unit Master, respectively, is the same or very small, the sagging of the wire connecting the insert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s prevented. For exampl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W) when rotated by a certain angle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n the operation unit is the same a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W) when rotated by an angle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n the insert. Can be.

즉,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연결부재(110)를 갖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에 접촉되는 와이어(W)가 당겨질 때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 형상에 따라 이동 경로가 가이드되므로 상기 조작부에서 와이어(W)의 늘어짐 정도가 상기 삽입부에서 와이어(W)의 늘어짐 정도와 같게 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따른 와이어(W)의 늘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necting member 110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is pulled, it moves along the outer edg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Since the path is guided, the degree of sagging of the wire W in the manipulation part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gging wire W in the insertion part, and sagging of the wire W due to th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part can be prevented.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립체와 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의 (a)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 내지 7의 (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5 to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otary assembly and the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7 (a) show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s 5 to 7 (b) show a side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연결부재(110)는 판 형상을 갖고, 상기 판 형상의 중심 수직선상에 회전축(111)이 구비되며, 외측 테두리에 각각 와이어(W)가 접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110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has a plate shape, the rotation axis 111 is provided on the central vertical line of the plate shape, the wire (W)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respectively It may have a structure.

상기 연결부재(110)에는 상기 와이어(W)와 접촉되는 외측 테두리에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홈(112)은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재(110)에 접촉되는 와이어(W)가 상기 연결부재(1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10)에 접촉되는 와이어(W)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접촉되는 위치의 외측 접선방향 외의 이동이 방지된다.The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12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ire (W) on the outer edge in contact with the wire (W). The release preventing groove 112 may be formed to concave i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member 110 at the outer edg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Accordingly,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is prevented from moving outside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조립체(100)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축(111)과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110)를 지지하는 회전프레임(120), 상기 회전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20)과 고정된 제1 플레이트(130) 및 상기 회전프레임(12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20)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2 플레이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to 7, the rotation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1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rotation frame 120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member 110, th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frame 120 and provided on the first plate 130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frame 120 and fixed to the rotating frame 120 and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fram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late 140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member (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프레임(120)은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축(111)과 결합되는 결합부(122) 및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 방향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된 좌우 대칭의 수평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프레임(120)은 상기 결합부(122)가 상기 회전축(111)과 같은 높이를 갖고, 상기 수평부(123)가 상기 결합부(122)와 상기 제2 플레이트(140)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결합부(122)와 회전축(111)은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frame 120 is formed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outer edg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connecting member 11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11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It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123 of symmetry. In this case, the rotation frame 120 has the coupling portion 122 has the same height as the rotation shaft 111, the horizontal portion 123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plate 140. It is formed to be provided i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art 122 and the rotation shaft 111 are hinged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is free from the rotation frame 120.

상기 회전프레임(12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10)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on frame 120 is composed of a pair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respectively.

상기 회전프레임(120)에는 다수의 중심홀(121)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홀(121)은 상기 수평부(123)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23)에 구비된 중심홀(121)에 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W)의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상기 중심홀(121)을 통과하는 와이어(W)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접촉되는 와이어(W)와 다른 객체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rotation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enter holes 12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hole 121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horizontal portion 123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wire W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121 provided in the horizontal part 123, thereby preventing the wire W from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re W passing through the center hole 121 may be a different object from the wire W contacting the connection membe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플레이트(130)는 상기 회전프레임(120)과 고정되며 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플레이트(130)는 상기 회전프레임(120)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재(110)가 회전할 때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30)에는 다수의 제1 홀(131)이 구비되는데, 상기 다수의 제1 홀(131) 중 일부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접촉되는 와이어(W)가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중심홀(121)을 통과한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131)은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30 is fixed to the rotating frame 120 and has a plate shape. The first plate 130 serves as a support when the connection member 110 rotates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rotation frame 120. The first plate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holes 131,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131 pass through the wires W contact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and other portions thereof. The wire W passing through the center hole 121 may pass therethrough. The first hole 131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 플레이트(140)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14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제2 플레이트(140) 사이의 이격공간은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에 따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second plate 14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11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and have a plate shape.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14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pair of the second plate 140 to prevent the collision due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To do this.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접촉된 와이어(W)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W)를 당김에 따라 상기 제2 플레이트(140) 및 상기 연결부재(110)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110)에는 한 쌍의 와이어(W)가 각각 반대방향에 접촉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W)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late 140 and the connection member 110 rotate together as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is pulled to pull the wire W. It has a structure. In order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 pair of wires W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pair of wires W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40, respectively. desirable.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는 다수의 제2 홀(14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홀(141)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141)에는 와이어(W)가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홀(131)과 마찬가지로 와이어(W)의 수평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제2 홀(141)을 통과한 와이어(W)는 상기 중심홀(121)을 통과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holes 141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plate 140, and the second holes 141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ire W may pass through the second hole 141, and similarly to the first hole 131, the wire W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re W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e 141 may pass through the center hole 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연결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2 이상의 제2 연결구(142)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W)는 일부가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에 접촉된 상태로 한 쌍이 상기 제2 연결구(14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140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second connector 14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10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the wire W is parti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10. The pair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42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member 110.

상기 제2 연결구(142)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상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140)를 서로 연결하는데, 상기 제2 연결구(142)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W)는 상기 연결부재(11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선택적으로 당겨지고 상기 연결부재(110)와 제2 플레이트(140)는 상기 와이어(W)의 장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 연결구(142)는 원통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구(14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W)는 상기 제2 연결구(142)의 둘레를 따라 각각 상기 제2 연결구(142)를 감싸도록 연결된다.The second connector 142 connect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plate 140 to each other, and a pair of wires W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4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 The contact member 110 is selectively pull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plate 140 are rotated together by the tension of the wire (W). . The second connector 14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pair of wires W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42 may respectively connect the second connector 14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nnector 142. Connected to wra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되는 제1 연결구(13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구(132)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플레이트(130)의 내측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거나 상기 제1 플레이트(13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13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132 to which the wire W is connected, and the first connector 132 may have various structures. have. For example, 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plate 130 and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may have a ring shape which protrudes outward of the first plate 130.

본 발명의 회전조립체(100)에 연결된 와이어(W)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130)의 제1 홀(131)을 통과한 와이어(W)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측 테두리에 접촉되면서 이동 경로가 가이드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회전조립체(100)가 와이어(W)의 장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홀, 제2홀 및 중심홀(121)은 상기 회전조립체(100)와 연결된 다른 회전조립체(100)에 구비된 연결부재(110)와 접촉되는 와이어(W)의 이동통로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wire (W) connected to the rotary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131 of the first plate 130 One wire (W) may be guided to the movement path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and may be fixed to the second plate (140). In this way, one rotary assembly 100 may be rotat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W). In this case, the first hole, the second hole, and the center hole 121 serve as a movement path of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provided in the other rotation assembly 100 connected to the rotation assembly 100. Do this.

상기 연결부재(110) 각각의 외측 테두리에는 한 쌍의 와이어(W)가 각각 접촉되며 상기 와이어(W)는 다수의 회전조립체(100)에 구비된 제1홀, 중심홀(121) 및 제2홀을 각각 통과하여 로봇의 삽입부를 구성하는 로봇 관절에 연결된다.A pair of wires W are in contact with each outer edge of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110, and the wires W are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tation assemblies 100, including the first hole, the center hole 121, and the second hole. Passed through each hole is connected to the robot joint constitut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robot.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1 홀(131)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재(110)에 접촉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 구비된 제2 연결구(142)에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2 연결구(142)를 감싸도록 연결되고 재차 상기 제1 플레이트(130)에 구비된 제1 연결구(132)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구(132)는 연결되는 와이어(W)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구(132)를 대체하여 상기 제1 홀(131)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조립체(1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연결구(142)가 도르래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도 5의 경우와 비교하면 같은 각도 변화에 대해 와이어(W)의 길이변화를 2배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W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131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member 110 and is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140.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42. The wire W is connected to surround the second connector 14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32 provided in the first plate 130 again.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132 may have various shapes to fix the wire (W) to be connected and may use the first hole 131 in place of the first connector 132. . In this way, when the rotating assembly 100 is rotated, the second connector 142 plays a role of the pulley, so that the length change of the wire W is doubled for the same angle chang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5. can do.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연결구(132)에 연결된 와이어(W)는 상기 제1 연결구(132)에 연결된 상태로 재차 상기 제2 플레이트(1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상기 와이어(W)는 제2 플레이트(1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142) 및 제1 연결구(132)가 각각 도르래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도 5의 경우와 비교하면 같은 각도 변화에 대해 와이어(W)의 길이 변화를 3배로 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1 플레이트(130)와 제2 플레이트(140)를 왕복하면서 N개의 도르래를 구성할 수 있고, 와이어(W)의 장력과 이동거리에 따른 회전조립체(100)의 회전각 및 와이어(W)의 길이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wire W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3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40 agai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32. In this case, the wire W may be finally fixed to the second plate 140. Since the second connector 142 and the first connector 132 each play a role of the pulley, the length change of the wire W may be tripled for the same angle chang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5. In addition, the wire (W) may constitute the N pulley while reciprocating the first plate 130 and the second plate 140, the rota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tens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wire (W)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100 and the length change of the wire (W).

즉,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110)를 회전시켜 와이어(W)를 당기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힘과 회전각으로 요구되는 와이어(W)의 당겨지는 길이를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삽입부(Slave)의 구동 범위를 증가시키거나 조작부(Master)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pulling the wire (W) by rotating the connecting member 110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portion (Slave) can meet the pulled length of the wire (W) required by a relatively small force and rotation angle ) Can increase the driving range or downsized the master (Master).

상기 제1 연결구(132) 또는 제2 연결구(142)는 연결되는 와이어(W)의 마찰이 방지되도록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롤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구(132) 또는 제2 연결구(142)는 표면이 매끄러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르래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연결구(132) 또는 제2 연결구(142)에 다른 구성을 추가하는 경우 제작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제1 연결구(132) 또는 제2 연결구(142)가 표면이 매끄러운 소재로 형성된 원통형상을 갖도록 함에 따라 다른 별도의 구성을 요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고 제작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first connector 132 or the second connector 142 may be configured in a roller manner that rotates independently to prevent friction of the wire (W) to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132 or the second connector 142 may be formed of a smooth material. In the case of adding another configuration to the first connector 132 or the second connector 142 serving as the pulle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the first connector 132 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since the second connector 142 has a cylindrical shape formed of a smooth material, it does not require any other configuration,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economical and easy manufacturing proces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회전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otary assemblies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조립체(100)는 다수이고 상기 다수의 회전조립체(10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연결부재(110)는 인접한 연결부재(110) 간의 회전축(111)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회전조립체(100)는 제1 플레이트(130)와 제2 플레이트(140) 사이에 상기 연결부재(11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110)의 회전축(111)에는 회전프레임(120)이 결합되는 구조이고, 상기 다수의 회전조립체(100)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로봇의 조작부(Master)를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rotation assembly 100 has a plurality, and the connection members 110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rotation assemblies 100 are disposed such that the rotation shafts 111 between adjacent connection members 11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That is, the rotation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10 between the first plate 130 and the second plate 140, the rotating shaft 111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is a rotating frame ( 120 i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he plurality of rotary assembly 100 may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figure the operation unit (Master) of the robot.

다수의 회전조립체(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결부재(110)에 다수의 와이어(W)가 각각 접촉될 때 상기 다수의 와이어(W)중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상기 중심홀(121)을 통과함에 따라 꼬임이나 엉킴이 방지된다. 즉, 회전조립체(100)에 구비된 연결부재(110)에 접촉되는 와이어(W)는 제1홀(131), 이탈방지홈(112), 제2 연결구(14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재(110)를 회전시키고, 별도의 다른 와이어(W)는 상기 제1 홀(131), 중심홀(121), 제2홀(14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회전조립체(100)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다른 회전조립체(100)의 연결부재(110)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When a plurality of wires W are in contact with each connection member 110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rotary assemblies 100,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wires W respectively pass through the center hole 121. This prevents kinks and tangles. That is,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member 110 provided in the rotary assembly 100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131,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112, the second connector 142 in sequence to the connection The member 110 is rotated, and another wire W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hole 131, the center hole 121, and the second hole 141 to longitudinally rotate the member 110. It has a structure for rotating the connection member 110 of the other rotary assembly 100 connected to.

상기 서로 인접하여 연결된 회전조립체(100)는 각기 상기 제1 플레이트(130)끼리 연결되거나 상기 제2 플레이트(140)끼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회전조립체(100)를 갖는 조작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130)와 제2 플레이트(14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보다 더욱 다채로운 회전각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조작부의 회전각 조절이 다채로워짐에 따라 상기 조작부와 연결된 삽입부의 구동도 더욱 다양해질 수 있다.The rotary assembly 100 connect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130 or the second plate 14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operation unit having the plurality of rotary assemblies 100 has an advantage of allowing more various rotation angle adjustments than when the first plate 130 and the second plate 140 are sequentially connected. As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of the operation unit becomes more colorful, the driving of the inser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may be further diversified.

상기 한 쌍의 와이어(W)는 상기 회전조립체(100)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W)를 풀거나 감는 구동모터(M)(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M)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개수와 같은 개수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M)는 상기 로봇의 조작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연결부재(110)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W)를 감거나 풀기 위하여 하나의 구동모터(M)를 이용하더라도 상기 구동모터(M)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W)가 당겨지거나 풀릴 때 발생되는 와이어(W)의 늘어짐은 방지되므로 구동모터(M)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작비용상 이점이 있다.The pair of wires W are provided outside the rotary assembly 100 and are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M (not shown) that unwinds or winds the wires W, and the driving motor M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tor. The number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members 110. The driving motor (M)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robot.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e drive motor (M) is used to wind or unwind a pair of wires (W)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10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wire ( Since the stretching of the wire W generated when W) is pulled or released is prevented, the number of the driving motors M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dvantageou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로봇의 관절을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어(W)의 늘어짐이 방지되는 최적 형상의 연결부재(110)를 통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동시에 정밀한 와이어(W)의 조작이 가능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wire W can be precisely manipulat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10 having an optimal shape to prevent the sagging of the wire W for driving the robot joint. An easy and inexpensive fabrication wire connection structure for a robotic joint is provided.

100 : 회전조립체
110 : 연결부재 111 : 회전축
112 : 이탈방지홈
120 : 회전프레임 121 : 중심홀
122 : 결합부 123 : 수평부
130 : 제1 플레이트 131 : 제1 홀
132 : 제1 연결구
140 : 제2 플레이트 141 : 제2 홀
142 : 제2 연결구
W : 와이어 M : 구동모터
100: rotating assembly
110: connecting member 111: rotating shaft
112: Departure prevention groove
120: rotation frame 121: center hole
122: coupling portion 123: horizontal portion
130: first plate 131: first hole
132: first connector
140: second plate 141: second hole
142: second connector
W: Wire M: Drive Motor

Claims (10)

로봇 관절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접촉하며 상기 로봇 관절의 회전에 따른 상기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수직 단면의 중심 수직선상에 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는 하단부터 상단까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는 외측 테두리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회전에 따른 와이어의 늘어짐을 방지되도록 수치해석을 통해 결정되고,
상기 로봇 관절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치해석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 각도를 수직방향(0도)을 기준으로 -60 내지 60 도까지 변화시키면서 상기 연결부재의 테두리와 연결된 와이어의 늘어난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와이어의 늘어난 정도가 상기 삽입부에서 와이어의 늘어난 정도와 동일하도록 해석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A plurality of wires for driving the robot joint; And
And a rotating assembly including a connection member in contact with the wire and guiding a movement pa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bot joint.
The connecting member,
The axis of rotation is provided on the center vertical line of the vertical section,
As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progres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contacting the wire,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axis to each point of the outer edge contacting the wire is determin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so as to prevent the wire from sagging due to rotation. ,
The robot joint includes an insertion part driven in connection with the wire,
The numerical analysis,
By comparing the degree of extension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connection member while chang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from -60 to 6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0 degree) based on the length of the wire in the insertion portion The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by analyzing the same as the extended degr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좌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s a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각도가 증가할 때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른 상기 와이어의 이동 거리 변화율은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is increased relative to the rotation axis, the rate of change o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gradually reduc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는 외측 테두리에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member is a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is provid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ire on the outer edge in contact with the wir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립체는,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과 고정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립체는 복수로 상기 연결부재와 인접한 다른 연결부재 간의 회전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ry assembly,
A rotating fram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supporting the connecting member;
A first plat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tating frame and fixed to the rotating frame; And
And a second plat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fram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he rotation assembly is a plurality of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otation axis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other adjacent connecting member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 5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연결된 상기 회전조립체는 각기 상기 제1 플레이트끼리 연결되거나 상기 제2 플레이트끼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able assembly connected adjacent to each other is a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ate is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second plate is connected to each oth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제1 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제2 홀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중심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holes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The second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holes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The rotating frame is a robot joint wire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entral holes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2 이상의 제2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일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 테두리에 접촉된 상태로 한 쌍이 상기 제2 연결구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plate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for a robot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1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된 상기 제2 연결구에 연결된 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된 제1 연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The wire,
The robot joint wire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provided in the first plat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provided in the second plate through the first hole provided in the first plate. rescu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는 상기 회전조립체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연결부재의 개수와 같은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관절용 와이어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8,
The pair of wires are provided outside the rotary assembly and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for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s.
The drive motor is a robot joint wire connec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KR1020180084036A 2018-07-19 2018-07-19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KR102047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036A KR102047327B1 (en) 2018-07-19 2018-07-19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036A KR102047327B1 (en) 2018-07-19 2018-07-19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327B1 true KR102047327B1 (en) 2019-11-21

Family

ID=6869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036A KR102047327B1 (en) 2018-07-19 2018-07-19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32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68B1 (en) 2020-07-17 2021-07-20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KR102435939B1 (en) * 2021-03-03 2022-08-2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A wire device of articulated mechanism
KR20230088140A (en)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Wire tension maintenance structure of artificial joi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0337B1 (en) * 1996-02-08 2004-11-10 Symbiosis Corporation Endoscopic robotic surgical tools and methods
KR101668714B1 (en) 2016-03-10 2016-10-24 국립암센터 Robot joint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0337B1 (en) * 1996-02-08 2004-11-10 Symbiosis Corporation Endoscopic robotic surgical tools and methods
KR101668714B1 (en) 2016-03-10 2016-10-24 국립암센터 Robot joint mechanis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68B1 (en) 2020-07-17 2021-07-20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KR102435939B1 (en) * 2021-03-03 2022-08-2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A wire device of articulated mechanism
KR20230088140A (en)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로엔서지컬 Wire tension maintenance structure of artificial j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327B1 (en) Wire driving part for joints of robot
US10753439B2 (en) Tension management apparatus for cable-driven transmission
US20120330287A1 (en) Surgical instrument
JP5048158B2 (en) Endoscope system
JP7472374B2 (en) Joint function area
US20080139886A1 (en) Endoscope and bending operation device for endoscope
US20050240078A1 (en) Robotized laparoscopic system
JPH09253030A (en) Flexible tube for endoscope
CN109952175B (en) Robot joint driving device using wire, endoscope robot device and medical robot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997877B1 (en) Bending control mechanism for endoscope
KR101366794B1 (en) Rigidity Controller for Flexible Surgical Instrument
JP2006192523A (en) Articulated finger mechanism
JP2000078736A (en) Wiring structure of wire harness at rotary joint
JP6770881B2 (en) Roofing equipment
JP5190900B2 (en) Adjustment unit
JP2009220221A (en) Cable retention device for robot arm joint part
US20190234140A1 (en) Operating Device for a Pleated Blind
WO2021162089A1 (en) Bending structure and joint function part
KR102458988B1 (en) Wearable joint
JPH04269257A (en) Projecting arm for sunshade
JPH04315592A (en) Turning mechanism for robot
JP5001799B2 (en) Wire harness wiring structure for robot joints
KR101289985B1 (en) Joint mechanism for robot
KR20210059965A (en) Robotic arm
KR102435939B1 (en) A wire device of articulated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